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882Y1 - Tooth brush - Google Patents

Tooth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882Y1
KR200469882Y1 KR2020110010672U KR20110010672U KR200469882Y1 KR 200469882 Y1 KR200469882 Y1 KR 200469882Y1 KR 2020110010672 U KR2020110010672 U KR 2020110010672U KR 20110010672 U KR20110010672 U KR 20110010672U KR 200469882 Y1 KR200469882 Y1 KR 200469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head
bristle
teeth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3421U (en
Inventor
장신주
이병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10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82Y1/en
Publication of KR20130003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2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8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상대적으로 많은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프라그 등을 양호하게 닦아낼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며, 일면의 전체 영역 중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돌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헤드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칫솔모와, 상기 헤드의 돌출부에 일단이 고정되되, 양치시 상기 제1 칫솔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갖는 제2 칫솔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brushing teet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e toothbrush around the molar area is relatively stronger than other areas, the toothbrush that can wipe out a lot of food debris, foreign objects, plaques, et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gripped through the hand of the human body, the hea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andle, the head is form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areas of the entire area of the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rst bristle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head surface of the head, and one end is fixed to the protrusion of the head, it comprises a second bristles having a relatively greater strength than the first bristles when brushing.

Description

칫솔{Tooth brush}Tooth brush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상대적으로 많은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프라그 등을 양호하게 닦아낼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in particular, even if the user brushing teet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e brushing of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is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other areas, so that a lot of food debris, foreign objects, plaques, etc. It's about a toothbrush that can be wiped off.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및 구강 내 청결 유지를 위한 위생용품으로서,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로 크게 구분되어 형성된다.In general, the toothbrush is a hygiene product for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teeth and oral cavity, the toothbrush is formed by largely divided into a handle for holding the user, a head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andle and the bristles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do.

도 1은 종래의 보편적인 칫솔을 도시한 것으로서, 위의 설명처럼 종래 칫솔(10)은 통상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된 손잡이(11)와 헤드(12) 그리고 헤드(12)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 칫솔모(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칫솔모(13)는 매우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에 고정되는 형태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한다.1 illustrates a conventional universal toothbrush.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toothbrush 10 is generally planted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11, the head 12, and the head 12 integrally formed using synthetic resin. It comprises a bristle 13 fixed in a losing manner. In addition, the bristle 13 is a form in which very bristle bristles are gathered in groups to form a plurality of bundles and fixed to the head,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bundle of bristles is called a bristl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칫솔(10)의 손잡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12) 및 칫솔모(13)를 구강 내에 넣은 후, 손잡이(11)를 통해 헤드(12) 및 칫솔모(13)를 유동시키면서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칫솔(10)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내는 방법, 다시 말해 양치질의 방법에는 회전법, 횡마법, 묘원법 등이 있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puts the head 12 and bristle 13 in the oral cavity while holding the handle 11 of the toothbrush 10, the head 12 and the bristles through the handle 11 Wipe the inside of the mouth, such as teeth and gums while flowing (13). In this way, the method of wip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such as teeth and gums using the toothbrush 10, that is, the method of brushing teeth, there is a rotation method, a side magic method, a graveyard metho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헤드의 평평한 일면에 칫솔모를 고정한 형태이므로, 동일 높이의 모든 칫솔모는 동일한 강도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양치질 내내 사용자의 칫솔을 조작하는 힘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 모든 닦음 부위에 대한 칫솔모의 칫솔질 강도는 항상 동일하며, 이는 구강 내 특정 부위를 양호하게 닦아내지 못하는 이유가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othbrush is a form in which the bristle is fixed to a flat surface of the head, all the bristles of the same height have the same strength. Accordingly, assuming that the force of manipulating the user's toothbrush is the same throughout brushing, the brushing strength of the brush head is always the same for all the brushing areas of the mouth, such as teeth and gums, which does not provide good cleaning of certain areas of the mouth. It is a reason.

