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414A - 악외(顎外)장치를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악외(顎外)장치를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414A
KR20040111414A KR10-2004-7014526A KR20047014526A KR20040111414A KR 20040111414 A KR20040111414 A KR 20040111414A KR 20047014526 A KR20047014526 A KR 20047014526A KR 20040111414 A KR20040111414 A KR 2004011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section
orthodontic
right angled
angled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180B1 (ko
Inventor
헤르조그 구이도
Original Assignee
헤르조그 구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르조그 구이도 filed Critical 헤르조그 구이도
Publication of KR2004011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턱이나 치아의 위치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악외 장치로서 안면활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치열교정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기능성 치열교정장치는 안면활부의 전이부(20)에 고정되어 매우 간단한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패드홀더(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패드홀더는 하방으로 이동된 전정의 아랫입술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패드나 플레이트쌍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악의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면서 공지의 모든 이점들을 갖는 하악의 기능성 치열교정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악외(顎外)장치를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Functional orthodontic appliance with an extraoral device}
원심교합(distal occlusion)은 자주 발생하는 턱이나 치아의 위치이상이다. 그 한 원인은 상악이 그 정상적인 정도를 넘어서 돌출하는 경우에 나타내는 상악돌출이다. 상악은 정상교합이나 양호한 악교합과는 대조적으로 너무 크거나 전방에 위치한다. 두 번째 원인은 하악후퇴증이다. 이것은 하악의 후퇴에 의해 나타난다. 세 번째 원인은 상악 치조의 돌출이다. 이것은 턱의 관계가 정상일 때 상악의 치아가 돌출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오늘날의 치료는 고정적으로 위치하거나 착탈 가능한 치열교정장치에 의해, 또는 기능성 치열교정장치(FO-장치)에 의해 표준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추가의 외과적 치열교정치료는 치료가 잘 안 되는 특히 어려운 경우에만 필요하다.
가장 변화된 치군(齒群) 조정기들이 FO장치라는 집합어로 시장에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비슷한 작용원리에 기초하지만, 그 설계방식 및 구성형상에서는 상당히 다르다. 모든 FO장치에 공통된 점은 이들 장치가 상악 및 하악에 동시에 작용하며 입 부위에 작용하는 근력의 전환(편향)에 의해 위치이상을 교정한다는 것이다. FO장치에 의한 치료의 기본은 근육계의 위치이상을 제한하지 않고 단련하여 하악의 기능성 위치이상을 교정하는데 있다. 어느 정도 치료된 사람은 교정력을 스스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통스럽고 손상을 주는 조직의 과부하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의 FO장치들로는 아드레센(Adresen) 및 하우플(Haupl)에 의한 작동기, 발터(Balters)에 의한 바이오네이터(bionator), 비믈러(Bimler)에 의한 치군 성형기, 클람트(Klammt)에 의한 탄성개방 작동기, 스톡피시(Stockfisch)에 의한 키네터(kinetor), 사이버네이터(cybernator), 노출 작동기, 기능화기(FIO), 이중블록 장치, 튜체르(Teuscher)에 따른 Zurcher 작동기, 및 프랑켈(Frankel)에 따른 기능성 조정기가 포함된다.
흔히 "작동기(activator)"라는 이름으로 집단적으로 취급되는 장치는 다소 단단한 장치로서, 이는 입안에 헐렁하게 위치하며 치아에 고정지지요소를 갖지 않는다. 이 장치들은 근육계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며 저작 및 입술근육계에 대한 작동기로서 작용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턱의 성장제어와 상악 및 하악의 상대적 위치이상의 교정이 이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근력이 소망방향으로 전환 또는 전향되어 턱의 성장이 마찬가지로 소망위치에서 이루어져, 결국 위치이상이 보상된다.
치료의 성공은 이런 턱의 성장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FO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젖니를 가지면서 주로 복합 치군을 가져서 그 수용시에 아주 특별한 문제를 수반하고 착용시에 훈련을 수반하는 어린 환자 및 아주 어린 환자들이 이용한다.
