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656Y1 - 다용도 램프 - Google Patents

다용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656Y1
KR200417656Y1 KR2020060007730U KR20060007730U KR200417656Y1 KR 200417656 Y1 KR200417656 Y1 KR 200417656Y1 KR 2020060007730 U KR2020060007730 U KR 2020060007730U KR 20060007730 U KR20060007730 U KR 20060007730U KR 200417656 Y1 KR200417656 Y1 KR 200417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tube
tube
pair
inclined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활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할로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할로겐 filed Critical (주)한국할로겐
Priority to KR2020060007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열 효율 또는 조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용도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튜브 형상의 램프관(20)에 발열체 또는 발광체가 내장되어 구성된 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관(20)은 중앙의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양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연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용도 램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용도 램프{Multi usable lamp}
도 1은 종래 램프의 외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램프관 22. 연결부
24. 경사연장부 30. 리드와이어
40. 엠보
본 고안은 다용도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효율 또는 조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용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할로겐 히터를 이용하는 열풍기는 본체의 내부에 할로겐 히터와 송풍팬이 내장되어, 할로겐 히터에 의해 발산되는 열을 송풍팬에 의해 실내로 불어 준다. 또한, 할로겐 램프는 이 밖에도 전자레인지와 같은 음식물 가열장치나 세탁기와 같은 건조 장치 등에 이용된다. 도 1은 할로겐 램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할로겐 램프는 텅스텐 필라멘트가 중공의 램프관(20)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램프관(20)의 내부에는 할로겐 가스가 충전되고, 필라멘트의 양단부에는 박판 형상의 단자판이 접합되고, 단자판에는 외부의 리드와이어(30)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할로겐 램프에 의하면, 리드와이어(30)와 단자판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램프관(20) 내부의 필라멘트가 소정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방출하고, 이러한 광파가 가지는 에너지를 대성물의 가열이나 건조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명용으로 할로겐 램프를 이용하기도 한다. 물론, 조명용 할로겐 램프는 열을 상대적으로 적게 발산하고 빛을 상대적으로 많이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램프는 대략 U자형으로 제작되어, 송풍팬에 의해 바람을 불어줄 때,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직선 방향으로 바람이 통과한다. 따라서, 램프의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송풍팬에 의해 불어주는 바람과 램프관(20)과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 할로겐 램프는 조명용으로 이용될 경우, 빛이 한정된 방향으로만 발산되기 때문에, 조명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열손실 또는 광손실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발열 효율이나 조명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다용도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다용도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튜브 형상의 램프관(20)에 발열체 또는 발광체가 내장되어 구성된 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관(20)은 중앙의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양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연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용도 램프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텅스텐 필라멘트가 내장된 램프관(20)과, 필라멘트의 양단부에 연결된 리드와이어(30)로 구성되어 열풍기나 건조기 등에 내장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램프관(20)은 중앙의 연결부(22) 양단에 한 쌍의 경사연장부(2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2)는 곡면 형상으로 만곡 성형된다. 그리고, 한 쌍의 경사연장 부(24)는 선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경사연장부(24)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기나 건조기 등의 송풍팬에 의해 불어주는 바람이 램프관(20)의 서로 벌어진 경사연장부(24)와 연결부(22)를 통과하면서 램프관(20)과 바람이 접촉 면적이 종래에 비하여 넓어지기 때문에, 램프관(20)에서 발산되는 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고안을 조명용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3에 의하면, 램프관(20)의 한 쌍의 경사연장부(24)가 서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램프관(20)에서 방사되는 빛이 사방으로 고르게 조사된다.
이때, 램프관(20)의 적어도 경사연장부(24)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오목한 엠보(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40)는 램프관(20) 내부의 발열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발열체는 코일형태로 되거나 별모양으로 된 것 등 여러 가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코일형태로 된 발열체는 램프관(20)에 내장된 링형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램프관(2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러한 스페이서를 상기 엠보(40)가 잡아줌으로써, 발열체가 발열할 때 아래로 처지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코일 형상으로 되지 않은 다른 형태의 발열체는 엠보(40)에 의해 직접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다용도 램프라는 것은 할로겐 히터램프 및 레드 퀄츠 텅스텐 히터램프를 칭하는 것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분야의 램프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바람직하게, 램프관(20)이 붉은색을 갖는 반투명의 적색 석영관으로 구성되어, 붉은색만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은 거의 방출되지 않고, 적외선의 방출량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긴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방출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중에 사람의 안구를 해치거나 피부를 손상하는 경우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체를 수용하는 램프관(20)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도록 경사진 한 쌍의 경사연장부(24)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열풍기나 건조기 등의 송풍팬에 의해 불어주는 바람과 램프관(2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종래에 비하여 넓히기 때문에, 램프관(20)에서 발산되는 열을 충분히 활용하여 열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램프관(20)에서 발산되는 열을 충분히 활용하므로,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으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명용으로 이용될 경우에는 램프관(20)에서 방사되는 빛이 사방으로 고르게 조사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빛을 이용하는 조명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관(20)의 한 쌍의 경사연장부(24)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므로, 열확산이나 광확산을 보다 균일하게 수행하므로, 열효율 또는 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램프관(20)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오목한 엠보(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40)는 램프관(20) 내부의 발열체를 잡아주기 때문에, 발열체가 발열할 때 아래로 처지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관(20)은 반투명의 투광성 적색(赤色) 석영관(Red Quartz)으로 제작되어, 자외선과 가시광선은 거의 방출되지 않고,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건조 또는 가열 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방출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중에 사람의 안구를 해치거나 피부를 손상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튜브 형상의 램프관(20)에 발열체 또는 발광체가 내장되어 구성된 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관(20)은 중앙의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양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연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용도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사연장부(24)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관(20)의 둘레부에는 램프관(20)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엠보(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램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관(20)은 레드 퀄츠 석영관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램프.
KR2020060007730U 2006-03-23 2006-03-23 다용도 램프 KR200417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30U KR200417656Y1 (ko) 2006-03-23 2006-03-23 다용도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30U KR200417656Y1 (ko) 2006-03-23 2006-03-23 다용도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656Y1 true KR200417656Y1 (ko) 2006-06-01

