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83Y1 -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 Google Patents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83Y1
KR200465483Y1 KR2020100010007U KR20100010007U KR200465483Y1 KR 200465483 Y1 KR200465483 Y1 KR 200465483Y1 KR 2020100010007 U KR2020100010007 U KR 2020100010007U KR 20100010007 U KR20100010007 U KR 20100010007U KR 200465483 Y1 KR200465483 Y1 KR 200465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space
disaster response
disaster
supp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392U (ko
Inventor
백종태
홍정우
기환종
김보성
Original Assignee
백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태 filed Critical 백종태
Priority to KR2020100010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83Y1/ko
Priority to PCT/KR2011/005768 priority patent/WO2012026688A2/ko
Publication of KR20120002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1/00Containers or portable cabins for affording breathing protection with devices for reconditioning the breathing air or for ventilating, in particular those that are suitable for invalid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나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긴급상황에서 호흡곤란, 질식 방지, 안전한 대피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재난 대처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재난대처용품의 외형(外形)이 럭비공과 같이 타원형인 공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로부터 토출되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흩어져 분포됨으로써 다급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밀집화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 가까운 거리에서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재난대처용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물체에 부딪히면 튀어오르도록 구현하여 보다 먼거리까지 이동되고 흩어져 분포되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로 구현할 경우, 인체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밀착부의 내측에는 인체의 코가 삽입되는 코삽입공간과 인체의 입이 위치되는 입위치공간을 형성하되 서로 구분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등이 다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독가스 등이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GOODS FOR DISASTER PREPARATION}
본 고안은 화재나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긴급상황에서 호흡곤란, 질식 방지, 안전한 대피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재난 대처용품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역이나 대형 공공시설 등에는 화재나 유독가스의 유출과 같은 재난상황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대처용품이 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재난대처용품의 대표적인 것이 휴대용 산소호흡기이다.
산소호흡기의 예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산소호흡기는 원활한 산소를 공급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해주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소호흡기는 병원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스쿠버다이빙 등 수중활동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화재현장 등에서 질식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 대부분의 산소호흡기는 대용량의 산소저장탱크 및 상기 산소저장탱크의 산소를 공급받아 흡입할 수 있도록 인체에 밀착되거나 입에 물을 수 있도록 된 산소흡입몸체를 갖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었다.
그런데 화재발생 현장이나 유독가스 누출현장에서는 신속한 대피와 산소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져야 질식사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산소호흡기가 안출되었다.
특히, 화재발생 현장에서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화기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유독가스나 연기에 의한 질식인 것으로 알려지고, 방독면 등은 그 착용에 어려움을 느끼며 안전성 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면서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용 산소호흡기는 산소가 대기압보다 높은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는 산소충전공간과 충전된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산소흡입부를 갖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18438호, 한국 특허등록 제0794801호 및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100372호 등에는 휴대용 산소호흡기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휴대용 산소호흡기 등 재난 상황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재난대처용품이 개발되고, 재난대처용품을 재난 발생 가능장소에 비치해 놓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도 안출되어 있으나 종래의 재난대처용품은 재난 상황에서 사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현실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단순히 재난대처용품을 보관하고 있도록 된 형태이며, 재난대처용품은 휴대 가능하지만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보관되는 형태일 뿐이어서 재난상황시 재난대처용품을 사용하려는 자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고, 보관장치를 개폐 후, 또는 파괴 후 꺼내어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것은 재난상황 발생시 대부분의 사용자가 이성적으로 행동하지 못한다는 현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어서 실제로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즉, 재난상황 발생시에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그 위치를 파악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인파로 인한 사람끼리의 출동 등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사용을 위해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있는 곳까지 접근한다고 하더라도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서 재난대처용품을 꺼내기 어렵고, 꺼낸다고 하더라도 밀려드는 인파로 인해 빠져나올 수 없고, 오히려 고립되거나 깔리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던 것이며, 결과적으로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한편, 재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된 종래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는, 사용자의 코나 입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이 다시 인체로 흡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거나 유독가스 등이 입이나 코를 통해 흡입될 수 있는 등의 구조로 되어 있어 질식 방지를 위한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사용이 복잡하여 다급한 위험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화재현장 등에는 상당량의 연기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기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위치를 찾기 어려워 비상용으로 비치해놓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한 재난상황에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로부터 쏟아져 내리는 형태 등으로 토출되었을 때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흩어져 분포됨으로써 다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는 