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244Y1 -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 Google Patents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244Y1
KR200466244Y1 KR2020100001052U KR20100001052U KR200466244Y1 KR 200466244 Y1 KR200466244 Y1 KR 200466244Y1 KR 2020100001052 U KR2020100001052 U KR 2020100001052U KR 20100001052 U KR20100001052 U KR 20100001052U KR 200466244 Y1 KR200466244 Y1 KR 200466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odule
protection circuit
battery cell
built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0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7761U (en
Inventor
최찬혁
이보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2020100001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44Y1/en
Publication of KR20110007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6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4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접속시키는 양극접속플레이트와; 상기 음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접속시키는 음극접속플레이트와; 상기 양,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과열에 따른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소자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 홀더, 양, 음극접속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소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일측에 형성된 내장관통부에 내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소자를 보호회로모듈 상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내장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의 결합 공정을 간소화시켜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조 단가도 감소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comprising: a battery cell includ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 protection circuit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to prevent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positive terminal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 negative electrod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 safety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to prevent damage and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battery cell; A hold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upled to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n upper case provided to receiv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 holder,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a lower c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safety device is installed in a built-in through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ccordingly, by forming a penetrating portion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o embed the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height of the battery pack, simplifying the battery pack coupling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o increasing efficiency, manufacturing costs can also be reduced.

Description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팩{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본 고안은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소자를 보호회로모듈 상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내장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배터리 팩의 결합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penetrating part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o embed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a battery ce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that can reduce height and simplify the battery pack coupling process.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인너형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In general, an inner battery pack used as a power sour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are combined.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Here, the battery cell is a form in which an electrode laminated unit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is accommodated in a metal casing,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installed outside the battery cell to prevent the risk of explosion and overcharge of the battery.

즉,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포장된 구조이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최근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That is, the battery pa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packaged in a unit form, and such a battery pack has become smaller, thinner, and lighter according to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It is required.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양, 음극접속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positive and negative connection plates for interconnec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battery cell.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 또는 보호회로모듈의 과열에 따른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소자와 상기 안전소자를 상기 양, 음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각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접속지지부재가 보호회로모듈의 일측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safety element for preventing damage and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battery cell or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each lead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afety element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 connection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lead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설치되는 안전소자와 각 리드부 및 접속지지부재의 높이에 의해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battery pack is increased by the height of the safety element installed i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the height of each lead portion and the connection supporting member.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 상에 설치될 상기 안전소자와 각 리드부 및 접속지지부재의 결합을 위한 용접공정이 추가되어 공정 상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도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elding process for the coupling of the safety element to be installed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each lead porti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is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s well as the process inefficie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소자를 보호회로모듈 상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내장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element for protecting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by forming a penetrating part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o form a whole of the battery pac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that can reduce its heigh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팩의 결합 공정을 간소화시켜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조 단가도 감소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having a safety device built therein, which simplifies the battery pack coupling process,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접속시키는 양극접속플레이트와; 상기 음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접속시키는 음극접속플레이트와; 상기 양,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과열에 따른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소자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 홀더, 양, 음극접속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소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일측에 형성된 내장관통부에 내장 설치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cell compris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 protection circuit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to prevent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positive terminal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 negative electrod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 safety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to prevent damage and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battery cell; A hold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upled to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n upper case provided to receiv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 holder,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a lower c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safety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built-in through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여기서, 상기 내장관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전소자가 거치되어 지지되는 거치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mounting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safety devic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through part.

여기서, 상기 거치돌출부는 상기 내장관통부의 내주면을 따라 전체 또는 일부분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Herein, the mounting protrusion may protrude in whole or in par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through portion.

또한, 상기 안전소자는 단면을 기준으로 외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연결도금부와 음극연결도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ing portion and a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ing portion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based on the cross section,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상기 안전소자가 보호회로모듈에 내장된 후, 상기 내장관통부의 상, 하부에 접착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the built-in safety device may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adher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uilt-in through part after the safety device is embedded 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한편,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는 측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1
'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부가 상기 양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면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면부에는 양극접속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is based on the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1
It is provided in a 'shape, the bottom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the top su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through the anode connection hole.

또한, 상기 음극접속플레이트는 정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2
'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부가 상기 음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면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면부에는 음극접속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hode connection plate is based on the front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2
It is provided in a 'shape, the bottom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he top su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through the cathode connection hole.

