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960Y1 -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960Y1
KR200459960Y1 KR2020090013871U KR20090013871U KR200459960Y1 KR 200459960 Y1 KR200459960 Y1 KR 200459960Y1 KR 2020090013871 U KR2020090013871 U KR 2020090013871U KR 20090013871 U KR20090013871 U KR 20090013871U KR 200459960 Y1 KR200459960 Y1 KR 200459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ofile
height adjustment
plywoo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97U (ko
Inventor
김근섭
전상윤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2020090013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96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9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합판부와, 합판부의 테두리가 각각 안착되는 다수의 프로파일부와, 콘크리트 타설시 합판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프로파일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및 바닥 슬라브와 판넬부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로파일부 중 합판부의 하측 테두리가 안착되는 하측 프로파일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판넬의 높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슬라브의 타설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간편하게 거푸집 전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판넬, 콘크리트, 볼트, 합판

Description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System panel with height adjustment unit}
본 고안은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판넬의 높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슬라브의 타설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간편하게 거푸집 전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판넬로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판넬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하에서 판넬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축조시에는 바닥 슬라브를 먼저 축조한 다음, 벽체를 만들게 되는데, 벽체를 만들 때에는 우선 바닥에 만들어질 벽체의 폭만큼 간격을 이루도록 내외측 거푸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한편, 바닥 슬라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 상면을 평평하게 양생한 것이지만, 점성이 큰 콘크리트를 굴곡이 전혀 없는 수평면으로 만드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벽체 구축을 위해 상기 거푸집을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안착시킬 경우 슬라브의 굴곡진 상면과 거푸집 저면 간에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는 거푸집을 수평하게 배치하는데 방해가 되며, 특히 다수개의 거푸집을 일렬로 수평하게 정렬시켜야 할 경우에는 굴곡진 슬라브 상면의 영향으로 인해 각 거푸집 간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는 소정길이의 목재 블럭 등을 거푸집 아래에 고여서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는바, 이와 같이 목재를 이용한 거푸집 받침방법에 의하면 거푸집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거푸집을 연이어 사용하는 경우 각 거푸집 간의 수평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렛대방식, 나사조절방식등 여러형태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10)는 나사조절방식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10)로서, 판넬(P)이 결합되는 상부판(11)과, 상부판(11)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높이조절유닛(12)과, 높이조절유닛(12)을 바닥 슬라브로부터 지지시키는 지지부재(13)를 포함한다.
판넬(P)은 웨지핀 체결 등의 작업을 통해 상부판(11)에 고정되며, 바닥 슬라 브가 수평면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높이조절유닛(1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판(1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이에 의하여 판넬(P)의 수평을 맞추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10)는 판넬(P)과 상부판(11)을 별도의 작업을 통해 체결한 뒤 사용해야하므로 체결 작업에 시간이 소모되어 공기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체결 작업의 난이도로 인해 시공자재비 및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10)는 자체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바닥 슬라브가 수평면으로 형성된 지점과 그렇지 못한 지점의 높이 차가 크지 않은 경우, 즉 바닥 슬라브가 수평면으로 형성된 지점과 그렇지 못한 지점의 높이 차가 거푸집 받침장치(10)의 자체 높이보다 작은 경우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10)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판넬(P)의 높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슬라브의 타설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간편하게 거푸집 전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는 판넬(P)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판넬의 높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슬라브의 타설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간편하게 거푸집 전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 템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합판부와, 상기 합판부의 테두리가 각각 안착되는 다수의 프로파일부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합판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로파일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및 바닥 슬라브와 상기 판넬부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프로파일부 중 합판부의 하측 테두리가 안착되는 하측 프로파일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미세높이 조절부는, 상기 하측 프로파일부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판넬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바닥 슬라브와 상기 판넬부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프로파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미세높이 조절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및 회전에 따라 상기 판넬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에 나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의 하단은 상기 하측 프로파일부의 하단과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회전의 편의를 돕기 위한 회전도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테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도움부는 육각 너트 형상의 외주면을 갖거나 또는 헤드부 상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되 삽입공이 관통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테일부의 하면은 편평한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실질적으로 다각 단면 형상을 갖는 관통공이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형상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상기 하측 프로파일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는, 