KR200473921Y1 - 유아용 아기띠 - Google Patents

유아용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21Y1
KR200473921Y1 KR2020110005603U KR20110005603U KR200473921Y1 KR 200473921 Y1 KR200473921 Y1 KR 200473921Y1 KR 2020110005603 U KR2020110005603 U KR 2020110005603U KR 20110005603 U KR20110005603 U KR 20110005603U KR 200473921 Y1 KR200473921 Y1 KR 200473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houlder
backrest
baby
wid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991U (ko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김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헌 filed Critical 김태헌
Priority to KR2020110005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92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면과 안장부 그리고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결속되는 허리 밴드 및 상기 등받이면의 양측에 각각 재봉 처리되며 보호자의 어깨에 매달려 지는 어깨끈을 포함하여 구성한 유아용 아기띠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의 일단과 상기 등받이면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어깨끈의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밴드가 설치되도록 하여 보호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한 유아용 아기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아기띠{Carrier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용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어깨끈과 등받이면의 연결부위에 탄성밴드를 부착시켜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어깨끈을 탄력적으로 지탱하여 보호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한 유아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포대기라 함은 유아의 보호자가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시 유아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고자 할 때 쓰이는 것으로, 유아와 보호자를 감살 수 있는 덮개와 덮개의 양측에 연결되어 결속력을 제공하는 결속 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용 포대기는 덮개가 아기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통풍이 안되며 유아의 행동에 제약을 가하여 답답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요즘의 유아용 포대기는 배낭형태로 유아의 등받이부 및 안장부 그리고 팔 인출부와 다리 인출부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들의 각각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제작하여 일정한 폭의 안장부를 제공함에 따라 체형이 각기 다른 유아들은 안장부를 통해 다리가 빠져나오는 공간 사이로 안장부의 끝 면이 유아의 허벅지와 마찰을 일으켜 연약한 유아의 피부를 짓무르게 하거나 다리가 벌어져 유아의 다리가 "O"자 형태로 발육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보행을 하거나 움직일 때, 유아의 무게가 어깨끈을 통해 사용자의 어깨로 그대로 전해지게 되는 데, 이러한 작용이 장시간 진행되면 사용자의 어깨에 무리가 전해져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등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어깨끈과 등받이면의 연결부위에 탄성밴드를 부착시켜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어깨끈을 탄력적으로 지탱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한 유아용 아기띠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률적으로 만들어진 유아용 아기띠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각각의 체형에 맞도록 유아용 아기띠의 안장부에 연장형성되어 안장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편을 구성하는 유아용 아기띠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폭조절편이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되었을 때 고정하여 접착할 수 있는 제1,2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유아용 아기띠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등받이면과 안장부 그리고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 결속되는 허리 밴드 및 상기 등받이면의 양측에 각각 재봉 처리되며 보호자의 어깨에 매달려 지는 어깨끈을 포함하여 구성한 유아용 아기띠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의 일단과 상기 등받이면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어깨끈의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밴드가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면의 양측에 재봉 처리되는 어깨끈의 일단은 주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어깨끈과 등받이면의 연결부위에 탄성밴드를 부착시켜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어깨끈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도록 함으로서 보호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도록 하여 장시간의 사용에도 보호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유아용 아기띠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어깨끈과 등받이면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밴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아기띠의 전체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는 등받이면(12)과 안장부(14)와 상기 안장부(14)의 하부에 재봉 처리되어 결속되는 허리 밴드(16)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면(12)의 양끝쪽 상부에는 보호자가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한쌍의 어깨끈(18a,18b)이 재봉 처리된다.
상기 보호자가 어깨끈(18a,18b)을 메고 허리 밴드(16)를 결착시 보호자는 유아용 아기띠와 결속력을 가지며 상기 유아용 아기띠의 등받이면(12)이 굴곡되게 구부러지면서 아기를 업거나 안을 수 있는 안장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안장부(14)의 양 측면으로는 안장부(14)의 면이 연장형성되어 안장부(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편(22a,22b)이 형성된다.
상기 안장부(14)와 폭조절편(22a,22b)이 경계를 이루는 구역에는 유아의 체형에 맞추어 상기 폭조절편(22a,22b)이 원활히 접힐 수 있도록 접힘부(20a,20b)가 재봉 처리된다.
