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26Y1 - 원예용 용기 - Google Patents

원예용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26Y1
KR200461726Y1 KR2020090010450U KR20090010450U KR200461726Y1 KR 200461726 Y1 KR200461726 Y1 KR 200461726Y1 KR 2020090010450 U KR2020090010450 U KR 2020090010450U KR 20090010450 U KR20090010450 U KR 20090010450U KR 200461726 Y1 KR200461726 Y1 KR 200461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space
collecting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647U (ko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이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환 filed Critical 이종환
Priority to KR2020090010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2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예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흙을 채울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공간의 내주연 하부에 단턱을 내향되게 돌출시키며, 상,하부 내,외주연에 각각 안착편과 안착홈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이 가능한 용기부와, 상기 식생공간에 삽입되어 단턱에 걸리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부면에 형성된 투과망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는 커버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투과망을 투과 통과한 물이 집수되도록 집수공간이 마련되며, 상부면 일측을 수평되게 관통시켜 집수공간에 집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역류공이 형성된 받침용기부가 포함된다.
용기, 적층, 나사, 집수

Description

원예용 용기{gardening vessel}
본 고안은 원예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의 용기를 복수개로 적층시켜 화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원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이 급진적으로 변천해 감에 따라 인간생활의 주거환경과 주변미화도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요구되고 있다. 즉, 주변을 자연친화적으로 가꾸기 위하여 정원이나 꽃밭 등에서 꽃을 재배하고, 계절마다 화초나 꽃등을 화분이나 분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실내외에서 취미생활이나 장식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 열매나 잎등을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으려고 가꾸고 있는 관상식물은 보통 실내 조건에 맞고 자연 그대로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화분, 분재, 꽃병, 그리고 별도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계절이나 장소, 또는 취향에 맞게 미려하고 아름답게 자라날 수 있도록 가꾸게 된다.
이러한, 화분은 도자기나 흙을 재질로 하여 화초나 분재의 자람과 개화만을 보고 감상할 수 있도록 제조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화분은 부피가 크고 무거워 이동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불투명한 재질로 되어있어 뿌리의 성장과정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외부에서 주기적으로 따로 급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치상태를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용기를 복수개로 적층시켜 식물 또는 꽃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투명한 재질로 된 용기에 식물 또는 꽃을 심어서 뿌리의 성장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용기에 급수된 물을 집수하여 집수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평 또는 계단식 등 배치상태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적층되게 결합된 용기의 배치상태 가변이 자유롭고 용기에서 역류되는 물을 용이하게 집수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흙을 채울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공간의 내주연 하부에 단턱을 내향되게 돌출시키며, 상,하부 내,외주연에 각각 안착편과 안착홈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이 가능한 용기부와, 상기 식생공간에 삽입되어 단턱에 걸리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부면에 형성된 투과망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적층결합되는 커버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투과망을 투과 통과한 물이 집수되도록 집수공간이 마련되며, 상부면 일측을 수평되게 관통시켜 집수공간에 집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역류공이 형성된 받침용기부가 포함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안착편과 안착홈의 내,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숫나사와 암나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용기부의 외주연 일측면에 연결돌기를 돌출시키고, 타측면에는 상기 연결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편을 돌출시켜 용기부의 수평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받침용기부에 집수된 물을 상부로 공급시키는 물공 급부가 포함되되,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부면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부를 가압함으로 인해 진공압이 발생되는 토출기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토출기와 집수공간을 연결시켜 주는 중공의 공급관이 마련되어 집수공간의 물이 공급관으로 흡입되어 토출기로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게 결합된 용기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상부면에 형성되며, 양측면에 복수개의 자석이 대응된 위치에 결합된 중공의 받침부가 더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예용 용기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투과망이 내부에 마련된 용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게 결합함으로 인해,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용기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하면서 식물 또는 꽃을 키울 수 있어서, 이동성 및 보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원예용 용기는 투명한 재질로 된 용기에 식물 또는 꽃을 심어서 뿌리의 성장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자연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컬러의 흙을 각각 채워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원예용 용기는 용기의 상부에 급수되는 물을 받침용기부에서 집수하고 집수 된 물을 상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부로 인해, 집수 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어서, 급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집수 된 물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물이 부패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원예용 용기는 용기부의 양측에 돌출된 연결돌기와 연결편을 순차적으로 연결시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장소 또는 자라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식물 또는 꽃을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원예용 용기는 적층되게 결합된 용기를 고정하는 중공의 받침부가 더 포함되어 용기의 배치상태 가변이 자유롭고 받침용기부에서 역류되는 물을 받침부 내부에 용이하게 집수되도록 하여 물이 바닥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사용상태를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 용기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이 가능한 용기부 100와, 상기 용기부 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투과망 200과, 상기 용기부 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300와, 상기 용기부 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물을 집수하는 받침용기부 4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 용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용기 10는 흙을 채울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식생공간 101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공간 101의 내주연 하부에 단턱 103을 내향되게 돌출시키며, 상,하부 내,외주연에 각각 안착편 104과 안착홈 106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이 가능한 용기부 100와, 상기 식생공간 101에 삽입되어 단턱 103에 걸리는 복수개의 통공 201이 상부면에 형성된 투과망 200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 100의 상부에 적층결합되는 커버부 300와,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 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투과망 200을 투과 통과한 물이 집수되도록 집수공간 401이 마련되며, 상부면 일측을 수평되게 관통시켜 집수공간 401에 집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역류공 403이 형성된 받침용기부 400가 포함된다.
