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06Y1 -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 Google Patents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06Y1
KR200473106Y1 KR2020120011124U KR20120011124U KR200473106Y1 KR 200473106 Y1 KR200473106 Y1 KR 200473106Y1 KR 2020120011124 U KR2020120011124 U KR 2020120011124U KR 20120011124 U KR20120011124 U KR 20120011124U KR 200473106 Y1 KR200473106 Y1 KR 200473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pattern
bundle
trapezoidal
circula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1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3529U (en
Inventor
이병렬
장신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20011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06Y1/en
Publication of KR20140003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2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로부터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단부에 칫솔모다발을 원호 패턴으로 2개 내지 3개만 배열하여 잘 안 닦여 구취의 원인이 되는 어금니 뒤쪽의 프라그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중앙에는 사다리꼴모다발을 더블 원형 패턴으로 배열하여 가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세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또는 원을 그리며 양치질을 하거나 어떠한 방향으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치아와 치아 사이인 치간부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양치 효과를 높인 새로운 형태의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 다양한 형태의 칫솔모다발이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중앙에는 3개 내지 4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중앙 원형모다발(22)과 상기 칫솔헤드(1)의 길이방향을 x축으로 했을 때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전방(f)으로 4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과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후방(b)으로 1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과 상기 2개의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 사이의 좌측(l)과 우측(r)의 공간에 2개 내지 3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측부 원형모다발(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n arcuate pattern and a rounded pattern for effectively removing plaque from a tooth.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two or three arrays of bristles arranged at a front end thereof, The plaque on the back of the molar that causes the bad breath can be cleanly removed. In the center, a trapezoidal pattern is arranged in a double circular pattern to brush the teeth horizontally, brush the teeth vertically or brush the teeth in any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 new type of arcuate pattern bundle and a circular pattern full-legged toothbrush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cleaned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even when brush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in which various types of bristle tufts are worn on a wicking head of a toothbrush head 1, in which 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tuft of a bristle tufted on a trapezoidal bristle- (12) and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 central circular pattern (22)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woven in three to four circular bristle holes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head (1) The front circular pattern 24 and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24 are formed in the front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long the four circular arcs with the bundle of bristles being laid in the round circular bristle holes. (1) between the two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s (12) and the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6)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worn on the circular knife hole along one arc at the rear (b) lt; RTI ID = 0.0 > (r) < And a side circular mold bundle (28) o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a mold half hole.

Description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0001]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 circular pattern and a round pattern,

본 고안은 치아로부터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단부에 칫솔모다발을 원호 패턴으로 2개 내지 3개만 배열하여 잘 안 닦여 구취의 원인이 되는 어금니 뒤쪽의 프라그까지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중앙에는 사다리꼴모다발을 더블 원형 패턴으로 배열하여 가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세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또는 원을 그리며 양치질을 하거나 어떠한 방향으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치아와 치아 사이인 치간부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양치 효과를 높인 새로운 형태의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n arcuate pattern and a rounded pattern for effectively removing plaque from a tooth.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two or three arrays of bristles arranged at a front end thereof, The plaque on the back of the molar that causes the bad breath can be cleanly removed, and the trapezoidal pattern in the middle can be arranged in a double circular pattern to brush the teeth horizontally, brush the teeth vertically or brush the teeth in any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a new type of arcuate pattern bundle and a circular pattern full-legged toothbrush structure which is capable of easily cleaning the interdental portion between the teeth and teeth even when brushing teeth.

