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81Y1 - 책장 - Google Patents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81Y1
KR200469481Y1 KR2020130004868U KR20130004868U KR200469481Y1 KR 200469481 Y1 KR200469481 Y1 KR 200469481Y1 KR 2020130004868 U KR2020130004868 U KR 2020130004868U KR 20130004868 U KR20130004868 U KR 20130004868U KR 200469481 Y1 KR200469481 Y1 KR 200469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state
suppor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은서
Original Assignee
손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은서 filed Critical 손은서
Priority to KR2020130004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장에 관한 것으로, 독서를 위한 의자 또는 책을 꺼내기 위한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판재부를 구비하는 책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은, 좌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판과, 측판 사이에서 수평으로 복수개 마련되는 책받침판을 포함하는 책장본체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판의 표면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며, 측판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작은 다기능 판재부; 및 다기능 판재부와 책장본체부의 하부에 체결되며, 다기능 판재부를 책장본체부의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책장{BOOKSHELF}
본 고안은 책장에 관한 것으로, 독서를 위한 의자 또는 책을 꺼내기 위한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판재부를 구비하는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장은 좌우의 측판 사이에 수평으로 복수의 받침판을 구비하여 책을 보관하고 진열하는 기능을 하는 가구이다. 이와 같은 책장은 많은 책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해 좌우 방향의 폭보다는 상하 방향 높이가 더 큰 직사각 형상을 이룬다.
하지만,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책장의 상부에는 키가 작은 어린이에게 손이 닿지 않아, 책을 꺼내거나 올려놓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책장의 상부에 있는 책을 꺼내기 위해서는 책장 주변에 별도의 의자 또는 받침대를 구비하여야 하며 책을 꺼내는 위치에 따라 의자 또는 받침대를 매번 옮겨줘야 하며, 사용한 의자 또는 받침대를 원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의자 또는 받침대는 사용자가 올라서는 동작을 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올라설 때의 충격의 반복과, 올라선 후의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책장이 도서관, 서점 등 공공장소에 배치되는 경우, 그 환경적 특성상 별도의 의자 및 책상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있더라도 책을 잠시 가져가서 읽기에는 비교적 원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분 내지 수십분 정도 책을 읽을 때에는 책장 앞에서 서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책을 읽는 사람에게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다리와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책장의 상부에 배치되는 책을 원활하게 꺼내거나 올릴 수 있는 받침대의 기능과, 책장 앞에서 책을 읽는 경우 의자의 기능을 행할 수 있는 다기능 판재가 마련되는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기능 판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책장 측판에 밀착시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회동 동작 및 체결 동작으로 손쉽게 받침대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기능 판재의 받침대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체결 힌지가 마련되는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충격 및 하중에 대해 다기능 판재의 균열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력 및 지지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은, 좌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판과, 측판 사이에서 수평으로 복수개 마련되는 책받침판을 포함하는 책장본체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판의 표면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며, 측판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작은 다기능 판재부; 및 다기능 판재부와 책장본체부의 하부에 체결되며, 다기능 판재부를 책장본체부의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다기능 판재부는, 측판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며,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좌측 받침다리로 사용되는 제1 판재와, 측판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1 판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수평 받침판으로 사용되는 제2 판재와, 측판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2 판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우측 받침다리로 사용되는 제3 판재와, 제1 판재에 대해 제2 판재를 수평 또는 직각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체결 힌지와, 제2 판재에 대해 제3 판재를 수평 또는 직각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체결 힌지를 포함하며, 제2 판재는, 수평 받침판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고 전면(全面)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부 판재와, 하부 판재의 상측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상부 판재와, 하부 판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되는 제1 금속판재와, 상부 판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되는 제2 금속판재와, 제1 금속판재 및 제2 금속판재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며, 제1 체결 힌지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판재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1 체결판과,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판재의 일측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2 체결판과, 제1 체결판 및 제2 체결판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회동축과, 제1 판재와 제2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1 체결판 및 제2 체결판 사이에서 접혀진 상태를 이루며, 제1 판재와 제2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1 체결판 및 제2 체결판 사이에서 대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제1 지지판과, 제1 판재와 제2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1 체결판의 측면 체결부에 연장되도록 체결되며, 제1 판재와 제2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1 체결판으로부터 회동하여 제2 체결판에 체결되어 대각으로 체결된 상태를 이루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며, 제2 체결 힌지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판재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3 