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826Y1 -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 Google Patents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826Y1
KR200418826Y1 KR2020060006807U KR20060006807U KR200418826Y1 KR 200418826 Y1 KR200418826 Y1 KR 200418826Y1 KR 2020060006807 U KR2020060006807 U KR 2020060006807U KR 20060006807 U KR20060006807 U KR 20060006807U KR 200418826 Y1 KR200418826 Y1 KR 200418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knitted
pair
safety
absor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Priority to KR2020060006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대와 고정지지대에 일단이 고정되는 안전로프 상간에 연결되어 추락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로서, 중앙부를 접어 체결공이 형성되도록 재봉한 재봉부가 구비되는 한쌍의 밴드부재를 상기 각 체결공이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편직한 편직부와, 상기 편직된 한쌍의 밴드부재의 양 말단에는 편직된 단부 일체를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 일 측에 접하도록 접은 후 재봉한 봉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종래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충격흡수장치 자체의 부피가 커지고, 원자재가 많이 소모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하던 것에 반하여 편직부와 봉합부를 갖는 단일 구조로 형성하며 특히, 양쪽으로 구성되는 편직부에서 충격력을 더욱 분산, 흡수 및 완화시키도록 하고, 봉합부에서는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내구성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원자재절감으로 인한 제조단가와 충격흡수장치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안전대, 안전로프, 충격흡수장치, 밴드, 밴드부재, 편직부, 봉합부

Description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A band for anti­shock device of industrial safetyzon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중 봉합부의 구성방법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중 봉합부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충격흡수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종래기술을 보인 평면도.
*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1a, 1b : 밴드부재
2 : 편직부 3 : 체결공
4 : 재봉부 5 : 봉합부
6 : 편직된 단부 일체 7 : 덮개
7a : 개구부 8 : 안전대
9 : 안전로프 A :충격흡수장치
본 고안은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대와 건축물 등과 같은 고정지지대에 일단이 고정되는 안전로프 상간에 연결되어 추락 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장치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직조 방식으로 편직부가 형성된 밴드의 단부에 봉합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추락방지용 밴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 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대를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와 고정지지대에 고정된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되, 이들 상간에는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연결하여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종래기술을 보인 평면도로써, 도 7을 참고하여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참고 : 도 6의 A)는 합성수지재 덮개와 그 내측에 지그재그로 적층된 밴드(100)로 구성되고, 상기 밴드(100)는 충격흡수용 밴드(101) 내측에 추락방지용 밴드(102)를 구비하는 2중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추락방지용 밴드(102) 양단의 일부는 체결공(103) 을 갖도록 재봉하되, 재봉부(104) 내측으로 충격흡수용 밴드부재(105)의 단부를 일체로 재봉되고 상기 재봉부(104)에 재봉되는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체로 편직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충격흡수용 밴드(101)는 일정 하중이상의 장력을 받으면 각각 독립된 하나의 밴드부재(105)로 절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의 양 측 체결공(103) 각각은 안전대와 안전로프(참고 : 도 6의 8, 9)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할 경우, 덮개(참고 : 도 6의 7)가 파열된 후 충격흡수용 밴드(101)가 추락 시의 충격으로 인해 각각 하나의 밴드부재(105)로 절개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격흡수용 밴드(101)가 완전히 절개된 후에는 추락방지용 밴드(102)에 의해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100)의 경우 추락방지용 밴드(102)와 충격흡수용 밴드(101)의 2중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가 커서 충격흡수장치 자체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과 제작 시 원자재가 많이 소모되어 제조단가가 높아지므로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실용실안등록 제0350058호에서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을 출원한 바 있다. 종래 충격흡수용 밴드와 추락방지용 밴드의 2중 구조로 제작되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를 단일 구조로 제작하되, 통상 충격흡수용 밴드의 제작 시 하나의 절개부를 형성하던 것에 반하여 상기 실용실안등록 제0350058호에서의 고안은 편직부의 단부에 통상의 직조방식과 상이한 구성의 봉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봉합부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부피와 제조단가를 줄이면서 추락 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다단식으로 완화시키고,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실용실안등록 제0350058호에서의 고안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에 비해 그 구조가 단순하고 충격 흡수에 보다 안정적이기는 하나, 충격을 흡수하는 부분인 절개부가 하나로 구성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날로 복잡해져 가는 산업현장에서 예기치 못한 낙하 충격이 더욱 커지고 있는 반면 그 충격을 