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248Y1 -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 Google Patents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248Y1
KR200426248Y1 KR2020060017815U KR20060017815U KR200426248Y1 KR 200426248 Y1 KR200426248 Y1 KR 200426248Y1 KR 2020060017815 U KR2020060017815 U KR 2020060017815U KR 20060017815 U KR20060017815 U KR 20060017815U KR 200426248 Y1 KR200426248 Y1 KR 200426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reservoir
uni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8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무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2020060017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24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24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을 제어하여 하천의 유량 관리를 함에 있어서 빗물이 떨어지는 지점에서 분산형으로 빗물을 제어할 수 있는 저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천에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하기 위한 저류 시스템에 있어서,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불순물을 거르는 전처리부 및 상기 전처리부를 거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하천의 상류에서부터 우안과 좌안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저류조; 및 상기 복수개의 저류조의 수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rainwater in a distributed type at a point where rainwater falls in controlling the flow of rainw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system for storing rainwater flowing into a stream, comprising: a pretreatment for filtering impurities in the incoming rainwater and a storage for storing and storing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pretreatment;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 eye; And control means for simultaneous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water levels of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분산형, 저류조, 빗물, 수위, 무선 Scatter, Reservoir, Rain, Water Level, Wireless

Description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도 1은 본 고안의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의 원통형 저류조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rical reservoir of the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의 멀티블록형 저류조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block storage tank of the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저장부의 상세도이다. 4 is a detailed view of the storage unit of FIG. 3.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저류조의 연결 설치의 일 예이다. 5 is an example of connection installation of the storage tank of FIGS. 2 and 3.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저류조의 연결 설치의 다른 예이다. 6 is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installation of the storage tank of FIGS. 2 and 3.

도 7은 본 고안의 제어수단의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of th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전처리부의 구조도이다. 8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etreat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의 저류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torage system.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A: 하천 100: 원통형 저류조A: river 100: cylindrical reservoir

105, 205: 유입관 111, 211: 저장부105, 205: inflow pipes 111, 211: storage unit

120, 220: 유출관 200: 멀티블록형 저류조120, 220: outlet pipe 200: multi-block storage tank

본 고안은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을 제어하여 하천의 유량 관리를 함에 있어서 하천의 상류에서부터 복수개의 저류조를 배열하여 분산형으로 빗물을 제어할 수 있는 저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rainwater in a distributed manner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rom the upstream of a river in controlling the flow of rainwater. will be.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대부분의 수원을 하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하천의 환경, 수량 및 수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빗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을 효율적이고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모든 물문제의 근본적인 출발점이다. 하천의 빗물 관리에는 빗물을 저류하는 것과 빗물을 토양으로 침투시키는 것이 모두 포함되며, 이러한 빗물 관리를 통해 기존의 물 공급 체계와 하수도에 의해 왜곡된 자연스러운 물 순환을 회복시켜 홍수와 물 부족에 동시에 대처하면서 친 환경적인 생활여견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Compared to other countries, Korea relies on rivers for most of its water sources, and rainwater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quantity, and water quality of these streams. Efficient and direct management of such rainwater is a fundamental starting point for all water problems. Rainwater management in rivers includes both storage of rainwater and infiltration of rainwater into the soil, which simultaneously manages flood and water shortages by restoring natural water circulation distorted by existing water supply systems and sewer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reate eco-friendly living opinions.

기존의 수원 확보 및 방재 시설물은 선으로 이루어진 하천 유로의 흐름을 관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도 9는 기존의 하천 유량 관리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하천의 적정 지역에 대규모의 저류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저류시설로는 댐과 같이 일시적으로 불어나는 유량을 저장할 수 있는 시설이 된다.The existing water source securing an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were mainly used to manage the flow of river streams. 9 illustrates a conventional river flow management method, and a large storage facility is installed in an appropriate area of the river. As a storage facility, it is a facility that can store a temporarily blown flow such as a dam.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하천에 사용되던 한개의 방재시스템(도 9에서는 댐)은 다른 시스템 또는 기능과 연계되지 못한 채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하천에 설치되는 댐은 홍수해방지가 주 목적이고, 빗물펌프장 같은 저류시설은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용량으로 설치되어있으나 년간 하루 또는 이틀 정도의 운 영만 필요하고 나머지는 그 필요성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즉, 기존의 경우 재해의 수 만큼의 방재시스템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owever, such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dam in FIG. 9) used in the conventional rivers is operated independently without being linked with other systems or functions. In other words, dams installed in rivers are mainly designed to prevent flood damage, and storage facilities such as rainwater pumping stations are installed in large capacity to prevent flooding, but only one or two days of operation are needed annually, and the rest are difficult to find. to b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as many disaster prevention systems exist.