여기서, 상기 홀더의 측부면 또는 양측부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holder, and the upper cas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와 음극접속플레이트는 니켈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nickel plate.

또한, 상기 안전소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 또는 써멀 브레이커(Thermal Breaker)소자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may be provided as any one of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or a Thermal Breaker device.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와 음극접속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위치에 용접봉이 삽입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 1, 2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through parts formed to insert the electrode at a posit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 및 음극접속플레이트와 점 용접(Spot Welding)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may be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by spot welding.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양, 음극접속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상기 양, 음극단자를 점 용접으로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battery cell to be coupl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arts by spot welding.

본 고안에 의해,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소자를 보호회로모듈 상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내장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enetrating part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o protect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height of the battery pack.

또한, 배터리 팩의 결합 공정을 간소화시켜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조 단가도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pack may be simplifi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reduced.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결합사시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specific cont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bove-described desig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following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incorporat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shoul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design in the best way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결합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having a built-in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4)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10)과; 상기 배터리 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20)과; 상기 양극단자(12)와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을 접속시키는 양극접속플레이트(30)와; 상기 음극단자(14)와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을 접속시키는 음극접속플레이트(40)와; 상기 양, 음극단자(12, 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열에 따른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소자(50)와;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4)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72, 74)가 마련된 홀더(7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20), 홀더(70), 양, 음극접속플레이트(30, 4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80)와; 상기 배터리 셀(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9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소자(5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의 일측에 형성된 내장관통부(26)에 내장 설치된다.1 to 3,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hav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10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A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0 to prevent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10;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30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A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connecting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o each other; A safety device (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12, 14) to prevent breakage and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battery cell (10); A holder 7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and having openings 72 and 74 formed at positions coupled to the positive terminal 12 and the negative terminal 14 of the battery cell 10; An upper case 80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he holder 70,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nection plates 30 and 40,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And a lower case 9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wherein the safety device 50 is installed in a built-in through part 26 formed at on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배터리 셀(10), 보호회로모듈(20), 양극접속플레이트(30), 음극접속플레이트(40), 안전소자(50), 홀더(70), 상, 하부케이스(80, 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battery cell 10, a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30, a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a safety device 50, Holder 70, upper and lower cases 80, 90 are included.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10)은 상부에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4)가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셀(1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구성되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 내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cell 10 is provided with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thereon, the battery cell 10 is a form in which an electrode laminated unit consisting of a negative electrode sheet and a positive electrode sheet is accommodated in a metal casing It can be prepared as.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cell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즉,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or a lithium ion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른 배터리와 비교 시 크기에 비해 대용량 전압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 전원공급이 장시간 동안 지속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관리가 편리한 리튬이온 방식의 배터리 셀(10)로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attery cell 10 is capable of charging a large-capacity voltage compared to the size compared to other batteries, the power supply is sustainable for a long time after charging, and is composed of a single battery for easy management The battery cell 10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며, 또는 배터리 셀(10)에 마련된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4) 간의 단락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is provided to prevent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10, to prevent the inflow of overcurrent of the battery cell 10, or the positive electrode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10 It serves to block a short circuit between the terminal 12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즉,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은 배터리 셀(10)의 이상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조 시 상기 배터리 셀(10)과 연결되어 작동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0 during manufacturing to ensure safety from the abnormality of the battery cell 10, and extends the service life of the battery cell 10 Play a role.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은 후술하여 설명할 양, 음극접속플레이트(30, 40)가 결합되는 위치에 용접봉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2 관통부(22, 24)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20 may b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22 and 24 for inserting a welding rod at a position at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s 30 and 40 are coupl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여기서,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30)는 상기 양극단자(12)와 보호회로모듈(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측면을 기준으로 대략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3
'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부가 상기 양극단자(12)에 연결되며, 상면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연결되며, 상기 저면부에는 양극접속관통홀(32)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30 is a compon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and approximately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3
It is provided in a 'shape, the bottom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ositive connection hole 32.

여기서, 상기와 같이 양극접속플레이트(30)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회로모듈(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Here, by forming the shape of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30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disposed on the battery cell 1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30)의 저면부에는 관통형성되는 양극접속관통홀(3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portion of the anode connection plate 30 may be formed through the anode connection hole 32 is formed through.

