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38Y1 -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 Google Patents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38Y1
KR200471438Y1 KR2020120003106U KR20120003106U KR200471438Y1 KR 200471438 Y1 KR200471438 Y1 KR 200471438Y1 KR 2020120003106 U KR2020120003106 U KR 2020120003106U KR 20120003106 U KR20120003106 U KR 20120003106U KR 200471438 Y1 KR200471438 Y1 KR 200471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ing
backrest
st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1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3765U (en
Inventor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비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비케이
Priority to KR2020120003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38Y1/en
Publication of KR20120003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3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4Collapsible or tip-up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8Seats or backs for forms, e.g. foldable seat part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상태에서 착석자의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착석부를 상기 접철상태로 복원시키는 제1복원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에 가해진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 상부에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착석부 일측과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좁은 보행공간에서도 보행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행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빗물이나 먼지 등에 의한 벤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healing folding bench, in particular, the seating portion;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A rotating part for allowing the seating part to rotate between a use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can be se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nd a folded state folded upward; A first restoring portion for restoring the seating portion to the folded state when the seating portion is removed from the seated state in the use state; A support rod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eating portion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seating portion in the use state, wherein the support surface contacts the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n the use state to support the lo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result, the pedestrian convenience can be improved even in a narrow pedestrian space, and sufficient space for pedestrians can be secured. Contamination of the bench by rain or dust can be prevented,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duct.

Description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AUTO-RETURN TYPE FOLDING BENCH}Automatic Restoration Folding Bench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본 발명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펜스에 필요에 따라 접고 펼수 있는 착석부를 갖는 가변형 벤치를 설치함으로써 보행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보행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빗물이나 먼지 등에 의한 벤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펜스에 설치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ch,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variable bench having a seating portion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as needed on the fenc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walking while improving pedestrian convenience, and benches by rain or du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healing folding bench installed in a fence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product and extend product life.

공원의 산책로나 등산로 등에는 펜스와 함께 보행자가 잠시 쉴 수 있도록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There are benches on the promenades and hiking trails of the park, along with fences for pedestrians to rest for a while.

일반적으로 펜스는 그 설치를 위하여 많은 공간을 소요하지는 않으나 벤치의 경우에는 착석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벤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제약이 따른다. In general, the fence does not take much space for its installation, but the bench requires a minimum of space for seating, so there are a lot of restrictions for installing the bench.

즉, 보행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등산로나 산책로의 경우에는 벤치를 설치할 경우 벤치의 폭만큼 보행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보행에 불편을 주기 때문에 적절한 구간마다 벤치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in the case of hiking trails or trails where the pedestrian space is relatively narrow, it takes up the pedestrian space as much as the width of the bench when the bench is installed.

한편, 보행공간이 상대적으로 확보되어 벤치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에도 벤치의 착석부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빗물이나 이슬, 눈 먼지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이로 인해 벤치의 사용을 기피하게 되어 벤치 자체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제품 자체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bench can be installed because the walking space is relatively secured, the seating part of the bench is always kept horizontal, so it is easily contaminated by rainwater, dew, snow dust,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of the bench itself properly, shortening the life of the product itself.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좁은 보행공간에서도 보행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행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빗물이나 먼지 등에 의한 벤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펜스에 설치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pedestrian convenience even in a narrow walking space, while ensuring a sufficient space for walking,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bench by rain or dust, which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fence. It is to provide a self-healing folding bench to be installed on.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에 있어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상태에서 착석자의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착석부를 상기 접철상태로 복원시키는 제1복원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에 가해진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 상부에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착석부 일측과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면이 형성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utomatic restoration folding bench, seating uni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A rotating part for allowing the seating part to rotate between a use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can be se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nd a folded state folded upward; A first restoring portion for restoring the seating portion to the folded state when the seating portion is removed from the seated state in the use state; A support rod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eating portion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seating portion in the use state, wherein the support surface contacts the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n the use state to support the load. This is achieved by the automatic restoration folding bench being formed.