체결판과,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판재의 일측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4 체결판과, 제3 체결판 및 제4 체결판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회동축과, 제2 판재와 제3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3 체결판 및 제4 체결판 사이에서 접혀진 상태를 이루며, 제2 판재와 제3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3 체결판 및 제4 체결판 사이에서 대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제3 지지판과, 제2 판재와 제3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3 체결판의 측면 체결부에 연장되도록 체결되며, 제2 판재와 제3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3 체결판으로부터 회동하여 제4 체결판에 체결되어 대각으로 체결된 상태를 이루는 제4 지지판을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다기능 판재부를 책장본체부에 대향하는 상태로 유지하며, 사용시에는, 다기능 판재부를 책장본체부의 전방으로 180° 회동시키고, 제1 판재에 대하여 제2 판재를 측방으로 90° 회동시켜 수평 상태로 만들고, 수평의 제2 판재에 대하여 제3 판재를 하방으로 90° 회동시킨 후, 제2 지지판을 제2 체결판에 체졀하고 제4 지지판을 제4 체결판에 체결하여, 다기능 판재부가 장시간 책을 읽기 위해 착석 가능한 의자로 사용되거나, 책장본체부의 상단측에 꽂혀 있는 책을 꺼내기 위한 받침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의 책장은 상부에 배치되는 책을 원활하게 꺼내거나 올릴 수 있는 받침대의 기능과, 책장 앞에서 책을 읽는 경우 의자의 기능을 행할 수 있는 다기능 판재를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기능 판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책장 측판에 밀착시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회동 동작 및 체결 동작으로 손쉽게 받침대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책장은 다기능 판재의 받침대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체결 힌지를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책장은 외부의 충격 및 하중에 대해 다기능 판재의 균열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력 및 지지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평상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평상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에서 다기능 판재부가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에서 다기능 판재부가 받침대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회동되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회동되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에 제1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에 제2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에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의 제2 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고안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평상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평상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에서 다기능 판재부가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에서 다기능 판재부가 받침대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회동되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가 회동되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에 제1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에 제2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 힌지에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은, 책장본체부(100), 다기능 판재부(200), 힌지부(300), 조명유닛(400), 회동체결부(420)를 포함한다.
책장본체부(100)는, 좌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판(110)과, 측판(110) 사이에서 수평으로 복수개 마련되는 책받침판(1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책장본체부(100)는 일반적인 책장과 마찬가지로 측판과 책받침판을 기본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판, 하판 및 후면판이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기능 판재부(20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판(110)의 표면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며, 측판(110)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다기능 판재부(200)는 후술하는 제1 판재(210), 제2 판재(220), 제3 판재(230), 제1 체결 힌지(240) 및 제2 체결 힌지(250)로 구성되어 받침대 기능 및 의자 기능을 행한다.
힌지부(300)는, 다기능 판재부(200)와 책장본체부(100)의 하부, 예컨대 제1 판재(210)에만 체결되며, 도 3과 같이 다기능 판재부(200)를 책장본체부(100)의 측판(110)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상기 조명유닛(400)은 상기 측판(110) 중 상기 다기능 판재부(200)와 대향되는 측판(110)을 제외한 나머지 측판(110) 외측에 일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조명을 제공한다. 즉, 상기 조명유닛(400)은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조명(41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410)은 예를 들면 형광등, 백열전구 등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결부(420)는 상기 조명유닛(400)이 상기 측판(110)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유닛(400)의 단부를 상기 측판(1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회동체결부(420)에 의하여 상기 조명유닛(400)의 하단부가 상기 측판(1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조명유닛(400)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측판(110)에 인접하도록 인입되고,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측판(1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조명유닛(400)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상태에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책을 읽거나 책을 꺼내는 공간을 비추도록 할 수 있고, 사용이 끝나면 상기 조명유닛(400)을 다시 상방으로 인입시켜 보관상태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유닛(400)이 전방으로 인출된 사용상태로 고정되고, 상방으로 인입된 보관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유닛(400)의 하단부와 간섭되는 지점에 스토퍼(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에 있어서, 독서를 위한 의자 또는 책을 꺼내기 위한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판재부(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기능 판재부(200)는, 제1 판재(210), 제2 판재(220), 제3 판재(230), 제1 체결 힌지(240) 및 제2 체결 힌지(250)를 포함한다.
제1 판재(210)는, 측판(11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며, 도 4와 같이 측판(110)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좌측 받침다리로 사용된다.
