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502Y1 - Outdoor chair - Google Patents

Outdoor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502Y1
KR200437502Y1 KR2020060032170U KR20060032170U KR200437502Y1 KR 200437502 Y1 KR200437502 Y1 KR 200437502Y1 KR 2020060032170 U KR2020060032170 U KR 2020060032170U KR 20060032170 U KR20060032170 U KR 20060032170U KR 200437502 Y1 KR200437502 Y1 KR 200437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elastic device
center
outdoor chair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1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현
문찬수
Original Assignee
문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현 filed Critical 문성현
Priority to KR2020060032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5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50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6Seats made of wooden, plastics, or metal sheet material; Panel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 하중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좌판과, 상기 좌판 각각이 독립적으로 압축 하중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장치 및 상기 탄성 장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야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신체의 하중에 의한 진동이 의자 전체로 전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전달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락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seat plat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enable vertical movement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load, and at least one elastic devic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so that each of the seat plates independent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load. An outdoor chair comprising a base portion for fixing and supporting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caused by the load of the body is not transmitted to the entire chair but only partially so that the user can rest comfortably and comfortably.

야외용 의자, 벤치, 스프링, 벨로우즈(bellows) Outdoor chairs, benches, springs and bellows

Description

야외용 의자{Outdoor chair}Outdoor chair {Outdoor chai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좌판과 탄성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and the elastic device are connected.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도 4는 좌판의 하면에 탄성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도 5는 좌판의 하면에 탄성 장치가 2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elastic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도 6a는 좌판의 하면에 탄성 장치가 설치된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좌판, 베이스부 및 탄성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n elastic device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the base part, and the elastic device are connected.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좌판의 중심부가 각 탄성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9A and 9B show that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forms the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each elastic device is installed.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보여주는 사 시도이다. 10 is a trial show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9.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210, 310: 좌판 120, 220, 320: 탄성 장치110, 210, 310: seat plate 120, 220, 320: elastic device

130, 230, 330: 베이스부 140, 240, 340: 다리부130, 230, 330: base portion 140, 240, 340: leg portion

150: 중간 연결부재 160: 등받이부150: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60: backrest

본 고안은 야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시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야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door chair that can feel a cushion when seated.

일반적으로 벤치 등과 같은 야외용 의자는 공공 장소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휴식과 편의를 제공한다. 야외용 의자(벤치)는 통상적으로 등받이, 좌판, 상기 좌판 하부에 설치된 다리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outdoor chairs such as benches are arranged in a public place to provide relaxation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 outdoor chair (bench) is typically composed of a backrest, a seat plate, and a leg installed under the seat plate.

한편, 공공 장소의 실내에 설치되는 의자에는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착석감을 제공하기 위해 의자의 시트에 다양한 방법으로 쿠션을 설치하게 되는데, 대부분 스펀지를 이용하여 쿠션감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쿠션이 있는 시트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스펀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찢어지기가 쉽고, 비나 물에 젖을 수 있으므로 야외용으로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ir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a public place to provide a cushion to the seat of the chair in a variety of ways to provide comfort and seating comfort to the user, most of which is given a cushion using a sponge. However, even if it is made of a cushioned shee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ponge is used, it is easy to tear, and it is difficult to use for outdoor use because it may be wet with rain or water.

일반적으로 야외용 의자는 딱딱한 재질의 좌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딱딱한 재질의 좌판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안락감과 편안함을 주지 못하며,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고 오래 앉아 있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the outdoor chair is made of a hard seat, when the seat is made of a hard material does not give the user comfort and comfor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and difficult to sit for a long tim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착석시 쿠션감을 느낄 수 있어 편안하고 안락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야외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chair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a cushion when seated and to rest comfortably and comfortably.

본 고안은, 압축 하중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좌판과, 상기 좌판 각각이 독립적으로 압축 하중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장치 및 상기 탄성 장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야외용 의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seat plat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enable vertical movement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load, and at least one elastic devic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so that each of the seat plates independent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load. An outdoor chair comprising a base portion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device.

상기 좌판은 견고한 재질의 목재, 철재, 플라스틱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at plate may be made of solid wood, steel, plastic or synthetic resin.

상기 탄성 장치는 밴드 클립에 의해 상기 좌판 또는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The elastic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seat plate or the base part by a band clip.

