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056Y1 -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056Y1
KR200414056Y1 KR2020050036871U KR20050036871U KR200414056Y1 KR 200414056 Y1 KR200414056 Y1 KR 200414056Y1 KR 2020050036871 U KR2020050036871 U KR 2020050036871U KR 20050036871 U KR20050036871 U KR 20050036871U KR 200414056 Y1 KR200414056 Y1 KR 200414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base plate
brace
join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권
Original Assignee
(주)핸스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96569&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1405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핸스건설 filed Critical (주)핸스건설
Priority to KR2020050036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0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류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H파일(Pile)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를 띠장이나 연결잭에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는, 띠장과 연결잭 사이나 2개의 양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와,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제1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에 각각 체결되는 제2기초판과, 상기 띠장이나 연결잭에 각각 체결되는 제3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각각 내삽되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1보강판 및 상기 제2기초판과 제3기초판에 접합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공사현장에서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버팀보를 기존의 H형강과는 달리 약축과 강축의 구분없이 강성이 커서 수직, 수평 보강재가 필요없는 강관 버팀보의 설치가 원활하여 흙막이 공사가 간편하고 편리하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기초판, 보강판, 관형 보강재

Description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띠장 300: 연결잭
400: 강관 버팀보 500: 기초판
600: 보강판 700: 체결부재
800: 관형 보강재
본 고안은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류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H파일(Pile)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를 띠장이나 연결잭에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지하에 건물의 기초, 지하실 또는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기 위하여 해당 지반을 굴토한 후, 굴토면이 토압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 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흙막이는 소정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H파일에 굴토면을 받치는 토류벽을 형성하고 H파일의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수평되게 복수의 띠장이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띠장과 띠장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되게 버팀보가 설치된다.
이때 H파일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버팀보와 버팀보가 수평으로 연결되어 띠장과 띠장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버팀보에 의해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띠장이 지지되어 토류벽이 토압을 견디게 되고, 이때 횡방향으로 미치는 토압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버팀보를 토류벽 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띠장과 버팀보 사이에는 연결잭이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버팀보로 H형강을 사용하고 H형강 버팀보의 연결시 H형강 버팀보와 기초판을 용접하므로 현장으로 운반하는 경우에 기초판의 찌그러짐이 발생하고, 현장의 용접으로 품질이 저하되거나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확보가 어려우며, 재활용시 길이 조정의 불편함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공기지연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팀보로 H형강을 사용하는 경우에 H형강 버팀보에 약축(Y-Y) 방향으로 좌굴(挫屈)이 발생하여, 이를 보강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으로 보강재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방향별 강성의 차이가 없고 압축강성이 우수한 강관 버팀보를 사용하고 상기 강관 버팀보에 대한 새로운 연결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향별 강성의 차이가 없고 압축강성이 우수한 강관 버팀보의 연결이 원활하여, 흙막이 공사가 간편하고 편리한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는, 띠장과 연결잭 사이나 2개의 양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와;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제1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에 각각 체결되는 제2기초판과; 상기 띠장이나 연결잭에 각각 체결되는 제3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각각 내삽되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1보강판; 및 상기 제2기초판과 제3기초판에 접합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단 면도로서, 도 1a는 정단면도, 도 1b는 평단면도, 도 1c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띠장(100,200)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은 띠장(100)에 고정된 연결잭(300)에 연결되고, 강관 버팀보(400) 타측은 띠장(200)에 연결된다.
