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48Y1 -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48Y1
KR200440348Y1 KR2020060031380U KR20060031380U KR200440348Y1 KR 200440348 Y1 KR200440348 Y1 KR 200440348Y1 KR 2020060031380 U KR2020060031380 U KR 2020060031380U KR 20060031380 U KR20060031380 U KR 20060031380U KR 200440348 Y1 KR200440348 Y1 KR 200440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ase
air
glass window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흥식
Original Assignee
차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흥식 filed Critical 차흥식
Priority to KR2020060031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10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 F24H3/1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를 구비한 송풍부재와, 상기 송풍부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히터부재와, 상기 히터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편이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 하측에 장착된 확산부 및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의 가열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부재와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터부재, 송풍부재, 컨트롤부재, 유리창, 확산부

Description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Dehumidifier for a glass window}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확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히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히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히터가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히터와 반사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습기제거장치가 유리창의 측면에 돌출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습기제거장치가 유리창의 측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가 다수개 구비되어 중앙제어반에 의해 제어됨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가 다수개 구비되어 중앙제어반에 의해 제어됨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습기제거장치 2 : 케이스
3 : 흡입구 5 : 토출구
7 : 흡입그릴 10 : 제1히터
12 : 히터브라켓 15 : 히터관
17 : 방열판 19 : 절연체
20,80 : 제2히터 22 : 고정브라켓
23 : 입력단자 24 : 지지바
26 : 발열관 28 : 열교환판
30 : 송풍부재 32 : 송풍모터
34 : 송풍팬 36 : 모터브라켓
40 : 에어가이드 50 : 베이스부재
52 : 안내판 54 : 내측면
60 : 컨트롤부재 62 : 루버
64 : 고정판넬 70 : 반사판
82 : 히팅관 84 : 원형판
90 : 제1센서 92 : 제2센서
94 : 이슬점습도센서 96 : 리모컨수신부
98 : 리모트컨트롤 100 : 중앙제어반
102 : 제어부재 104 : 조작부
110 : 확산부 112 : 상부패널
114 : 하부패널 116 : 측면패널
118 : 직선가이드편 119 : 곡선가이드편
120 : 방음패드 130 : 유리창
140 : 제1벽체 150 : 제2벽체
160 : 타이머
본 고안은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상복합 건물을 포함하여 대형 유리창을 구비한 건물에서 유리창의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됨을 방지하기 위한 온풍을 토출하여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이슬점 이상으로 온도를 높여서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과 같이 바깥 기온과 내부 기온의 온도차가 심할 경우, 유리창에는 실내의 습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리창에 결로 현상이 심화되면 물방울이 하측으로 흘러내려 바닥면에 물이 고이게 되며, 벽체 및 바닥면 등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근래에 환기창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대형 유리창을 쓰는 건물이 늘어나면서, 상기와 같은 결로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내외측 온도차에 의하여 유리창에 물방울이 형성되어 물이 고임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를 구비한 송풍부재와, 상기 송풍부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히터부재와, 상기 히터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편이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 하측에 장착된 확산부 및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의 가열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부재와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컨트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설치되는 제1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히터는 전기 공급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관과, 상기 히터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히터와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베이스부재의 내측면에 반사판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히터는 두개의 히터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높이에서 겹치지 않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가 구비된 중앙제어반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건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와 습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는 상기 컨트롤부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이슬점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슬점습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이슬점습도센서는 상기 컨트롤부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편은 직선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편과, 곡선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안내하기 위한 곡선가이드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머는 상기 컨트롤부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재의 측면에는 방음패드가 장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리창의 측면에 장착되어 습기를 제거하게 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확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히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히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히터가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히터와 반사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습기제거장치가 유리창의 측면에 돌출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습기제거장치가 유리창의 측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가 다수개 구비되어 중앙제어반에 의해 제어됨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가 다수개 구비되어 중앙제어반에 의해 제어됨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1)는 흡입구(3)와 토출구(5)가 구비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3)의 전방에는 흡입그릴(7)이 장착되어 공기흡입을 위한 기능과 함께 케이스(2) 내측이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2)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5)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34)과, 상기 송풍팬(34)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32)를 구비한 송풍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32)는 모터브라켓(36)에 의하여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 후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50) 사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32) 양측에 장착되는 송풍팬(34)은 베어링이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0) 양단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송풍부재(3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50) 또는 케이스(2)에는 방음패드(120)가 설정된 부분으로 나뉘어져 설치된다.
