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62Y1 -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62Y1
KR200447062Y1 KR20090006260U KR20090006260U KR200447062Y1 KR 200447062 Y1 KR200447062 Y1 KR 200447062Y1 KR 20090006260 U KR20090006260 U KR 20090006260U KR 20090006260 U KR20090006260 U KR 20090006260U KR 200447062 Y1 KR200447062 Y1 KR 200447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tylus pen
push button
pen
sty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6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홍
Original Assignee
이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홍 filed Critical 이세홍
Priority to KR20090006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필기구로 일반필기용도 및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의 버튼홈(110)이 형성되고, 양측에 체결공(120)이 형성된 상부 몸체(100)와; 상기 상부 몸체(100)의 각 체결공(120)에 양단 쪽이 결합고정되는 회전대(800)와; 상기 회전대(800)에 끼워져 축회전하는 것으로,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촉(910)이 구비되고, 양측면을 따라 고정용 장홈(92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대(800)의 양측 일부분이 상기 고정용 장홈(920)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과; 상기 버튼홈(11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버튼홈(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돌기(210)가 돌출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조작돌기(210)의 반대 쪽에 상부돌기(220) 및 하부돌기(230)가 서로 떨어져 돌출구비된 누름버튼(200)과; 상기 누름버튼(20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누름버튼(200)의 하단에 끼워지는 볼펜(300)과; 상기 버튼홈(110)의 개수만큼 관통공(510)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각 관통공(510)에 상기 볼펜(300)이 끼워지는 안내통(500)과; 상기 버튼홈(11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볼펜(300)에 각각 끼워지되, 상기 누름버튼(200)과 상기 안내통(500) 사이에 놓여지게 끼워지는 스프링(600)과; 외주연이 상기 상부 몸체(100)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말단에 출입공(710)이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안내통(500)을 받치는 하부 몸체(700);로 이루어다.
필기구, 볼펜, 스타일러스 펜, 필기, 태블릿, 겸용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Note tool with a stylus pen}
본 고안은 하나의 필기구로 일반필기용도 및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의 개발방향은 단말기의 소형화/경박화와 더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키패드 대신 단말기 본체에 태블릿(tablet)을 장착하고, 그 장착된 태블릿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 해당 위치 정보가 입력되어 입력된 정보에 따른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낳아가고 있다.
이러한 개발동향 중 터치스크린 방식 시 정보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도구로서,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선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 펜이 무선 단말기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상술한 무선 단말기와 함께 구비되는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단말기 본체에 결착시켜 제공되는데, 이처럼, 무선 단말기와 함께 구비되는 스타일러스 펜은 기본기능인 정보입력수단만 제공할 뿐 추가의 다른 기능은 제공하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타일러스 펜을 필기구에 구비하되, 일반필기용도 및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선택하여 사용가능한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는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의 버튼홈을 갖는 상부 몸체와; 상기 버튼홈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버튼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돌기가 돌출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조작돌기의 반대 쪽에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가 서로 떨어져 돌출구비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에 끼워지되 상기 누름버튼의 개수보다 하나 적게 끼워지는 볼펜과;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에 끼워지는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과; 상기 누름버튼의 개수만큼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각 관통공에 상기 볼펜과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끼워지는 안내통과; 상기 누름버튼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볼펜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각각 끼워지되,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안내통 사이에 놓여지게 끼워지는 스프링과; 외주연이 상기 상부 몸체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말단에 출입공이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안내통을 받치는 하부 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는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의 버튼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각 체결공에 양단 쪽이 결합고정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에 끼워져 축회전하는 것으로,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촉이 구비되고, 양측면을 따라 고정용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대의 양측 일부분이 상기 고정용 장홈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과; 상기 버튼홈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버튼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돌기가 돌출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조작돌기의 반대 쪽에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가 서로 떨어져 돌출구비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에 끼워지는 볼펜과; 상기 버튼홈의 개수만큼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각 관통공에 상기 볼펜이 끼워지는 안내통과;
상기 버튼홈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볼펜에 각각 끼워지되,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안내통 사이에 놓여지게 끼워지는 스프링과; 외주연이 상기 상부 몸체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말단에 출입공이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안내통을 받치는 하부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몸체의 끝단 쪽에 회동방지공간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회동방지공간에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의 스타일러스 펜촉이 놓여진다.
