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284Y1 -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 Google Patents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284Y1
KR200439284Y1 KR2020077000016U KR20077000016U KR200439284Y1 KR 200439284 Y1 KR200439284 Y1 KR 200439284Y1 KR 2020077000016 U KR2020077000016 U KR 2020077000016U KR 20077000016 U KR20077000016 U KR 20077000016U KR 200439284 Y1 KR200439284 Y1 KR 200439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female
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70000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0989U (en
Inventor
커크 비. 페로자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20077000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284Y1/en
Publication of KR20070000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8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2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메자닌형 커넥터는 수형 및 암형 결합 부품으로 구비된다. 암형 부품의 단자는 분기된 접촉 아암을 갖고 수형 부품의 단자는 돌출 정합 블레이드를 갖는다. 커넥터 아암은 암형 단자의 본체부에서부터 외팔보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임의의 편향은 외팔보식이며, 비틀림 편향이 없다.

Figure R2020077000016

외팔보식, 슬롯, 블레이드, 수형 단자, 암형 단자

Mezzanine connectors are provided with male and female coupling parts. The terminal of the female part has a branched contact arm and the terminal of the male part has a protruding mating blade. The connector arm is cantilevered from the main body of the female terminal so that any deflection that occurs occurs cantilevered and there is no torsional deflection.

Figure R2020077000016

Cantilevered, Slotted, Blade, Male Terminals, Female Terminals

Description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Connector with improved double beam contacts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본 고안은 저 삽입력 수형 및 암형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고 수형 및 암형 단자를 일체화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한 쌍의 외팔보식 접촉 아암을 갖는 분기된 암형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팔보식 접촉 아암은 대향 블레이드 단자의 접촉부가 암형 단자에 정합될 때 암형 단자 접촉 아암이 비틀림 편향을 발생시키지 않는 분기된 암형 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insertion force male and female terminal structure and to an electrical connector integrating male and female terminal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nched female terminal having a pair of cantilevered contact arms, wherein the cantilevered contact arm is capable of deflecting a torsional deflection of the female terminal contact arm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opposite blade terminal is mated to the female terminal. A branched female terminal that does not generate.

다양한 단일 및 이중 스프링 아암 암형 접촉 전기 단자가 핀, 블레이드(blades), 에지 카드 접촉 패드와 같은 수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장치에서, 수형 단자는 암형 단자에 의한 삽입 저항에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암형 단자에 삽입되어야 한다. 접촉 구조물의 삽입력은 수형 단자를 암형 단자에 통과시킬 수 있도록 암형 접촉부를 벌리거나 들어올리는데 요구되는 힘을 나타내는 양력(lifting) 성분을 포함하고, 삽입중 암형 접촉부가 수형 단자를 마찰하여 제공되는 횡방향 마찰 성분을 포함한다.Various single and double spring arm female contact electrical terminals have been provided for electrical contact with male terminals such as pins, blades, and edge card contact pads. Typically, in such a device, the male terminal should be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with a force sufficient to overcome the insertion resistance by the female terminal. The insertion force of the contact structure includes a lifting component that represents the force required to open or lift the female contact to allow the male terminal to pass through the female terminal, and the female contact is provided by friction against the male terminal during insertion. Directional frictional components.

다수의 암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암형 단자는 대응되는 다수의 수형 단자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에 정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에 장착되는 다중 회로 장치에서, 각 쌍의 접촉부와 연관된 각각의 삽입력이 결합되어 암형 및 수형 커 넥터를 정합시키는데 필요한 전체 삽입력이 극도로 커진다.In a multi-circui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the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being mounted to a connector configured to mate with a male connector comprising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male terminals, each insertion force associated with each pair of contacts being coupled The total insertion force required to mate female and male connectors is extremely large.

1988년 4월 26일에 특허된 미국 특허 제4,740,180호는 수형 블레이드 단자가 비틀림 트위스트를 포함하고 암형 단자가 두 개의 상이한 접촉 지점에서 블레이드 단자와 결합하는 두 개의 접촉 아암을 갖는 저 삽입력 단자 조립체를 개시한다. 수형 접촉 블레이드의 비틀림 트위스트가 복합체 성형 방법을 요구하며, 단자와 조립체의 가격을 증가시킨다. 또한, 암형 단자에 스탬핑 가공되는 슬롯은 접촉 아암의 성형 지점으로 연장하여, 고도의 국지 응력 집중 구역을 생성하고, 이는 커넥터의 반복되는 정합 사이클 하에 접촉 아암을 약화시킬 수 있다.U.S. Patent No. 4,740,180, issued April 26, 1988, describes a low insertion force terminal assembly having two contact arms wherein the male blade terminals include a torsional twist and the female terminals engage the blade terminals at two different contact points. It starts. Torsional twists of the male contact blades require a composite molding method and increase the cost of the terminals and assemblies. In addition, slots stamped into the female terminals extend to the forming point of the contact arm, creating a highly localized stress concentration zone, which can weaken the contact arm under repeated mating cycles of the connector.

