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800Y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800Y1
KR200409800Y1 KR2020050033268U KR20050033268U KR200409800Y1 KR 200409800 Y1 KR200409800 Y1 KR 200409800Y1 KR 2020050033268 U KR2020050033268 U KR 2020050033268U KR 20050033268 U KR20050033268 U KR 20050033268U KR 200409800 Y1 KR200409800 Y1 KR 200409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block
hole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주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주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주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50033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8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방지 구조를 갖는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면부(12)(13)와 중앙부의 양측에 다수의 연결공(14)을 형성하고, 중앙부에 상하개방된 공간부(15)를 형성하며 전면부(12)의 횡 길이가 후면부(13)의 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몸체(11)와;
공간부(15)의 전방 양측 몸체(11)에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몸체 저면 전·후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치홈(17)과 걸림턱(18)을 형성하며, 몸체(11) 양측 외면에 요홈부(19)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옹벽블록의 전면부가 후면보다 횡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적층시 양측에 형성된 요홈부에 흙과 잡석을 채워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동시에 옹벽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물의 배수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공간부 양측 상부에 걸림돌기와 저면 전 후부에 안치홈과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상하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식생공을 형성하여 식물 등을 심어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옹벽블록, 식생공, 수지쌓기, 들려쌓기

Description

옹벽용 블록{ A block for a retaining wall}
도 1은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2c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수직쌓기 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들여쌓기 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적층시 연결공에 끼워지는 연결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옹벽블록 적층시 사이에 설치되는 그릴 예시도.
도 7a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수지쌓기 할 때 설치되는 그릴의 예시도.
도 7b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들여 쌓기 할 때 설치되는 그릴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옹벽블록 11:몸체
12:전면부 13:후면부
14:연결공 15:공간부
16:걸림돌기 17:안치홈
18:걸림턱 19:요홈부
20,20':반홈 21:환형돌기
30:연결핀, 31:횡봉
40:그릴
본 고안은 슬라이딩 방지 구조를 갖는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블록 전 후면에 다수의 연결핀 통공을 형성하되 다수의 통공중 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하고 일부는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홀로 형성하여 상부로 적층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을 연결시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식생공을 구비하여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조경을 형성함을 목적으로 한 옹벽용 블록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수직이나 급경사면으로 형성된 지표면 벽체에 콘크리트, 블록, 돌 등을 적층시켜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토록 함으로 흙이 무너지거나 빗물등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만든 벽체(壁體)를 말한다.
또한,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로서, 흙을 지반의 높이보다 높게 쌓아 올릴 때, 건축 또는 도로를 만들기 위해 산을 깎아낼 때, 해안을 메울 때, 강둑을 쌓을 때 등에 필요한 것이 옹벽이며, 옹벽의 재료로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콘크 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을 설치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옹벽 부재로 사용되는 돌의 경우에는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시공시 상당한 숙련기술이 필요하고 콘크리트 블록옹벽이나 콘크리트 타설 옹벽의 경우에는 외견상 단조롭고 콘크리트 특유의 색상에 의하여 경직되고 딱딱하여 주변의 환경은 나무와 풀에 의하여 조경이 이루어지는 반면 콘크리트 옹벽은 풀이 자라지 못함으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실용신안등록 제0382628호 "옹벽용블록"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옹벽 및 경사진 곳에 차례대로 적층 하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어슷하게 설치하여 벌, 조류 등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우천시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각 블록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블록의 전면에는 요철형상의 모양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식생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중공 홀이 형성되고, 중공홀의 전방 방향과 뒤쪽 방향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시공 시 작업자가 블록과 블록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고정홈에 삽입하여 블록을 적층하므로 블록간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이 용이하며 시간이 단축되고, 블록과 블록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전면공에 형성된 식생홈에서 꽃, 벌, 조류 등이 서식하므로 환경친화적으로 설치되고, 하나의 블록을 이용하여 직선과 곡선의 경계가 없이 블록이 쌓아질 수 있으므로 토사의 압력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실용신안등록 제0481160호 옹벽용 블록의 주요 구성은, 옹벽 및 경사진 곳에 차례대로 적층하거나 또는 계단형식으로 어슷하게 설치하여 벌, 조류(작은 새) 등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우천 시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각 블록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옹벽용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후면공이 형성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을 갖으며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전면의 상부와 양 측면의 상부에 다른 블록과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핀이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홈;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전면공을 갖으며 몸체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시공 시 작업자가 블록과 블록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핀을 고정홈에 삽입하여 블록을 적층하므로 블록간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시간이 단축되고, 블