이와 같이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또는 홍수방재용 시설들이 한가지의 목적만을 위해 설치되었던 것에 따른 사회, 경제적인 비용의 손실을 방지하고, 한개의 시설로도 여러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빗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당 기술분야에서 계속되고 있다. Thus, a rainwater management system can be used to prevent the loss of socio-economic costs that a nonpoint source treatment facility or flood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has been set up for only one purpose, and can achieve multiple purposes with a single facility. Research continues in the art.

또한, 기존의 하천에 홍수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던 댐과 같은 대규모의 시설은 하천의 하류지역에서는 그 시설의 혜택을 볼 수 있지만, 댐이 설치된 부근의 상류에서는 시설의 헤택을 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류역의 건천화, 상류에서의 국지적 홍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large-scale facilities, such as dams installed in existing rivers to prevent flooding, can benefit from the facilitie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river, but they do not see the benefits of the facility upstream of the dam. . That is, problems such as dry upstream and local flooding upstream occur.

또한, 깨끗한 수질을 갖는 상류역에서의 빗물을 기존의 홍수방재시설 등을 통해 집수하게 되면 상류에서보다 오염된 상태의 빗물이 집수되는 경향이 큰 문제가 있다. 더구나, 하나의 시설로 홍수방지를 하기 위해서 필요 이상의 큰 용량으로 설계되어 대규모 공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대규모 공사는 막대한 규모의 재원이 투입되고 사회분쟁의 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when the rainwater in the upstream area having clean water quality is collected through the existing flood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or the like, there is a big problem that rainwater in a contaminated state is collected more than upstream. Moreover, in order to prevent flooding with a single facility, large-scal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by designing a large capacity more than necessary, and this large-scale construction is investing enormous amount of resources and emerging as a cause of social disput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소규모의 빗물 저류시설을 분산형으로 설치하여 대규모 공사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한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for preventing social and economic losses caused by large-scale construction by decentralizing small and medium sized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또한 본 고안은, 일시적인 급격한 유량의 변화에 의한 홍수 등의 재해를 상류 지역의 소규모 저류조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that enables a small storage tank in an upstream region to control a disaster such as a flood caused by a sudden sudden change in flow rate.

또한 본 고안은, 기후 변화 등에 의해 유량 제어용량의 변화 등이 발생할 경우 그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that can easily respond to changes in the flow rate control capacity due to climate change or the like.

또한 본 고안은 하천의 상류부분의 국부적인 범람 방지 및 소방용수의 공급, 하천 수질오염 방지, 하천 건천화 방지 등, 한개의 시설로 빗물 관리뿐 아니라 다양한 여러 기능을 할 수 있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entralized rainwater storage system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rainwater management as a single facility, such as local flooding prevention of the upstream part of rivers, supply of fire fighting water, prevention of river water pollution, and prevention of river drying. It aim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에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하기 위한 저류 시스템에 있어서,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불순물을 거르는 전처리부 및 상기 전처리부를 거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하천의 상류에서부터 우안과 좌안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저류조; 및 상기 복수개의 저류조의 수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system for storing rainwater flowing into the river, the pretreatment for filtering impurities in the incoming rainwater and the storage unit that can be stored by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pretreatment A storage tank including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upstream of the stream to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And control means for simultaneous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water levels of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저류조는 비교적 평지유역에 형성하는 원통형 저류조 및 비교적 상류유역의 높은 경사지에 형성하는 멀티블록형 저류조를 포함한 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저류조는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에 저류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저장부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때 난류발생을 방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빗물이 분사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유입관 설치위치에 인접해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침전물이 저장부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퍼짐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유출관은 저장부 내의 빗물이 일정수위에 달하였을 때 자동으로 방류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유출관 및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임의로 저장부 내의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된 컨트롤 유출관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reservoirs includes a cylindrical reservoir formed in a relatively flat basin and a multi-block reservoir formed in a high slope of a relatively upstream basin. More preferably,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has an inlet pipe to allow rain water to flow from the pretreatment unit; A cylindrical storage portion to which the inlet pipe is connected; And an outlet pipe for outflow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part, wherein the inflow pipe is formed in a U shape so that the rainwater is sprayed upwar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to prevent turbulence when rainwater flows into the storage part. Adjacent to the inlet pip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to form a spread prevention jaw to prevent the sediment flowing from the inlet pipe spread throughout the storage unit, the outlet pipe is automatically when the rainwater in the storage reaches a certain level And an overflow outlet pipe installed at a height capable of being discharged to a control outlet, and a control outlet pip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servoir and optionally configured to discharge rainwater in the reservoir.