프랑켈(Frankel)에 의한 기능조절기는 근육계만을 통해 턱을 교정한다. 프랑켈의 기능조정기에 의한 치료는 프랑켈의 FO장치에 의해 낮 동안 기능장해시스템을 수반하여 강화시키는 상습적인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이런 훈련은 실제의 치료단계에서 낮 중에 그리고 밤에 장치를 착용할 때까지 증가한다. 근육계의 기능 및 자세적인 연약함의 결과로서 하악의 후퇴가 관찰된다. 이것은 하악의 전방부의 아래에서 입술을 지탱하는 플레이트에 의해 촉진되어 착용자에 의해 소망위치로 적극적으로 이동되므로 하악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플레이트는 기계적인 카운터베어링으로서 작용하지 않지만 조직에 직접 부하를 주지 않는 기계적 자극을 나타낸다. 프랑겔에 따른 기능성 조절기에 의해, 입술플레이트나 패드 외에, 큰 면적을 갖는 빰플레이트가 복합와이어골격에 의해 턱으로부터 수 밀리미터만큼 이격되어 고정된다. 개개의 장치를 턱의 성장에 맞출 수가 없기 때문에 완전한 치료에는 프랑켈장치 중의 세 개 내지 네 개가 필요하다. 치군은 시기가 되면 빠지므로 프랑켈의 장치에서는 교합저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심지어 치료를 중단하게 될 수도 있다. 프랑켈의 기능조절기는 브라켓과 결합하지도 않고 헤드기어와 결합하지도 않는다.
착탈형이나 고정형 브레이스만으로 적절히 치료할 수 있는 위치이상이 존재한다면 악외장치, 바람직하게는 외부 브레이스나 헤드기어로 부가적인 힘을 가한다. 외부 브레이스의 주기능은 a) 전방으로 너무 많이 돌출하는 상악의 측방치아의 위치를 후방으로 교정하고, b) 정확히 안착된 측방치아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고, c) 하악에 대하여 상악의 성장을 늦추는 것에 있다. 외부 브레이스는 안면활부와 헤드 또는 목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결국 안면활부는 그 때마다 강한 금속와이어로 형성되어 전이부의 중앙에 연결되는 내측활부 및 외측활부로 구성된다. 내측활부의 단부는 착탈형 플레이트나 고정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내측활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이 어금니에 고정되게 하는 작은 관속에 삽입된다. 보통 내측활부보다 두꺼운 외측활부는 헤드 및/또는 목(목스트립 및/또는 헤드캡)에 지지되는 스트립시스템으로부터 장력을 내측활부에 전달하여 하악의 치아에 전달한다.
헤드기어나 튜체르(Teuscher) 작동기에 있어서, 양턱모노블록장치와 외측활부를 조합한 것은 극도의 원심교합(distocclusion)을 치료하기 위한 악외 보조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장치들이 다소 심한 턱의 전방돌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소망의 적정교정위치에서 하악의 과보상 및 인위적인 돌출 또는 그 외의 위치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FO장치에 의한 치료는 고정형 장치보다 오래 가는데, 예를 들어 각 치아의 목표위치변화를 어느 한정 정도까지 허용한다. 공지의 FO장치는 종종 대화 시에 큰 불이익을 수반하며 그 성공정도는 아주 어린 환자의 협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또한 고정식(고정형) 장치와 동시에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턱이나 치아의 위치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악외 보조물을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고 이후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장안내장치의 내측(입)에서 본 도면.
도 1b는 도 1a에 따른 장치의 아래(후미)에서 본 도면.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시의 주된 위치를 나타낸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적용된 장치가 어금니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입술과 상호 작용하게 된 도 2a에 따른 턱부위를 나타낸다.
도 4는 처리개시시에 성장안내장치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상악에 대한 하악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하악의 위치는 장치를 적용하지 않고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5는 치료 전에 아랫입술이 개재된 초기상태(A)와 치료완료 후에 입술이교정되어 이완된 목표상태(Z)를 나타낸다.