상기 한 쌍의 관통공의 상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각각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회전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슬리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볼트는, 상기 한 쌍의 슬리브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일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부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몸체;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클램프체결용 그루브;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타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시스템 판넬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마찰방지 그루브; 및 상기 합판부의 어느 한 변이 안착되도록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합판부안착용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부는, 상기 시스템 판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시스템 판넬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프로파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수평재; 상기 제1 수평재의 하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시스템 판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수평재; 및 상기 시스템 판넬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다수의 수직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은, 상기 다수의 프로파일부 중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프로파일부의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코너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보강부는 각각, 상기 제1 수평재와 상기 제2 수평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수평재와 상기 제2 수평재를 연결하되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타이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수평재 연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은, 상기 제1 수평재, 상기 제2 수평재 및 상기 수평재 연결판의 사이에 마련되는 다수의 강도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판넬부와 바닥 슬라브와 상기 판넬부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미세높이 조절부에 의하여 별도의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판넬의 높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슬라브의 타설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간편하게 거푸집 전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분해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100, 이하, '시스템 판넬(100)'이라 함)은 전체 거푸집의 일부의 판면을 형성하는 판넬부(110)와, 판넬부(110)의 하측에 마련되어 바닥 슬라브와 판넬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미세높이 조절부(120, 130)를 포함한다.
판넬부(11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거푸집의 판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합판부(111)와, 합판부(111)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다수의 프로파일부(112, 113)와, 합판부(111)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부(114)를 포함한다.
합판부(111)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나 기둥의 외주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사각 판재형 구성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합판부(111)는 합판과, 합판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플라스틱 융착부(미도시)와, 합판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필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합판은 플라스틱 융착부가 융착되도록 하며 필름부가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판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합판은 목재를 사용하여 마련되므로 합판부(111) 전체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플라스틱 융착부의 융착이나 필름부의 코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플라스틱 융착부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합판의 일측면에 플라스틱을 융착하여 마련된다. 플라스틱 융착부는 융착되는 플라스틱의 특성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의 수분이 합판에 스며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합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라스틱 융착부는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표면에 눌러 붙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경우 시공하고자하는 벽체 또는 기둥 등의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필름부는 합판의 타측면에 필름을 열압하여 접착시킴으로써 마련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부는, 크라프트지(Kraft Paper)에 페놀수지를 함침한 후 건조하여 완성된 테고필름(Teco Film)을 합판의 타측면에 열압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여기서, 크라프트지는 표백되지 않은 크라프트 펄프로 만든 갈색 종이를 말하며, 페놀수지는 페놀류와 알데히드를 축중합 하여 만든 수지를 말하고, 함침(Impregnation)은 수지를 직물, 목재, 종이 등의 구조 속의 틈새에 채워 넣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예의 필름부는 크라프트지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완성되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고 단단하며, 불에 잘 타지 않으면서도 열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시스템 판넬(100)은 반복 사용되는 경우라도 일정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합판, 플라스틱 융착부 및 필름부의 재질과 결합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프로파일부(112)는 합판부(111)의 테두리가 각각 안착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합판부(111)의 각 테두리를 따라 상하좌우로 4개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판부(111)의 상측 및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프로파일부는 동일한 도번(112)을 사용하여 설명하며, 합판부(111)의 하측에 마련되는 프로파일부는 하측 프로파일부(113)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합판부(111)의 상측 및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프로파일부(112)에 관한 사항은 미세높이 조절부(120, 130)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면 하측 프로파일부(113)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측 프로파일부(113)에 관한 사항만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프로파일부(113)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몸체(113a)와, 클램프(C)가 체결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클램프체결용 그루브(113b)와, 인접하여 결합되는 시스템 판넬(100) 상호 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마련되는 마찰방지 그루브(113c)와, 합판부(111)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합판부안착용 단턱(113d)을 포함한다.
