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608Y1 -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608Y1
KR200435608Y1 KR2020060022505U KR20060022505U KR200435608Y1 KR 200435608 Y1 KR200435608 Y1 KR 200435608Y1 KR 2020060022505 U KR2020060022505 U KR 2020060022505U KR 20060022505 U KR20060022505 U KR 20060022505U KR 200435608 Y1 KR200435608 Y1 KR 200435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ed plant
water supply
water
po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도윤
Original Assignee
배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도윤 filed Critical 배도윤
Priority to KR2020060022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분을 다단적층하여 사용할때,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2)에 결합됨과 더불어, 하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벨브(11d) 및 유입관(11c)이 구비되는 본체(11)와 덮개(12)를 구비하는 자동 급수장치(1)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 화분 지지대(21)와 화분 본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분 지지대(21)는 상측에 화분 본체(22)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제1 홀(21a)과, 이 제1 홀(21a)로 물이 유입되도록 화분 지지대(21)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막(21b) 및, 화분 본체(22)의 물을 화분 지지대(21)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홀(21c) 및 제3 홀(21d)을 구비함과 더불어, 하단에 결합돌기(21e)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분 본체(22)는 하측 내부에 흙받이(22a)가 구비되고, 화분 본체(22)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통로(2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의 다단적재가 용이하고 화분의 관리가 편하며 물의 수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급수 장치가 구비된 화분을 구현할 수 있게된다.
화분, 자동급수, 다단적층

Description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Flowerpot with automatic watersupply}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다단 적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단 적층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사시도.
도 8a~ 8b는 도 7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단면사시도.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다단 적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다단 적층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자동 급수장치, 2 : 화분,
11 : 본체, 12 : 덮개,
21 : 화분 지지대, 21a : 제 1홀,
21b : 내부막, 21c : 제 2홀,
21d : 제 3홀, 21e : 결합돌기,
22 : 화분 본체, 22a : 흙받이,
22b : 공기통로,
본 고안은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분을 다단적층하여 사용할 때,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별도로 화단을 구비하지 않고, 간편하게 식물을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키우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화분의 밑에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별도의 홀이 구비되는데, 상기와 같은 화분에 급수를 하였을 경우, 물이 화분의 밑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화분을 사용할 때에는 화분에 별도의 화분 받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화분을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화분을 다단적층할 수 있는 화분 받침을 사용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분의 다단적층이 가능한 화분 받침을 사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1. 다단적층된 화분은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화분 각각에 일일이 급수를 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2. 다단적층된 화분에서 배출된 물이 화분받침대에 고이게 되는데, 이렇게 화분 받침대에 고인 물은 청결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여름철 사람에게 해로운 해충 및 미생물의 발생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3. 일정 이상으로 화분을 다단적층했을 경우, 최상위에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4. 화분을 다단적층하여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서, 물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화분 받침대에 물이 고이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식물을 원할히 재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물의 급수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고, 별도의 화분받침대가 필요 없이 다단적층이 가능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관점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은 화분에 결합됨과 더불어, 하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벨브 및 관이 밑면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하되는 덮개로 구성된 자동 급수장치와,상하가 개구된 원통형 화분 지지대와 화분 본체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분 지지대는 상측에 화분 본체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제1 홀과, 이 제1 홀로 물이 유입되도록 화분 지지대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막 및, 화분 본체의 물을 화분 지지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홀 및 제3 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하단에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분 본체는 하측 내부에 흙받이가 구비되고, 화분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통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 물통을 끼우기 위한 나선홀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 지지대 상측에 자동 급수장치가 결합되고, 복수의 화분이 화분 지지대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턱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서 배출된 물은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되고,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 홀을 통해 화분 본체로 유입되며, 화분 본체 내의 물은 제 2 및 제 3 홀을 통해 다시 화분 지지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화분의 