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149Y1 - Pallet loading rack - Google Patents

Pallet loading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49Y1
KR200464149Y1 KR2020120004964U KR20120004964U KR200464149Y1 KR 200464149 Y1 KR200464149 Y1 KR 200464149Y1 KR 2020120004964 U KR2020120004964 U KR 2020120004964U KR 20120004964 U KR20120004964 U KR 20120004964U KR 200464149 Y1 KR200464149 Y1 KR 200464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ixing
bracket
vertical beam
interv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9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앤에이 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앤에이 글로벌 filed Critical (주) 아이앤에이 글로벌
Priority to KR2020120004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4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4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Landscapes

  • Palle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렛트 적재 랙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 1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수직 빔과; 상기 제 2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부 수직 빔과 상부 수직 빔으로 분할형성되며,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수직 빔과; 상기 제 2 수직 빔의 분할부분에 장착되는 수직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 및 제 1 수직 빔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연결 수평빔과; 상기 연결 수평빔과 연결 수평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브라켓 및 수직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브라켓 및 제 1 수직 빔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교차 빔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1 수직 빔과 제 2 수직 빔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경사 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분해,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해당되는 부품을 용이하게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loading rack, comprising: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fixedly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ground; A first vertical beam mounted vertical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racket, having a fitting hole spac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and having a mounting space formed therein; The second vertical beam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divided into a lower vertical beam and an upper vertical beam, and a fitting hole is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and a mount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vertical connecting bracket mounted to a split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beam; A connecting horizontal beam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brackets,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and the first vertical beam; An intersecting beam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and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and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and the first vertical beam, respectively; An inclined beam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and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beam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structure can be improved to facilitate assembly, disassembly, and maintenance, and the corresponding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파렛트 적재 랙{Pallet Loading Rack} Pallet Loading Racks

본 고안은 파렛트 적재 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분해,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강도보강 및 해당 수직하중을 수직 빔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한 파렛트 적재 랙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stacking 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llet stacking rack for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to facilitate the assembly, disassembly, and maintenance, while allowing the strength reinforcement and the vertical load to be distributed in a vertical beam.

일반적으로 물류창고(또는 물류 적재창고)는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음료 및 의류, 가전, 잡화,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로서,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창고 내 보관재고의 제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하 및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하는 바, 대량생산된 물품의 보다 신속한 입.출하와 더불어 물류 적재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대량의 물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 시공되고 있다.In general, logistics warehouse (or logistics warehouse) is a storage warehouse for temporarily or long-term storage of all kinds of foods, beverages, clothing, home appliances, sundries, industrial products, etc.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factories or production areas.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it is not only to manage the logistics but also to create new business such as the efficient distribution of goods in stock and storage and inventory management. It i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store large volumes of logistics through faster loading and unloading and more efficient use of logistics loading space.

그리고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물류창고에 사용되는 적재 랙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적재 랙(1)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c)의 상면에 지지브라켓(1d)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d)에 포스트(1b)가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고 있다.And shown in Figure 1 shows a loading rack used in a conventional warehouse, the loading rack 1 is a support bracket (1d) is vertic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c)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he post 1b is vertically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1d.

그러나 종래의 적재 랙(1)은 물품을 적재하거나 이동하다 보면 작업자가 물품을 실은 지게차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운전미숙으로 지게차의 후미 또는 파렛트 포크 및 파렛트 등이 상기 적재 랙(1)의 모서리 최하단 부분인 포스트(1b)와 충돌되면서 포스트(1b)를 부분적으로 파손시키게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oading rack 1, when loading or moving an item, the rear end of the forklift or pallet forks and pallets are inexperienced while the worker moves the forklift carrying the goods. In some cases, the post 1b is partially damaged while colliding with the in post 1b.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6875호에는 상기와 같이 지게차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적재 랙의 포스트가 파손될 경우 이를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 랙을 소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96875 introduces a loading rack to repair the post if the post of the loading rack is damaged by the impact force applied from the forklift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상기 적재 랙은 지게차의 운전 미숙으로 지게차의 후미, 파렛트 포크 및 파렛트 등과 교체 포스트 바에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에 교체포스트 바만이 손상되기보다는 결합수단으로 고정된 포스트브라켓 및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까지 함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loading rack is a support plate fixed to the post bracket and the bottom surface fixed by the coupling means, rather than only the replacement post bar is damaged when the forklift truck is inadequate to the rear of the forklift, pallet forks and pallets and replacement post bars There was an issue that is injured together.