완충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운 큰 낙하 충격에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의 밴드를 집중 개량하여 충격흡수장치 자체의 부피를 현저히 줄이고, 제조단가를 낮추면서도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높은 장소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대와 고정지지대에 고정된 안전로프 각각의 사이에 연결되는 충격흡수장치의 덮개 내측에 적층되는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로서, 중앙부를 접어 서로 맞닿는 임의의 부분을 재봉한 재봉부에 의해 체결공이 형성되는 밴드부재 한 쌍과, 상기 밴드부재 한 쌍을 서로 편직한 편직부로서 일체로 구성 함에 있어, 상기 밴드부재의 각 재봉부가 서로 인접하여 체결공 각각이 일체된 밴드부재의 중앙 양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편직된 한 쌍의 밴드부재의 양 말단에는 편직된 각 단부 일체를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 일 측에 접하도록 접은 후 재봉한 봉합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체결공 각각이 상기 안전대 및 안전로프에 각각 연결 구성되어 장력이 발생할 시 다단식으로 상기 편직부가 풀려 각각 하나의 독립된 밴드부재로 절개되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는 양 측(양 측에 구성되며 밴드부재의 중심 일측을 'U'형으로 접어 구성한 체결공)으로 장력이 발생할 시 다단식으로 각각 하나의 독립된 밴드부재로 절개되도록 한쌍의 밴드부재 각각을 일체로 편직한 편직부를 형성하며, 상기 일체된 밴드부재의 양 말단에는 상기 장력이 발생 후 다단식으로 상기 편직부가 모두 풀어짐에 의해 한 쌍의 밴드부재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밴드부재의 단부를 일체로 편직한 다음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 일 측에 접하도록 접은 후 재봉한 봉합부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편직에 따른 세밀의 정도는 예상되는 충격에 그 편직된 것이 풀어짐에 따라 상기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편직의 정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봉부 및 봉합부는 상기 편직부와는 달리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독립된 밴드부재로 각각 분리되지 않도록 지그재그로 조밀하게 일자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는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에 일 구성으로써, 자세하게는 상기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를 지그재그로 적층하고 충격흡수장치의 덮개 양 개구부로 체결공이 돌출되도록 내입하도록 한다. 상기 양 개구부에서 돌출된 체결공에는 각각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 및 고정지지대에 걸림되는 안전로프와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 각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중 봉합부의 구성방법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중 봉합부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용 밴드(1)는 중앙부를 접어 서로 맞닿는 임의의 부분을 재봉한 재봉부(4)에 의해 체결공(3)이 형성되는 밴드부재(1a)(1b) 한 쌍과, 상기 밴드부재(1a)(1b) 한 쌍을 서로 편직한 편직부(2)로서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편직부(2)는 상기 한 쌍의 체결공(3) 각각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장력에 의한 충격이 있을시 편직된 부분(상기 각 체결공(3)을 기준으로 양 측면의 편직부(2))이 다단식으로 풀어지면서 받은 충격을 소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편직부(2)가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예기치 못한 충격에 대한 저항력 이 종래의 편직부(2)가 단일로 구성되는 것에 비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편직된 한쌍의 밴드부재(1a, 1b)의 양 말단에는 상기 각각의 밴드부재(1a, 1b)의 편직된 단부 일체(6)를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1a, 1b)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1a)또는(1b)) 일 측에 접하도록 접은 후 재봉한 봉합부(5)로 구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충격흡수장치용 밴드(1)가 받은 충격에 의해 상기 편직된 편직부(2) 모두가 풀어지면 밴드부재(1a, 1b) 모두가 독립적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막아 작업자의 추락을 막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쌍의 밴드부재(1a, 1b)의 양 말단부를 서로 일체화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편직하여 봉합하는 구성 외에도 한 쌍의 밴드부재의 양 말단부를 일체화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특히,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편직된 단부 일체(6)는 각각의 밴드부재(1a, 1b)의 단부를 일체로 편직하여 구성하며, 봉합부(5)는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1a, 1b)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1a)또는(1b)) 일 측에 접하도록 접은 후 재봉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용 밴드가 충격흡수장치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면을 참고 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이에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충격흡수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5에서 보아는 것과 같이,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용 밴드(1)는 충격흡수장치(A)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어 적층되며, 상기 체결공(3) 각각은 충격흡수장치(A)의 덮개(7)의 양단에 구성된 개구부(7a) 각각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체결공(3) 각각이 상기 안전대(8) 및 안전로프(9)에 각각 연결 구성되도록 구성한다.(미설명 부호 10은 안전로프(9)의 단부에 설치하여 고정지지대 상에 걸림되는 걸고리이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장치(A)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면, 먼저 덮개(7)가 파열되면서 일부 충격력이 상쇄되고, 충격흡수장치용 밴드(1)의 양 측 체결공(3)에 체결된 안전대(8)와 안전로프(9)의 장력에 의해 편직부(2)가 절개되는데 이때 양 측의 밴드부재(1a, 1b)가 일체로 편직되어 있어 다단식으로 절개되면서 충격력을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편직부(2) 또한 단일 구성이 아니라 상기 체결공(3)을 기준으로 양 측면으로 대향되도록 방향에 2개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이 극대화된다.