프로파일몸체(113a)는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클램프체결용 그루브(113b)는 프로파일몸체(1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로파일몸체(113a)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은 다른 시스템 판넬(100)과 클램프(C)를 사용 하여 체결되는데(도 5 및 도 6 참조), 클램프체결용 그루브(113b)는 이러한 클램프(C)의 체결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유로폼은 웨지핀(Wedge Pin)을 사용하여 다른 유로폼과 체결되는데 웨지핀은 체결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파손되기 쉬우므로 반복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은 체결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높은 클램프(C)를 사용하여 상호 체결됨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클램프체결용 그루브(113b)에는 클램프(C)의 양단에 마련되는 클램프(C)의 체결돌기(CT, 도 5 및 도 6 참조)가 삽입되며, 이후 클램프핀(CP, 도 5 및 도 6 참조)을 클램프(C)에 끼움으로써 상호 인접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0)이 결합된다.
한편, 마찰방지 그루브(113c)는 프로파일몸체(1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로파일몸체(113a)의 타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호 인접하는 시스템 판넬(100)을 체결하거나 체결된 시스템 판넬(100)을 상호 분리하는 경우, 마찰방지 그루브(113c)는 상호 인접한 시스템 판넬(100) 상호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 및 분리의 편의를 도모토록 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시스템 판넬(100)은 클램프(C)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는데, 이 경우 프로파일몸체(113a)에는 표면으로부터 라운드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마찰방지 그루브(113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 면적을 최소로 줄인 상태에서 상호 체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합판부안착용 단턱(113d)은 합판부(111)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프로파일몸체(1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로파일몸체(113a)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연장 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부안착용 단턱(113d)의 일단부는 상측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합판부안착용 단턱(113d)에 안착된 합판부(111)의 이탈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수의 보강부(114)는 콘크리트 타설시 합판부(111)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프로파일부(112, 113)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1 수평재(114a)와, 제1 수평재(114a)의 하측에서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제2 수평재(114b)와,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평재(114a, 114b)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재(114c)와, 제1 수평재(114a)와 제2 수평재(114b) 사이에 마련되는 수평재 연결판(114d)과, 인접 배치되는 수직재(114c) 상호 간을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수평재(114e)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 수평재(114a)는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좌우측 프로파일부(112)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며, 다수의 제2 수평재(114b)는 제1 수평재(114a)의 하측에 인접 배치되어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좌우측 프로파일부(112)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수평재 연결판(114d)은 제1 수평재(114a)와 제2 수평재(114b) 사이에서 제1 수평재(114a) 및 제2 수평재(114b)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다수의 수평재(114a, 114b)는 시스템 판넬(100)의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저항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한 것인데,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은 제1 수평재(114a), 제2 수평재(114b) 및 수평재 연결판(114d)에 의하여 구조적인 견고함이 도모되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힘이 제공되게 된다.
수평재 연결판(114d)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타이홀(TH)이 형성되며, 이러한 타이홀(TH)에는 각각 타이로드(T, 도 6 참조)의 일단부가 삽입된 후 고정됨으로써 대향되게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0)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수평재 연결판(114d)에 형성된 다수의 타이홀(TH)에 대응되는 위치의 합판부(111) 부분에는 미리 타이홀(TH)과 동일한 크기의 홀(미도시)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 타이로드(T)를 체결할 부분에만 합판부(111)에 홀(미도시)을 가공한 후 타이로드(T)를 체결할 수도 있다.
종래의 유로폼은 유로폼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로파일부에만 홀이 가공되어 있으므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로폼 상호 간에 타이로드를 체결하는 경우 반드시 정확하게 대향되는 위치에 유로폼을 배치시키고 타이로드를 체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의 수평재 연결판(114d)에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다수의 타이홀(TH)이 선 가공되어 있으므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0)이 지그재그로 배치된 경우라도 임의의 위치에 타이로드(T)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즉,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은 타이로드(T)의 체결위치를 고려하여 대향되는 시스템 판넬(100)의 설치위치를 특정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타이로드(T)를 체결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타이홀(TH)에는 거푸집 마개(미도시)를 체결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수평재(114a), 제2 수평재(114b) 및 수평재 연결판(114d)의 사이에는 다수의 강도보강판(R)이 마련된다. 강도보강판(R)은 얇은 판재 형상의 금속성 부재로 마련되어 다수의 타이홀(TH)의 사이사이에서 제1 수평재(114a)의 하면과, 제2 수평재(114b)의 상면과, 수평재 연결판(114d)의 전면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보강부(114)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수평재 연결판(114d)에는 다수의 타이홀(TH)이 가공됨에 따라 전체적인 강도가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도보강판(R)이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수평재(114a)의 좌우측 하면과 제2 수평재(114b)의 좌우측 상면에는 각각 쐐기결합부(116)가 마련된다.