결과적으로 결합수단이 손상된 상태에서는 교체 포스트 바를 교체하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결국에는 적재 랙 전체를 보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replace the replacement post bar in th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ans are damaged, and eventually the whole rack should be repair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9255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925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6875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687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분해,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해당되는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coupling structure to easily replace the corresponding parts, easy assembly, disassembly, maintenance.

또한 제 1 수직 빔 및 제 2 수직 빔의 사이에 연결 수평빔과 교차 빔 및 경사 빔을 장착하여 강도보강 및 해당 수직하중을 다른 수직 빔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mount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the cross beam and the inclined beam between the first vertical beam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so that the strength reinforcement and the corresponding vertical load can be distributed to other vertical bea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 1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수직 빔과; 상기 제 2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부 수직 빔과 상부 수직 빔으로 분할형성되며,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수직 빔과; 상기 제 2 수직 빔의 분할부분에 장착되는 수직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 및 제 1 수직 빔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연결 수평빔과; 상기 연결 수평빔과 연결 수평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브라켓 및 수직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브라켓 및 제 1 수직 빔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교차 빔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1 수직 빔과 제 2 수직 빔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경사 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at intervals; A first vertical beam mounted vertical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racket, having a fitting hole spac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and having a mounting space formed therein; The second vertical beam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divided into a lower vertical beam and an upper vertical beam, and a fitting hole is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and a mount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vertical connecting bracket mounted to a split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beam; A connecting horizontal beam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brackets,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and the first vertical beam; An intersecting beam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and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and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and the first vertical beam, respectively; An inclined beam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and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beam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And a control unit.

본 고안에 따르면,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분해,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해당되는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structure can be improved to facilitate assembly, disassembly, and maintenance, but also to easily replace the corresponding parts, thereby reducing the cost.

또한 제 1 수직 빔 및 제 2 수직 빔의 사이에 연결 수평빔과 교차 빔 및 경사 빔을 장착하여 강도보강 및 해당 수직하중을 다른 수직 빔으로 분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tensity reinforcement and the corresponding vertical load can be distributed to other vertical beams by mounting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the cross beam and the inclined beam between the first vertical beam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도 1은 종래의 적재 랙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 적재 랙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 적재 랙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 적재 랙을 구성하는 고정브라켓과 수직 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 적재 랙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ading rack.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llet load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llet load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xed bracket and the vertical beam constituting the pallet load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allet load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 적재 랙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 적재 랙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 적재 랙을 구성하는 고정브라켓과 수직 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llet load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llet load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bracket and the vertical beam constituting the pallet load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고안인 파렛트 적재 랙(10)은 지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과,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 1 수직 빔(30)과,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부 수직 빔(40a)과 상부 수직 빔(40b)으로 분할형성되는 제 2 수직 빔(40)과, 상기 제 2 수직 빔(40)의 분할부분(48)에 장착되는 수직 연결브라켓(50)과,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 및 제 2 수직 빔(40)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연결 수평빔(60)과, 상기 연결 수평빔(60)과 연결 수평빔(6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교차 빔(70)과, 상기 제 1 수직 빔(30)과 제 2 수직 빔(40)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경사 빔(80) 등으로 구성된다. The pallet loading rack 1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ed brackets 20a and 20b fixedly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ground, and a first vertical mounted vertically on the first fixed bracket 20a. A beam 30, a second vertical beam 40 vertically mounted on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and divided into a lower vertical beam 40a and an upper vertical beam 40b;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mounted on the split portion 48 of the vertical beam 40, the first and second fixed brackets (20a, 20b) and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40) A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 intersecting beam 70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and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and the first vertical beam 30. ) And the inclined beam 80 and the like which both ends ar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beam 40.