먼저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강관 버팀보(4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각 기초판(501,502)의 측면에 보강판(601,602)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400) 쪽의 보강판(602)은 +자 형상이고, 연결잭(300) 쪽의 보강판(601)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이다.
상기 사다리꼴 +자 보강판(601)의 단부는 기초판(503)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01)에 의해 연결잭(300)에 체결되고, 상기 +자 보강판(602)은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에 내삽되어 기초판(502)과 강관 버팀보(400) 일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되며, 2개의 양 기초판(501,502)은 서로 맞닿도록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702)에 의해 양 기초판(501,502)이 체결됨으로서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이 연결된다.
다음,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강관 버팀보(4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각 기초판(504,505)의 일측에 보강판(603,604)이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400) 쪽의 보강판(604)은 +자 형상이고, 띠장(200) 쪽의 보강판(603)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이다.
상기 사다리꼴 +자 보강판(603)의 단부는 기초판(506)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03)에 의해 띠장(200)에 체결되고, 상기 +자 보강판(604)은 강관 버팀보(400) 타측에 내삽되어 기초판(505)과 강관 버팀보(400) 타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되며, 2개의 양 기초판(504,505)은 서로 맞닿도록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704)로 양 기초판(504,505)이 체결됨으로서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이 연결된다.
상기한 제1실시예의 연결구조는 강관 버팀보(400)에 천공이 없으므로 강관 버팀보(400)의 재활용에 제약이 없어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만큼 경제성이 좋으며 기초판((501,502),(504,505)의 상호 체결에 의해 강관 버팀보(400)가 연결되므로 천공작업이 쉽고 빠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단면도로서, 도 2a는 정단면도, 도 2b는 평단면도, 도 2c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띠장(100,200)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은 띠장(100)에 고정된 연결잭(300)에 연결되고, 강관 버팀보(400) 타측은 띠장(200)에 연결된다.
먼저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연결잭(300)을 향하는 기초판(511)의 일측에 보강판(611)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400)를 향하는 기초판(511)의 타측에 보강판(612)과 관형 보강재(811,812)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400) 쪽의 보강판(612)은 +자 형상이고, 연결잭(300) 쪽의 보강판(611)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이다.
상기 관형 보강재(811,812)는 강관 버팀보(400)에 외삽되는 관형 보강재(811)와 내삽되는 관형 보강재(812)의 이종(異種)이다.
상기 사다리꼴의 +자 보강판(611)의 단부에 기초판(512)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11)에 의해 연결잭(300)에 체결된다.
상기 +자 보강판(612)은 강관 버팀보(400)에 내삽되고 이종 관형 보강재(811,812)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 단부와 보강판(612) 및 관형 보강재(811,812)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712)에 의해 천공된 강관 버팀보(400)와 관형 보강재(811,812)가 체결됨으로서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이 연결된다.
다음,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띠장(200)을 향하는 기초판(513)의 일측에 보강판(613)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400)를 향하는 기초판(513)의 타측에 보강판(614)과 관형 보강재(813,814)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400) 쪽의 보강판(614)은 +자 형상이고, 띠장(300) 쪽의 보강판(613)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이다.
상기 관형 보강재(813,814)는 강관 버팀보(400)에 외삽되는 관형 보강재(813)와 내삽되는 관형 보강재(814)의 이종이다.
상기 사다리꼴 +자 보강판(613)의 단부에는 기초판(514)이 용접 등으로 접합 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13)에 의해 띠장(200)에 체결된다.
상기 +자 보강판(614)은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에 내삽되고 이종의 관형 보강재(813,814)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 단부와 보강판(614) 및 관형 보강재(813,814)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714)에 의해 천공된 강관 버팀보(400)와 관형 보강재(813,814)가 체결됨으로서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이 연결된다.
상기 이종의 관형 보강재((811,812),(813,814))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가 끼워지는 경우에, 상기 강관 버팀보(400)는 외부에서 압축력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재(712,714)로 강관 버팀보(400)와 관형 보강재((811,812),(813,814))를 체결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강관 버팀보(400)에 외삽되거나 내삽되는 하나의 관형 보강재((811,813),(812,814))만 있는 경우에는 체결부재(712,714)로 강관 버팀보(400)와 관형 보강재((811,813),(812,814))를 체결해야 된다.
상기한 제2실시예의 연결구조는 현장에서 용접할 필요가 없고, 관형 보강재(811,…814)와 기초판(511,…,514) 및 보강판(611,…,614)이 강관 버팀보(400)의 운반이나 설치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단면도로서, 도 3a는 정단면도, 도 3b는 평단면도, 도 3c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띠장(100,200)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은 띠장(100)에 고정된 연결잭(300)에 연결되고, 강관 버팀보(400) 타측은 띠장(200)에 연결된다.
