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99Y1 - 철근 고임용 부재 - Google Patents

철근 고임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99Y1
KR200403599Y1 KR20-2005-0016910U KR20050016910U KR200403599Y1 KR 200403599 Y1 KR200403599 Y1 KR 200403599Y1 KR 20050016910 U KR20050016910 U KR 20050016910U KR 200403599 Y1 KR200403599 Y1 KR 200403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frame
reinforcing
spacer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열
Original Assignee
우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열 filed Critical 우종열
Priority to KR20-2005-0016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기초공사에서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떠 받쳐 주는 철근 고임용 부재에 있어서,
ⅰ) 기본틀은 한 개조의 제1 버팀재 및 제2 버팀재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 및 중간부를 각각 서로 연결한 상부 간격재 및 하부 간격재로 이루어지고;
ⅱ) 상기 기본틀은 제1 기본틀과 제2 기본틀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그 기본틀의 버팀재 상부와 중간부를 각각 서로 연결하여 상기 기본틀들이 자립될 수 있도록 조립한 상부 지지재와 하부 지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고임철근은 건축물의 기초 공사를 위해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에서 철근 고임용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부 간격재와 하부 간격재에 의해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을 동시에 받쳐 주기 때문에 상, 하부 철근 간에 간격 유지가 잘되어 골조 구조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철근의 이탈현상이 없으므로 후속 작업 특히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타설에 의한 충격으로 철근 흐트러짐이 없이 원활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철근 고임용 부재{System bar chair for support of Steel reinforcement}
본 고안은 철근 고임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기초 공사를 위해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에서 하부 철근과 상부 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부 철근 또는 하부 철근을 고여 떠 받쳐 줄 수 있는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초 공사를 위해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 현장에서 하부 철근과 상부 철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는 철근 배근시 철근 구조물의 보강이 목적이라기보다는 콘크리트 타설시 사람이 올라서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위에 철근이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철근 고임용 부재 시공 공법은 특정한 시공 방법이 없으며, 철근공이 현장에서 철근을 이용하여 임의적으로 Z형, ㄷ형 또는 U형의 형태로 제작 설치하여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켰다. 따라서 철근 고임용 부재 설치를 위한 표준 시공법이 없기 때문에 모듈화가 되어 있지 아니하여 현장 시공 감리가 어려우며, 구조 검토 등의 안전성 확인이 없이 철근공이 임의로 시공하기 때문에 특히 춤이 높은 기초 슬래브의 경우에는 높이가 높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으며, 수작업에 의한 재래식 현장 제작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기가 길며, 특히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에 의한 충격으로 철근의 흐트러짐과 콘크리트 유입에 의한 이탈이 많아 철근 고임용 부재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철근 고임용 부재의 기본틀을 공장에서 □형, 형 또는 형 등과 같은 다양하고 일정한 규격 형태의 기본틀과 그리고 지지재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철근공이 상기 기본틀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지재로 용접, 볼트 체결 또는 기타 긴결재 등으로 조립하여 하부 상부 철근 또는 하부 철근을 고여 떠 받쳐 줄 수 있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표준 도면에 의한 설계 시공으로 현장 시공 감리가 용이하고, 구조 검토에 의한 안전성 확인 후 제작 시공이 가능하므로 안전사고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철근 고임용 부재의 기본틀과 지지재를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이기 때문에 철근 고임용 부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가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종래의 시공 방법에 따라 철근 고임용 부재를 설치할 경우 상부 철근이 바닥 콘크리트 면에서 1m이상의 높이에 배근되는 구조에서는 철근 고임용 부재를 설치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공기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철근 고임용 부재를 설치한 후에도 콘크리트를 타설시 사람이 상부 철근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철근 고임용 부재의 설치가 견고하지 못해 철근이 내려 앉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반해 본 고안의 경우에는 배근하는 철근의 높이에 관계없이 기본틀과 지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규격품을 조립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견고성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종래 공법의 문제점들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은 건축물의 기초공사에서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떠 받쳐 주는 철근 고임용 부재에 있어서,
ⅰ) 기본틀은 한 개조의 제1 버팀재 및 제2 버팀재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 및 중간부를 각각 서로 연결한 상부 간격재 및 하부 간격재로 이루어지고;
ⅱ) 상기 기본틀은 제1 기본틀과 제2 기본틀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그 기본틀의 버팀재 상부와 중간부를 각각 서로 연결하여 상기 기본틀들이 자립될 수 있도록 조립한 상부 지지재와 하부 지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본틀의 형태는 형 형상을 기본으로 하나 건축물의 기초공사에서 현장의 조건 또는 배근 철근 구조에 따라 공장에서 □형 형상 또는 형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하고 일정한 규격 형태로 제작되어진다.
그리고, □형 기본틀인 경우에는 상기 ⅰ)의 구성에서 기본틀은 한 개조의 제1 버팀재 및 제2 버팀재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간격재 및 하부 간격재로 이루어진다.
형 기본틀인 경우에는 상기 ⅰ)의 구성에서 기본틀은 한 개조의 제1 버팀재 및 제2 버팀재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간격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틀들은 생산 공장에서 제1 기본틀 및 제2 기본틀 버팀재의 각각 상부, 중간부 또는 하부에 각각 상부 간격재 및/또는 하부 간격재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제작한다.
상기 기본틀에서 버팀재와 간격재의 결합형태는 반드시 용접에 의해서만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고, 현장의 조건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버팀재와 지지대의 결합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시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사 현장에서 철근공이 공장에서 제작되어진 상기 기본틀의 한 쌍 즉, 제1 기본틀 및 제2 기본틀의 버팀재에 너트를 이용하여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를 연결 조립하여 결합한 후 상부 철근 또는 하부 철근을 고여 줌으로서 하부 철근과 상부 철근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게 된다.