지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은 양측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22a, 22b)이 형성되는 수평부(21a, 21b)와, 상기 수평부(21a, 21b)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및 2 수직 빔(30, 40)의 장착공간(34, 44)에 삽입되는 중앙 수직부(23a, 23b)와, 상기 중앙 수직부(23a, 23b)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측면(25a, 25b)이 상기 제 1 및 2 수직 빔(30, 40)의 끝단(36, 46)에 밀착되고 상부와 내측면이 개방되는 연결고정부(24a, 24b)로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fixedly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ground are horizontal parts 21a and 21b having fastening holes 22a and 22b formed to be fixedly coupled through fasteners on both sides thereof. A central vertical portion 23a and 23b formed vertically on the horizontal portions 21a and 21b and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s 34 and 44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eams 30 and 40;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23a, 23b, the outer surface 25a, 25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s 36, 46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eams 30, 40, and the upper and inner surfaces are opened. It consists of connection fixing parts 24a and 24b.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양측 중앙에 체결공(22a, 22b)이 형성되는 수평부(21a, 21b)에 사각 파이프 형상의 중앙 수직부(23a, 23b)가 소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중앙 수직부(23a, 23b)의 내측면에는 " ㄷ "자 형상의 연결고정부(24a, 24b)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have a predetermined size and have a center pip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ortions 21a and 21b having fastening holes 22a and 22b formed at both centers thereof. An example in which the portions 23a and 23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 shaped connection fixing portions 24a and 24b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entral vertical portions 23a and 23b have a predetermined height. Will be explained.

이때 상기 중앙 수직부(23a, 23b)와 연결고정부(24a, 24b)의 동일선상의 높이로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고정부(24a, 24b)가 중앙 수직부(23a, 23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fixing parts 24a and 24b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vertical parts 23a and 23b while being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enter vertical parts 23a and 23b and the connection fixing parts 24a and 24b. do.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연결고정부(24a, 24b)는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과 제 1 및 2 수직 빔(30, 40)의 결합시, 상기 연결고정부(24a, 24b)의 외측면(25a, 25b)이 상기 제 1 및 2 수직 빔(30, 40)의 끝단(36, 46)에 밀착되어 파렛트 적재 랙(10)의 강도와 함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o further explain this, the coupling fixing parts 24a and 24b are coupled to the fixing fixing parts 24a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are combi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eams 30 and 40. , The outer surfaces 25a, 25b of 24b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s 36, 46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eams 30, 40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strength of the pallet loading rack 10. Will be.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 1 수직 빔(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둘레의 수직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공(3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34)이 형성된다. The first vertical beam 30 mounted vertic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fitting coupling holes 32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inside The mounting space 34 is formed.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제 1 수직 빔(30)은 외측면과 전?후면에 끼움 결합공(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외측면과 전?후에는 상기 장착공간(34)에 삽입장착되는 제 1 고정브라켓(20a)의 중앙 수직부(23a), 연결 수평빔(60), 경사 빔(80)의 전?후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돌기부(33)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vertical beam 30 is formed at intervals between the outer and front and rear fitting holes 32,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34 after the outer and front sides. The projection 33 is protru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ix the center vertical portion 23a,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clined beam 80 of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 2 수직 빔(4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하부 수직 빔(40a)과 상부 수직 빔(40b)으로 분할형성되고, 둘레의 수직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공(4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44)이 형성된다. The second vertical beam 40 mounted vertic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is divided into a lower vertical beam 40a and an upper vertical beam 40b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vertically circumferential. The fitting coupling holes 42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direction, and the mounting space 44 is formed therein.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제 2 수직 빔(40)은 외측면과 전?후면에 끼움 결합공(4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외측면과 전?후에는 상기 장착공간(34)에 삽입장착되는 제 2 고정브라켓(20b)의 중앙 수직부(23b), 수직 연결브라켓(50), 경사 빔(80)의 전?후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돌기부(43)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vertical beam 40 is formed at intervals between the outer and front and rear fitting holes 42,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34 after the outer and front sides. The projection 43 is protru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ix the center vertical portion 23b,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clined beam 80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상기 제 2 수직 빔(40)의 분할부분(48)에 장착되는 수직 연결브라켓(50)은 상기 상부 수직 빔(40a)의 장착공간(44)에 삽입장착되는 고정부(52)와, 상기 고정부(52)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부와 내측면이 개방되는 연결고정부(54)와, 상기 고정부(52)의 하부에 소정구간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하부 수직 빔(40b)의 장착공간(44)에 삽입장착되는 연장부(56)로 구성된다.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mounted on the split portion 48 of the second vertical beam 40 may include a fixing part 52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44 of the upper vertical beam 40a. Connection fixing portion 54 which protrudes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government portion 52 and the upper and inner surfaces are opened,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52 and the mounting space of the lower vertical beam 40b. It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ortion 56 that is inserted into 44.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부(52)의 내측면에 " ㄷ "자 형상의 연결고정부(54)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52)의 하부에는 소정구간 연장부(56)가 돌출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n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52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c" shaped connection fixing portion 54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 example in which a predetermined section extension 56 protrudes below the fixing part 52 will be described.

