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950Y1 -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950Y1
KR200450950Y1 KR2020100008150U KR20100008150U KR200450950Y1 KR 200450950 Y1 KR200450950 Y1 KR 200450950Y1 KR 2020100008150 U KR2020100008150 U KR 2020100008150U KR 20100008150 U KR20100008150 U KR 20100008150U KR 200450950 Y1 KR200450950 Y1 KR 200450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ertical member
pop nut
wall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원
Original Assignee
신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원 filed Critical 신성원
Priority to KR2020100008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특히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개선된 구조의 지지브라켓을 적용하여 기존보다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직부재에 상시 부착되는 팝 너트부를 구비하여 기존의 설치작업에 비해 현저하게 공사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건물 외벽면에 인접하여 고정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관통공(11a)이 형성된 다수 개의 파이프형 수직부재(11)와, 각각의 수직부재(11)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 개의 수평부재(12)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패널(P)을 커튼월(curtain wall) 형태로 탑재하는 지지프레임부(10); 다수 개의 패널(P)을 고정하도록 관통공(11a)이 위치하는 수직부재(11)의 일면에 수직부재(11)의 측방너비보다 양측방으로 더 돌출되게 체결되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에 대응하는 체결공(21a)이 형성되어 관통공(11a)이 위치하는 수직부재(11)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1절곡면(21)과, 이 제1절곡면(21)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면 및 저면의 양측부에 각 패널(P)의 모서리가 맞물려 고정되는 제2절곡면(22)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20);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으로부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을 연통하여 고정연결되며 몸통부(31)가 중공형태로서 내주벽이 나선상으로 탭핑된 나선공(32)이 형성된 팝 너트부(30);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나사결합되어 팝 너트부(30)와 일체로 체결되는 볼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A TRUSS CONNECTING STRUCTURE FOR OUTER WALL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건물 외벽에 패널을 커튼월 형태로 마감함에 있어서 패널을 지지고정하는 지지프레임부의 트러스 연결 구조물 중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또한 지지프레임부에 미리 팝 너트부를 장착함으로써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브라켓을 간편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에 비해 설치를 위한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은 판 형상의 대리석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수직부재와, 이 다수의 수직부재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해 수직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하는 수평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직 및 수평부재는 강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단면이 사각 또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나 ㄷ-형강, C-형강이 사용되기도 한다.
아울러 이들 수직, 수평부재는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 방청페인트, 크롬도금 또는 아연-크롬도금 처리가 된다.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은 다수의 수직부재를 브라켓을 통해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설치하고, 수평부재를 통해 다수의 수직부재를 서로 연결한 뒤, 지지브라켓을 패널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수평부재에 체결하여 외장재의 상/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종래의 국내특허등록 제374995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38982호에 각각 개시된 트러스 구조물은 시공 시, 현장에서 수평 및 수직부재 간에 또는 파이프와 브라켓 간에 용접을 실시하여 상호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 부재 간에 용접을 통해 연결함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즉, 용접시 트러스용 파이프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가 급격히 식으면서 용접부분에 용접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정밀한 시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용접부위에 코팅된 부식방지용 도금재가 타거나 녹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페인트로 마감하여도 파이프 내부에는 페인팅처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었다.
