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027Y1 - 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 Google Patents

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027Y1
KR200438027Y1 KR2020060032746U KR20060032746U KR200438027Y1 KR 200438027 Y1 KR200438027 Y1 KR 200438027Y1 KR 2020060032746 U KR2020060032746 U KR 2020060032746U KR 20060032746 U KR20060032746 U KR 20060032746U KR 200438027 Y1 KR200438027 Y1 KR 200438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air
space
amount
con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7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Priority to KR2020060032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0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02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4Dust-free rooms or en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01L2300/027Digital display, e.g. LCD,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클 미터 및 파티클 미터를 구비하는 클린 벤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bench having a particle meter and a particle meter.

본 고안에 따른 클린벤치는, 청정환경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수단 및 함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 중에 포함된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파티클 미터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티클 미터는, 클린 벤치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를 향해 광을 발사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로부터 발사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파티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광소자, 수광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수용부에 존재하는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는 연산부 및 연산부로부터 측정된 파티클의 양을 기초로 공간부에 포함되어 있는 파티클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The clean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housing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work can be performed in a clean environment, a circulation means for circulating air contained in the space of the housing, and a space of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article meter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amount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contained in the unit. In addition, the particl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clean bench, and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receiving portion A light emitting device which emits light toward the air contained in the light receiving device; a light receiving device arranged inside the case to receive light reflected from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part; and a signal input from the light receiving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lculation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articles present in the receiving unit on the basi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space based on the amount of particles measured from the calculation unit.

파티클, 벤치 Particles, bench

Description

파티클 미터 및 파티클 미터를 구비하는 클린 벤치{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 벤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lean be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미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ticle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티클 미터의 계량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er plate of the particle meter illustrated in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클린 벤치 10 ... 함체100 ... clean bench 10 ... enclosure

11 ... 하우징 16 ... 공간부11 ... housing 16 ... space

21,22 ... 공기유출구 23 ... 공기유입구21, 22 ... air outlet 23 ... air outlet

24 ... 덕트 27 ... 헤파필터24 ... Duct 27 ... HEPA Filter

200 ... 파티클 미터 210 ... 케이스200 ... Particle Meter 210 ... Case

211 ... 유입구 212 ... 수용부211 ... Inlet 212 ... Receptacle

220 ... 발광소자 230 ... 수광소자220 ... light emitting element 230 ... light receiving element

240 ... 계량판 241 ... 제1스케일부240 ... measuring plate 241 ... first scale part

242 ... 제2스케일부 250 ... 계량침242 ... 2nd scale part 250 ... Weighing needle

본 고안은 청정환경을 요하는 작업 예컨대, 무균 세포 배양, 세포핵 분리 등 세포를 이용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클린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이 클린 벤치에 채용되어 클린 벤치 내부의 공기 중에 파티클 등 불순물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측정 및 표시해주기 위한 파티클 미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bench for performing a work requiring a clean environment, for example, sterile cell culture, nuclear cell separation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cle meter employed in this clean bench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how much impurities such as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clean bench.

클린 벤치는 그 내부에 세포를 대상으로 한 각종 실험 및 관찰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바이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포 배양, 세포 복제 등에 클린 벤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clean bench is a device for conducting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n cells therein. As the biotechnology is developed, the demand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cloning technology, clean benches are widely used for cell culture and cell cloning.

이러한 클린 벤치는 세포를 놓아두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모든 작업은 이 공간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클린 벤치의 공간부는 매우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불순물이 일정 수준 이상 유입되지 못하게 하여야 한다. 불순물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입되면 세포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실험이나 관찰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종래의 클린 벤치에서는 에어 커튼을 설치하거나 필터를 설치하거나 공기를 순환시키는 등 클린 벤치의 외부와 공간부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Such a clean bench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cells are placed, and all work is done in this space. Accordingly, the space portion of the clean bench must be kept very clean and impurities must not be introduced more than a certain level. This is because when impurities are introduced above a certain level, they not only affect the cells but also cause errors in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In the conventional clean bench, various tests have been conducted to isolate the outside of the clean bench from the space, such as installing an air curtain, installing a filter, or circulating air.