도 6은 고-풀헤드캡(H) 또는 목-풀넥크스트립(C)을 보충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측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악후퇴를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공지의 FO장치의이점을 가짐과 동시에 상악의 치아에 원하는 영향을 줄 수 있는 치열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후반부에 규정한 특징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장안내장치(GGA)의 요부들을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한다. 뺨에 대략 평행한 안면의 외측면에서 연장되는 외측활부(10)를 갖는 기본적으로 공지된 안면활부(1)는 전이부(20)의 내측활부(3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외측활부(10)의 양단부에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머리 및 목 인장스트립에 직접 또는 공지의 안전모듈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후크(11, 12)를 포함한다. 전이부(20)의 외측활부(10)에 작용하는 장력은 구강 내에 위치하는 내측활부(20)에 전달된다. 상기 외측활부(10), 내측활부(30) 및 전이부(20)는, 전이부(20)가 치료대상자의 입술의 틈 사이에 위치하여, 안면활부(1)의 착용시에 자유롭게 입술을 닫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내측활부(30)는 외측활부로부터 전달된 장력을 직접 치아로 전달하거나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 공지의 착탈형 플레이트기기에 전달된다. 안면활부(1)의 적용시, 내측활부(30)의 근접단부(31, 32)는 어금니나 또는 플레이트상의 적절한 수용체 상에 위치하는 근접단부용 관속으로 밀어 넣어진다. 측면도에서 볼 수 있는 탄성루프(36, 37)는 안면활부(1)를 수평상태로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면활부(1)는 입 주위 패드홀더(3)를 수용하고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용체(2)에 의해 전이부(20)에 마련된다. 도 1에서 수용체(2)는 전이부(2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 수용체는 바람직하게는 전이부와 용접되며, 그 속에 지지된 패드홀더(3)의 기울어짐 또는 피봇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수직연장부를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체(2)는 Y형상의 패드홀더(3)의 착탈식 고정을 위한 중앙고정나사를 구비한 사각형 슬리브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드홀더(3)의 수직가지(31)도 마찬가지로 수용체(2)의 사각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단면으로 설계되므로 홀더(3)를 유동이 거의 없게 수용체 속에 넣을 수 있다. 수직가지(31)의 베이스는 고정수단(21),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나사핀(21)으로 조임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수직가지(31)와 수용체(2)는 편평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런 형상에 의해, 발생 가능한 비틀림력에 의해 수용체 내에서 수직아암이 비틀리는 것을 간단히 방지할 수 있다. 수직가지(31)는 포크까지 거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두 개의 측가지(32, 33)로 분기되는데, 각 측가지는 하나의 패드(34, 35)를 지지한다. 패드(34, 35)는 공지의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되며, 측가지(32, 33)는 바람직하게는 각 패드 속에 수용되거나 주조된다. 편평한 와이어(32, 33) 상에 대한 패드의 안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드로 둘러싸인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한 두 번 (소정 각도로) 휘어서 이런 방식으로 파형을 갖게된다.
도 1에 따른 패드홀더(3)는 기능면에서 플레이트쌍을 나타내는데, 이 플레이트쌍은 후부에 위치하는 전정(vestibule)의 아랫입술에 위치하며 구체적인 필요조건에 따라서 수직하게 그리고 헤드기어에 대하여 시상(矢狀)적으로 제한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패드홀더의 또 다른 변형예가 이후에 설명하는 도 2에 도시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된 적응위치가 도 3a에 도시되어있다. 적정한 뼈의 일탈로 아랫입술이 개재되는 것은 치료할 필요가 있지만 양턱모노블록장치를 적용하는 것 같은 상당한 조작은 불가능하다. 헤드기어 및 패드홀더(3)의 작용방식이 도 3b에 도시되어있다. 하악은 두 개의 플라스틱 패드나 쿠션(34, 35)에 의해 전형적인 방식으로 소망위치로 안내된다. 이 패드는 하악에 대한 카운터베어링으로서 작용하지는 않고 환자가 스스로 위치이상을 교정하도록 자극한다. 이 패드(34, 35)는 전정 내에 깊이 위치한다. 윗입술과 아랫입술은 헤드기어활부를 파지하는데, 이 헤드기어활부는 패드쌍(3)과 함께 아랫입술을 정확히 위치시키고 앞니의 전방으로 이격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입술 및 저작근육계의 방해력이 하악으로부터 이격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윗입술이 그 영향을 보강한다. 패드홀더(3)는 하악의 전방부의 전방의 전정 내에 위치하여 그 아치형 부분을 적극적으로 변위시킨다. 시상 및 수직 크기에 대한 위치를 각각 셋팅함으로써, 하악이 소망위치로 안내되며, 이렇게 하여 휴지상태에서 하악을 위치변화시킬 수 있다. 과상돌기(condyle)는 수직-후방으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서 하악의 성장증가가 촉진되며 성장방향의 변화가 가능해진다. 도시한 변형실시예의 내측활부(30)는 윗어금니의 스트립(4)에 고정된 관부 속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입주변근육계의 제한적 기능불량을 제거하여 하악의 기능적 후방위치교정을 촉진시킨다. 아랫입술에 의해 안내된 하악의 편향에 의해 성장속도가 촉진되며 성장의 재배향이 치료방식으로 전환된다. 이런 방법으로 치아 붙임이 정확한 위치로 된다.