상기 탄성 장치는 나선형 스프링과, 상기 나선형 스프링을 외부에서 감싸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압축 및 확장에 따라 압축 및 확장이 가능한 벨로우즈로 이 루어질 수 있다. The elastic device may be made of a helical spring and a bellows that surrounds the helical spring from the outside and is compressible and expandable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the helical spring.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 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 내의 삽입홈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삽입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플러그와,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부분의 가장 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움푹 패인 넥(neck)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홈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넥에 의해 형성된 검림턱과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가 서로 맞물려서 고정될 수 있다. The bellows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or the base part by a fix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has a diameter of a portion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e seat plate or the base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 increasing plug and a neck recessed in the center direction at an edge of the portion to be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seat plate or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seat plate or the insertion groove of the base portion. The blackening jaw formed by the neck and the seat plate or the base portion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being engaged.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설치된 적어도 3개의 탄성 장치와, 상기 탄성 장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하중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상기 탄성 장치들이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는 야외용 의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eat plate on which the user sits, at least three elastic device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a base portion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in order to balance the load when the user is sitting. The central part of the seat plate provides an outdoor chair that forms a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elastic devices are installed.

상기 탄성 장치는 상기 좌판의 4개 모서리 부분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4개의 탄성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ur corners of the seat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at plate forms a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four elastic devices are installed.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설치된 적어도 3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장치와, 상기 탄성 장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하중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들이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late on which the user sits, at least three support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at least one elastic devic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base portion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In order to balance the load when the user is sitting,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provides an outdoo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s are installed.

상기 지지대는 상기 좌판의 4개 모서리 부분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4개의 지지대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ur corners of the seat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forms a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four support bars are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doesn't happen.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igure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좌판과 탄성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b는 좌판, 베이스부 및 탄성 장치가 체결 부재 또는 고정 수단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plate and an elastic device are connected,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One drawing. 4 to 6b are views showing the seat plate, the base portion and the elastic device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or a fixing means.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독립적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복수 개의 좌판(11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좌판(110)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장 치(1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좌판(110)은 비나 눈 등에 내구성이 있는 견고한 재질의 목재, 철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to 6B, 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at plates 11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llow independent vertical movement. The plurality of seat plate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elastic device 120. The seat plate 110 may be made of wood, iron, plastic, synthetic resin, etc. of a durable material that is durable in rain or snow.

상기 탄성 장치(120)는 복수 개의 좌판(110)이 압축 하중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 좌판(110)의 일면(예컨대,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탄성 장치(120)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서로 독립적으로 하중을 지지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탄성 장치(120)는 하중을 받는 방향(탄성 장치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탄성 장치(120)는 사람의 착석 등으로 인한 압축 하중에 독립적으로 힘을 받도록 좌판(110)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은 탄성 장치(120)의 축방향(하중을 받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At least one elastic device 120 is installed on one surface (eg, lower surface) of each seat plate 110 so that the plurality of seat plates 110 can move independently of the compressive load. The elastic devices 120 are arranged in close proximity to one another and support the load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plurality of elastic devices 12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axial direction of the elastic device). The elastic device 120 is provided in plurality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at plate 110 so as to receive a force independently from the compressive load due to a person's seating, etc., each of the elastic device 120 in the axial direction (load receiving direction) of each other Arranged in parallel.

탄성 장치(120)의 일단은 좌판(110)에 연결되고 탄성 장치(120)의 타단은 베이스부(130)에 고정된다. 베이스부(130)는 탄성 장치(120)를 중심으로 좌판(110)의 반대 쪽에 배치된다. 탄성 장치(120)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130)는 일체형의 판상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탄성 장치(120)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One end of the elastic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device 120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130. The base unit 13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 plate 110 with respect to the elastic device 120. The base unit 13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120 may be an integral plate-like structure,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120.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는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 개의 다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부(130)는 다리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부(130)는 다리부(14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장착된다. 좌식 의자의 경우에는 다리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egs 140 which are vertically erected, and the base 130 may be supported by the legs 140. The base portion 130 is assembled to the leg portion 14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Legs may not be included in a legless chair.

도 1에는 중간 연결부재(150)로 나뉘어져서 3명이 앉을 수 있도록 배열된 야 외용 의자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1명, 2명 또는 4명 이상이 앉을 수 있는 야외용 의자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illustrates an outdoor chair which is divided into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50 and arranged to allow three people to s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case of an outdoor chair in which one, two or four or more people can sit. Even wi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탄성 장치(120)는 압축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압축 하중이 없어지면 복원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고무 재질의 탄성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복수의 회전수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 등 일 수 있다. 상기 탄성 장치(120)는 화염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astic device 120 may be made of a spring of a metallic material, an elastic body of a rubber material, etc., which contracts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and is restored when the compressive load is lost. The spring may be a spiral spring or the like having a plurality of revolutions. The elastic device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durable against the flame.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하중을 받는 부분의 탄성 장치(120)는 수축되고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의 탄성 장치(120)는 그대로 정상 위치에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안락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신체의 하중에 의한 진동이 야외용 의자 전체로 전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전달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락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있어 인체에 의한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가중되는 압박도 적고, 따라서 요통 등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its on the outdoor chair, the elastic device 120 of th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under load is contracted and the elastic device 120 of the unloaded portion remains in the normal position, thereby providing comfort and comfort to the user. Can give Vibration caused by the load of the body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door chair as a whole but only partially so that the user can rest comfortably and comfortably. In this way, the load can be independently received, so that the load by the human body can be properly distributed, so there is little pressure on the user's waist, and therefore, back pain and the like can be suppressed.