제2 판재(220)는, 측판(11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1 판재(210)의 상측에 위치하며, 도 4와 같이 측판(110)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수평 받침판으로 사용된다.
제3 판재(230)는, 측판(11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2 판재(220)의 상측에 위치하며, 도 4와 같이 측판(110)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우측 받침다리로 사용된다.
제1 체결 힌지(240)는, 제1 판재(210)에 대해 제2 판재(220)를 수평 또는 직각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힌지(240)는, 제1 체결판(241), 제2 체결판(242), 제1 회동축(243), 제1 지지판(244) 및 제2 지지판(245)을 포함한다.
제1 체결판(241)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판재(210)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된다.
제2 체결판(242)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판재(220)의 일측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된다.
제1 회동축(243)은, 제1 체결판(241) 및 제2 체결판(242)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제1 지지판(244)은, 도 6과 같이 제1 판재(210)와 제2 판재(220)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1 체결판(241) 및 제2 체결판(242) 사이에서 접혀진 상태를 이루며, 도 8과 같이 제1 판재(210)와 제2 판재(220)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1 체결판(241) 및 제2 체결판(242) 사이에서 대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룬다. 즉, 제1 지지판(244)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력에 의해 제1 체결판(241) 및 제2 체결판(242)의 상부측이 90° 이상으로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지지판(245)은, 도 6과 같이 제1 판재(210)와 제2 판재(220)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1 체결판(241)의 측면 체결부에 연장되도록 체결되며, 도 8과 같이 제1 판재(210)와 제2 판재(220)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1 체결판(241)으로부터 회동하여 제2 체결판(242)에 체결되어 대각으로 체결된 상태를 이룬다. 즉, 제2 지지판(245)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력에 의해 제1 체결판(241) 및 제2 체결판(242)의 하부측이 90° 이상으로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판(244) 및 제2 지지판(245)은 제1 체결판(241) 및 제2 체결판(242) 사이에 체결되어, 제1 판재(210)와 제2 판재(220)가 직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는 제1 체결 힌지의 구조 및 동작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도 9에서는 제1 체결 힌지의 기본 구조 및 회동 동작을 나타내었고, 도 10에서는 제1 체결 힌지에 제1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 및 회동 동작을 나타내었고, 도 11에서는 제1 체결 힌지에 제2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 및 회동 동작을 나타내었으며, 도 12에서는 제1 체결 힌지에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이 마련된 구조 및 회동 동작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구조 및 동작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판재들와 회동축들은 서로 분리하여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후술하는 제2 체결 힌지의 경우에도 도 9 내지 도 12의 구조 및 회동 동작을 나타냄은 물론이다.
제2 체결 힌지(250)는, 제2 판재(220)에 대해 제3 판재(230)를 수평 또는 직각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 힌지(250)는, 제3 체결판(251), 제4 체결판(252), 제2 회동축(253), 제3 지지판(254) 및 제4 지지판(255)을 포함한다.
제3 체결판(251)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판재(220)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된다.\
제4 체결판(252)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판재(230)의 일측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된다.
제2 회동축(253)은, 제3 체결판(251) 및 제4 체결판(252)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제3 지지판(254)은, 도 6과 같이 제2 판재(220)와 제3 판재(230)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3 체결판(251) 및 제4 체결판(252) 사이에서 접혀진 상태를 이루며, 도 8과 같이 제2 판재(220)와 제3 판재(230)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3 체결판(251) 및 제4 체결판(252) 사이에서 대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룬다. 즉, 제3 지지판(254)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력에 의해 제3 체결판(251) 및 제4 체결판(252)의 상부측이 90° 이상으로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4 지지판(255)은, 도 6과 같이 제2 판재(220)와 제3 판재(230)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3 체결판(251)의 측면 체결부에 연장되도록 체결되며, 도 8과 같이 제2 판재(220)와 제3 판재(230)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제3 체결판(251)으로부터 회동하여 제4 체결판(252)에 체결되어 대각으로 체결된 상태를 이룬다. 즉, 제4 지지판(255)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력에 의해 제3 체결판(251) 및 제4 체결판(252)의 하부측이 90° 이상으로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3 지지판(254) 및 제4 지지판(255)은 제3 체결판(251) 및 제4 체결판(252) 사이에 체결되어, 제2 판재(220)와 제3 판재(240)가 직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기능 판재부(200)를 책장본체부(100)에 대향하는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다기능 판재부(200)를 책장본체부(100)의 전방으로 180° 회동시키고, 도 5 및 도 6의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의 상태와 같이, 제1 판재(210)에 대하여 제2 판재(220)를 측방으로 90° 회동시켜 수평 상태로 만들고, 수평의 제2 판재(220)에 대하여 제3 판재(230)를 하방으로 90° 회동시킨 후, 제2 지지판(245)을 제2 체결판(242)에 체졀하고 제4 지지판(255)을 제4 체결판(252)에 체결하여 도 4와 같이 변형시킨다.
