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832Y1 -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 Google Patents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832Y1
KR200471832Y1 KR2020130000476U KR20130000476U KR200471832Y1 KR 200471832 Y1 KR200471832 Y1 KR 200471832Y1 KR 2020130000476 U KR2020130000476 U KR 2020130000476U KR 20130000476 U KR20130000476 U KR 20130000476U KR 200471832 Y1 KR200471832 Y1 KR 200471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support frame
stability
stage
stru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준
Original Assignee
서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준 filed Critical 서호준
Priority to KR2020130000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6Tents used as to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4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e shaped, e.g. teepe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각형을 이루기 위해 받침 프레임 단위체로 이루어지며, 각 받침 프레임 단위체의 평면상에서의 순차적 체결에 의해 다각형 구조를 이루는 받침 프레임 집합체; 상기 다각형을 이루는 꼭짓점과 동일한 개수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로 이루어지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 간의 체결되는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어 외피부의 접이식 입구단을 향하여 모여지는 형태로 상기 외피부 내측의 고정부재로 삽입되어 인디언 텐트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주 프레임 집합체; 및 판 형상의 테두리에 상기 꼭짓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홀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 홀은 상기 꼭짓점과 동일한 개수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이 트위스트되어, 상호 간의 접합점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최종끝단에 형성된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를 삽입시키는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Structure of indian toy tent for stability procure}
본 고안은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동의 놀이에 사용되는 조립형 인디언 텐트 구조에서 기존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아나 어린이 등이 어린이들이 실제로 들어가 놀 수 있는 놀이용 집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놀이용 집은 현재 취학 전의 유아들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시판되는 제품들 중 어린이들이 진입하여 놀 수 있는 제품들로는 천과 철사를 이용, 일종의 텐트방식으로 제작된 볼 풀류의 제품과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 분리된 몇 개의 조각을 조립하여 구체적 형상의 집을 만드는 제품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천과 철사를 이용한 텐트방식은 운반의 용이성과 함께 쉽게 공간이 형성되고 접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천이 지니는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집이 가지는 견고한 구조와 구체적 형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놀이용 집의 경우는 견고성과 집이 지니는 구체적인 형상을 제공하는 반면 부피가 커서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며 일반적인 주거공간에서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부담이 크고 쉽게 분해하여 보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형 구조로 하부에 안정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운반성과 공간성을 확보하기 조립식 인디언 텐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출시된 것들은 쉽게 구조가 훼손이 가능하여 유아나 아이들 등에게 위험한 상황이 종종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보다 안정성 있는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Assembly toy playing house)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04360호)
2. 아동놀이기구나 동물우리로써 적합한 변형식 집 구조(Reformable house structure for use in playing deviceor doghous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24756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 등이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조립식 인디언 텐트에 대해 잡아당기거나 흔들어도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여 인디언 텐트 내부나 외부에 있는 유아나 어린이 등이 다치는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디언 텐트와 차별화하여 트위스트된 접합영역 그리고 그에 따른 구조물의 수치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 구조적 설계를 제공하기 위한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는, 다각형을 이루기 위해 받침 프레임 단위체로 이루어지며, 각 받침 프레임 단위체의 평면상에서의 순차적 체결에 의해 다각형 구조를 이루는 받침 프레임 집합체; 상기 다각형을 이루는 꼭짓점과 동일한 개수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로 이루어지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 간의 체결되는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어 외피부의 접이식 입구단을 향하여 모여지는 형태로 상기 외피부 내측의 고정부재로 삽입되어 인디언 텐트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주 프레임 집합체; 및 판 형상의 테두리에 상기 꼭짓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홀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 홀은 상기 꼭짓점과 동일한 개수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이 트위스트되어, 상호 간의 접합점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최종끝단에 형성된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를 삽입시키는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는 오각형을 이루며, 상기 지주 프레임 단위체와 상기 홀의 개수는, 5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천과 같은 섬유나, 플렉시블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가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5 개의 고정부재가 내부가 빈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설치시 바닥면과 맞닿는 영역에 상기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가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5 개의 고정부재가 내부가 빈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일측에는 여닫이 통로로 사용되도록 지퍼형 여닫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최상단에 상기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를 외부의 상기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와 체결시키기 위해 빼내기 위한 통로에 해당하는 접이식 입구단이 형성되며, 상부벨크로 및 하부벨크로가 상기 접이식 입구단 외측의 오각을 이루는 