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76Y1 -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 Google Patents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76Y1
KR200473276Y1 KR2020120008714U KR20120008714U KR200473276Y1 KR 200473276 Y1 KR200473276 Y1 KR 200473276Y1 KR 2020120008714 U KR2020120008714 U KR 2020120008714U KR 20120008714 U KR20120008714 U KR 20120008714U KR 200473276 Y1 KR200473276 Y1 KR 200473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undation concrete
wooden
buried
ancho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977U (ko
Inventor
조영휘
Original Assignee
조영휘
주식회사 천지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휘, 주식회사 천지콘텍 filed Critical 조영휘
Priority to KR2020120008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7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9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4Removable barriers with permanently installed base members, e.g. to provide occasional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6Prefabricated piles made of timber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Mea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poiling of the wood; Self-cleaning of piles placed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상면에는 목재기둥의 하단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매설홈 및 목재기둥을 붙잡아주기 위한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상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설홈 바닥에는 물기를 땅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상단부는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매설홈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과 같은 폭으로 이격된 채 기초콘크리트의 상면보다 높게 상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보다 넓은 폭으로 절곡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Basic concrete for wood pillar}
본 고안은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조주택이나 산책로 등의 데크시설을 지탱하는 목재기둥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기초콘크리트에 박혀있는 목재기둥의 하단쪽으로 스며든 물기가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목재기둥의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도로의 산책로, 국립공원의 산책로 및 등반로의 계단 등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높게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산책로 및 등반로의 계단 등을 구성하는 데크시설을 지지하거나 또는 목조주택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으로는 목재기둥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목재기둥을 안정적으로 튼튼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단면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된 기초콘크리트가 사용되고 있다.
도 5의 도시는 기초콘크리트에 목재기둥을 조립 설치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종래 기술은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에 목재기둥(200)을 수직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기초콘크리트(100)를 콘크리트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300a)(300b) 각각의 하단부분이 기초콘크리트(100)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상단부분은 목재기둥(200)을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상기 목재기둥(200)의 두께와 일치하는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300a)(300b) 각각의 상단부분 사이에 목재기둥(200)의 하단부를 끼워넣고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300a)(300b) 각각의 상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공을 통해 스크류볼트(400)를 박아주는 구조로 상기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에 목재기둥(200)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지면으로 노출되는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에 지지된 채 상기 기초콘크리트(100) 상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300a)(300b)의 상단부분에 복수의 스크류볼트(40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목재기둥(200)은 수직적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하여서는 충분히 견딜 수 있겠지만, 상기 목재기둥(200)의 측방으로 작용하게 되는 압력에는 약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6의 도시와 같이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300a)(300b)의 하단부분은 기초콘크리트(100)에 매립되고 상단부분만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기초콘크리트(100)에 목재기둥(2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매설홈(500)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목재기둥(200)은 그 하단부가 기초콘크리트(100)의 매설홈(5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으로 돌출된 앵커플레이트(300a)(300b)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 목재기둥(200)의 하단부에 나사식으로 박히는 복수의 스크류볼트(400)에 의해 기초콘크리트(10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목재기둥(200)의 하단부가 기초콘크리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매설홈(500)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목재기둥(200)에 수직적이나 수평적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하여 잘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100)의 매설홈(500)에 삽입 설치되는 목재기둥(200)의 하단부가 물기에 의해 쉽게 썩게 되므로 상기 목재기둥(200)의 설치수면이 현저히 짧아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상기 기초콘크리트(100) 상면의 매설홈(500)에 삽입 설치된 목재기둥(20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기가 매설홈(500)으로 스며들게 되므로 상기 매설홈(500)에 삽입 설치된 목재기둥(200)의 하단부가 매설홈(500)에 스며든 물기에 침수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매설홈(500)에 삽입되어 있는 목재기둥(200)의 하단부가 물기에 의해 분해가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측 앵커플레이트는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단부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보다 넓은 폭으로 절곡되어 기초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며,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 바닥에는 물기를 배출시키는 물기배출통로를 형성하여 목재기둥의 외면을 따라 매설홈으로 스며든 물기를 곧바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목재기둥이 물기로 인해 썩지 않도록 하므로써 