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826Y1 -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826Y1
KR200473826Y1 KR2020130003492U KR20130003492U KR200473826Y1 KR 200473826 Y1 KR200473826 Y1 KR 200473826Y1 KR 2020130003492 U KR2020130003492 U KR 2020130003492U KR 20130003492 U KR20130003492 U KR 20130003492U KR 200473826 Y1 KR200473826 Y1 KR 200473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mobile device
present
front surfac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형
Original Assignee
한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형 filed Critical 한민형
Priority to KR2020130003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받침판부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받침판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장치와 길이 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A Backpack with Foldable Board for Mobile Device Users}
본 고안은 접철식 받침판부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백팩 본체부의 일측면에 접철식 받침판부를 제공하되, 접철식 받침판부의 길이 조절, 회동, 및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주며, 도서의 받침대로 사용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모바일기기(mobile device) 사용자들은 한손 또는 양손으로 모바일기기를 들어서 잡고 사용한다. 사용자가 의자나 소파 등에 앉아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때, 손으로 모바일기기를 들어서 잡고 있는 자세로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힘이 들어서 곧 손과 팔의 근육이 피로해지고 지치게 된다. 그래서 바로 손과 팔이 하방으로 쳐지면서 대부분 사용자들은 첨부되는 도 12와 같은 불량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형적인 불량한 자세로 장시간 모바일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사용자와 모바일기기 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게 유지됨에 따라 사용자의 눈은 계속 하방향으로 처져서 안축(眼軸)이 하방향으로 늘어지므로 근시안이 되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기간에 걸쳐 모바일기기를 사용할수록 사용자는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엘보, 손목터널 증후군, 및 시력저하 등의 만성적인 질병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모바일기기를 즐겨 사용하는 젊은 세대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백팩(backpack)을 선호하고 있다. 백팩은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메거나 등에 짊어지고 다니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체로 백팩은 일반적인 가방에 비해 수납공간이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내용물을 담아서 운반할 수 있고, 일반적인 손가방(hand-carry bag)과 달리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백팩을 사용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들은 노트북PC 또는 태블릿PC 등과 같이 비교적 무거운 모바일기기류를 백팩 내에 휴대하면서 수시로 사용하므로 전술한 문제점들이 사용자들에게 미치는 폐해는 더욱 심각하게 대두될 수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2833호 한국 공개 특허공보 10-2006-0112902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팩 본체부의 일측면에 접철식 받침판부를 제공하되, 접철식 받침판부의 길이 조절, 회동, 및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주며, 도서의 받침대로 사용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받침판부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받침판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장치와 길이 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모바일기기의 사용자들이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때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며,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준다.
2. 본 고안의 백팩은 사용자의 신체 전방 방향으로 백팩을 착용한 후 서 있는 상태에서도 받침판부를 적절히 개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3. 본 고안의 백팩에 장착되는 받침판부는 모바일기기 이외에 일반 도서를 얹어 사용할 수는 독서대로서의 부가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함께 신체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구성을 예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연결부재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적용하여 구성한 백팩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앉아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앉아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입식 자세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은 본체부(body)(100), 받침판부(board)(200), 고정장치(fixing member)(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flexible connecting member)(26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suspender)(170) 또는 손으로 들기 위한 손잡이(180)를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포켓(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전방면(110), 후방면(120), 양측방면(130), 상면(140), 및 저면(150)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1은 본 고안이 일반적인 형태의 백팩(10)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받침판부(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받침판부(200)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과 나란히 대면한 상태로 인접하여 보관된다. 