일반적인 종래의 칫솔들은 칫솔헤드에 식모된 칫솔모다발이 전체적으로 전후좌우로 열을 지어 배열되어 있고 또한 일반적인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모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치아 각 부분에 대해 동일한 클렌징 효과만을 나타내게 되어 상이한 형태 및 크기를 갖고 복잡하게 배열된 치아의 치간부에 대해서는 칫솔모가 용이하게 파고들지 못하여 치간부 세정에 곤란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어금니나 사랑니 주위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효과적인 칫솔질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conventional toothbrushes, a bundle of bristles bristled on a toothbrush head is arranged in a row o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and a circular pattern is formed with a bundle of bristles on a common round bristle carrier hole so that the same cleansing effect The bristles can not be easily pierced with respect to the teeth of the teeth having different shapes and sizes and are arranged in a complicated manner. As a result, not only is it difficult to clean the teeth of the teeth but also the access to the molars and wisdom teeth is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데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는 치면이나 치아 윗면의 홈, 치간부, 어금니 등의 모든 부위에까지 칫솔모다발이 용이하게 도달하여 효과적으로 칫솔질이 이루어져야 하며, 칫솔질의 형태가 가로로 칫솔질을 하는 횡마법을 사용하던 세로로 칫솔질을 하는 종마법을 사용하던 원을 그리며 칫솔질을 하는 폰즈법을 사용하던 치아 끝을 쓸어내리듯 칫솔질을 하는 회전법을 사용하던 간에 치아의 치간부를 포함한 구석구석까지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도록 칫솔모다발이 작용되어져야 가장 효과적으로 치아의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tooth, effective pur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remove an effective purging, bristles must be easily reached to all areas of the tooth surface, the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eth, The shape of toothbrush used horizontal brushing, which used horizontal magic. Vertical brushing used spine magic. Circles used brush. Ponz method was used. It is most effective to remove the plaque of the tooth when a bundle of bristles is applied so that it can be easily cleaned to every corner including the interdental portion of the tooth.

더욱이 구강구조 상 울퉁불퉁하게 치아가 배열되었거나 복잡한 치아구조를 가진 사람의 치간부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춘 특별한 칫솔모다발이 요구되며 또한 칫솔질 방법에 상관없이 치간부를 용이하게 칫솔질할 수 있는 칫솔모다발의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칫솔의 대부분은 칫솔모다발이 원형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치간부의 프라그 제거에 효과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칫솔모다발의 배열도 전후좌우로 열을 지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한 치아 구조를 가진 사람의 치아 구석구석까지는 칫솔모가 도달하지 못하여 효과적인 칫솔질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Furthermore, in order to clean the interdental area of a person who has a ruggedly arranged tooth structure or a complex tooth structure on the oral cavity structure, a special bundle of bristles corresponding to the toothbrush bundle is required and the shape of the bristle bundle which can easily brush the interdental area is required regardless of the brushing method . However, most toothbrushes of the prior art are not effective in removing the plaque of the teeth because the bristle bundles are formed only in a circular shape, and the arrangement of the bristle bundles is uniformly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and left and right sides. The brush bristles could not reach all corners and the brushing could not be effective.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545호에 의해 여러 형태의 칫솔모다발을 식모하여 치아 배열이 고르지못한 사람에게 적합한 칫솔을 제공한 바 있으며, 그 후 여러 사람들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20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8174호에 의해 원형 패턴으로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칫솔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원형 패턴으로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제안들은 단지 원형 패턴으로 칫솔모다발을 뭉쳐서 식모했을 뿐 각 칫솔모다발의 모서리부가 용이하게 치간부를 파고들면서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도록 칫솔모다발을 단위별로 작게 형성하거나 주위의 공간을 적절히 배치하지 못하는 등 오히려 치간부 세정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이 많았다.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toothbrush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6545, in which a plurality of types of toothbrush bristles are put on the toothbrush, 0592089 and Korean Patent No. 10-0838174, a toothbrush having a bundle of bristles in a circular pattern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proposals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are put in a circular pattern in the related art is that only the bristle bundles are bundled together in a circular pattern and the bristle bundles are formed small by unit so that the corners of each bundle of bristles can easily dig into the interdental por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obstacles to the cleaning of the teeth.

