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006Y1 - Stand for packaging box - Google Patents

Stand for packag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006Y1
KR200449006Y1 KR2020090016478U KR20090016478U KR200449006Y1 KR 200449006 Y1 KR200449006 Y1 KR 200449006Y1 KR 2020090016478 U KR2020090016478 U KR 2020090016478U KR 20090016478 U KR20090016478 U KR 20090016478U KR 200449006 Y1 KR200449006 Y1 KR 200449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cking box
support piece
support
support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희정
Original Assignee
전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희정 filed Critical 전희정
Priority to KR2020090016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0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0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포장박스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는, 육면체 형상의 포장박스 받침대에 있어서 제1면 및 제1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2면을 포함한다. 제1면은, 제1관통공과, 제1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지지편과, 제1지지편 사이에 형성되어 제1지지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절개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면은, 제2관통공과,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지지편과, 제2지지편 사이에 형성되어 제2지지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절개부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제1지지편의 단부에 의해 제1관통공이 규정되며, 복수 개의 제2지지편의 단부에 의해 제2관통공이 규정된다. 또한,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의 크기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A packing box pedestal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ckaging box pedestal include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in a packaging box pedestal having a hexahedron shape. The first surface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cutout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ieces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pieces. do. The second surface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second incis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ieces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pieces. Equipped. The first through hole is defined b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defined b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In addition, the sizes of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are different.

포장박스, 받침대, 관통공 Packing box, stand, through hole

Description

포장박스 받침대{STAND FOR PACKAGING BOX}Packing Box Stand {STAND FOR PACKAGING BOX}

본 고안은 포장박스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장박스의 내부에서 물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포장박스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pedest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box pedestal for stably supporting an object in the interior of the packaging box.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건을 담게 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박스의 내부에는, 포장박스에 수용되어 있는 물건이 흔들리거나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포장박스 받침대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포장박스의 내부에 깨지기 쉬운 물건 또는 고가의 물건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장박스 받침대를 별도로 마련한 후, 물건이 포장박스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경우가 많다. In general, the packaging box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to contain an object. In addition, a packing box pedestal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side the packing box so as not to shake or damage an object contained in the packing box. In particular, when a fragile object or an expensive object is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box, after the packaging box stand is separately provided, the product is often supported by the packaging box stand.

그러나 종래의 포장박스 받침대는 하나의 물건만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물건의 종류가 다양한 경우에는, 해당하는 물건에 적합한 포장박스 받침대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포장비용 및 시간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acking box stand has a problem that is configured to support only one objec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various kinds of objects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box,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ckaging cost and time will have to increase because of separately preparing a packaging box pedestal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object.

그리고 종래의 포장박스 받침대는, 포장박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런데 물건의 종류에 따라서 포장박스 받침대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포장박 스 받침대를 제거할 수가 없기 때문에 물건을 수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packing box pedestal has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cking box. However,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in accommodating things because the packing box pedestal could not be removed if the packing box pedestal is not necessary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good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포장박스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박스 받침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 packaging box stand tha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packaging box can be selectively used as needed.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포장박스 받침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ing box stand that can stably support objects of various sizes.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는, 육면체 형상의 포장박스 받침대에 있어서 제1면 및 제1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2면을 포함한다. 제1면은, 제1관통공과, 제1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지지편과, 제1지지편 사이에 형성되어 제1지지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절개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면은, 제2관통공과,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지지편과, 제2지지편 사이에 형성되어 제2지지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절개부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제1지지편의 단부에 의해 제1관통공이 규정되며, 복수 개의 제2지지편의 단부에 의해 제2관통공이 규정된다. 또한,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의 크기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ckaging box pedestal include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in a packaging box pedestal having a hexahedron shape. The first surface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cutout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ieces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pieces. do. The second surface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second incis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ieces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pieces. Equipped. The first through hole is defined b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defined b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In addition, the sizes of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are different.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편은 제1관통공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2지지편은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acking box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first support piece may be arrang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support piece may be arrang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포장박스 받침대는 측면을 더 포함하고, 측면에는 손잡이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박스 받침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제1면 및 제2면은 각각 직육면체의 상면 및 하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packing box pedestal further includes a side surface, and a handle hole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In addition, the packing box pedestal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may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respectively.

