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614Y1 -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614Y1
KR200446614Y1 KR2020070017953U KR20070017953U KR200446614Y1 KR 200446614 Y1 KR200446614 Y1 KR 200446614Y1 KR 2020070017953 U KR2020070017953 U KR 2020070017953U KR 20070017953 U KR20070017953 U KR 20070017953U KR 200446614 Y1 KR200446614 Y1 KR 200446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gear
surveillance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39U (ko
Inventor
이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프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프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프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70017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61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6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모듈(100); 회전조정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초점조절시키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둘레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링(200a); 상기 초점조절링(200a)의 축방향으로 요철형성된 기어치를 구비하여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 결합되는 기어부재(300); 상기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400); 및 일단부가 상기 기어부재(300)의 기어치에 기어접속되고, 상기 기어부재(300)의 회전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400)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해 정위치 회전조정되도록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400)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부조정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하우징을 분해할 필요없이 외부에서 렌즈의 초점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방수구조를 가지며, 렌즈의 초점조정을 위해 하우징 외부에서 가하는 동력의 전달이 명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동력전달요소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기어요소간의 접속 또한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감시카메라 초점 줌 LED 윈도우 케이블 스탠드

Description

감시카메라{Surveillance camera}
본 고안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외부에서 렌즈의 초점조절 및 줌조절, 스위치조작에 의한 셋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단자부가 방수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 감시카메라는 멀리 떨어져 있는 특정한 장소나 사물을 촬영하여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에 보냄으로써 촬영되는 장소나 사물의 이상 유무를 현장에 가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는 촬영 기기로서, 도난이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장소를 감시하거나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점검하는 것과 같은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 장소에 설치된다.
감시카메라는 가능한 한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대개 건물의 벽면 상부나 천장에 설치되어 특정방향을 향해 세팅되고, 또 세팅작업시에 요구되는 특정위치에 렌즈의 초점이 맞춰지도록 조절하고 있으며, 감시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변경되어 렌즈의 초점을 재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우징을 분해할 필요없이 외부에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감시카메라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466987호의 CCTV 카메라 초점조절장치와, 한국등록특허 제726346호의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CCTV 카메라 초점조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CCTV 카메라 초점조절장치는 하우징(202)의 외부에서 포커스 조절링(251)과 줌 조절링(253)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외부에서 렌즈 초점 및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나,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는 차양부재(미도시)를 이탈시켜야만 포커스 조절링(251)과 줌 조절링(253)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방수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는 후방커버(6)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36, 46)을 매개로 기어장치(32, 34, 42, 44)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며, 후방커버(6)의 관통부에 틈새가 형성된 것을 2개의 O링(미도시)에 의해 이중방수시키고 있으나, 상기 회전축(36, 46)이 좁은 단면적을 가지고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될 수 밖에 없어 동력 전달이 명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어간의 접속부위가 평기어구조를 가지는 기어치의 좁은 면적에 한정되어 동력전달 과정에서 기어치가 손상되기 쉽고, 다수의 평기어를 안정되게 고정 및 접속시키기 위해 내부 부속이 많아질 수 밖에 없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하우징을 분해할 필요없이 외부에서 렌즈의 초점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방수구조를 가지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렌즈의 초점조정을 위해 하우징 외부에서 가하는 동력의 전달이 명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동력전달요소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기어요소간의 접속 또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카메라모듈(100); 회전조정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초점조절시키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둘레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링(200a); 상기 초점조절링(200a)의 축방향으로 요철형성된 기어치를 구비하여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 결합되는 기어부재(300); 상기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400); 및 일단부가 상기 기어부재(300)의 기어치에 기어접속되고, 상기 기어부재(300)의 회전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400)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400)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해 정위치 회전조정되는 외부조정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감시카메라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00)은, 빛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며, LED조명의 빛발산경로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의 빛도입경로가 분리형성된 윈도우(410); 및 빛차단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의 둘레를 측면에서 커버링하는 측면커버(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410)는,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LED의 전방에 설치되는 조명부(411);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는 렌즈부(412); 및 빛차단이 가능한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부(411)와 렌즈부(412)사이의 빛통과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조명부(411)와 렌즈부(412)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조명부(411)와 렌즈부(412)의 전면이 각각 접속가능한 외부걸림턱(413a)과 내부걸림턱(413b)을 구비하여 상기 조명부(411) 및 렌즈부(412)와 기밀하게 밀착결합되는 차단부재(4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윈도우의 조명부(411), 렌즈부(412), 