재난대처용품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찾아서 사용 가능한 재난대처용품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 재난대처용품이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이되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이 다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독가스, 연무 등이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한 형태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재난대처용품의 외형(外形)이 럭비공과 같이 타원형인 공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로부터 토출되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흩어져 분포됨으로써 다급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밀집화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 가까운 거리에서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재난대처용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물체에 부딪히면 튀어오르도록 구현하여 보다 먼거리까지 이동되고 흩어져 분포되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로 구현할 경우, 인체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밀착부의 내측에는 인체의 코가 삽입되는 코삽입공간과 인체의 입이 위치되는 입위치공간을 형성하되 서로 구분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등이 다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독가스 등이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상기 입위치공간 내의 공기가 입위치공간의 외부로는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입위치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은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등이 다시 흡입되는 것과 유독가스 등이 사용자에게 흡입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은, 외형(外形)이 럭비공과 같이 타원형의 공 형태를 가짐으로써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로부터 토출되었을때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흩어져 분포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다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 가까운 거리에서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밀집화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재난대처용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가 탄성을 갖는 경우 재난대처용품이 건물 바닥 등의 물체에 부딪히면 튀어오름으로써 보다 먼거리까지 이동되고 흩어져 분포되는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이되 인체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면밀착부의 내측에는 인체의 코가 삽입되는 코삽입공간과 인체의 입이 위치되는 입위치공간이 형성되며, 코삽입공간과 입위치공간이 구분되어 있는 형태인 경우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등이 다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독가스 등이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다급한 위험 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 입위치공간의 공기가 입위치공간의 외부로는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입위치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은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법을 몰라 실수하는 경우나 다급한 상황에서 숨을 내뱉고 들이마시는 방법에 대한 실수를 하더라도 사용자의 입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자에게 다시 흡입되는 것과 유독가스 등이 사용자에게 흡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램프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되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램프로 공급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 경우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을 신속하게 찾아서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외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숨배출관을 갖는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고정밴드를 갖는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코삽입공간과 입위치공간이 소통되도록 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단면 개략도
도 7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보관되어 있던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분산되어 토출된 상태의 이미지
도 8은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서 스프링과 개폐부를 갖는 용품토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화재나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긴급상황에서 호흡곤란, 질식 방지, 안전한 대피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재난 대처용품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은, 재난상황 발생시 보관중이던 재난대처용품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흩어져 분포됨으로써 다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는 재난대처용품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도 1과 같이 재난대처용품의 외형(外形)이 타원형의 공 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재난 대처용품이 건물의 바닥보다 높은 지점에서 바닥을 향해 쏟아져 내리거나 바닥에서 미끄러지거나 구르면서 이동될 때 불규칙하게 미끄러지고 굴러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멀리 이동되는 결과를 유발한다.
이는 곧 다수 개의 재난대처용품을 구비해 놓은 상태에서 재난상황 발생시 보관중이던 재난대처용품이 높은 지점에서 쏟아져 내리도록 하는 등의 경우에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위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도 7 참조)
이러한 경우 다급한 화재발생 상황이나 유독가스 누출 상황에서 사용자가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자의 밀집화 문제없이 재난대처용품을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도 2의 경우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 산소충전몸체와 도면부호 20으로 표시된 커버 중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을 외피라 할 수 있음)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물체에 부딪히면 튀어오르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재난상황 발생시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등의 형태가 되고, 이때 건물의 바닥 등에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부딪혀 통통 튕기면서 탄성 및 불규칙적인 바운드에 의해 더욱 멀리 그리고 더욱 넓고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재난대처용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가 우레탄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현되면 재난대처용품이 물체에 부딪혀 통통 통기면서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력이 우수하도록 도 6과 같이 외피(산소충전몸체(10)와 커버(20) 중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를 두껍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참조)
재난대처용품이 화재가 발생된 장소에 위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화재발생 장소에 상당량의 연기가 존재하여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재난대처용품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곧 화재발생 장소에서 그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여 인명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재난대처용품에서 빛이 발산됨으로써 그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에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71)를 구비한다.