제1면의 하면에서, 제1지지편의 단부에는 제1접이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면의 하면에서, 제2지지편의 단부에는 제2접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e bottom of the first surface, a first fold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iece, an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surface, a second fold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iece.

본 고안은 포장박스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박스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ackaging box pedestal that can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packaging box and optionally used as needed.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포장박스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acking box stand that can stably support objects of various sizes.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d there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의 사시도 로서, 도 1에는 포장박스 받침대(100)의 제1면(120)이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포장박스 받침대(100)의 제2면(140)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제1관통공(122)에 화분(200)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제2관통공(142)에 꽃다발(300)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first surface 120 of the packaging box pedestal 100 is illustrated in Figure 2 packaging box pedestal Second surface 140 of 100 is illustrated.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t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respectively, and FIGS. 5 and 6 are the bouquet 300 in the second through hole 142, respectively. )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erted stat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포장박스(도 7의 400 참조) 내부에 위치하면서, 포장박스(400)에 수용되는 물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포장박스(400)의 내부에 손상되기 쉬운 물건이 수용되는 경우,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그 물건을 지지함으로써 물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1 to 2,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the packing box (see 400 of FIG. 7), and supports an object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400. Play a role. In particular, when a fragile article is accommodated inside the packing box 400,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serves to prevent the article from being damaged by supporting the articl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면(120) 및 제2면(140)을 포함한다. 제1면(120) 및 제2면(140)은 직육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면(120) 및 제2면(140)의 사이에는 측면(160)이 형성되어 있다.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cludes a first surface 120 and a second surface 140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surface 120 and the second surface 140 may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side surface 16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120 and the second surface 140.

직사각 형상의 제1면(120)은, 중앙에 형성된 제1관통공(122), 제1관통공(122)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고 그 단부가 제1관통공(122)을 규정하는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 제1지지편(126) 사이에 형성되어 제1지지편(126)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절개부(124)를 포함한다. The first surface 1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end thereof define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22. And a first cutout 124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iece 126 and the first support piece 126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piece 126.

제1면(120)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제1관통공(122)은,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의 단부에 의해 규정된다. 즉, 제1지지편(126)의 단부는 제1관통공(122)의 중앙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으며, 단부가 제1관통공(122)을 구성하는 원호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의 단부에 의해서 제1관통공(122)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관통공(122)은 제2관통공(142)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The circular first through hole 12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120 is defined b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126. That is, since the edge part of the 1st support piece 126 is arrange | positioned toward the center of the 1st penetration hole 122, and the edge part has the circular arc shape which comprises the 1st penetration hole 122, a plurality of 1st support is carried out.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formed by the end of the piece 126.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제1관통공(1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400)에 담으려는 물건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1관통공(122)은 제2관통공(142)에 비해 직경이 크기 때문에, 제2관통공(142)에 비해 부피가 큰 물건이 삽입된다. 도 3에서는 제1관통공(122)에 삽입되는 물건으로서 화분(200)을 예시하였다. In the first through hole 122, as shown in Figure 3, the object to be packed in the packing box 400 is inserted and fixed. And because the first through-hole 12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through-hole 142, a larger volume than the second through-hole 142 is inserted. 3 illustrates the flower pot 200 as an object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본 실시예에서는 제1관통공(122)을 원형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포장박스(400)에 수용되는 물건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제1관통공(122)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포장박스(400)에 수용되는 물건이 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화분인 경우, 제1관통공(122)은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hrough-hole 122 is illustrated as having a circ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hrough-hole 122 having various shapes depends on the shape of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400. Of course it can be formed. For example, when an object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400 is a flower pot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first through hole 12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제1관통공(122)의 직경은 제1지지편(126)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제1관통공(12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제1지지편(126)의 길이도 이에 상응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관통공(12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제1지지편(126)의 길이도 이에 상응하여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관통공(122)은 제2관통공(142)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제1지지편(126)이 제2지지편(146)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related to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iece 126.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relatively large,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iece 126 may also be correspondingly long.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relatively small,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iece 126 may also be shorter correspondingly. In fact,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since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relative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he first support piece 126 is the second support piece. 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is formed longer than (146).

