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57Y1 -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57Y1
KR200466457Y1 KR2020110005098U KR20110005098U KR200466457Y1 KR 200466457 Y1 KR200466457 Y1 KR 200466457Y1 KR 2020110005098 U KR2020110005098 U KR 2020110005098U KR 20110005098 U KR20110005098 U KR 20110005098U KR 200466457 Y1 KR200466457 Y1 KR 200466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assembly
frame
mooring structu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677U (ko
Inventor
김재만
안정길
양봉수
Original Assignee
(주)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 filed Critical (주)엠디
Priority to KR2020110005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5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의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부력튜브와 발판 등의 조립을 위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키도록 한 연결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브라켓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제공되는 연결부위에 쐐기식 클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해당 연결부위와 견고히 결속되게 함으로서, 연결브라켓 자체에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을 제공한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 과정에서의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조립체의 손쉬운 착탈작업이 가능하며, 연결브라켓의 사출성형에 필요한 금형비용을 절감시키고, 연결브라켓의 단독사용 및 조립체로의 연결사용이 모두 가능한 호환성 있는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연결브라켓의 프레임 형상에 맞추어 조립되는 쐐기식 조립체에 의하여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계류구조물의 손쉽고 정확한 설치 및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함은 물론, 계류구조물의 시설강도를 보강하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틀 형상의 지지살 프레임 하부 또는 내부에 부력튜브(5)용 튜브링(12)이 제공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10)(10')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서 계류구조물(1)의 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한 연결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 조립체는, 각 연결브라켓(10)(10')의 측면프레임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에 끼움식으로 설치되는 조립용 클램프(19)와, 상기 조립용 클램프(19)를 측면프레임과 일체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볼트(18) 및 너트(18a)가 되며, 상기 조립용 클램프(19)는, 연결부위를 이루도록 맞대어진 2개의 측면프레임 부분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직클램프(20)와, 측면프레임과 연결된 수평 방향의 지지살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평클램프(21)가 교차된 열십자(十) 형태의 클램프가 되며, 상기 체결볼트(18)는 조립용 클램프(19) 중에서 2개의 측면프레임이 삽입된 수직클램프(20)를 관통하여 너트(18a)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Clamp for joint bracket using a floating construction}
본 고안은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의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부력튜브와 발판 등의 조립을 위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키도록 한 조립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브라켓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제공되는 연결부위에 쐐기식 클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해당 연결부위와 견고히 결속되도록 한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역이나 호수 등과 같은 수역(水域)에 설치되는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 등은,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엮어서 계류물을 설치한 다음, 이 계류물상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이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가두리용 그물 또는 선박의 접안에 필요한 그물로프나 완충범퍼 등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를 사용하여 가두리시설이나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계류구조물의 설치 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력재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계류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부력재로부터 떨어져 나온 파편 들이 바다나 호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제조된 부력튜브(5)와 발판(3) 및 핸드레일(4)과 핸드레일 포스트(2)로 이루어지는 난간 등을 연결브라켓(10)을 토대로 하여 연결 설치함으로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각종 계류구조물(1)을 시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류구조물(1)은, 부력튜브(5)나 발판(3) 또는 난간 등의 조립작업은 연결브라켓(10)을 기초로 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나, 각각의 연결브라켓(10)을 좌,우 측방향으로 정확하게 맞대어 계류구조물(1)의 실질적인 베이스(Base)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조립수단이 제공되지 아니함으로서, 연결브라켓(10)간의 결합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결브라켓의 일측에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연결브라켓의 타측에는 인접한 연결브라켓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구멍을 형성시킴으로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연결 설치토록 한 것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438582호(공고일자: 2008년 02월 21일)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을 제공하게 되면, 연결브라켓간의 조립작업은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지만, 계류구조물을 최종적으로 설치한 후에는 계류구조물의 외곽측에 배치되는 연결브라켓을 통하여 원형파이프로서의 돌출부나 원통형 구멍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계류구조물의 외관 형상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계류구조물의 외곽측에 배치되어 원형파이프가 삽입되지 아니하는 연결브라켓의 원통형 구멍으로 말미암아 계류구조물의 구조적인 강도가 취약하게 됨은 물론이고, 계류구조물의 외곽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브라켓의 원형파이프 부분이 선박 등과 부딪혀 계류구조물이나 선박의 파손 우려 또한 높게 되므로, 계류구조물의 설치 후 파이프 부분을 잘라내거나 원통형 구멍을 메우는 등의 불필요한 마감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마감작업을 배제시키기 위해서는, 원형파이프나 원통형 구멍 중에서 하나가 형성되지 않은 연결브라켓를 추가로 구비시켜야 함으로서, 계류구조물의 설치를 위하여 3종류의 연결브라켓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각각의 연결브라켓을 사출 성형하는 금형 또한 종류별로 다르게 구비되어야 함으로서 금형비용의 부담이 매우 크게 됨은 물론이고, 계류구조물의 시설에 필요한 연결브라켓 제품의 원가상승 및 시설비용의 증대를 유발시키는 비경제적인 요인이 된다.
