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21Y1 -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21Y1
KR200438521Y1 KR2020060031861U KR20060031861U KR200438521Y1 KR 200438521 Y1 KR200438521 Y1 KR 200438521Y1 KR 2020060031861 U KR2020060031861 U KR 2020060031861U KR 20060031861 U KR20060031861 U KR 20060031861U KR 200438521 Y1 KR200438521 Y1 KR 200438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iode
guide plate
light emitting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8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엘에스
Priority to KR2020060031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2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면과 하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하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2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방으로 직진 투과시키도록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의 상방에 위치하는 광투과부와,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측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light guide plate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part positioned above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so as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upwardly and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It relates to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reflection patter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reflect the light upwards.

Description

차량용 조명장치{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Lighting device for vehicle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vehicle lighting apparatu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조명장치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제1발광 다이오드와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을 투과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of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도광판 21 : 도광판의 상면20: Light guide plate 21: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22 : 도광판의 하면 23 : 도광판의 측면22: low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23: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5 : 반사 패턴 30 : 제1발광 다이오드25 reflection pattern 30 first light emitting diode

40 : 제2발광 다이오드 50 : 광투과부40: second light emitting diode 50: light transmitting part

56 : 확산 렌즈56: diffused lens

본 고안은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상황에 따라 세기가 다른 광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configured to selectively use light having a different intens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a vehicle interior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조명장치는, 야간 주행 시 차량의 전방을 밝히기 위한 전조등용 조명장치와, 차량의 좌·우회전 및 멈춤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등용 조명장치와, 운전석의 각종 계기판을 밝히기 위한 계기판용 조명장치와, 차량의 어두운 실내를 밝히기 위한 실내용 조명장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조명장치는, 어두운 실내에서 물건을 찾고자 할 때, 실내 장치 및 계기판을 조작할 때,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을 걸 때 또는 지도나 책을 볼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In general, a lighting device used in a vehicle includes a lighting device for headlights to light the front of the vehicle at night, a lighting device for indicating a left / right turn and a stopped state of the vehicle, and a light panel for illuminating various driver's seats. There is a lighting device for the instrument panel, and an indoor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dark interior of the vehicle. Among these, the vehicle lighting device installed indoors is very useful when looking for an object in a dark room, when operating an indoor device and an instrument panel, when starting a passenger after boarding a vehicle, or when viewing a map or a book. Used.

실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차량용 조명장치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조명장치는, 전구(10)와, 하우징(12)과, 확산 렌즈(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된 전구(10)로부터 광이 출사되고, 상기 전구(10)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확산 렌즈(11)에 의해 발산되면서 차량의 실내를 밝히게 된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vehicle lighting apparatus installed indoors i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vehicle light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light bulb 10, a housing 12, and a diffusion lens 11.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bulb 10 installed in the housing 12,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bulb 10 is emitted by the diffusion lens 11 to illuminat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조명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으로서 일반적인 전구를 사용함으로써, 전구의 짧은 수명으로 인해 전구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lighting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ulb is often replaced due to the short life of the bulb by using a general bulb as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또한, 종래의 차량용 조명장치는, 실내에서 차량용 조명장치가 필요한 경우 예컨대, 야간 주행 시 실내를 밝히고자 하는 경우 또는 독서를 하고자 하는 경우 등 어느 경우에도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했다. 야간 주행 시에는 전구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세기가 너무 강해 운전자의 전방 시야와 후방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독서를 할 때에는 전구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세기가 너무 약해서 실내에서 책을 읽는 탑승자의 시력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lighting apparatus has not been effectively used in any case where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is required indoors, for example, to illuminate the interior at night or to read a book. When driving at night,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bulb is too strong to interfere with the driver's front and rear vision. On the other hand, when rea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bulb is so weak that the vision of a passenger reading a book becomes wors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광의 세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select the appropriate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nterior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in the vehicle. The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조명장치는, 상면과 하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하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2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방으로 직진 투과시키도록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의 상방에 위치하는 광투과부와,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측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dispos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ha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to directly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upwardly, and is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And a reflection patter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reflect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side surface upward.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는 상기 광투과부를 통해 상방으로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 렌즈가 마련되어 있다.I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a diffusion lens for diffusing the light transmitted upwar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 렌즈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diffusion lens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I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다.I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is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white light.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및 그 혼합광을 출사하는 풀컬러 발광 다이오드이다.I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is a full color light emitting diode emitting red light, green light, blue light and mixed light thereof.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조명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제1발광 다이오드와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을 투과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2.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조명장치는, 차량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광의 세기 및 광의 색을 선택하여 출사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광판(20)과, 제1발광 다이오드(30)와, 제2발광 다이오드(40), 확산 렌즈(60)를 포함하고 있다.2 to 4,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emit light by selecting an appropriate light intensity and color of light according to a situation in a vehicle interior, and include a light guide plate 20 and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and a diffusion lens 60.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는, 후술할 도광판(20)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발생하는 제1광원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하면(22)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서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된다.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is a first light source that transmits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surface 22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emitting white light is used as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는, 상기 도광판(20)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발생하는 제2광원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23)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및 그 혼합광을 출사하는 풀컬러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된다.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is a second light source that is reflected by the light guide plate 20 and generates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and is disposed to face the side surface 23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a full color light emitting diode emitting red light, green light, blue light and mixed light thereof is used.