또한, 칫솔 사용자들은 각자 다양한 칫솔질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특정 칫솔질 방법에만 적합한 칫솔의 식모구조로는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없는 것이어서 이와 같이 어떠한 방법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치간부의 세정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칫솔모의 형상과 배열에 대한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oothbrush users use various brushing methods,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user convenience with a flossing structure of a toothbrush suitable only for a specific brushing method. Thus, even if brushing is performed by any method, A design for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suitable bristles is desir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잘 안 닦여 구취의 원인이 되는 어금니 뒤쪽의 프라그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가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세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또는 원을 그리며 양치질을 하거나 어떠한 방향으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치간부의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양치 효과를 높인 새로운 형태의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cleanly remove the plaque behind the molar which causes bad breath, and to brush the teeth horizontally, vertically, or in a circ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having a new pattern of arcuate pattern and a pattern of rounded pattern of the foot, which can increase the brushing effect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plaque of the tee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 다양한 형태의 칫솔모다발이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having various types of bristles bundled on the wicking surface of the toothbrush head 1,

상기 식모면에는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o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a trapezoidal knife-in hole along an array of two circular patterns;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중앙에는 3개 내지 4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중앙 원형모다발(22)과;A central circular pattern 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with a bundle of bristles in three to four circular bristle holes.

상기 칫솔헤드(1)의 길이방향을 x축으로 했을 때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전방(f)으로 4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과;Wherein a forward circular pattern mold pattern formed by placing a plurality of bristles on a circular knife hole along four arcs at the front (f)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head (1) (24);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후방(b)으로 1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과;A rear arcuate pattern circular block 26 having a plurality of bristle tufts formed in a circular opening at a rear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along one circular arc;

상기 2개의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 사이의 좌측(l)과 우측(r)의 공간에 2개 내지 3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측부 원형모다발(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ide circular block (28) formed by putting a bundle of bristles on two or three circular bristle cut holes in a space of left (1) and right (r) between the two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matrices (12) .

상기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형성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12개의 칫솔모다발로 1개의 원형 패턴을 이루며 2개의 원형 패턴은 총 24개의 칫솔모다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3개씩 근접하여 형성하고 각 3개단위의 칫솔모다발 간에는 상기 사다리꼴모다발(12) 1개 크기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is composed of twelve pieces of bristles forming one circular pattern, and the two circular patterns are composed of a total of 24 pieces of bristles, and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The bundles 12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ree bristles 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gap of one size of the trapezoidal bundle 12 is maintained between bristle bundles of three bristles.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가장 전방(f)의 제4원호(34)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은 2개 내지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arc pattern circular block 24 located at the fourth arc 34 of the frontmost arc f of the front arc pattern circular block 24 is two to three.

상기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은 3개 내지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number of the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s 26 is three to four.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가장 인접한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3개의 칫솔모다발을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three bristle bundles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undle 24 located on the first circular arc 31 closest to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undles 24 are arranged in a forward arc pattern Is formed instead of the trapezoidal matrix (14).

상기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가장 좌, 우측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1개씩을 제외하고 모두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l of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circular blocks 24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circular blocks 24 located at the first circular arc 31 are excluded from the front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lock 14 And is formed instead.

상기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3개의 칫솔모다발과 제2원호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2개의 칫솔모다발을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er three bristle tufts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24 provided at the first circular arc 31 and the two central bristle bundles of the front circular circular pattern 24 located at the second circular arc are trapezoidal Is formed instead of the matrix bundle (14).

상기 제1원호(31)와 제2원호(32)와 제3원호(33)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또는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을 대신하여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하여, 상기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는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4) is formed in place of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circular bundle (24) or the front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4) located in the first circular arc (31), the second circular arc (32) And 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is formed on the wicking surface of the toothbrush head 1,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the trapezoidal wicking holes along the arrangement of three circular patterns.