또, 상기 램프(7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2)를 구비한다.
또, 램프(71)에 배터리(72)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되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72)의 전원을 램프(71)로 공급하는 스위치(7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박스 등에 담겨 있거나 높은 곳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바닥으로 낙하하거나 박스에서 쏟아져 나오면서 충격을 받도록 할 경우 상기 스위치(73)가 접지되어 램프(71)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램프(71)가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빛을 통해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을 쉽게 인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충격을 받으면 접지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73)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 가능한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램프(71)는 지속적으로 빛을 발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되는 것을 고려할 때 점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재난대처용품 외부에 야광 페인트 등을 도포하거나 야광 테이프를 부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자가 재난대처용품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은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다량의 산소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채워지는 산소충전공간(11)을 갖는 산소충전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신성한 산소를 서서히 공급받아 사용자가 흡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을 사용자가 다시 흡입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고, 유독가스 등이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산소충전몸체(10)를 구현함에 있어 인체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12)를 갖고, 상기 안면밀착부(12)의 내측에는 인체의 코가 삽입되는 코삽입공간(13)과 인체의 입이 위치되는 입위치공간(14)이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산소가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도록 한다.
또, 산소충전몸체(10)에 결합되어 안면밀착부(12)와 코삽입공간(13)을 보호하는 커버(20)를 구비한다.
산소충전몸체(10)가 인체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12)를 갖고 그 내측에 코와 입이 위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안면밀착부(12) 외측의 연기나 유독가스가 안면밀착부(12)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연기나 유독가스를 흡입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코삽입공간(13)과 입위치공간(14)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스로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을 다시 흡입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코로는 숨을 들이마시고 입으로는 숨을 내뱉을 경우 사용자는 스스로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을 다시 흡입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커버(20)를 제거한 후 안면밀착부(12)에 얼굴을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사용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20)는 산소충전몸체(10)의 안면밀착부(12)와 코삽입공간(13) 등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20)만을 제거하였을 때 곧바로 안면밀착부(1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안면밀착부(12)는 탄력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안면밀착부(12)의 구조는 종래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산소호흡기 및 마스크 등을 통해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전술한 구조만으로는 사용자가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자에게 다시 흡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입위치공간(14)의 공기가 입위치공간(14)의 외부로는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입위치공간(14)으로 들어오는 것은 방지하는 체크밸브(30)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30)가 없는 상황에서는 반드시 코로만 숨을 들이마시고 입으로는 숨을 내뱉을 뿐 입으로 숨을 들이마셔서는 안된다.
입으로 숨을 들이마실 경우 사용자 스스로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을 사용자가 다시 들이마시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이 입위치공간(14)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기 위해 입위치공간(14)은 외부로 소통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에서 입을 통해 숨을 들이마실 경우 연기나 유독가스가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화재발생 상황이나 유독가스 누출 상황에서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가지고 있고, 그 사용법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당황하여 온전히 사용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볼때 상기와 같은 상황의 발생비율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체크밸브(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체크밸크(30)를 구비한다면 도 6과 같이 코삽입공간(13)과 입위치공간(14)이 소통되도록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안전하다.
