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82Y1 - 주방용 선반 - Google Patents

주방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82Y1
KR200443182Y1 KR2020070011021U KR20070011021U KR200443182Y1 KR 200443182 Y1 KR200443182 Y1 KR 200443182Y1 KR 2020070011021 U KR2020070011021 U KR 2020070011021U KR 20070011021 U KR20070011021 U KR 20070011021U KR 200443182 Y1 KR200443182 Y1 KR 200443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elf
frame plate
frame body
chu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210U (ko
Inventor
성호진
오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2020070011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8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주방용 선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주방용 선반은, 틀 형상의 프레임본체와, 프레임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레임판을 구비하는 선반프레임; 및 프레임판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척킹(chucking)하는 프레임판 척킹부와, 프레임몸체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몸체 결합부와, 선반프레임을 소정의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구비하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금속 및 금속 외의 부분을 단순한 구조로써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식적인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다.
선반, 주방, 브라켓, 프레임, 압출

Description

주방용 선반{Shelf for Kitche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방용 선반 중 일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이 프레임판을 척킹 후 선반프레임 및 벽체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과 벽체 고정 브라켓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방용 선반 10 : 선반프레임
11 : 프레임몸체 12 : 프레임판
13 : 지지프레임 17 : 지지브라켓
20 :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
21 : 프레임판 척킹부 24 : 프레임몸체 결합부
27 : 설치부 40 : 벽체 고정 브라켓
41 : 레일몸체 43 : 걸림부
47 : 이탈저지덮개
본 고안은,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소정의 장소에서 쉽게 설치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장식적인 효과가 부각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이라 함은 벽면에 평탄하게 설치되어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게 만든 널빤지를 말하는 것으로, 물건을 진열하고 보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선반은 보통 가정의 거실 및 주방 등의 실내 공간과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과 같은 실외 공간에도 설치되며, 최근에는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선반이 많이 고안되어 장소에 제한 없이 장식용 또는 수납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동안 선반의 소재로 목재 또는 합판 등으로 제작되는 평판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금속 재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선반은 주방에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선반은 싱크대 등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그 선반부에 조리에 사용되는 조리기구라든지, 또는 수저통, 조미료통, 컵 등과 같이 이용이 잦은 물품들을 보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방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근래에 제작되는 선반, 가령 주방용 선반은 단지 전술한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장식적인 기능을 구비하여 주방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도록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주방용 선반에 있어서는, 대부분 금속으로 제작되어 장식적인 측면이 부족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장식적인 효과가 보다 더 부각될 수 있다면 소비자의 소비 욕구를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방용 선반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장식적인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일부분을 금속 외의 재질로 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때 금속과 금속 외의 부분의 결합 시 장식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고 결합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 및 금속 외의 부분을 단순한 구조로써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식적인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는 주방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틀 형상의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레임판을 구비하는 선반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판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척킹(chucking)하는 프레임판 척킹부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몸체 결합부와, 상기 선반프레임을 소정의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구비하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판 척킹부는 상기 프레임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방이 개방된 "∩"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판 척킹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걸고리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은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프레임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판일 수 있다.
일측은 상기 소정의 벽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체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프레임은 사각 틀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벽체 고정 브라켓은,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하방이 개방된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레일몸체; 및 상기 레일몸체의 하단의 각 단부가 상대방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고정 브라켓은, 상기 레일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이 상기 레일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 탈저지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의 상단부 후미 영역에는, 상기 벽체 고정 브라켓의 하단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선반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가 상기 프레임몸체의 상부 모서리에 결합된 후,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몸체는 상기 프레임판 척킹부의 사이 및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의 하단부를 통과한 스크루에 의해 스크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몸체에 결합되어 소정의 물품이 지지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판의 하단 영역이 상기 선반프레임에 지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부는, 상기 소정의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몸체에 결합되어 스크루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프레임몸체에 지지 결합시키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상기 프레임판의 하단 영역이 개재되며, 상기 스크루는 상기 지지브라켓 및 상기 프레임판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몸체,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은 알루미늄(Aluminium)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 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방용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주방용 선반 중 일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이 프레임판을 척킹 후 선반프레임 및 벽체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과 벽체 고정 브라켓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1)은, 싱크대(2)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부장(3)의 하부벽(4)에 설치되어 다수의 물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프레임(10)과,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을 상부장(3)의 하부벽(4)과 같은 벽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벽체 고정 브라켓(40)과, 일측은 선반프레임(10)에 결합되고 타측은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결합되어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을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결합시키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을 포함한다.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구성되어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선반프레임(10)이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결합된다. 즉, 다수의 선반프레임(10) 중 어느 것은 컵과 같은 식기를 지지하는 선반프레임(10)으로서, 또는 어떤 선반프레임(10)은 국자와 같은 조리기구들을 거는 선반프레임(10)으로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선반프레임(10) 중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선반프레임(10)을 대표하여 주방용 선반(1)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선반프레임(10)은, 도 3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Aluminium)과 같은 금속 재질로서 사각 틀 형상으로 제작되는 프레임몸체(11)와, 프레임몸체(11)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레임판(12)과, 프레임몸체(1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소정의 물품들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13)을 프레임몸체(11)에 지지 결합시키는 지지브라켓(17)을 구비한다.