도 4와 같이 변형된 다기능 판재부(200)는, 장시간 책을 읽기 위해 착석 가능한 의자로 사용되거나, 책장본체부(100)의 상단측에 꽂혀 있는 책을 꺼내기 위한 받침대로 사용된다. 한편, 도 4에서는 다기능 판재부(200)의 제2 판재의 길이가 책장본체부(110)의 좌우 넓이보다 좁게 형성되어 책장본체부(100)의 우측 끝까지 연장되어 있지 못하고 있으나, 도시된 길이 정도라도 의자의 기능 및 받침대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제1 판재, 제2 판재 및 제3 판재의 길이의 수치를 재설계하여, 제2 판재의 길이가 책장본체부의 좌우 넓이와 같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은 상부에 배치되는 책을 원활하게 꺼내거나 올릴 수 있는 받침대의 기능과, 책장 앞에서 책을 읽는 경우 의자의 기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다기능 판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2와 같이 책장 측판에 밀착시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회동 동작 및 체결 동작으로 손쉽게 받침대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장은 다기능 판재의 받침대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제1 체결 힌지 및 제2 체결 힌지를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판재부의 제2 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재(220)는, 수평 받침판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고 전면(全面)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부 판재(221)와, 하부 판재(221)의 상측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상부 판재(222)와, 하부 판재(22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되는 제1 금속판재(223)와, 상부 판재(22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되는 제2 금속판재(224)와, 제1 금속판재(223) 및 제2 금속판재(224)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완충스프링(225)을 포함한다. 상부 판재(222)에서 받은 외력은 제1 금속판재(223) 및 제2 금속판재(224) 사이에서 완충스프링(225)이 흡수할 수 있으며, 제1 금속판재(223) 및 제2 금속판재(224)의 전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장은 외부의 충격 및 하중에 대해 다기능 판재의 균열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력 및 지지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책장본체부
110 : 측판
120 : 책받침판
200 : 다기능 판재부
210 : 제1 판재
220 : 제2 판재
221 : 하부 판재
222 : 상부 판재
223 : 제1 금속판재
224 : 제2 금속판재
225 : 완충스프링
230 : 제3 판재
240 : 제1 체결 힌지
241 : 제1 체결판
242 : 제2 체결판
243 : 제1 회동축
244 : 제1 지지판
245 : 제2 지지판
250 : 제2 체결 힌지
251 : 제3 체결판
252 : 제4 체결판
253 : 제2 회동축
254 : 제3 지지판
255 : 제4 지지판
300 : 힌지부
400 : 조명유닛
410 : 조명
420 : 회동체결부
430 : 스토퍼

Claims (1)

  1. 좌우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 사이에서 수평으로 복수개 마련되는 책받침판을 포함하는 책장본체부;
    상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측판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작은 다기능 판재부;
    상기 다기능 판재부와 상기 책장본체부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다기능 판재부를 상기 책장본체부의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측판 중 상기 다기능 판재부와 대향되는 측판을 제외한 나머지 측판 외측에 일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이 상기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유닛의 단부를 상기 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회동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판재부는,
    상기 측판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좌측 받침다리로 사용되는 제1 판재와, 상기 측판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판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수평 받침판으로 사용되는 제2 판재와, 상기 측판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판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판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에서 우측 받침다리로 사용되는 제3 판재와, 상기 제1 판재에 대해 상기 제2 판재를 수평 또는 직각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체결 힌지와, 상기 제2 판재에 대해 상기 제3 판재를 수평 또는 직각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체결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재는,
    수평 받침판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고 전면(全面)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부 판재와, 상기 하부 판재의 상측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상부 판재와, 상기 하부 판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되는 제1 금속판재와, 상기 상부 판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되는 제2 금속판재와, 상기 제1 금속판재 및 상기 제2 금속판재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힌지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판재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1 체결판과,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판재의 일측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2 체결판과, 상기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2 체결판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회동축과,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제2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2 체결판 사이에서 