도 4는 좌판의 하면에 탄성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장치(120)는 압축 하중에 대하여 좌판(110)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좌판(110)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 장치(120)는 압축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압축 하중이 없어지면 복원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좌판(110)과 탄성 장치(120)는 밴드 클립(122)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밴드 클립(122)은 좌판(110)에 고정되고 탄성 장 치(120)의 일단이 밴드 클립(122)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부(130)와 탄성 장치(120)는 밴드 클립(122)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밴드 클립(122)은 베이스부(130)에 고정되고 탄성 장치(120)의 타단이 밴드 클립(122)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elastic device 1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110 so that the seat plate 110 independent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load. The elastic device 120 is made of a spring made of metal material that is contracted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and restored when the compressive load is lost. The seat plate 110 and the elastic device 120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and clip 122, the band clip 122 is fixed to the seat plate 110 and one end of the elastic device 120 It is fitted to the band clip 122 and fixed.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130 and the elastic device 120 is interconnected and fix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and clip 122, the band clip 122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130 and the elastic device 120 The other end of is inserted into the band clip 122 is fixed.

도 5는 좌판의 하면에 탄성 장치가 2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elastic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장치(120)는 압축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압축 하중이 없어지면 복원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밴드 클립(122)은 좌판(110)에 2개가 고정되고 탄성 장치(120)의 일단이 각 밴드 클립(122)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밴드 클립(122)은 베이스부(130)에 2개가 고정되고 탄성 장치(120)의 타단이 각 밴드 클립(122)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elastic device 120 is made of a spring made of a metallic material which contracts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and is restored when the compressive load is lost. Two band clips 122 are fixed to the seat plate 110 and one end of the elastic device 120 is fitted to each band clip 122 to be fixed. In addition, two band clips 122 are fixed to the base portion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device 120 is fitted to each band clip 122 is fixed.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탄성 장치에는 후술하는 벨로우즈(bellows)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벨로우즈는 아코디언 등의 주름 상자와 같이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벨로우즈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의 수축 및 확장에 따라 상기 벨로우즈도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하다. 스프링은 상기 벨로우즈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벨로우즈가 스프링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로우즈는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녹이 슬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여 의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S. 4 and 5, the elast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bellows described below. The bellows is formed in a pleated shape, such as a pleat box such as an accordion, and the bellows can also be shrunk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spring inserted into the bellows. A spring is inserted into the bellows, and the bellows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pring. The bellows may prevent the spring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o prevent rust or damage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chair.

도 6a는 좌판의 하면에 탄성 장치가 설치된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좌판, 베이스부 및 탄성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n elastic device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the base part, and the elastic device are connected.

도 6a를 참조하면, 탄성 장치(120)는 축 방향으로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한 벨 로우즈(bellows)(126)와, 상기 벨로우즈(126) 내에 삽입되고 축방향으로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한 스프링(124)을 포함한다. 상기 벨로우즈(126)는 아코디언 등의 주름 상자와 같이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스프링(124)의 수축 및 확장에 따라 벨로우즈도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하다. 스프링(124)은 벨로우즈(126) 내부에 삽입되며, 벨로우즈(126)가 스프링(124)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벨로우즈(126)는 스프링(124)이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녹이 슬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여 의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the elastic device 120 includes bellows 126 that can be contracted and expanded in an axial direction, and a spring 124 that is inserted into the bellows 126 and that can be contracted and expanded in an axial direction. ). The bellows 126 has a pleat shape like a pleat box such as an accordion, and the bellows can also be contracted and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spring 124. The spring 124 is inserted into the bellows 126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llows 126 surrounds the spring 124. The bellows 126 may extend the life of the chair by inhibiting the spring 124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rust or damage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벨로우즈(126)는 상기 좌판(110)에 고정 수단(128)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고정 수단(128)의 일단은 벨로우즈(126)에 삽입되며, 탄성 장치(120)와 좌판(110)을 연결하기 위하여 좌판(110) 내의 삽입홈(112)에 플러그(128a)를 삽입하고, 좌판(110)이 걸림턱(128b)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플러그(128a)는 삽입홈(11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주입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되며, 고정 수단(특히, 플러그(128a))가 좌판(110)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부분의 가장 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움푹 패인 넥(neck)(128c)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28a)가 삽입홈(112)에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상기 넥(128c)에 의해 형성된 검림턱(128b)과 좌판(110)은 서로 맞물려서 고정되게 된다. 좌판(110)은 플러그(128a)가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검림턱(128b)에 맞물리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B, the bellows 126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110 by fixing means 128. One end of the fixing means 128 is inserted into the bellows 126, and inserts the plug 128a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 in the seat plate 110 to connect the elastic device 120 and the seat plate 110, The seat plate 110 is installed to be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 128b. In order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 the plug 128a is provid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portion to be injected increas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jection direction, and a fixing means (particularly, the plug 128a) is provided on the seat plate ( A neck 128c recessed in the center direc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portion to be insert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110. When the plug 128a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 the blacking jaw 128b and the seat plate 110 formed by the neck 128c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fixed. The seat plate 110 is provided with an empty space such that the plug 128a is engaged with the black jaw 128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128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

