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90Y1 - Led감성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감성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90Y1
KR200445690Y1 KR2020080014112U KR20080014112U KR200445690Y1 KR 200445690 Y1 KR200445690 Y1 KR 200445690Y1 KR 2020080014112 U KR2020080014112 U KR 2020080014112U KR 20080014112 U KR20080014112 U KR 20080014112U KR 200445690 Y1 KR200445690 Y1 KR 200445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white led
guide plat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330U (ko
Inventor
전재완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이프리시스템
주식회사 필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프리시스템, 주식회사 필리스 filed Critical (주)이프리시스템
Priority to KR2020080014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9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9Outdoor lighting of gard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 감성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조도의 다양하면서도 은은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은 부피로 제작되어 디자인적 가치를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에 부합되는 다양한 색상의 빛이 언제 어디서든 즉각적으로 연출되도록, 프레임과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몸체와 화이트LED와 웜화이트LED가 구비된 LED모듈, 적외선수신부가 구비된 제어부 및 배면에 반사홈이 형성된 도광판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 내측 길이방향으로는 장홈이 형성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끝 부분을 연결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120)로 구성된 액자 형태의 몸체(100)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장홈으로는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가 횡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 LED모듈(200)과; 프레임(110)의 바닥부 상면에 내재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가공층이 형성된 도광판(300)과; 상기 도광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사각 막대형태로 구성되되, 도광판(300)과 후판(500)사이에 설치되어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받침대(400)와; 상기 받침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후판(500)과; 상기 후판(500)에 설치되되,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부(610)와,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 LED모듈(20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20)로 구성된 제어 부(600)로 구성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제어부에 원하는 신호를 보내줌으로써 화이트LED와 웜화이트LED의 밝기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하면서도 은은한 색상의 조명이 연출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필요 및 감성의 변화에 따라 밝은 화이트 빛에서부터 밝은 노란빛까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를 하거나 휴식 또는 취침을 하는 등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에 맞게 다양한 색상의 빛이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접조명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전구 대신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LED를 사용함으로써 교체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도 현저히 줄어들어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감성조명장치, 도광판, 화이트LED, 웜화이트LED, 밝기조절