다시 말해, 구강 내의 치아들은 그 기능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양을 가질 뿐만 아니라 구강 내 위치와 각도도 조금씩 다르다. In other words,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not only have a slightly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its function, but also slightly different positions and angles in the oral cavity.

예를 들면, 어금니를 포함하여 구강 깊숙이 위치한 치아들은 앞니 등 구강 내 앞쪽에 위치한 치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상면을 갖는 동시에 이렇게 넓은 상면은 그 중앙이 오목한 모양을 갖는다. 이에 따라 어금니를 포함하여 구강 깊숙이 위치한 치아(이하 “어금니”를 예로 설명함)들은 상면에 오목한 중앙을 중심으로 음식물 찌꺼기 및 기타 이물질이 많이 끼므로, 이 부분을 잘 닦아내려면 비교적 강한 강도의 양치질이 필요하다. 또한, 어금니와 어금니 주변 잇몸과의 경계 부분은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하여 양치질 과정에서 칫솔이 잘 닿지 않는 영역인데 반해, 어금니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기능적 특성상 어금니와 그 주변 잇몸과의 경계 부분에는 음식물 섭취 후 많은 량의 음식물 찌꺼기가 남는다.For example, teeth located deep in the mouth, including the molar teeth, have a relatively wider upper surface than teeth located in front of the oral cavity, such as the incisor, and at the same time, the wide upper surface has a concave shape at the center thereof. As a result, teeth located deep in the mouth including mola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lars” as an example) have a lot of food debris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centered on the concave center on the upper surface. need.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molar and the gum around the molar is located deep in the oral cavity so that the toothbrush does not touch well during the brushing process.However, due to the functional property of crushing the molar's food, the boundary between the molar and the surrounding gum is ingested. A large amount of food residues remain.

따라서, 양치질 과정에서 치아와 접촉되는 칫솔모의 접촉 강도, 다시 말해 칫솔질 강도를 조금씩 달리해야 양호한 양치질이 가능하지만, 종래의 칫솔은 칫솔모가 모두 동일한 강도와 길이로 형성되므로, 칫솔모의 치아에 대한 칫솔질 강도를 사용자 본인의 손목 각도 및 힘 조정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하지만, 귀찮고 번거로운 일을 기피하는 사람의 심리상, 대다수의 사용자는 양치질 내내 동일한 손목 강도로 칫솔질을 한다.Therefore, while brushing the toothbrush in contact with the teeth in the brushing process, that is, the brushing strength is slightly different to the good brushing can be, but the conventional toothbrush is because the bristles are all formed with the same strength and length, the brushing strength of the toothbrush Depends entirely on the user's wrist angle and force adjustment. However, in the psychology of a person who avoids bothersome and cumbersome work, the majority of users brus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roughout their teeth.

상기 이유로, 어금니와 그 주변 잇몸 등 어금니 주변 영역은 구강 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양치질이 요구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힘으로 양치질을 한 후 이를 마침에 따라, 양치질 후에도 어금니 주변 영역에 비교적 많은 음식물 찌거와 이물질 등이 남는다. 그리고, 이는 치석 및 프라그의 누적 및 그에 따라 충치 및 기타 치아 질환의 주된 원인이 된다.For this reason,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such as the molar and its surrounding gums, is required to brush teeth with a stronger intensity than other areas of the oral cavity, but as mentioned above, as most users brush their teeth with the same wrist force, Even after brushing, relatively many food residues and debris remain in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And this is a major cause of accumulation of calculus and plaque and hence caries and other dental diseases.

또한, 종래의 칫솔은 치아와 접촉되는 칫솔모의 일단이 수평면 형태이므로, 칫솔모의 일단이 모여 형성되는 전체 칫솔모들의 연결된 일면이 평면 형태를 이루며, 이에 따라 치아 바깥쪽 면이나 안쪽 면보다 상대적으로 들어가 있는 치아와 치아 사이의 영역을 원활하게 닦아내지 못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since one end of the bristles in contact with the teeth is in the horizontal plane form, the connected one side of the entire bristles formed by gathering one end of the bristles forms a flat shape, and thus the tooth that is relatively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tooth It does not wipe the area between the teeth and teeth smoothly.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특정 영역, 특히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프라그 등을 양호하게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ven if the user brushing teet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e brushing of the particular area, especially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is relatively stronger than other areas, the food of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can wipe off debris, foreign matter, plaque and the like well.