쐐기결합부(116)는 제1 수평재(114a)의 좌우측 하면과 제2 수평재(114b)의 좌우측 상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시스템 판넬(100)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는 타이로드(T)를 보다 견고히 고정하는 구성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로드(T)는 대향되게 배치된 시스템 판넬(1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데, 쐐기결합부(116)는 타이로드(T)가 체결된 상태의 제1 수평재(114a) 및 제2 수평재(114b)의 사이에 결합되는 쐐기(WD)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쐐기(WD)는 쐐기결합부(116) 사이에 강제로 삽입되어 타이로드(T)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다수의 수직재(114c)는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평재(114a, 114b)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수직재(114c)는 수평재(114a, 114b) 상호 간을 연결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힘을 부여토록 할 뿐만 아니라 시공용 받침대 등의 외부 구조물이 체결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수직재(114c)를 관통하여서는 관통홀(C3)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C3)에는 시공용 받침대 파이프(1) 또는 시스템 폼 지지대(2) 등이 연결된다.
한편, 다수의 보조 수평재(114e)는 인접 배치되는 수직재(114c) 상호 간을 시스템 판넬(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다수의 보조 수평재(114e)는 전술한 수평재(114a, 114b) 및 수직재(114c)와 마찬가지로 시스템 판넬(100)에 일정한 구조력을 부여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게 된다.
수평재(114a, 114b)와 보조 수평재(114e)에는 각각 관통홀(C1, C2, C4)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C1, C2, C4)을 따라서는 웰라(WA) 등이 체결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100) 상호 간을 보다 견고히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코너보강부(115)는 프로파일부(112, 113)가 상호 연결되는 각 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코너보강부(115)는 프로파일부(112, 113)의 연결지점에서 총 4개가 마련된다. 코너보강부(115)는 프로파일부(112, 113)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ㄱ'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프로파일부(112, 113)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형으로 마련되는데, 코너보강부(115)는 이러한 중공형 프로파일부(112, 113)의 단부를 막도록 결합되므로 빗물 등이 프로파일부(112, 113)의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프 로파일부(112, 113)가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ㄱ'자 단면 형상의 코너보강부(115)는 뒤쪽 면 및 양 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판(115a) 및 강도보강편(115b)에 의하여 그 연결강도가 보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15a)은 코너보강부(115)의 뒤쪽 면을 연결함으로써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며, 강도보강편(115b)은 코너보강부(115)의 양 측면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강도보강편(115b)은 'ㄱ'자 형상의 코너보강부(115)의 내측에 포함되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되는바 시스템 판넬(100)의 탈형의 편의가 도모된다.
일반적으로 유로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 후에는 유로폼 각각을 탈형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유로폼은 그 자체의 무게와 콘크리트의 부착력 등에 의해 바닥 슬라브에 일정한 힘으로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지렛대 등을 사용하여 유로폼의 하측을 들어올린다. 그러나, 유로폼의 하측에는 지렛대의 일단부가 삽입될 만한 공간이 없으므로, 결국 강제적으로 유로폼의 하측에 지렛대의 일단부를 삽입시키고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유로폼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 과도한 힘을 가하면 유로폼의 하측 프로파일이 찌그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프로파일이 손상된 유로폼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결국 산업폐기물로 처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은 코너보강부(115)의 내측에 포함될 정도로 작은 크기로 마련되는 강도보강편(115b)을 통해 시스템 판넬(100)의 탈형시 지렛대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탈형의 편의를 도 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세높이 조절부(120, 130)는 바닥 슬라브와 판넬부(110)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미세높이 조절부(120, 130)는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좌우측에서 하측 프로파일부(11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각각 형성된 관통공(113e, 113f)을 관통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우측 관통공(113f)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미세높이 조절부(130)에 관한 사항은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좌측 관통공(113e)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미세높이 조절부(12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좌측 미세높이 조절부(120)에 관한 사항만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높이 조절부(120)는 내주면에 나사산(121a)이 형성되며 관통공(113e)에 삽입 고정되는 슬리브(121)와, 판넬부(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121)에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22)를 포함한다.
