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519Y1 - Washing type air cleaner - Google Patents

Washing type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519Y1
KR200429519Y1 KR2020060021450U KR20060021450U KR200429519Y1 KR 200429519 Y1 KR200429519 Y1 KR 200429519Y1 KR 2020060021450 U KR2020060021450 U KR 2020060021450U KR 20060021450 U KR20060021450 U KR 20060021450U KR 200429519 Y1 KR200429519 Y1 KR 200429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shing water
ai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4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 규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스
Priority to KR2020060021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51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5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유해물질을 미세 물방울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습식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air purifier that removes dust o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by adsorbing fine droplets.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는, 하부는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분리 벽을 통해서 오염수 저수조와 세정수 저수조로 구획되고 상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면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는 공기 중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으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도전과 연결된 수돗물 공급관과;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노즐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돗물 공급관과 연통되어 있는 세정수 순환관과; 상기 오염수 저주조에 저장된 오염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수관과 연결된 오염수 배출관과; 상기 순환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물순환펌프와; 상기 오염수 배출관, 세정수 순환관 및 상기 수돗물 공급관에 각각 설치된 배출관 제어밸브, 순환관 제어밸브 및 공급관 제어밸브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설치된 수위측정기와;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된 송풍팬과; 상기 제어밸브들, 수위측정기 및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가 내장되어 수돗물, 세정수 및 오염수의 공급과 배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is divided into a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and a washing water reservoir through a separation wall so as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an upper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at both side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A case; A nozzle tube installed to spray fine water droplets in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ase; A tap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ap water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nozzle pipe; A washing water circula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ap water supply pipe so as to supply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to the nozzle pipe; A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to discharge the polluted water stored in the polluted water casting; A water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ipe so as to continuously circulate the washing water; A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a circulation pipe control valve, and a supply pipe control valv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pipe, and the tap water supply pipe; A level gauge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reservoir; A blowing fan installed to cause air to flow through the case;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s, the water level meter, and the blower fan, and having a built-in timer for counting tim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ap water, washing water and contaminated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공기청정기, 공기정화기, 세정수, 수돗물, 물방울, 필터, 습식 Air Purifier, Air Purifier, Washing Water, Tap Water, Droplet, Filter, Wet

Description

습식 공기정화장치{WASHING TYPE AIR CLEANER}Wet air purifier {WASHING TYPE AIR CLEA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습식 공기정화장치 11. 미세 물방울 여과막10. Wet air purifier 11. Fine droplet filter membrane

12. 케이스 13. 노즐관12. Case 13. Nozzle tube

14. 분리벽 17. 오염수 저수조14. Separation Wall 17. Polluted Water Reservoir

19. 세정수 저수조 24. 제습망19. Rinsing water reservoir 24. Dehumidification network

25. 열전소자 29. 자외선 램프25. Thermoelectric element 29. UV lamp

32. 외기 흡입구 34. 외기 투출구 32. Outside air inlet 34. Outside air outlet

44. 오염수 배출관 45. 배출관 제어밸브44.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45.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50. 제어부 65. 공급관 제어밸브50. Control unit 65. Supply line control valve

66. 수돗물 공급관 75. 오염도측정기 66. Tap water supply pipe 75. Pollution degree meter

85. 순환관 제어밸브 86. 물순환펌프85. Circulation pipe control valve 86. Water circulation pump

88. 세정수 순환관 95. 수위측정기88. Rinsing water circulation pipe 95. Level gauge

본 고안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이나 유해물질을 미세 물방울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습식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air purifier that removes dust o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by adsorbing fine droplets.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에 의해서 오염된다. 이러한 오염 물질들은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유발하며, 유기물질의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는 현기증과 무기력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주택과 같이 밀폐된 실내는 실내공기를 순환시켜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정화장치(이하 '공기정화장치'라 함)를 사용한다.In general, air in an enclosed space is contaminated by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emitted from indoor dust and building materials. These pollutants cause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and the unpleasant odor caused by the decay of organic substances causes symptoms such as dizziness and lethargy, which adversely affects health. Therefore, an enclosed room such as an office or a house uses an air purifier or an air pur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purifier') that circulates indoor air to remove contaminants.