상기 제1원호(31)와 제2원호(32)와 제3원호(33)와 제4원호(34)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또는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을 대신하여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대신하여 원형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형성하여, 상기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는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ront circular pattern armature pattern 24 or a front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arm 14 located at the first circular arc 31 and the second circular arc 32, the third circular arc 33 and the fourth circular arc 34, Instead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which i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a circular pattern (not shown) A circular pattern 29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brush head 1 so that the tooth pattern of the toothbrush head 1 is provided with circular pattern circular molds 29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ut on the round- .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은 주위의 다른 칫솔모다발보다 길이가 0.5mm 내지 2mm 짧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and the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are formed to have a length shorter by 0.5 mm to 2 mm than the surrounding bundles of bristl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칫솔헤드의 가장 전단부에 원호 패턴으로 원형모다발을 2개 내지 3개만 식모하여 잘 안 닦여 구취의 원인이 되는 어금니 뒤쪽의 프라그까지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사다리꼴모다발을 2개의 원형 패턴으로 배열하여 가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세로로 양치질을 하거나 또는 원을 그리며 양치질을 하거나 어떠한 방향으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치아 배열이 고르지못한 사람의 치간부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wo or three circular patterns are circularly patterned at the forefront of the toothbrush head, and the plaque behind the molar teeth, which causes bad breath, can be cleanly removed. Can be arranged in two circular patterns so that the interdental portion of a person having an irregular tooth arrangement can be easily cleaned regardless of whether the person is brushing the teeth horizontally, brushing the teeth vertically, brushing the teeth with a circle, or brushing teeth in any dir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ea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hea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hea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head in accordance with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head in accordance with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본 고안은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 다양한 형태의 칫솔모다발이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in which various types of bristle tufts are worn on a wicking head of a toothbrush head 1, in which 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tuft of a bristle tufted on a trapezoidal bristle- (12).

칫솔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횡마법을 사용하여 가로로 칫솔질을 하거나 종마법을 사용하여 세로로 칫솔질을 하는데, 한가지 방법으로만 칫솔질을 할 때 일반적인 칫솔들은 모든 치간부를 파고들지는 못하고 칫솔질 방향과 일치하는 치간부만을 파고들어 모든 치간부의 프라그를 제거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즉, 본 고안에서는 칫솔헤드(1)의 식모면 중앙부에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칫솔모다발을 식모하여 어느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모든 방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형 패턴의 식모 구조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칫솔모다발이 있으므로 어떤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던 원형 패턴으로 식모된 칫솔모는 치간부에 대해 직각으로 만나게 되어 치간부를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Toothbrush users generally brush their teeth horizontally by using lateral magic or by brushing longitudinally. When brushing by one method only, general toothbrushes can not penetrate all the interdental parts and the teeth that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brushing It was not enough to remove the plaque of all the dentists by digging only the staff.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stle bundle is put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on the central part of the wicking head of the toothbrush head 1 so that it can cope with all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brushing in any direction. Since the floss pattern of the circular pattern has a bundle of bristles perpendicular to all directions, the bristles implanted in a circular pattern in any direction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eeth at right angles, so that the interdental region can be easily pierced.

더우기 본 고안에서는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하여 칫솔모다발의 각 모서리부가 쐐기 역할을 하면서 치간부를 파고들기에 용이하게 구성한다. 상기 사다리꼴모다발(12)은 원형모다발과는 달리 네 개의 모서리를 가지고 있어서 치간부의 세정에 용이하며, 상기 사다리꼴모다발(12)의 각 모서리는 원형 패턴으로 배열되어 여러 방향을 향하고 있어서 칫솔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상기 사다리꼴모다발(12) 중 어떤 사다리꼴모다발(12)의 모서리라도 치간부를 파고들게 되어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pezoidal bundle 12 i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circular patterns so that each corner of the bundle of bristles serves as a wedge, thereby easily constructing the interdental portion. The trapezoidal bundle 12 has four corners unlike the circular bundle, which facilitates the cleaning of the tines. The corners of the trapezoidal bundle 12 are arranged in a circular pattern and are oriented in various directions, No matter which direction the user is brushing, the edges of any trapezoidal sheath 12 of the trapezoidal sheath 12 are inserted into the interdental portion.