받침판부(200)의 하측부는 박음질(縫製結合), 다수의 리벳(rivet), 고리형홀더, 가열접합, 및 기계식힌지 등의 공지의 결합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힌지부재(220)에 의해 전방면(1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pivotaly) 본체부(1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받침판부(200)는 하측부를 중심으로 전방면(1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판부(200)는 플레이트부재(202), 및 플레이트부재(202)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탄성패드부재(20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은 플레이트부재(202)의 대략 중앙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폭에 걸쳐 플레이트부재(202)와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은 접착제에 의해 플레이트부재(202)에 단단히 부착되거나, 플레이트부재(202)에 별도로 부착된 고리형홀더(미도시)에 끼워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전방면(110)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240)에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가 최소인 상태에서는 플레이트부재(202)가 전방면(110)과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플레이트부재(202)가 전방면(110)과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에 따라 플레이트부재(202)와 전방면(110) 간의 개방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부재(202)와 연결되는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가로방향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과 플레이트부재(202) 간의 체결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각각의 체형 및 사용 양태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받침판부(200)의 개방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받침판부(200)를 원하는 개방 각도에 따라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조정한 후 고정장치(240)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구성을 예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예를 들어 박음질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행거부재(242); 및 행거부재(242)의 하부의 소정 위치에서 전방면(110) 상에 부착되는 공지의 벨크로(Velcro)와 같은 탈착부재(244)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행거부재(242)에 걸린 상태로 탈착부재(244)에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재(202)는 그 상단에 잠금부재(21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부재(210)는 받침판부(20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서 이격되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부재(210)는 자석버튼, 스냅버튼, 버클, 패스너, 및 래치기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형성된 슬롯(slot)(241); 및 상기 전방면(110)의 내측면에 결합된 탈착부재(244)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상기 슬롯(241)을 관통하여 탈착부재(244)에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예를 들어 박음질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클립부재(clip)(242a)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클립부재(242a)에 길이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의 고정장치(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예를 들어 박음질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체결버클(buckle)(242b)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은 체결버클(242b)에 길이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가요성 연결부재(260)는 받침판부(200)가 접혀지면 함께 납작하게 접혀지고, 받침판부(200)가 개방되면 함께 펼쳐지도록 끈, 스트랩, 가죽, 밴드, 벨트, 수지코드, 다심금속와이어(multi-cord metal wire) 등을 포함하는 가요성 경량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바일기기의 하측면이 이어폰 플러그 또는 충전용 플러그 등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폰 플러그 또는 충전용 플러그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될 때 가요성 연결부재(260)와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연결부재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200)(도 1 내지 도 3 참조)의 플레이트부재(202)와 연결되는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빈 공간(S)을 형성하거나, 가요성 연결부재(260) 자체를 비교적 폭이 좁은 복수의 소재를 나란히 배열하여 복수의 소재 사이에 빈 공간(S)을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연결부재(260)에 형성된 빈 공간(S) 내로 이어폰플러그 또는 충전용플러그가 수용되도록 하여 가요성 연결부재(260)와 이어폰플러그 또는 충전용플러그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재(202)는 받침판부(200)에 걸리는 모든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한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판부(200)가 소정 각도만큼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려면 가요성 연결부재260)가 팽팽하게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일단이 플레이트부재(202)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플레이트부재(202)는 예를 들면, 얇은 판상의 구조로서 견고한 플라스틱수지, 나무, 또는 비교적 가벼운 금속판과 같은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판부(200)는 플레이트부재(202), 및 플레이트부재(202)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탄성패드부재(204)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패드부재(204)는, 예를 들면, 부직포, 고무, 솜, 스펀지, 라텍스수지, 발포성수지, 젤쿠션백 및 에어쿠션백 등과 같은 공지된 탄성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기기의 사용자의 손 또는 팔이 받침판부(200)에 올려놓아진 상태에서 탄성패드부재(204)가 사용자의 피부 및 골근육에 푹신하고 부드럽게 받쳐주는 쿠션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받침판부(200) 상에서 장시간 모바일기기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패드부재(204)는 모바일기기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과 모바일기기의 외장 케이스의 긁힘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어서, 모바일기기 자체를 보호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가요성 연결부재(260)는 탄성패드부재(204)를 통과하여 고정장치(240)에 연결되도록 탄성패드부재(204)에 관통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받침판부(200) 상에 얹혀질 때 사용자의 손이나 팔의 일부분만이 바닥과 접촉하므로,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받침판부(200)와 