상기 방음패드(120)는 소음 저감을 위하여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재(30)에서 발생된 소음은 상기 돌출부에 부딪혀서 흡수 및 반사되어 소음이 저감된다.
상기 방음패드(120)는 히터부재에 의한 영향을 덜 받도록 열에 강한 내열성 및 내연성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부재(30)에 의하여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대상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재는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흡입구(3)와 상기 송풍팬(34) 사이에 설치되는 제1히터(10)와, 상기 토출구(5)와 상기 송풍팬(34)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히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터부재는 제1히터(10) 만으로 구성되거나 제2히터(20) 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상기 제1히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공급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관(15)과, 상기 히터관(15)의 외주면에 장착된 방열판(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터관(15)은 직사각형 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방열판(17)은 상기 히터관(15)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의 격판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히터관(15)과 방열판(17)의 조립체는 사각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네 모서리가 히터브라켓(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히터관(15)과 방열판(17)으로 이루어진 조립 단위는 절연체(19)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히터관(15)의 일단에는 전원단자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을 받는 통로가 된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나가는 입구에 설치된 제2히터(20)는 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되는 발열관(26)과, 상기 발열관(26)의 주변에 장착된 판넬 형상의 열교환판(28)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관(26)의 양단에는 지지바(24)가 구비되어 상기 발열관(26)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바(24)는 고정브라켓(22)에 의하여 상호간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22)에는 상기 발열관(26)과 연결된 입력단자(23)가 구비되어 상기 발열관(26)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통로가 된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히터(20)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2)의 내측면과 베이스부재(50)의 내측면(54)에 반사판(70)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70)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2히터(20)에 의하여 발생되어 측면으로 흘러가는 열을 다시 재반사시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의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2히터(20)는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일 실시예에서는 피티씨(PTC)히터가 사용된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발열체인 히팅관(82)과, 상기 히팅관(82)에 다수개의 원형판(84)이 장착되어 열교환을 하게 되는 파이프히터가 제2히터(80)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80)는 두개의 히터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높이에서 겹치지 않게 설치됨으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면서 최대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히터(20,80)와 마주하는 케이스(2)의 내측면 및 베이스부재(50)의 내측면(54)에는 반사판(70)이 설치되어 상기 제2히터(20,80)에서 측면으로 발산된 열을 다시 공기의 이동방향으로 반사시켜 가열능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34)의 측면에는 절곡 형성된 에어가이드(40)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입구(3)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5)를 통해 나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2)의 후측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50)에는 상기 송풍팬(34)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 흐름이 송풍모터(32)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송풍모터(32)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재(50)에는 안내판(52)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와 상기 송풍부재(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2) 내측에 컨트롤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재(60)의 좌우측에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62)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50) 후측에는 고정판넬(64)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일측에는 건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90)와 습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센서(9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90)와 제2센서(92)는 상기 컨트롤부재(60)에 연결된다.
상기 이슬점은 공기의 온도에 관계없이 공기 중의 수증기량에 의해 결정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이 많을 때는 이슬점이 높고, 적을 때는 이슬점이 낮게 된다.
상기 제1센서(90)와 제2센서(92)를 이용하여 건구온도, 습구 온도를 측정 후 저장된 값을 바탕으로 이슬점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90)와 제2센서(92)를 이용하여 유리창(130) 부근의 습기를 체크하여, 유리창(130)에 결로가 되지 않도록 가열된 온풍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센서(90)와 제2센서(92)는 이슬점온도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슬점습도센서(94)로 대체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슬점습도센서(94)도 상기 케이스(2)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슬점온도를 측정하게 되며, 상기 이슬점습도센서(94)는 상기 컨트롤부재(60)에 연결된다.