또한, 본 고안은 칫솔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칫솔모들이 그 일단을 다른 칫솔모의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교차 배치됨으로써, 양치질시 치아와 접촉되는 칫솔모 전체의 일면이 요철면의 형태를 이루어 치아와 치아 사이를 청결하게 닦아낼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ristle bristle on the basi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other bristles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one side of the entire bristle contacting the teeth when brushing tee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can form and wipe clean between teet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며, 헤드면 전방에 높은 돌출부가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의 헤드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칫솔모 및상기 헤드의 돌출부에 일단이 고정되되, 양치시 상기 제1 칫솔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갖는 제2 칫솔모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제1 칫솔모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칫솔모의 일단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1 칫솔모 전체의 일면이 물결형 또는 톱니형의 요철면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 칫솔모는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한 전체 길이가 상기 제1 칫솔모의 헤드면을 기준으로 한 전체 길이에 비해 짧고, 상기 제1 칫솔모와 제2 칫솔모는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이고, 상기 제2 칫솔모의 원주가 제1 칫솔모의 원주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제1 칫솔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2 칫솔모는 최외각을 연결한 길이가 제1 칫솔모의 최외각을 연결한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제2 칫솔모의 상기 헤드에 고정된 일단의 반대쪽 타단은 후방쪽으로 5°내지 20°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gripped through the hand of the human body,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andle, the head is formed with a high projection in front of the head surface, one end of the head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bristles to be fixed and second bristle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rotrusion of the head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strength compared to the first bristles when brushing the teeth, the direction from the handle toward the hea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first bristles, the first bristles of the first bristle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up and down direction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one surface of the entire first bristles is wavy Or serrated concave-convex surface shape, the second bristle head of the first bristle has a full length relative to the protrusion The first bristle and the second bristle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ristle is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ristle, which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first bristle. It has elasticity, and the second bristles ar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connecting the outermost edge of the first bristles, the second bristle when setting the direction from the handle toward the head to the front The other end of the one end fixed to the head of the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orm of a slope inclined downward 5 ° to 20 ° downwar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특정 영역, 특히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프라그 등을 양호하게 닦아낼 수 있고, 이는 양치질을 통한 치과 질환의 예방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brushes teet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e brushing of certain areas, especially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is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other areas, so that food debris, foreign substances, and plaques of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can be wiped well. This greatly improves the preventive function of dental diseases through brushing teeth.

또한, 칫솔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칫솔모들이 그 일단을 다른 칫솔모의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교차 배치됨으로써, 양치질시 치아와 접촉되는 칫솔모 전체의 일면이 물결형이나 톱니형에 가까운 요철면의 형태를 형성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를 청결하게 닦아낼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brist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to cross the end of the bristles to form a slop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ther one of the bristles in succession, so that one side of the entire bristles in contact with the teeth when brushing the teeth is wavy or serrated It forms the shape of a nearby uneven surface, so that it can be wiped clean between teeth.

도 1은 종래 칫솔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요부의 측면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othbrush
2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toothbrush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110), 이러한 손잡이(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120), 그리고 헤드(120)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일단을 고정한 제1 칫솔모(130) 및 제2 칫솔모(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칫솔모(130)와 제2 칫솔모(140)는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형태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칭한다.As shown, the toothbr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110 which is gripped through the hand of the human body, the head 1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andle 110, and the head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ristle 130 and a second bristle 140 fixed to one end in a manner that is planted on one side of the. Here, the first bristle 130 and the second bristle 140 are thin bristles are grouped to form a plurality of bundles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12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bundle of bristles It is called the brush head.