게다가 고층건물의 외벽시공시 통상 작업자가 곤돌라 또는 비계를 타고 용접을 해야 하므로 용접시 발생하는 불똥이 낙하함에 따라 아래에 적재된 자재 등에 옮겨 붙을 경우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트러스 구조물 시공시 용접작업을 행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량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전력사용량이 크게 늘어 전체적인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38982호에 개시된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은 수직부재를 잇는 수평부재에 받침브라켓을 볼트에 의해 나사결합하는 연결구조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일면 해소하였지만, 수평부재에 받침브라켓을 일일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해야 하는 설치작업의 번거로움으로 노동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평부재에 체결된 각각의 받침브라켓은 하나의 석재패널에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받침브라켓에 지지고정된 석재패널들이 측방으로 연속하여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정렬시키는 작업도 매우 까다로운 작업의 전문성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석재패널의 측면너비가 비교적 긴 경우에 이러한 단점은 더욱더 부각되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평부재에 부착되는 받침브라켓의 개수는 증가하고 그에 대응하여 수평부재의 단위길이당 수직부재의 배치도 증가하여 트러스 구조물의 설치단가가 상승되는 부차적인 문제점도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개선된 구조의 지지브라켓을 적용하여 기존보다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직부재에 상시 부착되는 팝 너트부를 구비하여 기존의 설치작업에 비해 현저하게 공사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외벽에 패널을 커튼월 형태로 마감함에 있어서 패널을 지지고정하는 지지프레임부의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보다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과 같이 건물 외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지지프레임부, 브라켓을 용접을 통해 고정설치하던 것을 생략하고 팝 너트부와 볼트부를 이용하여 기존의 설치작업에 비해 현저하게 공사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은, 건물 외벽면에 인접하여 고정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파이프형 수직부재와, 각각의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 개의 수평부재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패널을 커튼월(curtain wall) 형태로 탑재하는 지지프레임부; 다수 개의 패널을 고정하도록 관통공이 위치하는 수직부재의 일면에 수직부재의 측방너비보다 양측방으로 더 돌출되게 체결되며, 수직부재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관통공이 위치하는 수직부재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1절곡면과, 이 제1절곡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면 및 저면의 양측부에 각 패널의 모서리가 맞물려 고정되는 제2절곡면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 지지브라켓의 체결공으로부터 수직부재의 관통공을 연통하여 고정연결되며 몸통부가 중공형태로서 내주벽이 나선상으로 탭핑된 나선공이 형성된 팝 너트부; 팝 너트부의 나선공에 나사결합되어 팝 너트부와 일체로 체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브라켓의 제1절곡면에는, 수직부재의 양측벽과 맞물려 밀착되도록 제1절곡면의 일정면이 절개되어 후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지지브라켓의 제2절곡면에는, 전후방을 향해 슬롯 형태로 길게 상하관통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공이 양측에 대칭형성되고, 슬라이드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이 통공과 슬라이드공을 연통하는 볼트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며, 선단부의 상하면에 각 패널의 단부가 밀착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된다.
팝 너트부는, 몸통부의 후단부가 환형으로 절곡되어 관통공의 테두리부인 수직부재의 외측벽에 맞물려 고정되는 제1플랜지부와, 수직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된 몸통부의 외주면이 환형으로 돌출되어 관통공의 테두리부인 수직부재의 내측벽에 맞물려 고정되는 제2플랜지부가 더 형성된다.
제2플랜지부는, 팝 너트부가 제1절곡면의 체결공으로부터 수직부재의 관통공으로 삽입된 후, 팝 너트부의 나선공에 볼트부가 체결되기 전에 팝 너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착되는 힘에 의해 팝 너트부의 몸통부 외주면이 일체형으로 부풀어 형성된다.