즉, 실내 공기오염을 감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환기유닛을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기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 방법과, 공기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방법이 있다.That is, as a method for reducing indoor air pollution, a ventilation method for largely exhausting indoor air contaminated through a ventilation unit and supplying fresh air to the room, and pollution contained in indoor air using an air purifier. There is an air purification method to remove material.

전자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환기유닛은 실내공기 및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 측으로 배기함과 아울러 신선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급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환기유닛에는 실내에 냉·난방기기가 작동하는 경우에 실외의 덥고 차가운 공기가 그대로 유입되어 냉·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 ventilation unit used in the former method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for forcibly blowing the indoor air and air, to exhaust the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outdoor side and to supply fresh air to the indoor side. In addition, such a ventilation unit has a problem in that the hot and cold air flows into the outdoor when the air-conditioning equipment is operated indoors, thereby lowering the cooling / heating efficiency.

최근에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급기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된 환기유닛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환기유닛은 공기가 상당히 깨끗하다는 전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주택이나 사무실이 도시나 공장지대에 있는 경우나, 황사 발생시기와 같은 특정 시기에는 공기가 실내공기 못지 않게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즉, 환기는 지금까지 가장 효율적인 공기 정화방법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외부공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그 효과를 얻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Recently, a ventilation unit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indoor air to be exhausted and air to be supplied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se ventilation units can be used on the premise that the air is quite clean. However, in some cases, such as when a house or office is in a city or factory, or at certain times, such as when yellow dust occurs, air can be polluted no less than indoor air. In other words, the ventilation is known to be the most efficient air purification method so far, but there is a closed end that does not get the effect in the serious air pollution.

한편, 후자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공기정화장치는 제한된 공간의 공기를 계속하여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냉·난방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필터 등을 제때 교환하지 않거나 주기적으로 세척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실내공기의 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used in the latter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does not decrease because it continuously recycles air in a limited space. However, if the filter is not replaced in a timely manner or periodically clean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increase the pollution.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필터 교환이 반드시 요구되는 건식 공기정화장치 대신에 필터 교환이 필요없는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 air purifier that does not need to replace the filter instead of a dry air purifier that must be replaced.

본 고안은 또한, 습식 공기정화장치에 사용하는 세정수를 수도전과 하수관을 통해서 직접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필터 교환 없이도 항상 공기정화기능을 유지 할 수 있는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et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t all times without replacing the filter by directly supplying 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through a tap water and a sewage pipe.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는 하부는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분리 벽을 통해서 오염수 저수조와 세정수 저수조로 구획되고 상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면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는 공기 중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으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도전과 연결된 수돗물 공급관과;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노즐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돗물 공급관과 연통되어 있는 세정수 순환관과; 상기 오염수 저주조에 저장된 오염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수관과 연결된 오염수 배출관과; 상기 순환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물순환펌프와; 상기 오염수 배출관, 세정수 순환관 및 상기 수돗물 공급관에 각각 설치된 배출관 제어밸브, 순환관 제어밸브 및 공급관 제어밸브와;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설치된 수위측정기와;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된 송풍팬과; 상기 제어밸브들, 수위측정기 및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가 내장되어 수돗물, 세정수 및 오염수의 공급과 배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wet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and a washing water reservoir through the separation wall so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can be stor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is A case having inlets and outlet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pass therethrough; A nozzle tube installed to spray fine water droplets in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ase; A tap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ap water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nozzle pipe; A washing water circula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ap water supply pipe so as to supply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to the nozzle pipe; A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to discharge the polluted water stored in the polluted water casting; A water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ipe so as to continuously circulate the washing water; A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a circulation pipe control valve, and a supply pipe control valv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pipe, and the tap water supply pipe; A level gauge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reservoir; A blowing fan installed to cause air to flow through the case;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s, the water level meter, and the blower fan, and having a built-in timer for counting tim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ap water, washing water and contaminated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함유하고 물방울이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망이 설치되고, 상기 제습망은 열전소자와 접촉되어 노점 이하 로 냉각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이나 제습망은 광촉매로 코팅되어 있다.In addition, a dehumidification network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remove purified water and water, and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is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oled below the dew point. In addition, one or more ultraviolet lamps are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the inner wall or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of the case i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의 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rst,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wet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et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wet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10)는 수도전(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수돗물 공급관(66)과 하수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오염수 배출관(4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에 필요한 세정수는 상기 수돗물 공급관(66)을 통해서 수도전으로부터 직접 공급받고, 공기 정화작용에 의해서 오염물질이 함유된 오염수는 상기 오염수 배출관(44)을 통해 하수관으로 직접 배출할 수 있다.As shown,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ap water supply pipe 66 connected to the tap water (not shown) and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44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not shown). . Therefore, the washing water required for air purification is directly supplied from the tap water through the tap water supply pipe 66, and contaminated 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by air purification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through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44. Can b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10)는, 수돗물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유해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일정 양의 수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가 밀폐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면에 유입구(22)와 배출구(23)가 형성된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 내부로 수돗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유입되는 공기 중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노즐관(13)과, 상기 케이스(12) 내에 저수된 세정수를 상기 노즐관(13)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순환시 킬 수 있도록 설치된 물순환펌프(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et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by using the tap water, the bottom is sealed to store a certain amount of tap water so that the air can pass through A case 12 having both inlets 22 and outlets 23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nozzle tube 13 installed to supply tap water into the case 12 and to spray fine water droplets into the air introduced therein; It comprises a water circulation pump 86 installed to circulate continuously through the nozzle pipe 13,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case (12).