각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루프(loop)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상기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및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로프로 상호간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의 직선상의 전체 길이는 L1이고, 상기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11, 상기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12,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곡선 길이가 L13인 경우, 상기 L11 : 상기 L12 : 상기 L13: 상기 L1에 따른 길이 비율 관계는 3.5 내지 3.7 : 0.9 내지 1.1 : 0.8 내지 1.0 : 4.5 내지 4.8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곡선의 각은 108˚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 집합체 내각의 합은 54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상기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가 연결된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이 위치한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외피부의 접이식 입구단을 향하여 모여지는 형태로 각각이 상기 외피부 내측의 고정부재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및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상기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및 상기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로프로 상호간이 연결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의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끝단 모두는, 상기 외피부의 최상단에 형성된 접이식 입구단이 형성된 지점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의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최종끝단에 직경이 해당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 보다 작은 트위스트용 체결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직선상의 전체 길이가 L2이고, 상기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21, 상기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22, 상기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곡선 길이가 L23인 경우, 상기 L21 : 상기 L22 : 상기 L23: 상기 L2에 해당하는 길이 비율 관계는 1.1 내지 1.3 : 3.1 내지 3.3 : 3.4 내지 3.5 : 6.5 내지 7.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는 원판에 중간 영역이 빈 형태의 원 테두리에는 5 개의 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 각각은,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안정적 구조 제공을 위한 트위스트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홀 하부 영역에서 홀 상부 영역으로 홀의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의 최하부 영역의 직경은 상기 홀 최상부 영역의 직경에 비해 1.5 내지 2배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디언 텐트 구조는 5 개의 마감 부재 단위체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에 형성된 트위스트용 체결단과 체결되는 마감 부재 집합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트위스트를 위한 회전 전의 길이 방향을 이루는 직선(R)과, 상기 오각형 형상의 받침 프레임 집합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형성된 중앙선(C)과 이루는 각도를 α°이라고 하고,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트위스트를 위한 회전 후의 길이 방향을 이루는 직선(T)과, 상기 오각형 형상의 받침 프레임 집합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형성된 중앙선(C)과 이루는 각도를 β°이라고 하면, 상기 α°에 비해 상기 β°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위스트를 위한 회전은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에 대해 121°내지 123 °범위로 트위스트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α°는 59 내지 63°범위이고, 상기 β°는 85 내지 9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위스트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간의 접합점을 기준으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상기 접합점 아래에 해당하는 하부의 직선상의 길이와, 상기 접합점 위에 해당하는 상부의 직선상의 길이간의 비율 관계는 1.2 내지 1.5 : 8.5 내지 8.7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는, 유아나 어린이 등이 놀이용으로 사용하는 조립식 인디언 텐트에 대해 잡아당기거나 흔들어도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여 인디언 텐트 내부나 외부에 있는 유아나 어린이 등이 다치는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디언 텐트와 차별화하여 트위스트된 접합영역 그리고 그에 따른 구조물의 수치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 구조적 설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 지주 프레임 집합체가 형성되기 이전의 외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외피부에 지주 프레임 집합체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외피부에 지주 프레임 집합체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에 체결되는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 및 마감 부재 집합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서 지주 프레임 집합체가 트위스트되지 않은 상태로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 및 마감 부재 집합체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프레임 집합체가 트위스트된 상태로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 및 마감 부재 집합체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의 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 대한 트위스트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 지주 프레임 집합체(30)가 형성되기 이전의 외피부(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외피부(10)에 지주 프레임 집합체(30)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외피부(10)에 지주 프레임 집합체(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에 체결되는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40) 및 마감 부재 집합체(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서 지주 프레임 집합체(30)가 트위스트되지 않은 상태로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40) 및 마감 부재 집합체(5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지주 프레임 집합체(30)가 트위스트된 상태로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40) 및 마감 부재 집합체(5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의 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는 외피부(10), 받침 프레임 집합체(20), 지주 프레임 집합체(30),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40) 및 마감 부재 집합체(50)를 포함한다.
외피부(10)는 천과 같은 섬유나, 플렉시블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가능하다.