이때 상기 연결고정부(54)는 고정부(5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과 제 2 수직 빔(40)의 결합시, 상기 연결고정부(54)의 외측면(55)이 상기 제 2 수직 빔(40)의 끝단(46)에 밀착되어 파렛트 적재 랙(10)의 강도와 함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fixing part 54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part 52 so that when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fixing part 54 is formed. 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46 of the second vertical beam 40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strength of the pallet loading rack 10.

또한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은 하부 수직 빔(40a)과 상부 수직 빔(40b)의 연결부분(48)을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52)와 연장부(56)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파렛트 적재 랙(10)의 강도보강과 함께 하중을 많이 받고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하부 수직 빔(40a) 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도 얻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loads the pallet by fixing the connection portion 48 of the lower vertical beam 40a and the upper vertical beam 40b through the fixing portion 52 and the extension portion 56 integrally formed. Along with the strength reinforcement of the rack 10,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replace only the lower vertical beam 40a which is heavily loaded and easily deformed.

더불어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은 도시된 도 3과 같이 고정부(52)와 연결고정부(54) 및 연장부(56)를 통해 상기 상부 수직 빔(40b)을 따라 전달되는 수직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distributes the vertical load transmitted along the upper vertical beam 40b through the fixing part 52, the connection fixing part 54 and the extension part 56 as shown in FIG. It will play a role.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연결 수평빔(60)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 및 제 2 수직 빔(40)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된다.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s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40, respectively. do.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 수평빔(60)은 강도를 고려하여 사각형 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 및 제 2 수직 빔(40)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 수평빔(60)은 후면의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is formed of a rectangular pipe in consideration of strength,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nd the second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40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in which a part of the rear surface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연결 수평빔(60)과 연결 수평빔(6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교차 빔(7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를 교차되게 장착한다. The intersecting beam 70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and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cross-mounts a bar of a rectangular pip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즉 상기 교차 빔(70)은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 및 수직 연결브라켓(50)에 하나의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를 장착한 후,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 및 제 1 수직 빔(30)에 또 다른 사각 파이프 형상의 바를 교차되도록 장착한 다음, 연결부분을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cross beam 70 is mounted on the first fixed bracket (20a)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 bar of a rectangular pipe shape, the second fixed bracket (20b) and the first vertical beam (30) ) Is fitted to cross another square pipe-shaped bar, and then the connection is fixed through the fasteners.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사 빔(8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일 측 끝단이 상기 제 1 수직 빔(30)에 반대 측이 상기 제 2 수직 빔(40)에 고정결합된다. The inclined beam 80 disposed above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of the inclined beam 80 is opposite to the first vertical beam 30 to the second vertical beam 40. It is fixedly coupled.

즉 상기 경사 빔(80)은 수직 연결브라켓(5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1 수직 빔(30)과 제 2 수직 빔(40)에 경사지게 고정장착되어 강도를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inclined beam 80 is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to be inclined and fixed to the first vertical beam 30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40 to reinforce strength.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렛트 적재 랙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allet stacking rac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양측 중앙에 체결공(22a, 22b)이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수평부(21a, 21b)를 형성한 후, 상기 수평부(21a, 21b)의 중앙에 사각 파이프 형상의 중앙 수직부(23a, 23b)를 소정구간 형성한 다음, 상기 중앙 수직부(23a, 23b)의 내측면에 " ㄷ "자 형상의 연결고정부(24a, 24b)로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을 각각 형성한다. First, the rectangular horizontal portions 21a and 21b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having fastening holes 22a and 22b are formed at both centers are formed, and then the centers of the rectangular pipe shapes are formed at the centers of the horizontal portions 21a and 21b. After the vertical portions 23a and 23b have been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having the “c” shaped connection fixing portions 24a and 24b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entral vertical portions 23a and 23b. Brackets 20a and 20b are form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을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한 후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둘레의 수직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공(3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34)이 형성되는 제 1 수직 빔(30)을 장착한다.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are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grou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A ball 32 is formed, and the first vertical beam 30 in which the mounting space 34 is formed is mounted therein.