록과 블록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전면공에서 꽃, 벌, 조류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등록실용신안 옹벽용 블록들은 모두 돌출부, 식생공, 공간부, 채움공, 중공홈 들을 각각 구성함으로써 블록의 크기가 커지고 식생공과 중공홈이 별도로 구성되어 잡석을 채우거나, 흙을 채워야하므로 시공시 잉여분의 잡석과 흙이 없을 경우에는 빈공간을 유지한 상태로 적층하거나 잡석을 채우더라도 형식적으로 약간만 채우고 시공함으로서 옹벽 블록의 식생공, 중공홈으로 분리하여 형성한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여 결국 부실공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옹벽블록의 전면부가 후면부보다 길게 형성하여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을 수평으로 배열시 양측 요홈부와 요홈부가 대응되어 잡석 채움공을 형성함으로써 배수로를 형성하여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과, 옹벽블록 공간부 양측 상면에 걸림 돌기를 형성하여 적층시 견고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들여쌓기시 공간부의 일부를 식생공으로 형성하여 식물을 식재함으로 친환경적인 옹벽블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몸체의 공간부 전방 양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들여쌓기 할 때 상부에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전면부가 걸리도록 하는 동시에 공간부의 일부분을 노출시켜 식생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몸체 저면 전·후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치홈과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부의 걸림돌기가 위치되어 지지력을 향상시켜 슬라이딩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 양측 외면에는 "]["형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옹벽블록 적층시 잡석을 채움으로서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 방지 옹벽용 블록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류서식지 또는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식생공이 형성되고 적층되는 블록과 블록을 연결핀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후면부(12)(13)와 중앙부의 양측에 다수의 연결공(14)을 형성하고, 중앙부에 상하개방된 공간부(15)를 형성하며 전면부(12)의 횡 길이가 후면부(13)의 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몸체(11)와;
공간부(15)의 전방 양측 몸체(11)에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몸체 저면 전·후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치홈(17)과 걸림턱(18)을 형성하며, 몸체 양측 외면에는 "]["형의 요홈부(19)가 형성되도록 옹벽블록(10)을 구성한다.
상기 몸체(11) 전면부(12)와 후면부(13)는 상면에 횡으로 반홈(20)(20')을 형성하고 반홈(20)(20')상에는 다수의 연결공(14)이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옹벽블록의 몸체 전면부(12)에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환형돌기(21)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부(15)는 전면은 넓고 후면은 좁은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식생공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몸체 전면부(12)와 후면부(13)의 반홈(20)(20')에 형성된 연결공(14)은 일부는 관통공이 되도록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하부가 막힌 홀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옹벽 시공장소의 지반 고르기 작업을 한다. 이때 기초콘크리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옹벽블록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소정의 깊이로 터파기를 한 후 옹벽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시공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옹벽시공의 현장 조건에 따라서 통상적인 실시 예를 따른다.
상기와 같이 기초 지반공사가 완료되면 본 고안의 옹벽블록(10)을 전면부(12)에 형성된 환형돌기(21)가 전면에 보이도록 하여 횡으로 1열을 나열시킨다.
1열을 나열시킨 다음에는 나열된 옹벽블록 몸체(11) 전면부(12)의 반홈(20)(20')에 다수형성된 연결공(14)에 연결핀(30)을 끼운다.
이때 연결핀은 낱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도 5와 같이 연결공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된 상태로 제작되어 연결공에 끼워져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10)의 지지력을 갖도록 한다. 이때 연결공(14)에 끼워지는 연결핀(30)은 하부가 막힌 연결공(14)의 홀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게 되며, 전면부(12) 양측의 연결공(14)과 중앙부 양측에 위치한 연결공(14)은 관통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연결핀(30) 이외의 철근 등으로 하부에 위치한 옹벽블록(10)의 연결공(14)까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연결핀(3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녹방지 도금처리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다수의 연결핀(30)을 연결한 횡봉(31)은 몸체(11)의 전면부(12) 또는 후면부(13) 상부에 횡으로 형성된 반홈(20)(20')에 위치 됨으로서 연결핀(30)의 횡봉(31)은 반홈(20(20'))에 안착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로 적층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 사이에는 연결핀(30)을 끼워 서로의 옹벽블록이 지지력을 갖고 토사의 슬라이딩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적층되는 옹벽블록은 3열 내지 4열 적층마다 지지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그릴(40)을 설치하게 되는데 그릴(40)은 튼튼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도 7과 같이 격자 형태의 망을 형성함으로써 연결핀(30)에 걸리도록 설치하면 된다.
