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875Y1 -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875Y1
KR200457875Y1 KR2020110009743U KR20110009743U KR200457875Y1 KR 200457875 Y1 KR200457875 Y1 KR 200457875Y1 KR 2020110009743 U KR2020110009743 U KR 2020110009743U KR 20110009743 U KR20110009743 U KR 20110009743U KR 200457875 Y1 KR200457875 Y1 KR 200457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anker
valve body
sea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9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조화차에 설치되어 유조화차의 내부 압력이 이상적으로 증가될 경우 개방되어 유조화차의 내부 압력을 낮추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는 유조화차의 유증기가 유입되는 밸브부와, 상기 유증기가 배출구로 배출되기 전 상기 유증기가 임시로 수용되는 배출실이 구비된 배출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실을 구획하는 밸브시트부를 포함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시트부에 안착되어 연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판과, 상기 밸브실에 상기 밸브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안착시트와, 상기 밸브판을 연결하는 축핀을 포함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본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개방공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축핀에 결합되는 링크; 상기 지지부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핸들; 및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필터형 소음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증기가 배출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조화차용 안전밸브{a safety valve for tanker train}
본 고안은 유조화차에 설치되어 유조화차의 내부 압력이 이상적으로 증가될 경우 개방되어 유조화차의 내부 압력을 낮추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화차는 유류를 저장하여 운송하는 화물열차로서, 레일을 주행하는 화물열차에 유류를 저장하는 탱크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유조화차는 탱크 내의 유류가 증발되어 유증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탱크의 폭발위험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677호(공개일자 2009.10.21)의 "철도차량용 탱크로리의 안전 밸브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철도차량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장치는 탱크와 연통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상부에 결합된 스프링시트와, 상기 밸브몸체 내에 전달된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 위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스프링시트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이 구비된 철도차량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와 캡 사이에 나사 결합된 밸브시트; 상기 밸브시트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구성된 복수의 에어배출관; 상기 에어배출관 내에 수평 및 수직으로 형성된 에어배출공; 상기 에어배출공 내측에 장착되어 에어배출을 개폐하는 체크볼과, 체크볼을 스토퍼로부터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종래의 철도차량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장치는 탱크로리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몸체가 상향되어 안전밸브장치를 개방하고, 안전밸브장치가 개방되면 에어배출관을 통해 체크밸브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탱크로리의 폭발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철도차량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장치는 압력을 초과하는 유증기가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밸브장치의 개방 시 유증기의 압력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밸브장치의 작동 시험을 수행할 수 없어 안전밸브장치가 고장난 상태에서 탱크로리를 개방함으로써, 유증기의 압력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밸브장치의 작동 압력을 설정하기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밸브의 개방 시 배출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밸브의 작동을 시험할 수 있으며, 밸브의 작동 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는 유조화차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조화차의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부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상부에 개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증기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기 전 상기 유증기가 임시로 수용되는 배출실이 구비된 배출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실을 구획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밸브시트부를 포함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시트부에 안착되어 상,하 이동 시 상기 연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원판 형상의 밸브판과, 상기 밸브부에 상기 밸브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안착시트와, 상기 안착시트와 상기 밸브판이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안착시트와 상기 밸브판을 연결하는 축핀을 포함하는 밸브체; 상기 안착시트에 일단이 안착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시트부에 지지되어 상기 밸브판이 상기 밸브시트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본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개방공을 밀폐하고 중앙부분에 관통된 핀공이 형성되며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가 구비된 커버; 상기 핀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축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핀공으로 일부 돌출되는 링크; 상기 지지부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링크를 상기 핀공에서 출몰시키는 형태로 상기 링크에 결합된 상기 밸브체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조작핸들;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형 소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축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안착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너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축핀에서 상기 지지너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상기 안착시트의 지지되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밸브체가 상기 연통공을 개방하는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밸브부의 끝단에는 상기 밸브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본체를 상기 유조화차에 결합시키는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판과 상기 밸브시트부의 사이에는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기밀하는 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시트는 상기 유입구로 상기 유증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유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밸브본체에서 바닥을 향해 하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증기가 배출실을 거쳐 배출되고, 소음기가 구비되어 배출되는 유증기의 소음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체를 작동하는 조작핸들이 구비되어 안전밸브를 강제로 작동함으로써, 안전밸브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돔커버의 개방 시 압력을 감소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밸브가 작동하는 압력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가 유조화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안전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밸브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밸브본체(110)는 각 구성이 결합되는 몸체로서, 유조화차(200)에서 유증기가 유출되는 유출구(220)의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밸브본체(110)는 밸브부(111), 배출부(114), 그리고 밸브시트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111)는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하기에 설명될 밸브체(12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111)의 하단으로는 유조화차(200)에서 발생된 유증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이 밸브부(111)의 유입구(112)가 될 수 있다.