따라서, 본 고안은 메자닌 커넥터와 같은 고밀도 용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단점을 극복한 신뢰할만한 저가의 저 삽입력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reliable, low cost, low insertion force terminal assembly that can be used for high density applications such as mezzanine connectors and overcomes the aforementioned disadvantages.

따라서, 본 고안의 일반적인 목적은 신규하고 개선된 저 삽입력 정합 전기 접촉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u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and improved low insertion force mating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형태의 긴 수형 단자와, 단자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중간 슬롯에 의해 이격되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분기된 접촉부를 가진 긴 암형 단자를 포함하는 신뢰할만한 정합 전기 접촉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두 개의 접촉 아암은 단자 본체부의 종방향의 중심선 대향 측상의 경로를 따라 각각 연장하는 아치 형상을 각각 갖는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iable mating comprising a long male terminal in the form of a blade and a long female terminal with a branched contact comprising a pair of contact arms extending forwardly and spaced by an intermediate slot in the terminal body portion. In providing an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the two contact arms each have an arc shape each extending along a path on a longitudinal centerline opposite side of the terminal body por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기된 암형 단자와 정합하는 블레이드 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레이드 단자는 대향 측면에 한 쌍의 리세스를 구비하고 종 방향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대향 측면은 상기 접촉부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접촉 에지는 대향 암형 단자의 분기된 접촉 아암 중 하나에 접촉한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ade terminal that mates with a branched female terminal, wherein the blade terminal has a pair of recesses on opposite sides and has a longitudinal contact portion, the opposite side having the contact portion. It forms a pair of contact surface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edge, each contact edge contacting one of the branched contact arms of the opposite female termina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긴 아암의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접촉부를 구비한 암형 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아암은 아치형 구조를 갖고, 한 쌍의 아암은 중간 슬롯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슬롯은 자유단으로 단자의 본체부로 소정의 제1 거리를 연장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단자의 자유단에서부터 소정의 제2 거리에서 아치형 구조로 성형되어, 접촉 아암의 임의의 만곡이 슬롯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그로 인해 접촉 아암의 편향 중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킨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male terminal having a pair of contacts in the form of a long arm, each arm having an arcuate structure, the pair of arms being separated by an intermediate slot, Extends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to the body portion of the terminal at its free end, and the contact arm is shaped into an arcuate structure at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from the free end of the terminal so that any curvature of the contact arm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lot. Thereby reducing the stresses generated during deflection of the contact arm.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확대된 자유단에서 각각의 종결하는 분기된 접촉 아암을 구비한 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접촉 아암의 자유단을 접촉면에서 접촉 아암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압인 가공하여 형성된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with each terminating branched contact arm at an enlarged free end that forms a contact surface, the contact surface having the free end of the contact arm at the contact surface. It is formed by stamping to reduce the thickness.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은 수형 및 암형 도전성 단자를 이용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저 삽입력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형 단자는 블레이드 형태이고 상기 암형 단자는 분기된 접촉 아암 형태이며, 상기 암형 접촉 아암은 수형 및 암형 단자 사이에서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비틀림에 의존하지 않고 블레이드 단자와 확실하게 접촉하는 수단을 제공한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and improved low insertion force terminal structure utilizing male and female conductive terminals, wherein the ma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blade and the fema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branched contact arm. To ensure contact between the male and female terminals, a means of reliably contacting the blade terminals without relying on torsion is provid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자닌형 커넥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체는 두 개의 단부 사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연 기부를 갖고, 상기 기부는 대향 단부와 정합하는 두 개의 대향 측면을 갖고, 상기 기부는 기부의 축으로 정렬되어 배열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기부는 각 단자의 부분들을 공기에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일 측면을 따라 갖는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ssembly for use with a mezzanine type connector, the assembly having an insulating bas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etween the two ends, the base mating with the opposite end. It has two opposite sides, the base compris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axis of the base, the base having an opening along one side that exposes portions of each terminal to air.