또한 상기 멀티블록형 저류조는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고, 서로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저수블록으로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에 저류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관은 저장부 내의 빗물이 일정수위에 달하였을 때 자동으로 방류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유출관 및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임의로 저장부 내의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된 컨트롤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ulti-block storage tank is an inlet pipe to allow the rain water from the pre-treatment unit;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of a storage block arranged to form a space for storing rain water; An outflow pipe for discharging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outflow pipe includes an overflow outlet pipe installed at a height that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the rainwater in the storage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outlet pipe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valve is formed to discharge the rainwater in the reservoir arbitrari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송출부; 상기 수위센서 및 무선 송출부에 태양광에 의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무선 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체 저류조들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유입되는 빗물의 불순물을 거름과 동시에 침전시킬 수 있도록 소정입경의 여재 및 상기 여재가 투입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침전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preferably the control means is a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A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water level sensor;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supplying power by solar to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a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monitor the level of the entire storage tank in response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In addition, the pretreatment unit preferably includes a settling tank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f the filter medium and a predetermined space into which the filter medium can be introduced so as to precipitate the incoming rainwater at the same time as the manur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분산형 빗물 저류는 기후 변화로 인한 단기간의 수문 현상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의 증가를 대체할 수 있는 하위지형을 새로이 창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안에 비해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성이라는 측면에서 월등히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ispersed rainwater storage can not only proactively cope with the short-term changes in hydrologic phenomena due to climate change, but also create new subterrains that can replace the increase in impervious surface due to urbaniz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much better results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eco-friendliness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분산형 빗물 저류는 하천 유역에서 발생하는 빗물에 의한 유출수를 하천의 우안 및 좌안에 설치된 복수개의 소규모 저류시설에 의해 빗물이 직접 떨어지는 지점에서 빗물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저류 시스템은 빗물의 상태나 활용목적에 따라 전처리, 이용, 저류, 침투시설을 조합하여 구축하게 된다. 분산형 빗물관리 시스템의 기본목적은 첨두 유출량을 줄이고 유출시간을 지연시켜 홍수 방지를 하는데 있으며, 강수강도가 증가할 경우 침투시설만으로는 모든 강수량을 감당할 수 없기에 침투시설과 연계한 저류조와 월류를 대비한 시설이 함께 필요하다.Decentralized rainwater storage is a method of controlling rainwater at the point where rainwater directly flows out of the runoff from the river basin by a plurality of small reservoirs installed i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iver. This storage system is constructed by combining pretreatment, utilization,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rainwater and the purpose of use. The basic purpose of the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system is to prevent the flood by reducing peak runoff and delaying the runoff time.In case of increased precipitation intensity, the infiltration facility cannot handle all precipitation, so the facility is prepared for the storage tank and the overflow This is necessary together.

기존의 수원확보 및 방재시설물은 선으로 이루어진 하천 유로의 흐름만을 관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하천의 수량 및 수질은 근본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유역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고안의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은 이러 한 하천 유역을 빗물의 집수, 저장 및 침투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유역단위의 면적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과 같이 여러 개의 중소규모 방재시설(특히 빗물 저류조)를 보급하는 것은 기존 대규모 댐 건설에 필요한 건설지 선정에 따른 재정적 부담과 사회적 갈등 요소를 사전에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분산화된 시설에서는 집중화된 시설보다 낮은 안전도 고려가 가능하다는 면에서 관리의 부담이 적어지는 장점도 있다.Existing water source an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only managed the flow of river stream. However, in order to fundamentally manage the quantity and water quality of rivers, it is essential to manage them. The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ch a feature that the river basin can be used as a space for collecting, storing, and infiltrating rainwater so that the area management of the watershed uni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ddition, the dissemination of several small and medium-size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especially rainwater reservoirs), as in the present design, can minimize the financial burden and social conflicts of the construction site selected for the existing large-scale dam construction. Decentralized installations also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urden of management in that lower safety can be considered than centralized installations.

이와 같은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의 상류에서부터 우안과 좌안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저류조를 포함하게 된다. For the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tank in which a plurality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upstream of the river to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저류조(10)는 도 1에서와 같이 하천(A)의 상류에서부터 복수개가 배열된다. 분산형 빗물 관리를 위해서는 하천의 우안과 좌안에 약 100톤에서부터 5000톤 사이 정도 규모의 여러개의 빗물 저류시설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류조(10)는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불순물을 거르는 전처리부(13)를 포함하게 된다. The storage tank 10 is arranged in plurality from the upstream of the stream (A) as shown in FIG. For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it is desirable to have several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between about 100 to 5000 tons in the right eye and left of the river. The storage tank 10 includes a pretreatment unit 13 for filtering impurities in the incoming rainwater.