물론, 코삽입공간(13)과 입위치공간(14)이 소통되도록 된 경로상에는 사용자가 내뱉은 가스 등이 코삽입공간(13)으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코삽입공간(13)의 산소는 입위치공간(14)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크밸브(35)를 더 구비할 필요성이 있다.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재난 상황 발생시 당황하여 코로 숨을 들이마시지 못하고 입으로 숨을 들이마시려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코삽입공간(13)과 입위치공간(14)이 소통되도록 하면 그러한 상황에서도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산소충전몸체(10)에 결합된 커버(20)를 분리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산소가 자연스럽게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공급제어수단(4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공급제어수단(40)을 조작하였을 때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산소충전공간(11)에 충전된 산소가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는 것의 여부를 제어하는 공급제어수단(4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종래의 휴대용 산소호흡기에 구비된 형태와 같이 구현할 수도 있고, 각종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은 산소충전몸체(10)의 후방에 위치된 손잡이(41a)를 회전시켜 밸브의 개폐부(41b)가 차단되거나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의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전술한 입위치공간(14)에는 입에 물을 수 있는 빨대 형태의 숨배출관(50)이 더 구비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면에 안면밀착부(12)가 밀착된 상태일 때 사용자는 숨배출관(50)을 입에 물은 상태에서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입에 물고 있는 숨배출관(50)을 통해 숨을 내뱉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체크밸브(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지는 산소의 양이 많을수록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공간에서 충전되는 산소의 양이 많을수록 더 높은 압력의 고압상태로 산소가 충전될 수밖에 없다.
고압의 상태로 충전된 산소가 대기압 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압력으로 낮추어진 후 흡입되도록 해야 사용자의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산소충전공간(11)에 충전된 산소가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낮추어주는 압력낮춤공간(60) 즉, 고르고 부드럽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완충공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압력을 낮추기 위한 방식으로서, 공급되는 산소가 압력낮춤공간(60)의 물체(압력낮춤공간(60)의 벽면이 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돌출되어 있는 분산돌기(61)가 될 수도 있음)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한다.
압력낮춤공간(60)에서 분산된 공기는 확산막 기능을 하는 다수 개의 미세한 타공홀(13a)을 경유하여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산소충전몸체(10)의 안면밀착부(12)가 인체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착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착용수단은 산소충전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체의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밴드(8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산소충전몸체(10)로부터 분리된 커버(20)를 후레쉬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커버에는 램프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이 커버가 휘레쉬의 기능을 하도록 할 경우 연무 등으로 시야 화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산소충전몸체(10)에 충전된 가스가 소진되었을 때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산소재충전수단(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재충전수단(90)은 충전되는 가스의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91)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산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산소충전양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검출된 산소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문자나 그림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을 갖는 형태일 수도 있고, 검출된 산소의 양을 음성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스피커를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커버(20)나 산소충전몸체(10)에는 상황실 등에서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산소충전몸체(10)나 커버(20)가 대피장소나 출입구 등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나 유독가스 누출 등의 위험상황에서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산소호흡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원활한 대피를 유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20)나 산소충전몸체(10)에 점멸되는 램프가 구비되어 있고 이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되어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기는 산소충전몸체(10)나 커버(20)가 대피장소에서 멀어지면 램프가 점멸 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커버(20)나 산소충전몸체(10)가 화재지역에 가까워지면 램프가 빠르게 점멸되면서 사용자가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 커버(20)나 산소충전몸체(10)가 대피장소나 출입구 등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램프가 파란 빛을 발산하고, 그 외의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램프가 붉은 빛을 발산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커버(20)나 산소충전몸체(10)에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출력되는 신호를 상황실 등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사용하던 사용자의 위치를 상황실에서 파악할 수 있어 매몰된 사용자나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구조대원 등이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1에서는 도 2에서와 달리 재난대처용품의 외형이 타원형의 공 형태로 되어있되,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가늘고 긴 형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이 타원형의 공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도 파지하는 것이 쉽도록 되어 있다.
즉, 가늘고 긴 부분을 잡으면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을 한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서 안면밀착부(12)는 사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다 넓은 안면밀착부(12)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형이 타원형의 공 형태로 구현되는 본 고안에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
본 고안의 재난대처용품을 재난발생 가능 장소에 비치해 놓기 위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재난상황 발생시 보관중인 재난대처용품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형태일 필요성이 있다.