또한, 상기 벨로우즈(126)는 상기 베이스부(130)에 고정 수단(128)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고정 수단(128)의 일단은 벨로우즈(126)에 삽입되며, 탄성 장치(120)와 베이스부(130)를 연결하기 위하여 베이스부(130) 내의 삽입홈(132)에 플러그(128a)를 삽입하고, 베이스부(130)가 걸림턱(128b)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플러그(128a)는 삽입홈(13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주입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되며, 고정 수단(특히, 플러그(128a))이 베이스부(130)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부분의 가장 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움푹 패인 넥(neck)(128c)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28a)가 삽입홈(132)에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상기 넥(128c)에 의해 형성된 검림턱(128b)과 베이스부(130)는 서로 맞물려서 고정되게 된다. 베이스부(130)는 플러그(128a)가 삽입홈(132)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검림턱(128c)에 맞물리도록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ellows 126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30 by fixing means 128. One end of the fixing means 128 is inserted into the bellows 126, and the plug 128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 in the base 130 to connect the elastic device 120 and the base 130. And, the base portion 13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hanging jaw (128b). In order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 the plug 128a is provid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portion to be injected increas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jection direction, and the fixing means (especially the plug 128a) is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A neck 128c recessed in the center direc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portion to be insert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130. When the plug 128a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 the blacking jaw 128b formed by the neck 128c and the base 1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fixed. The base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an empty space such that the plug 128a is engaged with the black jaw 128c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128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는 제1 실시예에 등받이부(16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착석하여 등을 등받이부(160)에 기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등받이부(160)는 다리부(14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160)는 다리부(14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베이스부(13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backrest 160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user can sit on the outdoor chair and lean on the backrest 160, the user can feel more comfortable. The backrest 160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to the leg 14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n addition, the backrest portion 16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eg portion 140,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130.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 내지 도 6b을 참조하여 설명한 탄성 장치를 등받이부(160)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도 1 내지 도 6b을 참조하여 설명한 좌판(110), 탄성 장치(120) 및 베이스부(130)를 등받이부(160)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등을 기댈 때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elastic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B may also be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160. That is, the seat plate 110, the elastic device 120, and the base portion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B may be installed in the backrest portion 160 so that a user may feel a cushion when he / she leans on his back. .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좌판의 중심부가 각 탄성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show that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forms the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each elastic device is installed.

도 8,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야외용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210)을 포함한다. 좌판(210)은 사용자 1인이 앉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며, 정육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의 일체형 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직사각형 등의 형태를 갖는 판을 복수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좌판(210)은 커플을 위해 2인이 동시에 앉아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좌판(210)은 비나 눈 등에 내구성이 있는 견고한 재질의 목재, 철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8, 9A and 9B, the outdoor chair includes a seat plate 210 on which a user sits. The seat plate 210 may have an area enough for one user to sit on,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gular hexagon, a square, a rectangle, a triangle, a circle, and an oval.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8, the plate may be formed of an integral plate having a square shape, or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lates having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seat plate 210 may have an area such that two people sit at the same time for the couple. The seat plate 210 may be made of wood, iron, plastic, synthetic resin, or the like of a durable material having durability such as rain or snow.