이와 더불어, 원형파이프와 원통형 구멍이 형성된 연결브라켓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수상가두리용 발판과 같은 계류구조물을 설치하는 것 또한 시설강도나 외관상 매우 부적절하게 되므로,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이 구비된 연결브라켓 제품의 호환성(互換性)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단일 종류의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다양한 계류구조물의 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경제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연결브라켓 자체에 제공된 암수 형태의 원형파이프와 원통형 구멍을 사용하여 연결브라켓을 조립하게 되면, 원형파이프와 원통형 구멍의 용이한 결합과 원형파이프의 파손 방지를 위하여 여유틈새가 제공된 헐거운 끼워맞춤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틈새 간격으로 말미암아 연결브라켓간의 조립시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조립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연결브라켓간의 조립시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연결브라켓을 기초로 하여 조립되는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또한 최초의 설계와 어긋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은 계류구조물의 전체적인 시설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강풍이나 파랑(波浪)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계류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을 억지로 끼워 맞추게 되면, 결합부분의 사출성형치수가 일정치 않아 연결브라켓의 결합시 해머 등을 이용한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결합시켜야 하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빈번한 충격으로 말미암아 연결브라켓 제품이 쉽게 파손되며, 계류구조물(1)의 유지 및 보수시에도 연결브라켓간의 탈착작업이 매우 어렵고, 강제적인 탈착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을 형성시킨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계류구조물(1)을 시설하거나, 시설된 계류구조물(1)을 유지 및 보수하는 작업은 오로지 육상에서만 가능하고, 종래의 연결브라켓을 수상에서 결합시켜 계류구조물(1)을 시설하거나 유지 및 보수작업을 수상에서 수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계류구조물(1)의 시설과 유지보수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연결브라켓은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과 더불어 연결브라켓을 볼트와 너트로 직접 결합시키도록 함에 따라, 부잔교(浮棧橋)와 같은 계류구조물(1)의 거동시 볼트체결용 구멍의 유격이 커지면서 연결브라켓간의 결합부위에 심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 또한 계류구조물(1)의 구조적 강도를 크게 저하시켜 계류구조물(1)의 수명과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브라켓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제공되는 연결부위에 쐐기식 클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해당 연결부위와 견고히 결속되게 함으로서, 연결브라켓 자체에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을 제공한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 과정에서의 제품 파손을 방지하고, 조립체의 손쉬운 착탈작업이 가능하며, 연결브라켓의 사출성형에 필요한 금형비용을 절감시키고, 연결브라켓의 단독사용 및 조립체로의 연결사용이 모두 가능한 호환성 있는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연결브라켓의 프레임 형상에 맞추어 조립되는 쐐기식 조립체에 의하여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계류구조물의 손쉽고 정확한 설치 및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함은 물론, 계류구조물의 시설강도를 보강하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은, 사각틀 형상의 지지살 프레임 하부 또는 내부에 부력튜브용 튜브링이 제공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서 계류구조물의 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한 연결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 조립체는, 각 연결브라켓의 측면프레임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를 따라 끼움식으로 설치되는 조립용 클램프와, 상기 조립용 클램프를 측면프레임과 일체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볼트 및 너트가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용 클램프의 일실시예로서는, 연결부위를 이루도록 맞대어진 2개의 측면프레임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클램프가 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2개의 측면프레임이 삽입된 조립용 클램프를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용 클램프의 최적 실시예로서는, 연결부위를 이루도록 맞대어진 2개의 측면프레임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직클램프와, 측면프레임과 연결된 수평 방향의 지지살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평클램프가 교차된 열십자 형태의 클램프가 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조립용 클램프 중에서 2개의 측면프레임이 삽입된 수직클램프를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열십자형 조립용 클램프 중에서 