상기 도광판(20)은,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거나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외부 측으로 출사시키는 것으로서, 광투과부(50)와, 반사 패턴(2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광판(20)은, 상면(21), 상기 상면(2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하면(22), 상기 상면(21) 및 하면(22)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4개의 측면(23)들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부재이다.The light guide plate 20 trans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or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And a reflection pattern 25 is included. The light guide plate 20 includes an upper surface 21, a lower surface 22 position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upper surface 21, and four side surfaces 23 formed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21 and the lower surface 22. It is a plate-shaped member.

상기 광투과부(50)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된 광(31)을 상기 도광판(20)의 상방으로 직진 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의 상방에, 그 제1발광 다이오드(30)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부(50)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된 광(31)이 입사하도록 상기 하면(22) 측에 표면거칠기값이 거의 없이 매끈하게 형성된 입사면(52)과, 상기 입사면(52)으로 입사된 광이 외부로 출사하도록 상기 상면(21) 측에 표면거칠기값이 거의 없이 매끈하게 형성된 출사면(53)을 구비하고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is for transmitting the light 3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20 in a straight line, above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It is arranged in line with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includes an incident surface 52 formed smoothly with little surface roughness on the lower surface 22 side such that the light 3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is incident, and the An emission surface 5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 side so as to emit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52 to the outside with almost no surface roughness.

상기 도광판(20)과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 사이에 개재되는 도광판 하우 징(미도시)의 관통홀(미도시)에 끼워지도록, 상기 도광판의 하면(22)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5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부(50)의 입사면(52)은 상기 돌출부(51)의 끝단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투과부의 출사면(53)은 상기 도광판의 상면(21)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1)에 의해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되는 광(31)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1)로 인해 상기 광투과부(50)와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므로,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큰 발산각을 가지며 출사하는 광도 상기 광투과부의 입사면(52)을 통해 상기 광투과부(50) 내부로 입사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22 of the light guide plate so as to fit in th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light guide plate housing (not shown)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20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The protrusion part 51 is provided. The incident surface 52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end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51, and the exit surface 53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protrusions 51 may condense the light 3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more effectively. Since the protrusion 51 reduces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with a large angle of divergence is also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It is possible to enter the light transmission unit 50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52 of the.

상기 광투과부(50)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도광판의 하면(22) 전면적에 걸쳐,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23)을 통해 입사된 광(41)을 상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 패턴(25)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에 흔히 이용되는 요철 구조의 프리즘 패턴이며, 그 형상은 이미 공지의 요소이므로 그 형상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광판의 상면(21)은 매끈한 투명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Light 41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and incident through the side surface 23 of the light guide plat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22 of the light guide plat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is formed. ), A reflection pattern 25 for reflecting upward is formed. The reflective pattern 25 is a prism pattern hav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commonly used in a general backlight unit. Since the shape is already a known ele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is formed of a smooth transparent surface.