본 고안에 따르면, 개선된 단자를 갖는 신규한 저 삽입력 커넥터가 제공되고 복수의 도전성 단자는 절연 하우징에 배열된다. 하나의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이고, 다른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이다. 두 개의 커넥터는 모두 단자의 어레이를 유닛으로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을 갖는다. 이러한 단자 어레이는 절연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지지 부재에 의해 정렬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어레이는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 내에 수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vel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terminals are arranged in an insulating housing. One connector is a male connector and the other connector is a female connector. Both connectors have an insulated housing that receives an array of terminals as a unit. This terminal array includes an insulating support member and the terminals are align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This array is received in a slot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수형 커넥터에서, 단자는 편평한 블레이드 접촉부를 포함하고 접촉부의 에지는 블레이드 단자의 에지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접촉 에지를 형성하도록 둥글게 굴려진다. 암형 커넥터에서, 단자는 한 쌍의 분기된 접촉 아암을 형성하기 위해 자유단에서부터 단자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하는 종방향의 슬롯에 의해 분할되는 편평한 본체부를 포함한다.In the male connector, the terminal comprises a flat blade contact and the edge of the contact is rounded to form a pair of contact edges extending longitudinally along the edge of the blade terminal. In the female connector, the terminal includes a flat body portion divided by longitudinal slots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ee end to the terminal to form a pair of branched contact arms.

상기 접촉 아암은 아치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게 연장해서, 하나의 접촉 아암은 본체부의 축 방향 위로 연장하고 다른 접촉 아암은 본체부의 축 방향 아래로 연장한다. 단자를 사용하는 동안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 아암이 이격 슬롯의 단부 부근에서 성형되지 않도록 이격 슬롯은 접촉 아암의 길이보다 길게 본체로 연장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접촉 아암이 정합하는 동안 비틀림 편향보다는 대체로 외팔보식 편향하게 한다.The contact arms are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extend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one contact arm extends above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contact arm extends below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he spacing slots extend into the bod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ntact arms so that the contact arms are not shaped near the ends of the spacing slots to reduce any stress concentrations that may be formed during use of the terminals. This configuration also allows for cantilevered deflection rather than torsional deflection during mating contact arms.

접촉 어레이는 두 개의 대향 단부 사이에 연장하는 절연 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부는 외부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련의 이러한 기부는 본 고안의 다중 접촉 태양을 형성하도록 하우징 내에서 보유된다. 상기 기부는 중심, 중공부를 갖고 단자 그룹은 각각의 기부에 보유되고 기부의 소정 축과 정렬된다. 기부의 중공부는 단자의 일 측면을 공기에 노출시키고 단자 그룹의 대향 측면을 덮는다. 그 후 단자 그룹이 단자의 외부 하우징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contact array includes an insulating base extending between two opposing ends, each end including means for engaging the outer housing. A series of such bases is retained in the housing to form the multiple contact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has a center, a hollow portion and a terminal group is retained at each base and aligned with a predetermined axis of the base. The hollow portion of the base exposes one side of the terminal to air and covers the opposite side of the terminal group. The terminal group can the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uter housing of the terminal.

이들 목적 및 기타 목적과,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을 고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s well as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review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도1은 본 고안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단자를 포함하는 메자닌형 커넥터 조립체로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n as a mezzanine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erminal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과 동일한 도면이나, 두 개의 커넥터가 분해되어 정합을 해제된 상태로 도시된 도면이다.FIG. 2 is the same view as FIG. 1 but shown with two connectors disassembled to release registration.

도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의 암형 커넥터 부품의 분해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the female connector compon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도4는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단자를 도시한 도3의 암형 커넥터 부품의 단일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terminal assembly of the female connector component of FIG. 3 showing the terminals arranged in a linear array.

도5는 도4의 커넥터 부품에 사용되는 암형 단자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terminal used in the connector component of FIG.

도6A는 도5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도5의 암형 단자의 저면도이다.FIG. 6A is a bottom view of the female terminal of FIG. 5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6B는 도6A의 선 B-B를 따라 정합 단부로부터 취해진 도면이다.FIG. 6B is a view taken from the mating end along line B-B in FIG. 6A.

도6C는 도6A의 암형 단자의 선 C-C를 따라 취해진 측면도이다.Figure 6C is a side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female terminal of Figure 6A.

도7은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수형 단자를 도시한 도2의 수형 커넥터 부품의 단일 단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terminal assembly of the male connector component of FIG. 2 showing male terminals arranged in a linear array. FIG.

도8은 도2의 수형 커넥터 부품에서 사용되는 수형 단자의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le terminal used in the male connector component of Figure 2;

도9는 도8의 선 9-9를 따라 취해진 수형 단자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le terminal taken along line 9-9 of FIG.

도10은 함께 결합되었지만, 각각의 단자 지지 부재로부터는 제거된, 수형 및 암형 단자의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le and female terminals joined together but removed from each terminal support member.

도11은 도10의 선 11-11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도12는 도10의 수형 및 암형 단자의 측면도이다.12 is a side view of the male and female terminals of FIG.

도13은 두 개의 대향하는 수형 및 암형 단자 조립체의 단면도로 조립체 안의 단자의 지지부를 도시한다.Figure 13 shows the support of the terminals in the assembly in cross section of two opposing male and female terminal assemblies.