좌판(210)의 하부에는 적어도 3개의 탄성 장치(220)가 구비된다. 탄성 장치(220)는 압축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압축 하중이 없어지면 복원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고무 재질의 탄성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판(210)의 하부에 3개의 탄성 장치(220)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앉을 때 하중의 균형을 이루기 위 해 좌판(210)의 중심부(도 9a의 C)가 3개의 탄성 장치(도 9a의 S1, S2, S3)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도 8은 4개의 탄성 장치(220)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예로서, 좌판(210)의 4개 모서리 부분 하부에 탄성 장치(도 9b의 S1, S2, S3, S4)가 설치되고 좌판(210)의 중심부(도 9a의 C)가 4개의 탄성 장치(도 9b의 S1, S2, S3, S4)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가 앉더라도 무게 중심 위치에 앉게 되므로 자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하중이 한쪽의 탄성 장치(220)에만 치우치지 않게 된다. At least three elastic devices 220 are provided below the seat plate 210. The elastic device 220 may be made of a spring made of a metal material, an elastic body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like, contracted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and restored when the compressive load is lost. When the three elastic devices 220 ar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at plate 210,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210 (C of FIG. 9A) has three elastic devices (FIG. 9A) to balance the load when the user sits down. S1, S2, S3) is installed to form the center of gravity for the installed position.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four elastic devices 220 are installed. An elastic device (S1, S2, S3, and S4 of FIG. 9B) is installed below four corner portions of the seat plate 210, and the seat plate ( The central portion (C of FIG. 9A) of 210 forms a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four elastic devices (S1, S2, S3, S4 of FIG. 9B) are installed. Therefore, even if the user is sitting in the center of gravity position to be able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posture, the load is not biased to only one elastic device 220.

탄성 장치(220)의 일단은 좌판(210)에 연결되고, 탄성 장치(220)의 타단은 베이스부(230)에 고정된다. 베이스부(230)는 탄성 장치(220)를 중심으로 좌판(210)의 반대 쪽에 배치된다. 탄성 장치(220)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230)는 일체형의 판상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고, 탄성 장치(220)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베이스부(230)는 탄성 장치(220)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8에서는 2개의 탄성 장치(220)를 1개의 베이스부(230)가 지지하도록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One end of the elastic device 220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device 220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230. The base portion 23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 plate 210 about the elastic device 220. The base portion 23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220 may be an integral plate-like structure,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220. The base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number necessary to support the elastic device 220. In FIG. 8, an example in which two elastic devices 220 are installed to support one base 230 is shown.

야외용 의자는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 개의 다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30)는 다리부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230)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된다. 좌식 의자의 경우에는 다리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The outdoor chai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egs standing vertically. The base portion 230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on the leg portion. The base portion 230 is supported by the leg portion. Legs may not be included in a legless chair.

도 8에는 중간 연결부재로 나뉘어져서 3명이 앉을 수 있도록 배열된 의자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1명, 2명 또는 4명 이상이 앉을 수 있는 의자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8 illustrates a chair that is divided into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s and arranged so that three people can s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ir can sit one, two, or four or more peop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included.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앉을 경우, 탄성 장치(220)에 의해 사용자는 쿠션감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의 탄성 장치(220)는 많이 수축되고 하중을 거의 받지 않는 부분의 탄성 장치(220)는 거의 수축되지 않고 정상 위치에 있게 되며, 이러한 쿠션감은 사용자에게 안락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의 하중이 적절하게 분산되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가중되는 압박도 적고, 따라서 요통 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sits on the outdoor chair, the user may feel a cushion by the elastic device 220. The elastic device 220 of the portion that is heavily loaded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s contracted a lot and the elastic device 220 of the portion that is not heavily loaded is in a normal position with little contraction, and this cushioning feeling is comfortable for the user. Can give comfort. In this way, since the load of the body is properly distributed, there is little pressure on the user's waist, and therefore, back pain and the like can be suppressed.

도 4, 도 5 ,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들, 예컨대 탄성 장치(120)의 형태, 탄성 장치(120)와 좌판(110) 또는 베이스부(130)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122), 탄성 장치(120)와 좌판(110) 또는 베이스부(130)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 수단(128), 좌판(110)과 탄성 장치(120)의 연결 방법, 탄성 장치(120)와 베이스부(130)의 연결 방법 등에 대한 내용들은 모두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포함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4, 5, 6A and 6B,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elastic device 120, the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elastic device 120 and the seat plate 110 or the base 130 ( 122, the fixing means 128 for connecting the elastic device 120 and the seat plate 110 or the base portion 130,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seat plate 110 and the elastic device 120, the elastic device 120 and the base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unit 130 and the like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because it is inclu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는 등받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착석하여 등을 상기 등받이부에 기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다리부(24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는 다리부(24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베이스부(23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ackrest (not shown). The user may feel more comfortable because the user can be seated on the outdoor chair and lean on the back. The backrest part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to the leg part 24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n addition, the backrest portion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eg portion 24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230.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탄성 장치를 등받이부에도 적 용할 수도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좌판(210), 탄성 장치(220) 및 베이스부(230)를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등을 기댈 때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elastic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may also be applied to the backrest portion. That is, the seat plate 210, the elastic device 220, and the base portion 2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may be installed on the backrest so that the user can feel a cushion when he / she leans on his back.