상기 확산 렌즈(60)는, 상기 광투과부(50)를 통해 도광판(20)의 상방으로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상면(21)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그 직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확산 렌즈(60)를 이용하여 상기 광(31)에 의해 조사되는 면적을 어느 정도 확대 하기 위함이다. 상기 확산 렌즈(60)는 상기 광투과부의 출사면(53)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는 중앙면(61)과, 상기 중앙면(61)을 둘러싸며 그 표면이 상기 반사 패턴(25)과 같이 요철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확산면(62)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산 렌즈(60)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diffusion lens 60 is for diffusing light transmitted upward of the light guide plate 20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is excellent in its straightness, it is to enlarge the area irradiated by the light 31 to some extent using the diffusion lens 60. The diffusing lens 60 is positioned above the exit surface 53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is vertically formed, and the surface is smoothly formed, and the surface surrounds the center surface 61 and the surface is reflected. Like the pattern 25, the diffusion surface 62 is formed in the uneven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ffusion lens 6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상기 차량용 조명장치의 도광판(20)을 투과하여 광이 출사되는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to 4, an operation principle of transmitting light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20 of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되는 광(31) 중 일부(31a)는, 상기 광투과부(50)를 거쳐서 상기 확산 렌즈의 중앙면(61)을 통해 바로 상기 도광판(20)의 상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되는 광(31) 중 다른 일부(31b)는, 상기 광투과부(50)를 거쳐서 상기 확산 렌즈의 확산면(62)에 의해 그 진행 경로가 꺾이면서 상기 도광판(20)의 상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되는 광(31), 예컨대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백색광은, 한편으로는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된 광투과부(50) 및 중앙면(61)을 투과하면서 그 산란되는 양이 적게 되어 강한 광의 세기를 유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확산면(62)에 의해서 퍼지면서 조사됨으로써 어느 정도 확대된 조사 면적을 확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광투과부(50) 및 확산 렌즈(60)를 투과하는 광(31)은, 책을 읽을 때와 같은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ortion 31a of the light 3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passes directly through the central surface 61 of the diffusion lens via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to directly guide the light guide plate. The process proceeds above (20). In addition, while the other part 31b of the light 3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passes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the propagation path 62 of the diffusion lens is bent, The light guide plate 20 is advanced above. The light 3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for example,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white light emitting diode, is scat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and the central surface 61 formed on the other hand with a smooth surface. The amount is small,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strong light can be maintained, and on the other hand, the irradiation area can be secured to some extent by being radiated and spread by the diffusion surface 62. Therefore, the light 3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3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50 and the diffusion lens 60 may be effectively used in the case of reading a book.

한편,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23)을 통해 입사되는 광(41) 중 일부(41a)는 상기 도광판의 하면(22)에 형성된 반사 패턴(25)에 직접 조사된다. 상기 광(41a)은 상기 반사 패턴(25)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도광판(20)의 상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23)을 통해 입사되는 광(41) 중 다른 일부(41b)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21) 상에 조사된다. 상기 도광판의 상면(21)은 소정의 입사각 이상의 각을 가지며 입사하는 광은 전반사시키므로, 상기 상면(21) 상에 소정의 입사각 이상의 각을 가지며 입사하는 광(41b)은 상기 도광판의 상면(21) 상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반사 패턴(25) 측으로 그 진행 경로가 꺾이게 된다. 이렇게 반사 패턴(25) 측으로 꺾인 광(41b) 역시 상기 반사 패턴(25)에 직접 조사된 광(41a)과 마찬가지로, 상기 반사 패턴(25)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도광판(20)의 상방으로 진행하게 된다.Meanwhile, a portion 41a of the light 41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and incident through the side surface 23 of the light guide plate is directly directed to the reflective pattern 2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light guide plate. Is investigated. The light 41a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25 to travel upward of the light guide plate 20. In addition, another part 41b of the light 41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and incident through the side surface 23 of the light guide plate is irradiated onto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Since the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has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of incidence and totally reflects incident light, the light 41b having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of incidence on the upper surface 21 is an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It is totally reflected on the image so that the traveling path is bent toward the reflection pattern 25. Likewise, the light 41b bent toward the reflective pattern 25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25 to proceed upwardly of the light guide plate 20, similarly to the light 41a directly irradiated onto the reflective pattern 25. do.

이와 같이,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23)을 통해 입사되는 광(41)은 상기 반사 패턴(25)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도광판의 상면(21) 전면적을 통해 출사된다. 동일한 광량을 가진 상태에서 점광원 형태에서 면광원 형태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도광판의 상면(21) 전체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세기는 약화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반사 패턴(25)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도광판 상면(21) 전체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강한 세기의 광이 요구되지 않고 차량 실내 전체에 은은한 빛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차량 실내의 무드등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As such, the light 41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and incident through the side surface 23 of the light guide plate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25 and is then directed through the entire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It is emitted. As the light source changes from the point light source to the surface light source in the state of having the same amount of light,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entire upper surface 21 of the light guide plate is weakened. Accordingly,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and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25 and emitted through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21 does not require strong intensity light and is soft to the entire vehicle interior. If light is needed,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example, as a mood lamp in a vehicle interior.