하측에는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받침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관점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를 구비한 화분은 화분에 결합됨과 더불어 물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튜브를 측면에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하되는 덮개로 구성된 자동 급수장치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 화분 지지대와 화분 본체를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화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화분의 화분 지지대는 외상측에 화분 본체로 물을 유입하기 위하여 상하로 연장된 복수의 나선홈이 형성되고, 화분 본체의 물을 지지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홀 및 제3 홀이 형성되며, 하단에 다른 지지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분의 화분 지지대는 외상측에 화분 본체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되고, 이 다수의 나선홈으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제1 홀과 이 제1 홀로 물을 유입하는 내부 막 및 화분 본체의 물을 화분 지지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및 제3 홀이 형성되며, 하단에 다른 지지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본체는 하측 내부에 흙받이가 구비됨과 더불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통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 물통을 끼우기 위한 나선홀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화분의 화분 지지대 상측에 자동 급수장치가 결합되고, 제1 화분과제2 화분의 화분 지지대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턱을 통하여 복수의 화분이서로 결합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서 배출된 물은 제1 화분의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되고,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나선홈을 통해 화분 본체 내부로 유입되며, 화분 본체 내의 물은 제 2 및 제 3 홀을 통해 다시 화분 지지대 내부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배출된 물은 제2 화분의 화분 지지대 내부로 유입된 후 다시 복수로 적층된 제2 화분의 제1 홀을 통해 제2 화분의 화분지지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의 하측에는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받침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 급수장치의 관의 내부에 솜이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단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은 화분(2)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장치(1)와, 화분(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 급수장치(1)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원통형상의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본체의 하측 내부에 홀(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11a)을 중심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본체(11)의 상측은 덮개(12)를 결합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의 하부에는 화분(2)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11c)이 본체 하부에 형성된 홀(11a)과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유입관(11c)에는 화분(2)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벨브(11d)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 덮개(12)는 원형상의 판으로 형성고, 상기 덮개(12)의 중심에는 나선홀(12a)이 형성된다. 또한 분체 덮개(12)에는 상기 나선홀(12a)과 연장된 배출관(11c)이 구비되는데, 이 배출관(11c)에는 일정 이상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2)의 중심에 구비된 나선홀(12a)과 연장된 배출관(11c)은 본체(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의 나선홀(12a)에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물통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분(2)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 화분 지지대(21)와 화분 지지대(21)의 양측에 구비되는 화분 본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분 지지대(21)는 화분 본체(2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21a)이 화분 지지대(21)의 양측에 형성되고, 화분 지지대(21)의 내부에는 제1 홀(21a)로 물을 원활히 공급하기 위하여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내부막(21b) 및 화분 본체(22)에 공급된 물을 화분 지지대(21)의 내측으로 배수하기 위한 제2 홀(21c)과 제3 홀(21d)이 화분 지지대(21)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홀(21c)의 위치는 내부막(21b)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3 홀(21d)의 위치는 화분 지지대(21)의 하측 상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화분 지지대(21)의 하측에는 화분을 서로 다단적층 결합하기 위한 결합턱(22e)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화분 본체(22)는 일정 이상의 물이 화분 본체(22)에 고일 수 있도록 내부 하단에 흙받이(22a)가 구비되는데, 상기 흙받이(22a)는 화분 본체(22)에 구비된 결합턱(22e)에 결합된다. 상기 흙받이(22a)를 걸림턱에 결합하게 되면 예컨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홀(21d)의 상측에 흙받이(22a)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분 본체(22)의 내측에는 다수의 공기통로(22b)가 화분 본 체(22)의 하측에서부터 화분 본체(22)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데, 이는 화분 본체(22)에 고인 물이 변질되는걸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물 공급과 다단적층된 화분(2)간의 물공급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다단 적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단 적층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은 자동 급장치(1)에 물을 채워 넣거나, 또는 별도의 물통을 결합하여 자동 급수장치(1)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물이 공급된 자동 급수장치(1)를 다단적층된 화분(2)의 최상위 화분 지지대(21)에 결합한다. 이때, 자동 급수장치(1)의 하단에 구비된 벨브(11d)를 조절하여 화분(2)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분(2)에 자동 급수장치(1)를 결합하게 되면, 일정한 양의 물이 자동 급수장치(1)의 하부에 구비된 유입관(11c)을 통해 화분 지지대(21)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물은 화분 지지대(21)의 내부막(21b)과 제1 홀(21a)을 통하여 화분 본체(22)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물은 화분 본체(22)에 고이게 된다.