<제4 실시예>Fourth Example

도 1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chair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야외용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310)을 포함한다. 좌판(310)은 사용자 1인이 앉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며, 정육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의 일체형 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직사각형 등의 형태를 갖는 판을 복수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좌판(310)은 커플을 위해 2인이 동시에 앉아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좌판(310)은 비나 눈 등에 내구성이 있는 견고한 재질의 목재, 철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and 11, the outdoor chair includes a seat plate 310 on which a user sits. The seat plate 310 may have an area enough for one user to sit on,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a regular hexagon, a square, a rectangle, a triangle, a circle, and an ov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and FIG. 11, it may be comprised by the integral plate of a square shape, and may be comprised by arrange | positioning multiple plates which have a form, such as a rectangle. The seat plate 310 may have an area such that two people sit at the same time for the couple. The seat plate 310 may be made of wood, iron, plastic, synthetic resin, or the like of a durable material that is durable in rain or snow.

좌판(310)의 하부에는 좌판(310)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3개의 지지대(370)를 포함한다. 지지대(370)와 좌판(310)은 나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된다. 지지대(370)는 수직형, 사선형 등의 형태를 갖는 철재, 목재,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지지대(370)가 사선형 막대 형태를 갖는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수직형 막대 형태를 갖는 경우에 비하여 압축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310 includes at least three supporters 370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310. The support 370 and the seat plate 310 are assembled and connected by fastening members (not shown) such as screws. The support 370 may be made of iron, wood, plastic or synthetic resin having a vertical or diagonal shape. 10 and 11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upport 370 has a diagonal bar shape, and has an advantage of dispersing a compressive loa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a vertical bar shape.

좌판(310)의 하부에 3개의 지지대(370)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앉을 때 하중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좌판(310)의 중심부가 3개의 지지대(37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도 10은 4개의 지지대(370)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예로서, 좌판(310)의 4개 모서리 부분 하부에 지지대(370)가 설치되고 좌판(310)의 중심부가 4개의 지지대(37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가 앉더라도 무게 중심 위치에 앉게 되므로 자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When installing the three support 37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310,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310 to form a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three support 370 is installed in order to balance the load when the user sits Install. FIG.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four supporters 370 are installed. A support 370 is installed below four corner portions of the seat plate 310, and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310 is four supporters 370. The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installed position.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sits, sitting in the center of gravity position can maintain the balance of posture.

각 지지대(37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장치(320)가 구비된다. 탄성 장치(320)는 압축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압축 하중이 없어지면 복원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고무 재질의 탄성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장치(320)의 형태는 도 4, 도 5 ,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탄성 장치(120)의 형태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At least one elastic device 320 is provided below each support 370. The elastic device 320 may be made of a spring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 elastic body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like, which contracts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and is restored when the compressive load is lost. The shape of the elastic device 320 may be applied to the shape of the elastic device 1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4, 5, 6A and 6B,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4, 도 5 ,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좌판(110)과 탄성 장치(120)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122) 또는 고정 수단(128)을 사용하여 탄성 장치(330)와 지지대(370)를 연결할 수가 있으며,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elastic device 330 using the fastening member 122 or the fixing means 128 for connecting the seat plate 110 and the elastic device 1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5, 6A and 6B. And the support 370 can be connected,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탄성 장치(320)의 일단은 지지대(370)에 연결되고, 탄성 장치(320)의 타단은 베이스부(330)에 고정된다. 베이스부(330)는 탄성 장치(320)를 중심으로 지지대(370)의 반대 쪽에 배치된다. 탄성 장치(320)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330)는 일체형의 판상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고, 탄성 장치(320)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베이스부(330)는 탄성 장치(320) 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9에서는 1개의 탄성 장치(320)를 1개의 베이스부(330)가 지지하도록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One end of the elastic device 3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370,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device 320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330. The base portion 33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370 around the elastic device 320. The base portion 33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320 may be an integral plate-like structure,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320. The base portion 330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number necessary to support the elastic device 320.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elastic device 320 is installed so that one base part 330 is supported.