본 고안은 하나의 필기구로 일반필기용도 및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각 실시예에 따라 중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함과 아울러 각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각구성이 동일한 경우 후 실시예의 도면을 생략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는 크게 상부 몸체(100), 누름버튼(200), 볼펜(300), 스타일러스 펜(400), 안내통(500), 스프링(600), 하부 몸체(7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구성의 세부구성 및 결합관계는 먼저, 상부 몸체(100)의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버튼홈(1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처럼 형성되는 버튼홈(110)의 개수는 후술되는 볼펜(300) 및 스타일러스 펜(400)의 합한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표시하였으나 2개에서 3개, 4개 또는 5개 든 필요에 따 라 선택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몸체(100)에 형성된 3개의 버튼홈(11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누름버튼(200)은 상부 몸체(100)의 버튼홈(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돌기(210)가 돌출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조작돌기(210)의 반대 쪽에 상부돌기(220) 및 하부돌기(230)가 서로 떨어져 돌출구비며, 하부에는 후술되는 볼펜(300) 및 스타일러스 펜(4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돌기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누름버튼(200)의 개수도 앞에서 언급한 버튼홈(110)의 개수에 따라 대응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 몸체(100)의 버튼홈(110)에 조작돌기(210)가 노출된 3개의 누름버튼(200)의 끼움돌기 중 2개의 누름버튼(200)의 끼움돌기에는 볼펜(300)이 각각 끼움결합되고, 1개의 누름버튼(200)의 끼움돌기에는 스타일러스 펜(400)이 끼움결합된다.
이때, 누름버튼(200)의 끼움돌기에 끼움결합되는 볼펜(300)의 개수는 버튼홈(11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만약, 버튼홈(110)의 개수가 2개인 경우 볼펜(300)의 개수는 1개이고, 버튼홈(110)의 개수가 4개인 경우 볼펜(300)의 개수는 3개로서, 볼펜(300)의 개수는 버튼홈(110)의 개수보다 1개 적게 구비되도록 제공된다.
이는, 나머지 하나에는 스타일러스 펜(400)이 끼움결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누름버튼(200)의 끼움돌기에 끼움결합되는 2개의 볼펜(300)과 1개의 스타일러스 펜(400)을 안내통(500)에 형성된 3개의 관통공(510)을 통해 관통시 키는데 이때, 탄성력 및 복원력을 통해 각 누름버튼(200)이 작동되도록 볼펜(300) 및 상기 스타일러스 펜(400)이 결합되는 누름버튼(200)과 안내통(500) 사이에 각각 스프링(600)도 함께 끼워 제공한다.
이후, 하부 몸체(700)를 상부 몸체(100)에 나선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이때, 하부 몸체(700)의 외주연이 상부 몸체(100)의 내주연에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볼펜(300)과 스타일러스 펜(400)이 관통된 안내통(500)이 하부 몸체(700)의 선단에 놓여지게 하여 스프링(600)을 통해 탄성력 및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하부 몸체(700)의 말단에 출입공(710)을 형성시켜 각 볼펜(300)과 스타일러스 펜(400)의 끝단 부분이 돌출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의 일반필기용도 및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의 선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필기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필기하고자 하는 색상을 갖는 해당 누름버튼(200)의 조작돌기(210)를 눌러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그 슬라이딩 이동되는 누름버튼(200)의 상부돌기(220)가 눌러지지 않은 다른 누름버튼(200)의 하부돌기(230)에 걸린다.