입 주변 근육계의 기능불량은 아랫입술의 위치변화 및 이완에 의해 교정된다. 근육의 기능장애를 없애면 상악의 앞니가 자발적으로 복귀 및/또는 신장할 뿐만 아니라 하악의 앞니가 돌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앞니가 소극적으로 근사하게 되며 앞니들의 관계를 일부 또는 완전히 기능적으로 교정하게 된다. 목적은 입주변근육계의 평형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앞니들의 상태를 장기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치료개시시(점선으로 도시)와 성공적인 치료후에 상악에 대한 하악위치의 차이가 도 4에 도시되어있다. 하악의 편향의 크기는 패드홀더(3)의 시상위치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술한 주적응위치(아랫입술이 개재된 초기상태(A))에 의해, 패드홀더(3)는 정확한 시상오버젯트를 갖는 소망의 목적상태(Z)와 이완된 입술위치를 하나의 처리단계만으로 얻을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공지의 FO장치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패드홀더는 치과의사나 치료중에 현장의 보조원이 시술할 수 있다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비용 및 시간이 많이 드는 턱모델 및 왁스의 제조가 불필요하며 치과실험실이 전혀 필요 없다. 플라스틱체 및 다양한 와이어부를 갖는 공지의 각각 설계 및 개조된 장치는 미리 제조된 패드홀더로 교체된다. 공지의 안면활부는 수용수단(2)을 보충할 필요만 있다. 얻어질 가치상승을 고려한다면 이런 모든 수단에 의해 가격이 약간 상승하게 된다.
아주 저렴한 패드홀더를 몇 가지 사이즈로 미리 제조하여 최소의 자금투입으로 모든 치과의사가 공급할 수 있다. 치료대상자의 나이와 체격에 따라서 적절한 패드홀더를 선택하여 헤드기어(1)에 고정한다. 가이드(2) 및 유지수단(21)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아암(31, 31', 32, 33, 33')을 이런 방식으로 약간 휘어서 시상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패드(34, 35)는 해부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즉 그 크기 및 형상은 전정 내의 시술에 맞추어진다. 물론 필요시에는 서로에 대한 상대위치를 내측아암(32, 33, 33')을 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이상의 치료단계에서 하악을 소망의 목표위치로 안내할 필요가 있을 경우, 패드홀더(3)의 수직위치 및 시상적 위치는 언제라도 바꿀 수 있다.
도 6에 따른 외측면도에 있어서, 턱의 베이스각도 및 교합면의 경사에 따라서 그 때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고-풀헤드캡(H) 또는 목-풀넥크캡(C)으로 보충할 수 있다. 장력은 종래의 헤드기어와 같이 안전해제부에 의해 가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기어는 패드홀더를 고정할 수 있음으로 종래의 헤드기어와는 다르다. 도 1에 나타낸 중앙가이드(2) 및 Y형 패드홀더(3)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외에, 유리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T형 또는 U형 패드홀더도 가질 수 있지만, 이 패드홀더는 각각 안면활부(1)의 전위부(20)에 두 개의 수용체 또는 가이드(2)를 필요로 한다. 도 2a에 따른 이중 I형 홀더에서 두 개의 별개의 수직아암(31, 31')은 각각 패드(35, 34)를 지지한다. 이런 방식으로 패드는 서로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2b에 따른 U형 홀더에서 수직아암이 측방아암(33')을 통해 연결되어 더욱 안정하게 된다. 도 2c에는 U형 홀더가 연속패드(35')를 지지하는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있다.