도14A는 도3의 일부의 한 쌍의 단면도로 병렬로 배열된 한 쌍의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를 도시한다.FIG. 14A shows a pair of receptacle terminal assemblies arranged in parallel in a pair of cross-sectional views of part of FIG.

도14B는 도1의 일부의 한 쌍의 단면도로 병렬로 배열된 한 쌍의 블레이드 또는 수형 단자 조립체를 도시하였다.14B shows a pair of blades or male terminal assemblies arranged in parallel in a pair of cross-sectional views of part of FIG.

도1은 본 고안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50)를 도시한다. 상기 조립체(50)는 수형 커넥터 부품(52)과 암형 커넥터 부품(53)을 포함한다. 두 개의 개별 맞물림 커넥터 부품(52, 53, 도2)을 포함한다. 용어 "수형" 및 "암형"은 상세한 설명에서 단자 구조를 언급할 때 사용되고, 이 상세한 설명에서, 수형 커넥터 부품(52)은 암형 커넥터 부품(53)에 배치된 대응 암형 단자의 아암 사이에 수용되 는 복수의 개별 블레이드 접촉부를 갖는다.1 shows a connector assembly 50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50 includes a male connector component 52 and a female connector component 53. Two separate engagement connector parts 52, 53, FIG. 2. The terms "male" and "female" are used in the description to refer to the terminal structure, in which the male connector component 52 is received between the arms of the corresponding female terminal disposed on the female connector component 53. Has a plurality of individual blade contacts.

각각의 커넥터 부품(52, 53)은 절연 하우징(54, 55)내에 지지되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를 포함한다. 도시된 이러한 각각의 하우징(54, 55)은 커넥터 부품의 주연을 형성하는 외벽(56, 57)을 포함하고, 수형 커넥터 부품(52)은 암형 커넥터 부품(53)의 정합부(59)가 연장해서 들어가는 중공 내부 공동(58)을 포함한다.Each connector component 52, 53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terminals supported in an insulating housing 54, 55. Each of these illustrated housings 54, 55 includes outer walls 56, 57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component, and the male connector component 52 extends with the mating portion 59 of the female connector component 53. Hollow internal cavity 58;

도3은 암형 커넥터 부품(53)을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커넥터 부품(53)은 복수의 단자 지지 부재(70) 내에서 보유되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60)를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 부품 하우징(55)은 각각이 하나의 암형 단자(60)를 수용하는 복수의 단자 수용 공동(49)을 포함하는게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 암형 단자(60)의 접촉부(62)는 상기 공동(49) 내로 연장한다.3 shows the female connector component 53 in more detail, wherein the connector component 53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terminals 60 hel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 support members 70. The female connector component housing 55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accommodating cavities 49 each containing one female terminal 60. Specifically, the contact portion 62 of the female terminal 60 extends into the cavity 49.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는 복수의 개별 절연 지지 부재(70)에 의해 단자 각각의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여 선형 어레이로 함께 보유되고, 각각의 지지 부재는 한 쌍의 결합 탭 또는 유사한 돌출부(72)를 가진 본체부(7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탭 또는 유사한 돌출부는 본체부(71)의 대향하는 양단부면(73)에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부(72)는 각각의 하우징(54, 55)에 형성된 대응 대향 슬롯(48, 도1)에 삽입된다. 돌출부(72)는 하우징에 지지 부재(70)가 삽입될 때 커넥터 부품 하우징의 측벽에 억지 끼움을 하기 위해 돌출부 위에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 슬롯(48)과 마찰식으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보스(74, 도4)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지지 부재(70)는 중공일 수 있고, 그로 인해 두 개의 단부면(73)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 중심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부(76)는 인접한 단자 지지 부재(70)들에 매설되는 단자 열들 사이에 일련의 공기 채널(77)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지지 부재(70)는 단자(60)위에서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단자(60)는 슬롯(78)을 통해 지지 부재에서 나란히 배치되거나 지지 부재(70) 내의 위치에서 양호하게 성형될 수 있다. 도14A는 서로 근접해서 배열된 한 쌍의 암형 단자 조립체(70)의 단면도이다. 단자 지지부(70)의 반부 만이 중공이 되고, 단자 지지부의 개방부(77)는 단자의 일 측면에만 생성되고 이러한 구조는 근접한 단자 지지부 사이의 "포켓(pocket)" 또는 공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terminals are held together in a linear array with connector parts of each of the terminals by a plurality of individual insulating support members 70, each supporting member having a pair of engagement tabs or similar protrusions ( A body portion 71 having a body 72, wherein the engagement tab or similar protrusion is disposed on opposite opposite end faces 73 of the body portion 71. This protrusion 72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opposing slot 48 (Fig. 1) formed in each of the housings 54, 55. The protrusion 72 is formed on one or more bosses 74 to frictionally engage the connector housing slot 48 to force fit into the side wall of the connector component housing when the support member 7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4) may be included. As shown in Figures 4 and 7, the terminal support member 70 may be hollow, thereby including an open central portion 76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wo end faces 73. This central portion 76 will form a series of air channels 77 between terminal rows embedded in adjacent terminal support members 70. This support member 70 may be molded over the terminal 60, or the terminal 6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support member via the slot 78 or well molded in position in the support member 70. 14A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pair of female terminal assemblies 70 arranged in close proximity to one another. Only half of the terminal support 70 is hollow, and the opening 77 of the terminal support is created only on one side of the terminal and this structure may be considered to form a "pocket" or air between adjacent terminal supports. Can be.