그러나, 종래의 클린 벤치에서는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해주거 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환경이 적합하게 조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종래의 클린 벤치를 이용하는 실험자나 작업자는 클린 벤치의 공간부내에 어느 정도의 파티클과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 수가 없었으며,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클린 벤치를 일정 시간 이상 가동시킨 후 공간부에 파티클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다고 생각되었을 때 작업을 진행하였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ean bench, there was no specific mean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articles and displaying them, or determining whether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work is properly created. Therefore, the experimenter or the operator using the conventional clean bench could not know how much particles and impurities are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clean bench, and after operating the clean bench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proceeding with the space portion, When we thought that the particles fell below a certain level, we proceeded.

이에 따라, 클린 벤치의 공간부에 아직 많은 양의 파티클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실험이 이루어지게 되고, 실험 결과가 나왔을 때 그 결과가 외부의 파티클에 의한 요인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것인지에 대하여 명확히 판단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실험을 몇 번 반복하여 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even when a large amount of particles still exist in the space of the clean bench, the experiment is performed, and whe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found, it was impossible to clearly determine whether the results were caused by external particles or normal. . Accordingly, the same experiment should be repeated several time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and effort was consumed.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정환경을 요하는 공간부에 파티클 등 불순물이 어느 정도 포함되었는지를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작업환경이 적합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어 실험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클린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not only to make it easy for the operator to know how much impurities such as particles are included in the space requiring a clean environment, but also to know whether the working environment is properly made through thi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lean bench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experiments can be conducted efficiently.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린 벤치의 작업 공간에서 파티클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파티클 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cle meter to know the amount of particles in the workspace of the clean benc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클린 벤치는, 청정 환경이 요청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수단 및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 중에 포함된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파티클 미터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clean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nclosur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is formed so that a clean environment can be requested, the circulation means for circulating the ai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enclosur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enclosure, the particle meter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amount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enclosure.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티클 미터는,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를 향해 광을 발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사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파티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용부에 존재하는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측정된 파티클의 양을 기초로 상기 공간부에 포함되어 있는 파티클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Particl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case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housing for receiv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the case A light emitting device which emits light toward the air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the particle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contained in the ai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 particle unit included in the space unit based on a light receiving element disposed in the unit, an arithmetic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articles present in the receiving unit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n amount of particles measured from the arithmetic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파티클 미터의 디스플레이부는, 파티클의 양이 표시되어 있는 계량판과, 상기 계량판 상에서 파티클의 양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침을 구비하며, 상기 계량판은, 파티클의 양을 넓은 간격으로 표시하고 있는 제1스케일부와, 상기 제1스케일부에 포함된 일정 범위를 다시 세밀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스케일부의 일정 범위에 표시된 파티 클의 양을 이 제1스케일부에 비하여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제2스케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용부 내의 파티클의 양이 작업을 진행하는데 적합한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상기 계량판은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of the particle meter includes a metering plate in which the amount of particles is displayed, and a metering needle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so as to indicate the amount of particles on the metering plate. The metering plate is configured to divide the first scale portion displaying the amount of particles at a wide interval and the predetermined range included in the first scale portion into fine intervals so that the amount of particles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first scale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 second scale portion capable of displaying accurately relative to the first scale portion, so that the weighing plate is at least 2 so as to know whether the amount of particles in the receiving portion is suitable for the op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ivided into three are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 벤치 및 파티클 미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lean bench and a particle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 벤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lean be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 벤치(100)는 함체(10), 순환수단 및 파티클 미터(2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청정환경이 요청되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세포를 이용한 작업을 예로 들어 설며하기로 한다. 1 and 2, the clean bench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circulation means, and a particle meter 200.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ceed with a task that requires a clean environment,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by the operation using the cell as an example.

