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56Y1 -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56Y1
KR200447756Y1 KR2020090005852U KR20090005852U KR200447756Y1 KR 200447756 Y1 KR200447756 Y1 KR 200447756Y1 KR 2020090005852 U KR2020090005852 U KR 2020090005852U KR 20090005852 U KR20090005852 U KR 20090005852U KR 200447756 Y1 KR200447756 Y1 KR 200447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frame
chainring
chain ring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식
윤중욱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3/00Guards for chain, chain drive or equivalent drive, e.g. belt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03Combination of crank axles and bearings housed in the bottom bra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조립체(50)의 내측체인링(58)과 프레임(30)의 사이에 체인(C)이 끼여 고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체인링(58)에 프로텍터편(6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프로텍터편(62)은 상기 내측체인링(58)의 관통부(58')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체인링(58)과 연결되는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상기 프로텍터편(62)은 또한 경사지게 상기 프레임(30)을 향해 연장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내측체인링(58)과 프레임(30)의 사이로 체인(C)이 들어가는 것을 내측체인링(58)에 일체로 형성된 프로텍터편(62)이 방지하므로, 체인링의 안쪽으로 이탈된 체인이 프레임과 체인링 사이에 끼이지 않고 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체인을 손쉽게 체인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전거, 크랭크, 체인링, 스프라켓, 체인프로텍터, 바텀브라켓

Description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Crank assembly of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제공하는 답력을 체인으로 전달하여 자전거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프레임의 앞 측과 뒤 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운전자가 앉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장과, 운전자가 파지하여 주행중 균형을 유지하고 앞바퀴에 연계되어 주행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핸들과,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이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링이 구비된 크랭크조립체와, 뒷바퀴에 장착되고 체인에 의해 체인링에 연결되는 스프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크랭크조립체의 체인링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체인으로 연결된 스프라켓에 전달되어 뒷바퀴가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전거에는 다단 기어로 구성된 체인링세트가 장착되어 오르막길 또는 평탄한 길과 같이 주행도로의 변화에 따라 최소한의 힘으로 페달을 밟아 주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크랭크조립체(1)에는 체인링세트(3)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세트(3)에는 뒷바퀴(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체인(도시되지 않음)이 걸어진다. 상기 체인링세트(3)의 외주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톱니(3')가 반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인링세트(3)는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3')의 갯수를 갖는 다수개의 체인링(5,7,9)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링(5,7,9) 중 직경이 가장 큰 외측체인링(5)은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커버(15)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외측체인링(5)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중간체인링(7)과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내측체인링(9)은 상기 외측체인링(5)의 안쪽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5,7,9) 각각은 볼트, 리벳 또는 코킹(caulking)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외측체인링(5)의 외측에는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크랭크커버(15)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커버(15)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1)의 중심에는 페달이 설치되는 크랭크암(17)이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암(17)은 운전자의 페달을 밟는 힘을 상기 체인링세트(3)의 회전력 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랭크암(17)은 크랭크축(19)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19)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23) 양측의 크랭크암(17)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크랭크축(19)은 바텀브라켓(21)을 통해 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3)은 자전거의 몸체를 구성한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체인링(9)과 바텀브라켓(21)은 소정거리(L) 이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체인링(9)과 바텀브라켓(21)이 이격된 거리는 체인의 폭보다 넓거나 비슷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는 페달을 밟아 크랭크축(19)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회전력을 체인을 통해 뒷바퀴에 전달하고, 뒷바퀴가 지면에 대하여 구름으로써 주행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크랭크조립체(1)의 외측에 크랭크커버(15)가 구비되어 기어변속중에 체인이 상기 외측체인링(5)의 바깥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크랭크(1)의 내측에는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체인이 상기 내측체인링(9)의 안쪽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체인이 바텀브라켓(21)과 내측체인링(9) 사이에 떨어지게 된다.