또한, 도 4, 도 5 ,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좌판(110)과 탄성 장치(120)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122) 또는 고정 수단(128)을 사용하여 탄성 장치(320)와 베이스부(330)를 연결할 수가 있으며,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elastic device 320 using the fastening member 122 or the fixing means 128 for connecting the seat plate 110 and the elastic device 1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5, 6A and 6B. And base portion 330 can be connected,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베이스부(330)는 탄성 장치(32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33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330a)은 탄성 장치(320)를 4면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장치(320)를 3면에서 감싸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장치(320)를 가이드 채널(330a)이 감싸고 있으므로 탄성 장치(32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며, 비, 눈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탄성 장치(320)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녹이 슬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여 야외용 의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The base 33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channel 330a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lastic device 320. The guide channel 330a may be configured to wrap the elastic device 320 on four sides, and may also be configured to wrap the elastic device 320 on three sides, as shown in FIG. 10. Since the guide channel 330a surrounds the elastic device 320, the elastic device 32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lastic device 320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rain and snow, thereby causing rust or damage. Can be suppressed to extend the life of the outdoor chair.

야외용 의자는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 개의 다리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30)는 다리부(34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330)는 다리부(340)에 의해 지지된다. 좌식 의자의 경우에는 다리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The outdoor chai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egs 340 vertically erected. The base part 330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to the leg part 34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e base part 330 is supported by the leg part 340. Legs may not be included in a legless chair.

도 10에는 중간 연결부재로 나뉘어져서 3명이 앉을 수 있도록 배열된 의자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1명, 2명 또는 4명 이상이 앉을 수 있는 의자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illustrates a chair that is divided by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and arranged so that three people can s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case of a chair in which one, two or four or more people can s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will be included.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앉을 경우, 탄성 장치(320)에 의해 사용자는 쿠션감 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의 탄성 장치(320)는 많이 수축되고 하중을 거의 받지 않는 부분의 탄성 장치(320)는 거의 수축되지 않고 정상 위치에 있게 되며, 이러한 쿠션감은 사용자에게 안락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의 하중이 적절하게 분산되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가중되는 압박도 적고, 따라서 요통 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sits on the outdoor chair, the user can feel the cushion by the elastic device 320. The elastic device 320 of the portion that is heavily loaded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s contracted a lot and the elastic device 320 of the portion that is not heavily loaded is in a normal position with little contraction, and this cushioning feeling is comfortable for the user. Can give comfort. In this way, since the load of the body is properly distributed, there is little pressure on the user's waist, and therefore, back pain and the like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는 등받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착석하여 등을 상기 등받이부에 기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다리부(34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는 다리부(34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베이스부(33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ackrest (not shown). The user may feel more comfortable because the user can be seated on the outdoor chair and lean on the back. The backrest part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to the leg part 34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n addition, the backrest portion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eg portion 34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330.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탄성 장치를 등받이부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좌판(310), 지지대(370), 탄성 장치(320) 및 베이스부(330)를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등을 기댈 때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elastic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may also be applied to the backrest portion. That is, the seat plate 310, the support 370, the elastic device 320 and the base portion 3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are installed on the backrest so that the user can feel a cushion when he / she leans on his back. can d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는 팔걸이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착석하여 팔걸이부(380)에 팔을 기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380)는 다리부(34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380)는 다리부(34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베이스부(330)와 일체형으로 구 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rmrest part 380. Since the user can sit on the outdoor chair and lean on the armrest 380, the user can feel more comfortable. The armrest part 380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to the leg part 34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n addition, the armrest portion 38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eg portion 34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330.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야외용 의자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하중을 받는 부분의 탄성 장치는 수축되고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의 탄성 장치는 그대로 정상 위치에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안락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신체의 하중에 의한 진동이 야외용 의자 전체로 전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전달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락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하중을 받을 수 있어 인체에 의한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가중되는 압박도 적고, 따라서 요통 등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its on the outdoor chair, the elastic device of th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is subjected to the load is contracted, and the elastic device of the unloaded portion is in the normal position, providing comfort and comfort to the user. Can give Vibration caused by the load of the body is not transmitted to the outdoor chair as a whole but only partially so that the user can rest comfortably and comfortably. In this way, the load can be independently received, so that the load by the human body can be properly distributed, so there is little pressure on the user's waist, and therefore, back pain and the like can be suppressed.

또한, 야외용 의자가 눈, 비 등의 외부 환경에 내구성이 있는 딱딱한 재질의 좌판으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탄성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의 탄성 장치는 많이 수축되고 하중을 거의 받지 않는 부분의 탄성 장치는 거의 수축되지 않고 정상 위치에 있게 되므로 이러한 쿠션감은 사용자에게 안락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의 하중이 적절하게 분산되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가중되는 압박도 적고, 요통 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outdoor chair is made of a seat plate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is durabl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snow or rain, the elastic device allows the user to feel the cushion, and the elastic device of the part that receives a lot of load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is cushioning can give the user a feeling of comfort and comfort since the elastic device in the portion that is highly contracted and hardly loaded is in a normal position with little contraction. Thus, since the load of the body is properly distributed, less pressure is applied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back pain and the like can be suppressed.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Claims (9)