한편, 밸브부(111)의 하단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플랜지에는 복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유조화차(200)에 형성된 플랜지와 겹쳐진 상태에서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공을 볼트가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형태로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를 유조화차(200)에 설치할 수 있다.
배출부(114)는 밸브부(111)의 상부 더 구체적으로는 밸브부(111)의 플랜지가 구비되는 반대방향 끝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밸브부(111)와 배출부(11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114)는 내부에 유증기가 임시로 수용되는 배출실(116)이 형성되며, 배출부(114)의 측 부분으로는 배출실(116)에 수용된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15)는 밸브본체(110)에서 하향된 상태로 형성되어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 시 배출구(115)의 부근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유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증기가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증기가 외부로 멀리 퍼져나가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114)의 상부 더 구체적으로는 유입구(112)가 형성된 상부에는 배출부(114)의 상부가 일부 개방된 형태의 개방공(117)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시트부(118)는 유입구(112)와 배출실(116)을 구획하도록 밸브부(111)와 배출부(114)가 연결되는 부분의 내주 면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밸브시트부(118)의 중앙에는 유입구(112)와 배출실(116)을 연통하는 연통공(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밸브시트부(118)에서 연통공(119)의 둘레 부분은 상향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밸브본체(110)는 유입구(112)로 유입된 유증기가 밸브시트부(118)에 형성된 연통공(119)을 통해 배출실(116)로 이동하고 배출실(116)로 이동한 유증기는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밸브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밸브체(120)는 밸브부(1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통공(119)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밸브체(120)는 밸브판(121), 안착시트(125), 및 축핀(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판(12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통공(119)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즉, 밸브판(121)은 밸브시트부(118) 더 구체적으로는 연통공(119)의 둘레로 상향된 밸브시트부(118)의 부분에 안착되는 형태로 연통공(119)을 밀폐하고, 안착된 밸브판(121)이 밸브시트부(118)에서 이격되는 형태로 연통공(119)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밸브판(121)의 지름은 연통공(119)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연통공(119)의 둘레로 상향 돌출된 밸브시트부(118)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밸브판(121)에는 씰부재(12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씰부재(121a)는 밸브판(121)이 밸브시트부(118)에 안착되어 연통공(119)을 밀폐하였을 때, 밸브판(121)이 안착되는 밸브시트부(118)의 부분과 밸브판(121)의 사이를 기밀하여 연통공(119)을 완벽히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씰부재(121a)는 밸브판(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통공(119)보다는 큰 지름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시트(125)는 밸브판(121)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밸브부(111)의 내부 즉, 밸브판(12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안착시트(125)는 중앙에 관통된 결합공(1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127)의 둘레로는 유입구(112)로 유입되는 유체가 안착시트(125)를 원활히 지날 수 있도록 안착시트(125)를 관통하는 유통공(126)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축핀(123)은 밸브판(121)의 이동 시 안착시트(125)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안착시트(125)와 밸브판(121)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축핀(123)은 밸브판(121)과 안착시트(125)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밸브판(121)은 축핀(123)에 고정되고 안착시트(125)는 축핀(123)에서 축핀(123)을 따라 이동하여 밸브판(121)과 안착시트(125)의 사이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와 같이 축핀(123)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안착시트(125)의 결합공(127)에 축핀(123)을 삽입하는 형태로 안착시트(125)를 축핀(123)에 결합하고, 안착시트(125)의 하부에서 안착시트(125)를 지지하는 지지너트(128)를 축핀(123)에 나사체결한다.