본 고안의 습식 공기정화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2)의 하부는 소정 높이의 분리벽(14)을 통해서 오염수 저수조(17)와 세정수 저수조(19)로 구획된다. 상기 오염수 저수조(17)는 상기 노즐관(13)에서 공중으로 분사되어 떨어진 물과 미세 물방울과 함께 떨어진 분진 및 오염물질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오염수 저수조(17)로 떨어진 오염물 중에서 무거운 입자는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의 바닥으로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은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In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case 12 is partitioned into a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and a washing water reservoir 19 through a partition wall 1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stores dust and contaminants that are dropped along with water and fine water droplets injected into the air from the nozzle tube 13. At this time, the heavy particles of the contaminants dropped to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sinks to the bottom of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and the light material floats on the water surface.

상기 세정수 저수조(19)는 상기 노즐관(13)으로 공급될 세정수가 저수되는 곳으로, 상기 분리벽(14)에 설치된 스크린(42) 등을 통해서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의 오염수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와 세정수 저수조(19)의 수위는 같다.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is a place where the wash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nozzle tube 13 is stored, from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through a screen 42 or the like installed on the separation wall 14. Entering with contaminant removed. Therefore, the water levels of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and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are the same.

그리고,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의 바닥에는 오염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염수 배출관(44)이 연결되고, 상기 오염수 배출관(44)에는 오염수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관 제어밸브(45)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 제어밸브(45)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후술하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염수 배출관(44)의 한쪽 끝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하수관과 연결되어 있다.Then, 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44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wat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and a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5 for controlling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is connected to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44. Is installed. The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50 to be described later as a solenoid valve. One end of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44 is connected to a sewage pipe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제어부(50)는 환기유닛(1)의 하우징(2) 외측 면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유닛(1)과 습식 공기정화장치(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부(50)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50)에는 사용자가 리모트콘 트롤러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수신부(51)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 of the ventilation unit 1, the overall control of the ventilation unit 1 and the wet air purifier (10). To this end, the controller 50 has a microprocessor in which software is embedde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lso preferably, the control unit 50 is provided with a remote receiving unit 51 so that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remot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세정수 저수조(19)의 바닥에는 세정수를 상기 노즐관(13)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세정수 순환관(88)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 순환관(88) 상에는 세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노즐관(13)으로 압송하기 위한 물순환펌프(86)와, 상기 세정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순환관 제어밸브(8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 순환관(88)의 한쪽 끝은 T형 연결관(83)을 통해서 수돗물 공급관(66)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 제어밸브(85)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물순환펌프(86)도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있다.A washing water circulation tube 88 for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nozzle tube 13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and the washing water is pumped on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tube 88. A water circulation pump 86 for pumping the nozzle pipe 13 and a circulation pipe control valve 85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are provided. One end of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pipe 88 is connected to the tap water supply pipe 66 through the T-type connecting pipe 83. In addition, the circulation pipe control valve 8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as a solenoid valve, and the water circulation pump 86 is also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이어, 상기 수돗물 공급관(66)의 한쪽 끝에는 상술한 노즐관(13)이 설치되고, 다른 쪽 끝에는 수돗물를 공급하는 수도전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노즐관(13)의 외주 면에는 다수의 노즐 공(36)이 천공되어 있고, 그 외부는 메시 망으로 감싸져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관(13)은 바람직하게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돗물 공급관(66)에는 수돗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공급관 제어밸브(65)가 설치되고, 이 공급관 제어밸브(65)는 제어부(50)와 연결된다.Subsequently, the nozzle tube 13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ap