상기 지지로드는 일단부는 착석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장홈의 내부에 걸림유지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에 인접한 일측에는 절곡부가 마련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절곡부가 지지대 내부 바닥에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ro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is formed to hold the inside of the long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and a bent portion is provided at one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bent portion. It can contact the inner bottom of the support to support the load.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상기 착석부와 접철되는 초기위치와, 상기 사용상태에서 지면에 수직한 수직위치로부터 상기 착석부의 반대방향으로 5 ~ 10°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지지하는 등받이 회동부와; 상기 등받이 회동부에 마련되어 상기 등받이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를 상기 초기위치로 복원하는 제2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backrest supported by the support; A backrest pivoting part supporting the backrest on the suppo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5 to 10 °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from an initial position of the seat back and the seating part and a vertical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use state; And a second restoring unit provided in the backrest pivoting unit to restore the backrest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backrest.

상기 등받이 상단부에 걸쳐 마련되며 상기 접철상태에서 포개어진 상기 등받이 및 착석부 단부를 덮는 상단커버와, 상기 상단커버를 상기 등받이 상단부에 대하여 상기 착석부 방향으로 이동된 커버상태와 상기 착석부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개방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와, 상기 개방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상단커버를 상기 커버상태로 복원하는 제3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upper cover provided over the upper back of the backrest and covering the backrest and the seating portion end overlapped in the folded state, and the upper cover being moved in the sea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back of the backres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ating por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part to move between the moved open states, and a third restorer to restore the top cover to the cover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open state.

상기 이동부는, 상기 상단커버의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바퀴와, 상기 각 회전바퀴를 지지하는 이동부본체와, 상기 커버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본체를 상기 등받이 상단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복원부는, 상기 커버하우징에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된 스프링홈과, 상기 이동부본체에서 상기 스프링홈을 향해 돌출된 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스프링홈 내부에 양단이 상기 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스프링홈의 내벽에 걸쳐 마련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includes a guide rail formed on the cover housing of the upper cover, a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 moving part body supporting the respective rotating wheels, and the moving part through the cover housing.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body to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wherein the third restoring portion includes a spring groove formed in the cover housing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and a spring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oving part body toward the spring groove. The spring groove may include a recovery spring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spring groove.

상기 커버상태에서 포개어진 상기 착석부 및 등받이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면을 각각 덮는 보호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A protective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ver one sid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backrest which are overlapped in the cover state.

상기 등받이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지면의 수직한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착석부 방향으로 3 ~ 5°를 이루며, 상기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착석부의 반대 방향으로 7 ~ 9°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The backrest is 3 to 5 ° in the sea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groun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in the use state to form 7 to 9 °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a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axis. can do.

따라서,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에 의하면, 좁은 보행공간에서도 보행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행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빗물이나 먼지 등에 의한 벤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elf-healing folding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destrian convenience even in a narrow walking space and to ensure a sufficient space for walking,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bench by rain or dust. It can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의 사용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의 접철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커버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restoring folding bench in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n the folded state of the automatic restoring folding 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tate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tate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1)는, 착석부(10)와, 착석부(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와, 회동부(30)와, 제1복원부(31)와, 지지로드(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self-healing folding bench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unit 10, a support 20 supporting the seating unit 10, a pivoting unit 30, , The first restoring part 31 and the supporting rod 40.

지지대(20)는 착석부(10)를 지지한다. The support 20 supports the seat 10.

지지대(2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착석부(10)의 양단부에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20 may be provided in two shapes at both ends of the seat 10.

지지대(20) 상부에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착석부(10) 일측과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면(21)이 형성된다. The support surface 21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0 in the use state to support the load.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상태에서 착석부(10)의 왼쪽 단부 일측은 지지대(2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면(21)에 의해 지지되며, 착석부(10)의 오른쪽 단부는 후술할 지지로드(40)에 의해 지지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ure 3, one side of the left end of the seating portion 10 in the use state is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the right end of the seating portion 10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40 to be.

이에, 착석부(10)가 지지면(21)과 지지로드(40)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므로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us, since the seating portion 10 is supported at both sides by the support surface 21 and the support rod 40, stability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회동부(30)는 착석부(10)가 지지대(20)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Rotating portion 30 allows the seating portion 10 to be rotated between a use stat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10 can be se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20 and a folded state folded upward.

회동부(30)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착석부(10) 단부에 결합되며 지지대(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캠(301)과, 양단이 캠(301) 및 지지대(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30)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rotation part 3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ating part 10 and is cam 301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20, and both ends of the cam 301. And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30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20.