또한, 상기 식모면에는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함으로서, 많은 횟수의 칫솔질을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치간부 세정을 할 수 있다. 종래의 칫솔 중에 1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이 있으나 이는 칫솔헤드(1)의 식모면 중 1/3밖에 차지하지 않아 칫솔질 효과가 좋지 못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사용함으로서 원형 패턴의 칫솔모가 칫솔헤드(1)의 2/3를 차지하게 되어 칫솔질 효과를 극대화한다. 칫솔 사용자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1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보다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이 3배 정도 만족도가 높았다.Also, by forming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long the array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on the wicking surface, the teeth can be easily cleaned without performing brushing many times. I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there is a toothbrush in which toothbrushes are implanted in an arrangement of one circular pattern, but it occupies only 1/3 of the toothbrush head of the toothbrush head 1, and the toothbrushing effect is not good. By using an arrangement of two circular patterns, the bristles of a circular pattern occupy two-thirds of the toothbrush head 1, thereby maximizing the brushing effec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satisfaction of toothbrush users, the arrangement of two circular patterns wa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one circular pattern.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중앙에는 3개 내지 4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중앙 원형모다발(22)을 형성한다.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 내에 위치한 중앙 원형모다발(22)은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이 치간부를 세정할 때 치면부를 세정하는 역할을 한다.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 central circular pattern (22) with a bundle of bristles is formed in three to four circular bristle holes. The central circular pattern 22 located in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serves to clean the tooth surface when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cleans the interdental area.

상기 칫솔헤드(1)의 길이방향을 x축으로 했을 때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전방(f)으로 4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가장 전방(f)의 제4원호(34)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은 2개 내지 3개로 이루어진다.Wherein a forward circular pattern mold pattern formed by placing a plurality of bristles on a circular knife hole along four arcs at the front (f)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head (1) And the front arc pattern circular block 24 located at the fourth arc 34 of the frontmost arc f of the front arc pattern circular block 24 consists of two to three pieces.

상기 4개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은 잘 안 닦여 구취의 원인이 되는 어금니 뒤쪽 및 어금니 치간부의 접근이 용이해 어금니의 프라그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상기 제4원호(34)의 2개 내지 3개만 형성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은 어금니 뒤쪽의 치아와 잇몸 사이에 접근이 용이해 어금니 뒤쪽의 치아와 잇몸 사이의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The circular arcuate front circular pattern 24 formed along the four arcs is easily wiped to easily remove the plaque of the molar teeth due to easy access of the back of the molar and the molar teeth to cause bad breath, The circular arcuate pattern 24 of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formed only by two to three of the arcs 34 is effective in removing the plaque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at the back of the molar because of easy access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behind the molar.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후방(b)으로 1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을 형성하되, 상기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은 3개 내지 4개로 이루어진다.A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6 having a plurality of bristles bundled in a round circular hole along one circular arc at the rear side (b)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lock 12, wherein the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6) are comprised of three to four.

상기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은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이 치간부 세정 역할을 할 때 치면부의 세정 역할을 한다.The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6 serves to clean the tooth surface when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serves as a cleaning tool for the teeth.

상기 2개의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 사이의 좌측(l)과 우측(r)의 공간에 2개 내지 3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측부 원형모다발(28)을 형성한다. 상기 측부 원형모다발(28)은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치면부 프라그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 side circular pattern 28 is formed by placing a bundle of bristles on two or three circular bristle holes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matrices 12 on the left side (1) and the right side (r). The side circular block 28 serves to assist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nd serves to remove the tooth plaque.