차단부재(413)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기어부재(300)로부터 상기 하우징(400)까지의 이격거리가 최소가 되는 경로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하우징(4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기어부재(300)의 기어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상기 기어부재(300)에 기어접속되는 기어접속 부(510); 상기 기어접속부(510)로부터 상기 하우징(400)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원주부(520); 상기 원주부(520) 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400)에 형성된 걸림턱(421)에 일측단이 걸려 상기 하우징(400)과 접속되는 하우징접속부(530); 상기 하우징접속부(530) 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며, 손가락이나 도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에 회전력을 전달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외부조작부(540); 및 상기 외부조작부(5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551)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조작부(540)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의 타측단을 커버링하며 상기 하우징(400)의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고정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600)이 통과가능한 케이블통로(715)를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400)의 케이블 인출부에 고정결합되는 스탠드(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700)는, 내부에 케이블통로(715a)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결합되는 카메라결합구(710); 및 상기 카메라결합구(710)가 회동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카메라결합구의 케이블통로(715a)를 통과한 케이블이 통과가능한 케이블통로(715b)를 구비하여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벽면고정구(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탠드(70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결합되는 카메라결합구(710); 상기 카메라결합구(710)를 회동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힌지결합되며,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벽면고정구(720); 및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벽면고정구간(720)의 접속부에 요철형성되는 요철접속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카메라 운전조건의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조절스위치(810)가 구비된 스위치설치구(800);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400)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910)와, 상기 개구부(910)의 둘레에 나선형 홈이 연속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나사결합부(920)와, 상기 개구부(910)를 차단하며 상기 나사결합부(920)상에 나사결합되는 덮개부(930)와, 손가락이나 도구로 상기 덮개부(930)에 회전가압력을 전달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930) 외면에 형성되는 회전력전달부(940)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보호부재(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보호부재(900)는, 상기 하우징(4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보호부재(900)는,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덮개부(930)가 감시카메라로부터 완전히 분리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스위치설치구(800) 또는 하우징(400)과 상기 덮개부(9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9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연결부(950)는,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와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덮개부(930) 사이의 이격공간부에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치설치부(800)와 상기 덮개부(930) 내측면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외부조정부재와 스위치보호부재를 구비하여, 초점조절, 줌조절과 재셋팅이 필요할 시, 하우징을 분해할 필요없이 외부에서 렌즈의 초점조절과 스위치조작에 의한 셋팅을 간단히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감시카메라 설치 시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외부조정부재를 형성가능하며, 스위치보호부재와 함께 감시카메라의 하단부에 설치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외부 조작단자를 구비함에 있어서 우수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조정부재에 의한 동력전달구조에 베벨기어를 적용함으로써, 외부조정부재를 카메라모듈에서 하우징까지 최소한의 연장 길이를 가지도록 구현가능하며, 이에 따라렌즈의 초점조정을 위해 하우징 외부에서 가하는 동력의 전달이 명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부조정부재에 의한 동력전달구조에 상호 수직되게 접속되도록 경사진 접촉면을 가지는 베벨기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기어치부분에서 평기어보다 높은 전단강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어요소간의 동력전달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가 조명부와 렌즈부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차단부재상에 일체로 견고하게 밀착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우수한 방수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와의 결합단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인출이 스탠드에 형성된 케이블통로를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케이블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스탠드 내부에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탠드가 카메라결합구와 벽면고정구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짐에 있어서는, 요철접속부를 구비하여, 카메라결합구가 카메라모듈 및 하우징의 자체하중에 의해 쉽게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윈도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크게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 하우징(400), 외부조정부재(500)로 이루어지며, 회전조정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초점조절시키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둘레에 결합된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 상기 기어부재(300)를 결합시키고,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를 상기 기어부재(300)에 수직방향으로 접속시킨 상태로 단부가 상기 하우징(400)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초점조절링(200a), 상기 초점조절링(200a)과 동일한 작동구조를 가지는 줌조절링(200b)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13302호의 감시카메라의 초점 및 줌 조절구조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한 다수의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줌조절링(200b)은 상기 초점조절링(200a)을 대체가능할 정도로 상기 초점조절링(200a)과 동일한 작동구조를 가지는 바 상기 초점조절링(200a)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어부재(300)는, 기어치가 상기 초점조절링(200a)의 외주면로부터 방사형으로 요철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외부조정부재(500)가 상기 초점조절링(200a)과 수직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조정에 의해 상기 초점조절링(200a)측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초점조절링(200a)의 회전축방향으로 요철형성된 기어치를 구비하여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요소로, 윈도우(410)와 측면커버(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윈도우(410)는 빛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커버(420)는 빛차단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의 둘레를 측면 또는, 측면 및 후방에서 커버링한다.