전처리부(13)는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재(401)를 사용할 수 있다. 유입되는 빗물이 일시 저장되도록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침전조(403)를 형성하고, 침전조(403) 내부에 여재(401)를 넣어 빗물이 여재를 거쳐 1차적으로 오염물질 또는 불순물을 거르거나 침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pretreatment unit 13 may use the filter medium 401 to filter impurities in the incoming rainwater. Forming a settling tank 403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so that the rain water is temporarily stored, and put the filter medium 401 inside the settling tank 403 so that rain water can filter or settle the pollutants or impurities primarily through the filter medium do.

본 고안의 저류조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 저류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원통형의 저류조(100)는 전처리부(101)를 포함하고, 전처리부(101)를 거친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105)을 포함한다. 유입관(105)은 전처리부의 하부와 저장 부(111)를 연결하여 주며, 전처리부의 빗물을 저장부(111)로 유입시킨다. 저장부(111) 내부의 유입관(105)은 끝단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유입관을 U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유입관(105)을 따라 이동되는 빗물이 저장부(111) 내부에서 난류를 발생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저장부 내의 난류는 저장부 내에 침전되는 입자들이 다시 재부상하도록 하며, 저류조 내에서 침전물을 침전시켜 정화된 빗물을 유출하게 하는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as shown in FIG.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includes a pretreatment unit 101, and includes an inlet pipe 105 to allow the rain water passed through the pretreatment unit 101 to be introduced. The inflow pipe 105 connects the lower part of the pretreatment part with the storage part 111, and introduces rainwater into the storage part 111. The inflow pipe 105 inside the storage 111 is bent in a U-shape so that its end faces upward. The inlet pipe is formed in a U-shape to prevent the rainwater moving along the inlet pipe 105 from generating turbulence in the storage 111. Turbulence in the reservoir causes re-suspension of the particles that precipitate in the reservoir and impedes the function of sedimentation in the reservoir to drain the purified rainwater.

상기 저장부(11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저장부(111)의 내부에는 유입관(105)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침전물이 저장부 내부에서 저장부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퍼짐방지턱(107)이 형성된다. 퍼짐방지턱(107)은 저장부 내의 유입관(105) 설치위치에 인접해서 설치된다. 퍼짐방지턱(107)에 의해서 저장부 내부의 침전물이 일정 위치에 쌓이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저장부 내부의 침전물 청소 등 저장부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The storage 1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storage 111 is formed with a spread prevention jaw 107 in order to prevent the sediment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105 to spread throughout the storage. Spread prevention jaw 107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let pipe 105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reservoir. The spread prevention jaw 107 can be adjusted to accumulate the sediment in the storage uni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is function can be easy to maintain the storage unit, such as cleaning the sediment inside the storage unit.

한편, 상기 저장부(111)는 저장부 내에 저류되는 빗물을 하천으로 유출하는 유출관(120)을 포함한다. 유출관(120)은 저장부 내부가 일정 수위에 달하였을 때 자동으로 저장된 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유출관(121)을 포함하게 된다. 오버플로우 유출관(121)은 자동으로 방류될 수 있도록 저장부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항상 열려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unit 111 includes an outlet pipe 120 for flowing out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river. The outlet pipe 120 includes an overflow outlet pipe 121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automatically when the inside of the reservoir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Overflow outflow pipe 12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to be automatically discharged, it can be designed to be always open.

또한 유출관(120)은 임의로 저장부 내의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컨트롤 유출관(123)을 포함하게 된다. 컨트롤 유출관(123)은 작업자의 컨트롤에 의 해 방류시킬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된 관이며, 저장부의 하부에 배열되어 저장부 내의 빗물을 필요한 경우 임의로 방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utflow pipe 120 includes a control outflow pipe 123 formed to discharge the rainwater in the storage unit arbitrarily. The control outlet pipe 123 is a tube formed with a valve to discharge by the control of the operator, is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servoir is formed so that the rainwater in the reservoir can be optionally discharged if necessary.

도 1에서와 같이 하천(A)의 상류에서부터 여러개가 분산형으로 배열되는 저류조는 도 3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멀티블록형 저류조(20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와 같이, 멀티블록형 저류조(200)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처리부(201) 및 유입관(205)과 유출관(220)을 포함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a storage tank in which several are arranged in a distributed form from the upstream of the stream A may use a multi-block storage tank 200 having a configuration as illustrated in FIG. 3. As shown in FIG. 3, the multiblock type storage tank 200 includes a pretreatment unit 201, an inlet pipe 205, and an outlet pipe 220 as in FIG. 2.