이하, 이러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하우징(210)을 가지며, 이러한 하우징(210)은 재난대처용품(100)이 저장되는 용품저장공간(211)을 갖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런데 재난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재난대처용품을 쉽게 인지하고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복수 개의 재난대처용품이 하우징(210)의 용품저장공간(211)에 저장되어 있도록 하고, 재난상황으로 감지된 경우 용품저장공간(211)에 저장된 복수 개의 재난대처용품이 보관장치 주변 공간에 넓게 분포되도록 토출하는 형태로 구현한다.(도 7참조)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재난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재난상황감지수단(220)을 갖는다.
또, 화재센서 등 재난상황감지수단(220)에 의해 재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용품저장공간(211)에 저장된 재난대처용품을 외부로 토출하되 여러 방향으로 넓게 분산되도록 토출하기 위한 용품토출수단(230)을 갖는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있는 곳을 찾아 이동하고, 재난 대처용품을 직접 꺼내어 사용해야 했지만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보관장치로부터 재난대처용품이 자동으로, 그리고 보관장치 근처에 넓게 흩어져 분포되도록 토출하고, 여러 곳으로 넓게 흩어져 있는 재난 대처용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재난대처용품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위치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재난대처용품의 위치를 인지하는 것이 쉽고, 보관장치까지 직접 이동하지 않고 넓은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재난대처용품을 잡아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재난 대처용품을 보관장치로부터 직접 꺼내야 했던 불편함도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재난상황감지수단(220)은 종래의 화재감지기나 지진감지기나 유독가스감지기 화재비상벨 울림 감지기와 같이 각종 재난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갖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 외부로부터 재난상황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유,무선의 신호수신기나 제어기(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나 각종 전자기기의 제어기와 같은 형태 등)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용품토출수단(2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하우징(210)은 재난대처용품이 토출되는 용품토출구(212)를 갖고, 용품토출수단(230)은 용품저장공간(211)을 개폐하는 개폐기(232)와 용품저장공간(211)이 개방되었을 때 용품저장공간(211)에 저장된 재난대처용품이 토출을 위해 미끄러져 내리는 슬라이딩부(231)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저장된 재난대처용품이 슬라이딩부(231)를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미끄러져 내리면서 위치에너지에 의해 용품토출구(212)에서 상당히 먼 곳까지 이동하여 분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용품토출구(212)가 복수 개 형성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재난대처용품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굴러감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의 개폐기(232)는 밸브의 형태 등 특정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용품토출수단(230)의 또 다른 형태로서, 압축공기에 의해 재난대처용품이 토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압축공기의 발생원은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저장실린더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압축공기를 실시간으로 만들어내는 컴푸레셔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분사됨으로써 저장된 재난대처용품이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고, 이로 인해 재난대처용품이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재난대처용품이 토출되는 용품토출구(212)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용품토출수단(230)의 또 다른 형태로서, 재난대처용품이 압력을 받고 있도록 재난대처용품에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233)을 가지며, 용품저장공간(211)이 개방되었을 때 압력을 받고 있는 재난대처용품이 반발력에 의해 하우징(210)의 외부로 밀려나가도록 하고 용품저장공간(211)이 개방되지 않았을 때는 하우징(210)의 외부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하는 개폐기(234)를 갖는 형태가 있다.