이때, 눌러지는 누름버튼(200)의 하부에 끼워진 스프링(600)은 안내통에 눌려지면서 압축된 상태이고 또한, 누름버튼(200)의 끼움돌기에 끼워진 볼펜(300)의 끝단부분은 하부 몸체(700)의 출입공(710)을 통해 돌출됨으로써, 필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후,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스타일러스 펜(400)이 끼워진 누름버튼(200)을 눌러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그 눌러지는 누름버튼(200)의 하부돌기(230)가 이전에 눌러진 다른 누름버튼(200)의 상부돌기(220)를 건드린다.
이로 인해, 다른 누름버튼(200)의 하부돌기(230)에 걸린 상태인 이전에 눌러진 다른 누름버튼(200)의 상부돌기(220)의 걸림이 해제되는데 이때, 이전에 눌러진 다른 누름버튼(200)의 하부에 끼워진 스프링(600)은 압착된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이전에 눌러진 다른 누름버튼(200)의 하부에 끼워진 스프링(600)이 복원됨으로써, 이전에 눌러진 다른 누름버튼(20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타일러스 펜(400)이 끼워진 누름버튼(200)은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눌러지지 않은 다른 누름버튼(200)의 하부돌기(230)에 스타일러스 펜(400)이 끼워진 누름버튼(200)의 상부돌기(220)가 걸린다.
이때, 눌러지는 스타일러스 펜(400)이 끼워진 누름버튼(200)의 하부에 끼워진 스프링(600)은 안내통(500)에 눌려지면서 압축된 상태이고 또한, 누름버튼(200)의 끼움돌기에 끼워진 스타일러스 펜(400)의 끝단부분이 하부 몸체(700)의 출입공(710)을 통해 돌출됨으로써,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일반필기용도 및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의 구성 및 결합관계의 설명 중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된 내용은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도 3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는 스타일러스 펜을 필기구 내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필기구 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 때문에, 상부 몸체(100)에 내재되는 누름버튼(200)의 개수와 볼펜(300)의 개수가 동일하고, 상부 몸체(100)의 양측에는 체결공(12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 몸체(10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120)에는 회전대(800)의 양단 쪽이 결합고정되는데 이때, 회전대(800)에는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이 관통되어 제공된다.
이처럼, 회전대(800)에 관통제공되는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은 축회전을 통해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촉(910)이 구비되고, 양측면을 따라 고정용 장홈(920)이 형성되어, 회전대(800)의 양측 일부분이 고정용 장홈(920)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몸체(100)의 끝단 쪽에는 회동방지공간(130)을 형성시켜, 그 형성된 회동방지공간(130)에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의 스타일러스 펜촉(910)이 한쪽으로만 회동될 수 있게 제공된다.
이하,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인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의 일반필기용도 및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의 선택과정을 설명 중 일반필기용도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기에 여기서는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필기구의 상단에 연결된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을 회전대(800)를 중심으로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의 하부를 손으로 밀면,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의 고정용 장홈(920)에 끼워진 회전대(800)의 양측 일부가 끼움해제되면서 이탈된다.
이후, 회전대(800)를 중심으로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의 하부 쪽이 상부 쪽으로 위치되게 축회전시켜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의 고정용 장홈(920)에 회전대(800)의 양측 일부가 끼움결합되게 한다.