먼저, 용기부 100는 식생공간 101, 단턱 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용기부 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이다. 즉,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시켜 식생공간 101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식생공간 101의 내주연 하부 일측에는 단턱 103을 내향되게 돌출시켰다.
특히, 용기부 100의 상,하부 내,외주연에 각각 안착편 104과 안착홈 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하부에 형성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연결수단인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안착편 104의 외주연에는 숫나사 105를 형성시키고, 안착홈 106의 내주연에는 상기 숫나사 105와 대응되는 암나사 107가 형성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 100의 다른 실시예는 용기부 100의 외주연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돌기 109를 돌출시키고, 타측면에는 상기 연결돌기 109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결돌기 109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홈 113이 형성된 연결편 111을 돌출시켰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 100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기 109와 연결편 111을 순차적으로 수평되게 결합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계단식으로 연결시 용기부 100의 높이차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받침용기부 300를 각각 결합한다.
즉, 용기부 100의 양측에 돌출된 연결돌기 109와 연결편 111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어서 사용장소 또는 자라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식물 또는 꽃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복수개의 통공 201이 형성된 투과망 200이 내부에 마련된 용기부 100에 흙 S을 채워 놓고 용기부 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게 결합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용기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하면서 식물 또는 꽃을 키울 수 있어서, 이동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된 용기부 100의 식생공간 121에 각각 다양한 색의 흙 S을 채워 놓을 수도 있다.
이처럼, 용기부 100의 내부가 보이는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부 100에 식물 또는 꽃을 심어서 뿌리의 성장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자연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컬러의 흙 S을 용기부 100 내부에 각각 채워서 다양한 형태의 원예용 용기 10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식생공간 101에 삽입되어 단턱 103에 걸리는 복수개의 통공 201이 상부면에 형성된 투과망 200이 마련된다.
여기서, 투과망 200은 용기부 100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용기부 100의 내주연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때, 투과망 200이 삽입된 용기부 100에 흙 S을 채워 사용하게 되는데 용기부 100의 재질은 투명한 수지류가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투과망 200은 상부면에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공 201이 복수개 관통되어 있다. 특히 통공 201을 대신해 격자형태의 망을 대신할 수도 있다.
반면에, 투과망 200과 용기부 100를 일체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러나 용기부 100에 투과망 200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이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적어도 하나이상 수직으로 적층된 용기부 100의 상부에는 커버부 300가 나사체결된다. 여기서 커버부 300의 내주연에는 용기부 100의 숫나사 105와 대응되는 암나사 107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용기부 100에 심어놓은 식물이 자라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중앙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이상 수직으로 적층된 용기부 100의 하부에는 받침용기부 400가 결합된다. 이러한 받침용기부 400는 숫나사 105, 집수공간 401, 역류공 4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숫나사 105는 용기부 100의 암나사 10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받침용기부 400의 상부를 개구시켜 집수공간 401을 형성시켰다. 여기서, 집수공간 401은 적층되게 결합된 상기 용기부 100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 통공 201을 지나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물이 집수공간 401으로 집수된다.
이때, 받침용기부 400의 상부면 일측을 수평되게 역류공 403을 적어도 하나이상 관통시켜 집수되는 물의 양이 많아졌을 경우 역류공 403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처럼, 집수공간 401에 집수되는 물의 양을 역류공 403으로 조절한다. 이렇게 역류공 403으로 물이 배출됨으로 인해 용기부 100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뿌리가 썩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받침용기부 400에 집수된 물을 상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부 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물공급부 500는 토출기 501와 공급관 5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토출기 501를 고정하기 위해 커버부 300의 상부면 일측에 삽입공 303이 형성된 고정편 301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삽입공 303에 토출기 501가 삽입 고정된다.
더불어, 토출기 501와 집수공간 401을 연결시켜 주는 중공의 공급관 503 마련된다. 이러한 공급관 503은 복수개로 적층되게 결합된 용기부 100에 삽입된 투과망 200의 통공 201을 지나 집수공간 401까지 연결되어 있다.
즉, 토출기 501의 상부면을 하부로 가압하면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토출기 501의 전면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가압력을 해제하면 내부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부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 토출기 501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집수공간 401에 충진되어 있던 물이 공급관 503의 하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토출기 501의 상부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면 집수공간 401에 충진된 물이 토출기 501의 전면으로 토출된다.
이처럼, 원예용 용기 10의 상부에 급수되는 물을 받침용기부 400에서 집수하고 집수 된 물을 상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부 500로 인해, 집수 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어서, 손쉽게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집수된 물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물이 순환되어 뿌리와 물이 썩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나아가, 경우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게 결합된 용기부 100를 고정하는 받침부 60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받침부 600는 고정공 601, 자석 60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받침부 600의 상부면 중앙에는 용기부 100의 외주연과 대응된 크기를 갖는 고정공 601을 관통시켜 적층되게 결합된 용기부 100를 삽입한다.
그리고, 받침부 600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자석 603을 결합시켰다. 특히, 자석 603은 받침부 600의 양측면에 대응된 위치에 결합된 자석 603이 상호 결합하여 받침부 600를 수평되게 복수개 배치상태의 변화가 없도록 하였다.
특히, 받침부 600의 내부는 중공상태로 받침용기부 400에서 역류되는 물을 받침부 600 내부에 집수되도록 하여 물이 바닥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사용상태를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원예용 용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예용 용기
100 : 용기부 101 : 식생공간
103 : 단턱 104 : 안착편
105 : 숫나사 106 : 안착홈
107 : 암나사 109 : 연결돌기
111 : 연결편 113 : 연결홈
200 : 투과망 201 : 통공
300 : 커버부 301 : 고정편
303 : 삽입공 400 : 받침용기부
401 : 집수공간 403 : 역류공
500 : 물공급부 501 : 토출기
503 : 공급관 600 : 받침부
601 : 고정공 603 : 자석