도5는 본체부(63)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대향 꼬리부(61)와 접촉부(62)를 가진 암형 단자(60)를 도시한다. 본체부(63)는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노치(64)를 포함할 수 있어 단자 지지 부재(70)를 형성하기 위해 오버 몰딩 공정이 사용될 때 지지 부재(70) 내에 단자(60)의 보유를 용이하게 한다. 납땜 요소(65)는 단자 꼬리부를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의 대향 트레이스에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꼬리부(61)에 배치될 수 있다.5 shows a female terminal 60 having opposing tail portions 61 and contacts 62 interconnected by a body portion 63. Body portion 63 may include one or more notches 64 formed on the side to facilitate retention of terminal 60 in support member 70 when an overmolding process is used to form terminal support member 70. Let's do it. Soldering element 65 may be disposed in tail 61 to help secure the terminal tail to opposing traces on a circuit board (not shown).

전방, 또는 단자의 접촉부(62)는 분기되고, 이는 조정 슬롯(67)에 의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이격 접촉 아암(66)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슬롯(67)은 단자의 종방향 축(R)을 따라 이어질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수형 (블레이드) 단자(90)에 접촉하도록 의도된 두 개의 개별 접촉 아암(66)을 성형한다. 두 개의 접촉 아암(66)의 사용은 이러한 단자를 사용하는 커넥터에 대해 중복 접촉 경로를 제공하는데, 이 중복은 두 개의 커넥터 부품(52, 53)의 수형 및 암형 단자 사이 의 접촉을 보장할 뿐 아니라, 단자의 인덕턴스를 낮춘다. 또한 과잉 중복은 삽입력을 줄인다.The front, or terminal, contact 62 is branched, which means that it comprises a pair of spaced contact arms 6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adjustment slot 67. The slot 67 can ru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R of the terminal and, as described above, form two separate contact arms 66 intended to contact the opposing male (blade) terminal 90. . The use of two contact arms 66 provides redundant contact paths for connectors using these terminals, which not only ensure contact between the male and female terminals of the two connector parts 52, 53, Lower the inductance of the terminal. Excessive redundancy also reduces insertion force.

단자(60)의 기부 형상은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전체 단자 구조를 스탬핑 가공함으로 초기에 성형된다. 슬롯(67)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되는 방식으로 한 쌍의 아암을 성형하도록 스탬핑 가공된다. 양호하게는 접촉 아암(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는 축소되었지만 전체 크기가 확대된 확대 접촉면(68)을 포함하는 자유 단부(69)를 갖는다. 이러한 접촉면은 위 또는 아래에서 볼 때 통상의 직사각형 구조를 갖지만(도6A) 도6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구조로 압인 가공된다. 확대 접촉면(68)은 자유 단부(69)를 압인 가공하여 본체부(63)에서의 두께(T)(도6C)로부터 더 작은 두께(t)로 두께가 축소되고 도6A에 가상으로 도시된 폭(w)에서 최종 압인 가공 폭(W)으로 접촉면에서의 접촉 아암의 폭이 증가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축소된 두께(t)는 단자 본체부의 두께(T)의 대략 절반이다.The base shape of the terminal 60 is initially formed by stamping the entire terminal structure from the sheet metal blank. Slot 67 is stamped to form a pair of arms in a spaced manner as shown in FIG. 6A. Preferably the contact arm 66 has a free end 69 including an enlarged contact surface 68 that is reduced in thickness but enlarged in overall size, as shown. This contact surface has a conventional rectangular structure when viewed from above or below (FIG. 6A) but is pressed into an arcuate structure as well shown in FIG. 6C.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68 is pressed into the free end 69 to reduce the thickness from the thickness T (Fig. 6C) to the smaller thickness t in the body portion 63 and the width shown virtually in Fig. 6A. At (w), the width of the contact arm at the contact surface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size with the final working width W. Preferably, the reduced thickness t is approximately half of the thickness T of the terminal body portion.