water supply pipe 66, and a water tap for supplying tap wat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tube 13, a plurality of nozzle holes 36 are drilled, the outside of which is wrapped in a mesh net. And the nozzle pipe 13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located above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In addition, the tap water supply pipe 66 is provided with a supply pipe control valve 65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ap water, the supply pipe control valve 6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한편,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의 바닥면에는 침전물이나 부유물이 잘 배출하도록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출구(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 저수조(19)의 바닥면에는 오염물이 노즐관(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스크린(또는 필터)이 설치되는 유입구(92)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72 formed concave downward to discharge the sediment or suspended matter well, the contaminan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nozzle tube ( 13, the inlet port 92 is provided with a screen (or filter) for blocking the inflow to the upper convex.

또한,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에는 오염수의 오염도(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도측정기(75)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 저수조(19)에는 세정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기(9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염도측정기(75)와 수위측정기(95)는 각각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amination water reservoir 17 is provided with a pollution degree measuring device 75 for measuring the contamination (turbidity) of the contaminated water, and the water level measuring instrument 95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 Is installed. The pollution level measuring unit 75 and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95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케이스(12)의 일 측면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켜 상기 케이스 (12)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송풍팬(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송풍팬(6)은 상술한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nd one side of the case 12 is provided with a blowing fan 6 to induce the flow of air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12. This blowing fan 6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control part 50 mentioned above.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1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위측정기(95)에 의해서 측정된 수위가 기준 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50)는 공급관 제어밸브(65)를 개방하여 수도관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수돗물은 수도관 내의 수압만으로 공급되고, 수압이 낮은 경우에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여 공급한다. 상기 수돗물 공급관(66)을 통해서 공급되는 물은 노즐관(13)을 통해서 상기 오염수 저수조(17)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오염수 저수조(17)는 비워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ter 95 is low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the controller 50 opens the supply pipe control valve 65 to receive tap water from the water pipe. The tap water is supplied only by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pipe, and when the water pressure is low, it is supplied using a separate pump.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tap water supply pipe 66 is supplied to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through the nozzle tube 13. At this time,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is usually empty.

또한, 상기 오염도측정기(75)에 의해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50)는 배출관 제어밸브(45)를 개방하여 오염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배출관 제어밸브(45)는 상기 오염도측정기(75)에 의해서 개방되거나 제어부(50)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52)에 의해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 제어밸브(45)는 상기 수위측정기(95)에 의해서 폐쇄되거나 제어부(50)에 내장된 타이머(52)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관 제어밸브(45)는 주기적으로 개폐되어 오염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llution degree measured by the pollution degree meter 75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50 opens the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5 to discharge the polluted water to the sewage pipe. In this case, the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5 may be opened by the pollution degree measuring device 75 or by a timer 52 embedded in the controller 50. 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5 may be closed by the water level meter 95 or by a timer 52 built in the control unit 50. That is, the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5 may be opened and closed periodically to discharge the polluted water.

이어, 상기 송풍팬(6)이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순환관 제어밸브(65)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물순환펌프(68)를 작동시켜 상기 세정수 저수조(19)의 세정수를 상기 노즐관(13)으로 압송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 제어밸브(45)와 공급관 제어밸브(65)는 폐쇄상태를 유지한다.Subsequently, when the blowing fan 6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50 opens the circulation pipe control valve 65 and operates the water circulation pump 68 to clean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Water is pumped into the nozzle pipe 13. 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5 and the supply pipe control valve 65 maintains a closed state.