또 상기 상부 간격재 및 하부 간격재는 버팀재와 결합되는 내측 위치의 양쪽에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를 각각 조립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본틀과 지지재는 현장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조립되어지거나 또는 다른 방법인 용접이나 기타 긴결재 등을 사용하여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을 고여 떠 받쳐 줄 수 있도록 자립 형태로 조립되어진다. 본 고안에서 '자립'이라 함은 기초 공사를 위해 배근되는 상부 철근 또는 하부 철근을 고여 주기 위해 바닥 콘크리트의 바닥 면으로부터 지지대에 의해 조립되어진 한 쌍의 기본틀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각 부재들의 형상으로 상부 및 하부 간격재는 지지재와의 조립이 용이하고, 그리고 철근의 배근 작업 또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에 현장 인부들이 쉽게 간격재에 발을 디딜 수 있는 안정된 구조 형태인 ┐형 형상의 형강부재를 사용하고, 버팀재는 버팀틀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수직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 형태인 □형 형상의 형강부재를 사용하며, 상부 및 하부 지지재는 각각 양쪽 끝단에 볼트형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의 철근 부재를 사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의 형 기본틀의 분리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본틀(10)은 한 쌍의 제1 버팀재(21) 및 제2 버팀재(22)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 및 중간부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간격재(31) 및 하부 간격재(41)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1a의 각 부재들을 공장에서 용접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철근 고임용 부재의 형 기본틀로 제작되어진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버팀재(21) 및 제2 버팀재(22)는 각각 □형 형상의 형강부재, 상부 간격재(31) 및 하부 간격재(41)는 각각 ┐형 형상의 형강부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형 기본틀(10)의 측면도에 관한 것으로, 상부 간격재(31)와 하부 간격재(41)들은 기본틀의 버팀재(21, 22)와 교차 조립되어지는 부분의 양쪽 내측에 상부 및 하부 지지재(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해 그 끝 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9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의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과 같이 제1 기본틀 및 제2 기본틀의 상부 및 중간부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97)를 이용하여 각각 상부 지지재(51, 52)와 하부 지지재(61, 62)를 서로 연결 조립시켜 철근 고임용 부재가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자립할 수 있게 조립되어진다.
도 4는 도 4의 A-A부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에 관한 것으로, ┐형 형상의 형강부재를 사용한 상부 간격재(31)와 버팀재(21)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미도시)에 끝단이 볼트 형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된 상부 지지재(51)를 삽입한 후 너트(97)를 쪼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5는 도 4의 B-B부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에 관한 것으로, ┐형 형상의 형강부재를 사용한 하부 간격재와 버팀재(21)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미도시)에 끝단이 볼트 형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된 하부 지지재(61)를 삽입한 후 너트(97)를 쪼여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 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는 상부 간격재(31)와 하부 간격재(41)에 의해 상부 지지재(51) 및 하부 지지재(61)를 동시에 받쳐 줌으로써 상, 하부 지지재 간에 간격 유지가 잘되어 철근 고임용 부재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일정한 규격 형태로 제작 조립된 철근 고임용 부재를 사용하여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을 받쳐줌으로써 철근의 이탈현상이 없으므로 후속 작업 특히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타설에 의한 충격으로 철근 흐트러짐이 없이 원활한 시공을 할 수 있다.
도 6은 지반(GL)위에 버림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그 위에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 낸 측면도로, 버림 콘크리트(C) 바닥 면에 하부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받쳐 주기 위한 철근 간격 유지재(92)의 상부에 횡방향 하부 철근(8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종방향 하부 철근(81)을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시켜 배근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간격재(31) 상부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종방향 상부 철근(72)을 배근하고 그 위에 횡방향 상부 철근(71)을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시켜 배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철근 고임용 부재는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을 바닥 콘크리트의 바닥 면으로부터 안정하고 고여 줄 수 있는 구조로서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철근의 배근 작업 또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에도 현장 인부들이 쉽게 간격재에 발을 디디고, 작업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형 기본틀과 형 기본틀의 측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의 차이점은 □형 기본틀인 경우 하부 지지재(40)가 버팀재(21, 22)의 하부에 조립되어지고, 형 기본틀인 경우에는 상부 지지재(30)만 버팀재(21, 22)의 상부에 조립되어지는 구조적인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고임철근은 건축물의 기초 공사를 위해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에서 철근 고임용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부 간격재와 하부 간격재에 의해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을 동시에 받쳐 주기 때문에 상, 하부 철근 간에 간격 유지가 잘되어 골조 구조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철근의 이탈현상이 없으므로 후속 작업 특히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타설에 의한 충격으로 철근 흐트러짐이 없이 원활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의 형 기본틀의 분리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의 형 기본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형 기본틀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4의 A-A부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B-B부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고임용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형 기본틀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형 기본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기본틀 21, 22 : 버팀재
31, 32 : 상부 간격재 41, 42 : 하부 간격재
51, 52 : 상부 지지재 61, 62 : 하부 지지재
71, 72 : 상부 철근 81, 82 : 하부 철근
90 : 관통공