조립부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클램프의 일측 표면에는 수직클램프와 수평클램프를 따라 보강테두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립용 클램프가 측면프레임끼리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1개씩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브라켓의 지지살 프레임과 쐐기식으로 끼워 맞춰지는 조립용 클램프에 의하여 연결브라켓간의 손쉽고 정확한 결합작업과 우수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결브라켓 제품의 파손없이 최초 계획된 설계대로 계류구조물의 정확한 시설이 가능함은 물론, 그 시설강도 또한 충분하게 확보토록 함으로서, 강풍이나 파랑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계류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연결브라켓 자체에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을 형성시키지 않고 클램프 형태의 조립체로서 연결브라켓의 연결작업이 가능토록 함에 따라, 계류구조물의 외곽측을 통하여 구멍이나 돌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계류구조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해당 구멍으로 말미암아 계류구조물의 구조적인 강도가 취약하게 되거나, 돌출부가 선박 등과 부딪혀 야기되는 계류구조물이나 선박의 파손 우려 또한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돌출부 부분을 잘라내거나 구멍을 메우는 등의 불필요한 마감작업을 배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조립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상에서 연결브라켓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계류구조물의 시설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연결브라켓이 파손없이 분리되어 제품의 재활용성 또한 매우 우수하게 되며, 체결볼트가 조립용 클램프와 결속되므로 부잔교와 같은 계류구조물의 거동시 발생하는 연결브라켓의 손상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조립체를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연결브라켓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고, 암수를 구분하여 여러 종류의 연결브라켓을 따로 제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브라켓의 사출 성형에 필요한 금형비용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연결브라켓 제품의 원가상승 및 시설비용의 증대 또한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연결브라켓의 단독사용 및 조립체로의 연결사용이 모두 가능한 호환성 있는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서, 단일 종류의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다양한 계류구조물의 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경제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잇점을 제공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된 계류구조물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요부를 이루는 조립용 클램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의 (가) 및 (나)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요부를 이루는 조립용 클램프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하여 제공되는 연결브라켓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브라켓 조립체는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부력튜브(5)와 발판(3) 및 핸드레일(4)과 핸드레일 포스트(2)로 이루어지는 난간 등의 조립을 위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10)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각종 계류구조물(1)의 시설을 위한 베이스를 구축토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브라켓(10)은 도 2 내지 도 7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보강테(16)와 측면보강테(14)가 제공하는 사각틀의 내부에 수평살(11a)과 수직살(11b)이 교차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부력튜브(5)용 튜브링(12)과, 상기 상단보강테(16)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발판(3) 및 핸드레일 포스트(2)용 조립단부(13)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7에서는 2개의 튜브링(12)이 제공된 연결브라켓(10)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조립체로 결합시키는 것을 대표적인 예로 도시하였으나, 계류구조물(1)의 종류나 크기 등에 맞추어 연결브라켓(10)이 조립되는 개수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며, 통상 1개 내지 4개 정도의 튜브링(12)이 연결브라켓(10)에 제공되므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튜브링(12)의 개수가 1개나 3개 또는 4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경우에도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수평살(11a)과 수직살(11b)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격자형 지지살의 좌,우측면과 상단면을 따라 테두리 형태의 측면보강테(14)와 상단보강테(16)가 추가로 배치됨으로서, 튜브링(12)이 형성되는 하측 부분을 제외하고 개략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측면보강테(14)와 상단보강테(16) 부분을 제외한 내부측 지지살의 배치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10)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연결브라켓 