그리고, 상기 노즐관(13)으로 압송된 고압의 세정수는 노즐 공(36)과 메시 망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물방울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세한 물방울들은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의 상부 공간에 미세 물방울 여과막(11)을 형성한다. 상기 미세 물방울 여과막(11)은 두꺼울수록 공기정화에 유리하므로 상기 오염수 저수조(17)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두껍게 형성되도록 한다. Then, the high pressure washing water pumped into the nozzle tube 13 passes through the nozzle hole 36 and the mesh network to form fine water droplets. The fine droplets form a fine droplet filter membrane 11 in an upper space of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Since the fine droplet filtration membrane 11 is thicker, it is advantageous for air purification, so that the fine droplet filtration membrane 11 is formed as thick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not exceeding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그러므로 상기 급기팬(6)에 의해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미세 물방울 여과막(11)을 반드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이나 오염물질은 미세 물방울과 접촉되어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물방울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물방울과 함께 하강하여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Therefore, the outside air sucked by the air supply fan 6 necessarily passes through the fine droplet filter membrane 11. At this time, the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re adsorbed by contact with the fine water droplets. And contaminants adsorbed in the water droplets descend with the water droplets and are separated from the air.

한편, 상기 세정수 저수조(19)에서 빠져나간 세정수에 대응하는 양의 물은 상기 오염수 저수조(17)에 저장된 오염수를 여과하여 공급받는다. 즉, 상기 분리벽(14)에는 스크린(42)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어 침전된 오염물이 세정수 저수조(19)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분리벽(14)에는 오염수의 수위에 따라 부상하고 세정수 유입구가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부상식 디켄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부유성 오염물질이 세정수 저수조(19)로 유 입되지 않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is supplied by fil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stored in the polluted water reservoir (17). That is, the screen 42 is installed on the separation wall 14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precipitated contaminants do not flow into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In addition, the separation wall 14 is provided with a floating decanter (not shown) installed to ris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and the washing water inlet is located below the water so that the floating contaminants are transferred to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Do not inflow.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10)는 미세 물방울을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종래의 필터로 제거하기 어려웠던 미세부진, 휘발성유기화합물, 악취물질 등의 오염물질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필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세정수로 이용하고 오염된 물은 하수관을 통해서 직접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공기정화장치를 열 필요가 없다. 아울러 본 고안은 수위측정기와 오염측정기 또는 제어부의 타이머에 의해서 수돗물과 오염수가 자동으로 공급 및 배출되므로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즉, 본 고안은 필터 교환에 따른 비용과 노력을 모두 절감할 수 있다. As such,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nd remove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using fine water droplets, and thus is contaminated with micro sludg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odorous substances, which are difficult to remove with a conventional filter. Not only can the material be removed, but the mechanical filter does not require a change of filter. In addition, since the tap water supplied from the tap water is used as the washing water and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sewer pipe,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n the air purifi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manage because the tap water and polluted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and discharged by the timer of the water level meter and pollution meter or control unit.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both the cost and effort of the filter replacemen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의 일 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2)의 타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3)에 근접하게 제습망(24)이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방울이나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제습망(24)은 미세한 크기의 망목을 갖는 필터 체로서, 상기 케이스(12)의 상면과 오염수 저수조(17)의 바닥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습망(14)은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두 개의 제습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망(24)은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n inlet 22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2, and an outlet 23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ase 12. And the dehumidification net 24 is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outlet 23 to remove the water droplets or water contained in the air. The dehumidifying net 24 is a filter sieve having a fine mesh and is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17.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14 may be formed of one or two dehumidification network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n addition,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slidable up and down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그러므로 상기한 미세 물방울 여과막(11)을 통과하는 동안에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상기 제습망(24)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물방울들이 서로 결합하여 큰 물방울 을 이룸으로써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분리된 큰 물방울은 상기 제습망(24)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미세 물방울 여과막(11)에서 제거하지 못한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한다. Therefore, the air containing moisture during the passage of the fine droplet filtration membrane 11 is separated by the fine droplet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large droplet while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Then, the separated large water droplets flow down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to secondarily remove contaminants that could not be removed from the fine droplet filtration membrane 11.