상기 편직부(2)가 각각의 독립된 밴드부재(1a)로 절개되면서 약화된 충격력은 봉합부(5)에 가해지는바, 봉합부(5)는 도 1 및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단부의 편직부(6)를 일 측의 밴드부재(1a)(1b)에 접하도록 지그재그로 조밀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재봉하여 양 측으로 밴드부재(1a, 1b)에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각각의 독립된 밴드부재(1a)(1b)로 절개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더욱이 봉합부(5)에 가해지는 장력은 상기 편직부(2)에서 1차적으로 분산, 흡수 및 완화된 것이므로 절개가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자가 추락하여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 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충격흡수장치의 밴드가 충격흡수용 밴드와 추락방지용 밴드의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충격흡수장치 자체의 부피가 크고 제조를 위한 원자재가 많이 소모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하던 것에 반하여, 본 고안은 충격흡수장치용 밴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체결공이 형성되도록 재봉한 재봉부가 구비되는 한쌍의 밴드부재를 일체로 편직한 편직부와, 상기 편직된 한쌍의 밴드부재의 양 말단을 일체로 편직한 편직부를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 일 측에 접하도록 접은 후 재봉한 봉합부로 구성시킴으로서 상기 체결공의 양단으로 구성되는 2 개의 편직부에서 충격력을 분산, 흡수 및 완화시키고 종래의 추락방지용 밴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원자재절감으로 인한 제조단가와 충격흡수장치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높은 장소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안전대(8)와 고정지지대에 고정된 안전로프(9) 각각의 사이에 연결되는 충격흡수장치(A)의 덮개(7) 내측에 적층되는 충격흡수장치용 밴드(1)로서,
    중앙부를 접어 서로 맞닿는 임의의 부분을 재봉한 재봉부(4)에 의해 체결공(3)이 형성되는 밴드부재(1a)(1b) 한 쌍과;
    상기 밴드부재(1a)(1b) 한 쌍을 서로 편직한 편직부(2)로서 일체로 구성함에 있어, 상기 밴드부재(1a)(1b)의 각 재봉부(4)가 서로 인접하여 체결공(3) 각각이 일체된 밴드부재(1a, 1b)의 중앙 양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편직된 한 쌍의 밴드부재(1a, 1b)의 양 말단에는 편직된 각 단부 일체(6)를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1a, 1b)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1a)(1b) 일 측에 접하도록 접은 후 재봉한 봉합부(5)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체결공 각각이 상기 안전대 및 안전로프에 각각 연결 구성되어 장력이 발생할 시 다단식으로 상기 편직부가 풀려 각각 하나의 독립된 밴드부재로 절개되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2020060006807U 2006-03-14 2006-03-14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KR200418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07U KR200418826Y1 (ko) 2006-03-14 2006-03-14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07U KR200418826Y1 (ko) 2006-03-14 2006-03-14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826Y1 true KR200418826Y1 (ko) 2006-06-14

Family

ID=4176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07U KR200418826Y1 (ko) 2006-03-14 2006-03-14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82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00Y1 (ko) *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534394B1 (ko) * 2012-12-31 2015-07-09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102159741B1 (ko) * 2019-06-19 2020-09-24 주식회사 코리아탑세이프티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00Y1 (ko) * 2008-01-14 2009-09-1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충격 흡수부를 구비하는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
KR101012951B1 (ko) 2010-06-04 2011-02-08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101534394B1 (ko) * 2012-12-31 2015-07-09 김정석 충격흡수용 밴드
KR102159741B1 (ko) * 2019-06-19 2020-09-24 주식회사 코리아탑세이프티 이중 추락방지밴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826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ES2743805T3 (es) Absorbente de energía
CN101268295A (zh) 吸能织带
KR101797672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US20050284694A1 (en) Energy absorber device for a life line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CA3106842C (en) Energy absorber coil for safety harness
KR20170089358A (ko) 안전밴드의 쇼크업소버
KR200350058Y1 (ko) 산업안전대의 충격흡수장치용 밴드
US20060048723A1 (en) Shock absorbing safety harness
KR101012951B1 (ko) 충격흡수용 밴드직물
KR20110005916U (ko) 산업용 안전그네 및 충격흡수장치
KR200392781Y1 (ko) 안전구명줄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KR20080005176U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200354542Y1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101534394B1 (ko) 충격흡수용 밴드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KR102000570B1 (ko)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KR20050100330A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KR102438921B1 (ko) 안전대용 충격흡수장치
GB2333532A (en) Tear webbing
JP2764118B2 (ja) ハーネス型安全ベルト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180000411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