이렇게 결합된 지지너트(128)는 축핀(123)에 나사체결되기 때문에 지지너트(128)의 회전방향에 따라 축핀(123)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지지너트(128)의 위치에 따라 지지너트(128)에 지지되는 안착시트(125)의 위치도 조절되어 안착시트(125)와 밸브판(121)의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축핀(123)의 상단부분 더 구체적으로는 밸브판(121)의 상부로 돌출된 축핀(123)의 부분에는 하기에 설명될 링크(150)가 결합되는 링크결합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탄성스프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스프링(130)은 밸브체(120)가 밸브본체(110)에 형성된 연통공(119)을 폐쇄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스프링(130)은 공지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탄성스프링(130)은 일단은 안착시트(125)에 지지되고, 타단은 밸브본체(110) 더 구체적으로는 밸브시트부(118)의 하부에 지지될 수 있다.
즉, 탄성스프링(130)은 안착시트(125)와 밸브시트부(118)의 사이에 위치되어 안착시트(125)를 하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안착시트(125)와 축핀(123)으로 연결된 밸브판(121)이 연통공(119)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체(120)가 연통공(119)을 개방하는 압력은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유증기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면 밸브체(120)가 연통공(119)을 개방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안착시트(125)를 지지하는 지지너트(128)를 상향 이동시켜 안착시트(125)와 밸브시트부(118)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밸브시트부(118)와 안착시트(125)의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이 크게 발생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반면, 유증기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하여도 밸브체(120)가 연통공(119)을 개방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안착시트(125)를 지지하는 지지너트(128)를 하향 이동시켜 안착시트(125)와 밸브시트부(118)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밸브시트부(118)와 안착시트(125)의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이 작게 발생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40)는 밸브본체(110)의 배출실(116)의 개방된 개방공(117)을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커버(1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본체(110)의 부분 중 개방공(117)의 둘레 부분에 볼트로 체결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40)의 중앙 부분에는 하기에 설명될 링크(150)가 출몰하는 핀공(141)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140)에서 핀공(141)이 형성된 부분에는 커버(14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140)가 밀폐하는 개방공(117)은 커버(140)를 개방공(117)에서 제거 시 이 개방공(117)을 통해 유조화차용 압력밸브 더 구체적으로는 밸브체(120)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링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링크(150)는 축핀(123)과 연결되어 축핀(123)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링크(15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링크(150)의 일단은 축핀(123)에 결합된 링크결합부(124)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HP)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150)의 타단은 개방공(117)을 밀폐하는 커버(140)의 핀공(141)을 관통하여 상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핸들(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작핸들(160)은 링크(15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연통공(119)을 밸브체(120)가 강제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조작핸들(160)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핸들(160)의 끝단은 커버(140)에 형성된 지지부(143)에 지지부(143)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HP)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핸들(160)에는 핀공(141)의 상부로 일부 돌출된 링크(150)가 힌지핀(HP)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조작핸들(160)은 지렛대와 원리와 같이 조작핸들(160)의 끝단을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향되도록 회전시키면, 조작핸들(160)에 결합된 링크(150)가 조작핸들(160)을 따라 상향되고, 링크(150)가 상향되면서 링크(150)에 결합된 밸브체(120)가 밸브시트부(118)에서 상향되어 밸브체(120) 더 구체적으로 밸브판(121)이 폐쇄하던 연통공(119)을 강제적으로 개방한다(도 3 참조).
이때, 조작핸들(160)이 상향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압력을 해제하면 밸브체(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120)가 하향되어 연통공(119)을 밀폐하고 밸브체(120)가 하향되면서 링크(150)에 연결된 손잡이도 하향되도록 회전시켜 조작핸들(160)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필터형 소음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터형 소음기(170)는 배출구(115)에 설치되어 배출구(115)를 통해 배출되는 유증기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배출구(115)를 통하여 밸브본체(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필터형 소음기(170)는 다공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밸브본체(110) 더 구체적으로는 밸브본체(110)의 밸브부(111)에 구비된 플랜지(113)를 유조화차(200)에서 유증기가 유출되는 유출구(220)의 부분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이렇게 유조화차(200)에 설치된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유조화차(200)에 수용된 유체에서 유증기가 발생하여 유조화차(200)의 유출구(220)로 유출되면, 밸브본체(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밸브부(11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증기의 압력이 밸브체(120)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보다 크지 않은 압력인 경우, 유증기가 밸브체(120)를 작동시키지 못함으로 밸브체(120)가 연통공(119)을 밀폐한 상태가 된다.