또한, 접촉 아암(66)은 약간 아치형이며, 바람직하게는 반원 구조를 포함하게 형성되고, 도6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접촉 아암이 단자(60)의 중심선(C)과 본체부의 종방향 축(R) 위로 연장하는 반면 다른 접촉 아암은 상기 축 아래로 연장하는 대향 아치형 방향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접촉 아암은 접촉 아암 자유단(69)의 영역, 구체적으로 자유단의 확대 접촉면(68)에서 서로 만나거나, 축과 재회한다. 접촉면은 원호의 일부로 형성되고 접촉면의 기부(80, 또는 하부면)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선(A)를 따라 서로 오프셋되어서 접촉 단부에서 보면 각 각의 하부 접촉면(80)은 단자(60) 본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아래에 놓이게 된다(도6C). 단자는 스탬핑 가공되고, 스탬핑 가공시 슬롯(67)은 두 개의 접촉 아암 또는 비임(66)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의 유극을 형성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arm 66 is slightly arcuate, preferably formed to include a semi-circular structure, and as shown in FIG. 6C, one contact arm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of the terminal 60 and the main body portion. The other contact arm is formed in an opposite arcuate direction extending below the axis R while extending above the axis R. The two contact arms meet each other at the area of the contact arm free end 69, in particular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68 of the free end, or reconnect with the axis. The contact surfaces are formed as part of an arc and the bases 80 (or lower surfaces) of the contact surfac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clined line A as shown in Fig. 6B so that each lower contact surface 80 is connected to a terminal ( 60) it is placed below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ig. 6C). The terminals are stamped, and during stamping the slots 67 make it easier to form the desired clearances for forming two contact arms or beams 66.

두 개의 접촉 아암(66)은 단자 본체부(63)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외팔보식 비임으로서 작동하고 이러한 단자의 구조는 사용 중 본 고안의 단자에 가해지는 응력을 낮추는 것은 돕는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67)은 접촉 아암(66)의 자유단(69)에서부터 소정의 제1 거리(D1) 만큼 연장한 반면, 접촉 아암(66)은 같은 거리에서 접촉 아암의 아치형 형상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거리 보다 짧은 거리인 소정의 제2 거리(D2) 만큼 연장한다. 이것은 접촉 아암이 스탬핑된 평면으로부터 위(또는 아래)로 굴곡을 시작하기 전에 슬롯(67)이 시작(또는 종결)하는 것이 도시된 도6C에 잘 도시되었다. 길이(D1)와 길이(D2) 사이의 차이는 접촉 아암의 초기 만곡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슬롯의 거리이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아암의 만곡 또는 성형은 슬롯(67)의 선단 에지(82)에서부터 이격되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다른 중요 태양에서, 접촉면(69)의 축소된 두께(t)는 외팔보식 접촉 아암에 나타나는 응력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접촉면(69)의 확대된 폭은 접촉 아암을 독립적으로 만곡시켜서 대향하는 정합 블레이드 접촉부의 치수 변화성을 고려한다. 두 개의 단자 사이의 접촉 방식은 도11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two contact arms 66 operate as a pair of cantilever beams extending from the terminal body portion 63 and the structure of these terminals helps to lower the stress on the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use. As shown in FIG. 5, the slot 67 extends from the free end 69 of the contact arm 66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D1, while the contact arm 66 extends from the contact arm at the same distance. Instead of starting the arcuate shape it extends by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D2 which is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This is illustrated well in FIG. 6C where the slot 67 starts (or terminates) before the contact arm begins to bend up (or down) from the stamped pla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D1 and the length D2 is the distance of the slot extending rearward from the initial curvature of the contact arm. In this regard, the bending or shaping of the contact arm occurs away from the leading edge 82 of the slot 67. In another importa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uced thickness t of the contact surface 69 reduces the stress present on the cantilevered contact arm. The enlarged width of the contact surface 69 allows the contact arms to bend independently to account for the dimensional variability of the opposing mating blade contacts. The manner of contact between the two terminals is shown well in FIG.

도8은 접촉부(92)와, 땜납 부재(94)도 함께 도시되는 꼬리부(93) 사이에서 연장하는 본체부(91)를 가진 긴 블레이드 단자(90)로 형성된 본 고안의 수형 단자를 도시한다. 본체부(91)는 단자(90)가 지지 부재(70)로 성형되는 경우에 보유를 목적으로 측부에 노치(9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7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부(76)와 단부 돌출부(72)를 갖는 절연 단자 지지 부재(70) 내에 정렬된 수형 단자(90)의 어레이를 도시한다.FIG. 8 shows the ma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of an elongated blade terminal 90 having a body portion 91 extending between a contact portion 92 and a tail 93, which also shows a solder member 94. . The main body portion 91 may have a notch 950 on the side for retaining purposes when the terminal 90 is molded into the supporting member 70. FIG. 7 shows an array of male terminals 90 aligned in an insulated terminal support member 70 having openings 76 and end protrusions 72, as described above.