그리고, 상기 제습망(24)을 통과한 공기는 적정한 수분을 가지고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습식 공기정화장치(10)는 건조한 실내공기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10)는 실내공기가 다습한 경우에도 습기가 많은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가 더욱 습하게 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is supplied to the room with the appropriate moisture. Therefore, the wet air purifi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moisture to the dry indoor air. On the other hand,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oom where the humi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even if the indoor air is humid, the room is more humid.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25)를 이용하여 상기 제습망(24)을 노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25)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2종류의 금속을 접속시키고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 종류의 금속은 흡열 기능을 나타내고 다른 쪽의 금속은 방열기능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it is preferable to cool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to a temperature below the dew point by 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5. The thermoelectric element 25 uses the Peltier effect. When two kinds of metals are connected and a current is sent thereto, one type of metal exhibits an endothermic function and the other metal exhibits a heat dissip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direction. It is us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소자(25)는 측벽(4)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망(24)은 열전소자의 흡열부(26)와 접촉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습망(24)은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25)의 발열부는 별도의 방열판(27)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열전소자(25)를 이용하여 제습망(24)의 온도를 노점 이하로 낮추면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제습망(25)을 통과할 때 응축되어 제습되게 된다. As show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5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4 and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is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portion 26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t this time, the dehumidification net 24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he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5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separate heat sink 27. As such,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is lowered below the dew point by 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5,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condenses and dehumidifies when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5.

아울러, 상기 열전소자(25)는 습식 공기정화장치(10)의 케이스(12) 내부를 건조시키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열전소자(25)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극을 바꾸어주면 상기 제습망(25)이 발열부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제습망(25)으로부터 열이 발산된다. 따라서 오염수 저수조(17)와 세정수 저수조(19)를 모두 비운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습망(24)을 통해 열을 발산하면, 상기 케이스(12) 내부를 건조시켜 세균이 번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5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drying the case 12 of the wet air purifier 10. For example, when the electrode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5 is chang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t generating part, and thus heat is removed from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5. Emanates. Therefore, when the polluted water reservoir 17 and the washing water reservoir 19 are both empty and dissipate heat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ase 12 may be dried to prevent bacteria from propagating. can do.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습식 공기정화장치(10)는 미세 물방울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12)의 내부는 장기간 다습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공기와 함께 유입된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12)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29)를 설치하여 공기나 수중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wet air purifi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various excellent effects because it removes contaminants using fine water droplets. However, since the inside of the case 12 is kept in a humid state for a long time, an environment in which bacteria introduced with air propagate is creat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o install one or more ultraviolet lamps 29 in the case 12 to kill bacteria or viruses in air or water.

또한, 상기 케이스(12)의 내부벽은 산화티타늄(TiO2)과 같은 광촉매나 ZnO, CdS, ZrO2, SnO2 등과 같은 복합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저온촉매를 코팅하여 살균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습망(24)은 구리와 같은 살균능력이 있는 금속을 사용하거나 산화티타늄 금속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램프(29)가 제습망(24) 등에 코팅되어 있는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과 유해물질 및 악취물질 등을 산화분해시킴으 로써 깨끗한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케이스(12)의 유입구(22) 쪽에는 음이온발생장치(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12 may be a photocatalyst such as titanium oxide (TiO 2 ), or ZnO, CdS, ZrO 2 , SnO 2. It is also preferable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ability by coating a low temperature catalyst composed of a composite metal oxide such as. In addition, the dehumidification net 24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having a sterilizing ability such as copper or made of titanium oxide metal fiber. Accordingly, when the ultraviolet lamp 29 activates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24 or the like, clean external air can be supplied by oxidatively decomposing bacteria, harmful substances, and odorous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3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inlet 22 side of the case 12.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장치는, 미세 물방울의 탁월한 오염물질 제거능력을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실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오염물제거 효율이 높다.As described above, th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because it removes the pollutant contained in the air and supplies it to the room by using the excellent pollutant removal ability of the fine droplets.