화분 본체(22)에 물이 일정하게 고여서 물이 화분 본체(22)에 형성된 제3 홀(21d)의 위치까지 차게 되면 제 3홀(21d)을 타고 물이 화분 지지대(2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제 3홀(21d)로 유입된 물은 다단적층된 화분 지지대(22)로 유입되게 되고, 이에 따라 적층된 화분으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공급의 순환으로 인하여, 다단적층된 다수의 화분(2)에 계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순환되게 되어 다단적층된 화분(2)의 맨 밑에 있는 화분(2)으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밑에 위치한 화분(2)은 별도로 구비된 화분 받침대(3)를 통하여 지지되는데, 상기 화분 받침대(3)에는 별도의 물받이 통(3a)이 구비되어 있어, 맨 밑에 위치한 화분(2)에서 나온 물이 물받이 통(3a)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의 화분(2)은 다단적층하여 사용하는 것 말고도 본 고안의 화분(2)을 각각 따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자동 급수되는 물의 양을 극소량이 공급되도록 벨브(11d)를 조절하여 별도의 화분 받침대(3)가 필요 없이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을 수경재배를 위하여 사용할 경우, 화분(2)에 구비된 제3 홀(21d)을 차단 부재(23) 예컨 데 실리콘 및 기타 마게로 막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3홀(21d)을 막게 되면, 자동 급수장치(1)에서 공급된 물이 화분 지지대(21)의 상측에 위치한 제 2홀(21c)의 위치까지 고이게 되고, 상기와 같이 고인 물은 제 2홀(21c)을 통해 화분 지지대(2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다단적층된 화분(2)의 물공급 순환과 동일하게 물이 다단적층된 화분(2)으로 계속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본 화분(2)을 이용하여 수경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사시도이고, 도 8a~ 8b는 도 7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은 화분(2)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급수장치(1)와, 화분(2)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자동 급수장치(1)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원통형상의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본체(11)의 상부 양측에는 홀(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11a)에는 내부에 솜이 삽입된 튜브(11e)가 상기 홀(11a)을 통해 본체 내부에서 본체 외부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내부에 솜이 삽입된 듀브(11e)는 본체 내부의 물이 솜을 통하여 흡수되어 관을 따라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 덮개에 대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화분(2)은 제1 화분과 제2 화분으로 구성되는데, 제1 화분(2a)과 제2 화분(2b)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 화분 지지대(21)와 화분 지지대(21)의 양측에 구비되는 화분 본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화분(2a)의 화분 지지대(21)의 외측에 자동 급수장치(1)의 튜브(11e)를 통해 공급된 물을 화분 본체(22)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나선홈(21f)이 형성되고, 화분 본체(22)에 공급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제2 홀(21c)과 제3 홀(21d)이 화분 지지대(21)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화분(2b)의 화분 지지대(21)의 외측에는 화분 본체(2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21a)과 제1 홀(21a)이 지지대 양측에 형성되고, 지지대 내부에는 제1 홀(21a)로 물을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한 내부 막(21b) 및 화분 지지대(21)의 외측에 제1 홀(21a)로 유입된 물을 화분 본체(22)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나선홈(21f)이 형성되고, 화분 본체(22)에 공급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제2 홀(21c)과 제3 홀(21d)이 화분 지지대(21)의 양측 형성된다.
기타 화분(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물 공급과 다단적층된 화분(2)간의 물공급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의 다단 적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9의 다단적층된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 분(2)의 물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장치(1)가 구비된 화분(2)은 자동 급수장치(1)에 물을 채워 넣거나, 또는 별도의 물통을 결합하여 자동 급수장치(1)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물이 공급된 자동 급수장치(1)를 다단적층된 화분(2)의 제1 화분(2a)의 화분 지지대(21)에 결합한다. 이때, 자동 급수장치(1)의 양측에 연장되어 나온 튜브(11e)를 화분 지지대(21)의 양측에 형성된 다수의 나선홈(21f)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화분(2a)에 자동 급수장치(1)를 결합하게 되면, 일정한 양을 물이 자동 급수장치(1)의 양측에 구비된 튜브(11e)를 통해서 화분 지지대(2)의 양측 다수의 나선홈(21f)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물은 제1 화분(2a)의 화분 지지대(21) 외부의 나선홈(21f)을 따라 화분 본체(22)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물은 화분 본체(22)에 고이게 된다.