암형 단자의 넓은 접촉면(68)을 이용하기 위해, 블레이드 단자(90)는 접촉부(92)의 자유단(96) 부근에 두 개의 얕은 리세스(95)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세스는 도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측면 에지를 형성하도록 양호하게는 반경을 형성하며 둥글려지는 두 개의 특정 측면 에지(97)를 형성한다. 접촉면(68)은 종전 기술의 단자의 경우 같이 비틀림 편향이 아니라 외팔보식으로 편향된 접촉 아암과 상기 측면 에지를 점 접촉한다. 상기 측면 에지의 원통 형상은 정확한 원통형일 필요는 없으며 가장자리의 외표면에 편평부(98)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단자의 중심 리세스(95)가 존재함으로써 두 개의 접촉 비임 접촉 표면(68)은 약간 오정렬될 수 있지만, 여전히 블레이드 단자와 확실한 접촉을 유지한다. 블레이드 단자(9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68)들의 중심간 거리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utilize the wide contact surface 68 of the female terminal, the blade terminal 90 is preferably formed with two shallow recesses 95 near the free end 96 of the contact portion 92. This recess forms two specific side edges 97 that are preferably radiused and rounded to form a cylindrical side edge as well shown in FIG. The contact surface 68 makes point contact between the side edge and the cantilever deflected contact arm rather than torsional deflection as in the case of terminals of the prior art.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side edges need not be precise cylindrical and may include a flat portion 9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The presence of the center recess 95 of the blade terminals allows the two contact beam contact surfaces 68 to be slightly misaligned but still maintain reliable contact with the blade terminals. The blade terminal 90 preferably has a width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contact surfaces 68 as shown in FIG.

블레이드 단자(90)는 절연 단자 지지 부재(70) 내에 유사하게 유지되고, 각각의 블레이드 단자는 수형 커넥터 부품(52)에 끼워 맞춤된다. 단자 지지 부재(70)는 두 개의 단부면(73)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 중심부(76)와 함께 중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심부(76)는 근접한 단자 지지 부재(70)사이에서 일련의 공기 포켓(77)을 형성할 것이다.The blade terminals 90 are similarly retained in the insulated terminal support member 70, and each blade terminal is fitted to the male connector component 52. The terminal support member 70 is preferably hollow with an open central portion 76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wo end surfaces 73. This central portion 76 will form a series of air pockets 77 between adjacent terminal support members 70.

Claims (17)