멀티블록형 저류조(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여러개의 저수블록(213)을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빗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저장부(211)를 포함하게 된다. 저수블록(213)은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하로 이격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비교적 가벼운 재질의 블록으로써, 하부면에서부터 적층형으로 쌓으면 그 내부에 자연적으로 빗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하좌우로의 연결은 단단하게 결합되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상하로 접하도록 적층하여 전체적으로 블록들이 서로 자체 하중 및 접촉관계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블록의 외부면을 물이 새지않는 방수시트(215)를 통하여 막아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방수시트(215)는 물이 어느정도 주변 공간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침투기능을 포함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The multi-block storage tank 200 includes a storage unit 211 to form a space in which rain water can be sto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213 up, down,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The water storage block 213 is a block of a relatively light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can be spaced up and down, and stacked in a stacked form from a lower surface to form a space in which rainwater can be naturally stored. Here, the up, down, left, and right connections may be tightly coupled, but may include a connection such that the blocks are stack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block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ir own load and contact relationship. In addition, by block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through the water-resistant waterproof sheet 215 is formed so that rain water can be stored. In this case, the waterproof sheet 215 may be replaced with a nonwoven fabric to allow the water to penetrate to the surrounding space to some extent, and is form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storing rainwater basically even though it includes the penetration function.

한편, 멀티블록형 저류조에서 저장부(211)로 유입관(2050이 비교적 상부측에 배열되고, 유출관(220)이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유출관(220)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빗물이 일정수위에 달하였을 때 자동으로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버플로우 유출관(221)을 포함하게 된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출관은 임의로 저장부 내의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된 컨트롤 유출관(223)을 저장부의 하부측에 설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block storage tank, the inlet pipe 2050 is arranged on the relatively upper side to the storage unit 211, and the outlet pipe 220 is formed as in the case of Fig. 2. The outlet pipe 220 is formed at the top It includes an overflow outlet pipe 221 that is formed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rain water when the rain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as shown in Figure 2, the outlet pipe can be discharged randomly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 outlet pipe 223 in which the valve is formed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unit.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였으나 미설명된 부호 140, 240은 저장부(111,211)에 각각 연결된 맨홀을 의미한다. 2 and 3, reference numerals 140 and 240, which are not described, refer to manhole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s 111 and 211, respectively.

도 5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저류조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원통형 저류조는 이미 공장 등지에서 제작된 원통형의 저장부를 매설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은 현장공사를 빠르게 마무리할 수 있고 일정한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유량 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원통형 저류조(100)는 통상적으로 공사가 비교적 용이한 평지 또는 하천변에 적용할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storage tank shown in FIG. 2 and FIG. Cylindrical storage tank of Figure 2 can be formed by embedding the cylindrical storage portion already made in the factory, etc., such a method can be quickly finished on-site construction and secure a constant storage capacity has the advantage of easy flow rate design There is this.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is typically applicable to flat or riverside relatively easy to construct.

한편, 멀티블록형 저류조(200)는 미리 제작된 형상의 저장부를 형성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지형의 변화 및 공사가 어려운 급격한 경사지 또는 소규모 저류시설에 적용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작은 저수블록을 저류조 설치위치에 적층하여 저장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저류시설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ulti-block storage tank 200 is not a method of forming a storage unit of a pre-fabricated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apply to a steep slope or a small storage facility difficult to change the terrain and construction. Since a small reservoir block is stacked at a storage tank installation position to form a storage unit, a storage facility can be appropriately 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도 5는 이와 같은 원통형 저류조(100)와 멀티블록형 저류조(200)이 동시에 설치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원통형 저류조(100)는 하 천변의 평평한 지형에 비교적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멀티블록형 저류조(200)는 비교적 경사가 급격한 경사지 또는 빗물이 초기 유입되는 상류지에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멀티블록형 저류조와 원통형 저류조를 혼합설계함으로써 높은 지역에서 빗물이 오버플로우되는 경우 하천에 도달하기 전에 한번더 저류할 수 있도록 하며, 빗물이 2차적으로 집수되는 하천변의 횡적제어가 가능해지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2차 집수 방식은 상류역에서 빗물의 과다유입 등으로 인하여 재해빈도가 비교적 높은 곳에 적용할 수 있다.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and the multi-block storage tank 200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5,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may be relatively easily installed on the flat terrain of the river. In addition, the multi-block storage tank 200 is formed on the inclined land or the upstream where the rainwater is initially inclined relatively steep slope.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ulti-block type reservoir and the cylindrical reservoir are designed so that if the rainwater overflows in a high area, it can be stored once before reaching the river, and the horizontal control of the riverside where the rainwater is collected secondarily It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possible. Such secondary colle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place where the disaster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due to excessive inflow of rainwater from the upstream area.