이때, 끼움결합된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의 상부 쪽에는 스타일러스 펜촉(910)이 장착되어 있어 무선단말기의 태블릿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상부 몸체 110 : 버튼홈
120 : 체결공 130 : 회동방지공간
200 : 누름버튼 210 : 조작돌기
220 : 상부돌기 230 : 하부돌기
300 : 볼펜 400 : 스타일러스 펜
500 : 안내통 510 : 관통공
600 : 스프링 700 : 하부 몸체
710 : 출입공 800 : 회전대
900 :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 910 : 스타일러스 펜촉
920 : 고정용 장홈

Claims (3)

  1. 삭제
  2.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의 버튼홈(110)이 형성되고, 양측에 체결공(120)이 형성된 상부 몸체(100)와;
    상기 상부 몸체(100)의 각 체결공(120)에 양단 쪽이 결합고정되는 회전대(800)와;
    상기 회전대(800)에 끼워져 축회전하는 것으로,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촉(910)이 구비되고, 양측면을 따라 고정용 장홈(92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대(800)의 양측 일부분이 상기 고정용 장홈(920)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과;
    상기 버튼홈(11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버튼홈(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돌기(210)가 돌출구비되고, 그 구비되는 조작돌기(210)의 반대 쪽에 상부돌기(220) 및 하부돌기(230)가 서로 떨어져 돌출구비된 누름버튼(200)과;
    상기 누름버튼(20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누름버튼(200)의 하단에 끼워지는 볼펜(300)과;
    상기 버튼홈(110)의 개수만큼 관통공(510)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각 관통공(510)에 상기 볼펜(300)이 끼워지는 안내통(500)과;
    상기 버튼홈(11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볼펜(300)에 각각 끼워지되, 상기 누름버튼(200)과 상기 안내통(500) 사이에 놓여지게 끼워지는 스프링(600)과;
    외주연이 상기 상부 몸체(100)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말단에 출입공(710)이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안내통(500)을 받치는 하부 몸체(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0)의 끝단 쪽에 회동방지공간(130)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회동방지공간(130)에 회전용 스타일러스 펜(900)의 스타일러스 펜촉(910)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KR20090006260U 2009-05-25 2009-05-25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KR200447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260U KR200447062Y1 (ko) 2009-05-25 2009-05-25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260U KR200447062Y1 (ko) 2009-05-25 2009-05-25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62Y1 true KR200447062Y1 (ko) 2009-12-22

Family

ID=4608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6260U KR200447062Y1 (ko) 2009-05-25 2009-05-25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366B1 (ko) 2011-07-05 2012-12-05 정광수 정전식 터치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1814A (ja) * 1989-05-17 1990-12-13 Canon Inc 座標入力装置
JPH07225643A (ja) * 1994-02-09 1995-08-22 Kokuyo Co Ltd ペン入力形電子文具の入力用ペン
KR200212522Y1 (ko) 2000-08-03 2001-02-15 배재춘 다용도 스타일러스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1814A (ja) * 1989-05-17 1990-12-13 Canon Inc 座標入力装置
JPH07225643A (ja) * 1994-02-09 1995-08-22 Kokuyo Co Ltd ペン入力形電子文具の入力用ペン
KR200212522Y1 (ko) 2000-08-03 2001-02-15 배재춘 다용도 스타일러스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366B1 (ko) 2011-07-05 2012-12-05 정광수 정전식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359B1 (en) Expandable and contractible stylus
US20110291999A1 (en) Stylus
KR101665730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다용도 필기구
TW201730722A (zh) 觸控筆
KR20120030652A (ko) 슬라이딩 삭제키 또는 역삭제키를 포함하는 키보드
KR101757999B1 (ko) 접촉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US8373681B2 (en) Stylus having a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
JP2011108217A (ja) 入力ペン
US8445794B2 (en) Stylus
KR200447062Y1 (ko)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JP2012053681A (ja) タッチパネル用スタイラスペン
US8284174B2 (en) Stylus
US20110227880A1 (en) Telescoping styl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102751A (zh) 具有可置换导电笔芯的电容笔
US8339383B2 (en) Stylus
TWI403924B (zh) 觸控筆與電子裝置
US8405643B2 (en) Stylus
KR101614575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펜 겸용 볼펜
US20110234547A1 (en) Stylus
KR101947027B1 (ko)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KR20130142828A (ko)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CN107149251B (zh) 手机保护套
KR100383065B1 (ko) 핸드홀딩 전자장치
KR200422550Y1 (ko)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필기구
KR20020090200A (ko) 핑거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