목재기둥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 목재기둥의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상면에는 목재기둥의 하단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매설홈 및 목재기둥을 붙잡아주기 위한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상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상단부는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매설홈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과 같은 폭으로 이격된 채 기초콘크리트의 상면보다 높게 상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보다 넓은 폭으로 절곡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목재기둥의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 바닥에는 물기를 땅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하단부는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부는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 바닥에 노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매설홈으로 스며든 물기를 물기배출통로 쪽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 흐르는 물기를 물기배출통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양측 앵커플레이트 각각의 상단부는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양측 하단부가 기초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를 기초콘크리트에 튼튼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매설홈에는 목재기둥을 일정깊이로 삽입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성기 목재기둥을 기초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 바닥에 형성된 물기배출통로를 통해서는 상기 매설홈으로 스며든 물기를 땅속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목재기둥의 외면을 따라 매설홈으로 스며드는 물기가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 속에 고여있지 않고 물기배출통로를 통해 땅속으로 배수처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매설홈은 물기가 없는 상태에서 목재기둥을 지지하게 되므로 기초콘크리트는 목재기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목재기둥의 설치수명이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콘크리트와 목재기둥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기초콘크리트와 목재기둥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기초콘크리트와 목재기둥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종래 기술
본 고안에 의한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기초콘크리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기초콘크리트(1)는 상부의 단면적은 작게 형성되고 하부의 단면적은 크게 형성되도록 상협하광한 단면으로 형성되거나 상,하부 단면적이 같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채 일정 깊이의 매설홈(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초콘크리트(1)의 저부에는 흙이 충진되는 흙충진홈(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는 철재로 구성된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가 매설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는 매설홈(2)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과 같은 폭으로 이격된 채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1)의 상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하는 양측 상단부(41)(42)와, 상기 양측 상단부보다 더 넓은 폭으로 절곡되어 기초콘크리트(1) 속으로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양측 하단부(43)(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각각의 양측 상단부(41)(42)는 매설홈(2)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의 폭과 같은 폭으로 이격된 상태로 기초콘크리트(1)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매설홈(2)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에는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가 서로 노출된 상태로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각각의 하단부(43)(44)는 매설홈(2) 내부의 양측 내면의 간격보다 더 넓은 폭으로 절곡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1)의 내부에 매립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는 기초콘크리트(1)의 내부에 매립된 양측 하단부(43)(44)에 의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양측 하단부(43)(44)가 연결부(45)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플레이트(4)의 양측 상단부(41)(42) 각각에는 기초콘크리트(1)의 매설홈(2)에 삽입 설치되는 목재기둥(5)을 복수의 스크류볼트(6)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볼트체결공(46)(4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의 매설홈(2) 바닥에는 흙충진홈(3)으로 충진되는 흙속으로 물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기배출통로(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기배출통로(7)는 목재기둥(5)의 외면을 따라 매설홈(2) 속으로 스며드는 물기를 땅속으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매설홈(2) 속에는 항시 물기가 제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각각의 하단부(43)(44)가 연결부(45)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측 하단부(43)(44)를 연결하는 연결부(45)는 매설홈(2)의 바닥에 노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매설홈(2)의 바닥에 노출되는 연결부(43)에는 매설홈(2) 바닥에 고여있는 물기를 물기배출통로(7)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절곡부(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48)에는 몰기배출통로(7)와 연통하는 물기배출공(4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 설치되는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는 매설홈(2)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에 밀착하도록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양측 상단부(41)(42)는 기초콘크리트(1)의 상면에서 일정높이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양측 하단부(43)(44)는 기초콘크리트(1) 속으로 매립된 상태이므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는 기초콘크리트(1)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목재기둥(5)은 하단이 기초콘크리트(1)에 형성된 매설홈(2)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의 상단부(41)(42)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체결공(46)(47)을 통해 목재기둥(5)에 나사조립식으로 박히게 되는 복수의 스크류볼트(6)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 조립되는 목재기둥(5)은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목재기둥(5)은 하단부가 매설홈(2)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플레이트(4a)(4b)의 양측 상단부(41)(42)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체결공(46)(47)을 통해 나사조립되는 복수의 스크류볼트(6)에 의하여 붙잡힌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목재기둥(5)은 앵커플레이트(4a)(4b)의 양측 