팝 너트부의 나선공 선단부는 외부와 차단되게 막힌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은,
첫째, 건물 외벽에 패널을 커튼월 형태로 마감함에 있어서 패널을 지지고정하는 지지프레임부의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보다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건물 외벽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기존과 같이 건물 외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지지프레임부, 브라켓을 용접을 통해 고정설치하던 것을 생략하고 팝 너트부와 볼트부를 이용하여 기존의 고정설치작업에 비해 현저하게 공사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기존과 같이 용접을 통해 지지프레임부를 고정연결하는 과정에서 파이프인 지지프레임부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가 급격히 식으면서 용접 부분에 용접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접부위에 코팅된 부식방지용 도금재가 타거나 녹게 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또 다른 설치상태도 및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 및 수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가 수직부재 및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가 수직부재 및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가 수직부재 및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또 다른 설치상태도 및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은, 건물 외벽면에 인접하여 고정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관통공(11a)이 형성된 다수 개의 파이프형 수직부재(11)와, 각각의 수직부재(11)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 개의 수평부재(12)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패널(P)을 커튼월(curtain wall) 형태로 탑재하는 지지프레임부(10); 다수 개의 패널(P)을 고정하도록 관통공(11a)이 위치하는 수직부재(11)의 일면에 수직부재(11)의 측방너비보다 양측방으로 더 돌출되게 체결되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에 대응하는 체결공(21a)이 형성되어 관통공(11a)이 위치하는 수직부재(11)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1절곡면(21)과, 이 제1절곡면(21)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면 및 저면의 양측부에 각 패널(P)의 모서리가 맞물려 고정되는 제2절곡면(22)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20);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으로부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을 연통하여 고정연결되며 몸통부(31)가 중공형태로서 내주벽이 나선상으로 탭핑된 나선공(32)이 형성된 팝 너트부(30);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나사결합되어 팝 너트부(30)와 일체로 체결되는 볼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부(10)의 전방부에 다수 개의 패널을 연결고정하기 위해 수직부재(11)의 전방부에 연결고정되는 지지브라켓(20)이 수직부재(11)의 측방너비보다 양측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체결됨으로써, 즉 제1절곡면(21)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제2절곡면(22)의 상면 및 저면 양측부에 각 패널(P)의 모서리가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지지브라켓(20)에 연결고정되는 각 패널(P)의 수평유지를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지지브라켓(20)으로 상하좌우에 각 패널(P)의 모서리를 한 꺼번에 고정함으로써, 설치된 각 패널(P)의 보다 깔끔한 외관 및 각 패널(P)간에 발생될 수 있는 단차를 줄임으로써 소음, 빗물, 바람 등의 자연환경에 대해서도 기존보다 현저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하나의 지지브라켓(20)으로 상하좌우에 각 패널(P)의 모서리를 한 꺼번에 고정함으로써 수평부재(12)의 단위길이당 수직부재(11)를 적게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보다 설치단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부(10)는 일반적으로 철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수직부재(11)의 절감은 설치단가의 절감 측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커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에 체결되는 패널(P)은 석재, 알루미늄, 철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은, 건물의 외벽에 지지프레임부(10)의 후방부가 인접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이 지지프레임부(10)의 전방부에 다수 개의 패널(P)이 커튼월(curtain wall) 형태로 연결고정된다.
전방부에 패널(P)이 연결고정되는 지지프레임부(10)는 건물의 측벽과 나란하게 상하방으로 배치되는 수직부재(11)와, 이 수직부재(1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 수직부재(11)의 양측벽을 바(bar) 형태로 잇는 수평부재(12)와, 지지프레임부(10)의 전방부에 다수 개의 패널(P)을 지지고정하기 위해 수직부재(11)의 전방부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지지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직부재(11)의 길이를 연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 수직부재(11)의 이음부를 플레이트형 브라켓(20')으로 체결하게 되며, 플레이트형 브라켓(20')의 너비는 수직부재(11)의 측방너비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직부재(11)에 지지브라켓(20)를 체결하기 위해 수직부재(11)의 측벽에 이 수직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11a)에는 팝 너트부(30)가 일체로 체결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지지브라켓(20)에 형성된 체결공(21a)을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에 맞대응되도록 밀착한 후, 체결공(21a)과 관통공(11a)을 연통하는 볼트부(40)를 끼움으로서 간편하게 수직부재(11)의 전면에 지지브라켓(20)을 연결고정하게 된다.
물론, 수직부재(11)를 플레이트형 브라켓(20')으로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도 수직부재(11)에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팝 너트부(30)가 일체로 체결되어 현장에서 시공하는 작업자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2)의 연결에 있어서도 지지브라켓(20)을 통해 팝 너트부(30)로 고정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에 대응되는 또 다른 관통공이 수평부재(1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2)가 지지브라켓(20)에 의해 연결고정되는 경우 지지브라켓(20)의 너비가 수직부재(11) 또는 수평부재(20)의 측방너비보다 더 작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전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 및 수직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저면사시도로서, 지지브라켓(20)의 제1절곡면(21)에는, 수직부재(11)의 양측벽과 맞물려 밀착되도록 제1절곡면(21)의 일정면이 절개되어 후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스토퍼(21b)가 형성되고, 지지브라켓(20)의 제2절곡면(22)에는, 전후방을 향해 슬롯 형태로 길게 상하관통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공(22a)이 양측에 대칭형성되고, 슬라이드공(22a)에 대응되는 통공(51)이 형성되어 이 통공(51)과 슬라이드공(22a)을 연통하는 볼트(B)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며, 선단부의 상하면에 각 패널(P)의 단부가 밀착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스토퍼(21b)는 지지브라켓(20)의 제1절곡면(21) 일정면이 절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조과정이 매우 간소하게 된다.