이때의 개폐기(234)도 밸브의 형태 등 특정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전술한 하우징(210)이 설치된 장소의 진동, 화재, 지진을 각각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241), 화재감지수단(242), 지진감지수단(243)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 하우징(210)이 설치된 장소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감지하는 질소산화물농도감지수단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농도감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위치된 장소의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지진 등의 재난상황을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은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가 지하철역의 상황실이나 공공장소의 상황실 등으로 전송되도록(전송을 위한 제어기 등을 구비)할 수 있고,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위치된 곳의 환경을 원거리에서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 그러한 데이터는 어느 지하철역의 공기가 좋고 나쁜지의 정보 등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도시에서 전체 지하철 역의 공기 질 및 종류별 환경가스 질을 매핑(mapping)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진동감지수단, 온도감지수단, 습도감지수단, 질소산화물농도감지수단, 이산화탄소농도감지수단 등의 감지수단은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각종 감지수단의 구체적인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용품토출수단(230)의 구동을 제어하고, 재난상황감지수단(220)에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기(250)가 더 구비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기(250)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나 각종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제어기와 같은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또 다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의 신호를 수신받아 용품토출구(21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간에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지하철역이나 공공장소 등의 상황실에서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구비된 용품토출수단(2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이는 곧 특정 지하철역이나 특정 공공장소에 위치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특정 지역 예를 들면 서울시에 설치된 모든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와 같이 제어기(250)를 갖는 구조에서, 제어기(250)는 재난상황이 발생된 경우 용품토출수단(230)을 통해 토출되는 재난대처용품의 사용법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의 스피커는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구비된 스피커일 수도 있고, 본 고안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설치된 공간(장소)에 위치되어 있는 스피커일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용품토출수단(230)은 재난 상황 발생시 용품저장공간(211)에 저장된 재난대처용품의 전부를 토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저장된 재난대처용품의 일부만을 토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저장된 재난대처용품의 일부만을 토출하도록 구현함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량만큼만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총 100개의 재난대처용품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재난상황이 1회 발생할 때마다 50개씩의 재난대처용품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 저장되는 재난대처용품이 설정된 갯수 단위로 패키지화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설정된 갯수의 재난대처용품이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재난상황감지수단(220)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자체에 내장된 재난상황감지센서(화재 등)에 의한 데이터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상황실 직원에 의해 보관장치에 있는 재난 대처용품을 토출 필요성 판단에 의해 작동된 신호에 의한 데이터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재난 대처용품 토출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사람에 의해 보관장치에 내장된 ‘비상버튼‘을 직접 매뉴얼로 작동한 경우의 데이터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이때는 장난 등의 비정상적 작동 방지를 위해 상황실에서 비상버튼의 작동 허락 조치를 취한 경우에 한하여 재난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도록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재난상황감지수단(220)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구조에서 이웃하는 보관장치에서 감지된 재난상황 정보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DID 등 디스플레이장치(25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서 재난 대처용품의 사용방법, 보관장치 사용방법(비상버튼 누름 기능) 및 토출 예시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품의 광고를 디스플레이로 하는 형태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10)이 설치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인식 모듈과 함께 주변의 미세먼지, 황사, 산소, 질소 등의 공기질 감지센서모듈, NOx, SOx, COx, 오존 등의 환경 가스 감지센서모듈, 진동 및 지진 감지센서모듈, 화재 감지센서모듈, 온도, 습도 등의 생활 환경 감지센서모듈, 등이 내장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장에 가서 직접 공기의 질 등을 측정하지 않고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아 하우징 위치, 역위치 등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매핑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있어서, 재난상황감지수단(220)은 화재감지센서에 화재가 감지되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재난상황임을 알리는 비상벨의 구동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또 다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상황실에서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비상버튼의 조작에 의한 재난상황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재난상황 신호를 수신하여 재난상황을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10. 산소충전몸체 11. 산소충전공간
12. 안면밀착부 13. 코삽입공간
13a. 타공홀 14. 입위치공간
20. 커버 30. 체크밸브
40. 공급제어수단 41a. 손잡이
41b. 개폐부 50. 숨배출관
60. 압력낮춤공간 61. 분산돌기
70. 램프 72. 배터리