조립체의 일실시예는, 도 2와 도 3 및 도 8의 (가)와 도 9의 (가)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브라켓(10)의 측면보강테(14)가 맞대어지는 연결부위를 따라 수평살(11a)의 사이를 통하여 끼움식으로 설치되는 조립용 클램프(17)와, 상기 조립용 클램프(17)를 측면보강테(14)와 일체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볼트(18) 및 너트(18a)가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클램프(17)는, 연결부위를 이루도록 맞대어진 2개의 측면보강테(14)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클램프(Clamp)가 되고, 조립용 클램프(17)의 높이는 지지살 프레임(11)을 이루는 수평살(11a)의 배치간격이 되며, 상기 체결볼트(18)는 2개의 측면보강테(14)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용 클램프(17)를 관통하여 너트(18a)와 체결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각 연결브라켓(10)의 측면보강테(14)와 조립용 클램프(17)에는 체결볼트(18)의 결속을 위한 체결공(14a)(17a)이 대응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상 조립용 클램프(17)의 상,하단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체결볼트(18)가 사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볼트(18)의 사용갯수 역시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고, 볼트(18)와 너트(18a)에 의한 체결방식 대신에 리벳이음(Rivet joint) 방식을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브라켓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와 도 5 및 도 8의 (나)와 도 9의 (나)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브라켓(10)간의 연결부위를 이루도록 맞대어진 2개의 측면보강테(14)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직클램프(20)와, 측면보강테(14)와 연결된 지지살 프레임(11)의 수평살(11a)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평클램프(21)가 교차된 열십자(十) 형태의 조립용 클램프(19)와, 상기 조립용 클램프(19)를 측면보강테(14)와 일체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볼트(18) 및 너트(18a)가 된다.
따라서, 수직클램프(20)가 제공하는 "ㄷ"자 형상의 끼움간격은 수평클램프(21)가 제공하는 "ㄷ"자 형상의 끼움간격보다 넓게 되며, 각각의 끼움간격은 2개의 측면보강테(14)가 맞대어진 두께 및 하나의 수평살(11a)이 이루는 두께와 동일한 간격이 되도록 함으로서, 수직클램프(20)와 수평클램프(21)가 포함된 조립용 클램프(19)가 연결브라켓(10)의 지지살 프레임(11) 배치형태에 맞추어 1차적으로 견고하게 끼움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체결볼트(18)는 조립용 클램프(19) 중에서 2개의 측면보강테(14)가 삽입된 수직클램프(20)를 관통하여 너트(18a)와 체결 설치되는 바, 연결브라켓(10)간의 견고한 조립을 위하여 체결볼트(18)가 설치되는 위치는 수평클램프(21)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수직클램프(20)의 상단부 및 수직클램프(20)의 하단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클램프(19)에 있어서도, 체결볼트(18)가 설치되는 위치 및 개수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고, 볼트(18)와 너트(18a)에 의한 체결방식 대신에 리벳이음 방식을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연결브라켓(10)의 측면보강테(14)와 수직클램프(20)에는 체결볼트(18)의 결속을 위한 체결공(14a)(19a)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브라켓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조립용 클램프(19)에 있어, 조립부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클램프의 일측 표면(도면상 전방면)에 수직클램프(20)와 수평클램프(21)를 따라 보강테두리(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도 4 및 도 5를 기초로 한 설명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부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조립용 클램프(19)의 일측면에 보강테두리(22)를 형성시키게 되면, 조립용 클램프(19)를 연결브라켓(10)에 끼움식으로 조립하는 작업이나 조립용 클램프(19)를 연결브라켓(1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조립용 클램프(19)의 구조적인 강도 및 이를 기초로 한 연결브라켓(10)간의 결합력과 지지력을 한층 더 보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연결브라켓 조립체를 이루는 각각의 조립용 클램프(17)(19)는 스테인레스 스틸(STS)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필요시에는 연결브라켓(10)과 동일한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해수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계류구조물(1)의 시설에 요구되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소재를 적용시키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각각의 조립용 클램프(17)(19)를 측면보강테(14)의 폭과 동일한 치수로 제조한 다음, 도 9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측면보강테(14)끼리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1개의 조립용 클램프(17)(19)를 끼움 설치할 수도 있고, 각각의 조립용 클램프(17)(19)를 측면보강테(14) 폭의 1/2에 해당하는 치수로 제조한 다음, 도 10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측면보강테(14)끼리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조립용 