먼저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연결잭(300)을 향하는 기초판(521)의 일측에 보강판(621)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400)를 향하는 기초판(521)의 타측에 소정의 두께를 갖고 나사산이 천공된 보강판(622)이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400) 쪽의 보강판(622)은 +자 형상이고, 연결잭(300) 쪽의 보강판(621)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이다.
상기 사다리꼴의 +자 보강판(621)의 단부에는 기초판(522)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21)에 의해 연결잭(300)에 체결된다.
상기 +자 보강판(622)은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에 내삽되어 보강판(622)과 강관 버팀보(400) 일측 단부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722)에 의해 +자 형으로 천공된 강관 버팀보(400)와 보강판(622)이 체결됨으로서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이 연결된다.
다음,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띠장(200)을 향하는 기초판(523)의 일측에 보강판(623)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400)를 향하는 기초판(523)의 타측에 소정의 두께를 갖고 나사산이 천공된 보강판(624)이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400) 쪽의 보강판(624)은 +자 형상이고, 띠장(200) 쪽의 보강판(623)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이다.
상기 사다리꼴의 +자 보강판(623)의 단부에는 기초판(524)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23)에 의해 띠장(200)에 체결된다.
상기 +자 보강판(624)은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에 내삽되어 보강판(624)과 강관 버팀보(400) 타측 단부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724)에 의해 +자 형으로 천공된 강관 버팀보(400)와 보강판(624)이 체결됨으로서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이 연결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의 연결구조는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감소하고, 기초판(521,…,524)과 보강판(621,…,624)이 강관 버팀보(400)의 운반이나 설치에 제약을 주지 않으며, 체결개소가 적어 연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도 4a와 도 4c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도 4a는 분해 사시도, 도 4b는 정단면도, 도 4c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띠장(100,200)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은 띠장(100)에 고정된 연결잭(300)에 연결되고, 강관 버팀보(400) 타측은 띠장(200)에 연결된다.
먼저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연결잭(300)을 향하는 기초판(531)의 일측에 보강판(631)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400)를 향하는 기초판(531)의 타측에 보강판(632)과 관형 보강재(831,832)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400) 쪽의 보강판(632)은 +자 형상이고, 연결잭(300) 쪽의 보강판(631)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이다.
상기 관형 보강재(831,832)는 강관 버팀보(400)에 외삽되는 관형 보강재(831)와 내삽되는 관형 보강재(832)의 이종이다.
상기 사다리꼴의 +자 보강판(631)의 단부에는 기초판(532)이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31)에 의해 연결잭(300)에 체결된다.
상기 +자 보강판(632)은 강관 버팀보(400)에 내삽되고 이종 관형 보강재(831,832)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이 삽입되어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 단부와 보강판(632) 및 관형 보강재(831,832)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에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732)에 의해 천공된 강관 버팀보(400)와 관형 보강재(831,832)가 체결됨으로서 강관 버팀보(400)의 일측과 연결잭(300)이 연결된다.
다음,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띠(200)장을 향하는 기초판(533)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되는 리브(533a)가 형성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400)를 향하는 기초판(533)의 타측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이종의 관형 보강재(833,834)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때 상기 강관 버팀보(400)에는 날개(400a)가 형성되고 상기 관형 보강재(833)에는 절개홈(833a)이 형성된다.
상기 기초판(533)에 형성된 리브(533a)의 내측 공간에 띠장(200)이 착탈식으로 끼워지고 이종의 관형 보강재(833,834) 사이에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버팀보(400)의 날개(400a)는 관형 보강재(833)의 절개홈(833a)을 따라 끼워진다.
상기 관형 보강재(833,834)와 강관 버팀보(400) 타측 단부의 접촉 부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되면 상기 강관 버팀보(400)가 외부로부터 압축력을 받고 있으므로 강관 버팀보(400)와 관형 보강재(833,834)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하지 않아도 강관 버팀보(400)의 타측과 띠장(20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띠장(200)에는 보강판(633)을 삽입하여 띠장(200)을 보강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4실시예의 연결구조는 착탈식으로 강관 버팀보(400)를 띠장(2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의 대한 첨부된 도면에서 강관 버팀보(400)가 원형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고, 또한 강관 버팀보(400)의 강관은 일반 구간용 재질의 강관과 내진용 재질의 강관을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공사현장에서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버팀보를 기존의 H형강과는 달리 약축과 강축의 구분없이 강성이 커서 수직, 수평 보강재가 필요없는 강관 버팀보의 설치가 원활하여 흙막이 공사가 간편하고 편리하다.

