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858Y1 - 배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858Y1
KR200453858Y1 KR2020100010098U KR20100010098U KR200453858Y1 KR 200453858 Y1 KR200453858 Y1 KR 200453858Y1 KR 2020100010098 U KR2020100010098 U KR 2020100010098U KR 20100010098 U KR20100010098 U KR 20100010098U KR 200453858 Y1 KR200453858 Y1 KR 200453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rain pipe
connector
pipe connec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고석봉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20100010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상측이 하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통체와, 상기 제 1 통체의 상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연장관을 포함하는 제 1 연결구와;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체의 개구부 상호 결속되어지는 제 2 통체와, 상기 제 2 통체의 하측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연장관을 포함하는 제 2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통체의 외주면에는 제 2 통체의 선단부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체의 개구부 주위의 테두리부에는 제 2 통체의 개구부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배수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배수관과 배수구를 더욱 간단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구{DRAIN PIPE CONNECTOR}
본 고안은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상측이 하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통체와, 상기 제 1 통체의 상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연장관을 포함하는 제 1 연결구와;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체의 개구부 상호 결속되어지는 제 2 통체와, 상기 제 2 통체의 하측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연장관을 포함하는 제 2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통체의 외주면에는 제 2 통체의 선단부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체의 개구부 주위의 테두리부에는 제 2 통체의 개구부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배수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배수관과 배수구를 더욱 간단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할 때는 욕실이나 부엌과 같이 배수구가 필요한 곳에 미리 배수관을 매립하고, 배수관에 욕조나 변기 또는 주방의 싱크대 등의 배수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별도의 플로어를 설치하고, 플로어의 상부에 욕조나 변기 또는 싱크대 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데, 이때 플로어에 형성된 배수구와 미리 설치된 배수관이 서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욕실을 부스 형태로 미리 제작하여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욕실바닥판의 배수구와 배수관이 수직으로 일치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배수구와 배수관이 서로 수직으로 일치되지 않고 엇갈리게 배치되는 경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주로 플렉시블(flexible)한 관을 이용하여 배수관과 배수구를 연결하거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형으로 절곡된 2개의 절곡관체(1)와 직선관체(2)를 크랭크형으로 연결하여 배수관과 배수구를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배수관과 배수구의 길이에 정확하게 맞추어서 직선관체를 절단하여야만 하고, 만일 직선관체가 요구되는 길이보다 더 짧거나 더 길게 절단되면 다시 직선관체를 절단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연결이 느슨해져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배수관과 배수구를 더욱 간단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상측이 하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통체와, 상기 제 1 통체의 상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연장관을 포함하는 제 1 연결구와;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체의 개구부와 상호 결속되어지는 제 2 통체와, 상기 제 2 통체의 하측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연장관을 포함하는 제 2 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통체의 외주면에는 제 2 통체의 선단부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체의 개구부 주위의 테두리부에는 제 2 통체의 개구부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체와 제 2 통체는 상하방향 직경 보다 양측방향 직경이 더 큰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통체의 외주면에도 제 1 통체의 선단부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절취선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홈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면에는 원판형상의 플랩(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하부연장관(22)의 외부에 끼워지는 패킹부(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구조적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 1 통체 또는 제 2 통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제 1 통체 또는 제 2 통체의 길이를 요구되는 길이만큼 잘라내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과 배수구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구와 배수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모습