클램프(17)(19)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열십자 형태를 가지는 본 고안의 조립용 클램프(19)에 있어, 수직클램프(20)와 수평클램프(21)가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는 부분이 부드러운 곡면부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조립용 클램프(19)의 끼움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테두리(22)의 모서리측 또한 부드러운 곡면부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를 사용하여 연결브라켓(10)을 측방향으로 결합시킨 다른 예시도로서, 1개의 튜브링(12)이 구비된 연결브라켓(10)의 양측에 2개의 튜브링(12)이 구비된 연결브라켓(10)을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체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를 사용하여 연결브라켓(10)을 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식이 존재함은 물론이고, 첨부된 도면에서는 연결브라켓(10)간의 연결부위에 1개의 조립용 클램프(17) (19)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연결브라켓(10)의 지지살 프레임(11)이 제공하는 높이에 맞추어, 연결브라켓(10)간의 연결부위를 따라 2개 또는 3개의 조립용 클램프(17)(19)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9년 특허출원 제 51018호로 출원되어 제 10-944183호로 특허 등록된 사각 형상의 연결브라켓(10')을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를 사용하여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브라켓(10')의 외관 형상만이 상이할 뿐이고,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의 구성과 그 적용방식은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13에 도시된 사각형 연결브라켓(1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열융착 방식의 적용을 위하여 소정의 접착폭을 가지면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프레임(15)과, 상기 사각프레임(15)의 내부 중앙측에서 지지살(1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부력튜브(5) 삽입용 튜브링(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각프레임(15)의 외측면에는 상,하부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상에 조립핀(15a)과 조립공(15b)이 각각 대응 형성됨으로서,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브라켓(10')을 부력튜브(5)와 함께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방식이 된다.
한편, 사각프레임(15)의 내부에는 튜브링(12)의 외측에서 튜브링(12)과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는 외곽지지링(23)이 설치되고, 사각프레임(15)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는 보조튜브링(24)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살(11')은 튜브링(12)을 중심으로 하여 외곽지지링(23) 및 각각의 보조튜브링(24)을 거쳐 사각프레임(15)의 내주면까지 연결되는 방사상의 지지살(11')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사각 형상의 연결브라켓(10')에 있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클램프(17)는 각 연결브라켓(10')의 사각프레임(15)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에 끼움식으로 설치되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클램프(19)는 각 연결브라켓(10')의 사각프레임(15)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 및 수평 방향의 지지살(11')을 기초로 하여 끼움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연결브라켓(10') 및 그 결합방식 또한 하나의 대표적인 예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부력튜브(5)용 튜브링(12)이 사각프레임(15)의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살(11')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의 연결브라켓(10')에도 본 고안의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연결브라켓(10')을 수평 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용 클램프(17)(19)와 체결볼트(18) 및 너트(18a)를 사용하여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10)(10')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조립시키게 되면, 연결브라켓(10)(10')의 프레임 구조에 맞추어 쐐기식으로 끼워지는 조립용 클램프(17)(19)에 의하여,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연결브라켓(10)(10')간의 손쉽고 정확한 결합작업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연결브라켓(10)(10')간의 결합력 또한 매우 우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연결브라켓(10)(10')을 기초로 조립되는 부력튜브(5)와 발판(3) 및 난간 등을 최초의 설계대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류구조물(1)의 전체적인 시설강도 또한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서, 강풍이나 파랑(波浪)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계류구조물(1)의 수명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연결브라켓(10)(10') 