슬리브(121)는 높이조절볼트(122)를 통해 판넬부(110)가 바닥 슬라브로부터 이격되거나 바닥 슬라브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하측 프로파일부(113)에 형성된 관통공(113e)에 삽입 고정되는 구성이다.
슬리브(121)의 외주면은 다각 단면 형상,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내주면은 원형 단면 형상의 결합공(121b)이 길이 방 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결합공(121b)의 내주면을 따라서는 나사산(121a)이 형성된다. 다만, 슬리브(121)의 외주면은 사각 단면 형상이 아닌 오각 또는 육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슬리브(121)의 외주면을 사각 단면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은 높이조절볼트(122)의 회전에 따라 슬리브(121)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슬리브(121)는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관통공(113e)에 관통 삽입된 후 용접 또는 볼팅 등의 방법에 따라 하측 프로파일부(113)에 고정된다. 만약 슬리브(121)의 외주면을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한다면 높이조절볼트(122)의 회전에 따라 슬리브(121)가 함께 회전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슬리브(121)와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연결부분이 파손될 위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슬리브(121)의 외주면의 형상을 사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높이조절볼트(122)의 회전에 따라 슬리브(121)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슬리브(121)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슬리브(121)의 하단은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하단과 일치되도록 마련되며, 상단은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슬리브(121)의 하단은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바닥 슬라브 면이 편평한 지점에서는 미세높이 조절부(120)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에 있어서 미세높이 조절부(120)는 바닥 슬라브 면이 편평한 지점과 편평하지 않은 지점이 함께 있는 경우 바닥 슬라브 면의 일정한 편평도를 맞추기 위하여 양 지점 중 높이가 낮은 지점의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사용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바닥 슬라브 면이 편평한 지점에서는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하면이 직접 편평한 지점의 바닥 슬라브 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판넬(100)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슬리브(121)의 하단이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슬리브(121)의 상단은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며, 이에 따라 높이조절볼트(122)의 회전시 발생하는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강한 힘을 가하여 높이조절볼트(122)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을 따라 높이조절볼트(122)의 유동(떨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동을 흡수하기 위해 슬리브(121)의 상단을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연장시킴으로써 높이조절볼트(122)와 슬리브(121) 상호 간의 접촉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프로파일부(113)는 전체 시스템 판넬(10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중공형으로 마련되므로 하측 프로파일부(113)에 형성된 관통공(113e)에는 나사산을 형성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관통공(113e)에 삽입되는 슬리브(121)를 추가함으로써 높이조절볼트(122)의 회전에 따라 판넬부(110)가 상승하거나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하측 프로파일부(113)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 마련되지 않고 내부가 찬 강체로 마련되는 경우 슬리브(12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강체로 하측 프로파일부(113)를 마련하는 경 우에는 하측 프로파일부(113)를 관통하는 관통공(113e)을 뚫고 그 내주면에 직접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써 높이조절볼트(122)와 나사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높이조절볼트(122)는 하측 프로파일부(113)에 대한 상대회전에 따라 판넬부(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높이조절볼트(122)는 헤드부(123)와, 헤드부(123)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124a)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24)와, 몸체부(124)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일부(125)를 포함한다.