자주 닿는 부분 또는 실제로 접촉하는 부분을 고려하여 탄성패드부재(204)를 플레이트부재(202) 상의 일부분에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받침판부(200)의 하측면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부재(220)가 제공된다, 이러한 힌지부재(220)는 플레이트부재(202)의 하단과 본체부(110)의 일측면을 직물이나 가죽으로 접착하거나 봉접하는 플렉시블 힌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부(200)는 그 하측면에 하부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부(leg)(20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레그부(206)의 타단부는 힌지부재(220)와 결합하여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받침판부(200)는 한 쌍의 레그부(206)에 의해 가요성 연결부재(260)가 플레이트부재(202) 상에서 결합되는 위치가 플레이트부재(202)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받침판부(200)의 사용 영역이 더 넓어지는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받침판부(200)의 하단부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또는 공간에 의해 모바일기기가 그 간격 또는 공간을 통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부드러운 직물, 가죽, 연성플라스틱 등과 같은 가요성소재로 구현되는 낙하 방지부재(미도시)가 받침판부(200)의 하단부와 전방면(110)의 사이에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낙하 방지부재(미도시)는 모바일기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은 백팩(10)의 겉부분이 직물, 합성수지, 가죽과 같은 부드러운 외피소재와 같은 소프트쉘(softshell)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소프트쉘 백팩(softshell backpack)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백팩(10)의 겉부분이 PVC, PE, 및 PP와 같은 플라스틱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수지, 또는 FRP수지와 같은 고강성 엔지니어링 수지, 또는 금속소재 등의 단단하고 강성(stiffness)이 높은 외피소재와 같은 하드쉘(hardshell)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하드쉘 백팩(hardshell backpack)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백팩(10)의 본체부(100)가 소프트쉘 백팩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백팩(10)의 본체부(100)에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강성의 지지프레임(support frame)(190)을 추가로 제공하고,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본체부(100) 대신 지지프레임(190)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적용하여 구성한 백팩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에에서는 지지프레임(190)을 강조하기 위해 본체부(100)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에서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의 내측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판상(板狀)의 지지프레임(190)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90)에 의해,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받침판부(200), 고정장치(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260)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백팩(10)이 판상 지지프레임(19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내측에서 지지프레임(190)에 미치는 지지력이 가능한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일부가 늘어지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전방면(110)이 전체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90)이 도 3에 도시된 백팩(10)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 및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도 8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90)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190)이 실질적으로 전방면(100)의 내측 전체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지지프레임(190)이 받침판부(200), 고정장치(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260)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전방면(100)의 내측 일부 영역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10)에서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술한 하드쉘로 구현되어, 받침판부(200), 고정장치(240), 및 가요성 연결부재(26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다양한 형태의 지지프레임(190)이 백팩(10)의 본체부(100)(점선으로 표시됨)의 구성요소들이 백팩(1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백팩(10)의 내부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백팩(10)이 상술한 하드쉘 백팩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전방면(110)에 직접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드쉘 백팩의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자체가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90)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상술한 받침판부(200) 및 고정장치(240)가 하드쉘 백팩의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상에 제공되는 경우, 백팩(10)의 본체부(1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1은 본 고안의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백팩(10)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형성되는 전방개구부(192); 및 상기 전방개구부(192)의 내측에 모바일기기를 보관하는 수납포켓(19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개구부(192)는 본 고안의 받침판부(200)에 의해 덮여지므로(도 11에는 미도시됨), 사용자는 수납포켓(194) 내에 보관된 모바일기기를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꺼내어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수납포켓(194) 내에 보관된 고가의 모바일기기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수납포켓(194)에 모바일기기를 넣거나 꺼내는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고정장치(240)는 고정장치(240)에 체결 고정된 가요성 연결부재(260)의 타단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한 후 다시 체결할 수 있도록 도 5에 예시되는 체결버클(242b)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90)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백팩(10)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앉아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을 도 1 내지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본 고안의 백팩(10)을 사용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백팩(10)의 상단부를 걸쳐놓고, 사용자의 허벅지 상에 백팩(10)의 하단부를 걸쳐놓은 후, 받침판부(200)를 원하는 개방각도 만큼 열어놓는다. 