조정나사에 의해 패드홀더의 수직위치를 고정하는 대신에 패드홀더의 수직아암과 전이부(20) 사이를 착탈식 또는 고정식으로 연결하는 그 외의 고정기구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아암은 크림핑에 의해 적절한 형상의 수용슬리브(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용접, 레이저용접 또는 접착(본딩)에 의한 연결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그러나 가장 단순한 기계적 공구에 의해 패드홀더를 위치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홀더(3)는 나사드라이버로 수직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벤딩플라이어나 심지어는 손으로 끼워 맞춤 방식으로 시상면 속으로 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일 마모발생이나 2단계 치료와 관련된 문제가 있다면 패드위치는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형상 및 재료의 선택으로 입의 외부가 간단하고 확실하게 깨끗해지므로 완벽한 입의 위생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18)

  1. 턱 및 치아의 위치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악외 보조물로서 안면활부를 갖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에 있어서, 상기 FO장치는 전이부(20)의 안면활부(1)에 고정될 수 있는 패드홀더(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활부(1)의 전이부(20)는 상기 패드홀더(3)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체(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아암(31, 31')이 적어도 하나의 패드(34, 35, 35')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패드지지 측방아암(32, 33)으로 이어지는 수직아암(31)을 갖는 Y형 패드홀더(3)가 상기 전이부(20)의 중앙수용부(2)에 삽입되어 수직하게 위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수직아암(31, 31')을 갖는 U형 또는 이중 I형 패드홀더(3)가 전이부(20) 상의 두 개의 수용부(2, 2')삽입되어 수직하게 위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홀더(3)의 수직아암(31, 31')은 착탈식 클램프연결, 크림핑, 솔더링, 용접 및 접착(본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고정방식으로 전이부(20)의 수용부(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홀더(3)의 수직아암(31, 31')은 착탈식 클램프연결, 크림핑, 솔더링, 용접 및 접착(본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고정방식으로 전이부(20)의 수용부(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아암(31)은 나사핀에 의해 상기 전이부(20)에서 상기 수용체(2)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아암(31)은 나사핀에 의해 상기 전이부(20)에서 상기 수용체(2)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직아암(31, 31')은 직각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수용부(2, 2')는 직각단면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직아암(31, 31')은 직각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수용부(2, 2')는 직각단면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직아암(31, 31')은 직각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수용부(2, 2')는 직각단면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직아암(31, 31')은 직각단면을 갖는 형상으로형성되고, 대응하는 수용부(2, 2')는 직각단면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직아암(31, 31')은 직각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수용부(2, 2')는 직각단면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직아암(31, 31')은 직각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수용부(2, 2')는 직각단면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직아암(31, 31')은 직각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수용부(2, 2')는 직각단면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2)는 전이부(2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2)는 전이부(20)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열교정(FO)장치.