Description

LED감성조명장치 { LED sensitive faculty lighting equipment }
본 고안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조도의 다양하면서도 은은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은 부피로 제작되어 디자인적 가치를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에 부합되는 다양한 색상의 빛이 언제 어디서든 즉각적으로 연출되도록, 프레임과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몸체와 화이트LED와 웜화이트LED가 구비된 LED모듈, 적외선수신부가 구비된 제어부 및 배면에 반사홈이 형성된 도광판으로 구성된 LED 감성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명은 많은 의학적 연구를 통해, 지나치게 밝거나 어두운 조명 및 색상이 사람의 감성이나 육체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것과 같이, 사람을 편안하게 할 수 있고, 업무의 효율을 좌우하며, 진열된 상품의 가치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상기 조명의 의학적 영향과 함께,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소비자의 계층이 다양해지면서 빛의 질적인 이용과 외관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어,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기능 이외에 건축 공간을 구성하는 일부분으로서 실시되기도 하고, 인테리어 분위기와 어울리는 액세서리 성격으로 조명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건축 공간과 인테리어 분위기와 어울리는 액세서리 성격의 조명은 배광에 따라 간접 조명기구, 반간접조명기구, 전반확산 조명기구, 반직접조명기구 및 직접 조명기구로 구분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백열등, 형광등, 스탠드, 투광기, 정원등, 도로등 및 무대용 기구 등으로 분류되어 실시되고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사람의 감성에 맞는 다양한 조도와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색상의 형광등 또는 백열등 등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거나 하나의 기구에 혼합하여 일일이 설치하여야 하는바, 이러한 혼합설치는 용도가 정해진 장소에만 국한되어 사용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된 조명을 ONㆍOFF 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를 통해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스위치에 부설된 밝기 조절장치 또한 빛의 밝기만 조절할 뿐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 내측 길이방향으로는 장홈이 형성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끝 부분을 연결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120)로 구성된 액자 형태의 몸체(100)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장홈으로는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가 횡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 LED모듈(200)과; 프레임(110)의 바닥부 상면에 내재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가공층이 형성된 도광판(300)과; 상기 도광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사각 막대형태로 구성되되, 도광판(300)과 후판(500)사이 에 설치되어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받침대(400)와; 상기 받침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후판(500)과; 상기 후판(500)에 설치되되,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부(610)와,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 LED모듈(20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20)로 구성된 제어부(600)로 구성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제어부에 원하는 신호를 보내줌으로써 화이트LED와 웜화이트LED의 밝기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하면서도 은은한 색상의 조명이 연출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필요 및 감성의 변화에 따라 밝은 화이트 빛에서부터 밝은 노란빛까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를 하거나 휴식 또는 취침을 하는 등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에 맞게 다양한 색상의 빛이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접조명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전구 대신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LED를 사용함으로써 교체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도 현저히 줄어들어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LED 감성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조도의 다양하면서도 은은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은 부피로 제작되어 디자인적 가치를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에 부합되는 다양한 색상의 빛이 언제 어디서든 즉각적으로 연출되도록, 프레임과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몸체와 화이트LED와 웜화이트LED가 구비된 LED모듈, 적외선수신부가 구비된 제어부 및 배면에 반사홈이 형성된 도광판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와 LED모듈(200), 도광판(300), 받침대(400), 후판(500) 및 제어장치(600)의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우선, 몸체(100)는 네 개의 프레임(110)이 결합부재(120)를 통해 사각틀 형태로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110)은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프레임(110)의 양측단으로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결합부재(120)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프레임(110)의 내측 꺾임부로는 장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LED모듈(200)이 횡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LED모듈(20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꺾임부 장홈에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LED기판에 화이트LED(210)와 웜화 이트LED(220)가 횡 방향으로 연속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LED모듈(200)의 실시 예는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가 LED기판 상에 1열씩 횡 방향으로 2열 배열되거나,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가 LED기판 상에 교호로 2열 배열된 LED모듈(200)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열된 LED모듈(200)은 후술하는 제어장치(620)에 의해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의 조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바, 화이트LED(210)에서 출력되는 고유한 색상의 빛과 웜화이트LED(220)에서 출력되는 고유한 색상의 빛이 도광판(300) 전체로 퍼짐과 동시에 그 화이트LED(210)의 고유한 색상의 빛과 웜화이트LED(220) 고유한 색상의 빛이 혼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빛이 발현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부 상면에 설치되는 도광판(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가공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도광판(30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바, 빛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플라스틱 성형 렌즈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도광판(300)의 배면에는 형성된 표면가공층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인 레이저마킹이나 샌딩 혹은 V커팅을 함으로써 빛이 고르게 확산될 수 있 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받침대(400)는, 사각 막대형태로 구성되되, 도광판(300)과 후술하는 후판(500)사이에 설치되어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이 받침대(400)에 의해 도광판(300)과 후판(500) 사이에 생성된 공간에는 적외선수신부(610)와 제어장치(62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400)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판(500)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도광판(300)에 공급되는 빛이 후방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빛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후판(500)에 설치되는 제어부(6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600)는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부(610)와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에 따라 LED모듈(20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를 ONㆍOFF시키고, 각각의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각각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상의 리모컨(미도시)이 사용된다.
이러한 리모컨의 구성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사용 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도록 한다.
적외선수신부(610)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장치로써 리모컨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며, 제어장치(620)는 LED모듈(200)에 구비된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에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고, 각각의 LED(210, 220)에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단면이 앵글의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110)을 결합부재(120)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하여 몸체(100)를 완성한 후, 프레임(110)의 내측 홈부에 LED모듈(200)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몸체(100)에 도광판(300)을 설치하되, 도광판(300)의 측면과 LED모듈(200)이 맞접하도록 설치하며, 도광판(300)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받침대(400)를 설치한다.
그 후, 후판(500)의 표면에 적외선수신부(610)와 제어장치(620)를 설치한 다음 상기 받침대(400) 상부에 설치하되, 제어장치(620)는 LED모듈(200)과 결선하고, 별도로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LED모듈(200)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설치 및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조립된 LED 감성조명장치는 실내공간의 천장 혹은 벽면에 도광판이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에 의해 동작신호가 송신되면, 도광판(300)을 통과한 적외 선 신호는 적외선수신부(610)에 의해 수신되고, 적외선수신부(610)에서 수신한 신호가 제어장치(620)를 통해 동작신호로 변환되어 이와 결선된 LED모듈(20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0)의 동작신호에 따라 LED모듈(200)에서 출력된 빛은 도광판(400)의 내부를 따라 전체로 퍼지면서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명을 끄거나 조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에서 각각 출력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조명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프레임
120 : 결합부재 200 : LED모듈
210 : 화이트LED 220 : 웜화이트LED
300 : 도광판 400 : 받침대
500 : 후판 600 : 제어부
610 : 적외선수신부 620 : 제어장치

Claims (2)

  1. 삭제
  2.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 가공층이 형성된 도관판과 도광판 측면에 빛을 조사하여 면발광을 하게 하는 LED 모듈과 도광판과 LED 모듈을 결합시켜 면발광을 하게 하는 LED 감성조명장치에 있어서,
    단면이 'ㄴ' 자인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 내측 길이방향으로는 장홈이 형성되고 양 끝단에 체결공이 형성된 네 개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끝 부분을 연결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되도록 체결공과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재(120)로 구성된 액자 형태의 몸체(100)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장홈으로는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가 횡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를 통한 광원에 의해서 다양한 색상이 연출되도록 구성된 LED모듈(200)과;
    프레임(110)의 바닥부 상면에 내재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가공층이 형성된 도광판(300)과;
    상기 도광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사각 막대형태로 구성되되, 도광판(300)과 후판(500)사이에 설치되어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받침대(400)와;
    상기 받침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후판(500)과;
    상기 후판(500)에 설치되되,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수신부(610)와,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에 따라 LED모듈(200)에 구비된 화이트LED(210)와 웜화이트LED(220)에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고, 각각의 LED(210, 220)에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장치(620)로 구성된 제어부(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ED 감성조명장치.
KR2020080014112U 2008-03-10 2008-10-23 Led감성조명장치 KR200445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12U KR200445690Y1 (ko) 2008-03-10 2008-10-23 Led감성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26 2008-03-10
KR2020080014112U KR200445690Y1 (ko) 2008-03-10 2008-10-23 Led감성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30U KR20080005330U (ko) 2008-11-12
KR200445690Y1 true KR200445690Y1 (ko) 2009-08-26