도 6은 원통형 저류조(100)와 멀티블록형 저류조(200)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필요한 지형에 따라 멀티블록형 저류조(200)를 원통형 저류조보다 전방(빗물유입방향으로 전방)에 설치하고 여기에서 저장된 빗물을 다시 원통형 저류조(100)에 저장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원통형 저류조(100)의 유입관(105)은 멀티블록형 저류조(200)의 컨트롤 유출관(223)과 연결되고, 멀티블록형 저류조(200)의 오버플로우 유출관(221) 역시 별도의 유입관(105)에 연결된다. 이들 이외의 각각의 저류조의 유입 및 유출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and the multi-block storage tank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quired terrain, the multi-block type storage tank 20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in front of the rainwater inflow direction) and store rainwater stored therein in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again. The inflow pipe 105 of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outlet pipe 223 of the multiblock storage tank 200, and the overflow outlet pipe 221 of the multiblock storage tank 200 is also a separate inflow pipe. Connected to 105. Inflows and outflows of the respective storage tanks other than these ar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원통형 저류조(100)에 저장된 빗물은 맨홀(140)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외부에서 소방용수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Rainwater stored in the cylindrical storage tank 100 may be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ing means such as the manhole 140. 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externally as fire fighting water.

한편, 본 고안의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은 도 7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저류 조의 수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제어수단(300)은 각각의 저류조에 설치되는 수위센서(311)를 포함하게 된다. 수위센서(311)는 저류조 내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위를 파악하게 되며, 이때 수위센서로는 음파 수위계를 사용할 수 있다. 음파 수위계는 수면을 통해 반사되는 음파를 이용한 수위측정 방식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eans for simultaneous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water level of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as shown in FIG. The control means 300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311 installed in each storage tank. The water level sensor 311 grasps the water level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d at this time, a sound wave level meter may be used as the water level sensor. A sound level gauge is a level measurement method using sound waves reflected through the water surface.

수위센서(311)에서 측정된 수위는 무선 송출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어 무선 송출부(313)로 전송된다. 무선송출부(313)는 각각의 저류조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저류조의 수위 데이터를 모니터링부(317)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수위센서(311) 및 무선송출부(313)는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과 같은 분산형 빗물 저류조는 하천의 상류지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게 되어 비교적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로 자체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지관리의 부담을 경감하고, 별도의 전력공급설비의 추가 설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태양광 발전부(315)를 형성하도록 한다. 태양광 발전부(315)는 태양광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며, 수위센서 및 무선송출부에 지속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311 is converted into a signal suitable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313. The wireless transmitter 313 is installed in each storage tank, and transmits the water level data of each storage tank to the monitoring unit 317. At this time, the water level sensor 311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313 is required to supply power. Distributed rainwater reservoirs,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are often installed in an upstream region of a river, and thus are relatively unmaintainable. For this reas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315 may be formed to reduce the burden of maintenance by building a system that can generate power by itself, and to prevent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separate power supply facility. The photovoltaic unit 315 is a method for supplying power by sunlight, and may continuously supply power to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니터링부(317)에는 무선을 통해 수신되는 각 저류조들의 수위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도달하게 되며, 이러한 수위 데이터들을 모아 동시에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모니터링을 통해 어느한곳의 수위가 높거나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컨트롤 유출관의 밸브를 개방하여 수위를 낮추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모니터링은 하천의 하류에서의 수위에 따라 자동적으 로 적정 유지되는 각 저류조의 수위를 결정하도록 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is manner, the monitoring unit 317 reaches the water level data of each of the storage tanks received through the radio in real time, and collects the water level data so as to enable simultaneous monitoring. The operator can open the valve on the control outlet to lower the water level if monitoring indicates that the water level will be high or high. On the other hand, such monitoring may be used in a way that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determining the level of each reservoir that is automatically maintain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ownstream of the stream.

본 고안과 같은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의 수위 유지 방식의 일예를 살펴본다. 먼저, 각 저류조의 1/3은 비상용으로 항상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이는 월동보관용이 될 수 있으며, 농수로 또는 식수로의 공급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1/3 정도의 물은 컨트롤 유출관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운영한다. 이와 같이 운영함으로써 홍수시 적어도 2/3 정도의 빗물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류역에서 저장된 빗물로 인하여 동시에 과다한 빗물이 하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전체 유입용량이 하나의 저장시설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작게 설계하는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홍수조절 능력을 갖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An example of the method of maintaining the water level of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one-third of each reservoir is operated for emergency storage of water at all times. It may be used for winter storage, and may be used for supplying farm water or drinking water. Meanwhile, about 1/3 of the water is operated to be drained through the control outlet pipe. By operat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cure at least two-thirds of rainwater storage space during flooding, and to prevent excessive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river at the same time due to the stored rainwater in each upstream area. This approach allows the system to be constructed with similar flood control capabilities, even if the total inflow capacity is smaller than using one storage facility.