다음은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will be described the main portion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헤드(120)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돌출부(122)는 헤드(120)의 일면 전체 영역 중 다른 영역에 비해 돌출 형성된 영역이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돌출부(122)의 상면 높이는 헤드(120)의 헤드면(121)보다 높게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돌출부(122)가 헤드(120)의 전방 단부에 단일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돌출부(122)는 헤드(120)의 전방 단부에 하나 이상의 몸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헤드(120)의 일면에 둘 이상의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120)의 전방 단부에서, 상기 전방은 손잡이(110)로부터 헤드(1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본 것이다.The head 120 has one or more protrusions 122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protrusions 122 are protruded regions compared to other regions of the entire area of one surface of the head 120. That is, based on the drawings,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protrusion 122 is located higher than the head surface 121 of the head 120.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as a single body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one or more bodies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120, or may be formed at two or more positions on one surface of the head 120, respectively. And,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120, the front is viewed from the front toward the head 120 from the handle 110.

제1 칫솔모(130)는 헤드(120)의 헤드면(121)에 일단이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칫솔(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칫솔모(130)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칫솔모(130)들이 다른 제1 칫솔모(130)와 상하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면(131)을 갖는다. 즉, 제1 칫솔모(130)들은 칫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면(131)을 형성하면서 연속적으로 교차 배치되고, 이에 따라 양치질시 구강 내 치아와 접촉되는 제1 칫솔모(130) 전체의 일면이 물결형 내지 톱니형과 유사한 요철면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경사면(131)의 상하 방향 기준은 도면을 참조한 상하 방향에 해당한다.The first bristles 130 are fixed in such a manner that one end is planted on the head surface 121 of the head 120. In addition, the first bristle 130 has an inclined surface 13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ristle 130 adjacent to each other is vertically opposite to the other first bristle 130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That is, the first bristles 130 are continuously intersected while forming inclined surfaces 131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and thus the first bristle bristles contacting the intraoral teeth when brushing teeth ( 130) One surface of the whole forms a concave-convex surface shape similar to a wavy or jagged shape. 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ence of the inclined surface 131 corresponds to the vertical direc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제2 칫솔모(140)는 헤드(120)의 돌출부(122)에 일단이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되되, 이러한 제2 칫솔모(140)는 양치시 제1 칫솔모(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발휘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bristle 140 is fixed in such a way that one end is planted in the protrusion 122 of the head 120, the second bristle 140 exhibits a greater strength than the first bristle 130 when brushing. It is formed to.

이를 위해, 제1 칫솔모(130)와 제2 칫솔모(140)를 각각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제2 칫솔모(140)는 최외각을 연결한 길이가 제1 칫솔모(130)의 최외각을 연결한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칫솔모(130)와 제2 칫솔모(140)는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며, 이때 제2 칫솔모(140)의 원주가 제1 칫솔모(130)의 원주에 비해 크다. 다시 말해, 제2 칫솔모(140)의 지름이 제1 칫솔모(130)의 지름보다 크며, 이에 따라 제2 칫솔모(140)는 외부와 접촉에 따른 휨 현상 발생시 제1 칫솔모(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을 보이고, 이는 양치시 치아나 잇몸 등 칫솔질이 가해지는 면을 보다 강하게 닦아낼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based on the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first bristle 130 and the second bristle 140 are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spectively, the second bristle 140 has a length connecting the outermost angle of the first bristle 130.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connecting the outermost shell. Referr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first bristle 130 and the second bristle 140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wherein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ristle 140 is first. It is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bristles 130. In other words, the diameter of the second bristle 14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ristle 130, and thus the second bristle 140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first bristle 130 when the bending occurs due to contact with the outside. It shows great elasticity, which makes it possible to brush more strongly on the side where brushing is applied, such as teeth or gums.