상기 함체(10)는 하우징(11)을 구비한다. 이 하우징(11)은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12)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부(13)와, 상기 측벽부(13)로부터 다시 절곡되어 상기 바닥부(1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정부(14)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2), 측벽부(13) 및 천정부(14)로 이루어진 하우징(11)은 대략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에는 덮개창(15)이 결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덮개창(15)의 상단은 상기 천정부(14)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바닥부(12)에 결합된다. 덮개창(15)이 하우징(11)에 결합되면, 덮개창(15)과 하우징(11)에 의하여 둘러싸인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이 세포가 배치되는 공간부(16)를 형성한다. 이 공간부(16)는 상기 덮개창(15)의 개폐됨에 따라 함께 개방 및 폐쇄된다.The enclosure 10 has a housing 11. The housing 11 has a bottom portion 12, a side wall portion 13 formed by b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2, and is bent again from the side wall portion 13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12. It has a ceiling (14) arranged to be. The housing 11 including the bottom part 12, the side wall part 13, and the ceiling part 14 is formed to have a 'c' shape in its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cover window 15 is coupled to the housing 11,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Combined. When the cover window 15 is coupled to the housing 11, a predetermined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window 15 and the housing 11 is formed, which forms the space portion 16 in which the cells are disposed. The space 16 is opened and closed together as the cover window 15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순환수단은 함체(10)의 공간부(15)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공기유입구를 구비한다. 이 공기유입구(23)는 상기 함체(10)의 천정부(14)에 형성된다. 즉, 공기유입구(23)는 상기 천정부(14)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천정부(14)에 복수 개 배치된다. 또한 순환수단은 공기유출구를 구비한다. 이 공기유출구(21,22)는 함체(10)의 두 부분 즉, 바닥부(12)와 측벽부(13)에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2)에 형성된 공기유출구(21)는 바닥부(12)의 앞쪽에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된다. 또한 측벽부(13)에 형성된 공기유출구(22)는 측벽부(13)의 하측에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된다. 상기 천정부(14)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3)를 통해 공간부(16)로 유입된 공기는 측벽부(13)와 바닥부(12)에 각각 형성된 공기유출구(22,21)를 통해 배출된다. The circulation means is for circulating the ai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15 of the housing 10, and has a plurality of air inlets. This air inlet 23 is formed in the ceiling 14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air inlet 23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ortion 14, and a plurality of air inlets 23 are disposed on the ceiling portion 14. The circulation means also has an air outlet. These air outlet ports 21 and 22 are formed in two parts of the enclosure 10, namely, the bottom part 12 and the side wall part 13.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21 formed at the bottom part 1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front of the bottom part 12. 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outlets 22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13 ar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13.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16 through the air inlet 23 formed in the ceiling 14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s 22 and 21 formed in the side wall 13 and the bottom 12, respectively.

또한, 순환수단은 덕트(24)를 구비하는데, 이 덕트(24)는 공기유입구(23)와 공기유출구(21,22)를 상호 연통시킨다. 즉, 상기 덕트(24)는 함체(10) 바닥부(12)로부터 측벽부(13)를 거쳐 천정부(14)를 감싸며 배치된다. 이 덕트(24)를 통해 공기유출구(21,22)를 통해 공간부(16)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다시 공기유입구(23)로 가이드 됨으로써 공기는 순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순환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24)에는 송풍팬(26)이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circulation means has a duct 24, which communicates the air inlet 23 and the air outlets 21 and 22 with each other. That is, the duct 24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eiling portion 14 from the bottom portion 12 of the enclosure 10 via the side wall portion 13.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space 16 through the air outlets 21 and 22 through the duct 24 is guided to the air inlet 23 again so that the air circulates. Blowing fan 26 is disposed in the duct 24 so that the air circul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smoothly.