제1관통공(122)에 물건이 삽입되는 경우, 제1관통공(122)의 직경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공(122)에 삽입된 물건에 의해 제1지지편(126)이 하향 이동하면서 벌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호 접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은 물건의 삽입에 의해 제1절개부(124) 부분이 벌어지면서 제1관통공(122)의 직경을 확대하게 된다. When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increased. This is becaus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first support piece 126 is opened while moving downward by an object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126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xpands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while the portion of the first cutout 124 is opened by the insertion of an object.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제1관통공(122)의 중심을 향해서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예시된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은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제1지지편(126)은, 제1관통공(122)에 물건이 삽입되는 경우 하향 이동하면서 제1관통공(122)의 직경을 크게 함과 동시에 삽입된 물건을 지지하여 물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126 have a fan shape and are disposed in a circle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126 illustrated in FIG. 1 all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When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the first support piece 126 increases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while moving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inserted object to damage the object. It serves to prevent.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은 제1관통공(122)의 둘레에서 방사(放射) 형상으로 제1절개부(124)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제1관통공(122)의 둘레에서 일정 길이 및 일정 간격으로 제1절개부(124)를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절개부(124)의 형성 개수가 n(n은 3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 n개의 제1지지편(126)이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126 are formed by forming the first cutouts 124 in a radial shape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s 122.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pieces 126 are formed by forming the first cutouts 124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122. When the number of formation of the first cutouts 124 is 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n first support pieces 126 are formed.

제1지지편(126)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공(122)에 물건이 삽입되는 경우 하향 이동하여 제1관통공(122)의 직경을 확대함으로써 제1관통공(122)에 비해 직경이 큰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관통공(122)에는 제1관통공(122)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는 물건이 삽입된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support piece 126 moves downward when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to enlarge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Compared with 122) it can accommodate a larger diameter object. An articl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또한, 제1지지편(126)은 삽입된 물건의 둘레면과 접촉하면서, 물건이 제1관통공(122)에서 빠지려고 하는 경우 일정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물건이 쉽게 빠지지 않게 한다. 즉, 제1관통공(122)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물건이 제1관통공(122)에 삽입된 경우, 제1지지편(126)은 하향 이동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분(200)의 둘레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화분(200)이 제1관통공(122)에서 빠지려고 하는 경우 제1지지편(126)도 함께 상승하고자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런데 제1지지편(126)이 상승하는 경우 제1관통공(122)의 직경이 축소되기 때문에 삽입된 화분(200)의 직경을 수용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서 화분(400)이 제1지지편(126)에 의해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iece 126 is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ed object, when the article is to be removed from the first through-hole 122 provides a constant resistance so that the article does not fall easily. That is, when an objec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the first support piece 126 moves downward to move to the potted plant as illustrated in FIG. 4. 200). At this time, when the pollen 200 is about to fall out of the first through-hole 122, the first support piece 126 also has a property to be raised together. However, when the first support piece 126 is raised, since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reduced, the diameter of the inserted flower pot 200 cannot be accommodated, and thus the flower pot 400 is first supported. The piece 126 will not fall easily.

물론, 포장박스 받침대(100)에서 물건을 빼내야 하는 경우에는 제1관통공(122)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물건을 빼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골판지 등과 같은 종이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치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 물건을 제1관통공(122)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Of course, when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object from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can be forcibly removed from the first through-hole (122). In particular, since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paper such as cardboard, when applying a forc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article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22.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120)의 하면(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에서 제1지지편(126)의 단부에는 제1접이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접이홈(128)은 복수 개의 제1지지편(126)의 단부에 모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을 형성하게 된다. 제1접이홈(128)은 제1면(1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제1지지편(126)이 하향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제1면(120)의 상면에는 제1접이홈(128)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지지편(126)은 상향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folding groove 128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iece 126 on the lower surface (surfac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rface 120. The first folding grooves 128 are all form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pieces 126 to form a circle as a whole. The first folding groove 128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20 to facilitate the first support piece 126 to move downward. And since the first folding groove 128 is no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20, the first support piece 126 is not easy to move upward.