즉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의 중앙 수직부(23a)에 제 1 수직 빔(30)의 장착공간(34)을 삽입장착한 후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과 제 1 수직 빔(30)을 고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fter the mounting space 34 of the first vertical beam 3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23a of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and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are fastened through the fastener. The vertical beam 30 is to be fixedly coupled.

이때 상기 중앙 수직부(23a)는 제 1 수직 빔(30)의 돌기부(33)와 밀착을 통해 고정과 함께 지정된 위치로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 수직부(23a)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측면(25a)이 상기 제 1 및 2 수직 빔(30)의 끝단(36)에 밀착되어 강도 보강과 함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23a may be fixed only to a designated position together with the fixing portion 33 through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3 of the first vertical beam 30,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23a. The side surface 25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s 36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eams 30 so that the bonding force can be improved together with the strength reinforcement.

다음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의 연결고정부(24a, 24b)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연결 수평빔(60)을 고정결합한 후 상기 하부 수직 빔(40a)과 상부 수직 빔(40b)이 결합되는 제 1 수직 빔(30)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후면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연결 수평빔(60)을 장착한다. Next, the lower vertical beam 40a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of a square pip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s 24a and 24b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 And a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rear por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first vertical beam 30 to which the upper vertical beam 40b is coupled.

그리고 상기 연결 수평빔(60)과 연결 수평빔(60)의 사이로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의 연결 고정부(24b) 및 제 1 수직 빔(30)와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의 연결 고정부(24a)에 끝단이 고정결합되는 교차 빔(70)을 장착한다.The connection fixing part 24b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and the first vertical beam 30 and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ar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and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The cross beam 70 is fix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24a is mounted.

다음으로 상기 연결 수평빔(60)과 교차 빔(70)의 끝단으로 상부 수직 빔(40a)의 장착공간(44)에 삽입장착되는 고정부(52)와, 상기 고정부(52)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부와 내측면이 개방되는 연결고정부(54)와, 상기 고정부(52)의 하부에 소정구간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하부 수직 빔(40b)의 장착공간(44)에 삽입장착되는 연장부(56)로 구성되는 수직 연결브라켓(50)을 장착한다. Next, a fixing portion 52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44 of the upper vertical beam 40a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and the intersecting beam 70, and inward from the fixing portion 52. And a connection fixing part 54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part 52, and being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44 of the lower vertical beam 40b. Mount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consisting of an extension 56.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둘레의 수직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공(4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44)이 형성되는 제 2 수직 빔(40)의 하부 수직 빔(40b)을 장착한다. A second vertical beam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and a fitting coupling hole 42 is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 mounting space 44 is formed therein. The lower vertical beam 40b of the 40 is mounted.

즉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의 중앙 수직부(23b)에 제 2 수직 빔(40)를 구성하는 하부 수직 빔(40b)의 장착공간(34)을 삽입장착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mounting space 34 of the lower vertical beam 40b constituting the second vertical beam 40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23b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and fixedly coupled through the fastener. Will be done.

이때 상기 중앙 수직부(23b)는 제 2 수직 빔(40)의 돌기부(43)와 밀착을 통해 고정과 함께 지정된 위치로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 수직부( 23b)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측면(25b)이 상기 제 2 수직 빔(40)의 끝단(46)에 밀착되어 강도 보강과 함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23b may not only be fixed to the designated position together with the fixing portion 43 through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43 of the second vertical beam 40, but also located inside the central vertical portion 23b. The side surface 25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46 of the second vertical beam 40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strength reinforcement.

다음으로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의 고정부(52)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둘레의 수직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공(4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44)이 형성되는 제 2 수직 빔(40)의 하부 수직 빔(40b)을 장착한다. Next, the fixing portion 52 of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fitting coupling hole 42 is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the mounting space 44 is formed therein. The lower vertical beam 40b of the second vertical beam 40 formed is mounted.

그리고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의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직 빔(30)과 제 2 수직 빔(40)의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경사 빔(80)을 장착하면 파렛트 적재 랙(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inclined beam 8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beam 30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40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the pallet loading rack 10 ) Assembly is complete.