자체에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을 형성시키지 않고 쐐기식 클램프(Clamp)형 조립체로서 연결브라켓(10)(10')의 결합작업이 가능토록 함에 따라, 계류구조물(1)의 외곽측에 배치되는 연결브라켓(10)(10')을 통하여 돌출부나 구멍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계류구조물(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외곽측에 배치되는 연결브라켓(10)(10')의 조립시 본 고안의 조립체를 계류구조물(1)의 내측 방향에 설치하면, 계류구조물(1)의 외곽측을 통하여 조립체가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계류구조물(1)의 외곽측으로 노출되는 구멍으로 말미암아 계류구조물(1)의 구조적인 강도가 취약하게 되거나, 계류구조물(1)의 외곽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선박 등과 부딪혀 야기되는 계류구조물(1)이나 선박의 파손 우려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계류구조물(1)의 설치 후 돌출부 부분을 잘라내거나 구멍을 메우는 등의 불필요한 마감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립용 클램프(17)(19)를 이용하여 수상에서 연결브라켓(10) (1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육상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계류구조물(1)의 시설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연결브라켓(10)(10')을 파손없이 분리시켜 제품의 재활용성 또한 매우 우수하게 되며, 체결볼트(18)가 조립용 클램프(17)(19)와 결속되므로 부잔교와 같은 계류구조물(1)의 거동시 발생하는 연결브라켓(10)(10')의 손상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조립체를 사용하게 되면,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이 형성되지 아니한 기존의 연결브라켓(10)(10')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고, 암수 형태의 조립수단이 모두 형성된 연결브라켓과 암수 중에서 하나의 조립수단만이 형성된 연결브라켓을 따로 제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브라켓(10)(10')의 사출 성형에 필요한 금형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결브라켓(10)(10') 제품의 원가상승 및 시설비용의 증대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연결브라켓(10)(10')을 조립체로 연결하여 각종 계류구조물(1)의 베이스를 구축하는 작업 뿐만 아니라, 연결브라켓(10)(10')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수상가두리용 발판과 같은 계류구조물(1)을 설치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게 됨으로서, 연결브라켓(10)(10') 제품의 호환성(互換性)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종류의 연결브라켓(10)(10')을 사용하여 다양한 계류구조물(1)의 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경제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1 : 계류구조물 2 : 핸드레일 포스트 3 : 발판
4 : 핸드레일 5 : 부력튜브 10,10' : 연결브라켓
11 : 지지살 프레임 11' : 지지살 11a : 수평살
11b : 수직살 12 : 튜브링 13 : 조립단부
14 : 측면보강테 15 : 사각프레임 15a : 조립핀
15b : 조립공 16 : 상단보강테 17,19 : 조립용 클램프
18 : 체결볼트 18a : 너트 20 : 수직클램프
21 : 수평클램프 22 : 보강테두리 23 : 외곽지지링
24 : 보조튜브링

Claims (7)

  1. 삭제
  2. 상단보강테(16)와 측면보강테(14)가 제공하는 사각틀의 내부에 수평살(11a)과 수직살(11b)이 교차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부력튜브(5)용 튜브링(12)과, 상기 상단보강테(16)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발판(3) 및 핸드레일 포스트(2)용 조립단부(13)가 포함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10)을 측면보강테(14)끼리 맞대어 측방향으로 결합시킴으로서 계류구조물(1)의 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한 연결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 조립체는, 각 연결브라켓(10)의 측면보강테(14)가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에 끼움식으로 설치되는 조립용 클램프(19)와, 상기 조립용 클램프(19)를 측면보강테(14)와 일체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볼트(18) 및 너트(18a)가 되며,
    상기 조립용 클램프(19)는, 연결부위를 이루도록 맞대어진 2개의 측면보강테(14)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직클램프(20)와, 측면보강테(14)와 연결된 지지살 프레임(11)의 수평살(11a)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평클램프(21)가 교차된 열십자(十) 형태의 클램프가 되며,
    상기 체결볼트(18)는 조립용 클램프(19) 중에서 2개의 측면보강테(14)가 삽입된 수직클램프(20)를 관통하여 너트(18a)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클램프(19) 중에서 조립부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클램프(19)의 일측 표면에는 수직클램프(20)와 수평클램프(21)를 따라 보강테두리(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4. 삭제
  5. 소정의 폭을 가지는 사각틀 형상의 사각프레임(15)과, 상기 사각프레임(15)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력튜브(5)용 튜브링(12)과, 상기 튜브링(12)을 사각프레임(15)의 내부에서 지지토록 하는 방사상의 지지살(11')이 포함된 다수 개의 연결브라켓(10')을 측방향으로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서 계류구조물(1)의 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한 연결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 조립체는, 각 연결브라켓(10')의 사각프레임(15)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에 끼움식으로 설치되는 조립용 클램프(19)와, 상기 조립용 클램프(19)를 사각프레임(15)과 일체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볼트(18) 및 너트(18a)가 되며,
