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45Y1 -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 Google Patents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45Y1
KR200461345Y1 KR2020100006538U KR20100006538U KR200461345Y1 KR 200461345 Y1 KR200461345 Y1 KR 200461345Y1 KR 2020100006538 U KR2020100006538 U KR 2020100006538U KR 20100006538 U KR20100006538 U KR 20100006538U KR 200461345 Y1 KR200461345 Y1 KR 200461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polarizing film
hinge
coupled
visio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939U (ko
Inventor
조연상
조중화
Original Assignee
조중화
조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화, 조연상 filed Critical 조중화
Priority to KR2020100006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4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입체안경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시력보정용 안경의 다리부에 결착이 가능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다리부에 평행하게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 측으로 연장된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측에 연결되어 그 연결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에 편광필름을 위치시키거나, 상기 편광필름을 상기 다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편광필름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힌지를 이용하여 입체안경인 편광필름을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에 위치 또는 이탈시켜 착용자가 바라 보는 대상의 변경에 따라 용이하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Mounting device for three demensional structure eyeglasses}
본 고안은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력보정용 안경에 용이하게 입체안경을 결착할 수 있는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극장에서 개봉된 영화들 중 입체(3D)영화가 인기를 얻었으며, TV도 3D방식을 도입한 입체 TV가 국내 가전회사에서 개발하여 해외 전시회를 통해 공개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입체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시청자가 3D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력보정용 안경을 착용한 시청자들은 시력보정용 안경의 위에 3D안경을 다시 착용하거나, 시력보정용 안경을 벋고 3D 안경만을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선명한 화질의 입체 콘텐츠를 감상하기 어렵다.
이를 위하여 시력보정용 안경에 3D 안경을 결착시켜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착용하는 구조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결착구조들은 단순히 시력보정용 안경의 앞쪽에 편광필름인 3D안경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며, 탈부착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고, 통상 TV를 시청하면서 다른 일을 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어 3D TV를 시청하기 위하여 시력보정용 안경에 3D 안경을 결착한 시청자가 메모를 하거나, 다른 사물을 볼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마다 시력보정용 안경에서 3D 안경을 분리하고 다시 TV를 시청할 때 3D 안경을 결착하는 행동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결착구는 3D 안경을 시력보정용 안경의 렌즈고정부위에 결착하기 때문에 시력보정용 안경의 두께나 모양의 다양성 때문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무게감과 하중에 의해 착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으며, 렌즈고정부 하단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콧등에 접하는 지지부에 과도한 무게가 실리기 때문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3D 안경을 시력보정용 안경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시력보정용 안경만을 통해 사물을 볼 수 있는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3D 안경을 시력보정용 안경에 보다 용이하게 결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그 결합위치도 용이하게 조절함이 가능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시력보정용 안경의 두께나 모양에 무관하게 결착할 수 있는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력보정용 안경의 다리부에 결착이 가능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다리부에 평행하게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 측으로 연장된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측에 연결되어 그 연결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에 편광필름을 위치시키거나, 상기 편광필름을 상기 다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편광필름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힌지를 이용하여 입체안경인 편광필름을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에 위치 또는 이탈시켜 착용자가 바라 보는 대상의 변경에 따라 용이하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입체안경을 보다 용이하게 시력보정용 안경에 결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그 결착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하중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편광필름의 위치를 조절함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집게를 사용하여 입체안경을 시력보정용 안경에 결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력보정용 안경의 모양이나 두께에 무관하게 적용하여 범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가 시력보정용 안경에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보조 입체안경만을 통해 착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집게의 다른 실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결부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가 시력보정용 안경에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보조 입체안경만을 통해 착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는,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다리부(11)의 일부에 결착되는 집게부(110)와, 상기 집게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다리부(11)와 평행하게 앞쪽으로 연장되는 힌지결합부(120)와, 상기 힌지결합부(12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12)의 렌즈고정부(12)의 앞쪽으로 90도 절곡된 연결부(130)와, 상기 연결부(130)의 끝단에 결합되어 편광필름(141)을 지지하는 편광필름지지부(140)와, 상기 연결부(130)의 절곡부분에서 돌출되어 착용자가 상기 연결부(13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손잡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집게부(110)는 탄성체(111)에 의해 적당한 압력으로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다리부(11)에 고정이 될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집게부(110)의 설치 위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리부(11)의 어느 부분이든 쉽게 체결이 가능하다. 이는 착용자의 신체 구조나 느낌에 따라 최대한 착용이 편안한 위치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체결위치의 용이한 조절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집게부(110)의 상세한 구조와 작용은 이 후에 구체적이고 다양한 실시예들을 들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집게부(110)는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다리부(11)의 두께에 무관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와 같이 걸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안경(10)의 다리부(11)가 걸이보다 두꺼운 경우 적용이 불가능하며, 다리부(11)가 너무 가는 경우에는 체결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집게부(110)의 사용에 의하여 그 안경(10)의 다리부(11)의 두께에 무관하게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집게부(110)의 외측면에는 힌지결합부(12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타단은 상기 다리부(11)와 평행하게 상기 렌즈고정부(10)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피봇을 사용하는 힌지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21)의 힌지 방향은 상기 렌즈고정부(12)와 평행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21)에는 중앙부가 90도 절곡된 연결부(130)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30)의 절곡방향은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렌즈고정부(12)측이며, 그 연결부(130)의 타단에는 편광필름(141)을 고정하는 편광필름지지부(140)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편광필름지지부(140)는 상기 힌지부(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130)의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렌즈고정부(12)의 전면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거나, 그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렌즈고정부(12)의 전면으로부터 평행하게 90도 회전하여 상기 다리부(11)에 평행한 열린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린상태에서는 착용자가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10)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반대로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편광필름(141)이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10)의 앞에 위치하는 닫힌 상태에서는 편광필름(141)과 시력보정용 안경(10)을 통해 입체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편광필름지지부(140)가 시력보정용 안경(10)의 양쪽 렌즈의 모두 앞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시력보정용 안경(10)의 일측 렌즈의 앞에 위치하도록 길이를 좀 더 줄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한 쌍의 편관필름지지부(140)가 시력보정용 안경(10)의 양측 다리부(11)에서 각각 지지된다.
상기 연결부(130)의 절곡부는 외측으로 손잡이부(150)가 돌출되어 있으며, 착용자는 손잡이부(150)를 사용하여 그 연결부(130)를 상기 히지부(121)를 축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착용자가 시력보정용 안경(10)으로부터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를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회전시켜 시력보정용 안경(10) 만을 사용하여 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입체 영상의 시청 중 다른 사물을 볼 때 쉽게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 등의 하중은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10)과의 결합부분인 집게부(110) 측에 있기 때문에 하중이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렌즈고정부(12)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 연결부(130), 힌지결합부(120), 손잡이부(150) 및 집게부(110)는 가볍고 견고한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집게부(11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집게부(110)의 다른 실시예는, 탄성밴드(112)를 피봇(113)의 하부측 집게의 외측에 감아 그 하부측 집게에 적당한 압력을 주어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다리부(11)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탄성밴드(112)를 교체하여 보다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시력보정용 안경에 대응하여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지지부(140)와 연결부(130) 및 손잡이부(150)의 다른 실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연결부(130)와 편광필름지지부(140)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가 아니며, 그 연결부(130)를 관통하여 마련되며 일단이 손잡이부(15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에 아이들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151)이 마련되어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착용자가 손잡이를 돌려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를 좌우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착용자의 얼굴의 폭에 무관하게 상기 편광필름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편광필름(141)의 위치를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얼굴폭의 차이에 따라 시력보정용 안경(10)의 크기에도 차이가 있고, 다리부(11)와 렌즈고정부(12) 사이의 거리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집게부(11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입체 안경을 시력보정용 안경(10)의 다리부(11)에 탈부착할 수 있으며, 그 체결위치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춰 편광필름(1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입체안경 결착구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10:시력보정용 안경 11:다리부
12:렌즈고정부 110:집게부
120:힌지결합부 121:힌지부
130:연결부 140:편광필름지지부
141:편광필름 150:손잡이부