그리고 상기 파렛트 적재 랙(10)을 구성하는 제 1 수직 빔(30)과 제 2 수직 빔(40)에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는 적재 수평 빔(90)을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The mounting horizontal beam 9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may be mounted on the first vertical beam 30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40 constituting the pallet loading rack 10.

여기서 상기 파렛트 적재 랙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assembly order of the pallet loading rack reveals that it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이와 같이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본원고안의 파렛트 적재 랙(10)을 통해서 부품의 조립, 분해,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와 중간 부분에 가해지는 강도보강 및 해당수직 하중을 다른 수직빔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한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e pallet loading rack 10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is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structure, the assembly, disassembly, and maintenance of components are easy, as well as reinforcing strength, and strength reinforcement and corresponding vertical load applied to the lower and middle portions. On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distributed to other vertical beams.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파렛트 적재 랙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allet loading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10 : 파렛트 적재 랙, 20a, 20b :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
30 : 제 1 수직 빔, 32 : 끼움 결합공,
34 : 장착공간, 40 : 제 2 수직 빔,
42 : 끼움 결합공, 44 : 장착공간,
50 : 수직 연결브라켓, 60 : 연결 수평빔,
70 : 교차 빔, 80 : 경사 빔.
10: pallet loading rack, 20a, 20b: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
30: first vertical beam, 32: fitting coupling hole,
34: mounting space, 40: the second vertical beam,
42: fitting hole, 44: mounting space,
50: vertical connection bracket, 60: horizontal connection beam,
70: crossed beam, 80: inclined beam.

Claims (3)

적재 랙에 있어서,
지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과;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공(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34)이 형성되는 제 1 수직 빔(30)과;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하부 수직 빔(40a)과 상부 수직 빔(40b)으로 분할형성되며,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공(4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44)이 형성되는 제 2 수직 빔(40)과; 상기 제 2 수직 빔(40)의 분할부분(48)에 장착되는 수직 연결브라켓(50)과;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 및 제 1 수직 빔(30)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연결 수평빔(60)과; 상기 연결 수평빔(60)과 연결 수평빔(6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브라켓(20a) 및 수직 연결브라켓(50)과 상기 제 2 고정브라켓(20b) 및 제 1 수직 빔(30)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교차 빔(70)과;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1 수직 빔(30)과 제 2 수직 빔(40)에 양측 끝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경사 빔(8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20a, 20b)은 양측 중앙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22a, 22b)이 형성되는 수평부(21a, 21b)와, 상기 수평부(21a, 21b)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및 2 수직 빔(30, 40)의 장착공간(34, 44)에 삽입되는 중앙 수직부(23a, 23b)와, 상기 중앙 수직부(23a, 23b)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외측면(25a, 25b)이 상기 제 1 및 2 수직 빔(30, 40)의 끝단(36, 46)에 밀착되고 상부와 내측면이 개방되는 연결고정부(24a, 24b)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연결브라켓(50)은 상부 수직 빔(40a)의 장착공간(44)에 삽입장착되는 고정부(52)와, 상기 고정부(52)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부와 내측면이 개방되는 연결고정부(54)와, 상기 고정부(52)의 하부에 소정구간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하부 수직 빔(40b)의 장착공간(44)에 삽입장착되는 연장부(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적재 랙.
In the loading rack,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fixedly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ground; The first vertical beam 30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the fitting coupling holes 32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unting space 34 is formed therein. )and; Vertical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divided into a lower vertical beam (40a) and an upper vertical beam (40b), the coupling holes 42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A second vertical beam 40 having a mounting space 44 formed therein; A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mounted to the split portion (48) of the second vertical beam (40); A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nd the first vertical beam 30, respectively; The first fixing bracket 20a and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20b and the first vertical beam 30 ar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and the connecting horizontal beam 60. Cross beams 70 fixed at both ends to the cross beam 70); And an inclined beam (80)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bracket (50) and having both end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beam (30) and the second vertical beam (4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20a and 20b are horizontal parts 21a and 21b having fastening holes 22a and 22b formed to be fixedly coupled through fasteners at both centers thereof, and the horizontal parts 21a. And vertical centers 23a and 23b which are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21b and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s 34 and 44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eams 30 and 40, and the central vertical parts 23a and 23b), the outer fixing portion 25a, 25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s (36, 46)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eams (30, 40), the upper and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24a, 24b),
The vertical connection bracket 50 has a fixing portion 52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44 of the upper vertical beam 40a, and protrudes inward from the fixing portion 52, and the upper and inner surfaces are open. The connection fixing part 54 is formed, and the extension portion 56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44 of the lower vertical beam 40b while being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52. Pallet loading rack.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20004964U 2012-06-12 2012-06-12 Pallet loading rack KR2004641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64U KR200464149Y1 (en) 2012-06-12 2012-06-12 Pallet loading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64U KR200464149Y1 (en) 2012-06-12 2012-06-12 Pallet loading 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149Y1 true KR200464149Y1 (en) 2012-12-14