Claims (5)

  1. 흙을 채울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공간의 내주연 하부에 단턱을 내향되게 돌출시키며, 상,하부 내,외주연에 각각 안착편과 안착홈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이 가능한 용기부와,
    상기 식생공간에 삽입되어 단턱에 걸리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부면에 형성된 투과망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적층결합하는 중앙이 관통된 커버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적층결합된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투과망을 투과 통과한 물이 집수되도록 집수공간이 마련되며, 상부면 일측을 수평되게 관통시켜 집수공간에 집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역류공이 형성된 받침용기부가 포함된 원예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편과 안착홈의 내,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숫나사와 암나사를 더 포함하는 원예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외주연 일측면에 연결돌기를 돌출시키고, 타측면에는 상기 연결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편을 돌출시켜 용기부의 수평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원예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용기부에 집수된 물을 상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부가 포함되되,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커버부의 관통된 중앙 내주면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부를 가압함으로 인해 진공압이 발생되는 토출기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토출기와 집수공간을 연결시켜 주는 중공의 공급관이 마련되어 집수공간의 물이 공급관으로 흡입되어 토출기로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게 결합된 용기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상부면에 형성되며, 양측면에 복수개의 자석이 대응된 위치에 결합된 중공의 받침부가 더 포함된 원예용 용기.
KR2020090010450U 2009-08-11 2009-08-11 원예용 용기 KR200461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450U KR200461726Y1 (ko) 2009-08-11 2009-08-11 원예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450U KR200461726Y1 (ko) 2009-08-11 2009-08-11 원예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47U KR20110001647U (ko) 2011-02-17
KR200461726Y1 true KR200461726Y1 (ko) 2012-08-02

Family

ID=4420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450U KR200461726Y1 (ko) 2009-08-11 2009-08-11 원예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516U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터치포굿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6939A (zh) * 2015-05-27 2015-10-07 姜兰新 组合保墒花盆
KR102236308B1 (ko) * 2019-03-07 2021-04-05 한민구 스마트 화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158B1 (ko) 2000-02-14 2002-04-10 변복구 적층식 자동 재배장치
KR200400441Y1 (ko) 2005-08-09 2005-11-08 원재선 화분
KR100788273B1 (ko) 2006-07-12 2007-12-27 변복구 자동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는 육묘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158B1 (ko) 2000-02-14 2002-04-10 변복구 적층식 자동 재배장치
KR200400441Y1 (ko) 2005-08-09 2005-11-08 원재선 화분
KR100788273B1 (ko) 2006-07-12 2007-12-27 변복구 자동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는 육묘 재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516U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터치포굿 화분
KR200490771Y1 (ko) * 2018-03-30 2019-12-31 주식회사 터치포굿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47U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9561A1 (en) Gardening system and container for supporting plant growth and related methods
CN201430804Y (zh) 植栽组合花盆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KR200461726Y1 (ko) 원예용 용기
KR101548154B1 (ko) 모듈형 식물재배기
KR102221001B1 (ko) 다층구조를 갖는 타워형 화분
CN203219787U (zh) 一种积木式家庭气雾种菜机
CN205511365U (zh) 一种桌摆补光种植盒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US20110289837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KR20120056185A (ko) 다단 화분
CN2913051Y (zh) 动物造型空心骨架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KR20120069857A (ko) 블럭화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화분장식장
KR101293317B1 (ko) 조개형 화분
CN203985222U (zh) 分节透气观湿可倒栽花盆
KR200417567Y1 (ko) 다단 화분틀
KR200395445Y1 (ko) 어항용 받침분이 구비된 농작물재배화분
CN202206774U (zh) 多层多角花盆
KR100818147B1 (ko) 탄성 화분
KR200274703Y1 (ko) 통풍과 미관을 고려한 이중벽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