Family

ID=4132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112U KR200445690Y1 (ko) 2008-03-10 2008-10-23 Led감성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80B1 (ko) * 2013-06-14 2014-11-26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조명용 램프
KR101554426B1 (ko) 2014-05-13 2015-09-21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엘이디 조명등의 프레임 조립체
KR101837129B1 (ko) 2016-08-19 2018-03-13 (주)샤론테크 원격조정형 led 조명장치
KR102255942B1 (ko) * 2020-11-26 2021-05-25 (주)하나시티에스 Led 조명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57B1 (ko) * 2009-03-06 2010-03-12 (주)렌즈 4각 엘이디 조명등 및 그 제조 방법
KR200453419Y1 (ko) * 2009-03-06 2011-05-02 (주) 엠에스피 4각 엘이디 조명등의 사이드 프레임 연결용 코너 브라켓
KR101041189B1 (ko) * 2009-11-26 2011-06-13 이윤희 끼움 결합식 엘이디 조명등
KR101631632B1 (ko) * 2011-04-22 2016-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기구
KR101321866B1 (ko) * 2013-01-28 2013-10-2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조립식 구성의 조명장치 하우징
KR200481461Y1 (ko) * 2014-08-28 2016-10-07 윤병철 조명등용 프레임
KR101664767B1 (ko) 2016-02-26 2016-10-10 루멘전광 주식회사 뇌파리듬 조절 조명기구용 전원공급회로
KR101877621B1 (ko) * 2016-09-02 2018-07-13 미미라이팅주식회사 기상 및 수면 유도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KR101868368B1 (ko) 2017-09-07 2018-06-18 미미라이팅주식회사 뇌파리듬 조절 기능이 구비된 조명기구
WO2020204316A1 (ko) * 2019-03-29 2020-10-08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스마트 led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발광 다이오드 제어 시스템
KR102105341B1 (ko) * 2020-01-14 2020-04-28 (주)제이앤시스 멀티 수신부를 갖는 led 조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238Y1 (ko) * 2002-08-22 2002-11-23 박종성 면광원 집광 조명 스탠드
KR20050029180A (ko) * 2005-02-23 2005-03-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조명 장치
KR20060124372A (ko) * 2005-05-3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238Y1 (ko) * 2002-08-22 2002-11-23 박종성 면광원 집광 조명 스탠드
KR20050029180A (ko) * 2005-02-23 2005-03-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조명 장치
KR20060124372A (ko) * 2005-05-3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80B1 (ko) * 2013-06-14 2014-11-26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조명용 램프
KR101554426B1 (ko) 2014-05-13 2015-09-21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엘이디 조명등의 프레임 조립체
KR101837129B1 (ko) 2016-08-19 2018-03-13 (주)샤론테크 원격조정형 led 조명장치
KR102255942B1 (ko) * 2020-11-26 2021-05-25 (주)하나시티에스 Led 조명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30U (ko)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690Y1 (ko) Led감성조명장치
EP1876385B1 (en) Lamp and bulb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US7632004B2 (en) LED night light with more than 1 optics means
US7988323B2 (en)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KR100723928B1 (ko) 지능형 조명 장치
KR20080000678U (ko) Led감성조명장치
EP2096351A3 (de) Beleuchtungsanordnung zur Unterstützung der menschlichen Sehfunktion sowie des Wohlbefindens
KR100934683B1 (ko) 청색광원 사용에 따른 안정된 실내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천정등
KR20110000985U (ko) 실내 조명등
KR101597778B1 (ko) 다기능 베개장치
KR20120110073A (ko) 천장 조명 시스템
JP2008204855A (ja) 可変色縦型照明器具および可変色縦型照明システム
CN211010837U (zh) Led面板灯
KR101673570B1 (ko)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200279737Y1 (ko) 실내용 조명등
KR20070081212A (ko) 펜던트형 조명 유닛
CN217928410U (zh) 一种灯具
KR200425468Y1 (ko) 컬러 엘이디램프
KR200481985Y1 (ko) 조명등의 스위칭장치
KR101868368B1 (ko) 뇌파리듬 조절 기능이 구비된 조명기구
KR100685368B1 (ko) 노부모방의 건강 조명장치
KR101725091B1 (ko) 등기구
KR200284045Y1 (ko) 장식용 조명장치
KR200413634Y1 (ko) 엘이디 내장용 무선조명등
KR200342017Y1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