상기 윈도우(410)는 LED조명의 빛발산경로상에 설치되는 조명부(411)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의 빛도입경로상에 설치되는 렌즈부(412)가 분리형성되며, 상기 조명부와 렌즈부(412) 사이에는 빛차단이 가능한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차단 부재(413)가 상기 조명부(411)와 렌즈부(412) 상호간의 빛통과를 차단시키는 격벽을 제공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차단부재(413)는 상기 조명부(411)와의 접속단에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조명부(411) 전면의 내측단부가 밀착접속가능한 외부걸림턱(413a)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412)와의 접속단에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렌즈부(412) 전면의 외측단부가 밀착접속가능한 내부걸림턱(413b)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411) 및 렌즈부(412)는 상기 외부걸림턱(413a)과 내부걸림턱(413b)에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가 각각 접속된 상태로 기밀하게 상호접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13)를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하면, 상기 조명부(411), 렌즈부(412)와의 접합면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플라스틱 소재를 발열, 연화, 용융시켜 밀착접합시키는 초음파 융착방법을 적용하여, 접착제나 별도의 용제없이 견고하게 상호결합시킬 수 있다.
초음파 융착방법으로 상기 조명부(411), 렌즈부(412), 차단부재(413)를 상호 접합시키면, 상기 조명부(411) 및 렌즈부(412)를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유리소재로 구성하여도 접합부에 변형이나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강력한 용착으로 인하여 수밀성 및 기밀성이 우수하며, 상호간을 결속시키기 위한 별도의 매개부재가 필요없어 생산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접합부 전체에 균일한 품질로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400) 내측에서 상기 기어부 재(300)의 기어치에 기어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재(300)의 회전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기어부재(300)로부터 상기 하우징(400)까지 연장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400)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를 정위치 회전조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00)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기어접속부(510), 원주부(520), 하우징접속부(530), 외부조작부(540), 하우징고정부(5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어접속부(510)는 상기 기어부재(300)와 함께 베벨기어를 이루도록 상기 기어부재(300)의 기어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상기 기어부재(300)에 기어접속된다.
상기 원주부(520)는 상기 기어접속부(510)로부터 상기 하우징(400)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몸체부로, 상기 초점조절링(200a) 및 기어부재(300)와 상기 하우징(400)간의 거리에 따라 그 연장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하우징(400)에는 상기 외부조정부재(500)의 외측단부가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를 정위치에 구속시킬 수 있는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상에는, 상기 외부조정부재(500)가 상기 하우징(400) 외측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400) 내부로 삽입되는 조립결합구조를 가짐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400) 내측으로의 진입 이동한계를 제공하는 걸림턱(4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접속부(530)는 상기 하우징(400)에 형성된 걸림턱(421)에 내측단이 걸리도록 상기 원주부(520) 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 조작부(540)는 상기 하우징(400) 외면에 노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접속부(530) 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고, 손가락이나 도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에 회전력을 전달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의 외측단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고정부(550)는 상기 기어접속부(510), 원주부(520), 하우징접속부(530), 외부조작부(540)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상기 하우징(400)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400)의 외면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외부조작부(5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551)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조작부(540)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의 타측단을 커버링하며 상기 하우징(400)의 외면에 고정결합된다.