직사각 형상의 제2면(140)은, 중앙에 형성된 제2관통공(142), 제2관통공(142)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고 그 단부가 제2관통공(142)을 규정하는 복수 개의 제2지지 편(146), 제2지지편(146) 사이에 형성되어 제2지지편(146)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절개부(144)를 포함한다. The second surface 140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end surfaces thereof define the second through hole 142. And a second cutout 144 form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and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제2면(140)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제2관통공(142)은,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의 단부에 의해 규정된다. 즉, 제2지지편(146)의 단부는 제2관통공(142)의 중앙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으며 단부가 제2관통공(142)을 구성하는 원호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의 단부에 의해서 제2관통공(142)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2관통공(142)은 제1관통공(122)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The circular second through hole 14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urface 140 is defined b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146. That is, since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and the end has an arc shape constituting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s formed by the end of 146.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2.

*제2관통공(14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400)에 담으려는 물건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2관통공(142)은 제1관통공(122)에 비해 직경이 작기 때문에, 제1관통공(122)에 비해 부피가 작은 물건이 삽입된다. 도 5에서는 제2관통공(142)에 삽입되는 물건으로서 꽃다발(300)을 예시하였다. * The second through-hole 142, as shown in Figure 5, the article to be contained in the packing box 400 is inserted and fixed. Since the second through hole 142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122, an object having a smaller volume than the first through hole 1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n FIG. 5, the bouquet 300 is illustrated as an object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2.

본 실시예에서는 제2관통공(142)이 원형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포장박스(400)에 수용되는 물건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제2관통공(142)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포장박스(400)에 수용되는 물건이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꽃다발인 경우, 제2관통공(142)은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s illustrated as having a circ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2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400. Of course it can be formed. For example, when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400 is a bouquet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he second through hole 14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제2관통공(142)에 물건이 삽입되는 경우, 제2관통공(142)의 직경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공(142)에 삽입된 물건에 의해 제2지지편(146)이 하향 이동하면서 벌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호 접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은 물건의 삽입에 의해 제2절개부(144) 부분이 벌어지면서 제2관통공(142)의 직경을 확대하게 된다. When a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s increased. This is becaus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is opened while moving downward by an object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2.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146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xpands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while the portion of the second cutout 144 is opened by the insertion of the article.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제2관통공(142)의 중심을 향해서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예시된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은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제2지지편(146)은, 제2관통공(142)에 물건이 삽입되는 경우 하향 이동하면서 제2관통공(142)의 직경을 크게 함과 동시에 삽입된 물건을 지지하여 물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146 have a fan shape and are disposed in a circle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146 illustrated in FIG. 2 all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When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increases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while supporting the inserted object while moving downward. Prevents.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은 제2관통공(142)의 둘레에서 방사(放射) 형상으로 제2절개부(144)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제2관통공(142)의 둘레에서 일정 길이 및 일정 간격으로 제2절개부(144)를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2절개부(144)의 형성 개수가 n(n은 3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 n개의 제2지지편(146)이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146 are formed by forming the second cutouts 144 in a radial shape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s 142. That is,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146 are formed by forming the second cutouts 144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142. When the number of formation of the second cutouts 144 is 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n second support pieces 146 are formed.

제2지지편(146)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공(142)에 물건이 삽입되는 경우 하향 이동하여 제2관통공(142)의 직경을 확대함으로써 제2관통공(142)에 비해 직경이 큰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관통공(142)에는 제2관통공(142)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물건(꽃다발(300))이 삽입된다. As illustrated in FIG. 4,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moves downward when the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o enlarge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Compared with 142) it serves to accommodate a larger diameter. The second through-hole 142 is inserted into the article (bouquet 30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hole 142.

또한, 제2지지편(146)은 삽입된 물건의 둘레면과 접촉하면서, 물건이 제2관통공(142)에서 빠지려고 하는 경우 일정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물건이 쉽게 빠지지 않게 한다. 즉, 제2관통공(142)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물건이 제2관통공(142)에 삽입된 경우, 제2지지편(146)은 하향 이동하여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꽃다발(300)의 둘레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꽃다발(300)을 제2관통공(142)에서 빼내려고 하는 경우 제2지지편(146)도 함께 상승하고자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런데 제2지지편(146)이 상승하는 경우 제2관통공(142)의 직경이 축소되기 때문에 삽입된 꽃다발(300)의 직경을 수용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서 꽃다발(300)이 제2지지편(146)에 의해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is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ed object, when the article is to be remove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t provides a constant resistance so that the article does not fall easily. That is, when an objec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moves downward to form a bouquet (as illustrated in FIG. 6). 300 is in contact with the perimeter. At this time, when attempting to pull out the bouquet 300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142,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also has a property to be raised together. However, when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rises, the diameter of the inserted bouquet 300 cannot be accommodated because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42 is reduced, and thus the bouquet 30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The piece 146 will not fall easily.