한편, 상기 순환수단은 헤파필터(27)를 구비한다. 이 헤파필터(27)는 공기의 순환경로상 공기유입구(23)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이 다. 즉, 상기 덕트(24)를 통해 가이드된 공기는 헤파필터(27)를 거친 후 공기유입구(23)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공간부(16)로 유입되기 전에 공기 중의 파티클 등 불순물은 필터링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on means is provided with a HEPA filter (27). The HEPA filter 27 is disposed in front of the air inlet 23 on the circulation path of the air to purify the air. That is, the air guided through the duct 24 passes through the HEPA filter 27 and then guides to the air inlet 23, so that impurities such as particles in the air are filtered before entering the space 16.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린 벤치(100)에서는 외부의 공기가 거의 유입되지 않는 조건에서 자체적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사용하며, 순환되는 공기는 헤파필터(27)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필터링 되므로 공간부(16) 내의 파티클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lean ben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s circulated by itself under conditions in which external air is hardly introduced, and the circulated air is continuously filtered by the HEPA filter 27, thereby providing space. Particles in section 16 can be controlled to some level.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클린 벤치(100)는 파티클 미터(200)를 구비한다. 상기 파티클 미터(200)는 함체(10)의 공간부(16)에 배치된다. 이 파티클 미터(200)는 상기 공간부(16) 내의 공기 중에 파티클 등 불순물의 양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즉, 클린 벤치(100)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실험을 시작하기 전 또는 실험을 진행하는 중에 상기 공간부(16)의 파티클 양을 지속적으로 알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자는 클린 벤치(100)를 가동시켜 공간부(16) 내의 공기가 어느 정도 정화된 시점에서 작업을 시작하는데, 이용자는 상기 파티클 미터(200)를 통해 공간부(16) 내의 파티클 양을 알 수 있음으로 작업개시시점을 명확히 판단가능하다. 또한, 상기 순환수단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의 양이 증대되므로, 이용자는 파티클 미터(200)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실험을 중단하여 시료를 보호할 수 있고, 순환수단을 적기에 수리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 ben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rticle meter (200). The particle meter 200 is disposed in the space 16 of the housing 10. The particle meter 200 measures and displays the amount of impurities such as particles in the air in the space 16. That is, to enable the operator using the clean bench 100 to continuously know the particle amount of the space 16 before starting the experiment or during the experiment. In general, the user starts the clean bench 100 to start the work at a time when the air in the space portion 16 is purified to some extent,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amount of particles in the space portion 16 through the particle meter 200. It is possible to clearly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of work as it can be seen. In addition, if a problem occurs in the circulation means, the amount of particles is increas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is through the particle meter 200 to stop the experiment to protect the sample, and to repair the circulation means in a timely manner do.

도면을 참조하여, 파티클 미터(2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article mete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미터의 개략적 사시도이 며, 도 4는 도 3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티클 미터의 계량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ticle me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er plate of the particle meter shown in FIG. 3. to be.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는 파티클 미터(200)는 케이스(210)를 구비한다. 이 케이스(210)에는 함체(10)의 공간부(16)에 수용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211)의 하측에는 이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The particle meter 200, which acts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case 210. The case 210 is formed with an inlet 211 through which air accommodated in the space 16 of the enclosure 10 can be introduced. A receiving part 212 is formed below the inlet 211 to accommodat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1.

상기 수용부(212)에는 발광소자(220)와 수광소자(230)가 각각 배치되는데, 발광소자(220)의 발광면과 수광소자(230)의 수광면은 서로 대면하지 않도록 소정 각도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 발광소자(220)로는 LED, 레이저 다이오드(LD) 등 전광변환소자가 채용되며, 상기 수광소자(230)로는 포토 다이오드(PD) 등 광전변환소자가 사용된다. 상기 발광소자(220)는 상기 유입구(211)의 하측 수용부(212)를 향해 레이저 등 광을 연속적으로 발사한다. 수용부(212)에 있는 공기 중에 파티클(p)이 섞여 있는 경우 발광소자(220)에 의하여 발사된 광은 이 파티클(p)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수광소자(230)로 입사된다. 상기 수광소자(230)는 광을 수광하여 연산부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연산부에서는 수광소자(230)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파티클(p)의 양을 측정 및 연산할 수 있다. 발광과 수광을 일정 시간 지속함으로써 함체(10) 내의 공간부(16)에 있는 공기 중에 파티클이 얼마나 섞여 있는지 알 수 있다. 상기 함체(10)의 공간부(16)에 수용된 공기는 파티클 미터(200)의 유입구(211)를 통해 자유롭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으므로, 파티클 미터(200)를 통해 측정된 파티클의 양은 상기 함체(10)의 공간부(16)에 있는 공 기 중에 포함된 파티클의 양으로 대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220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23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2,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20 and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230 are alternate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not to face each other. do.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220, an all-optical conversion device such as an LED and a laser diode (LD) is employed,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such as a photodiode (PD) is used as the light receiving device 230. The light emitting device 220 continuously emits light such as a laser towar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inlet 211. When particles p are mixed in air in the accommodating part 212,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220 is reflected by the particles p and is incident to the light receiving device 230. The light receiving element 230 receives light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o a calculator. The calculating unit may measur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the particle p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receiving element 230. By emitting light and receiving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know how much particles are mixed in the air in the space 16 in the enclosure 10. Since the air contained in the space 16 of the enclosure 10 may freely flow in and out through the inlet 211 of the particle meter 200, the amount of particles measured through the particle meter 200 may be determined by the enclosure ( Of course, it can be represented by the amount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in the space portion 16 of 10).