외피부(1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측으로 지주 프레임 집합체(30)를 이루는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가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5 개의 고정부재가 내부가 빈 고리형상으로 외피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부의 중앙 지점으로 수렴하는 오각의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설치시 외피부(10)의 바닥면과 맞닿는 영역에도 받침 프레임 집합체(20)를 이루는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20u)가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5 개의 고정부재가 내부가 빈 고리형상으로 외피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받침 프레임 단위체(20u)가 도 3과 같이 오각형을 이루면서 외피부(10)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외피부(10)의 일측에는 여닫이 통로로 사용되도록 지퍼형 여닫이부(11)가 형성됨으로써, 유아, 어린이 등이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부(10)의 최상단에는 접이식 입구단(12)이 형성된다. 접이식 입구단(12)은 도 1과 같은 상부벨크로(12a) 및 하부벨크로(12b)가 외피부(10)의 외측에 오각 형태의 각 측면에 형성되며, 각 상부벨크로(12a)가 형성된 접이식 입구단(12)을 바깥쪽으로 접음으로써, 그 하부에 형성된 하부벨크로(12b)에 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받침 프레임 집합체(20)는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20u)가 루프(loop)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한편, 5 개의 각 받침 프레임 단위체(20u)는 도 1과 같이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1u),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2u),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1u),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2u) 및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로프로 상호간이 연결된 구조이다. 이에 따라,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1u) 및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2u), 그리고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2u) 및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의 분리 및 체결 구조를 이용해 외피부(10)의 바닥면과 맞닿은 곳에 형성된 고정부재로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받침 프레임 단위체(20u)의 직선상의 전체 길이가 L1이고,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1u)의 직선 길이가 L11,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2u)의 직선 길이가 L12,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의 곡선 길이가 L13인 경우, L11 : L12 : L13: L1 간의 길이 관계는 3.5 내지 3.7 : 0.9 내지 1.1 : 0.8 내지 1.0 : 4.5 내지 4.8로 형성되는 것이 외력에 의한 받침 프레임 단위체(20u)의 길이 방향의 끝단에 대한 가압 실험 결과 가장 견고한 체결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은 곡선으로 굽어져 연장된 최종끝단에 직경이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1u) 보다 작은 단위체 체결단이 형성되어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 상호 간이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의 곡선의 각은 정오각형으로 받침 프레임 집합체(20)이 정오각형을 이루는 경우 108˚로 형성되어, 받침 프레임 집합체(20) 내각의 합은 540˚가 된다.
지주 프레임 집합체(30)를 이루는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 각각이 받침 프레임 집합체(20)를 이루는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20u)가 연결된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23u)이 위치한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어 외피부(10)의 접이식 입구단(12)을 향하여 모여지는 형태로 각각이 외피부(10) 내측의 고정부재로 삽입됨으로써, 인디언 텐트 구조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는 도 1과 같이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1u),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2u),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1u),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2u) 및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로프로 상호간이 연결된 구조이다.
이에 따라,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1u) 및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2u), 그리고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2u) 및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의 분리 및 체결 구조를 이용해 외피부(10)의 내측면에 5 개가 형성된 고정부재로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의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의 끝단 모두는 도 3과 같이 외피부(10)의 최상단에 형성된 접이식 입구단(12)이 형성된 지점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접이식 입구단(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벨크로(12a) 및 하부벨크로(12b)를 이용해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의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의 최종끝단에 직경이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 보다 작은 트위스트용 체결단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40)는 홀(40h)에 삽입된 뒤, 마감 부재 집합체(50)를 이루는 마감 부재 단위체(50u)와 최종적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의 직선상의 전체 길이가 L2이고,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1u)의 직선 길이가 L21,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2u)의 직선 길이가 L22,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의 곡선 길이가 L23인 경우, L21 : L22 : L23: L2 간의 길이 관계는 1.1 내지 1.3 : 3.1 내지 3.3 : 3.4 내지 3.5 : 6.5 내지 7.1로 형성되는 것이 외력에 의한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의 길이 방향의 끝단에 대한 가압 실험 결과 가장 견고한 체결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40)는 원판에 중간 영역이 빈 형태의 원 테두리에는 5 개의 홀(40h)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 홀(40h)은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의 안정적 구조 제공을 위한 트위스트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홀 하부 영역에서 홀 상부 영역으로 홀의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홀 최하부 영역의 직경은 홀 최상부 영역의 직경에 비해 1.5 내지 2배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 부재 집합체(50)는 5 개의 마감 부재 단위체(50u)로 이루어져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의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33u)의 최종끝단에 형성된 트위스트용 체결단과 체결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피부(10) 내측에 형성되는 지주 프레임 집합체(30)를 구성하는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는 접이식 입구단(12)으로 돌출된 뒤 트위스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a에서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 중 하나를 기준 지주 프레임 단위체(30 ref)라고 하면, 바닥면에 형성된 오각형 형상의 받침 프레임 집합체(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형성된 중앙선(C)과 기준 지주 프레임 단위체(30 red)가 이루는 회전 전의 직선(R) 간에 이루는 각도를 α°라고 가정한다.