상기 실린더(30)는 상기 사용상태 또는 접철상태로의 전환시, 전환이 급작스럽게 수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 기능을 수행한다. The cylinder 30 performs a damper func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switching suddenly when switching to the use state or the folded state.

제1복원부(31)는 착석부(10)가 상기 사용상태에서 착석자의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착석부(10)를 상기 접철상태로 복원시킨다. The first restoring part 31 restores the seating part 10 to the folded state when the seating part 10 is removed from the seat of the seated person in the use state.

제1복원부(31)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301) 단부와 지지대(20) 사이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도 4에서처럼 접철상태에서는 제1복원부(31)는 프리로드(Free load) 상태가 되며, 착석자가 힘으로 착석부(10)를 사용상태로 젖히면 변형이 되면서 복원력이 저장된다. 이에, 착석자의 하중이 제거되면,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사용상태(도 3)에서 접철상태(도 4) 상태로 복원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restoration part 31 may be provided as a spring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cam 301 and the support 20. Thus, in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restoring unit 31 is in a preload state, and the restoring force is stored while the seating unit 10 is deformed when the seated person is turned to the use state by force. Thus, when the load of the seated person is removed, it is restored to the folded state (Fig. 4) state from the use state (Fig. 3) by the stored restoring force.

지지로드(40)는 지지대(20)와 착석부(1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착석부(10)에 가해진 하중을 지지한다. The support rod 4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20 and the seat 10 to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seat 10 in the use state.

지지로드(40)는 일단부는 착석부(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지대(20)에 형성된 장홈(23)(도 2 참조)의 내부에 걸림유지되도록 걸림부(43)가 형성된다. The supporting rod 4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rod 40 is locked to the inside of the long groove 23 (see FIG. 2) formed in the support 20. Is formed.

걸림부(43)는 예를 들어, 절곡부(41)의 단부에 절곡부(41)의 길이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부(41) 단부가 지지대(2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For example, the locking portion 43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41 at the end of the bent portion 41, thereby preventing the bent portion 41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support 20. do.

또한, 지지로드(40)는 상기 타단부에 인접한 일측에는 절곡부(41)가 마련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절곡부(41)가 지지대 내부 바닥에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rod 40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41 at one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bent portion 4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support in the use state to support the load.

절곡부(41)는 접철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사용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 하부면에 접촉된다. 이에, 절곡부(41)의 길이는 지지대(20) 하부면의 길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ent portion 41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20 in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4,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20, as shown in FIG. 3. Thus, the length of the bent portion 41 is preferably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20.

등받이(50)는 지지대(20)에 지지되며,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The backrest 5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20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등받이 회동부(51)는 등받이(50)를 착석부(10)와 접철되는 초기위치와, 상기 사용상태에서 지면에 수직한 수직위치로부터 착석부(10)의 반대방향으로 5 ~ 10°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대(20)에 지지한다. The backrest pivoting part 51 rotates 5 to 10 degre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10 from an initial position in which the backrest 50 is folded with the seating part 10 and a vertical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use state. Support the support 20 to be possible.

상기 초기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50)가 상기 지면의 수직한 축선을 기준으로 착석부(10) 방향으로 소정각도(β)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기울임각 β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 5°범위에서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initial position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50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β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1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ground, and the inclination angle β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in a range of 3 ~ 5 °.

이에, 접철상태에서 등받이(50)와 착석부(10) 사이로 빗물이나 먼지 등의 오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us, in the fold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dirt or other substances between the backrest 50 and the seating portion 10.

한편, 등받이(50)는 사용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의 반대방향으로 소정 각도 (α)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는, 착석부(10)에 앉은 착석자의 외력에 따른 기울어짐으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rest 5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α)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10, as shown in Figure 1 in use. This is inclined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of the seated person sitting on the seat 1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여기서, 상기 기울임각 α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 ~ 9℃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inclination angle α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to achieve 7 ~ 9 ℃.

이때, 착석자의 외력 제거시 등받이(50)의 복귀를 위하여, 제2복원부(5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복원부(53)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회동부(51)에 마련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restoring unit 53 may be provided to return the backrest 50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seated person is removed. The second restoring part 53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for example, may be a coil spring provided in the backrest pivoting part 51.