상기 연산부에서 측정된 파티클의 양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아날로그 형태로 구성된다. 즉, 파티클 미터(200)의 전면에 부착된 계량판(240)과 상기 계량판(240) 상에서 파티클의 양을 지시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침(250)을 구비한다. The amount of particles measured by the calculating unit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see through the display uni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portion is configured in analog form. That is, the measuring plate 240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article meter 200 and the metering needle 250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210 so as to indicate the amount of particles on the metering plate 240. do.

상기 계량판(240)은 제1스케일부(241)와 제2스케일부(242)로 나누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계량판(240)의 윗쪽이 제1스케일부(241)이며 아래쪽이 제2스케일부(242)이다. 제1스케일부(241)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파티클의 양에 따라, A영역과 B영역 및 C영역으로 구분된다. A영역에 표시된 파티클의 양(A1 ~ An)은 클린 벤치(100)를 사용하기에 적합할 정도의 적은 양이며, B영역에 표시된 파티클의 양(B1 ~Bn)은 보통 정도로서 클린 벤치(100)를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정도이며, C영역에 표시된 파티클의 양(C1 ~ Cn)은 매우 많은 정도로서 클린 벤치(100)를 사용하기에 매우 부적합한 정도이다. 상기 A영역과 B영역 및 C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계량침(50)이 A영역을 가르치고 있는 경우 클린 벤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The measuring plate 240 is divided into a first scale part 241 and a second scale part 242. Referring to FIG. 5, the upper portion of the measurement plate 240 is the first scale portion 241 and the lower portion is the second scale portion 242. The first scale part 241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are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cale part 241 is divided into an A area, a B area, and a C area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rticles. The amount of particles (A1 to An) indicated in the area A is small enough to be suitable for using the clean bench 100, and the amount of particles (B1 to Bn) indicated in the area B is a normal degree, which is the clean bench 100. It is not suitable to use, the amount of particles (C1 ~ Cn) displayed in the C region is a very large degree is very unsuitable to use the clean bench 100. The A area, the B area, and the C area are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The user may use the clean bench 100 when the metering needle 50 teaches the A area.

상기 제1스케일부(241)의 간격은 넓게 되어 있다. 즉, 파티클의 양을 넓은 간격으로 표시하고 있다. 반면, 제2스케일부(242)는 상기 제1스케일부(241)의 A영역을 다시 세밀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표시해 놓았다. 이에 따라, 계량침(250)이 제1스케일부(241)의 숫자와 숫자 사이에 걸쳐 있어 정확한 파티클의 갯수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제2스케일부(242)를 통해 그 숫자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스케일부(242)는 제1스케일부(241)의 A영역을 세분화하여 표시한 것으로서, A1 ~ An/3 ~ A2n/3 ~ An의 구간으로 분할해 놓았다.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cale portion 241 is wide. That is, the amount of particles is displayed at wide interval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cale part 242 divides and displays the area A of the first scale part 241 again at fine intervals. Accordingly, even when the metering needle 250 spans between the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first scale part 241 and the exact number of particles is not known, the number of the minute needle 250 more accurately knows the number through the second scale part 242. Can be. In more detail, the second scale part 242 is divided into sections A of the first scale part 241 and is divided into sections A1 to An / 3 to A2n / 3 to An.