또한, 제2 칫솔모(140)의 돌출부(122)를 기준으로 한 전체 길이가 헤드의 헤드면(121)을 기준으로 한 제1 칫솔모(130)의 전체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이를 통해 양치시 제2 칫솔모(140)의 칫솔질 강도를 제1 칫솔모(130)에 비해 세게 할 수 있다. 즉, 도시 상의 용이를 위해 제1 칫솔모(130)와 제2 칫솔모(140)를 각각 단일 몸체의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제1 칫솔모(130)와 제2 칫솔모(140)는 각각 다수의 가는 칫솔모가 한 묶음으로 모여 형성된 것이므로, 제1 칫솔모(130)의 각 칫솔모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제2 칫솔모(140)의 각 칫솔모들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제각각 원활하게 휘면서 동일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고, 결과적으로 양치시 치아나 잇몸 등 칫솔질이 가해지는 면을 보다 강하게 닦아낼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entir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 140 based on the protrusion 122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bristle 130 based on the head surface 121 of the head, thereby When brushing, the brushing strength of the second bristles 140 may be stronger than that of the first bristles 130. That is, although the first bristle 130 and the second bristle 140 are shown in the form of a single body, respectively, for ease of illustration, the first bristle 130 and the second bristle 140 each have a plurality of thin bristles. Since the bristles are formed in a bundle, each bristle of the second bristle 140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bristles of the first bristle 130 is smoothly bent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Elasticity in the direction, and as a result, when brushing teeth, such as brushing the brushed surface can be stronger.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칫솔모(140)가 양치질 시 더 강한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위의 2가지 측면, 다시 말해 제2 칫솔모(140)의 최외각 연결 길이가 제1 칫솔모(130)의 최외각 연결 길이에 비해 긴 구조, 그리고 제2 칫솔모(140)의 길이가 제1 칫솔모(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구조를 모두 갖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칫솔모(140)는 위 2가지 측면 중 어느 하나의 구조만을 선택하여 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ristle 140, that is, the outermost connection length of the second bristle 140, may allow the second bristle 140 to brush more strongly when brushing teeth. Although the structur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outer connec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bristle 140 are all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bristle 1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ristle 140 may also take and select only the structure of any one of the above two aspects.

또한, 제2 칫솔모(140)는 손잡이(110)로부터 헤드(12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제2 칫솔모(140)의 헤드(120)에 고정된 일단의 반대쪽 타단, 다시 말해 도면을 기준으로 제2 칫솔모(140)의 상단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칫솔모(140)의 경사면 각도는 5° 내지 20°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bristle 140 determines the direction from the handle 110 toward the head 120,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fixed to the head 120 of the second bristle 140, that is, the drawing As a reference, an upper end of the second bristle 140 may be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In addition, the inclined plane angle of the second bristle 140 may be 5 ° to 20 °.

상기한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칫솔(100)은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특정 영역, 특히 어금니 주변 영역을 제2 칫솔모(140)가 비교적 강한 칫솔질을 통해 닦아내게 되므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프라그 등을 양호하게 닦아낼 수 있다.As can be seen through the embodiment of Figures 2 to 5, the toothbru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brushing teet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e second bristle 140 in a particular area, especially around the molar teeth. Since it is wiped by a relatively strong brushing, it is possible to wipe away food debris, foreign matter, plaque, etc. in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또한, 칫솔(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칫솔모(130)들이 그 일단을 다른 제1 칫솔모(130)의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교차 배치됨으로써, 양치질시 치아와 접촉되는 제1 칫솔모(130) 전체의 일면이 물결형이나 톱니형에 가까운 요철면의 형태를 형성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를 청결하게 닦아낼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first bristle 13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00, the one end of the first bristle 130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other bristle 130, and by successively intersecting teeth, One surface of the entire first bristle bristles 130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ms a wavy or serrated uneven surface to cleanly wipe the teeth between the teeth.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Any person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칫솔 110 : 손잡이
120 : 헤드 121 : 헤드면
122 : 돌출부 130 : 제1 칫솔모
131 : 경사면 140 : 제2 칫솔모
100: toothbrush 110: handle
120: head 121: head surface
122: protrusion 130: first bristles
131: slope 140: second brush head