도 2는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도 3의 A측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패킹부를 도시한 모습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를 도시한 모습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배수관(3a)이 매설된 바닥면(3)에 별도의 욕실바닥판(4)을 설치하고, 상기 욕실바닥판(4)에 형성된 배수구(4a)와 바닥면(3)에 미리 매설된 배수관(3a)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을 때 이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L자형으로 구성되어져서, 상기 욕실바닥판(4)의 배수구(4a)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구(10)와, 역시 L자형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 1 연결구(10)와 결합되어지며 바닥면의 배수관(3a)에 연결되어지는 제 2 연결구(20)와,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구(20)와 배수관(3a)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부(3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구(10)는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선단부에는 개구부(11a)가 형성된 제 1 통체(11)와, 상기 제 1 통체(11)의 상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연장관(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연장관(12)은 욕실바닥판(4)의 배수구(4a)에 끼워지며 상부연장관(12)의 둘레면에는 배수구(4a)와 상부연장관(12)의 둘레면을 밀폐하는 실링(13)이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 연결구(20)는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개구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체(11)와 상호 연결되는 제 2 통체(21)와, 상기 제 2 통체(21)의 하측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연장관(22)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연장관(22)은 바닥판의 배수관(3a)에 삽입되어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통체(11)의 선단부는 상측이 하측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지며, 이와 반대로 상기 제 2 통체(21)의 선단부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의 선단부면이 상호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 1 통체와 제 2 통체의 선단부를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배수관과 배수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통체를 절단하더라도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체의 선단부는 상측이 하측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제 2 통체의 선단부는 하측이 상측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있으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의 사용도 가능하다. 즉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1 통체의 선단부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자게 구성하고, 제 2 통체의 선단부는 상측이 하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는 상하방향의 지름에 비해 좌우방향의 지름이 큰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통체(11)의 선단부, 즉, 제 1 통체(11)의 개구부(11a) 주위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2 통체(21)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결합홈(11b)이 링형상으로 형성되어져서 제 2 통체(21)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홈(11b)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체(11)는 길이가 짧고 제 2 통체(21)는 길이가 길게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제 2 통체(21)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절취선(2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통체(21)의 선단부와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절취선(21a)을 따라 제 2 통체(21)를 잘라내어 제 2 통체(21)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배수구와 배수관 사이의 길이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구성요소인 패킹부(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에 원판형상의 플랩(3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부연장관(22)의 외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욕실바닥판(4)의 배수구(4a)와 건물 바닥면(3)에 미리 매설된 배수관(3a)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고, 측정된 간격에 맞추어 상기 절취선(21b)을 따라서 제 2 통체(21)를 잘라내어 배수관 연결구의 길이를 조절한 후, 제 1 연결구(10)의 상부연장관(12)과 제 2 연결구(20)의 하부연장관(22)을 배수관(3a)과 배수구(4a)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연장관(12)과 하부연장관(22)에는 실링(13)과 패킹부(30)를 각각 결합하여, 배수구(4a)와 상부연장관(12) 사이의 공간과 하부연장관(22)과 배수관(3a)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L자로 구성된 제 1 연결구(10)와 제 2 연결구(20)의 선단부를 직접 연결하여 크랭크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flexible)한 관을 이용하여 배수관(3a)과 배수구(4a)를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배수관(3a)과 배수구(4a)를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관체를 이용하여 2개의 절곡관체를 크랭크형으로 연결하여 배수관(3a)과 배수구(4a)를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서도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구조적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배수관(3a)과 배수구(4a)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제 2 통체(21)에 복수개의 절취선(21b)이 형성되므로, 배수관(3a)과 배수구(4a)의 간격에 따라 제 2 통체(21)를 용이하게 요구되는 길이만큼 잘라내어 배수관 연결구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의 선단부는 상호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호 끼워지므로, 제 2 통체(21)의 선단부를 제 1 통체(11)에 손쉽게 끼워넣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체의 선단부를 직각방향으로 잘라내는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제 1 통체(11)와 제2 통체(21)의 결합력을 향상되므로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의 결합력이 약해져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방향 지름에 비해 양측방향 지름이 큰 타원형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연결구(10)와 제 2 연결구(20)를 결합한 후 외력에 의해 제 1 연결구와 제 2 연결구(20)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배수관 연결구를 설치한 후 외력에 의해 제 1, 2 연결구(10, 20)가 비틀릴 경우, 상부연장관(12)과 배수구(4a) 사이의 또는 하부연장관(22)과 배수관(3a)의 사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을 통해 누수가 발생되게 되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는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일단 결합된 후에는 비틀리지 않게 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는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는 측방향으로 지름이 큰 타원형으로 구성되므로, 제1 통체(11)와 제2 통체(21)의 상하방향 폭을 최소화하면서, 오수가 흐를 공간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고안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배수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욕실바닥판의 배수구와 바닥면에 매설된 배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는 필요에 따라, 배수관과 배수관을 연결하거나 배수구와 배수구를 연결하는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제 1 통체를 짧게 구성하고, 길게 제작된 제 2 통체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제 1 통체를 길게 제작하여 제 1 통체의 둘레면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 제 1 연결구와 제 2 연결구의 배치를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연결구 11 : 제 1 통체