또한, 사용자는 파티클 미터(200)에 모드선택 스위치(s)를 통해 계량판(250)의 제1스케일부(241)와 제2스케일부(242)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린 벤치(100)를 처음 가동하는 경우 공간부(16)에 많은 양의 파티클이 존재할 것인 바 먼저 제1스케일부(241)를 선택한다. 클린 벤치(100)를 가동시키면 계량침(250)은 C영역을 가르칠 것이고, 헤파필터(27)를 포함하는 클린 벤치(100)의 순환수단이 작동하면 파티클의 수는 점차 줄어들어 A영역까지 떨어질 것이다. 사용자는 계량침(250)을 확인하여 실험 등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작업을 개시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s)를 제2스케일부(242)로 선택하면, 계량침(250)은 제2스케일부(242) 상의 A2n/3 ~ An 영역에 있을 것이며, 순환수단이 계속 작동함에 따라 점차 A1 ~ An/3 영역으로 떨어질 것이다. 사용자는 실험을 계속하면서 계량침(250)이 A2n/3 ~ An 영역까지 올라가면 실험을 중단하는 등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scale part 241 and the second scale part 242 of the metering plate 250 through the mode selection switch s on the particle meter 200. For example, when the clean bench 100 is operated for the first time, a large amount of particles will be present in the space part 16. First, the first scale part 241 is selected. When the clean bench 100 is operated, the metering needle 250 will teach the C region, and if the circulation means of the clean bench 100 including the HEPA filter 27 is operated, the number of particles will gradually decrease to fall to the A region. will be. The user may start the experiment and the like by checking the metering needle 250.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s is selected as the second scale part 242, the metering needle 250 will be in the area A2n / 3 to An on the second scale part 242. As the circulation means continues to operate, it will gradually fall into the range A1 to An / 3. While continuing the experiment, the user can take measures such as stopping the experiment when the metering needle 250 rises to the area A2n / 3 to An.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지털 형태로 구현하여 파티클의 양을 단 단위까지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실제적으로 사용자가 주목하는 부분은 구체적인 파티클의 갯수가 아니라 클린 벤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아날로그 형태가 유리하다. 물론 본 실시예와 같은 아날로그 형태에서도 스케일부를 자세히 보면 파티클의 숫자를 알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형태가 유리한 것은 계량침(250)의 변화 추이를 쉽게 알 수 있어, 클린 벤치(100)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환경에 도달하기 전에 실험을 멈추는 등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digital form to display the amount of particles in units up to the number of units, but in practice, the user focuses on whether the clean bench 100 can be used, not the number of particles. The analog form as in the embodiment is advantageous. Of course, even in the analog form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you look closely at the scale, you can see the number of particles. In addition, the analog form is advantageous because the trend of change of the metering needle 250 can be easily seen, and the measures can be taken before reach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lean bench 100 is not suitable for u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함체(10)의 공간부(16)에 있는 공기 중의 파티클 양을 측정하여 이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용자에게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험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inform the user by measuring the amount of particles in the air in the space 16 of the enclosure 10, providing the user with ease of use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stability.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 등 작업에 있어서 세포가 놓여 있는 공간에 존재하는 파티클의 양을 측정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실험의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experiment can be measured and displayed the amount of particles present in the space in which the cell in the work, such as experiments targeting the cells.

또한, 파티클의 양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쉽게 클린 벤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순환수단의 고장 등 원치 않는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시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particles is displayed, the user can use the clean bench very easily, and even if an unwanted condition occurs such as a failure of the circulation means, the user can take precautions to safely protect the sample.

Claims (6)