Claims (7)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며, 헤드면 전방에 높은 돌출부가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의 헤드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칫솔모 및
상기 헤드의 돌출부에 일단이 고정되되, 양치시 상기 제1 칫솔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갖는 제2 칫솔모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제1 칫솔모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칫솔모의 일단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제1 칫솔모 전체의 일면이 물결형 또는 톱니형의 요철면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 칫솔모는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한 전체 길이가 상기 제1 칫솔모의 헤드면을 기준으로 한 전체 길이에 비해 짧고,
상기 제1 칫솔모와 제2 칫솔모는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이고, 상기 제2 칫솔모의 원주가 제1 칫솔모의 원주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제1 칫솔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을 가지며,
상기 제2 칫솔모는 최외각을 연결한 길이가 제1 칫솔모의 최외각을 연결한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제2 칫솔모의 상기 헤드에 고정된 일단의 반대쪽 타단은 후방쪽으로 5°내지 20°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 handle gripped through the hand of the human body;
A hea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andle and having a high protrusion formed at a front of the head;
A plurality of first bristle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ead surface of the head;
One end is fixed to the protrusion of the head, including a second brist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strength compared to the first bristles when brushing,
When the direction from the handle toward the head is determ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bristles continuously incline in a direction in which one ends of the first bristle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ne surface of the entire first bristles to form a wavy or serrated irregular surface,
The second bristles have a shorter overall length relative to the protrusions than the entire lengths based on the head surface of the first bristles,
The first bristle and the second bristle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ristle is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ristle has a relatively large elasticity than the first bristle,
The second bristles ar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connecting the outermost angle of the first bristles,
And the other end of the one end fixed to the head of the second bristles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5 ° to 20 ° when the direction from the handle toward the head is set for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10010672U 2011-11-30 2011-11-30 Tooth brush KR2004698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2U KR200469882Y1 (en) 2011-11-30 2011-11-30 Tooth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2U KR200469882Y1 (en) 2011-11-30 2011-11-30 Tooth 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21U KR20130003421U (en) 2013-06-10
KR200469882Y1 true KR200469882Y1 (en) 2013-11-20

Family

ID=5074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72U KR200469882Y1 (en) 2011-11-30 2011-11-30 Tooth 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8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612B1 (en) * 2016-10-27 2018-08-2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oothbrush
DE102017220748A1 (en) 2017-11-21 2019-05-23 M+C Schiffer Gmbh toothbrus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967Y1 (en) * 1982-07-15 1987-03-18 Kwon Yong Do Tooth brush
JPH0975134A (en) * 1995-09-08 1997-03-25 Hiroshi Fukuba Tooth brush
JP2001340139A (en) * 2000-05-30 2001-12-11 Kao Corp Tooth brush
JP2008093449A (en) * 1997-11-12 2008-04-24 Gillette Canada Inc Toothbru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967Y1 (en) * 1982-07-15 1987-03-18 Kwon Yong Do Tooth brush
JPH0975134A (en) * 1995-09-08 1997-03-25 Hiroshi Fukuba Tooth brush
JP2008093449A (en) * 1997-11-12 2008-04-24 Gillette Canada Inc Toothbrush
JP2001340139A (en) * 2000-05-30 2001-12-11 Kao Corp Tooth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21U (en)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962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RU2557733C2 (en) Device for oral care (versions)
US10149532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10537169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WO2012112199A1 (en) Toothbrush with bristles of non circular tips
KR200469882Y1 (en) Tooth brush
KR101673095B1 (en) Orthodontic toothbrush for wiping teeth with orthodontic appliance
KR101481532B1 (en) U-shaped toothbrush
US11464323B2 (en) Toothbrush
KR200467405Y1 (en) Tooth brush
RU219853U1 (en) HEAD FOR ELECTRIC TOOTHBRUSH
KR20160003092U (en) toothbrush with curved degree
KR200467404Y1 (en) Tooth brush
KR200469883Y1 (en) Tooth brush
KR200432178Y1 (en) onoetogon rough bristle toothbrush
KR20220001996U (en) Toothbrush where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are alternately dispos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