    상기 조립용 클램프(19)는, 연결부위를 이루도록 맞대어진 2개의 사각프레임(15) 부분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직클램프(20)와, 사각프레임(15)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지지살(11')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수평클램프(21)가 교차된 열십자(十) 형태의 클램프가 되며,
    상기 체결볼트(18)는 조립용 클램프(19) 중에서 2개의 사각프레임(15)이 삽입된 수직클램프(20)를 관통하여 너트(18a)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클램프(19) 중에서 조립부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클램프(19)의 일측 표면에는 수직클램프(20)와 수평클램프(21)를 따라 보강테두리(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7. 제 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클램프(17)(19)는 연결브라켓(10)(10')이 측방향으로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1개씩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KR2020110005098U 2011-06-08 2011-06-08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KR200466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98U KR200466457Y1 (ko) 2011-06-08 2011-06-08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98U KR200466457Y1 (ko) 2011-06-08 2011-06-08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77U KR20120008677U (ko) 2012-12-18
KR200466457Y1 true KR200466457Y1 (ko) 2013-04-16

Family

ID=5138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098U KR200466457Y1 (ko) 2011-06-08 2011-06-08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64A (ko) * 2018-05-09 2019-11-19 (주)해광테크 해양시설용 발판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78B1 (ko) *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719049B1 (ko) * 2015-02-12 2017-03-23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조립식 해상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08A (ko) * 2011-05-27 2012-12-05 박용주 브라켓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08A (ko) * 2011-05-27 2012-12-05 박용주 브라켓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64A (ko) * 2018-05-09 2019-11-19 (주)해광테크 해양시설용 발판 연결구
KR102141120B1 (ko) * 2018-05-09 2020-08-04 권오성 해양시설용 발판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77U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265B1 (ko) 풍력 발전소 및 풍력 발전소 타워 세그먼트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CN102482860B (zh) 海上支撑结构和相关的安装方法
CN106869329B (zh) 装配式钢板混凝土剪力墙现场拼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100935240B1 (ko) 다목적 계류장치
KR101277117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KR200466457Y1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KR101222070B1 (ko) 섬유보강복합소재 관과 강관의 합성에 의한 비말대 구간의 부식방지구조를 가지는 해상 기초말뚝 및 그 시공방법
CN202279217U (zh) 插销式脚手架
KR101285522B1 (ko) 부력 구조물
KR101789411B1 (ko)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KR101172032B1 (ko) 해양 어업용 가두리 구조물
CN201786008U (zh) 外爬架自动跟进卸料平台
CN208899471U (zh) 一种抱箍整体式钢管桩间平联及斜撑结构
KR101270949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KR101609837B1 (ko) 상하부힌지받침구조가 거더에 결합된 개선된 라멘교량 및 이를 이용한 개선된 라멘 교량의 시공방법
KR100641960B1 (ko)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을 이용한 수중 기초구조물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CN205857380U (zh) 一种榫式柱连接结构
JP5331724B2 (ja) 仮設桟橋および仮設桟橋の施工方法
JP736337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工法
KR200447721Y1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CN108252563B (zh) 可拆卸式铁塔连梁及输电铁塔
KR200437188Y1 (ko)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
CN203795610U (zh) 混凝土框架结构的钢板焊接式梁柱节点
KR101408679B1 (ko) 복합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증설 및 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