여기서, 상기 양극접속관통홀(32)은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30)와 양극단자(12)가 점 용접(spot welding)으로 결합될 때, 모재의 저항을 일정치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anode connecting hole 32 is configured to ensure th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when the anode connecting plate 30 and the anode terminal 12 are coupled by spot welding. Element.

상기 점 용접은 겹쳐 놓은 모재를 용접봉으로 누르고, 여기에 전류를 통하면 접촉면의 저항이 크므로 발열하게 되며, 본 발열에 의하여 재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모재 자체의 저항이 커져서 온도는 더욱 상승하며, 여기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용접을 하는 것이 방식이다.The spot welding presses the overlapping base material with a welding rod, and if the current passes through it, the contact surface has a large resistance, thereby generating heat. Th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increases due to the heat generation, and th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itself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This is a method of welding by applying a strong pressure to it.

여기서, 상기 점 용접이 용이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모재의 저항이 확보되어야 하며, 모재의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선로의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Here, in order for the spot welding to proceed easily, th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must be secured, and th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line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따라서,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30)의 저면부에 양극접속관통홀(32)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접속관통홀(32)을 기준으로 양측에 용접봉을 배치시켜 전류를 가하면, 전류의 흐름이 상기 양극접속관통홀(3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Therefore, when the anode connection hole 3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ode connection plate 30, and electrod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node connection hole 32 to apply current, the flow of current is increased. It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anode connection through hole (32).

즉, 상기 양극접속관통홀(32)을 형성함으로써, 용접봉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선로의 길이를 인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재의 저항도 비례하여 증대되게 되어 점 용접 공정이 신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the anode connecting hole 32, it is possible to artificially increase the length of the line of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welding rods,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in proportion to perform the spot welding process reliably Can be.

또한, 상기 점 용접 공정이 신뢰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30)와 양극단자(12) 간의 용접부분의 접합강도가 향상되는 추가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pot welding process is reliably performed, an additional effect of improving the joint strength of the welded portion between the anode connecting plate 30 and the anode terminal 12 may be achieved.

한편, 상기 음극접속플레이트(40)는 상기 음극단자(14)와 보호회로모듈(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정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4
'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부가 상기 음극단자(14)에 연결되며, 상면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연결되며, 상기 저면부에는 음극접속관통홀(42)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is a compon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based on the front '
Figure 112010006384264-utm00004
It is provided in a 'shape, the bottom portion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athode connection through hole 42.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음극접속플레이트(40)의 형상을 형성하고, 보호회로모듈(20)과 접촉되는 상면부를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회로모듈(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shap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by form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20,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disposed above may be more s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음극접속플레이트(40)의 저면부에는 관통형성되는 음극접속관통홀(4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may be formed through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hole 42 is formed through.

여기서, 상기 음극접속관통홀(42)은 상기 음극접속플레이트(40)와 음극단자(14)가 점 용접(spot welding)으로 결합될 때, 모재의 저항을 일정치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hole 42 is formed to secure th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when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are coupled by spot welding. Element.

즉, 상기 음극접속관통홀(42)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하여 설명한 양극접속플레이트(30)에서와 같이, 용접봉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선로의 길이를 인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재의 저항도 비례하여 증대되게 되어 점 용접 공정이 신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the cathode connecting hole 42, as in the anode connecting plate 30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line of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artificially increased, and thus th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is also increased.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pot wel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reliably.

또한, 상기 음극접속플레이트(40)는 상부면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플레이트(4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연장플레이트(44)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장착되는 각종 전자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hode connection plate 40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late 44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extension plate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electronic elements mounted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Can be connected.

한편, 상기 안전소자(50)는 상기 배터리 셀(10) 또는 보호회로모듈(20)의 과열에 따른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의 일측에 형성된 내장관통부(26)에 내장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afety device 50 is a component for preventing damage and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battery cell 10 or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built-in through th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he unit 26 may be built in.

여기서, 상기 내장관통부(26)는 상기 안전소자(5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관통부(24)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내장관통부(26)의 형성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built-in through part 26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afety element 50 is accommodated,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through part 24.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built-in through part 26 is not limited to this.

여기서,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내장관통부(26)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전소자(50)가 거치되어 지지되는 거치돌출부(25)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ure 2,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through portion 26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rojection 25, the safety element 50 is mounted and supported.