상기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형성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12개의 칫솔모다발로 1개의 원형 패턴을 이루며 2개의 원형 패턴은 총 24개의 칫솔모다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3개씩 근접하여 형성하고 각 3개단위의 칫솔모다발 간에는 상기 사다리꼴모다발(12) 1개 크기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한다.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is composed of twelve bristle tufts and one circular pattern, and the two circular patterns are composed of twenty four bristle tufts in total.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matrices 12 are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ree by one, and a gap of one size of the trapezoidal matrices 12 is formed between the bundles of bristles of three units.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상기와 같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주위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이 치간부를 파고 들 때 주위의 칫솔모가 치면에 닿아 저항하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 주위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주위의 칫솔모들이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함께 치간부에 집중되어 오히려 많은 칫솔모가 몰리면서 치간부 세정에 방해가 된다. 치간부 세정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모서리부의 소수의 칫솔모가 치간부를 파고 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may form a space around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so as to prevent the surrounding bristles from touching the tooth surface when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penetrates the interdental portion . If a space is not formed around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the surrounding bristles are concentrated on the tooth portion together with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so that many bristles are pushed out to interfere with the cleaning of the tooth portion . It is most effective that a few bristles at the corners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pierce the interdental portion in order to exert a favorable effect on the cleansing of the teeth.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가장 인접한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3개의 칫솔모다발을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가장 좌, 우측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1개씩을 제외하고 모두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3개의 칫솔모다발과 제2원호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2개의 칫솔모다발을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central three bristle bundles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undle 24 located on the first circular arc 31 closest to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undles 24 are arranged in a forward arc pattern Or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circular block 24 located at the leftmost and rightmost of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blocks 24 located in the first circular arc 31 may be formed in place of the trapezoidal block bundle 14, All of which may be formed in place of the forward arced pattern trapezoidal bundle 14. In addition, two bristle bundles at the center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undle 24 located at the first circular arc 31 and two bundles of bristles at the center of the front circular circular pattern bundle 24 located at the second circular arc are provided on the front arc It may be formed instead of the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4.

상기와 같이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을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체하여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모서리부가 치간부를 용이하게 파고들면서 치간부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확대하여 제1원호(31) 및 제2원호(32)에 까지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를 형성하여 상기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의 모서리부로 치간부 세정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circular pattern 24 is replaced with the front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4 as described above is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That is, the function of effectively removing the plaque of the tooth portion can be extended to the first arc 31 and the second arc 32 while the corner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easily digs the interdental portion, And the arcuate pattern trapezoidal bundle 14 is formed to strengthen the teeth cleaning function by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4.

상기 제1원호(31)와 제2원호(32)와 제3원호(33)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또는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을 대신하여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하여, 상기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는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할 수 있다.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4) is formed in place of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circular bundle (24) or the front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4) located in the first circular arc (31), the second circular arc (32) 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may be formed on the wicking surface of the toothbrush head 1,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the trapezoidal bristle-cutter holes along an array of three circular patterns.

상기 식모면에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함으로서 더욱 치간부 세정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모면에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하면 많은 횟수의 칫솔질을 하지 않더라도 더욱 용이하게 치간부 세정을 할 수 있다. 다만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하게 되면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 원형모다발의 갯수가 지나치게 적어져서 치면부의 프라그를 제거하고 치면부 광택을 내게 하는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식모면에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한 칫솔은 육류를 섭취한 직후와 같이 치간부 세정에 집중해야 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forming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hree circular patterns on the wicking surface, the tooth root cleaning function can be further strengthened. I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matrix 12 i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hree circular patterns on the wicking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teeth can be more easily cleaned without brushing a large number of times. However, i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i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hree circular patterns, the number of the round-shaped feet is excessively reduced at the wicking head of the toothbrush head 1, thereby removing the plaque from the tooth surface, There may be a disadvantage that the function is rapidly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oothbrush formed with the round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long the array of three circular patterns on the wrist surface, when the user needs to concentrate on cleaning the teeth as immediately after ingesting the meat.

또한, 상기 제1원호(31)와 제2원호(32)와 제3원호(33)와 제4원호(34)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또는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을 대신하여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대신하여 원형의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형성하여, 상기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는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arc pattern circular block 24 or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trapezoidal block 14 located at the first arc 31 and the second arc 32, the third arc 33 and the fourth arc 34 , A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is formed in place of the round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which i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and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in a round circular pattern hole A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is formed on the wicking surface of the toothbrush head 1 along the arrangement of three circular patterns so that a bundle of bristles is put on the circular knitting hole .