한편, 물로 인한 홍수 및 가뭄 등의 수량적 문제와 하천오염과 같은 수질의 문제 모두 강우현상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도로나 토지를 흘러내린 빗물은 오염되어 있으나, 빗물관리를 통해 집수면에서 받은 빗물은 깨끗하여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발생원에서 빗물을 집수하게 되면 수량과 수질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해 진다. 최근 들어 하천 본류에 다다르기 이전의 국지적 홍수 및 지류의 건천화 문제, 주거지역 주변 지류의 오염문제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발생원에서부터 문제를 예방하고 최소화 하는 것이 기술적, 경제적 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은 이러한 수량 및 수질문제의 발생원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천에 상류부터 소정간격으로 저류조를 설치하여 발생원에서의 수질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On the other hand, both quantitative problems such as flooding and drought caused by water and water quality problems such as river pollution can be said to start from rainfall. Rainwater that has flowed down roads or land is contaminated, but rainwater received from catch water through rainwater management is clean and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Collecting rainwater from the source makes management easier becaus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can be controlled. In recent years, the problems of local flooding and tributary drying, and pollution of tributaries around residential areas before the main stream reaches the mainstream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Preventing and minimizing problems from these sources is very effective both technically and economically. Therefore, the decentralized rain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stalled in the reservoi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stream of the stream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he source of water and water quality problems, so that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at the source.

본 고안은 일시적인 급격한 유량의 변화에 의한 홍수 등의 재해를 상류 지역에서부터 복수개 설치되는 소규모 저류조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대용량의 저류조 설치에 따른 대규모 공사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disasters such as flood caused by sudden rapid flow change by small storage tanks installed from upstream area, and prevent social and economic loss due to large-scale construction by installing large storage tanks. Provide the effect.

또한, 기후 변화 등에 의해 유량 제어용량의 변화 등이 발생할 경우 그에 맞는 소규모의 저류조를 추가하도록 하여 그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천의 상류부분의 국부적인 범람 방지 및 소방용수의 공급, 하천 수질오염 방지, 하천 건천화 방지 등, 한개의 시설로 빗물 관리뿐 아니라 다양한 여러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a change in flow control capacity occurs due to climate change or the like, a small storage tank can be added to provide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that can easily cope with the change, and local flooding in the upstream portion of the stream. Prevention and supply of fire fighting water, prevention of river water pollution, prevention of river dryness, etc. provide the advantages of not only rainwater management but also various functions.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Claims (6)

하천에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하기 위한 저류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storage system for storing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iver, 유입되는 빗물 내의 불순물을 거르는 전처리부 및 상기 전처리부를 거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하천의 상류에서부터 우안과 좌안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저류조; 및A storage tank including a pretreatment unit filtering out impurities in the incoming rainwater and a storage unit in which rain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treatment unit is introduced and stored therein,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being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stream of the riv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상기 복수개의 저류조의 수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comprising; control mean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water level of the plurality of reservoirs at the same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류조는 비교적 평지유역에 형성하는 원통형 저류조 및 비교적 상류유역의 높은 경사지에 형성하는 멀티블록형 저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The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include a cylindrical storage tank formed in a relatively flat basin and a multiblock type storage tank formed on a high slope of a relatively upstream basi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저류조는 3. The cylindrical reservoir of claim 2 wherein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An inlet pip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from the pretreatment unit;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저장부;A cylindrical storage portion to which the inlet pipe is connected; 상기 저장부 내에 저류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And an outlet pipe for outflowing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유입관은 상기 저장부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때 난류발생을 방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빗물이 분사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고, The inlet pipe is formed in a U-shape so that rain water is sprayed upwar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to prevent turbulence when rai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unit, 상기 저장부의 유입관 설치위치에 인접해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침전물 이 저장부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퍼짐방지턱을 형성하고,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let pipe of the storage unit to form a spread prevention jaw to prevent the sediment flowing from the inlet pipe to spread throughout the storage unit, 상기 유출관은 저장부 내의 빗물이 일정수위에 달하였을 때 자동으로 방류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유출관 및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임의로 저장부 내의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된 컨트롤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The outflow pipe is an overflow outflow pipe installed at a height that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the rainwater in the reservoir reaches a certain level, and a valve is provided to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servoir and to discharge the rainwater in the reservoir arbitrarily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comprising a control outle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블록형 저류조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ultiblock storage tank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An inlet pipe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from the pretreatment unit;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고, 서로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저수블록으로 형성되는 저장부;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of a storage block arranged to form a space for storing rain water; 상기 저장부 내에 저류된 빗물을 유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And an outlet pipe for outflowing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유출관은 저장부 내의 빗물이 일정수위에 달하였을 때 자동으로 방류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유출관 및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임의로 저장부 내의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밸브가 형성된 컨트롤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The outflow pipe is an overflow outflow pipe installed at a height that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the rainwater in the reservoir reaches a certain level, and a valve is provided to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servoir and to discharge the rainwater in the reservoir arbitrarily A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comprising a control out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상기 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A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unit for measuring a water level; 상기 수위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송출부;A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water level sensor; 상기 수위센서 및 무선 송출부에 태양광에 의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 전부; 및A solar cell for supplying power by sunlight to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상기 무선 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체 저류조들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Distributed rainwater storage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water level of the entire storage tank in response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treatment unit 유입되는 빗물의 불순물을 거름과 동시에 침전시킬 수 있도록 소정입경의 여재 및 상기 여재가 투입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침전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Dispersed rainwater stor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ttling tank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for the filter medium and the filter medium to be introduced so as to precipitate the incoming rainwater at the same time.
KR2020060017815U 2006-06-30 2006-06-30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KR2004262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815U KR200426248Y1 (en) 2006-06-30 2006-06-30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815U KR200426248Y1 (en) 2006-06-30 2006-06-30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759A Division KR100779545B1 (en) 2006-06-30 2006-06-30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248Y1 true KR200426248Y1 (en) 2006-09-12