상기 바텀브라켓(21)과 내측체인링(9)은 소정거리(L)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이 떨어져서 바텀브라켓(21)과 내측체인링(9) 사이에 강하게 끼워지면, 상기 크랭크조립체(1)를 회전시킬 수 없고 체인을 빼기도 어려워 주행불능에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인과 프레임의 사이로 체인이 이탈되더라도 그 사이에 체인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고 톱니의 갯수가 많아지는 다수개의 체인링이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체인링에 체인이 걸어감아져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링세트와; 상기 체인링세트의 회전중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페달이 설치되어 운전자의 답력을 전달받아 프레임에 설치되는 크랭크축 및 상기 체인링세트와 일체로 회전되는 크랭크암과;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내측체인링과 상기 프레임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차폐하도록 상기 체인링세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체인링세트에 연결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은 프로텍터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로텍터편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인링세트에 연결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상기 프로텍터편은 상기 체인링세트의 회전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프로텍터편은 상기 프레임측과 가장 인접한 상기 내측체인링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체인링의 관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내측체인링의 체결편 사이사이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체인링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체인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편을 체인링에 두어 체인이 체인링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체인링의 안쪽으로 이탈된 체인이 프레임과 체인링 사이에 끼여 고정되지 않고 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체인을 손쉽게 체인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프로텍터편이 체인링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크랭크조립체의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조립공수도 줄어들므로 제조원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전거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 시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내측체인링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골격은 프레임(3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앉는 안장(31)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0)의 전방에는 운전자가 파지하여 주행중 균형을 유지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앞바퀴(38)에 연계되어 주행시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32)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32)의 양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런트브레이크(40) 및 리어브레이크(44)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레버(36)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브레이크레버(36)에 인접한 상기 핸들(32)에는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속레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0)의 선단에는 상기 핸들(32)과 연동되는 프론트포크(38')가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포크(38')에는 앞바퀴(3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앞바퀴(38)에는 프런트브레이크(40)가 설치된다. 상기 프런트브레이크(40)는 상기 브레이크레버(36)에 의해 작동되어 앞바퀴(38)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후단에는 뒷바퀴(42)가 설치된다. 상기 뒷바퀴(42)는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조립체(5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뒷바퀴(42)에는 리어브레이크(44)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브레이크(44)는 상기 브레이크레버(36)에 의해 작동되어 뒷바퀴(42)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42)의 중앙에는 체인(C)에 의해 크랭크조립체(50)와 연결되는 스프라켓(46)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라켓(46)은 체인(C)의 이동을 뒷바 퀴(4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스프라켓(46)은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인(C)은 다수개의 스프라켓(46) 사이를 이동하며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주행에 필요한 동력의 요구량을 변화시킨다.
상기 스프라켓(46)에는 상기 체인(C)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어디레일러(48)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디레일러(48)는 상기 체인(C)이 기어 변동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중간 하부에는 운전자의 답력으로 뒷바퀴(42)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크랭크조립체(50)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조립체(50)의 상부에는 체인(C)의 이동을 규제하는 프론트디레일러(51)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디레일러(48)와 프론트디레일러(51)는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상기 체인(C)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3에는 상기 크랭크조립체(50)의 구성이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조립체(50)에는 체인링세트(52)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세트(52)에는 뒷바퀴(42)에 연결된 체인(C)이 걸어진다. 상기 체인링세트(52)의 외주에는 체인(C)이 연결되는 톱니(52')가 반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인링세트(52)는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52')의 갯수를 갖는 다수개의 체인링(54,56,58)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54,56,58)은 상기 프레임(3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고 톱니(52')의 갯수가 많아지게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체인링(54,56,58)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체인링(54,56,58) 중 직경이 가장 큰 외측체인링(54)은 아래에서 설명 될 크랭크커버(80)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체인링(5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중간체인링(56)과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내측체인링(58)은 상기 외측체인링(54)의 안쪽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54,56,58)은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링(54,56,58) 각각은 볼트, 리벳 또는 코킹(caulking)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체인링(54)의 중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축(84)이 관통하는 관통공(5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암(82)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크랭크암(82)의 일단부에는 다각형의 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되어 크랭크축(84)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54')은 상기 외측체인링(54)과 중간체인링(56)에만 형성되고 내측체인링(58)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내측체인링(58)에는 상기 관통공(54')보다 휠씬 큰 영역에 걸쳐 관통부(58')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58')의 형상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전체 체인링(54,46,48)의 중심에 모두 관통공(54')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측체인링(58)의 관통부(58')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내측체인링(58)의 회전중심부를 향해 돌출되게 체결편(6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60)은 본 실시예에서 90도 간격으로 총 4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체결 편(60)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만들어 진다. 