또한, 상기 폭조절편(22a,22b)의 후면에는 허리밴드(16)에 부착된 제1 고정부재(30a,30b)와 접착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재(24,28)가 재봉 처리되며, 상기 폭조절편(22b)의 상면에는 다른 폭조절편(22a)의 제2 고정부재(24)와 접착할 수 있도록 폭조절용 고정부재(26)가 재봉 처리된다. 즉, 상기 폭조절용 고정부재(26)는 유아의 체형에 맞추어 상기 폭조절편(22a,22b)이 접힘부(20a,20b)를 중심으로 해서 접혀질 때, 접혀진 폭조절편(22a,22b)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폭조절편(22a,22b)이 상기 접힘부(20a,20b)를 중심으로 해서 접혀지면 다른 폭조절편(22a)의 후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 2고정부재(24)가 상기 폭조절용 고정부재(26)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서 접혀진 상태의 폭조절편(22a,22b)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안장부(14)의 하부에 재봉 처리되어 결속되는 허리밴드(16)는 유아가 허벅지를 얹을시 안락감을 주기 위해 신축성을 가지는 쿠션으로 제작된다. 상기 허리밴드(16)는 보호자가 착용시 허리둘레를 감살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에 따라 허리밴드(16)는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허리밴드(16)에는 아기를 업거나 안을시 다리가 빠져나오는 사이로 허벅지 안치부(32a,32b)가 형성된다. 상기 허벅지 안치부(32a,32b)의 전면에는 전술한 폭조절편(22a,22b)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24, 28)와 접착할 수 있도록 제1 고정부재(30a,30b)가 재봉 처리된다.
한편, 전술한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연결부위에는 탄성밴드(50a,50b)가 부착된다.
첨부된 도 4는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밴드(50a,50b)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 처리되는 어깨끈(18a,18b)의 일단은 주름(19a,19b)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팽창(즉, 유아의 하중으로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수 있도록 늘어나는 것)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주름부(19a,19b)가 형성된 어깨끈(18a,18b)의 일단 내면과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 내면에는 탄성밴드(50a,50b)의 양단을 재봉 처리하여 유아의 하중으로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때, 이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도록 한다.
즉, 상기 주름부(19a,19b)는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재봉(21a,21b)되며, 유아의 하중이 상기 어깨끈(18a,18b)에 전해질 때, 상기 주름부(19a,19b)가 펼쳐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밴드(50a, 50b)가 탄력적으로 늘어남으로써 어깨끈(18a,18b)으로 전해지는 당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50a, 50b)의 양단은 상기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23a,23b,23c,23d)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주름부(19a,19b)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어깨끈(18a,18b)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밴드(50a, 50b)는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어깨끈(18a,18b)의 당김을 탄력적으로 지탱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즉, 보호자가 아기띠로 유아를 업게 되면 어깨끈(18a,18b)을 통해 사용자의 어깨로 유아의 하중이 가장 많이 전해지며, 더욱이 보호자가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흔들림으로 인한 유아의 하중이 어깨로 더욱 많이 전해지게 되는 바, 본 고안은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양측을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밴드(50a,50b)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유아의 하중으로 인해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때, 상기 탄성밴드(50a,50b)가 어깨끈(18a,18b)의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아기띠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유아용 아기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유아용 아기띠의 안장부(14)의 폭을 줄이거나 늘릴 시 허벅지 안치부(32a,32b)의 상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30a,30b)와 폭조절편(22a,22b)의 후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24,28)를 탈착시킨다.
상기 폭조절편(22a,22b)을 탈착시킨 상태에서 안장부(14)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편(22a,22b)을 안장부(14)의 후면으로 젖히며, 이때, 상기 폭조절편(22a,22b)은 전술한 접힘부(20a,20b)로 인해 원활히 접혀질 수 있다.
또한, 폭조절편(22a,22b)을 안장부(14)의 후면으로 젖힐 시 하나의 폭조절편(22a)은 다른 폭조절편(22b)의 상면에 포개어지며, 이때 하나의 폭조절편(22a)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24)가 다른 폭조절편(22b)의 상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폭조절용 고정부재(26)가 접착하면서 조절이 완료된 안장부(14)의 폭을 고정해준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폭조절편(22a,22b)과 허벅지 안치부(32a,32b)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1,2 고정부재(24,28,30a,30b) 그리고 폭조절용 고정부재(26)를 각각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제1,2 고정부재(24,28,30a,30b)와 폭조절용 고정부재(26)는 암수로 이루어진 벨크로테잎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2 고정부재(24,28,30a,30b)와 폭조절용 고정부재(26)는 지퍼나 단추 등과 같이 2가지 소재를 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한 유아용 아기띠로 아기를 업게 되면 유아의 하중에 의해 어깨에 매달려 있는 어깨끈(18a,18b)이 당겨지게 되는 데,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양측을 탄성밴드(50a,50b)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유아의 하중으로 인해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때, 상기 탄성밴드(50a,50b)가 어깨끈(18a,18b)의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4: 안장부 16: 허리밴드
18a,18b: 어깨끈 19a,19b: 주름부
20a: 제1접힘부 20b: 제2접힘부
22a: 제1폭조절편 22b: 제2폭조절편
24: 제2 고정부재 26: 폭조절용 고정부재
28: 제2 고정부재 30a: 제1 고정부재
30b: 제1 고정부재 32a: 제1허벅지 안치부
32b: 제2허벅지 안치부 50a,50b: 탄성밴드