여기서, 상기 거치돌출부(25)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내장관통부(26)의 내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에 따라 안전소자(50)의 지지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내장관통부(26)의 내주면을 따라 미리 지정된 일부분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mounting protrusion 25 may be provided to protrude as a who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through portion 26 as shown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upports the safety element 50 according to a design.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por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through portion 26 so that can be implemented.

아울러, 상기 안전소자(50)는, 상기 거치돌출부(25)에 지지된 후, 도금을 통하여 상기 양극단자(12)와 음극단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50, after being supported by the mounting protrusion 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through the plating and at the same time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20 It is fixed.

여기서, 상기 안전소자(50)는, 도 2 에서와 같이, 단면을 기준으로 외면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양극연결도금부와 음극연결도금부를 통해 각각 상기 양극단자(12)와 음극단자(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safety device 50, as shown in Figure 2, through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nection plating portion and the negative connection pla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based on the cross-section, respectively,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안전소자(50)와 연결되는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4)는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의해 양극접속플레이트(30) 및 음극접속플레이트(40)에 접속되어 양, 음극단자(12, 14)에 접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소자(50)가 보호회로모듈(20)에 내장된 후, 상기 내장관통부(26)의 상, 하부에는 절연부재(60)가 접착되어 상기 안전소자(5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실장되는 기타 전자 소자와의 절연이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2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 connected to the safety device 50 are not directly connected, but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30 and the circuit pattern formed o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20. It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and is connected to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12,14.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afety device 50 is embedded 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he insulating member 60 is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ilt-in through portion 26, the safety device 50 and the protection circuit Isolation from other electronic devices mounted in the module 20 can be implemented.

즉,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안전소자(50)를 보호회로모듈(20)에 내장 설치시킴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안전소자를 양, 음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각 리드부 및 이를 지지하는 접속지지부재의 구성이 제외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device 50 is installed 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so that the safety device applied to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The configuration of the lead porti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same may be excluded.

따라서,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가 감소될 뿐 아니라, 상기 리드부 및 접속지지부재의 부품의 제외에 따른 보호회로모듈의 여유 공간 확보될 수 있다.Therefore, not only the overall height of the battery pack is reduced, but also the free sp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ccording to the exclusion of the parts of the lead part and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can be secured.

또한, 상기 리드부 및 접속지지부재의 설치공정이 제외됨으로써, 배터리 팩의 제작 공정이 간소화되며, 부품의 제외에 따라 제조 단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pack is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lead unit and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reduced according to the exclusion of components.

여기서, 상기 안전소자(5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 또는 써멀 브레이커(Thermal Breaker)소자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50 may be provided as one of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or a Thermal Breaker device.

여기서, 상기 PTC소자는 온도가 특정 임계치를 넘으면 전기저항이 거의 무한대로 상승하는 소자이다.Here, the PTC element is an element in which the electrical resistance rises almost infinitely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certain threshold.

따라서, PTC소자는 배터리가 일정 이상의 고온이 되면 충, 방전 전류를 정지시키게 되어, 전지의 파열, 발화 등의 위험이 방지되며, PTC소자는 가역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PTC소자가 작동하여 전류가 차단된 후, 배터리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면 PTC소자의 저항은 다시 감소하여 배터리가 정상 작동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PTC device stops charging and discharging currents when the battery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thereby preventing the battery from rupturing and igniting. Since the PTC device performs a reversible operation, the PTC device operates to generate a current. After the shutdow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decreases, the resistance of the PTC element decreases again so that the battery can operate normally.

또한, 상기 써멀 브레이커소자는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온도 및 전류와 대응하여 동작하는 소자로써, 배터리의 과충전시,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외적 환경에 의해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hermal breaker element is a device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emperature and current using a bimetal. When the battery is overcharged,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increases, or a short circuit occurs due to an external environment, thereby detecting the excess current. Perform an operation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한편, 상기 홀더(7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양, 음극접속플레이트(30, 40)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을 지지하여 구성요소들 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7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seats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nection plates 30, 40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20 to flow between the components Is provided to prevent.