반면, 유증기의 압력이 증가되어 밸브체(120)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 보다 큰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유증기가 밸브체(120) 더 구체적으로는 밸브판(121)을 가압하여 밸브판(121)을 상향 이동시켜 밸브판(121)을 밸브판(121)이 안착된 밸브시트부(118)에서 이격시키는 형태로 연통공(119)을 개방한다.
한편, 유증기는 개방된 연통공(119)을 통하여 배출실(116)로 유입되고, 배출실(116)로 유입된 유증기는 배출구(1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유증기는 배출실(116)에서 압력이 감소되고, 필터형 소음기(17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밸브에서 바로 외부로 배출되어 외부 압력 차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증기가 배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유조화차(2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연통공(119)을 개방한 밸브체(120)가 다시 밸브시트부(118)에 안착되어 연통공(119)을 밀폐하는 형태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유조화차(2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압력이 증가되면 개방되고, 압력이 낮아지면 차단하는 형태로 자동으로 작동된다.
한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조작핸들(160)을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향되도록 회전시킨다.
조작핸들(160)이 회전되면 조작핸들(160)에 연결된 링크(150)가 핀공(141)에서 상향 이동하고, 상향 이동된 링크(150)는 축핀(123)을 상향 이동시키는 형태로 밸브체(120) 전체를 상향 이동시켜 밸브판(121)이 폐쇄하는 연통공(119)을 개방하는 형태로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를 강제로 개방한다.
그리고, 시험을 수행 후 작업자가 파지한 조작핸들(160)을 하향되도록 회전시키거나 조작핸들(16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해제하면, 밸브체(120)를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120)가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밸브판(121)이 밸브시트부(118)에 안착되는 형태로 연통공(119)을 밀폐함으로써,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를 폐쇄한다.
아울러, 조작핸들(160)은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를 시험하기 위해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조화차(200)에 유체를 공급하는 돔커버(210)를 개방할 때, 조작핸들(160)을 조작하여 유조화차(200)의 내부 압력을 낮춘 상태에서 유조화차(200)를 강제로 개방함으로써, 유조화차(200)의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유조화차(200)를 개방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유조화차용 안전밸브(100)를 조작할 수 있어 안전밸브(100)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조화차(200)의 돔커버(210)를 개방 시 유증기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출되는 유증기의 압력을 배출실(116)에서 낮춰 배출구(115)로 배출함으로써, 유증기의 배출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113)가 구비되어 유조화차(200)에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120)가 밀폐되어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고장 및 부식되어 밸브본체(110)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120)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형태로 안전밸브(100)의 개방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110: 밸브본체
111: 밸브부 112: 유입구
113: 플랜지 114: 배출부
115: 배출구 116: 배출실
117: 개방공 118: 밸브시트부
119: 연통공 120: 밸브체
121: 밸브판 121a: 씰부재
123: 축핀 124: 링크결합부
125: 안착시트 126: 유통공
127: 결합공 128: 지지너트
130: 탄성스프링 140: 커버
141: 핀공 143: 지지부
150: 링크 160: 조작핸들
170: 필터형 소음기 200: 유조화차
210: 돔커버 220: 유출구
HP: 힌지핀

Claims (5)

  1. 유조화차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조화차의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부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상부에 개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증기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기 전 상기 유증기가 임시로 수용되는 배출실이 구비된 배출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실을 구획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밸브시트부를 포함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시트부에 안착되어 상,하 이동 시 상기 연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원판 형상의 밸브판과,
    상기 밸브부에 상기 밸브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안착시트와,
    상기 안착시트와 상기 밸브판이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안착시트와 상기 밸브판을 연결하는 축핀을 포함하는 밸브체;
    상기 안착시트에 일단이 안착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시트부에 지지되어 상기 밸브판이 상기 밸브시트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본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개방공을 밀폐하고 중앙부분에 관통된 핀공이 형성되며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가 구비된 커버;
    상기 핀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축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핀공으로 일부 돌출되는 링크;