Claims (2)

  1. 등받이면(12)과 안장부(14) 그리고 상기 안장부(14)의 하부에 결속되는 허리 밴드(16) 및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 처리되며 보호자의 어깨에 매달려 지는 어깨끈(18a,18b)을 포함하여 구성한 유아용 아기띠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18a,18b)의 일단에는 주름부(19a,19b)가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주름부(19a,19b)는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재봉(21a,21b)되며, 유아의 하중이 상기 어깨끈(18a,18b)에 전해질 때, 상기 주름부(19a, 19b)가 펼쳐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주름부(19a,19b) 아래쪽에는 탄성밴드(50a, 50b)가 위치하며, 상기 탄성밴드(50a, 50b)의 양단은 상기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23a,23b,23c,23d)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주름부(19a,19b)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어깨끈(18a,18b)을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아기띠.
  2. 삭제
KR2020110005603U 2011-06-21 2011-06-21 유아용 아기띠 KR200473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03U KR200473921Y1 (ko) 2011-06-21 2011-06-21 유아용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03U KR200473921Y1 (ko) 2011-06-21 2011-06-21 유아용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91U KR20120008991U (ko) 2012-12-31
KR200473921Y1 true KR200473921Y1 (ko) 2014-08-11

Family

ID=5198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603U KR200473921Y1 (ko) 2011-06-21 2011-06-21 유아용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9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69U (ko) 2019-11-08 2021-05-18 차복희 폭 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84B1 (ko) * 2019-10-16 2019-11-05 넥스닷 주식회사 아기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576Y1 (ko) * 2001-10-10 2002-01-05 정원호 유아용 기저귀
KR20090008715U (ko) * 2008-02-26 2009-08-31 김태헌 유아용 아기띠
KR20100095837A (ko) * 2009-02-23 2010-09-01 오성자 포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576Y1 (ko) * 2001-10-10 2002-01-05 정원호 유아용 기저귀
KR20090008715U (ko) * 2008-02-26 2009-08-31 김태헌 유아용 아기띠
KR20100095837A (ko) * 2009-02-23 2010-09-01 오성자 포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69U (ko) 2019-11-08 2021-05-18 차복희 폭 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91U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13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47518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SE0900554A1 (sv) Barnbärsele vars sittstöds bredd kan ändras.
JP6342163B2 (ja) 子守帯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20150053581A (ko) 유아용 캐리어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KR200312695Y1 (ko) 조끼형 아기포대기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JP6408764B2 (ja) 子守帯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20190041209A (ko)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TW201309239A (zh) 多功能嬰兒背乘載具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101791471B1 (ko)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KR200478811Y1 (ko) 벨트 고리 포대기
KR20180062711A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6778078B2 (ja) 子守帯
KR200315982Y1 (ko) 개량 베이비 슬링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