화분 본체(22)에 물이 일정하게 고여서 물이 화분 본체(22)에 형성된 제3 홀(21d)의 위치까지 차게 되면 제 3홀(21d)을 타고 물이 화분 지지대(2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제 3홀(21d로 유입된 물은 다단적층된 제2 화분(2b)의 화분 지지대(21)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 화분(2b)의 화분 지지대(21)로 유입된 물은 내부 막(21b)과 제1 홀(21a)을 통해 화분 지지대(2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제1 홀(21a)에 인접하게 위치한 다수의 나선홈(21f)을 따라 화분 본체(22)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제1 화분(2a)의 화분은 자동 급수장치(1)를 설치하는 화분에만 사용되고 나머지 다단적층되는 화분(2)은 제2 화분(2b)이 사용된다. 제1 화분(2a)과 제2 화분(2b)의 다단적층 구성으로 인하여 물 공급 순환이 계속적으로 작용하여 맨 밑에 적층된 화분(2)으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기타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적층된 화분에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에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의 자동 급수장치를 다른 실시예에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지지대가 적용된 화분만을 사용하여 구성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의 다단적재가 용이하고 화분의 관리가 편하며 물의 수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급수 장치가 구비된 화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화분에 결합됨과 더불어, 하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벨브 및 관이 밑면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하되는 덮개로 구성된 자동 급수장치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 화분 지지대와 화분 본체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분 지지대는 상측에 화분 본체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제1 홀과, 이 제1 홀로 물이 유입되도록 화분 지지대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막 및, 화분 본체의 물을 화분 지지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홀 및 제3 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하단에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분 본체는 하측 내부에 흙받이가 구비되고, 화분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통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 물통을 끼우기 위한 나선홀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지지대 상측에 자동 급수장치가 결합되고, 복수의 화분이 화분 지지대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턱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서 배출된 물은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되고,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 홀을 통해 화분 본체로 유입되며, 화분 본체 내의 물은 제 2 및 제 3 홀을 통해 다시 화분 지지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하측에는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받침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6. 화분에 결합됨과 더불어 물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튜브를 측면에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하되는 덮개로 구성된 자동 급수장치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 화분 지지대와 화분 본체를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화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화분의 화분 지지대는 외상측에 화분 본체로 물을 유입하기 위하여 상하로 연장된 복수의 나선홈이 형성되고, 화분 본체의 물을 지지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홀 및 제3 홀이 형성되며, 하단에 다른 지지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분의 화분 지지대는 외상측에 화분 본체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되고, 이 다수의 나선홈으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제1 홀과 이 제1 홀로 물을 유입하는 내부 막 및 화분 본체의 물을 화분 지지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및 제3 홀이 형성되며, 하단에 다른 지지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본체는 하측 내부에 흙받이가 구비됨과 더불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통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 물통을 끼우기 위한 나선홀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분의 화분 지지대 상측에 자동 급수장치가 결합되고, 제1 화분과제2 화분의 화분 지지대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턱을 통하여 복수의 화분이서로 결합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장치에서 배출된 물은 제1 화분의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되고, 화분 지지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나선홈을 통해 화분 본체 내부로 유입되며, 화분 본체 내의 물은 제 2 및 제 3 홀을 통해 다시 화분 지지대 내부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배출된 물은 제2 화분의 화분 지지대 내부로 유입된 후 다시 복수로 적층된 제2 화분의 제1 홀을 통해 제2 화분의 화분지지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하측에는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받침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급수장치의 튜브에 솜이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2020060022505U 2006-08-22 2006-08-22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200435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05U KR200435608Y1 (ko) 2006-08-22 2006-08-22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05U KR200435608Y1 (ko) 2006-08-22 2006-08-22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402A Division KR100801133B1 (ko) 2006-08-22 2006-08-22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608Y1 true KR200435608Y1 (ko) 2007-02-05

Family

ID=4161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505U KR200435608Y1 (ko) 2006-08-22 2006-08-22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6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89Y1 (ko) * 2014-06-30 2014-10-28 김희수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
WO2019146836A1 (ko) * 2018-01-26 2019-08-01 왕영성 지층의 잔존수분을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89Y1 (ko) * 2014-06-30 2014-10-28 김희수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
WO2016003051A1 (ko) * 2014-06-30 2016-01-07 김희수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
WO2019146836A1 (ko) * 2018-01-26 2019-08-01 왕영성 지층의 잔존수분을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190091396A (ko) * 2018-01-26 2019-08-06 영 성 왕 지층에 잔존하는 수분의 포집과 공급을 위한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2012122B1 (ko) * 2018-01-26 2019-10-22 영 성 왕 지층에 잔존하는 수분의 포집과 공급을 위한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1163A1 (en) Hybrid aeroponic/hydroponic growing system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
KR200477950Y1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EP3518654B1 (en) Hydroponic growing unit
KR100801133B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20130061562A (ko) 식물 재배 장치
JP4564984B2 (ja) 育苗装置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20140081651A (ko)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KR101722974B1 (ko) 양액재배장치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1548154B1 (ko) 모듈형 식물재배기
KR20110010141A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KR200435608Y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JP7337405B2 (ja) 植物を栽培するため栽培システム
KR101176761B1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CN213095390U (zh) 一种多功能生态式植物养殖装置
TW202202039A (zh) 種植盆、配合該種植盆使用之供水盆、及包含該種植盆和該供水盆之植栽結構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100840963B1 (ko) 병용 가능한 꽃꽂이용 이단화분
KR101864596B1 (ko)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JP3813110B2 (ja) 連結式植物栽培用容器
KR200246644Y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