Family

ID=4177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815U KR200426248Y1 (en) 2006-06-30 2006-06-30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248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34B1 (en) 2006-08-29 2007-12-03 이승영 Underground water tank having adjustable the quantity of water
KR100910291B1 (en) * 2007-09-11 2009-08-0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Using Obsolete Septic Tank
KR100957070B1 (en) 2008-03-28 2010-05-13 이승영 A flood, water control and the underground storage of water apparatus for small hydropower generation
KR102451041B1 (en) * 2021-09-24 2022-10-06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hydraulic water swivel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34B1 (en) 2006-08-29 2007-12-03 이승영 Underground water tank having adjustable the quantity of water
KR100910291B1 (en) * 2007-09-11 2009-08-0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Using Obsolete Septic Tank
KR100957070B1 (en) 2008-03-28 2010-05-13 이승영 A flood, water control and the underground storage of water apparatus for small hydropower generation
KR102451041B1 (en) * 2021-09-24 2022-10-06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hydraulic water swive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05006B (en) Drainage system and drainage control method
KR101786494B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maintenance of large scale stormwater storage reservoirs
CN103015517A (en) Intelligently controlled type concave urban rainwater park capable of resisting shocks
CN107587580B (en) Drainage system with hydraulic downward opening type weir gate and pump drainage and drainage control method
KR101096768B1 (en) Rainwater utility system
KR100779545B1 (en)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KR200426248Y1 (en) Dispersion Type Rainwater Tank System
CN207392409U (en) A kind of Mobyneb Vatch basin system
CN208899603U (en) A kind of useless three pipes unification drainage system of the dirt that sponge urban construction mode is rainy
CN104790516A (en) Rainwater regulation and storage system
CN107558593B (en) Drainage system comprising one-in four-out type diversion well and drainage control method
CN207761003U (en) A kind of drainage system with regulate and store facility and integrated treatment facility
KR101865202B1 (en) Pretreatment apparatuse of rainwater drainage facility
CN107587579B (en) Drainage system with sewage interception pipe and rainwater treatment facility and drainage control method
CN109098267A (en) Mountainous Building synthesis rainwater prevention and control based on GIS with utilize system and method
JP2005350867A (en)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KR101849681B1 (en) A water-loop operating system for allocationing and supplying multy-water source using SD
US20210131078A1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CN107620367A (en) A kind of drainage system and water discharge control method with section dirty pipe and facility of regulating and storing
CN207760991U (en) A kind of drainage system with rain processing system
CN207436188U (en) A kind of drainage system with rain processing system
CN107761898B (en) A kind of drainage system and water discharge control method with facility of regulating and storing
CN207760980U (en) It is a kind of to carry the drainage system for cutting dirty pipe and facility of regulating and storing
CN207959468U (en) A kind of one into four goes out formula shunting well and the drainage system including the shunting well
CN104975644A (en) Special pipe storage system for road initial rain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