상기 이슬점습도센서(94)는 이슬점습도계를 지칭하며, 이슬점을 측정함으로써 공기 속의 습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이슬점습도센서(94)는 공기 속의 수증기를 응축시켜서 이슬로 만드는 냉각장치와 그 응축이 일어나는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의 외측으로 리모컨수신부(96)가 구비되며, 상기 리모컨수신부(96)는 상기 컨트롤부재(60)에 연결됨으로 상기 히터부재와 송풍부재(30)는 리모트컨트롤(98)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1)는 복수로 구비되며, 이와 같은 습기제거장치(1)는 중앙제어반(10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제어반(100)에는 상기 컨트롤부재(60)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부재(6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10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반(100) 외측에는 조작부(104)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기기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편이 구비된 확산부(110)가 상기 토출구(5)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확산부(110)는 상기 토출구(5)를 향하여 외측으로 나오는 공기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130)의 넓은 면적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확산부(110)는 상부패널(112)과 하부패널(114) 및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패널(116)에 의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구(5)와 연통된 통공이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확산부(110)의 내측에는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편이 구비되 며, 상기 가이드편은 직선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직선 판재 형상을 갖는 직선가이드편(118)과, 곡선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판재 형상을 갖는 곡선가이드편(1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확산부(110)의 중앙에는 직선가이드편(118)이 설치되고, 상기 확산부(110)의 좌우측에는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휨을 갖는 곡선가이드편(119)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편이 장착됨으로 인하여, 토출되는 바람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유리창(130)의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퍼질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116)도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휘어 나가는 형상으로 곡선을 구비하여 토출구(5)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가 더욱 균일하고 원활하게 넓은 면적에 퍼지도록 한다.
상기 상부패널(112)은 도 5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130)이 설치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 상기 토출구(5)에서 나오는 바람을 유리창(130)으로 안내하여 제습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재(30)와 히터부재를 구비한 습기제거장치(1)의 케이스(2)는 유리창(130)의 상측에 노출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습기제거장치(1)가 노출형으로 설치됨은 유리창(130) 상측에 구비된 제1벽체(140)가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을 때 사용되는 방법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벽체(140)에는 강도가 충분치 않을 때는 제1벽체(140) 상측에 있는 제 2벽체(150)에 습기제거장치(1)를 설치하게 된다.
도 10과 같이 습기제거장치(1)가 매립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유리창(1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 및 유리창(130)의 측면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 등 다양한 설치방식으로 상기 습기제거장치(1)를 유리창(130) 주위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인 경우, 토출구(5)만 제1벽체(140)의 하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설치되는 공간도 유리창(130) 주변을 포함하여 주차장이나 지하공간 및 실내공간의 복도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의 일측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풍부재(3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160)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머(160)는 상기 컨트롤부재(6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에는 과열방지센서가 장착되어 일정 온도 이상 과열되면 작동을 히팅동작이 중지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는 자체 발열이 이루어질 뿐 인접한 다른 부재에 불이 붙지 않는 피티씨(PTC)히터, 관로 내측에 열선이 삽입된 파이프히터, 발열이 되는 선이 권선된 열선히터 등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재 및 송풍부재(30)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모트컨트롤(98)이 구비되나, 사기 리모트컨트롤(98)이 작동되지 않을 때를 대비하여 수동으로 기기를 작동할 수 있는 수동작동부가 상기 컨트롤부재(60)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습기제거장치(1)는 사각 형상을 갖게 되나, 전면의 하측이 라운드된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외형의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1)는 대상공간에 1개만 설치될 수 있거나 2개 이상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1)가 다수개 설치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반(100)의 제어부재(102)에서 각각의 컨트롤부재(6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재(102)는 조작부(104)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104)에 기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이는 제어부재(102)를 통하여 각각의 컨트롤부재(60)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히터부재와 송풍부재(30)가 작동되어 유리창(130)의 내측표면 및 대상공간으로 온풍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재(60)에 타이머(160)가 연결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히터부재가 작동되어 온풍을 공급하다가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하여 과열을 방지하며,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