또한,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40)로는 풀컬러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함으로 써, 탑승자의 취향 및 차량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가 열려 있는 것을 알리는 경우에는 청색, 야간 주행 시에는 청색, 차량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음을 알리는 경우에는 적색 등과 같이 여러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구획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full color light emitting diode as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40, various colors may be realized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occupant and the stat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passengers can be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blue when the door is open, blue when driving at night, and red when the vehicle is not in a normal state.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를 사용하면, 광원으로서 전구보다 수명이 긴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전구 교체에 소요되는 탑승자의 수고나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Using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onger life than the bulb as a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for the replacement of the bulb. .

또한, 상기 차량용 조명장치는,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는 직진성이 우수하며 그 세기가 강한 광을 얻어내고, 다른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는 면광원 형태로 변형되어 그 세기가 약한 광을 얻어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has a straightness from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obtains a strong light, and from the other light emitting diode is transformed into a surface light source form to obtain light having a low intensity. By being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lect and use a variety of situations occurring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can als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occupants.

본 고안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확산 렌즈는 상기 도광판과 분리되어 별개로 제작되고,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확산 렌즈가 끼워지도록 상기 도광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돌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확산 렌즈가 상기 도광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ion lens is separa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upper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so that the diffusion lens is fitted. A diffusion len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 guide plat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들의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조명장치가 구체화될 수 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of the type can be embodied.

본 고안의 차량용 조명장치는, 전구 대신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광원을 교체하는 주기가 연장됨에 따라 탑승자의 수고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광의 세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ffort and time of the occupant as the cycle of replacing the light source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instead of a light bulb is extended, and i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using various light intensities By effectively responding,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occupant.

Claims (6)

상면과 하면과 측면을 가지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하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2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A light guide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s,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도광판은,The light guide plate,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방으로 직진 투과시키도록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의 상방에 위치하는 광투과부와,A light transmitting part positioned above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straight upward;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측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반사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And a reflective patter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to reflect upward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는 상기 광투과부를 통해 상방으로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 렌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provided with a diffuser lens for diffusing the light transmitted upwar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확산 렌즈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The diffuser lens is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The light transmitting unit,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is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ite light emitting diode for emitting white li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및 그 혼합광을 출사하는 풀컬러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is a full color light emitting diode emitting red light, green light, blue light and mixed light thereof.
KR2020060031861U 2006-12-15 2006-12-15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KR2004385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61U KR200438521Y1 (en) 2006-12-15 2006-12-15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61U KR200438521Y1 (en) 2006-12-15 2006-12-15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21Y1 true KR200438521Y1 (en) 2008-02-25

Family

ID=4162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861U KR200438521Y1 (en) 2006-12-15 2006-12-15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2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2434B2 (en) Automotive lighting fixture with non-directional light dispersion
US7301699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member with multiple reflecting surfaces
US7438452B2 (en) Illumination device
JP6696793B2 (en) Vehicle lighting
JP4714098B2 (en) Lighting equipment
JP2008503381A (en) Instrument panel housing with light diffusing device
JP4212153B2 (en) Combined light source device
JP2006049232A (en) Vehicular lamp
JP2019197729A (en) Automobile lighting device and/or signal device
JP5169806B2 (en) Lighting device
KR20080046526A (en) Room lamp for automobile
JP2022127302A (en) Lamp body device for vehicle
KR200438521Y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KR100704505B1 (en) Lighting apparatus for making good mood in the vehicle room
KR100823702B1 (en) Room lamp for automobile
JP2008097996A (en) Lighting system for operating member
JP4768062B2 (en) Automotive interior lighting equipment
JP2004325102A (en) Instrument illumination device
JP2019197730A (en) Automobile lighting device and/or signal device
JP200630869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lluminator
KR200371041Y1 (en) Luminous structure of automobile indication back
JP7390244B2 (en) Vehicle lights
JP5589930B2 (en) Lighting device
JP2010129242A (en) Indirect illuminating device
JP2004051007A (e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