여기서, 상기 홀더(7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과 상기 배터리 셀(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holder 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and the battery cell 10, and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또한, 상기 홀더(7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양, 음극단자(12, 14)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양, 음극접속플레이트(30, 40)를 배치시키기 위한 개구부(72 ,74)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70 has openings 72 and 74 for arrang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s 30 and 40 at positions coupled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12 and 14 of the battery cell 10.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양, 음극접속플레이트(30, 40)는 니켈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은 상기 양, 음극접속플레이트(30, 40)와 점 용접(Spot Welding)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s 30 and 40 may be provided with nickel plates,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may be coupl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s 30 and 40 by spot welding. Can b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10)과 보호회로모듈(20)이 결합된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상기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도록 상부케이스(80)가 마련되고, 배터리 셀(10)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하부케이스(90)가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8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above components on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0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he battery cell The lower case 9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10.

여기서, 상기 홀더(70)의 측부면 또는 양측부면에는 복수의 돌출부(76)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80)에는 상기 돌출부(76)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86)이 형성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protrusions 76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holder 70, and the coupling case 86 is formed on the upper case 8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76. Can be combined.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80)는, 도 1 에서와 같이, 수분의 침투에 의한 배터리 팩의 침수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침수테잎(82)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ase 80, as shown in Figure 1, may further include a submerged tape 82 for checking whether the battery pack is inundated by the penetration of moisture.

여기서 상기 침수테잎(82)은 침수상태 확인용 라벨로서, 배터리 팩에 침수가 발생한 경우, 색의 변화 내지 침수테잎(82)에 표시된 표식의 번짐에 의해 침수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Here, the immersion tape 82 is a label for checking the immersion state, and when immersion occurs in the battery pack, the submerged tape 82 is provided so that the immersion state can be confirmed by the change of color or the bleeding of the mark displayed on the immersion tape 82.

상기 침수테잎(82)은 상기 상부케이스(80)에 마련된 부착부에 부착되어, 상기 배터리 팩의 침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상부케이스(8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mmersion tape 82 may be attached to an attachment part provided in the upper case 80 to check whether the battery pack is immersed, and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upper case 80.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90) 및 배터리 셀(10)의 사이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테잎(19)이 개재되어 상호 결합되며, 상기 양면테잎(19)에 의해 배터리 셀(10)과 하부케이스(9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lower case 90 and the battery cell 10, the double-sided tape 19, the adhesive is applied to both surface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battery cell 10 and the lower portion by the double-sided tape 19 Flow of the case 90 can be prevented.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10)에 안전소자(50)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20), 양, 음극접속플레이트(30, 40), 홀더(70) 및 상, 하부케이스(80, 9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10)의 측부에서부터 정면부 및 배면부를 경유하여 감싸는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20, the positive,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30, 40, the holder 70 and the upper,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cases 80 and 9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case 80 may include a label wrapped from the side of the battery cell 10 via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여기서, 상기 라벨은 상기 배터리 팩의 구성요소 간의 유동을 방지하며 기구적 견고성을 증가시키며, 외면에 문자나 이미지 또는 그래픽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Here, the label prevents flow between components of the battery pack, increases mechanical robustness, and may display one or more of letters, images, or graphics on the outer surface.

즉, 상기 문자나 이미지 또는 그래픽을 통해 제품의 상표나 상품명 또는 제조회사 등의 표시가 가능하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trademark, a brand name, a manufacturer, or the like of the product through the letter, image, or graphic.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소자를 보호회로모듈 상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내장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의 결합 공정을 간소화시켜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조 단가도 감소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by forming a through portion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overall height of the pack can be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while simplifying the battery pack assembly proces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상,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셀 20 : 보호회로 모듈
30 : 양극접속플레이트 40 : 음극접속플레이트
50 : 안전소자 70 : 홀더
80 : 상부케이스 90 : 하부케이스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battery cell 20: protection circuit module
30: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40: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50: safety device 70: holder
80: upper case 90: lower case