물론, 포장박스 받침대(100)에서 물건을 빼내야 하는 경우에는 제2관통공(142)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물건을 빼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골판지 등과 같은 종이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치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 물건을 제2관통공(142)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Of course, when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object from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can be forcibly remove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14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paper such as corrugated cardboard, when applying a forc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object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142.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면(140)의 하면(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에서 제2지지편(146)의 단부에는 제2접이홈(148)이 형성되어 있다. 제2접이홈(148)은 복수 개의 제2지지편(146)의 단부에 모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을 형성하게 된다. 제2접이홈(148)은 제2면(140)의 하면에 형성되어, 제2지지편(146)이 하향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제2면(140)의 상면에는 제2접이홈(148)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지지편(146)은 상향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6, a second folding groove 148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on the lower surface (surfac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urface 140. The second folding grooves 148 are all form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ing pieces 146 to form a circle as a whole. The second folding groove 148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140 to facilitate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to move downward. And since the second folding groove 148 is no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140, the second support piece 146 is not easy to move upwar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의 제1면(120) 및 제2면(140)에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제1관통공(122) 및 제2관통공(14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물건을 제1관통공(122) 또는 제2관통공(142)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first surface 120 and the second surface 140 of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22 and a second through hole 142 having different diameters. Because i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or the second through hole 142 having a variety of sizes to support.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4개의 측면(160)을 갖는다. 4개의 측면(160)에는 손잡이 구멍(162)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구멍(162)은 포장박스에 수용되어 있는 포장박스 받침대(100)를 손쉽게 빼내고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측면(160)에만 손잡이 구멍(162)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측면(160)에 손잡이 구멍(16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acking box stand 100 has four sides 160. A handle hole 162 is formed in the four side surfaces 160. The handle hole 162 allows for easy removal and insertion of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hole 162 is formed only on one side 16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andle hole 162 may be formed on two or more side surfaces 160.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의 내부에는, 포장박스 받침대(100)의 강도를 보강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어캡(air cap), 스티로폼, 스폰지, 마분지, 목재, 고무, 발포지, 부직포, 비닐, 종이, 솜 등과 같은 포장완충제가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완충재는 제1관통공(122) 및 제2관통공(142)에 물건이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장박스 받침대(100)의 내부에 충전될 수 있다. Inside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prevent deformation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n air cap, styrofoam, sponge, chipboard, wood, rubber, foam Packaging buffers such as paper, nonwovens, vinyl, paper, cotton, and the like may be filled. Such a packing buffer may be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prevent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2.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가 포장박스(4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7, the packag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a state inserted into the packaging box 400.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물건이 삽입된 상태에서, 포장박스(4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 구멍(162)을 이용하여 포장박스 받침대(100)를 용이하게 포장박스(40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포장박스 받침대(100)를 포장박스(400)에서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 구멍(162)을 이용하여 포장박스 받침대(100) 및 이에 삽입된 물건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box 400 in a state where an object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user may easily insert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into the packing box 400 using the handle hole 162. In addition, when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is to be removed from the packing box 400,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nd the object inserted therein may be easily removed by using the handle hole 162.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100)는 포장박스(400)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박스(400)에 수용되는 물건의 성질에 따라서 포장박스 받침대(1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부피가 크거나 또는 손상될 염려가 없는 물건의 경우에는 포장박스 받침대(100)를 제거한 후 포장박스(400)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손상될 염려가 있는 물건 또는 고가의 물건을 포장박스(400) 내부에 담는 경우에는 포장박스 받침대(100)를 포장박스(400)의 내부에 삽입하여 물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Since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packing box 400,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packing box 400.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object that is not bulky or damaged, only the packing box 400 may be used after removing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And when the goods or the expensive goods that may be damaged in the packing box 400 inside the packing box pedestal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ing box 400 can stably support the goods.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에서 제1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urface of a packing box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에서 제2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urface in the packing box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의 제1면에 화분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ted plan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의 제1면에 화분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ted plan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의 제2면에 꽃다발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uquet is inserted into a second surface of a packing box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의 제2면에 꽃다발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uquet is inserted into a second surface of a packing box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받침대가 포장박스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cking box pedestal inserted into a pack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육면체 형상의 포장박스 받침대에 있어서,In the box-shaped packaging box pedestal,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surface, 상기 제1면은, The first side,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면의 하면에서 상기 제1지지편의 단부에 형성된 제1접이홈을 구비하며,A first cut-out portion formed between a first through hol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ece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first support piece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piece; A first folding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iece at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상기 제2면은,The second side, 제2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편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절개부와, 상기 제2면의 하면에서 상기 제2지지편의 단부에 형성된 제2접이홈을 구비하고,A second cut-out portion formed between a second through hole,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cond support piece to allow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piece; A second folding groov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iece at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복수 개의 상기 제1지지편의 단부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이 규정되며,The first through hole is defined by an end of a plurality of the first support pieces,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지편의 단부에 의해 상기 제2관통공이 규정되고,The second through hole is defined b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eces,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의 크기는 상이하게 형성되며,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differently,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된 물건은 상기 제1지지편을 후퇴시키면서 상기 제1지지편의 단부와 접하면서 지지되고,The object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is supported while contacting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iece while retracting the first support piece,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된 물건은 상기 제2지지편을 후퇴시키면서 상기 제2지 지편의 단부와 접하면서 지지되는 포장박스 받침대.An article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is supported by the packing box support while retracting the second support piece while contacting the end of the second paper pie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받침대.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a packaging box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ircular shap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지지편은 상기 제1관통공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The first support piece is arrang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제2지지편은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받침대.The second support piece is a packaging box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장박스 받침대는 측면을 더 포함하고,The packing box stand further includes a side, 상기 측면에는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받침대.The side of the packaging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hole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포장박스 받침대의 내부에는 포장완충제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받침대.The packing box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buffer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packing box stand.
KR2020090016478U 2009-12-17 2009-12-17 Stand for packaging box KR2004490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78U KR200449006Y1 (en) 2009-12-17 2009-12-17 Stand for packag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78U KR200449006Y1 (en) 2009-12-17 2009-12-17 Stand for packaging box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15 Division 2009-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006Y1 true KR200449006Y1 (en) 2010-06-09