상단커버(60)는 등받이(50) 상단부에 걸쳐 마련되며, 상기 접철상태에서 등받이(50) 및 착석부(10) 단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이에, 접철상태에서 등받이(50)와 착석부(10) 사이로 빗물 또는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pper cover 60 is provided over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50 and is provided to cover the ends of the backrest 50 and the seating part 10 in the folded state. Thus, in the folded state to prevent rain water or dust from flowing between the backrest 50 and the seating portion 10 to maintain cleanliness.

상단커버(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상태에서는 착석부(10) 방향으로 위치하여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서는 착석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4, the upper cover 60 is located in the seated portion 10 in the folded state, and as shown in FIG. 3, the upper cover 60 is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ated portion 10 in the used state. .

이를 위하여, 상단커버(60)를 등받이(50) 상단부에 대하여 착석부(10) 방향으로 이동된 커버상태와, 착석부(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개방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부(63)가 마련된다. To this end, a moving part for allowing the upper cover 60 to be movable between the cover stat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10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50 and the open stat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10. 63 is provided.

이동부(63)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커버(60)의 커버하우징(6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631)과, 가이드레일(631)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바퀴(633)와, 각 회전바퀴(633)를 지지하는 이동부본체(635)와, 커버하우징(61)을 관통하여 이동부본체(635)를 등받이(50) 상단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63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63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guide rail 631 and the guide rail 631 formed in the cover housing 61 of the top cover 60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rotary wheels 633 moving along the), a moving part body 635 supporting each of the rotating wheels 633, and a moving part body 635 passing through the cover housing 61 to support the back 50. I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637 fixed to the upper end.

이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바퀴(633)가 지지된 이동부본체(635)는 고정부재(637)에 의해 등받이(5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커버하우징(61) 자체가 외력에 의해 밀리면서 가이드레일(631)과 회전바퀴(633)의 상대운동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3 to 5, the moving part body 635 on which the rotating wheel 633 is supporte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50 by the fixing member 637, and the cover housing 61 itself is fixed. While being p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guide rail 631 and the rotating wheel 633 move according to the relative motion.

즉, 착석자가 착석부(10)에 앉아 등받이(50)에 기대는 경우, 등받이(50) 자체가 α각도로 뒤로 젖혀짐(제2복원부(53)에 복원력이 저장)과 동시에 상단커버(60)도 힘을 받아 도 3처럼 뒤로 밀리게 된다(제3복원부(65)에 복원력 저장). 한편, 착석자가 착석부(10)에서 일어나는 경우, 등받이(50) 및 상단커버(6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므로, 등받이(50)는 제2복원부(53)에 의해, 상단커버(60)는 제3복원부(65)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거이다. That is, when the seated person sits on the seat 10 and leans against the back 50, the back 50 itself is folded back at an angle (the restoring force is stored in the second restoring unit 53) and the top cover ( 60 is also pushed back as shown in Figure 3 (store the restoring force in the third restoring unit 65).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ted person rises in the seating portion 10, sinc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ackrest 50 and the top cover 60 is removed, the backrest 50 by the second restoring portion 53, the top cover 60 I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third restoration (65).

제3복원부(6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하우징(61)에 가이드레일(631)과 나란하게 형성된 스프링홈(651)과, 이동부본체(635)에서 스프링홈(651)을 향해 돌출된 스프링고정돌기(653)와, 스프링홈(651) 내부에 양단이 스프링고정돌기(653)와 스프링홈(651)의 내벽에 걸쳐 마련되는 복원스프링(65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restoring unit 65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the spring groove 651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631 in the cover housing 61, and the spring groove 651 in the moving unit body 635. It may include a spring fixing protrusion 653 protruding toward the spring, and both ends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653 and the restoring spring 655 provided over the inner wall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653 and the spring groove 651.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커버(60)가 뒤로 밀린상태에서는 복원스프링(655)이 압축되어 복원력이 저장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스프링(655)이 원래 길이로 팽창하면서 커버하우징(61)을 커버상태로 복귀시킨다. Thus, as shown in Figure 3,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60 is pushed back, the restoring spring 655 is compressed to restore the restoring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restoring spring 655 expands to its original length while the cover housing Return 61 to the cover stat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상태에서 포개어진 착석부(10) 및 등받이(50)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면을 각각 덮는 보호부재(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a protective member 70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ver one sid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t 10 and the backrest 50 that are overlapped in the cover state.