즉, 그릴은 옹벽블록(10)에 끼워지는 연결핀(30)의 횡봉(31) 상부에 위치하 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옹벽블록(10)은 수직쌓기 또는 들여쌓기를 하기 위해 횡으로 배열하면 옹벽블록(10)의 전면부(12) 일측과 다른 옹벽블록의 전면부 일측이 대응된 상태가 되므로 옹벽블록(10)의 양측 요홈부(19)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15)가 형성되므로 이에 잡석, 흙 등을 채우게 된다.
본 고안의 옹벽블록(10)은 전면부(12)의 길이가 후면부(13)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쌓기 또는 들여쌓기를 할 때 횡으로 나란이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을 배열시키면 전면부 양측은 다른 옹벽블록의 전면부 일측과 대응 밀착되는 반면, 후면은 길이가 짧은 관계로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의 후면 사이의 간격은 벌어진 상태가 되며 요홈부(19)와 요홈부(19)의 전체적인 형상은 역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횡으로 나열된 옹벽블록(10)의 공간부(15)는 정사다리꼴을 이루고 있으며, 옹벽블록(10)과 옹벽블록(10) 사이의 요홈부(19)는 역사다리꼴 모양을 형성하게 되며 이는 좌우로 연속반복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의 평면도와 저면도로서, 본 고안의 옹벽블록(10)은 시공시 전면부(12)에 수직으로 형성된 환형돌기(21)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상면에 다른 옹벽블록(10)을 적층시 전면부(12)의 반홈(20) 후면에 위치하는 공간부(15)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6)가 다른 옹벽블록(10)의 저면의 전면부에 형성된 안치홈(17)에 위치함으로 옹벽블록(11)을 적층시 맞물림이 이루어져 견고하게 됨과 동시에 연결 핀(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에 대한 상하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옹벽블록(10) 저면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턱(18)은 역시 들여쌓기 할 때 아래에 위치하는 연결공(14)에 끼워진 연결핀(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일면에 위치하는 흙 또는 잡석이 끼워져 옹벽블록의 적층에 따른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옹벽블록(10) 몸체 전 후면부(12)(13)에 횡으로 형성된 반홈(20)(20')은 연결핀(30)을 연결한 횡봉(31)이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의 단면도로서, 옹벽블록의 전 후면부(12)(13)와 식생겸용 잡석 채움공으로 사용되는 공간부(15) 양측에 형성된 연결공(14)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면부 연결공(14)의 중앙부에 형성된 2개의 연결공(14)과 후면부(13)에 형성된 연결공(14)은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홀을 형성하고 전면부(12)양측 2개씩 4개의 연결공(14)과 공간부(15) 양측 연결공(14)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천공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수직 쌓기 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옹벽시공시 옹벽블록을 하단에 일열로 배열시킨 후 그 상부에 적층되는 옹벽블록은 하단의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이 대응된 부분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적층시킨 후 좌우로 연속적으로 배열하게 된다.