청정 환경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for performing work in a clean environment;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수단; 및 Circulation means for circulating ai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enclosure; And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 중에 포함된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파티클 미터;를 구비하는 클린 벤치에 있어서,A clean bench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enclosure, the particle meter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amount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contained in the space of the enclosure; 상기 파티클 미터는, The particle meter,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A cas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contained in the space of the enclosure can be introduced, and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를 향해 광을 발사하는 발광소자;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emitting light toward air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사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파티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광소자; A light receiving element disposed inside the case to receive light reflected from particle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contained in the ai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art; 상기 수광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용부에 존재하는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는 연산부; 및 A calculat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articles present in the receiving unit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상기 연산부로부터 측정된 파티클의 양을 기초로 상기 공간부에 포함되어 있는 파티클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n amount of particles included in the space based on the amount of particles measured by the calculato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파티클의 양이 표시되어 있는 계량판과, 상기 계량판 상에서 파티클의 양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량침을 구비하며,The display unit includes a metering plate in which the amount of particles is displayed, and a metering needle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so as to indicate an amount of particles on the metering plate, 상기 수용부 내의 파티클의 양이 작업을 진행하는데 적합한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상기 계량판은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벤치.A clean 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ering plate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areas so that the amount of particles in the receptacle is suitable for carrying out wor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량판은, 파티클의 양을 넓은 간격으로 표시하고 있는 제1스케일부와, 상기 제1스케일부에 포함된 일정 범위를 다시 세밀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스케일부의 일정 범위에 표시된 파티클의 양을 이 제1스케일부에 비하여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제2스케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벤치. The metering plate may include: a first scale portion displaying the amount of particles at a wide interval; and a predetermined range included in the first scale portion again at a fine interval, thereby displaying an amount of particle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first scale portion. A clean bench comprising a second scale portion capable of accurately displaying a relative to the first scale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순환수단은 The circulation means 상기 함체의 공간부에 수용된 공기가 유출되도록 이 공간부의 바닥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공기유출구와, A plurality of air outlets respectively formed on the bottom and bottom surfaces of the space so that air contained in the space of the enclosure flows out; 상기 공기가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와, A plurality of air inlet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pace part to allow the air to flow into the space part, a duc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nlets and outlets; 상기 덕트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A blowing fan installed on the duct to circulate air; 공기의 순환경로 상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헤파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벤치. And a hepa filter disposed in front of the inlet on the circulation path of air to filter the air. 삭제delete
KR2020060032746U 2006-12-28 2006-12-28 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KR2004380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46U KR200438027Y1 (en) 2006-12-28 2006-12-28 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46U KR200438027Y1 (en) 2006-12-28 2006-12-28 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027Y1 true KR200438027Y1 (en) 2008-01-15

Family

ID=4134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746U KR200438027Y1 (en) 2006-12-28 2006-12-28 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02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85B1 (en) 2008-02-25 2008-10-23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Multistation
CN109453830A (en) * 2018-10-23 2019-03-12 东莞理工学院 Suitable for chemical plant experimental demonstration device
KR200490864Y1 (en) * 2019-06-14 2020-01-14 주식회사 엠이씨인터네셔날 a suppiy apparatus for dust removal and purification air of laundret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85B1 (en) 2008-02-25 2008-10-23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Multistation
CN109453830A (en) * 2018-10-23 2019-03-12 东莞理工学院 Suitable for chemical plant experimental demonstration device
KR200490864Y1 (en) * 2019-06-14 2020-01-14 주식회사 엠이씨인터네셔날 a suppiy apparatus for dust removal and purification air of laundret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221B2 (en) Opto-electrochemical sensing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dustrial fluids
KR100864685B1 (en) Multistation
CN100439898C (en) Surface particle detector
KR101799951B1 (en) Air cleaner optimizing position of sensors
KR200438027Y1 (en) Particle meter and Clean bench having the particle meter
US20220205925A1 (en) Flow Cell System for Optical Fluid Analysis and Bioreactor System
KR20130108976A (en) Fan-and-filter unit
CN101715550A (en) Compact, low cost particle sensor
CN110062805A (en) The inspection method and its device of microorganism
CN103575695B (en) A kind of the GN 2 oxide content pick-up unit
US8634076B2 (en) Multi-sample scattering measurements
US7869037B2 (en)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CN109374552A (en) A kind of water body absorption coefficient measuring device based on segmentation optical path
KR101159120B1 (en) Medulla meter system us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d supervising water analysis of generating water
CN206627433U (en) A kind of cell rack of ultraviolet specrophotometer
CN105388097A (en) measurement device
CN109781217A (en) A kind of detection device for water meter
CN105547950B (en) A kind of air quality detector
JP2008089395A (en) Photocatalyst meter, optical power measuring method and sensor head used therein
CN205607857U (en) Semi -automatic four -channel coagulation analyzer
CN108426845A (en) A kind of portable online full spectral water quality monitor
CN210070985U (en) Intelligent temperature and humidity verification box
US4656874A (en) Flowmeter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measurement module and display
CN206945133U (en) Laser half-peak power spectral line width calculating device
KR20080061784A (en)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lo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