상기 체결편(60)에는 체결공(60')이 천공된다. 상기 체결공(60')은 리벳이나 볼트 등이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편(60)의 사이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부(58')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프로텍터편(62)이 형성된다. 상기 프로텍터편(62)은 상기 체결편(60)의 사이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프로텍터편(62)은 바람직하기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나, 꼭 그러한 것은 아니고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텍터편(62)은 그 선단의 연장방향이 대략 상기 체인링세트(52)의 중심을 연장한 선의 일점에서 만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프로텍터편(62)은 상기 중간체인링(5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경사를 두는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텀브라켓(86)과의 사이 틈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프로텍터편(62)의 선단과 상기 바텀브라켓(86)이 서로 가장 인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로텍터편(62)은 평면도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내측 체인링(58)에 연결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프로텍터편(62)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상기 프로텍터편(62)의 평면 형상이 반드시 사다리꼴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반원판 형상이거나, 내측 체인링(58)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선단을 향해 일정 길이는 폭이 같고 그 이후부터 사다리꼴 또는 반원판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텍터편(62)은 상기 내측체인링(58) 자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체인링(58)을 형성하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할 때, 프로텍터편(62)도 함께 금속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그 형상을 만들고 설계된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내측 체인링(58)에 별도로 만들어진 프로텍터편(62)을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할 수도 있으나, 원가를 고려할 때, 내측체인링(58)을 형성할 때 내측체인링(58)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텍터편(62)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체인링(58)과 프레임(30)의 일측인 바텀브라켓(86) 사이를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로텍터편(62)과 바텀브라켓(86)의 간격(L)은 상기 체인(C)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프로텍터편(62)이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에 체인(C)이 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설계조건에 따라 바텀브라켓(86)이 상기 프레임(3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프로텍터편(62)과 바텀브라켓(86)의 간격(L)이 상기 프레임(30)과 프로텍터편(62)의 간격이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로텍터편(62)이 상기 내측체인링(58)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의 간격(H)보다 작고,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의 간격(H)에서 체인(C)의 폭을 뺀 치수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체인링(54)의 외측에는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크랭크커버(80)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커버(80)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커버(80)는 대략 링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조립체(50)의 중심에는 페달이 설치되는 크랭크암(82)이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암(82)은 운전자의 페달을 밟는 힘을 상기 크랭크조립체(50)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랭크암(82)의 일단은 크랭크축(84)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암(82)의 타단에는 페달(82')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84)은 상기 프레임(30) 양측의 크랭크암(82)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크랭크축(84)은 바텀브라켓(86)을 통해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84)은 상기 크랭크조립체(50)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암(82)에 연결된다.
상기 바텀브라켓(86)의 내부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크랭크축(84)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바텀브라켓(86)은 상기 크랭크축(84)을 상기 프레임(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해준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크랭크조립체(50)에서, 상기 체인링세트(52)는 3개의 체인링(54.56,58)이 동심이 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이에 상기 크랭크암(82)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암(82)과 체인링세트(52)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체인링세트(52)의 외측체인링(54)에는 크랭크커버(80)를 조립한다.
이와 같은 크랭크조립체(50)는 각각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된 크랭크축(84)의 양단에 결합된다. 상기 크랭크조립체(50)의 크랭크암(82)이 크랭크축(84)에 결합되면, 상기 크랭크조립체(50)와 크랭크축(84)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크랭크암(82)의 단부에 설치되는 페달(82')을 운전자가 밟게 되면 상기 크랭크조립체(50)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랭크조립체(50)가 상기 프레임(30)의 크랭크축(84)과 결합되면, 상기 내측체인링(58)에 구비된 프로텍터편(62)이 상기 내측체인링(58)과 프레임(30)(또는 바텀브라켓(86))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텍터편(62)이 위치되면, 상기 프로텍터편(62)과 바텀브라켓(86) 사이의 간격(L)은 체인(C)의 폭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암(82)의 단부에 설치된 페달(82')을 운전자가 밟아 상기 크랭크조립체(50)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체인링(54,56,58)중 하나에 걸어진 체인(C)이 구동되어 스프라켓(46)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뒷바퀴(42)가 회전하게 된다.