    상기 지지부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링크를 상기 핀공에서 출몰시키는 형태로 상기 링크에 결합된 상기 밸브체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조작핸들;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유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형 소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축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안착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너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축핀에서 상기 지지너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상기 안착시트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밸브체가 상기 연통공을 개방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의 끝단에는
    상기 밸브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본체를 상기 유조화차에 결합시키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과 상기 밸브시트부의 사이에는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기밀하는 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시트는
    상기 유입구로 상기 유증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유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밸브본체에서 바닥을 향해 하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KR2020110009743U 2011-11-03 2011-11-03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KR200457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43U KR200457875Y1 (ko) 2011-11-03 2011-11-03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43U KR200457875Y1 (ko) 2011-11-03 2011-11-03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875Y1 true KR200457875Y1 (ko) 2012-01-06

Family

ID=4584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743U KR200457875Y1 (ko) 2011-11-03 2011-11-03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8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830B1 (ko) 2012-06-04 2014-02-20 한국가스공사 정압기의 밀폐기 분해 조립 장치
RU178580U1 (ru) * 2017-02-28 2018-04-11 РЕЙЛ 1520 АйПи ЛТД Люк вагона-цистерн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1520A (en) 1969-04-04 1974-10-15 Airco Inc Flame arresting vent valve
US4921214A (en) 1989-05-18 1990-05-01 Amtrol Inc. Non-refillable packless valve for pressurized containers
JPH0438053A (ja) * 1990-06-04 1992-02-07 Hitachi Telecom Technol Ltd 有線放送電話における放送方式
KR20040047118A (ko) * 2002-11-29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연소실의 압축비 측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1520A (en) 1969-04-04 1974-10-15 Airco Inc Flame arresting vent valve
US4921214A (en) 1989-05-18 1990-05-01 Amtrol Inc. Non-refillable packless valve for pressurized containers
JPH0438053A (ja) * 1990-06-04 1992-02-07 Hitachi Telecom Technol Ltd 有線放送電話における放送方式
KR20040047118A (ko) * 2002-11-29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연소실의 압축비 측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830B1 (ko) 2012-06-04 2014-02-20 한국가스공사 정압기의 밀폐기 분해 조립 장치
RU178580U1 (ru) * 2017-02-28 2018-04-11 РЕЙЛ 1520 АйПи ЛТД Люк вагона-цистерн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55943A1 (en) Ventilation Arrangement For A Fuel Tank
CN101961978B (zh) 一种车载加油蒸汽回收及燃油液面控制泄压集成装置
CN104126109B (zh) 测试气体关断阀的方法
KR200457875Y1 (ko) 유조화차용 안전밸브
CN204985952U (zh) 气动带手动楔式闸阀
JP2001070739A (ja) 圧縮空気の除湿器及び除湿装置とそれらの改装システム
US1470775A (en) Fuel-reserve system
US3910551A (en) Internal emergency valve for storage tank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US1801749A (en) Shut-off valve and control for tank trucks
CN106248306A (zh) 柴油机气缸盖水压密封试验台
US2529329A (en) Safety tank closure
CN204553862U (zh) 一种波纹管抗生素截止阀
KR102162839B1 (ko) 공압식 방충재용 복합밸브
US1556270A (en) Outlet valve for tank cars
US2784738A (en) Valv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ydraulic elevators
CN204493815U (zh) 一种弹簧式安全阀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US5076539A (en) Tank car botton valve
US2320373A (en) Air cylinder apparatus for bottle filling machines
CN103785588B (zh) 一种喷胶机调压阀
CN109139943A (zh) 一种带位移微调装置调节阀
JPH11334800A (ja) タンクローリ車の底弁装置
CN207261798U (zh) 可视液动阀
US2244698A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