Family

ID=4423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78U KR200449006Y1 (en) 2009-12-17 2009-12-17 Stand for packag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00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30Y1 (en) 2010-12-09 2012-08-01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supporting box for packing box of water vinyl container
KR20220074407A (en) * 2020-11-27 2022-06-03 정휘빈 Packaging container for bouqu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76A (en) 2002-04-15 2003-10-21 Daiichishiko Co Ltd Supporting structural package for spherical heavy pro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76A (en) 2002-04-15 2003-10-21 Daiichishiko Co Ltd Supporting structural package for spherical heavy produ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30Y1 (en) 2010-12-09 2012-08-01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supporting box for packing box of water vinyl container
KR20220074407A (en) * 2020-11-27 2022-06-03 정휘빈 Packaging container for bouquet
KR102514940B1 (en) 2020-11-27 2023-03-29 정휘빈 Packaging container for bouqu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152B2 (en) Packing cushion material
JP2008505739A (en) Washing machine base
EA019430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conically shaped preforms of plastic containers
KR100850876B1 (en) Strawberry packing box
KR200449006Y1 (en) Stand for packaging box
JP2008531044A (en) Flower support to protect the stem
KR200453007Y1 (en) The box-type tray for a box of fruit
KR20140005679U (en) Box for keeping fruit
JP46250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seedling trays
JP5946926B1 (en) Strawberry transport packaging method
CN108706221B (en) A packing carton for egg transportation
JP2016069074A (en) Tray for storing fruit and vegetables pack
JP2006240709A5 (en)
KR20150003753U (en) Easily usable box-typed productions cigarette display
US6082529A (en) Ammunition packaging
CN209064602U (en) A kind of teaching aid box easy to use easy to disassemble
JP3170609U (en) Packaging box
JP3170996U (en) Cup holder
JP3160364U (en) 1 piece type suspended packaging box
JP2012035868A (en) Packaging box
KR20140099026A (en) Box with cushion material
JP6634555B2 (en) Pulp mold tray
KR20230068921A (en) Packing box
KR101363582B1 (en) Lower variable box
JP5396990B2 (en) Pack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