Family

ID=5371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964U KR200464149Y1 (en) 2012-06-12 2012-06-12 Pallet loading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49Y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30A (en) * 2017-12-08 2019-06-18 박나연 Sectional shelf
KR102282114B1 (en) * 2021-03-22 2021-07-27 주식회사 정한테크 Prefabricated steel rack with improved structure and locking structure
US20210252650A1 (en) * 2019-03-04 2021-08-19 Daniel V. Klinger Modular pallet rack repair kit
KR102589047B1 (en) * 2023-04-11 2023-10-13 주식회사 태강이엔지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pallet rack
KR102598218B1 (en) 2022-11-17 2023-11-03 주식회사 설택 Bracket for Load Beam Combination of Pallet-Rack
KR102606230B1 (en) 2023-06-01 2023-11-24 주식회사 설택 Safety pins for preventing vertical column and rod beam separation in pallet-rack
KR102622830B1 (en) 2022-11-17 2024-01-08 주식회사 설택 A pallet rack containing a load beam with a load reinforcement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75Y1 (en) * 2002-09-06 2002-12-02 이상민 Pallet storage r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75Y1 (en) * 2002-09-06 2002-12-02 이상민 Pallet storage rack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30A (en) * 2017-12-08 2019-06-18 박나연 Sectional shelf
KR102193464B1 (en) * 2017-12-08 2020-12-22 주식회사 태강이엔지 Sectional shelf
US20210252650A1 (en) * 2019-03-04 2021-08-19 Daniel V. Klinger Modular pallet rack repair kit
US11691229B2 (en) * 2019-03-04 2023-07-04 Daniel V. Klinger Modular pallet rack repair kit
KR102282114B1 (en) * 2021-03-22 2021-07-27 주식회사 정한테크 Prefabricated steel rack with improved structure and locking structure
KR102598218B1 (en) 2022-11-17 2023-11-03 주식회사 설택 Bracket for Load Beam Combination of Pallet-Rack
KR102622830B1 (en) 2022-11-17 2024-01-08 주식회사 설택 A pallet rack containing a load beam with a load reinforcement function
KR102589047B1 (en) * 2023-04-11 2023-10-13 주식회사 태강이엔지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pallet rack
KR102606230B1 (en) 2023-06-01 2023-11-24 주식회사 설택 Safety pins for preventing vertical column and rod beam separation in pallet-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149Y1 (en) Pallet loading rack
KR200459255Y1 (en) Pallet rack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KR101222932B1 (en) Assembly type pallets
KR101890411B1 (en) Pallet support frame for pallet rack
US20110005436A1 (en) Steel pallet
KR100896869B1 (en) A pallet for packing corner join a connector
KR101115606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in pallet
KR20200016022A (en) A fastening frame for pallet rack connection
KR101836046B1 (en) Eco-friendly frefabricated palette using waste plastic
KR100776531B1 (en) Pallet lack road empty combination bracket and his manufacturing method
KR101612531B1 (en) Steel pallet
KR20090000936U (en) . A Structure Pallet
KR100896870B1 (en) A pallet for packing front and rear plate join a connector
KR200393370Y1 (en) Steel Pallet
KR200296875Y1 (en) Pallet storage rack
KR102622830B1 (en) A pallet rack containing a load beam with a load reinforcement function
KR102606230B1 (en) Safety pins for preventing vertical column and rod beam separation in pallet-rack
KR101589283B1 (en) Steel pallet
KR102598218B1 (en) Bracket for Load Beam Combination of Pallet-Rack
KR101620783B1 (en) Pallet for loading cargo
KR20120137977A (en) Assembling rack for use in warehouse
KR20200127427A (en) A shelf for rack structure
KR20200056678A (en) Assembly type stacking rack
KR100340558B1 (en) Steel pall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