종래에는,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를 외부에서 회전조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초점조절링(200a)으로부터 상기 하우징(400)의 후방단부까지 거리에 해당되는 긴 길이로 회전력전달축을 형성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기어부재(300)와 외부조정부재(500)에 베벨기어에 의한 동력전달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서 상기 하우징(400)의 측면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로 상기 원주부(520) 및 외부조정부재(5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기어부재(300)와 외부조정부재(500)가 상호 수직되게 결합된다는 것은, 상기 기어부재(300)와 외부조정부재(500)가 정확하게 수직되는 방향으로만 기어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평행한 축방향으로만 기어접속이 이루어지는 고정관념을 벗어나,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 서 상기 하우징(400)까지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도록 수직에 가깝게 기어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기어부재(300)로부터 상기 하우징(400)까지의 이격거리가 최소가 되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400) 외부에서 가하는 동력의 전달이 상기 외부조정부재(500)에 의해 명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조정부재(500)에 의한 동력전달구조에 상호 수직되게 접속되도록 경사진 접촉면을 가지는 베벨기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기어부재(300)와 외부조정부재(500)의 기어치가 평기어보다 확장된 접속면적을 가진 상태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어 평기어보다 높은 전단강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어요소간의 동력전달 또한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또한, 상기 하우징(400)을 벽면 등에 지정각도로 고정설치하는 스탠드(700)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700)가 상기 하우징(400)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600)이 통과가능한 케이블통로(715)를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400)의 케이블 인출부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스탠드(700)는 상기 하우징(400)을 벽면 등에 지정각도로 고정설치할 수만 있다면 특정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스탠드(70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결합되는 카메라결합구(710)와, 상기 카메라결합구(710)가 회동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힌지결합되며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벽면고정구(72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벽면고정구(720)로 분리형성된 구조를 가짐에 있어서도,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벽면고정구(720)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600)이 상기 카메라결합부(710) 내부로 도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연속통과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벽면고정구(720)의 벽면접속단으로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통로(715a, 715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벽면고정구(720)의 접속부에는,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벽면고정구(720)의 접속면에 보다 큰 마찰력을 부여하거나 진행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걸림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요철형성되는 요철접속부(7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탠드(70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케이블(600)이 벽면까지 연장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통로(715)를 통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스탠드(700) 내부에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접속부(730)에 의해, 상기 카메라결합구(710)가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하우징(400)의 자체하중에 의해 하향가압을 지속적으로 받아 하측으로 꺽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카메라 운전조건의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조절스위치(810)가 구비된 스위치설치구(800)와, 상기 스위치설치구(800)를 상기 하우 징(400) 외부에 노출 또는 차단조정시키도록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400)에 착탈조정되는 스위치보호부재(900)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위치보호부재(900)는 개구부(910), 나사결합부(920), 덮개부(930), 회전력전달부(9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910)는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400)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920)는 상기 개구부(910)의 둘레에 나선형 홈이 연속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930)는 상기 개구부(910)에 대응되는 사이즈와 형상으로 형성고, 둘레에 상기 나사결합부(920)의 나선형 홈에 나사결합가능한 형상의 나선형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910)를 차단하며 상기 나사결합부(920)상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940)는 손가락이나 도구로 상기 덮개부(930)에 회전가압력을 전달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930)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930)를 상기 개구부(9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력전달부(940)에, 예를 들어, 시계방향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덮개부(930)가 상기 나사결합부(920)에 의해 결속되면서 상기 개구부(910)를 밀폐시키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덮개부(930)가 상기 나사결합부(920)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개구부(910)를 개방시켜 상기 스위치설치구(800)를 외부에 노출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하우징(400) 측면의 어느 위치라도 상기 외부조작부(540)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외부조정부재(500) 와 상기 스위치설치구(800) 및 스위치보호부재(900)를, 감시카메라 설치 시 하단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외부환경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게 