Claims (18)

  1. 띠장과 연결잭 사이나 2개의 양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와;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제1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에 각각 체결되는 제2기초판과;
    상기 띠장이나 연결잭에 각각 체결되는 제3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각각 내삽되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1보강판; 및
    상기 제2기초판과 제3기초판에 접합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은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판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4. 띠장과 연결잭 사이나 2개의 양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와;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제1기초판과;
    상기 띠장이나 연결잭에 각각 체결되는 제2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각각 내삽되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1보강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각각 내삽되거나 외삽되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고 강관 버팀보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관형 보강재; 및
    상기 제1기초판과 제2기초판에 접합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은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판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7. 띠장과 연결잭 사이나 2개의 양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와;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제1기초판과;
    상기 띠장이나 연결잭에 각각 체결되는 제2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각각 내삽되 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1보강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내삽과 외삽되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1관형 보강재와 제2관형 보강재; 및
    상기 제1기초판과 제2기초판에 접합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형 보강재와 제2관형 보강재는 강관 버팀보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은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0.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판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1. 띠장과 연결잭 사이나 2개의 양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와;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합되는 제1기초판과;
    상기 띠장이나 연결잭에 각각 체결되는 제2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의 일측에 접합되고 나사산이 천공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강관 버팀보의 양측에 내삽되어 강관 버팀보 양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고 강관 버팀보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제1보강판; 및
    상기 제1기초판과 제2기초판에 접합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은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판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4. 띠장과 연결잭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와;
    상기 강관 버팀보의 일측 단부에 접합되는 제1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일측에 내삽되어 상기 강관 버팀보 일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1보강판과;
    상기 제1기초판에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일측에 내삽과 외삽되어 상기 강관 버팀보 일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일측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제1관형 보강재와 제2관형 보강재와;
    상기 연결잭에 체결되는 제2기초판과;
    상기 제1기초판과 제2기초판에 접합되는 제2보강판과;
    상기 강관 버팀보의 타측 단부에 접합되고 측방으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가 띠장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기초판; 및
    상기 제3기초판에 접합되어 상기 강관 버팀보의 타측에 내삽과 외삽되어 강관 버팀보 타측 단부와의 접촉 부위가 접합되는 제3관형 보강재와 제4관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에는 강관 버팀보의 길이방향으로 제3보강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은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7.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판은 사다리꼴의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버팀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타측에 외삽되는 제4관형 보강재에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날개가 절개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2020050036871U 2005-12-29 2005-12-29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200414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71U KR200414056Y1 (ko) 2005-12-29 2005-12-29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71U KR200414056Y1 (ko) 2005-12-29 2005-12-29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243 Division 2005-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056Y1 true KR200414056Y1 (ko) 2006-04-14

Family

ID=4929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871U KR200414056Y1 (ko) 2005-12-29 2005-12-29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05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53B1 (ko) 2007-11-14 2010-05-27 (주)핸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1308575B1 (ko) * 2011-08-31 2013-09-17 주식회사 비앤비엠스틸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KR101481076B1 (ko) 2013-05-10 2015-01-13 이경진 버팀보 어셈블리
WO2016003208A1 (ko) * 2014-07-04 2016-01-07 (주)피에스테크 강관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57180A (ko) * 2016-11-22 2018-05-30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914679B1 (ko) * 2016-11-11 2018-11-12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WO2019172587A1 (ko) * 2018-03-07 2019-09-12 (주)핸스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및 강관 버팀보 조립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53B1 (ko) 2007-11-14 2010-05-27 (주)핸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1308575B1 (ko) * 2011-08-31 2013-09-17 주식회사 비앤비엠스틸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KR101481076B1 (ko) 2013-05-10 2015-01-13 이경진 버팀보 어셈블리
WO2016003208A1 (ko) * 2014-07-04 2016-01-07 (주)피에스테크 강관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14679B1 (ko) * 2016-11-11 2018-11-12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180057180A (ko) * 2016-11-22 2018-05-30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869262B1 (ko) * 2016-11-22 2018-06-20 서경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WO2019172587A1 (ko) * 2018-03-07 2019-09-12 (주)핸스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및 강관 버팀보 조립체
US11255065B2 (en) 2018-03-07 2022-02-22 Gyeong Sik SEO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4056Y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JP5896004B2 (ja)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0733719B1 (ko)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KR101103909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100958426B1 (ko) 버팀보용 고정장치
KR100477195B1 (ko)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용 단띠장재
KR200399887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492883Y1 (ko) 토류판
KR100733718B1 (ko)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CN218492519U (zh) 一种用于深基坑型钢支撑的装配式抗侧力托架
KR200412812Y1 (ko) 사보강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218524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131996A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484548B1 (ko) 마름모형 단면의 지보재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지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33717B1 (ko) 사보강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CN211898422U (zh) 基坑狭小肥槽预制装配式高强腰梁
KR200412813Y1 (ko)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102065941B1 (ko) 엄지말뚝과 자립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101997850B1 (ko) 지주 강도가 보강된 가설 펜스
KR100657654B1 (ko) 복수개의 앵커삽입홀이 형성된 에이치형 파일
KR102353188B1 (ko) 버팀보 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623

Effective date: 201107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915

Effective date: 201107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819

Effective date: 2011122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02

Effective date: 2011122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127

Effective date: 20130411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127

Effective date: 201304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501

Effective date: 2013101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06

Effective date: 201312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110

Effective date: 201403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