서로 결합가능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이며,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omprising a male connector and a female connector joinable to each other, 상기 수형 커넥터는 접촉부와, 꼬리부 및 상기 꼬리부와 상기 접촉부를 함께 상호 연결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긴 블레이드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수형 단자를 포함하고,The male connector includes at least one male terminal in the form of an elongated blade having a contact portion, a tail portion and a body portion interconnecting the tail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together, 상기 암형 커넥터는 꼬리부와,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꼬리부를 함께 상호 연결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암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암형 단자는 본체부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각각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아암은 상기 암형 단자 본체부의 종방향 축의 대향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접촉 아암은 자유단에서 확대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대 접촉 표면은 상기 암형 단자 본체부의 대응 두께보다 두께를 축소하고 표면을 확대하도록 압인 가공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The female connector includes at least one female terminal having a tail, a contact portion and a body portion inter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the female terminal including a slo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ody portion; The slots form a pair of contact arms, each arcuately formed, the two contact arms extending longitudinally on opposite sides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emale terminal body portion, each contact arm at a free end. And an enlarged contact surface, wherei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is machined to reduce the thickness and enlarge the surface than the corresponding thickness of the female terminal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자는 상기 수형 단자의 접촉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종방향 에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접촉부 내의 대향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및 암형 커넥터가 정합될 때, 상기 수형 단자의 에지는 상기 암형 단자의 상기 접촉 표면과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2. The ma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le terminal includes a recess formed on opposite sides in the contact portion to form a longitudinal edg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male terminal, when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are mated. 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자의 에지는 아치형 외면을 형성하도록 둥글려지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Th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edge of the male terminal is rounded to form an arcuate ou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은 반대 방향으로 대면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Th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surface faces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는 측면 에지에서 볼 때 Y형 구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Th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emale terminal has a Y-shaped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side e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의 슬롯은 임의의 암형 단자 접촉 아암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전기커넥터 시스템.Th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lot of the female terminal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any female terminal contact 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의 접촉 아암은 상기 수형 단자에 정합될 때, 외팔보식으로 편향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Th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arm of the female terminal is cantilever deflected when mated to the ma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단자는 절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는 일 측면 상에 상기 암형 단자 본체부의 일부를 공기에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Th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emale terminal is supported by an insulating support, the support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to expose a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body to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는 별개의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수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커넥터도 별개의 선형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암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Th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ale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male terminals arranged in a separate linear array, and the female connector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arranged in a separate linear array.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형 및 암형 단자 어레이는 각각의 절연 단자 지지부 내에서 지지되고, 상기 단자 지지부의 각각은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수형 및 암형 단자 본체부를 공기에 노출시키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10. The male and female terminal arrays of claim 9, wherein each male and female terminal array is supported within a respective insulated terminal support, each of the terminal supports comprising an opening disposed along one side of the terminal support, the opening being the male. And 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exposing the female terminal body portion to air. 기부와,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 공동을 포함하는 정합면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과,An insulated housing having a base and a mat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 receiving cavities disposed therein;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각각이 도전성 단자의 어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단자부의 부분들을 상기 단자 수용 공동 내에 수용하기 위해 제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지지부를 보유하도록 상기 하우징 기부를 결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A plurality of means housed in the housing, the means for coupling the housing base to hold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in place for supporting an array of conductive terminals and receiving portions of the terminal portion in the terminal receiving cavity; A terminal support of 상기 단자의 각각은 꼬리 단부, 접촉 단부 및 상기 꼬리 단부와 상기 접촉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의 각각은 상기 접촉 단부에서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 슬롯은 상기 접촉 단부에서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아암의 각각은 확대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 기 확대 접촉 표면이 서로 대면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Each of the terminals comprises a tail end, a contact end and a body interconnecting the tail end and the contact end, each of the terminals further comprising a longitudinally spaced slot formed at the contact end, the spacing Slots form a pair of contact arms at the contact ends, the contact arm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and arcuately formed, each of the contact arms further comprising an enlarged contact surface, the enlarged contact surfaces being one another. A connector with facing terminal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접촉 표면은 상기 단자의 접촉 단부를 압인 가공하여 형성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said enlarged contact surface is formed by pressing a contact end of said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롯은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은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길이가 상기 제2 길이보다 큰 커넥터.12. The connector of claim 11, wherein the spacing slot has a first length, the contact arm has a second length, and the first length is greater than the second length.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슬롯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접촉 단부 및 단부로부터 상기 단자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상기 단자 본체부에서부터 외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만곡은 제2 위치에서 개시하는 커넥터.The terminal of claim 11, wherein the spacing slot extends longitudinally from the contact end and the end to the terminal in a first position, the contact arm is curved outwardly from the terminal body portion, and the curvature is in a second position. Initiating connec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접촉 표면은 상기 접촉 아암의 대응 폭보다 넓은 커넥터.12. The connector of claim 11, wherein the enlarged contact surface is wider than the corresponding width of the contact ar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각각의 지지부 내에서 선형 어레이로 배열되는 커넥터.12. The connector of claim 11, wherein said terminals are arranged in a linear array within said respective suppo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지지된 상기 단자 본체부의 일 측면 을 공기에 노출시키는, 내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갖는 커넥터.17.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each support portion has an opening formed therein which exposes one side of the supported terminal body portion to air.
KR2020077000016U 2004-12-22 2005-12-21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KR2004392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7000016U KR200439284Y1 (en) 2004-12-22 2005-12-21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640,111 2004-12-22
KR2020077000016U KR200439284Y1 (en) 2004-12-22 2005-12-21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89U KR20070000989U (en) 2007-09-05
KR200439284Y1 true KR200439284Y1 (en) 2008-04-03

Family

ID=4155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7000016U KR200439284Y1 (en) 2004-12-22 2005-12-21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28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26B1 (en) * 2021-11-11 2022-05-11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Pin array assembly and connector for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with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4421B2 (en) * 2013-11-01 2017-12-27 センサータ テクノロジーズ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26B1 (en) * 2021-11-11 2022-05-11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Pin array assembly and connector for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with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89U (en)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733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780807B2 (en) Connector family for board mounting and cable mounting
EP0846350B1 (en)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able connectors
US4023879A (en) Adjust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replaceable contact sub-assembly and variable strain relief
EP2178175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sisting structure to ensure reliable contacting between ground shields thereof
JP404106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sert molded terminal module
US2008021406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based element
TW202226679A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JP3143222U (en)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
US20010021609A1 (en) Battery connector
JP3418212B2 (en) Printed circuit board, outrigger edg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S59299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109297B1 (en)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KR200439284Y1 (en)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JP5281051B2 (en) Connector device
JPH09204944A (en) Stack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6027376A (en) Connector for integrated circuit chip
JPH02189869A (en) Electric connector
JPH0751736Y2 (en) Thin femal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TWI749611B (en) Low-height edge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ing the same
JPS61179080A (en) Thin laminate connector used for printed circuit board
US6227874B1 (en) Electronic card connection system
US645461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US6179626B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6910921B2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