이후, 각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가 121°내지 123 °트위스트됨으로써, 상호간의 접합점들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술한 기준 지주 프레임 단위체(30 ref)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기준 지주 프레임 단위체(30 ref)는 상술한 중앙선(C)과 회전 후의 직선(T) 간에 이루는 각도를 β°라고 가정하면, α°는 β°보다 작게 형성되며 그 크게 비율이 α°는 59 내지 63°고 β°는 85 내지 93°에 해당된다.
또한 이 경우, 접합점을 기준으로 하부의 기준 지주 프레임 단위체(30 ref)의 직선상의 길이와 상부의 기준 지주 프레임 단위체(30 ref)의 직선상의 길이 간에는 1.2 내지 1.5 : 8.5 내지 8.7의 비율관계가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준 지주 프레임 단위체(30 red)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30u) 모두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설계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 대한 인장강도 및 내절강도, 그리고 파열강도에 대한 측정의 결과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나타나며, 도 5와 같이 트위스트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된 인디언 텐트 구조에 비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인장강도는 TAPPI T 404 om-87에 따라 Hounsfield사의 인장강도 측정기를 사용하고 내절강도는 TAPPI T 511 om-83에 의하여 MIT 형을 사용한다. 내절강도 측정시 인장하중은 0.4 kg으로 하였고 stiffness는 TAPPI T 451 cm-84에 따라 Clark 형을 사용하며, 파열강도는 TAPPI T 403 om-85에 따라 Mullen 저압형 시험기를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외피부
11: 지퍼형 여닫이부
12: 접이식 입구단
12a: 상부벨크로
12b: 하부벨크로
20: 받침 프레임 집합체
20u: 받침 프레임 단위체
21u: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22u: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23u: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30: 지주 프레임 집합체
30u: 지주 프레임 단위체
31u: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32u: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33u: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40: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
50: 마감 부재 집합체
50u: 마감 부재 단위체

Claims (20)

  1. 다각형을 이루기 위해 받침 프레임 단위체로 이루어지며, 각 받침 프레임 단위체의 평면상에서의 순차적 체결에 의해 다각형 구조를 이루는 받침 프레임 집합체;
    상기 다각형을 이루는 꼭짓점과 동일한 개수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로 이루어지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 간의 체결되는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어 외피부의 접이식 입구단을 향하여 모여지는 형태로 상기 외피부 내측의 고정부재로 삽입되어 인디언 텐트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주 프레임 집합체; 및
    판 형상의 테두리에 상기 꼭짓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홀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 홀은 상기 꼭짓점과 동일한 개수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이 트위스트되어, 상호 간의 접합점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최종끝단에 형성된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를 삽입시키는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는, 오각형을 이루며,
    상기 지주 프레임 단위체와 상기 홀의 개수는, 5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천과 같은 섬유나, 플렉시블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가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5 개의 고정부재가 내부가 빈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설치시 바닥면과 맞닿는 영역에 상기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가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5 개의 고정부재가 내부가 빈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일측에는 여닫이 통로로 사용되도록 지퍼형 여닫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최상단에 상기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를 외부의 상기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와 체결시키기 위해 빼내기 위한 통로에 해당하는 접이식 입구단이 형성되며, 상부벨크로 및 하부벨크로가 상기 접이식 입구단 외측의 오각을 이루는 각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루프(loop)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상기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 및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로프로 상호간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 단위체의 직선상의 전체 길이는 L1이고, 상기 제 1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11, 상기 제 2 단 직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12,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곡선 길이가 L13인 경우, 상기 L11 : 상기 L12 : 상기 L13: 상기 L1에 따른 길이 비율 관계는 3.5 내지 3.7 : 0.9 내지 1.1 : 0.8 내지 1.0 : 4.5 내지 4.8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의 곡선의 각은 108˚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 집합체 내각의 합은 540˚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5 개의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상기 5 개의 받침 프레임 단위체가 연결된 상기 곡선형 받침 프레임 분리단이 위치한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외피부의 접이식 입구단을 향하여 모여지는 형태로 각각이 상기 외피부 내측의 고정부재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은,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및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상기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 및 상기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로프로 상호간이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의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끝단 모두는,