프레임판(12)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 재질로 제작되는 아크릴판이며, 프레임몸체(11)의 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와 거의 유사한 크기로 제작되어 프레임몸체(11)에 지지 결합된다. 이러한 프레임판(12)의 하부 영역은 프레임몸체(11)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7)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 영역은 후술할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 구조를 통해 프레임판(12)은 전면을 향해 견고히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3)에 지지된 소정의 물품이 선반프레임(10)의 뒤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아크릴판으로 제작되는 프레임판(12)이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에 의하여 장식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본 실시 예의 주 방용 선반(1)의 장식적인 효과가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방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미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아크릴판으로 제작되는 프레임판(12)의 상부 영역을 고정하기 위하여 금속 등의 고정 브라켓(미도시)을 프레임몸체(11)에 결합시키게 되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프레임판(12)을 통하여 고정 브라켓이 보이게 되므로 장식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선반프레임(10)을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결합시키면서도 프레임판(12)의 상부 영역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겸하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프레임(13)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몸체(11)의 가로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프레임몸체(11)의 하단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지지판(14)과, 지지판(14)에 지지되는 소정의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소정 높이에서 지지판(14)의 둘레로 마련되는 이탈지지봉(15)을 구비한다.
지지브라켓(17)은, 지지프레임(13)의 지지판(14)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판(14)의 위치를 견고히 유지시키는 부분으로서, 프레임몸체(11)의 배면에서 프레임몸체(11)의 양 모서리(11b)를 연결하는 길이부재로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7)은, 지지판(14)의 일측부와 스크루(18a)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판(14)이 프레임몸체(11)에 대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브라켓(17)은, 프레임몸체(11)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레임판(12)의 하단 영역을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판(12)은 그 하단 영역이 지지판(14)의 일측부와 지지브라켓(17)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몸체(11)에 배치된 후, 스크루(18a)에 의해 지지브라켓(17)과 지지판(14)의 일측부 사이에서 스크루 결합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판(12)의 하단 영역에는 스크루(18a)가 관통되는 스크루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탈지지봉(15)은, 지지판(14)에 놓인 소정의 물품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부분으로서, 프레임판(12)에 스크루(18b)에 의해 스크루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프레임판(12)의 결합 구조에 의해, 필요 시 프레임판(12)은 프레임몸체(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즉, 프레임판(12)의 상부를 척킹하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을 프레임판(12)으로부터 분리한 후 프레임판(12)의 하부를 고정하는 스크루(18a)의 결합을 해제하면 프레임판(12)은 프레임몸체(11)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판(12)이 파손되거나, 다른 색의 아크릴판으로 마련된 프레임판(12)으로 교체하길 원하는 경우 용이하게 프레임판(12)의 조립 및 분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판(12)을 척킹하는 프레임판 척킹부(21, 도 6 참조)와, 프레임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몸체 결합부(24)와, 프레임몸체 결합부(24)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대한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돌기(28)와, 하부벽(4) 등에 고정된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부(27)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은 알루미늄(Aluminium) 재질로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다.