되는 상기 하우징(40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조정부재(500), 카메라조절스위치(810)와 같은 외부 조작단자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우수한 방수구조를 구현하고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하우징(400)의 하부 둘레상에 빗물이 상기 하우징(400)의 표면을 타고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나 스위치보호부재(900)측으로 흘러내지 않도록 경로를 차단시키는 걸림턱이나 차단판과 같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조절스위치(810)의 조작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덮개부(930)를 상기 개구부(910)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는데, 감시카메라는 대부분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가 이루어게 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930)를 사용자가 실수로 떨어뜨리게 되면 분실되기 쉽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스위치보호부재(900)는 상기 덮개부(930)가 감시카메라로부터 완전히 이탈 및 분리되어 쉽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이나 하우징(400)과, 상기 덮개부(9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950)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연결부(950)는 상기 덮개부(930)의 개폐조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덮개부(930)를 감시카메라상에 안정되게 구속시킬 수 있다면 특정한 형상과 구조, 결합위치로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와 상기 덮개부(930) 사이의 이격공간부에 수용가능하면, 상기 덮개부(930)의 결합에 의해 안정되게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스위치설치부(800)와 상기 덮개부(930) 내측면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CCTV 카메라 초점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 - 종래기술에 따른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4 - 도 2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 - 윈도우의 분해사시도
도 6 -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 - 도 6의 요부분해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카메라모듈 200a : 초점조절링
200b : 줌조절링 300 : 기어부재
400 : 하우징 410 : 윈도우
411 : 조명부 412 : 렌즈부
413 : 차단부재 413a : 외부걸림턱
413b : 내부걸림턱 420 : 측면커버
421 : 걸림턱 500 : 외부조정부재
510 : 기어접속부 520 : 원주부
530 : 하우징접속부 540 : 외부조작부
550 : 하우징고정부 551 : 관통공
600 : 케이블 700 : 스탠드
710 : 카메라결합구 715 : 케이블통로
715a: 카메라결합구의 케이블통로 715b : 벽면고정구의 케이블통로
720 : 벽면고정구 730 : 요철접속부
800 : 스위치설치구 810 : 카메라조절스위치
900 : 스위치보호부재 910 : 개구부
920 : 나사결합부 930 : 덮개부
940 : 회전력전달부 950 : 연결부

Claims (14)

  1. 카메라모듈(100);
    회전조정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초점조절시키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둘레에 결합되는 초점조절링(200a);
    상기 초점조절링(200a)의 축방향으로 요철형성된 기어치를 구비하여 상기 초점조절링(200a)에 결합되는 기어부재(300);
    상기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400);
    일단부가 상기 기어부재(300)의 기어치에 기어접속되고, 상기 기어부재(300)의 회전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400) 외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400)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해 정위치 회전조정되는 외부조정부재(500); 및
    상기 하우징(400)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600)이 통과가능한 케이블통로(715)를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400)의 케이블 인출부에 고정결합되는 스탠드(7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은,
    빛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며, LED조명의 빛발산경로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의 빛도입경로가 분리형성된 윈도우(410); 및
    빛차단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100), 초점조절링(200a), 기어부재(300)의 둘레를 측면에서 커버링하는 측면커버(4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410)는,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LED의 전방에 설치되는 조명부(411);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는 렌즈부(412); 및
    빛차단이 가능한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부(411)와 렌즈부(412)사이의 빛통과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조명부(411)와 렌즈부(412)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조명부(411)와 렌즈부(412)의 전면이 각각 접속가능한 외부걸림턱(413a)과 내부걸림턱(413b)을 구비하여 상기 조명부(411) 및 렌즈부(412)와 기밀하게 밀착결합되는 차단부재(4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조명부(411), 렌즈부(412), 차단부재(413)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호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기어부재(300)로부터 상기 하우징(400)까지의 이격거리가 최소가 되는 경로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하우징(400)의 하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조정부재(500)는,
    상기 기어부재(300)의 기어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어치를 구비하여 상기 기어부재(300)에 기어접속되는 기어접속부(510);
    상기 기어접속부(510)로부터 상기 하우징(400)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원주부(520);
    상기 원주부(520) 보다 확장된 외경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400)에 형성된 걸림턱(421)에 일측단이 걸려 상기 하우징(400)과 접속되는 하우징접속부(530);
    상기 하우징접속부(530) 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며, 손가락이나 도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에 회전력을 전달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외부조작부(540); 및