Claims (3)

  1. 시력보정용 안경의 다리부에 결착이 가능한 집게부;
    상기 집게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다리부에 평행하게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 측으로 연장된 힌지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측에 연결되어 그 연결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시력보정용 안경의 전면부에 편광필름을 위치시키거나, 상기 편광필름을 상기 다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편광필름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편광필름지지부에 아이들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 통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광필름지지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피봇의 하부측 집게를 감싸는 교체 가능한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KR2020100006538U 2010-06-21 2010-06-21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KR200461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38U KR200461345Y1 (ko) 2010-06-21 2010-06-21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38U KR200461345Y1 (ko) 2010-06-21 2010-06-21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39U KR20110011939U (ko) 2011-12-28
KR200461345Y1 true KR200461345Y1 (ko) 2012-07-10

Family

ID=4556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538U KR200461345Y1 (ko) 2010-06-21 2010-06-21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4084B1 (ja) * 2020-03-05 2020-12-02 英太郎 寺川 眼鏡
KR102469878B1 (ko) * 2020-12-10 2022-11-23 이은정 집게를 구비한 물티슈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990Y1 (ko) 2003-03-27 2003-06-27 박진한 백미러 안경
KR100761968B1 (ko) 2005-11-07 2007-10-01 김득중 일반 원시겸용 자동 복귀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990Y1 (ko) 2003-03-27 2003-06-27 박진한 백미러 안경
KR100761968B1 (ko) 2005-11-07 2007-10-01 김득중 일반 원시겸용 자동 복귀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39U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9680A1 (en) Eyewear with three-dimensional viewing capability
TWI229208B (en) Glasses and glasses lenses for stereoscopic imag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285364B1 (ko) 입체 영상용 안경
TW201346333A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CN205003365U (zh) 一种虚拟显示装置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BR102017012189A2 (pt) Óculos de realidade virtual dobráveis
KR200461345Y1 (ko) 보조 입체안경의 결착구
KR101064599B1 (ko) 돗수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액티브 타입 입체영상안경
CN102981282B (zh) 一种3d眼镜及其制作方法
CN207937689U (zh) 一种增强现实眼镜
KR101106545B1 (ko) 탈부착 및 상ㆍ하 개폐가 가능한 보조 입체안경
JP5223687B2 (ja) 立体視用眼鏡
US8419182B2 (en) Glasses
KR200455089Y1 (ko) 보조안경
JP5973803B2 (ja) 頭部装着型電子機器
KR20120045492A (ko) 부착형 입체 영상용 안경
CN112083571B (zh)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JP2865589B2 (ja) 立体映像再生システム用液晶シャッタ眼鏡
JP3173752U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
JP3149021U (ja) テレビやパソコン等を見るとき目が疲れにくい円筒形状の筒2連フレーム。
KR20100038645A (ko) 입체영상 구현용 안경
KR101226398B1 (ko) 조합식 입체안경 프레임
CN205809422U (zh) 一种头戴显示器及其转轴结构
CN205720910U (zh) 一种智能3d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