압축 하중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좌판;A plurality of seat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enable vertical movement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load; 상기 좌판 각각이 독립적으로 압축 하중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장치; 및At least one elastic device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such that each seat plate independently moves with respect to a compressive load; And 상기 탄성 장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야외용 의자.Outdoor chair comprising a bas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사용자가 앉는 좌판;A seat on which the user sits;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설치된 적어도 3개의 탄성 장치;At least three elastic device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상기 탄성 장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A base portion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하중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상기 탄성 장치들이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Outdoo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forms the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elastic devices are installed to balance the load when the user is sitting. 사용자가 앉는 좌판;A seat on which the user sits;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설치된 적어도 3개의 지지대;At least three support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상기 지지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장치;At least one elastic device each connected to the support; 상기 탄성 장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A base portion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lastic device,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하중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들이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Outdoo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to the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is installed to balance the load when the user is sitt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견고한 재질의 목재, 철재, 플라스틱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at plate is made of solid wood, steel, plastic or synthetic resi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장치는 밴드 클립에 의해 상기 좌판 또는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last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or the base part by a band clip.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장치는 나선형 스프링과, 상기 나선형 스프링을 외부에서 감싸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압축 및 확장에 따라 압축 및 확장이 가능한 벨로우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4. The elast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device comprises a spiral spring and a bellows that surrounds the spiral spring from the outside and is compressible and expandable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the spiral spring. Outdoor chai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 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According to claim 6, The bellows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or the base portion by a fixing means, The fixing means,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 내의 삽입홈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삽입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플러그;A plug of which a diameter of a portion to be easily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in the seat plate or the base portion increas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insertion direction;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부분의 가장 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움푹 패인 넥(neck)을 포함하며, And a neck recessed in the center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portion insert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seat plate or the base portion, 상기 플러그가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홈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넥에 의해 형성된 검림턱과 상기 좌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가 서로 맞물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seat plate or the insertion groove of the base portion, the outdoor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ck jaw formed by the neck and the seat plate or the base portion is fixed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장치는 상기 좌판의 4개 모서리 부분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4개의 탄성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last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seat plate, and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forms the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four elastic devices are insta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좌판의 4개 모서리 부분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중심부가 4개의 지지대가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이루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The outdoor chai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ur corner parts of the seat plate, and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forms a center of grav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where the four support seats are installed.
KR2020060032170U 2006-12-20 2006-12-20 Outdoor chair KR2004375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70U KR200437502Y1 (en) 2006-12-20 2006-12-20 Outdoor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70U KR200437502Y1 (en) 2006-12-20 2006-12-20 Outdoor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502Y1 true KR200437502Y1 (en) 2007-12-05

Family

ID=4163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170U KR200437502Y1 (en) 2006-12-20 2006-12-20 Outdoor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502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50B1 (en) 2011-08-17 2012-02-28 유병준 Structure for mattress for bed
KR20230058790A (en) * 2021-10-25 2023-05-03 김길수 Ch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50B1 (en) 2011-08-17 2012-02-28 유병준 Structure for mattress for bed
KR20230058790A (en) * 2021-10-25 2023-05-03 김길수 Chair
KR102594861B1 (en) 2021-10-25 2023-10-27 주식회사 노벨홀딩스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en) posture holder
KR20150004485U (en) A cushion sit board for sofa
KR101094604B1 (en) Cushion apparatus for the back of a chair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US5707108A (en) Cushioning device
KR200437502Y1 (en) Outdoor chair
KR200419580Y1 (en) sit board for chair
KR100633346B1 (en) Seat back installing structure of chair
KR101826277B1 (en) Provided with a resilient reinforcing member sofa
US20060012235A1 (en) Spring chair (cushion) structure
KR200395763Y1 (en) Back division type chair
CN211065798U (en) Elastic frame piece, elastic assembly seat with elastic frame piece and chair
KR20170136185A (en) A chair and desk
KR102073647B1 (en) seat board cushion of chair
KR200439162Y1 (en) The chair which has the lumbar vertebra petal
KR20120055217A (en) Back seat structure of chair with lumbar supporting function
KR101832751B1 (en) Mattress with Independent springs
KR200445660Y1 (en) Chairs
KR101173247B1 (en) Chair for correcting used slider type
CN108283405B (en) Sofa bed damper and combined sofa bed with same
JP2004141649A (en) Chair
KR102574855B1 (en) A seat
KR200302692Y1 (en) Back of chair
US11700944B2 (en) Support apparatus
US20240057782A1 (en) Suppor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