그 후, 사용자는 개방된 받침판부(200) 위에 모바일기기를 올려놓고 손 또는 팔을 이용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사용자는 본 고안의 받침판부(200)를 구비한 백팩(10)을 사용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입식 자세로 본 고안의 백팩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를 도 1 내지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백팩(10)을 자신의 신체의 전방 방향으로 착용하고 서있는 상태에서도 받침판부(200)를 적절히 개방하고 모바일기기를 그 위에 얹어 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백팩(10)에 제공되는 받침판부(200) 상에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본 고안의 백팩(10)은 받침판부(200) 상에 책과 같은 도서를 얹어 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독서대로 겸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백팩(10)은 받침판부(200)가 독서대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역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함께 신체건강에 도움이 되는 장점이 달성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0: 백팩 100: 본체부 110: 전방면 120: 후방면 130: 측방면 140: 상면
150: 저면 170: 멜빵 180: 손잡이 190: 지지프레임 192: 전방개구부
194: 수납포켓 200: 받침판부 202: 플레이트부재 204: 탄성패드부재
210: 잠금부재 220: 힌지부재 240: 고정장치 241: 슬롯
242a: 클립부재 242b: 체결버클 260: 가요성 연결부재

Claims (7)

  1.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받침판부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받침판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장치와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개방각도가 조절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탄성패드부재로 구성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부재가 부직포, 스펀지, 솜, 적층섬유, 발포성고무, 발포성수지, 젤충전팩, 및 에어충전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그 상단에 잠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고리형홀더부재, 클립부재, 벨크로, 체결버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이 소프트쉘 백팩으로 구현되고, 상기 전방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받침판부, 상기 고정장치, 및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드쉘로 구현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KR2020130003492U 2013-05-03 2013-05-03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KR200473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92U KR200473826Y1 (ko) 2013-05-03 2013-05-03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92U KR200473826Y1 (ko) 2013-05-03 2013-05-03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26Y1 true KR200473826Y1 (ko) 2014-08-08

Family

ID=5198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492U KR200473826Y1 (ko) 2013-05-03 2013-05-03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596B1 (ko) * 2016-07-29 2017-02-20 박원규 기능성 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68Y1 (ko) 2006-06-28 2006-09-20 남기원 유아용 좌석이 부착된 여행용 가방
JP3974854B2 (ja) 2001-02-22 2007-09-12 義昭 田村 折畳式カート付き旅行鞄
KR200448181Y1 (ko) 2007-09-10 2010-03-24 권혁남 구조용 배낭
JP3173176U (ja) * 2011-11-10 2012-01-26 泰子 西 キャリーバッ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4854B2 (ja) 2001-02-22 2007-09-12 義昭 田村 折畳式カート付き旅行鞄
KR200426868Y1 (ko) 2006-06-28 2006-09-20 남기원 유아용 좌석이 부착된 여행용 가방
KR200448181Y1 (ko) 2007-09-10 2010-03-24 권혁남 구조용 배낭
JP3173176U (ja) * 2011-11-10 2012-01-26 泰子 西 キャリーバッ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596B1 (ko) * 2016-07-29 2017-02-20 박원규 기능성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6611B (zh) 用以協助使用者固持行動裝置之設備
US20090307846A1 (en) Contour shaped support pillow
KR101457359B1 (ko)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US20120286002A1 (en) Baby carrier
KR200473627Y1 (ko)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WO2018086565A1 (zh) 一种矫姿视力保护器
US9873361B2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KR101536173B1 (ko) 모바일 기기 사용자용 백팩
US2024016762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JP2020018822A (ja) 背負いかばん
US8256049B1 (en) Compact sleep enhancement kit
JP6040432B1 (ja) 背負い具の補助具
US20130104274A1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KR200473826Y1 (ko)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KR200467949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TW202237007A (zh) 軀幹裝置
JP3231842U (ja) 目立たないひじ支持具
KR200468599Y1 (ko) S자형 곡면 등판부가 구비된 배낭
JP2012165980A (ja) コンパクトテーブル
JP4620798B1 (ja) 折り畳みテーブル
JP3146966U (ja) 子守帯
KR101664021B1 (ko) 가방 겸용 의자 커버
CN210076885U (zh) 背包的肩带调节装置及护脊背包
KR20180051269A (ko) 졸음용 턱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