상기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은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보다 치간부 세정 기능은 떨어지나 종래의 칫솔보다 칫솔모 사이의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어서 칫솔모의 활동이 자유로워 전체적인 치아 세정에 유리하다.Although the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has a lower tooth cleansing function than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since there is a greater space between the bristles tha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the operation of the bristles is free, It is advantageous.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은 주위의 다른 칫솔모다발보다 길이가 0.5mm 내지 2mm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주위의 칫솔모다발보다 짧게 형성하면 칫솔모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해져서 프라그 제거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이 치간부를 파고들어 치간부의 프라그를 제거하는데 큰 효과가 생긴다.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and the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may be formed to be 0.5 mm to 2 mm shorter than other bristle bundles in the circumference. If the round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and the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are formed shorter than the surrounding bristle bundle, the strength of the bristles becomes relatively strong, which helps to remove the plaque. Therefore,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nd the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digly penetrate the interdental space and have a great effect for removing the plaque at the tibial par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에 사용하는 칫솔모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일론(Nylon)이나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bristles used in the toothbrush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nylon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synthetic resin generally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칫솔헤드 12: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
14: 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 22: 중앙 원형모다발
24: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 26: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
28: 측부 원형모다발 29: 원형패턴 원형모다발
31: 제1원호 32: 제2원호
33: 제3원호 34: 제4원호
1: toothbrush head 12: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4: arcuate pattern trapezoidal pattern 22: central circular pattern
24: front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6: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8: side circular pattern 29: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31: first arc 32: second arc
33: Third arc 34: Fourth arc