제1절곡면(21)의 후면이 수직부재(1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토퍼(21b)가 수직부재(11)의 측벽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수직부재(11)의 전면에 지지브라켓(20)을 설치할 때 매우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재(11)에 지지브라켓(20)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수직부재(11)에 대해 지지브라켓(20)의 양측단부가 상하방으로 움직여 수평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지지브라켓(20)의 상하좌우에 각 패널(P)의 모서리가 상호 밀착 결합되는 경우 체결된 각 패널(P)은 자동적으로 수평이 유지되는 효과도 있게 된다.
지지브라켓(20)의 제2절곡면(22)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 선단부의 상하면에 각 패널(P)의 단부가 밀착고정됨으로써, 각 패널(P)의 연결부인 모서리 부분이 하나의 지지브라켓(20)에 의해 단차없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지플레이트(50)의 통공(51)도 지지브라켓(20)의 슬라이드공(22a)과 대응하여 슬롯 형태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50)의 선단부에 형성된 또 다른 통공에 끼워지는 고정핀(52)은 각 패널(P)의 단부에 미리 파인 끼움공(P1)에 끼워져 고정된다(도 2 참조).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가 수직부재 및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로서, 팝 너트부(30)는, 몸통부(31)의 후단부가 환형으로 절곡되어 관통공(11a)의 테두리부인 수직부재(11)의 외측벽에 맞물려 고정되는 제1플랜지부(33)와,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된 몸통부(31)의 외주면이 환형으로 돌출되어 관통공(11a)의 테두리부인 수직부재(11)의 내측벽에 맞물려 고정되는 제2플랜지부(34)가 더 형성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플랜지부(34)는, 팝 너트부(30)가 제1절곡면(21)의 체결공(21a)으로부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으로 삽입된 후,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볼트부(40)가 체결되기 전에 팝 너트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착되는 힘에 의해 팝 너트부(30)의 몸통부(31) 외주면이 일체형으로 부풀어 형성된다.
팝 너트부(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압착되도록 팝 너트부(30)는 연질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가 수직부재 및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팝 너트부의 나선공을 통해 제2플랜지부가 성형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의 (a)상태는 성형머신(M)의 볼트회전부(M1)가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나선결합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수직부재(11)와 지지브라켓(20)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과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을 관통하여 팝 너트부(30)가 삽입된 후, 성형머신(M)의 볼트회전부(M1)가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나선결합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성형머신(M)의 볼트회전부(M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지지부(M2)가 팝 너트부(30)의 제1플랜지부(33)에 밀착되도록 회전시켜 조인다(도 8의 (b)상태).
성형머신(M)의 회전지지부(M2)가 팝 너트부(30)의 제1플랜지부(33)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회전부(M1)가 후방으로 무회전 이동하면 팝 너트부(30)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몸통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압착되는 힘을 받아 수직부재(11)에 인접하는 부위의 팝 너트부(30)의 몸통부(31) 외주면이 환형으로 부풀어 올라 제2플랜지부(34)가 형성된다(도 8의 (c)상태).
팝 너트부(30)의 제1플랜지부(33)가 지지브라켓(20)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2플랜지부(34)가 수직부재(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부재(11), 지지브라켓(20), 팝 너트부(30)가 일체로 고정체결되면, 성형머신(M)의 볼트회전부(M1)를 애초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으로부터 이탈시킨다(도 8의 (d)상태).