상단부(41)(42)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체결공(46)(47)을 통해 나사식으로 박히는 복수의 스크류볼트(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 상기 목재기둥(5)의 하단부는 매설홈(2)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목재기둥(5)의 사방에서 수평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목재기둥(5)은 측방으로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고 기초콘크리트(1)의 매설홈(2)에 삽입 설치된 수직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목재기둥(5)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매설홈(2)의 내면으로 스며들어 상기 매설홈(2)의 바닥에 고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매설홈(2)의 바닥에 고이는 물기는 물기배출통로(7)를 통해 땅속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천시 상기 기초콘크리트(1)의 매설홈(2)에 삽입 설치된 목재기둥(5)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매설홈(2) 속으로 스며들게 되더라도 상기 매설홈(2)의 바닥에 고이게 되는 물기는 물기배출통로(7)를 통해 땅속으로 전량 배출되므로 상기 매설홈(2)에는 항시 물기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목재기둥(5)이 삽입 설치된 기초콘크리트(1)의 매설홈(2) 속에 물기가 제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매설홈(2) 속에 삽입된 목재기둥(5)의 하단부가 물기에 썩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목재기둥(5)의 설치수명이 현저하게 연장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목재기둥(5)은 기초콘크리트(1)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기초콘크리트 2 : 매설홈
3 : 흙충진홈 4a,4b : 앵커플레이트
41,42 : 상단부 43,44 : 하단부
45 : 연결부 46,47 : 볼트체결공
48 : 절곡부 49 : 물기배출공
5 : 목재기둥 6 : 스크류볼트
7 : 물기배출통로

Claims (3)

  1.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상면에는 목재기둥(5)의 하단부(43)(44)를 삽입시키기 위한 매설홈(2) 및 목재기둥을 붙잡아주기 위한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각각의 상단부(41)(42)가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설홈(2) 바닥에는 물기를 땅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기배출통로(7)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각각의 상단부(41)(42)는 기초콘크리트(1)에 형성된 매설홈(2)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과 같은 폭으로 이격된 채 기초콘크리트의 상면보다 높게 상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각각의 하단부(43)(44)는 상기 기초콘크리트(1)의 매설홈(2)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면보다 넓은 폭으로 절곡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1)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콘크리트(1)에 매립되는 양측 앵커플레이트(4a)(4b) 각각의 하단부(43)(44)는 연결부(45)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45)는 기초콘크리트의 매설홈(2)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물기배출통로(7)와 연통하는 물기배출공(4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3. 삭제
KR2020120008714U 2012-09-27 2012-09-27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KR200473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14U KR200473276Y1 (ko) 2012-09-27 2012-09-27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14U KR200473276Y1 (ko) 2012-09-27 2012-09-27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977U KR20140001977U (ko) 2014-04-04
KR200473276Y1 true KR200473276Y1 (ko) 2014-06-23

Family

ID=5149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14U KR200473276Y1 (ko) 2012-09-27 2012-09-27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95B1 (ko) 2019-03-11 2019-10-14 주식회사휴플러스 목재기둥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D869936S1 (en) 2019-07-03 2019-12-17 Edd Smith Post mounting bra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771B1 (ko) * 2018-03-05 2020-02-11 라형숙 기초 구조물
KR20210000630U (ko) 2019-09-06 2021-03-16 (주)두양전력 가로등 지주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138U (ja) * 1992-06-06 1993-12-27 株式会社ジョイフル本田 基礎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7292688A (ja) * 1994-04-21 1995-11-07 Sekisui House Ltd 基礎ユニット構造
JP2002317455A (ja) 2001-04-23 2002-10-31 Sekisui Jushi Co Ltd 木材の屋外構築物への使用方法
KR200295161Y1 (ko) 2002-08-28 2002-11-18 안옥규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138U (ja) * 1992-06-06 1993-12-27 株式会社ジョイフル本田 基礎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7292688A (ja) * 1994-04-21 1995-11-07 Sekisui House Ltd 基礎ユニット構造
JP2002317455A (ja) 2001-04-23 2002-10-31 Sekisui Jushi Co Ltd 木材の屋外構築物への使用方法
KR200295161Y1 (ko) 2002-08-28 2002-11-18 안옥규 목재 기둥의 지면 고정을 위한 보강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95B1 (ko) 2019-03-11 2019-10-14 주식회사휴플러스 목재기둥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D869936S1 (en) 2019-07-03 2019-12-17 Edd Smith Post mounting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977U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4787B2 (en) Concrete post anchor
KR200473276Y1 (ko)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100994805B1 (ko) 복합저류장치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92720B1 (ko)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1083119B1 (ko)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10237398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A2804702C (en) A fence post assembly
US9512610B2 (en) Column shoe
KR100869764B1 (ko)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
CN210563064U (zh) 一种预制楼梯
KR20060100814A (ko) 수로, 운하의 합성구조 옹벽 및 그 신설 공법
KR20040858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KR1018945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FI125970B (fi) Betonipilarirakenne ja betonipilariharkkomoduuli
KR101436563B1 (ko)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20090003572A (ko) 집수정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바닥부 구조
KR102592016B1 (ko)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KR200421941Y1 (ko) 배수판
JP5084643B2 (ja) 境界ブロックつき側溝用ブロック及び境界ブロックつき側溝用ブロック取り替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