Claims (12)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 다양한 형태의 칫솔모다발이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과;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중앙에는 3개 내지 4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중앙 원형모다발(22)과;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전방(f)으로 4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과;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보조하기 위해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형성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 사이의 좌측(l)과 우측(r)의 공간에 2개 내지 3개의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측부 원형모다발(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2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형성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12개의 칫솔모다발로 1개의 원형 패턴을 이루고 2개의 원형 패턴은 총 24개의 칫솔모다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3개씩 근접하여 형성하고 각 3개단위의 칫솔모다발 간에는 상기 사다리꼴모다발(12) 1개 크기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3개의 칫솔모다발을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후방(b)으로 1개의 원호를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가장 전방(f)의 제4원호(34)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은 2개 내지 3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6)은 3개 내지 4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은 주위의 다른 칫솔모다발보다 길이가 0.5mm 내지 2mm 짧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은 주위의 다른 칫솔모다발보다 길이가 0.5mm 내지 2mm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1. A toothbrush having various types of bristles bundled on the wicking surface of the toothbrush head (1)
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o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a trapezoidal knife-in hole along an array of two circular patterns;
A central circular pattern 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with a bundle of bristles in three to four circular bristle holes.
A front arcuate pattern circular shroud 24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a circular knife hole along four arcs at the front (f)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L) and right (r) spaces between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models 12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to assist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And a side circular block (28) o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in a round bristle hole,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two circular patterns is composed of twelve pieces of bristles each having one circular pattern and two circular patterns consisting of twenty-four pieces of bristles each having a circular pattern. The bundles 12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ree bristl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tervals between the bristle bundles of three units are maintained to the size of one trapezoidal bundle 12,
A front arcuate pattern trapezoidal bundle 14 is formed by replacing the bundle of three bristles in the center of the front circular arcuate pattern bundle 24 located in the first circular arc 31 of the circular arc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undle 24,
A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6 is further formed on the back (b)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along one circular arc with a bundle of bristles on the round circular hole,
The front circular pattern group 24 located at the fourth arc 34 at the foremost (f) out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groups 24 consists of two to three,
The rear circular pattern circular block 26 is composed of 3 to 4 pieces,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sheath 12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0.5 mm to 2 mm shorter than other bristle bundles in the circumference,
Wherein the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0.5 mm to 2 mm shorter than other surrounding bristle tuf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가장 좌, 우측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1개씩을 제외하고 모두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xcept for one front arc pattern circular block 24 located at the leftmost and rightmost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locks 24 located at the first circular arc 31 among the front circular pattern blocks 24, Wherein the front circular pattern is formed in place of the trapezoidal pattern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중 제1원호(31)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3개의 칫솔모다발과 제2원호에 위치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의 중앙 2개의 칫솔모다발을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로 대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e bristle bundles in the center of the front circular arc pattern 24 positioned at the first circular arc 31 of the circular arc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24 and the front circular circular pattern 24 at the second circular arc Wherein the central two bristle tufts are formed in place of the forward arcuate pattern trapezoidal tufts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의 전방(f)으로 4개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전방원호패턴 원형모다발(24) 또는 전방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14)을 대신하여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형성하여, 상기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is formed in place of the front circular pattern bundle 24 or the front circular pattern trapezoid bundle 14 formed along the four arcs at the front f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bundle 12 And a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mold bundle (12)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a trapezoidal bristle-cutter hole along an array of three circular patterns on the wicking surface of the toothbrush head (1) A toothbrush having a hairy structure of a bundle and a circular patter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사다리꼴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12)을 대신하여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형성하여, 상기 칫솔헤드(1)의 식모면에는 3개의 원형 패턴의 배열을 따라 원형 식모구멍에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원형패턴 원형모다발(2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패턴모다발과 원형패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10. The method of claim 9,
A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is formed in place of the circular pattern trapezoidal pattern 12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laced on the trapezoidal bristle-cutter hole along the arrangement of three circular patterns on the wicking head of the toothbrush head 1, Wherein the toothbrush head (1) is provided with a circular pattern circular pattern (29) in which a bundle of bristles is put on a circular knife hole along an arrangement of three circular patterns. A toothbrush having a foot structure of a foo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20011124U 2012-11-30 2012-11-30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KR2004731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24U KR200473106Y1 (en) 2012-11-30 2012-11-30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24U KR200473106Y1 (en) 2012-11-30 2012-11-30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29U KR20140003529U (en) 2014-06-12
KR200473106Y1 true KR200473106Y1 (en) 2014-06-13

Family

ID=5149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124U KR200473106Y1 (en) 2012-11-30 2012-11-30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06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837A (en)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Toothbrush head
US7146675B2 (en) * 2003-07-19 2006-12-12 Braun Gmbh Handheld toothbru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675B2 (en) * 2003-07-19 2006-12-12 Braun Gmbh Handheld toothbrush
KR20050117837A (en)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Toothbrush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29U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116Y1 (en)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US11659922B2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US20200121069A1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RU2568396C2 (en) Configuration of bristles
US6405401B1 (en) Toothbrush having a bristle pattern which provides enhanced cleaning
BRPI0111033B1 (en) TOOTHBRUSH
KR200473569Y1 (en)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JP5168836B2 (en) toothbrush
JPH08164025A (en) Toothbrush
KR200473942Y1 (en) A toothbrush made up of a tetragonal brush form arranged in X shape
US10194739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KR200473106Y1 (en)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KR200473943Y1 (en) A toothbrush made up of a trapezium-brush form having patterns of a circle and circular arcs
KR200478769Y1 (en)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KR200473108Y1 (en)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KR200473102Y1 (en) Toothbrush transplant structure
CN106820558B (en) Toothbrush head
CN211380021U (en) Brush hair structure
CN106805464B (en) Toothbrush head
KR200467404Y1 (en) Tooth brush
KR101741444B1 (en) Toothbrush head
JP3161347U (en) toothbrush
JPH08154740A (en) Toothbrush
JP3110225U (en) Two-branch toothbrush (double branch brush)
KR101218711B1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