73. 스위치 80. 고정밴드
90. 산소재충전수단 91. 체크밸브
100. 재난대처용품 210. 하우징
211. 용품저장공간 212. 용품토출구
220. 재난상황감지수단 230. 용품토출수단
231. 슬라이딩부 232. 개폐기
233. 스프링 234. 개폐기
241. 진동감지수단 242. 화재감지수단
243. 지진감지수단 250. 제어기
255.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7)

  1. 화재나 유독가스 누출 등의 재난상황 발생시 호흡하는 것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대피하려는 자가 잡고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재난대처용품에 있어서,
    외형(外形)이 타원형의 공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보관 중인 상태에서 쏟아져 내릴 경우 지면이나 바닥면을 불규칙하게 구르고 미끄러지면서 분산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2. 제 1항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물체에 부딪히면 튀어오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다량의 산소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채워지는 산소충전공간(11)을 가지며, 인체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12)를 갖고, 상기 안면밀착부(12)의 내측에는 인체의 코가 삽입되는 코삽입공간(13)과 인체의 입이 위치되는 입위치공간(14)이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산소가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산소충전몸체(10); 및
    상기 산소충전몸체(10)에 결합되어 안면밀착부(12)와 코삽입공간(13)을 보호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위치공간(14)의 공기가 입위치공간(14)의 외부로는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입위치공간(14)으로 들어오는 것은 방지하는 체크밸브(3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충전공간(11)에 충전된 산소가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공급제어수단(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충전공간(11)에 충전된 산소가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낮추어주는 압력낮춤공간(60)이 더 구비되어 있되 상기 압력낮춤공간(60)은 공급되는 산소가 물체에 부딪혀 분산되면서 압력이 낮아지도록 된 것이고,
    상기 압력낮춤공간(60)에서 분산된 공기는 다수 개의 타공홀(13a)을 경유하여 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71);
    상기 램프(7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2); 및
    상기 램프(71)에 배터리(72)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되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72)의 전원을 램프(71)로 공급하는 스위치(7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KR2020100010007U 2010-08-24 2010-09-28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KR200465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07U KR200465483Y1 (ko) 2010-09-28 2010-09-28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PCT/KR2011/005768 WO2012026688A2 (ko) 2010-08-24 2011-08-08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07U KR200465483Y1 (ko) 2010-09-28 2010-09-28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92U KR20120002392U (ko) 2012-04-05
KR200465483Y1 true KR200465483Y1 (ko) 2013-02-25

Family

ID=4660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07U KR200465483Y1 (ko) 2010-08-24 2010-09-28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97B1 (ko) * 2011-05-03 2013-12-10 백종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90079873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아이스타 재난상황 대비용 다용도 휴대 안전용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102A (ja) * 1992-07-29 1994-02-22 Yamato Sangyo Kk 避難用呼吸器
JPH0663167A (ja) * 1990-06-18 1994-03-08 Hiroshi Shioiri 気球型救命装置
JP2000507461A (ja) 1996-03-26 2000-06-20 ベター・ブリージ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呼吸マスク
KR20070017486A (ko) * 2003-12-04 2007-02-12 존 알. 주니어 에시그 모듈 방식의 팽창형 다기능 야외-전개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67A (ja) * 1990-06-18 1994-03-08 Hiroshi Shioiri 気球型救命装置
JPH0647102A (ja) * 1992-07-29 1994-02-22 Yamato Sangyo Kk 避難用呼吸器
JP2000507461A (ja) 1996-03-26 2000-06-20 ベター・ブリージ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呼吸マスク
KR20070017486A (ko) * 2003-12-04 2007-02-12 존 알. 주니어 에시그 모듈 방식의 팽창형 다기능 야외-전개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92U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5077B1 (en) Smart respiratory face mask module
KR101208662B1 (ko)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101863558B1 (ko) 비상대피용 호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대피 관제시스템
KR101418960B1 (ko) 긴급대피용 산소호흡기
JP6841890B1 (ja) 電子制御による吸気の酸素配合と呼気の二酸化炭素除去の機能を有する再呼吸装置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KR102046716B1 (ko) 응급 구호시 자가 호흡장치
KR20120019069A (ko)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0465483Y1 (ko)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KR101136999B1 (ko) 비상용 방독면
CN106730455A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KR10133849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29379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CN104288931B (zh) 空气呼吸器双重报警装置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102503763B1 (ko)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WO2012026688A2 (ko)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20160086081A (ko) 휴대용 방독면 자동 제공시스템
KR102263139B1 (ko) 산소호흡기가 구비된 소화기
US20230054808A1 (en) Emergency evacuation oxygen mask
CN206295514U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KR20230134069A (ko) 스마트 방독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