KR1020047014526A 2002-03-18 2003-03-06 악외(顎外)장치를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 KR100942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68/02 2002-03-18
CH4682002 2002-03-18
PCT/CH2003/000155 WO2003077787A1 (de) 2002-03-18 2003-03-06 Funktionskieferorthopädische apparatur mit extraoralem hilfsmitt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414A true KR20040111414A (ko) 2004-12-31
KR100942180B1 KR100942180B1 (ko) 2010-02-11

Family

ID=2781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526A KR100942180B1 (ko) 2002-03-18 2003-03-06 악외(顎外)장치를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19424B2 (ko)
EP (1) EP1485038B1 (ko)
JP (1) JP4326966B2 (ko)
KR (1) KR100942180B1 (ko)
AT (1) ATE392191T1 (ko)
AU (1) AU2003205505A1 (ko)
DE (1) DE50309632D1 (ko)
WO (1) WO20030777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92B1 (ko) * 2013-08-28 2014-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외 교정장치
KR101663647B1 (ko) * 2015-06-18 2016-10-10 김옥경 치근 푸셔 장치
KR102202863B1 (ko) * 2020-08-05 2021-01-14 (주)티에네스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7211A4 (en) 2009-04-03 2012-08-29 Ashland Licensing & Intellectu ACRYLIC ADHESIVE STICKER CURABLE BY ULTRAVIOLET RADIATION
KR101205632B1 (ko) 2011-09-23 2012-11-27 임중기 돌출입 순,설측 교정장치
US20130084536A1 (en) * 2011-09-30 2013-04-04 Jeannie Saraceni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headgear slip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0509A (en) * 1958-05-05 1959-04-07 Carl D Strickler Dental appliance
DE1281105B (de) * 1963-09-30 1968-10-24 Melvin Denholtz Orthodontische Vorrichtung
US3814087A (en) * 1973-01-26 1974-06-04 N Heikes Cervical harness
US4038754A (en) * 1976-02-27 1977-08-02 Northwest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appliance guard
US4431411A (en) * 1981-11-30 1984-02-14 Witzig John W Segmented labial bow with lip pads for aid in the correction of Class III malocclusions and malocclusions with underdeveloped maxillas
US4439148A (en) * 1982-02-18 1984-03-27 Haas Andrew J Orthodontic appliances and method of treatment
DE3411297A1 (de) * 1984-03-27 1985-10-10 Andrew J. Cuyahoga Falls Ohio Haa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zahnregulierung
US4637796A (en) * 1985-02-25 1987-01-20 Marcel Korn Office fabricated, adjustable function regulator
US4815972A (en) * 1986-11-06 1989-03-28 Howe Raymond P Dental intrusion device
US4881896A (en) * 1987-10-19 1989-11-21 Bergersen Earl Olaf Muscular expansion bumper and head-gear appliance
FR2653238B2 (fr) * 1988-12-15 1992-01-17 Essilor Int Monture de lunett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92B1 (ko) * 2013-08-28 2014-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외 교정장치
KR101663647B1 (ko) * 2015-06-18 2016-10-10 김옥경 치근 푸셔 장치
KR102202863B1 (ko) * 2020-08-05 2021-01-14 (주)티에네스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WO2022030994A1 (ko) * 2020-08-05 2022-02-10 (주)티에네스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180B1 (ko) 2010-02-11
WO2003077787A1 (de) 2003-09-25
AU2003205505A1 (en) 2003-09-29
DE50309632D1 (de) 2008-05-29
EP1485038A1 (de) 2004-12-15
JP2005520597A (ja) 2005-07-14
ATE392191T1 (de) 2008-05-15
JP4326966B2 (ja) 2009-09-09
EP1485038B1 (de) 2008-04-16
US20070117062A1 (en) 2007-05-24
US8419424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4706B2 (en) Orthodontic appliance
CA122407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rthopedic and/or orthodontic treatment
US5002485A (en) Orthopedic appliance
US4723910A (en) Apparatus for orthopedic and/or orthodontic treatment
US4571178A (en) Forward-backward molar controlling and positioning dental appliance
AU2002212983B2 (en) Orthodontic distallizing appliance
US4637796A (en) Office fabricated, adjustable function regulator
US8932054B1 (en) Dental occlusion correcting system
US5810583A (en) Reverse pull, extraoral dental assembly with head and body supports
US5697781A (en) Functional regulatin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
US20100151402A1 (en) Slide on connector for arch wire
US20060029899A1 (en) Developed face bow and protraction headgear in correction of anterior openbite Class III patients
WO2005107625A2 (en) Protraction headgear
US4272240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applying a power force to a tooth
CN210144771U (zh)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US6244862B1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0942180B1 (ko) 악외(顎外)장치를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
Eckhart et al. Class II Therapy with the Mandibular Anterior Repositioning Appliance.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Manche et al. Treatment Options for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in Growing Patients-A Review
CN110840591A (zh) 腭侧支架式种植支抗
CN220001955U (zh) 用于下颌前导的矫治装置及矫治***
KR102055497B1 (ko)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CN217660203U (zh) 用于错颌畸形治疗的牙科器械、牙科器械套组及牙科矫治***
CN210903430U (zh) 一种悬臂式矫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