프레임판 척킹부(21)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일정한 단면 형상 즉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프레임판(12)을 척킹(chucking)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단, 본 실시 예에서는, 압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판 척킹부(21)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나, 제작이 용이하다면 프레임판 척킹부(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되어 부분적으로 프레임판(12)을 척킹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프레임몸체 결합부(24)는, 프레임판 척킹부(21)의 상부에서 프레임판 척킹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되 일정한 단면 형상 즉 "⊂" 형상으로 프레임몸체(11)의 상부 모서리(1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프레임몸체 결합부(24)는, 프레임몸체 결합부(24)와 프레임몸체(11)의 결합 시 프레임몸체 결합부(24)로부터 프레임몸체(11)가 분리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관통공(25, 도 6 참조)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몸체 결합부(24)의 하단부에 다수 개의 관통공(25)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공(25)을 통과한 스크루(26, 도 6 참조)가 프레임몸체 결합부(24)와 프레임몸체(11)를 스크루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몸체(11)는 프레임몸체 결합부(24)에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회동저지돌기(28)는, 프레임몸체 결합부(24)의 상단부 후미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벽체 고정 브라켓(40)의 하단면에 접촉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선반프레임(10)이 결합된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은 전방을 향해서는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지만 후방으로는 회동이 저지되어 선반프레임(10)에 다수의 물품이 지지되더라도 선반프레임(1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설치부(27)는, 프레임몸체 결합부(24)의 상부에서 프레임몸체 결합부(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되 걸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후술할 벽체 고정 브라켓(40)의 걸림부(43)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선반 프레임이 소정의 벽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은 프레임판(12)의 일측을 척킹한 후 프레임몸체(11)의 상부 모서리(11a)에 결합되고 또한 소정의 벽체(4)에 결합된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선반프레임(10)이 소정의 벽체(4)에 대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판(12)이 프레임몸체(11)에 견고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판(12)의 일측을 견고히 척킹함으로써 금속 부분과 금속 이외의 부분이 미적인 조화를 이루게 되어 장식 효과가 부각될 수 있다.
한편, 벽체 고정 브라켓(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어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을 소정의 벽체(4)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벽체 고정 브라켓(40)은 소정의 벽체 가령 상부장(3)의 하부벽(4) 등에 스크루(미크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벽체 고정 브라켓(40)은,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레일 형상으로 길게 마련되는 레일몸체(41)와, 레일몸체(41)의 양 하단의 각 단부가 상대방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설치부(27)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43)와, 레일몸체(41)의 양단부를 덮는 이탈저지덮개(47)를 구비한다.
먼저, 레일몸체(41)는, 도 6 및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의 설치부(27)를 향한 방향 즉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레일몸체(41)의 양 하단에는 상대방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전술한 설치부(27)가 걸리는 걸림부(43)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43)는 걸고리 형상을 갖는 설치부(27)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이 벽체 고정 브라켓(4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레일몸체(41)에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이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그 양단부에 이탈저지덮개(4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레일몸체(41)에는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이 일정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따라 벽체 고정 브라켓(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많은 수의 선반프레임(10)이 결합될 수 있는 소정의 벽체에는 그 공간에 적당한 벽체 고정 브라켓(40)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며, 반면에 하나의 선반프레임(10)이 결합될 수 있는 협소한 벽체에는 벽체 고정 브라켓(40)을 공간에 맞게 절단하여 소정의 벽체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레일몸체(41)의 내측, 즉 걸림부(43)에 인접한 부분에 다수의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는 레일몸체(41)에 결합된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이 레일몸체(4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선반프레임(10)에 지지되는 다수의 물품들이 더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방용 선반(1)의 설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방용 선반(1)이 설치되는 소정의 벽체, 예를 들면 싱크대(2)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상부장(3)의 하부벽(4)에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을 하부벽(4)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 고정 브라켓(40)을 설치한다. 이때 벽체 고정 브라켓(40)의 길이는 설치될 선반프레임(10)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설치되어야 하며, 벽체 고정 브라켓(40)과 상부장(3)의 하부벽(4)과는 스크루(Screw)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결합될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과 선반프레임(10)을 결합시키는데, 그 전에 선반프레임(10)의 결합 과정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기본 틀이 되는 프레임몸체(11)에 지지브라켓(17)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 후, 지지브라켓(17)과 지지판(14)의 일측부 사이에 프레임판(12)의 하단 영역이 위치하도록 지지브라켓(17)과 지지판(14)을 결합시킨다. 또한, 이탈지지봉(15)을 프레임판(14)의 하단 영역에 스크루 결합시킨다. 이때 지지브라켓(17), 프레임판(12)의 하단 영역 및 지지프레임(13)의 지지판(14)의 양단부 에는 스크루(18a)가 체결 가능하도록 소정의 관통공(미도시)들이 관통 형성되어 지지브라켓(17), 프레임판(12) 및 이탈지지봉(14)은 스크루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의 프레임판 척킹부(21)로 프레임판(12)의 상부 모서리를 척킹(chucking)한 후 프레임몸체(11)의 상부 모서리에 프레임몸체 결합부(24)를 결합시킴으로써 선반프레임(10)에 대한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의 체결을 수행한다.