접혀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제2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2 체결판 사이에서 대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제1 지지판과,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제2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체결판의 측면 체결부에 연장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1 판재와 상기 제2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체결판으로부터 회동하여 상기 제2 체결판에 체결되어 대각으로 체결된 상태를 이루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 힌지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판재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3 체결판과, 직각으로 절곡되는 일체의 절곡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판재의 일측의 끝단면 및 측면에 체결되는 제4 체결판과, 상기 제3 체결판 및 상기 제4 체결판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회동축과, 상기 제2 판재와 상기 제3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3 체결판 및 상기 제4 체결판 사이에서 접혀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제2 판재와 상기 제3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3 체결판 및 상기 제4 체결판 사이에서 대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제3 지지판과, 상기 제2 판재와 상기 제3 판재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3 체결판의 측면 체결부에 연장되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2 판재와 상기 제3 판재가 직각인 상태에서는 직각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3 체결판으로부터 회동하여 상기 제4 체결판에 체결되어 대각으로 체결된 상태를 이루는 제4 지지판을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다기능 판재부를 상기 책장본체부에 대향하는 상태로 유지하며,
    사용시에는, 상기 다기능 판재부를 상기 책장본체부의 전방으로 180° 회동시키고, 상기 제1 판재에 대하여 상기 제2 판재를 측방으로 90° 회동시켜 수평 상태로 만들고, 수평의 상기 제2 판재에 대하여 상기 제3 판재를 하방으로 90° 회동시킨 후, 상기 제2 지지판을 상기 제2 체결판에 체졀하고 상기 제4 지지판을 상기 제4 체결판에 체결하여,
    상기 다기능 판재부가 장시간 책을 읽기 위해 착석 가능한 의자로 사용되거나, 상기 책장본체부의 상단측에 꽂혀 있는 책을 꺼내기 위한 받침대로 사용되며,
    상기 조명유닛이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되어 책을 읽거나 책을 꺼내기 위한 조명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KR2020130004868U 2013-06-17 2013-06-17 책장 KR200469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868U KR200469481Y1 (ko) 2013-06-17 2013-06-17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868U KR200469481Y1 (ko) 2013-06-17 2013-06-17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481Y1 true KR200469481Y1 (ko) 2013-10-18

Family

ID=5073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868U KR200469481Y1 (ko) 2013-06-17 2013-06-17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8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773B1 (ko) 1998-04-02 2000-11-01 라영주 절첩식책장
KR200287512Y1 (ko) 2002-05-21 2002-09-05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책상이 결합된 책장
KR200374456Y1 (ko) 2004-07-13 2005-01-28 이요신 높이조절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절첩식 책상상판이 구비된공간활용 책장
KR20060005960A (ko) * 2004-08-04 2006-01-18 이요신 가스스프링 구동식 각도조절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책상이결합된 공간활용 책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773B1 (ko) 1998-04-02 2000-11-01 라영주 절첩식책장
KR200287512Y1 (ko) 2002-05-21 2002-09-05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책상이 결합된 책장
KR200374456Y1 (ko) 2004-07-13 2005-01-28 이요신 높이조절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절첩식 책상상판이 구비된공간활용 책장
KR20060005960A (ko) * 2004-08-04 2006-01-18 이요신 가스스프링 구동식 각도조절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책상이결합된 공간활용 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5216A (ja) 携帯電話用スタンド
KR200469481Y1 (ko) 책장
KR200468733Y1 (ko) 독서용 책장
KR200468635Y1 (ko) 책장
KR200468593Y1 (ko) 책장
KR101083716B1 (ko) 책상용 가림판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100010387U (ko) 다용도 접이식 책상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US9585466B2 (en) Wall mountable table and nested hanging apparatus
KR200468549Y1 (ko) 다기능 책장
JP3215068U (ja) 卓上スタンド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KR200473929Y1 (ko) 평상 기능을 가진 테이블
KR20100005963U (ko) 접이식 독서대
JP5859380B2 (ja) 配置物および接続体
KR102006694B1 (ko) 선박용 테이블을 포함한 소파
KR101004398B1 (ko) 의자용 간이책상 절첩장치
KR200275781Y1 (ko) 독서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책상
KR20070082500A (ko) 독서대
KR102292618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책상
KR20026324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N211747825U (zh) 一种新式餐桌
CN211673234U (zh) 一种动态阅读与休憩装置
JP2022130243A (ja) 本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