12 : 상부연장관 20 : 제 2 연결구
21 : 제 2 통체 22 : 하부연장관
30 : 패킹부 31 : 플랩

Claims (10)

  1.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배수관과 배수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배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연결구는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상측이 하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11a)가 형성된 제 1 통체(11)와, 상기 제 1 통체(11)의 상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연장관(12)을 포함하는 제 1 연결구(10)와;
    일측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개구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체(11)의 개구부(11a)와 상호 결속되어지는 제 2 통체(21)와, 상기 제 2 통체(21)의 하측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연장관(22)을 포함하는 제 2 연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체(21)의 외주면에는 제 2 통체(21)의 선단부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절취선(21b)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체(11)의 개구부(11a) 주위의 테두리부에는 제 2 통체(21)의 개구부(21a)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11b)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체(11)와 제 2 통체(21)는 상하방향 직경 보다 양측방향 직경이 더 큰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면에는 원판형상의 플랩(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하부연장관(22)의 외부에 끼워지는 패킹부(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3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b)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 1 통체(11)의 외주면에도 제 2 통체(21)의 선단부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절취선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구의 제 1 통체(11)의 개구부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제 2 연결구의 제 2 통체(21)의 개구부는 상측이 하측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구의 제 1 통체(11)는 제 2 연결구의 제 2 통체(21)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구의 제 2 통체(21)는 제 1 연결구의 제 1 통체(11)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KR2020100010098U 2010-09-30 2010-09-30 배수관 연결구 KR200453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98U KR200453858Y1 (ko) 2010-09-30 2010-09-30 배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98U KR200453858Y1 (ko) 2010-09-30 2010-09-30 배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858Y1 true KR200453858Y1 (ko) 2011-06-09

Family

ID=4448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98U KR200453858Y1 (ko) 2010-09-30 2010-09-30 배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0406B2 (en) 2005-05-25 2014-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mobile IP
WO2019190446A3 (en) * 2017-12-27 2019-12-12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Flexible toilet bowl drain connection
USD951402S1 (en) 2019-08-09 2022-05-10 Sloan Valve Company Water supply adap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470B1 (ko) 1994-04-08 1999-12-15 시게후치 마사토시 변기와 배수관의 접속장치
JP2002106010A (ja) * 2000-09-29 2002-04-10 Toto Ltd 便器と排水管との接続装置
KR100495393B1 (ko) * 2003-03-17 2005-06-16 상연테크 주식회사 소음 감소용 양변기 전용엘보
KR20090025855A (ko) * 2007-09-07 2009-03-11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470B1 (ko) 1994-04-08 1999-12-15 시게후치 마사토시 변기와 배수관의 접속장치
JP2002106010A (ja) * 2000-09-29 2002-04-10 Toto Ltd 便器と排水管との接続装置
KR100495393B1 (ko) * 2003-03-17 2005-06-16 상연테크 주식회사 소음 감소용 양변기 전용엘보
KR20090025855A (ko) * 2007-09-07 2009-03-11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0406B2 (en) 2005-05-25 2014-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mobile IP
WO2019190446A3 (en) * 2017-12-27 2019-12-12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Flexible toilet bowl drain connection
USD951402S1 (en) 2019-08-09 2022-05-10 Sloan Valve Company Water supply adap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858Y1 (ko) 배수관 연결구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JP2009030392A (ja) ドレンホース接続具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CN103644405A (zh) 一种法兰连接件
KR20110093498A (ko) 브이형 내부구조부를 갖는 하수관
KR100572510B1 (ko) 배수용 집수구
JP2006307536A (ja) 床下配管構造
JP2006322515A (ja) 管継手
JP2015221961A (ja) 旋回継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水システム
CN203429768U (zh) 积水防漏装置
CN218027995U (zh) 厨卫间排水立管预埋式止水装置
JP2004044170A (ja) 基礎貫通部材を用いた排水管の配管構造
KR20130052122A (ko) 배수용 난형관 연결장치
CN203880250U (zh) 一种新型ppr管材及用于连接新型ppr管材的连接件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110003637U (ko) 맨홀용 관 연결구
CN210342159U (zh) 一种用于安装地漏的排水管弯头
KR200349102Y1 (ko) 배수용 집수구
JP2002333087A (ja) 自在偏芯継手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CN208950028U (zh) 地漏组件
JP2023051220A (ja) 配管構造
KR200381963Y1 (ko) 배수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