이어서, 소정의 벽체(4)에 결합된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선반프레임(10)이 결합된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을 결합시킨다. 이때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의 상부에 길게 마련된 설치부(27)를 벽체 고정 브라켓(40)의 레일몸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시켜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대한 선반프레임(10)의 위치를 결정한 후, 레일몸체(41)에 마련된 걸림부(43)에 걸고리 형상을 갖는 설치부(27)를 걸리게 함으로써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대한 선반프레임(10)의 결합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전술한 과정, 즉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선반프레임(10)을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소정 개수의 선반프레임(10)을 결합한다. 그리고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대한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의 설치 과정이 완료되면 레일몸체(41)의 양단부에 선반프레임(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저지덮개(47)를 결합함으로써 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1)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선반프레임(10)의 프레임판(12) 을 척킹한 후 프레임몸체(11)에 결합되고 이어서 벽체에 고정된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20)을 구비함으로써 소정의 공간에 주방용 선반(1)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판(12)이 아크릴판으로 마련됨으로써 장식적인 효과가 종래에 비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벽체 고정 브라켓(40)에 다수의 선반프레임(10)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정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벽체 고정 브라켓이 레일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내측으로 걸고리 형상의 설치부가 걸림 된다고 상술하였으나, 벽체 고정 브라켓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이 외측에서 걸리거나 다른 방법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 및 금속 외의 부분을 단순한 구조로써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식적인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틀 형상의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레임판을 구비하는 선반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판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척킹(chucking)하는 프레임판 척킹부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몸체 결합부와, 상기 선반프레임을 소정의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구비하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판 척킹부는 상기 프레임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판 척킹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걸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은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프레임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소정의 벽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체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벽체 고정 브라켓은,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하방이 개방된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레일몸체; 및
    상기 레일몸체의 하단의 각 단부가 상대방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고정 브라켓은,
    상기 레일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이 상기 레일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의 상단부 후미 영역에는, 상기 벽체 고정 브라켓의 하단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선반프레임이 결합된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가 상기 프레임몸체의 상부 모서리에 결합된 후,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몸체는 상기 프레임판 척킹부의 사이 및 상기 프레임몸체 결합부의 하단부를 통과한 스크루에 의해 스크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몸체에 결합되어 소정의 물품이 지지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판의 하단 영역이 상기 선반프레임에 지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소정의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몸체에 결합되어 스크루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프레임몸체에 지지 결합시키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상기 프레임판의 하단 영역이 개재되며, 상기 스크루는 상기 지지브라켓 및 상기 프레임판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 상기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은 알루미늄(Aluminium)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KR2020070011021U 2007-07-04 2007-07-04 주방용 선반 KR200443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021U KR200443182Y1 (ko) 2007-07-04 2007-07-04 주방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021U KR200443182Y1 (ko) 2007-07-04 2007-07-04 주방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10U KR20090000210U (ko) 2009-01-08
KR200443182Y1 true KR200443182Y1 (ko) 2009-01-20

Family

ID=4127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021U KR200443182Y1 (ko) 2007-07-04 2007-07-04 주방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01B1 (ko) * 2009-01-30 2012-01-02 주식회사 리노 주방용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01B1 (ko) * 2009-01-30 2012-01-02 주식회사 리노 주방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10U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949B2 (en) Kitchen appliance having floating glass panel
US6631812B2 (en) Stemware suspenders
KR101445760B1 (ko) 욕실용 선반
KR20130132357A (ko) 씽크대용 주방선반
US20050246989A1 (en) Backsplash assembly and method
JPWO2005095746A1 (ja) パネ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キッチン台
KR200443182Y1 (ko) 주방용 선반
KR101629629B1 (ko) 주방용 선반
EP2120642A2 (en) Wall cabinet for modular kitchens
KR200454406Y1 (ko) 씽크대용 뒷선반 구조
KR20070004356A (ko) 냉장고의 박스 구조
CN209391433U (zh) 一种装饰柜
KR200475790Y1 (ko) 우드프레임이 구비된 강화유리 선반
KR200411307Y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90002556U (ko) 주방 액세서리 설치용 압연 프레임 조립구조
JP5691888B2 (ja) タオル掛け具
KR20210113844A (ko) 다용도 선반
KR20110005809U (ko) 주방용 선반의 고정구
KR200374472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101307416B1 (ko) 미니선반
KR200406555Y1 (ko) 주방가구용 도어
JP4301090B2 (ja) キャビネット用ハンギング構造
KR200287178Y1 (ko) 행거 벽면취부구
KR200423421Y1 (ko) 원형의 철판 플레이트를 이용한 와인렉
KR200366528Y1 (ko) 가구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