이와 같이 성형되어 고정체결된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볼트부(40)를 삽입함으로써 수직부재(11), 지지브라켓(20), 팝 너트부(30)를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과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이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부(40)가 삽입되기 전에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과 수직부재의 관통공(11a)이 용이하게 센터링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은 슬롯 형태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팝 너트부(30)는 외표면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수직부재(11)와 지지브라켓(20)을 관통하여 체결된 팝 너트부(30)가 받는 하중 및 비틀림에 대한 토오크(touque)로부터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팝 너트부(30)는 외표면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팝 너트부(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압착되는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압착력에 의해서도 제2플랜지부(34)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가 수직부재 및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팝 너트부의 나선공을 통해 제2플랜지부가 성형되는 과정은 [도 8]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 선단부는 외부와 차단되게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볼트부(40)를 삽입함으로써 수직부재(11), 지지브라켓(20), 팝 너트부(30)를 일체로 고정체결된 상태에서 무두부인 볼트부(40)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을 통해 빗물 등의 물기로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팝 너트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팝 너트부(30) 몸통부(31)의 외주면 일정부분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복수 개의 주름부(35)가 형성되며, 이 주름부(35)는 제1플랜지부(33)와 제2플랜지부(34)의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팝 너트부(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압착되는 경우 제2플랜지부(34)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주름부(35)가 위치하는 부분의 팝 너트부(30) 외주면은 울퉁불퉁한 형상으로 외향하여 돌출됨으로써 수직부재(11), 지지브라켓(20), 팝 너트부(30)가 고정체결된 상태에서 팝 너트부(30)가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과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 내주벽에 상대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밀착된다.
10 : 지지프레임부 11 : 수직부재
11a : 관통공 12 : 수평부재
20 : 지지브라켓 20' : 플레이트형 브라켓
21 : 제1절곡면 21a : 체결공
21b : 스토퍼 22 : 제2절곡면
22a : 슬라이드공 30 : 팝 너트부
31 : 몸통부 32 : 나선공
33 : 제1플랜지부 34 : 제2플랜지부
35 : 주름부 40 : 볼트부
50 : 지지플레이트 51 : 통공
52 : 고정핀 P : 패널
P1 : 끼움공 B : 볼트
N : 너트 M : 성형머신
M1 : 볼트회전부 M2 : 회전지지부

Claims (5)

  1. 삭제
  2. 건물 외벽면에 인접하여 고정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관통공(11a)이 형성된 다수 개의 파이프형 수직부재(11)와, 각각의 수직부재(11)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 개의 수평부재(12)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패널(P)을 커튼월(curtain wall) 형태로 탑재하는 지지프레임부(10);
    다수 개의 상기 패널(P)을 고정하도록 상기 관통공(11a)이 위치하는 상기 수직부재(11)의 일면에 수직부재(11)의 측방너비보다 양측방으로 더 돌출되게 체결되며, 상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에 대응하는 체결공(21a)이 형성되어 관통공(11a)이 위치하는 수직부재(11)의 일면에 밀착되고 일정면이 절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21b)가 상기 수직부재(11)의 양측벽과 맞물려 밀착되는 제1절곡면(21)과, 이 제1절곡면(21)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면 및 저면의 양측부에 각 패널(P)의 모서리가 맞물려 고정되며, 전후방을 향해 슬롯 형태로 길게 상하관통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공(22a)이 양측에 대칭형성된 제2절곡면(22)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20);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체결공(21a)으로부터 상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을 연통하여 고정연결되며 몸통부(31)가 중공형태로서 내주벽이 나선상으로 탭핑된 나선공(32)이 형성된 팝 너트부(30);
    상기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나사결합되어 팝 너트부(30)와 일체로 체결되는 볼트부(40);
    상기 슬라이드공(22a)에 대응되는 통공(51)이 형성되어 이 통공(51)과 슬라이드공(22a)을 연통하는 볼트(B)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며, 선단부의 상하면에 각 패널(P)의 단부가 밀착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팝 너트부(30)는,