보호부재(70)는 각각 착석부(10) 및 등받이(50)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The protection member 7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izes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10 and the backrest 50,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

1 :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10 : 착석부 20 : 지지대
21 : 지지면 23 : 장홈
30 : 회동부 301 : 캠
303 : 실린더 31 : 제1복원부
40 : 지지로드 41 : 절곡부
43 ; 걸림부 50 : 등받이
51 : 등받이 회동부 53 : 제2복원부
60 : 상단커버 61 : 커버하우징
63 : 이동부 631 : 가이드레일
633 : 회전바퀴 635 : 이동부본체
637 : 고정부재
65 : 제3복원부 651 : 스프링홈
653 : 스프링고정돌기 655 : 복원스프링
70 : 보호부재
1: automatic restoration folding bench
10: seat 20: support
21: support surface 23: long groove
30: rotating unit 301: cam
303: cylinder 31: the first restoring unit
40: support rod 41: bend
43; Hanging part 50: backrest
51: backrest rotation part 53: second restoration part
60: top cover 61: cover housing
63: moving part 631: guide rail
633: rotating wheel 635: moving unit body
637: fixing member
65: third restoration 651: spring groove
653: spring fixing protrusion 655: restoring spring
70: protection member

Claims (7)

접이식 벤치에 있어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상단부에 걸쳐 마련되며 상기 접철상태에서 포개어진 상기 등받이 및 착석부 단부를 덮는 상단커버와;
상기 상단커버의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바퀴와, 상기 각 회전바퀴를 지지하는 이동부본체와, 상기 커버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본체를 상기 등받이 상단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단커버를 상기 등받이 상단부에 대하여 상기 착석부 방향으로 이동된 커버상태와 상기 착석부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개방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와;
상기 커버하우징에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된 스프링홈과, 상기 이동부본체에서 상기 스프링홈을 향해 돌출된 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스프링홈 내부에 양단이 상기 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스프링홈의 내벽에 걸쳐 마련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개방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상단커버를 상기 커버상태로 자동으로 복원하는 제3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In the folding bench,
A seating uni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A rotating part for allowing the seating part to rotate between a use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can be se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nd a folded state folded upward;
A backrest supported by the support;
An upper cover provided over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and covering the end of the backrest and the seating portion nested in the folded state;
A guide rail formed on the cover housing of the upper cover, a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moving along the guide rails, a moving part body supporting the respective rotating wheels, and the moving part body passing through the cover housing; A moving member including a fixing member fixed to an upper end portion to move the upper cover between a cover state moved in the seating direction toward the upper back portion and an open stat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ating portion;
A spring groov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in the cover housing, a spring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oving part body toward the spring groove, and both ends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and an inner wall of the spring groove provided in the spring groove; And a third restoring unit for automatically restoring the top cover to the cover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에 가해진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로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로드는 일단부는 착석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장홈의 내부에 걸림유지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에 인접한 일측에는 절곡부가 마련되어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절곡부가 지지대 내부 바닥에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 상부에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착석부 일측과 접촉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The method of claim 1,
A support rod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eating portion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seating portion in the use state;
One end of the support ro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is formed to hold the inside of the long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Contact the bottom of the support to support the load,
And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to support the loa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n the use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를 상기 착석부와 접철되는 초기위치와, 상기 사용상태에서 지면에 수직한 수직위치로부터 상기 착석부의 반대방향으로 5 ~ 10°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지지하는 등받이 회동부와; 상기 등받이 회동부에 마련되어 상기 등받이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를 상기 초기위치로 복원하는 제2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The method of claim 1,
A backrest pivoting part supporting the backrest on the suppo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5 to 10 °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from an initial position of the seat back and the seating part and a vertical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use state; And a second restoring unit provided to the backrest pivoting unit to restore the backrest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backre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상태에서 포개어진 상기 착석부 및 등받이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면을 각각 덮는 보호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The method of claim 1,
Automatic restoring folding 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ve member is further provided to cover each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backrest exposed in the cover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지면의 수직한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착석부 방향으로 3 ~ 5°를 이루며, 상기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착석부의 반대 방향으로 7 ~ 9°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rest is 3 to 5 ° in the sea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groun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7 to 9 °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a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axis in the use state. Auto-restore folding benches, characterized in that.
KR2020120003106U 2012-04-17 2012-04-17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KR2004714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106U KR200471438Y1 (en) 2012-04-17 2012-04-17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106U KR200471438Y1 (en) 2012-04-17 2012-04-17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65U KR20120003765U (en) 2012-05-30
KR200471438Y1 true KR200471438Y1 (en) 2014-02-24