헤드부(123)는 높이조절볼트(122)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형성되는 회전도움부(123a)를 포함한다. 회전도움부(123a)는 헤드부(123)의 회전의 편의, 더 나아가 높이조절볼트(122)의 회전의 편의를 위해 헤드부(123)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도움부(123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23)의 상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형성되며 회전도움부(123a)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123b)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삽입공(123b)을 따라 높이조절볼트(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임의의 회전용 부재(예컨대, 철근 또는 빠루 등의 물건)의 일단부를 삽입한 뒤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높이조절볼트(1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헤드부(123) 하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된 회전도움부(123a)의 형상에 따라 작업자는 회전용 부재의 일단부의 일부만을 삽입하게 되므로 삽입의 편의가 도모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회전도움부(123a)는 헤드부(123)의 상단부 외주면이 육각 너트 형상을 갖도록 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미도시), 이 경우 렌치 등을 사용하여 헤드 부(123)를 회전시키게 된다.
몸체부(124)는 슬리브(121)의 결합공(121b)을 따라 삽입되어 슬리브(12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이다. 몸체부(124)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나사산(124a)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산(124a)은 슬리브(121)의 결합공(121b)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121a)과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헤드부(123) 및 헤드부(123)에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24)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볼트(122)는 하측 프로파일부(11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나오거나 슬리브(121)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게 된다.
테일부(125)는 높이조절볼트(122)가 바닥 슬라브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몸체부(124)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테일부(125)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테이퍼면(125a)과, 하단에 편평하게 마련되는 평면(125b)을 포함한다. 테이퍼면(125a)은 테일부(125)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평면(125b)은 바닥 슬라브로부터 높이조절볼트(1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높이조절볼트(122)는 테일부(125)의 하단에 마련된 평면(125b)을 통해 바닥 슬라브로부터 핀포인트(pin-point) 지지되며, 이에 따라 판넬부(110)와 바닥 슬라브 사이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테이퍼면(125a)은 바닥 슬라브에 접촉되는 평면(125b)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다. 테이퍼면(125a) 및 평면(125b)에 따라 높이조절볼트(122)는 바닥 슬라브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므로 바닥 슬라브의 파손을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판넬부(1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시공용 받침대 파이프 및 시스템 폼 지지대가 결합된 도 2의 시스템 판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시스템 판넬을 사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을 사용하여 벽체 등을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켜 바닥 슬라브(S)를 완성한 뒤에는 벽체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시스템 판넬(100)을 결합시켜 전체 거푸집을 완성한다. 이때 시스템 판넬(100) 상호 간은 클램프(C) 및 웰라(WA)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클램프(C)는 프로파일부(112)의 클램프체결용 그루브(113b)를 통해 체결되며, 웰라(WA), 시공용 받침대 파이프(1) 및 시스템 폼 지지대(2)는 제1 수평재(114a), 제2 수평재(114b), 수직재(114c) 및 보조 수평재(114e)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C1 내지 C4)을 통해 체결된다.
이처럼 다수의 시스템 판넬(100)을 사용하여 전체 거푸집을 완성하고 웰라(WA), 시공용 받침대 파이프(1) 및 시스템 폼 지지대(2)를 사용하여 시공용 받침대(1a)의 설치와 거푸집의 지지작업까지 완료한 뒤에는 미세높이 조절부(120)를 조절하여 바닥 슬라브의 편평도를 맞추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에는 편평한 지점과 편평하지 않은 지점이 함께 존재하게 되므로 편평하지 않은 지점에 인접한 미세높이 조절부(120)를 조절하여 편평한 지점과의 높이 차를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헤드부(123)의 회전도움부(123a)의 삽입공(123b)에 회전용 부재의 일단부를 삽입한 뒤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높이조절볼트(122)를 회전시키게 되며, 높이조절볼트(122)는 바닥 슬라브의 편평도가 일정하게 맞춰질때까지 계속 회전된다.