    상기 외부조작부(5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551)을 구비하여 상기 외부조작부(540)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접속부(530)의 타측단을 커버링하며 상기 하우징(400)의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고정부(55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700)는,
    내부에 케이블통로(715a)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결합되는 카메라결합구(710); 및
    상기 카메라결합구(710)가 회동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카메라결합구의 케이블통로(715a)를 통과한 케이블이 통과가능한 케이블통로(715b)를 구비하여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벽면고정구(7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70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결합되는 카메라결합구(710);
    상기 카메라결합구(710)를 회동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힌지결합되며,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벽면고정구(720); 및
    상기 카메라결합구(710)와 벽면고정구간(720)의 접속부에 요철형성되는 요철접속부(73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11. 제 1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카메라 운전조건의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조절스위치(810)가 구비된 스위치설치구(800); 및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400)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910)와, 상기 개구부(910)의 둘레에 나선형 홈이 연속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나사결합부(920)와, 상기 개구부(910)를 차단하며 상기 나사결합부(920)상에 나사결합되는 덮개부(930)와, 손가락이나 도구로 상기 덮개부(930)에 회전가압력을 전달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930) 외면에 형성되는 회전력전달부(940)로 이루어지 는 스위치보호부재(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보호부재(900)는,
    상기 하우징(400)의 하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보호부재(900)는,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덮개부(930)가 감시카메라로부터 완전히 분리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스위치설치구(800) 또는 하우징(400)과 상기 덮개부(9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9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연결부(950)는,
    상기 스위치설치구(800)와 상기 스위치보호부재의 덮개부(930) 사이의 이격공간부에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치설치부(800)와 상기 덮개부(930) 내측면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KR2020070017953U 2007-11-07 2007-11-07 감시카메라 KR200446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53U KR200446614Y1 (ko) 2007-11-07 2007-11-07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953U KR200446614Y1 (ko) 2007-11-07 2007-11-07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39U KR20090004439U (ko) 2009-05-12
KR200446614Y1 true KR200446614Y1 (ko) 2009-11-12

Family

ID=4129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953U KR200446614Y1 (ko) 2007-11-07 2007-11-07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6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602B1 (ko) * 2010-09-06 2010-12-17 강상수 방수성이 향상된 블렛카메라
KR101297420B1 (ko) * 2012-03-08 2013-08-19 (주)씨트로닉스 카메라 렌즈모듈 초점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985B1 (ko) * 2009-06-04 2011-05-09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포커스 및 줌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KR200452803Y1 (ko) * 2009-08-06 2011-03-25 정성호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초점과 거리를 조절하는 감시카메라
WO2015080395A1 (ko) * 2013-11-29 2015-06-04 (주)일산정밀 감시카메라용 윈도우 어셈블리
CN115002321B (zh) * 2022-05-27 2024-04-2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83Y1 (ko) * 2005-10-20 2006-01-10 주식회사 아비코 거리 및 초점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83Y1 (ko) * 2005-10-20 2006-01-10 주식회사 아비코 거리 및 초점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602B1 (ko) * 2010-09-06 2010-12-17 강상수 방수성이 향상된 블렛카메라
KR101297420B1 (ko) * 2012-03-08 2013-08-19 (주)씨트로닉스 카메라 렌즈모듈 초점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39U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614Y1 (ko) 감시카메라
KR100726346B1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KR100952953B1 (ko)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윈도우
AU2013204513B2 (en) A camera
JP2000350058A (ja) テレビカメラ
US7692719B2 (en) CCTV camera device with vari-focal lens operable from outside
JP2001238101A (ja) テレビカメラ
KR100711570B1 (ko) 파노라마 감시카메라용 렌즈 조정 브래킷
KR20080011962A (ko) 돔형 카메라 장치
JP2016039472A (ja) 撮像装置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102505950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KR20060123840A (ko) 감시 카메라
JP6010249B2 (ja) ヘルメット取付け式デバイスに対する電気的な相互接続を確立するシステム
KR200369533Y1 (ko)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0398252Y1 (ko) Cctv용 카메라
KR101218358B1 (ko) 감시 카메라
TWM504975U (zh) 攝像模組繞線結構及其攝像裝置
KR200376647Y1 (ko) 외장형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KR101422627B1 (ko) 카메라와 광필터 체인저 결합장치
CN203057305U (zh) 用于监控摄像机的球罩和监控摄像机
JP3974133B2 (ja) 監視カメラ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0913392B1 (ko) 카메라 틸팅 장치
KR200402677Y1 (ko) 감시용 카메라
JP3132815U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