    상기 몸통부(31)의 후단부가 환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관통공(11a)의 테두리부인 상기 수직부재(11)의 외측벽에 맞물려 고정되는 제1플랜지부(33)와, 상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된 상기 몸통부(31)의 외주면이 환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11a)의 테두리부인 상기 수직부재(11)의 내측벽에 맞물려 고정되는 제2플랜지부(3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34)는,
    상기 팝 너트부(30)가 상기 제1절곡면(21)의 체결공(21a)으로부터 상기 수직부재(11)의 관통공(11a)으로 삽입된 후, 상기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에 상기 볼트부(40)가 체결되기 전에 상기 팝 너트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착되는 힘에 의해 상기 팝 너트부(30)의 몸통부(31) 외주면이 일체형으로 부풀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팝 너트부(30)의 나선공(32) 선단부는 외부와 차단되게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KR2020100008150U 2010-05-10 2010-08-04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KR200450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150U KR200450950Y1 (ko) 2010-05-10 2010-08-04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77 2010-05-10
KR2020100008150U KR200450950Y1 (ko) 2010-05-10 2010-08-04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950Y1 true KR200450950Y1 (ko) 2010-11-12

Family

ID=4447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150U KR200450950Y1 (ko) 2010-05-10 2010-08-04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9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86A (ko) * 2013-11-21 2015-05-29 김근영 건축물의 외장패널 지지장치
KR101936673B1 (ko) * 2018-07-09 2019-04-03 (주) 대현목재 클립 유니트로 결합되는 데크
CN114607109A (zh) * 2022-04-08 2022-06-10 安徽兴鼎建设有限公司 一种工业厂房外挂墙板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3045A3 (de) * 2001-03-09 2003-05-30 Newfrey Llc Selbststanzender nie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tzen eines nietelements und seine verwendung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3045A3 (de) * 2001-03-09 2003-05-30 Newfrey Llc Selbststanzender nie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tzen eines nietelements und seine verwendung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86A (ko) * 2013-11-21 2015-05-29 김근영 건축물의 외장패널 지지장치
KR101580642B1 (ko) 2013-11-21 2016-01-11 김근영 건축물의 외장패널 지지장치
KR101936673B1 (ko) * 2018-07-09 2019-04-03 (주) 대현목재 클립 유니트로 결합되는 데크
CN114607109A (zh) * 2022-04-08 2022-06-10 安徽兴鼎建设有限公司 一种工业厂房外挂墙板及施工方法
CN114607109B (zh) * 2022-04-08 2024-04-26 安徽兴鼎建设有限公司 一种工业厂房外挂墙板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35388U (zh) 现浇混凝土圆弧外墙体单侧支模体系
CN102003056B (zh) 插接式保温一体板的墙体连接件及其使用方法
KR102579498B1 (ko)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KR200450950Y1 (ko)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CN110318487A (zh) 金属幕墙干挂密拼的方法
CN202324501U (zh) 楼体外檐墙安装低碳板的通长卡件连接构件
KR101492009B1 (ko)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CN102493620B (zh) 通长折型卡件式保温一体板的墙体连接件及其安装方法
US10094102B2 (en) Modular interconnectable wall cell
KR20190002237U (ko) 건축물용 합성수지 하지틀
CN201901995U (zh) 插接式保温一体板的墙体连接件
CN106013773A (zh) 一种组装式内外墙复合模板防漏浆装置及施工方法
KR101077118B1 (ko) 조립식 차폐물
CN101984199A (zh) 外墙防腐木装饰体系及其施工方法
KR20110037663A (ko)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KR200315005Y1 (ko) 조립식 건축물
CN220550857U (zh) 一种模块化现浇混凝土模具
CN217759715U (zh) 集成饰面外挂保温单元构件及包含其的节能墙体
CN115012648B (zh) 一种出屋面管道根部泛水施工模板结构及施工方法
KR102508535B1 (ko) 웨일러 고정용 스트롱 백
CN220336398U (zh) 一种钢制平台
CN214740162U (zh) 一种变截面连续箱梁腹板加固用安装装置
CN114809590B (zh) 一种建筑铝合金模板结构
CN219863654U (zh) 一种压型彩钢板搭接压条结构
CN216713451U (zh) 一种钢结构建筑用预装配式外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