Family

ID=4176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730U KR200417656Y1 (ko) 2006-03-23 2006-03-23 다용도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6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5568Y1 (ko) 할로겐 헤어드라이기
US6381407B2 (en) Lamp heat generating apparatus
KR200417656Y1 (ko) 다용도 램프
KR200458891Y1 (ko) 열풍 토출형 나노 카본 히터
KR101797707B1 (ko)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KR100767731B1 (ko) 전기 발열램프용 히터
KR200411438Y1 (ko) 기능성 헤어드라이기
KR101417327B1 (ko) 헤어드라이어의 발열체 구조
KR20140005455A (ko) 엘이디 전구의 방열구조
KR200214890Y1 (ko) 할로겐 히터장치
KR100987318B1 (ko) 대류난방이 가능한 복사열히터
KR200238092Y1 (ko) 할로겐히타를이용한헤어드라이어
KR200497503Y1 (ko) 휀이 결합된 난방용 전기히터
KR100389421B1 (ko) 전자레인지의 상부히터 구조
KR200297917Y1 (ko)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히터
KR200252935Y1 (ko) 선풍기형 원적외선 히터
KR100714987B1 (ko) 기능성 헤어드라이기
KR200203978Y1 (ko) 선풍기형 히터
KR200320180Y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2215399B1 (ko) 빛 굴절판을 이용한 led 램프
KR200284607Y1 (ko) 할로겐히터 난방장치
KR200253807Y1 (ko) 복합형 발열체를 구비한 히터
KR200462791Y1 (ko)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KR100402893B1 (ko) 히터를 위한 열 발생장치
KR200297247Y1 (ko) 전기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