자전거의 주행시에는 변속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프론트디레일러(51) 및 리어디레일러(48)를 조작하여 체인(C)을 원하는 체인링(54,56,58) 및 스프라켓(46)으로 이동시켜 주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프론트디레일러(51)에 의해 체인(C)이 이동하면서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안쪽으로 또는 외측체인링(54)의 바깥쪽으로 체인(C)이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체인(C)이 상기 체인링세트(52)에서 빠질 수 있는데, 상기 외측체인링(54)에서 빠져 크랭크조립체(5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은 크랭크커 버(80)가 방지하고, 상기 내측체인링(58)에서 빠져 프레임(30)측과 내측 체인링(58) 사이로 들어가는 것은 상기 프로텍터편(62)이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체인링(58)에서 이탈된 체인(C)이 상기 크랭크(5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30)이나 바텀브라켓(86)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이는 체인(C)이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에 비해 수리가 쉽다. 또한, 상기 체인(C)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5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체인(C)이 손상되는데, 상기 프로텍터편(62)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프로텍터편(62)이 내측체인링(58)에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중간체인링(56)이나 외측체인링(54)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체인링(58)의 관통부(58')를 통해 상기 프레임(30) 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내측체인링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크랭크조립체 52: 체인링세트
52': 톱니 54: 외측체인링
54': 관통공 56: 중간체인링
58: 내측체인링 58': 관통부
60; 체결편 60': 체결공
62: 프로텍터편 80: 크랭크커버
82: 크랭크암 82': 페달
84: 크랭크축 86: 바텀브라켓

Claims (4)

  1.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고 톱니의 갯수가 많아지는 다수개의 체인링(54,56,58)이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체인링(54,56,58)에 체인(C)이 걸어감아져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링세트(52)와;
    상기 체인링세트(52)의 회전중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페달이 설치되어 운전자의 답력을 전달받아 프레임(30)에 설치되는 크랭크축(84) 및 상기 체인링세트(52)와 일체로 회전되는 크랭크암(82)과;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54,56,58)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내측체인링과 상기 프레임(30)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차폐하도록 상기 체인링세트(54,56,58)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0)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체인링세트(52)에 연결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은 프로텍터편(6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편(62)은 사다리꼴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편(62)은 상기 체인링세트(52)의 회전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편(62)은 상기 프레임(30)측과 가장 인접한 상기 내측체인링(58)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체인링(58)의 관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체결편(60) 사이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조립체.
KR2020090005852U 2009-05-14 2009-05-14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KR200447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852U KR200447756Y1 (ko) 2009-05-14 2009-05-14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852U KR200447756Y1 (ko) 2009-05-14 2009-05-14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756Y1 true KR200447756Y1 (ko) 2010-02-16

Family

ID=4421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852U KR200447756Y1 (ko) 2009-05-14 2009-05-14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57B1 (ko) * 2006-09-14 2007-07-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회전브러시의 구동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989U (ko) 1985-05-24 1986-12-01
JPH02129986U (ko) * 1989-03-31 1990-10-26
JPH02129988U (ko) * 1989-03-31 1990-10-26
KR970074557A (ko) * 1996-05-31 1997-12-10 김영규 자전거용 다단 스프라켓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989U (ko) 1985-05-24 1986-12-01
JPH02129986U (ko) * 1989-03-31 1990-10-26
JPH02129988U (ko) * 1989-03-31 1990-10-26
KR970074557A (ko) * 1996-05-31 1997-12-10 김영규 자전거용 다단 스프라켓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57B1 (ko) * 2006-09-14 2007-07-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회전브러시의 구동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0114B1 (en) Bicycle transmission
EP1211102B1 (en) Bicycle hub with spacer and detachable freewheel
US20070191158A1 (en) Bicycle front derailleur
EP3000711B1 (en) Bicycle front derailleur with a variable actuation ratio
US7244203B2 (en) Bicycle derailleur
CN105083461A (zh) 自行车链轮
EP2022712A2 (en) Motion transmission system of a bicycle
EP1568591A2 (en) Bicycle rear derailleur
EP1642818A2 (en) Transmission system
JP2009056969A (ja) 自転車用リアディレーラ
US20220274670A1 (en) Electrically-assisted vehicle propulsion system
US20070060427A1 (en) Front derailleur chain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US8882130B2 (en) Bicycle drive assembly
US7367575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speed-change cable
TWI650269B (zh) 自行車驅動系統
KR200447756Y1 (ko)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CN108298014B (zh) 自行车转动件
JP4314245B2 (ja) 自転車用フロントディレーラ
US4531754A (en) Radial braking system
KR20090007296U (ko)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KR20110094786A (ko) 자전거 스프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