Family

ID=4661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106U KR200471438Y1 (en) 2012-04-17 2012-04-17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38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98B1 (en) * 2005-07-07 2007-08-1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battery pack and vehicle
US10993861B2 (en) 2018-11-20 2021-05-04 Hyundai Motor Company Wearable chair having four-link structure
US11142935B2 (en) 2018-11-22 2021-10-12 Hyundai Motor Company Sliding stop switch and wearable chair including the same
US11357333B2 (en) 2018-11-02 2022-06-14 Hyundai Motor Company Wearable chair with truss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895B1 (en) * 2019-07-04 2020-03-16 경상남도 Folding type audience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752A (en) 2000-03-03 2001-09-11 Nippon Kokan Light Steel Kk Folding bench for installation to protective fence
JP3091512U (en) * 2002-07-18 2003-02-07 栃木県 Chair with wall
JP2006152544A (en) 2004-11-25 2006-06-15 Sekisui Jushi Co Ltd Storage bench also used as guard fence
KR20120000299U (en) * 2011-10-31 2012-01-10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Foldable ben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752A (en) 2000-03-03 2001-09-11 Nippon Kokan Light Steel Kk Folding bench for installation to protective fence
JP3091512U (en) * 2002-07-18 2003-02-07 栃木県 Chair with wall
JP2006152544A (en) 2004-11-25 2006-06-15 Sekisui Jushi Co Ltd Storage bench also used as guard fence
KR20120000299U (en) * 2011-10-31 2012-01-10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Foldable benc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98B1 (en) * 2005-07-07 2007-08-1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battery pack and vehicle
US11357333B2 (en) 2018-11-02 2022-06-14 Hyundai Motor Company Wearable chair with truss structure
US10993861B2 (en) 2018-11-20 2021-05-04 Hyundai Motor Company Wearable chair having four-link structure
US11142935B2 (en) 2018-11-22 2021-10-12 Hyundai Motor Company Sliding stop switch and wearable chai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65U (en)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438Y1 (en) Auto-return type folding bench
JP5755430B2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equipped with the stroller frame
KR101895269B1 (en) Eco-friendly deck road system
EP2502528A1 (en) Expandable clothes frame
KR101078913B1 (en) Folding type bench for fens
KR101300972B1 (en) The fence with easy angle control of grab bar
CN101489826A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JP2010019953A5 (en)
CN109624805A (en) Partition and vehicle seat component including it
US20160251872A1 (en) Pickup Truck Bed Shelter System
CN105263747A (en) Vehicular seat
KR101260892B1 (en) Folding type bench for fens
KR200460369Y1 (en) Foldable bench
RU2011105812A (en) LOCKING BLOCK MOVABLE ALONG THE PROFILE AND FOLDED BY TURNING RELATIVELY TO IT, FOR EACH TIRE OF A ROAD VEHICLE, TRANSPORTED VEHICLE
ES2741659T3 (en) Pallet and support structure
KR20190058525A (en) Blocking device with flexibility and resilience
KR20160069706A (en) Bridge rail using buoyancy
GB2492201A (en) Safety seat device including support leg unit
JP6284689B2 (en) Joint lock device and stick chair provided with the joint lock device
KR102038933B1 (en) Seat for an automobile
KR200477254Y1 (en) Variable bench
EP3549487A1 (en) Mobile support for seats
KR101202658B1 (en) Bench for public
HRP20190654T1 (en) Seat and use thereof in an armored vehicle
KR101731348B1 (en) A bicycle deposi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