또한, 본 고안은 수도 전에서 직접 공급되는 수돗물을 세정수로 이용하고, 공기 정화작용에 의해서 오염된 물은 하수관으로 직접 배출하기 때문에 필터 교환 및 세척과 같이 번거롭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ap water supplied directly from the tap water as the washing water, and water contaminated by air purification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sewer pipe, thus eliminating cumbersome work such as filter replacement and cleaning, and requiring a professional's help. Because it can reduce the manpower and cost.

아울러, 본 고안은 센서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오염수를 배출하고 수돗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관리소홀로 인해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세균 등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이나 광촉매를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나 악취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discharges contaminated water and supplies tap water by using a sensor and a timer,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by bacteria, etc. By removing organic compounds or odorous substances, it is possible to supply clean air.

또한, 본 고안은, 제습망을 통해서 수분을 적정하게 제습한 후에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건조한 실내공기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upplying moisture to the dry indoor air by supplying the room after dehumidifying adequately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Claims (5)

하부는 일정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분리 벽을 통해서 오염수 저수조와 세정수 저수조로 구획되고 상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면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A lower part is divided into a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and a washing water reservoir through a separation wall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an upper part of the case has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는 공기 중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노즐관과;A nozzle tube installed to spray fine water droplets in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ase; 상기 노즐관으로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도전과 연결된 수돗물 공급관과;A tap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ap water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nozzle pipe;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노즐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돗물 공급관과 연통되어 있는 세정수 순환관과;A washing water circula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ap water supply pipe so as to supply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to the nozzle pipe; 상기 오염수 저주조에 저장된 오염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수관과 연결된 오염수 배출관과; A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to discharge the polluted water stored in the polluted water casting; 상기 순환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물순환펌프와;A water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ipe so as to continuously circulate the washing water; 상기 오염수 배출관, 세정수 순환관 및 상기 수돗물 공급관에 각각 설치된 배출관 제어밸브, 순환관 제어밸브 및 공급관 제어밸브와;A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a circulation pipe control valve, and a supply pipe control valv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olluted water discharge pipe,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pipe, and the tap water supply pipe;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설치된 수위측정기와;A level gauge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reservoir;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송풍팬과;A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flow air and pass through the case; 상기 제어밸브들, 수위측정기 및 송풍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가 내장되어 수돗물, 세정수 및 오염수의 공급과 배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장치.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s, the water level meter, and the blower fan, and having a built-in timer for counting tim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ap water, washing water and contaminated water;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정화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습망이 케이스의 배출구에 인접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장치. The inside of the case is a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ehumidification network for removing water and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purified air is installed vertically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cas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습망은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장치.The dehumidification network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장치.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ultraviolet lamps are installed inside the cas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이나 상기 제습망에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장치.Wet air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catalyst material is co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or the dehumidification network.
KR2020060021450U 2006-08-10 2006-08-10 Washing type air cleaner KR2004295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50U KR200429519Y1 (en) 2006-08-10 2006-08-10 Washing type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50U KR200429519Y1 (en) 2006-08-10 2006-08-10 Washing type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519Y1 true KR200429519Y1 (en) 2006-10-23