Claims (7)

  1. 건축물의 기초공사에서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떠 받쳐 주는 철근 고임용 부재에 있어서,
    ⅰ) 기본틀은 한 개조의 제1 버팀재 및 제2 버팀재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 및 중간부를 각각 서로 연결한 상부 간격재 및 하부 간격재로 이루어지고;
    ⅱ) 상기 기본틀은 제1 기본틀과 제2 기본틀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그 기본틀의 버팀재 상부와 중간부를 각각 서로 연결하여 상기 기본틀들이 자립될 수 있도록 조립한 상부 지지재와 하부 지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기본틀은 한 개조의 제1 버팀재 및 제2 버팀재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간격재 및 하부 간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의 기본틀은 한 개조의 제1 버팀재 및 제2 버팀재와 그리고 그 버팀재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간격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는 ┐형 형상의 형강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재는 □형 형상의 형강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는 양쪽 끝단에 볼트형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의 철근 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는 버팀재와 결합되는 내측 위치의 양쪽에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를 각각 조립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고임용 부재.
KR20-2005-0016910U 2005-06-13 2005-06-13 철근 고임용 부재 KR200403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910U KR200403599Y1 (ko) 2005-06-13 2005-06-13 철근 고임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910U KR200403599Y1 (ko) 2005-06-13 2005-06-13 철근 고임용 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574A Division KR100684638B1 (ko) 2005-06-13 2005-06-13 철근 고임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99Y1 true KR200403599Y1 (ko) 2005-12-12

Family

ID=4370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910U KR200403599Y1 (ko) 2005-06-13 2005-06-13 철근 고임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991B1 (ko) * 2016-06-15 2017-01-25 (주)알씨에스코리아 대구경 철근용 철근배근유닛과 이를 이용한 철근배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991B1 (ko) * 2016-06-15 2017-01-25 (주)알씨에스코리아 대구경 철근용 철근배근유닛과 이를 이용한 철근배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41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and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WO2017078567A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олонны и плиты перекрытия безригельного бескапительного каркаса здания
KR102429105B1 (ko) 응력흐름을 보강한 코핑부를 갖는 교각
CN102261130A (zh) 建筑框架结构的挂接件及建筑框架结构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2004143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구조
KR20190096187A (ko) 조립식 케이지
KR200403599Y1 (ko) 철근 고임용 부재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20200136127A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CN216194062U (zh) 临时支撑结构
KR102269140B1 (ko) Rc 보 영구 거푸집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시공 방법
KR100684638B1 (ko) 철근 고임용 부재
CN111155793B (zh) 一种建筑施工用快速安装的预制钢筋加工棚
CN208830725U (zh) 一种墙体单侧支模支架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KR101126342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1398435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에 의한 구조
CN217379735U (zh) 适用于大跨度高框架的连墙装置
CN219862417U (zh) 一种桥梁方墩安全爬梯式施工结构
CN213510649U (zh) 一种用于支撑浅埋暗挖拱形板模板的模板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