이때 적층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 사이의 전면부 연결공(14)에는 연결핀(30)이 끼워진 상태로서 수직선상으로 적층되는 옹벽블록(10)과 옹벽블록(10) 사이 에는 연결핀이 반복적으로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들여쌓기 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시공방법은 도3과 동일한 방법으로써, 하단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을 횡으로 나열한 후 그 위에 적층되는 옹벽블록은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이 대응된 이음부의 수직선상 상부에 위치되도록 적층하고 연결핀은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중앙부 상면에 형성된 연결공(14)에 연결핀(30)을 끼워 상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0)의 전면부(12) 저면으로 관통된 양측의 연결공(14)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사용되는 연결핀(30)은 다수개가 횡봉(30)으로 연결된 것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낱개로 이루어진 연결핀(30)을 사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적층시 연결공에 끼워지는 연결핀의 사시도로서, 연결핀(30)의 재질은 플라스틱제 또는 녹방지 코팅된 금속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수의 봉을 횡봉(31)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설치시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연결핀(30)의 하단부와 횡봉(31)에는 절단부를 형성하여 필요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옹벽블록 적층시 사이에 설치되는 그릴 예시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수직쌓기 할 때 설치되는 그릴의 예시도 이며, 도 7b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들여 쌓기 할 때 설치되는 그릴의 예시도로서, 옹벽블록을 수직쌓기 또는 들여쌓기(계단쌓기) 할 때 상하 옹벽블록과 옹벽블록 사이에 설치하되 그릴(40)이 연결핀(30)에 걸리도록 설치함으로써, 우천시 옹벽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수평으로 배열된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그릴(40)은 옹벽블록(10)과 옹벽블록(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적층되는 사이사이마다 설치하는 것이 최대의 효율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3단 또는 4단 마다 하나씩 설치하더라도 전체적인 옹벽블록의 지지력에는 하자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적층되는 층마다 설치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a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수직쌓기 할 때 설치되는 그릴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릴(40)이 옹벽블록(10)의 전면부(12) 연결공(14)에 끼워진 연결핀(30)에 걸리도록 설치한 것이며, 도 7b는 본 고안의 옹벽블록을 들여 쌓기 할 때 설치되는 그릴의 예시도로서, 옹벽블록(10)의 후면부(13) 연결공(14)에 끼워진 연결핀(30)에 걸리도록 설치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적층되는 옹벽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그릴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설치하더라도 관계없다.
또한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도 7b와 같이 들여쌓기를 하면 상부에 적층되는 전면부가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걸림돌기(16) 후면에 위치하므로 공간부(15)의 전면 일부분이 노출되어 식생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옹벽시공시 옹벽블록을 계단형상과 같이 들여쌓기를 한 후 전면으로 노출되는 공간부(15)에 식물 등을 심어 조경함으로써,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딱딱한 느낌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에 식물을 심어 동적인 느낌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옹벽블록의 전면부가 후면보다 횡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적층시 양측에 형성된 요홈부에 흙과 잡석을 채워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동시에 옹벽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물의 배수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공간부 양측 상부에 걸림돌기와 저면 전후부에 안치홈과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상하 적층되는 옹벽블록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식생공을 형성하여 식물 등을 심을 수 있도록 함으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조류서식지 또는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식생공이 형성되고 적층되는 블록과 블록을 연결핀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후면부(12)(13)와 중앙부의 양측에 다수의 연결공(14)을 형성하고, 중앙부에 상하개방된 공간부(15)를 형성하며 전면부(12)의 횡 길이가 후면부(13)의 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몸체(11)와;
    공간부(15)의 전방 양측 몸체(11)에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몸체 저면 전·후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치홈(17)과 걸림턱(18)을 형성하며, 몸체(11) 양측 외면에 요홈부(19)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1) 전면부(12)와 후면부(13)는 상면에 횡으로 반홈(20)(20')을 형성하고 반홈(20)(20')상에는 다수의 연결공(14)이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부(15)는 전면은 넓고 후면은 좁은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식생공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몸체 전면부(12)와 후면부(13)의 반홈(20)(20')에 형성된 연결공(14)은 일부는 관통공이 되도록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하부가 막힌 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KR2020050033268U 2005-11-24 2005-11-24 옹벽용 블록 KR200409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268U KR200409800Y1 (ko) 2005-11-24 2005-11-24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268U KR200409800Y1 (ko) 2005-11-24 2005-11-24 옹벽용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35A Division KR100663257B1 (ko) 2005-11-23 2005-11-23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800Y1 true KR200409800Y1 (ko) 2006-03-03

Family

ID=4176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268U KR200409800Y1 (ko) 2005-11-24 2005-11-24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8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CN210104786U (zh) 一种可绿化的路肩挡土构件
KR100645294B1 (ko) 사면용 축조블록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409800Y1 (ko) 옹벽용 블록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701484B1 (ko)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754977B1 (ko)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KR200420360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63856Y1 (ko) 호안블록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US20010029709A1 (en) Concrete structure
KR101927290B1 (ko) 식생 옹벽블록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0626325B1 (ko) 콘크리트 블록과 이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KR200324831Y1 (ko) 식생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