Claims (13)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접속시키는 양극접속플레이트와;
상기 음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접속시키는 음극접속플레이트와;
상기 양,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과열에 따른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소자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 홀더, 양, 음극접속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소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일측에 형성된 내장관통부에 내장 설치되며,
상기 내장관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전소자가 거치되어 지지되는 거치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A battery cell comprising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 protection circuit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to prevent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positive terminal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 negative electrod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 safety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to prevent damage and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battery cell;
A hold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upled to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n upper case provided to receiv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 holder, a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a lower c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The safety device is built in the built-in through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The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through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safety device is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출부는 상기 내장관통부의 내주면을 따라 전체 또는 일부분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rotrusion is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ormed in whole or in par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ilt-in 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소자는 단면을 기준으로 외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연결도금부와 음극연결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safety device has a protective circuit module with a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ve connection plate and a negative connection pl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based on the cross-section, respectively Battery pack inclu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은 상기 안전소자가 보호회로모듈에 내장된 후, 상기 내장관통부의 상, 하부에 접착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having the built-in safety device has a built-in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ulating member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uilt-in through, after the safety device is built i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는 측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2068347364-utm00010
'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부가 상기 양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면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면부에는 양극접속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is based on the '
Figure 112012068347364-utm00010
'Is provided in a shape, the bottom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the top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bottom portion is a protective device with a built-in safet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node connection hole is formed Battery pack including a circuit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접속플레이트는 정면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2068347364-utm00011
' 형상으로 마련되며, 저면부가 상기 음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면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면부에는 음극접속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is based on the front '
Figure 112012068347364-utm00011
'Is provided in a shape, the bottom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the top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bottom portion is a protective device with a built-in safet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egative electrode through-hole is formed Battery pack including a circuit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측부면 또는 양측부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holder, and the upper case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module having a safety device therein, wherein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Battery pa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와 음극접속플레이트는 니켈 플레이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is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a nickel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소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 또는 써멀 브레이커(Thermal Breaker)소자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safety device is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or a thermal breaker (Thermal Breake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와 음극접속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위치에 용접봉이 삽입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 1, 2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ncludes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having a safety device therein, where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ncludes first and second penetration parts formed to insert a welding rod at a position where the anode connection plate and the cathode connection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양극접속플레이트 및 음극접속플레이트와 점 용접(Spot Welding)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a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a built-in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 by spot weld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양, 음극접속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상기 양, 음극단자를 점 용접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소자가 내장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disposed above the battery cell, and the safety device is built in by coupl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connection plat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parts by spot welding.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삭제delete
KR2020100001052U 2010-01-29 2010-01-29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KR2004662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52U KR200466244Y1 (en) 2010-01-29 2010-01-29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52U KR200466244Y1 (en) 2010-01-29 2010-01-29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61U KR20110007761U (en) 2011-08-04
KR200466244Y1 true KR200466244Y1 (en) 2013-04-05

Family

ID=4559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052U KR200466244Y1 (en) 2010-01-29 2010-01-29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4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691B2 (en) 2014-02-11 2016-02-0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10193193B2 (en) 2013-07-19 2019-01-29 Itm Semiconductor Co., Ltd Structure of battery protection circuit module package coupled with holder,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24B1 (en) * 2012-02-07 2014-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KR101365968B1 (en) 2012-02-07 2014-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KR101432224B1 (en) * 2012-02-07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Pack of Embedded Type of Novel Structure
KR101483132B1 (en) 2014-06-12 2015-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27B1 (en) 2007-09-12 2009-09-24 주식회사 이랜텍 Battery pack
KR20090117362A (en) * 2008-05-09 2009-1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27B1 (en) 2007-09-12 2009-09-24 주식회사 이랜텍 Battery pack
KR20090117362A (en) * 2008-05-09 2009-1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3193B2 (en) 2013-07-19 2019-01-29 Itm Semiconductor Co., Ltd Structure of battery protection circuit module package coupled with holder,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US9257691B2 (en) 2014-02-11 2016-02-0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9653760B2 (en) 2014-02-11 2017-05-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61U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870B1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KR101255546B1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Frame
TWI481098B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JP5656909B2 (en) Secondary battery pack with new structure
KR101293591B1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1182135B1 (en) Secondary Battery Pack of Embedded Type with Structure of Excellent Stability
KR200466244Y1 (en)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in safty device
KR101305248B1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2321513B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Plate
KR20130018476A (en) Secondary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KR20150037154A (en)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KR101137506B1 (en) Battery pack
KR101658526B1 (en)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KR20110007760U (en) A battery pack invol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safty device
KR101092959B1 (en) Battery pack
KR100917227B1 (en) Battery pack
KR20090041866A (en) Battery pack
KR100949006B1 (en) Battery pack
KR20140100038A (en) Battery Pack Having Fixing Part for PCM
KR101038024B1 (en) Battery pack
KR20110023986A (en) Battery pack
KR20180073973A (en) battery module
KR20160024892A (en) Battery Pack Having Fixing Part for PC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