    상기 외피부의 최상단에 형성된 접이식 입구단이 형성된 지점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각각의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최종끝단에 직경이 해당 제 3 단 지주 프레임 분리단 보다 작은 트위스트용 체결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직선상의 전체 길이가 L2이고, 상기 제 1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21, 상기 제 2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직선 길이가 L22, 상기 제 3 단 직선형 지주 프레임 분리단의 곡선 길이가 L23인 경우, 상기 L21 : 상기 L22 : 상기 L23: 상기 L2에 해당하는 길이 비율 관계는 1.1 내지 1.3 : 3.1 내지 3.3 : 3.4 내지 3.5 : 6.5 내지 7.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체결 구조체는,
    원판에 중간 영역이 빈 형태의 원 테두리에는 5 개의 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 각각은,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안정적 구조 제공을 위한 트위스트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홀 하부 영역에서 홀 상부 영역으로 홀의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홀의 최하부 영역의 직경은,
    상기 홀 최상부 영역의 직경에 비해 1.5 내지 2배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5 개의 마감 부재 단위체로 이루어져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에 형성된 트위스트용 체결단과 체결되는 마감 부재 집합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트위스트를 위한 회전 전의 길이 방향을 이루는 직선(R)과, 상기 오각형 형상의 받침 프레임 집합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형성된 중앙선(C)과 이루는 각도를 α°이라고 하고,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트위스트를 위한 회전 후의 길이 방향을 이루는 직선(T)와, 상기 오각형 형상의 받침 프레임 집합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형성된 중앙선(C)과 이루는 각도를 β°이라고 하면,
    상기 α°에 비해 상기 β°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를 위한 회전은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에 대해 121°내지 123 °범위로 트위스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α°는 59 내지 63°범위이고, 상기 β°는 85 내지 93°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 간의 접합점을 기준으로, 상기 각 지주 프레임 단위체의 상기 접합점 아래에 해당하는 하부의 직선상의 길이와, 상기 접합점 위에 해당하는 상부의 직선상의 길이간의 비율 관계는 1.2 내지 1.5 : 8.5 내지 8.7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KR2020130000476U 2013-01-18 2013-01-18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KR200471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76U KR200471832Y1 (ko) 2013-01-18 2013-01-18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76U KR200471832Y1 (ko) 2013-01-18 2013-01-18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832Y1 true KR200471832Y1 (ko) 2014-03-17

Family

ID=5148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76U KR200471832Y1 (ko) 2013-01-18 2013-01-18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8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409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KR20210016694A (ko) 2019-08-05 2021-02-17 이영주 놀이용 인디언 텐트
KR20230001695U (ko) 2022-02-16 2023-08-23 채명진 텐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273U (ko) * 2011-10-05 2013-04-15 이석기 공간 활용이 우수한 원터치식 티피 텐트
KR200470815Y1 (ko) 2012-02-14 2014-01-13 박세성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273U (ko) * 2011-10-05 2013-04-15 이석기 공간 활용이 우수한 원터치식 티피 텐트
KR200470815Y1 (ko) 2012-02-14 2014-01-13 박세성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409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KR102144487B1 (ko) * 2017-11-15 2020-08-1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KR20210016694A (ko) 2019-08-05 2021-02-17 이영주 놀이용 인디언 텐트
KR20230001695U (ko) 2022-02-16 2023-08-23 채명진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626B2 (en) Collapsible baby play station
US20140155183A1 (en) Playhouse
US7392555B2 (en) Bed-tent
US7367068B2 (en) Overhead supported hammock bed
US20060230528A1 (en) Cot or playpen
KR200471832Y1 (ko)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AU2008202917A1 (en) Suspendable tent
US20050194028A1 (en) Collapsible fabric structures
CA2895883C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CA2918029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KR101539351B1 (ko) 유아용 텐트
KR200470815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인디언 텐트
CA2458845C (en) Pop up collapsible structures
KR20110056732A (ko) 접이식 피라미드 구조체
CN214341274U (zh) 一种支撑稳固的休闲床
WO2017211238A1 (zh) 一种超轻野营收展床
GB2451651A (en) Pop up structure
KR20090009920U (ko)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모기장
CN201839926U (zh) 一种可拆装式遮阳吊伞
US20180055201A1 (en) Hammock
KR102522837B1 (ko) 안정성을 높인 해먹
CN106562531A (zh) 微积结构
JPS6139498Y2 (ko)
CN206233677U (zh) 可收展的多功能变形帐篷屋
RU173879U1 (ru) Модульная огораживающая врем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