바닥 슬라브의 편평도가 일정한 수준까지 맞춰진 뒤에는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벽체 등을 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 판넬(100)은 판넬부(110)와, 바닥 슬라브와 판넬부(110)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미세높이 조절부(120)에 의하여 별도의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판넬(100)의 높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슬라브의 타설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라도 간편하게 거푸집 전체의 높이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시공용 받침대 파이프 및 시스템 폼 지지대가 결합된 도 2의 시스템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시스템 판넬을 사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스템 판넬 110 : 판넬부
111 : 합판부 112, 113 : 프로파일부
114 : 보강부 120, 130 :미세높이 조절부
121 : 슬리브 122 : 높이조절볼트

Claims (12)

  1.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합판부와, 상기 합판부의 테두리가 각각 안착되는 다수의 프로파일부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합판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로파일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보강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및
    바닥 슬라브와 상기 판넬부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프로파일부 중 합판부의 하측 테두리가 안착되는 하측 프로파일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부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몸체;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클램프체결용 그루브;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타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시스템 판넬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마찰방지 그루브; 및
    상기 합판부의 어느 한 변이 안착되도록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합판부안착용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높이 조절부는,
    상기 하측 프로파일부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판넬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바닥 슬라브와 상기 판넬부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로파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미세높이 조절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및
    회전에 따라 상기 판넬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에 나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회전의 편의를 돕기 위한 회전도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도움부는 육각 너트 형상의 외주면을 갖거나 또는 헤드부 상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되 삽입공이 관통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테일부의 하면은 편평한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실질적으로 다각 단면 형상을 갖는 관통공이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20090013871U 2009-10-24 2009-10-24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KR200459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71U KR200459960Y1 (ko) 2009-10-24 2009-10-24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71U KR200459960Y1 (ko) 2009-10-24 2009-10-24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97U KR20110004297U (ko) 2011-05-02
KR200459960Y1 true KR200459960Y1 (ko) 2012-04-25

Family

ID=4424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871U KR200459960Y1 (ko) 2009-10-24 2009-10-24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9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1190B2 (en) 2015-04-30 2018-01-09 Seobo Industrial Co., Ltd.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514B1 (ko) * 2019-03-28 2021-02-03 김재원 결합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운 거푸집판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59Y1 (ko) * 2002-04-06 2002-07-13 김광식 건축물용 거푸집
KR100731303B1 (ko) * 2006-07-06 2007-06-21 오경근 거푸집 높이조절장치
KR200441658Y1 (ko) * 2007-09-07 2008-08-29 김창수 구조 개선된 거푸집
KR20100122022A (ko) * 2009-05-11 2010-11-19 (주)블루폼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59Y1 (ko) * 2002-04-06 2002-07-13 김광식 건축물용 거푸집
KR100731303B1 (ko) * 2006-07-06 2007-06-21 오경근 거푸집 높이조절장치
KR200441658Y1 (ko) * 2007-09-07 2008-08-29 김창수 구조 개선된 거푸집
KR20100122022A (ko) * 2009-05-11 2010-11-19 (주)블루폼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1190B2 (en) 2015-04-30 2018-01-09 Seobo Industrial Co., Ltd.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97U (ko) 201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DE202006015397U1 (de) Mehrschichtiges Aufbausystem für Bodenbeläge bei Fußbodenheizungen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CN110541565A (zh) 一种用于非标准层墙柱根部的铝木结合结构及施工方法
KR101849766B1 (ko)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콘크리트 줄기초 시공 방법
KR200459960Y1 (ko)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CN113482007B (zh) 一种腰梁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818292B1 (ko) 선조립 철근을 구비한 슬래브거푸집
JP2022551391A (ja) コンクリート床版、コンクリート床版要素、ならびにコンクリート床版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要素を製造する方法
TWM583873U (zh) 應用於具功能性層體樓地板系統之支撐固定件及樓地板系統
KR101746782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내진보강형 목조 건축물과 이의 시공방법
CN109457955A (zh) 预制叠合楼板支撑***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039876B1 (ko)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 판넬
JP4903110B2 (ja) 開口補強ユニットおよび布基礎
KR20120066878A (ko)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US8112965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monolithic tiered concrete slabs
KR20120057207A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EP2444576A2 (de) Montagekonsole
CN110904745B (zh) 道岔设备支撑平台
KR200461421Y1 (ko) 청소구를 구비한 판넬
JP2021085270A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101877518B1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EP2159364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door's thresh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