Family

ID=4177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450U KR200429519Y1 (en) 2006-08-10 2006-08-10 Washing type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519Y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64Y1 (en) * 2007-10-05 2009-12-03 미래엔이티 주식회사 Wet type scrubber for exhaust gas capable of maintaining liquid level of chamber
KR101998337B1 (en) 2018-12-28 2019-10-01 공현우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KR20200039084A (en) * 2018-10-04 2020-04-16 (주) 디바이스이엔지 multi-stage wet scrubber
KR20200098106A (en) * 2019-02-12 2020-08-20 박근배 Dehumidifier with cooling rod cleaning
KR20200107752A (en) * 2019-11-08 2020-09-16 김성규 Smart Airconditioner to remove fine dust with water,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Method of the Same
KR20210026492A (en) * 2019-08-30 2021-03-10 이석주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KR20210152989A (en) * 2021-11-13 2021-12-16 주식회사 이코블록 The device of air purication added sanitization as the way of using ultraviolet and making moisture with ultrasonic brushing
KR20220000685A (en) * 2020-06-26 2022-01-04 김성우 The scattering dust removal system
KR20220064880A (en) * 2020-11-12 2022-05-19 장효설 The sustainable prevention system of the infectious disease including the corona virus
KR102571547B1 (en) * 2023-03-15 2023-08-29 허은철 Negative ion gener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steel fibers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64Y1 (en) * 2007-10-05 2009-12-03 미래엔이티 주식회사 Wet type scrubber for exhaust gas capable of maintaining liquid level of chamber
KR20200039084A (en) * 2018-10-04 2020-04-16 (주) 디바이스이엔지 multi-stage wet scrubber
KR102117920B1 (en) * 2018-10-04 2020-06-03 (주)디바이스이엔지 multi-stage wet scrubber
KR101998337B1 (en) 2018-12-28 2019-10-01 공현우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KR102167675B1 (en) * 2019-02-12 2020-10-19 박근배 Dehumidifier with cooling rod cleaning
KR20200098106A (en) * 2019-02-12 2020-08-20 박근배 Dehumidifier with cooling rod cleaning
KR20210026492A (en) * 2019-08-30 2021-03-10 이석주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KR102258941B1 (en) 2019-08-30 2021-06-01 이석주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KR102186848B1 (en) * 2019-11-08 2020-12-04 김성규 Smart Airconditioner to remove fine dust with water,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Method of the Same
KR20200107752A (en) * 2019-11-08 2020-09-16 김성규 Smart Airconditioner to remove fine dust with water,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Method of the Same
KR20220000685A (en) * 2020-06-26 2022-01-04 김성우 The scattering dust removal system
KR102354996B1 (en) 2020-06-26 2022-01-24 김성우 The scattering dust removal system
KR20220064880A (en) * 2020-11-12 2022-05-19 장효설 The sustainable prevention system of the infectious disease including the corona virus
KR102613783B1 (en) 2020-11-12 2023-12-15 장효설 The sustainable prevention system of the infectious disease including the corona virus
KR20210152989A (en) * 2021-11-13 2021-12-16 주식회사 이코블록 The device of air purication added sanitization as the way of using ultraviolet and making moisture with ultrasonic brushing
KR102610138B1 (en) 2021-11-13 2023-12-04 주식회사 이코블록 The device of air purication added sanitization as the way of using ultraviolet and making moisture with ultrasonic brushing
KR102571547B1 (en) * 2023-03-15 2023-08-29 허은철 Negative ion gener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steel fib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519Y1 (en) Washing type air cleaner
KR20080013585A (en) Ventilation unit with washing type air cleaner
KR20080001082U (en) Ventilation unit with wet type air cleaner
KR100908464B1 (en) Air cleaner
KR20180083234A (en) A water filter equipped a cylindrical bar,apply to an air purifier and a chimney dust reduction device
KR20170003286A (en) Bus shelter wiht an air purification device
KR102040399B1 (en) Water Adsorption type Air Filter
KR101428212B1 (en) Air cleaning system
KR100583071B1 (en) Screen air washer system
KR101356752B1 (en) Air Cleaner
KR102256209B1 (en) Appratus of purifying of indoor air
JP2007296460A (en) Gas treatment apparatus
KR200429518Y1 (en) Ventilation unit with wet type air cleaner
KR101160622B1 (en) A water lay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KR20120094731A (en) Air cleaner
KR102042830B1 (en) Wet air purifier
KR100895733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n air
KR20110061084A (en) Dehumidification type aircleaner
KR101001435B1 (en) Out air intake type bio ceramic air cleaner
KR20110115193A (en) Multiple purpose heat storage type ventilating apparatus
KR102057600B1 (en) Ventilatory Indoor Air Purifier
KR100799106B1 (en) Air Purification Combind with Sub Sterilization Device
KR20190007772A (en) Air purifier
KR102159546B1 (en) Filter-less fine dust removal system
KR20050022499A (en) Aquarium having means for cleaning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