그리고, 리모트컨트롤(98)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1)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서(90)와 제2센서(92) 또는 도 12에 도시된 이슬점습도센서(94)를 이용하여 운전중에 이슬점을 센싱하게 되며, 이를 통해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1)가 장착된 곳의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일 경우 열풍이 강하게 나오는 모드로 작동이 이루어지며,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상일 경우 열풍이 약하게 나오는 모드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부재는 제1히터(10) 또는 제2히터(20)만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1)에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으며, 제1히터(10)와 제2히터(20)가 다 설치되어 있어도 선택적으로 한쪽만 작동이 이루어지거나 제1히터(10)와 제2히터(20)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작동상태를 갖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확산부(110)에 의하여 토출구(5)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가 직선가이드편(118)과 곡선가이드편(119) 및 측면패널(116)에 의하여 안내됨으로 유리창(130)의 전면에 균일하게 확산되는 것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12)의 경사진 형상에 의하여 확산부(110)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가 유리창(130)에 더욱 집중됨으로 제습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상태에 의하여 유리창(130)의 표면으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함으로 유리창(130)의 내측표면에 결로가 발생되어 물이 고임을 방지하게 되며, 결로가 생기더라도 열풍에 의하여 물이 증발되어 곰팡이 발생 및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대형 건물 등의 유리창 내측면에 열풍을 제공하여 결로 발생을 억지하거나, 결로가 발생되어도 이를 증발시켜 물의 고임을 방지하여 곰팡이 발생 방지 및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를 구비한 송풍부재;
    상기 송풍부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히터부재;
    상기 히터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편이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 하측에 장착된 확산부;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의 가열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부재와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 및
    상기 컨트롤부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가 구비된 중앙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편은 직선 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편과, 곡선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안내하기 위한 곡선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터는 상기 송풍팬이 양측에 장착된 상태로 모터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후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 흐름이 상기 송풍모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송풍모터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안내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설치되는 제1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는 전기 공급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관과, 상기 히터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와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베이스부재의 내측면에 반사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는 두개의 히터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높이에서 겹치지 않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건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와 습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는 상기 컨트롤부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이슬점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슬점습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이슬점습도센서는 상기 컨트롤부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머는 상기 컨트롤부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재의 측면에는 방음패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KR2020060031380U 2006-12-11 2006-12-11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KR200440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80U KR200440348Y1 (ko) 2006-12-11 2006-12-11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80U KR200440348Y1 (ko) 2006-12-11 2006-12-11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48Y1 true KR200440348Y1 (ko) 2008-06-09

Family

ID=4163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380U KR200440348Y1 (ko) 2006-12-11 2006-12-11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9077A2 (en) * 2009-12-24 2012-10-31 LG Hausys, Ltd. Anti-fog heat-generating glas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8122486A (zh) * 2017-12-31 2018-06-05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透明显示器的防结露方法
WO2020005081A1 (en) * 2018-06-25 2020-01-02 Basetronic Wojciech Przybyła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vapor condensation on the indoor surface of composite roof window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9077A2 (en) * 2009-12-24 2012-10-31 LG Hausys, Ltd. Anti-fog heat-generating glas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519077A4 (en) * 2009-12-24 2014-04-30 Lg Hausys Ltd FOG HEAT GENERATOR GLAS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8122486A (zh) * 2017-12-31 2018-06-05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透明显示器的防结露方法
WO2020005081A1 (en) * 2018-06-25 2020-01-02 Basetronic Wojciech Przybyła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vapor condensation on the indoor surface of composite roof window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348Y1 (ko) 건물 유리창용 습기제거장치
WO2007042894A1 (en) Ventilation device combinable to a natural convection radiator in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JP2006300363A (ja) 浴室換気乾燥機
KR200433373Y1 (ko) 히터를 구비한 습기제거장치
US20070213001A1 (en) Window defroster system
JP6156426B2 (ja) 加湿空調システム
JP4769623B2 (ja) 風吹き出し装置を備えた建物
JP4720333B2 (ja) 空調装置
KR2020011106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JP4572716B2 (ja) 浴室空調装置
KR100898120B1 (ko) 천장용 에어컨의 드레인호스 설치 구조
JP5304367B2 (ja) 送風装置
JP3674462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200347476Y1 (ko) 동파방지용 실내 온풍장치
JP2005076988A (ja) 輻射暖房装置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2007057211A (ja) 空調装置
JP2005164114A (ja) 浴室用空調装置
JP2013061106A (ja) 浴室暖房乾燥機
JP4947199B2 (ja) 浴室空調装置
JP2006026243A (ja) 浴室空調装置
CN113251697B (zh) 吊挂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JP2002267223A (ja) 台所用循環送風装置及び台所用換気システム
JP2006022989A (ja) 乾燥暖房機
KR1003479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JP4610809B2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