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1Y1 -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 Google Patents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1Y1
KR200400991Y1 KR20-2005-0022865U KR20050022865U KR200400991Y1 KR 200400991 Y1 KR200400991 Y1 KR 200400991Y1 KR 20050022865 U KR20050022865 U KR 20050022865U KR 200400991 Y1 KR200400991 Y1 KR 200400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assembly
support
pillar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동
Original Assignee
조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미동 filed Critical 조미동
Priority to KR20-2005-0022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1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 E04H17/163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using wired panels with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휀스(1)의 양측 기둥(1-1)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1-1)의 각 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12-1)가 마련되고, 굴곡부(12-1)에 결합공(12a)이 형성된 밀착부(12-2)가 일체로 형성된 전면조립체(12)와, 상기 전면조립체(12)와 대응되도록 각각 휀스(1)의 양측 기둥(1-1)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1-1)의 각 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14-1)가 마련되고, 굴곡부(14-1)에 결합공(14a)이 형성된 밀착부(14-2)가 일체로 형성된 후면조립체(14)와, 상기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의 결합공(12a)(14a)에 관통되는 체결보울트(15) 및 체결보울트(15)를 고정하는 너트(16)와, 상기 후면조립체(14)에 일측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정되는 받침체(18)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접근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휀스의 양측기둥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횡방향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각 설치된 휀스 지지구의 후면조립체에 있어, 그 후방에 마련된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받침체를 경사지게 지면에 대해 설치해 줌으로써, 휀스의 미려한 설치는 물론, 견고한 설치와 더불어 해체시에도 향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The supporting device of safety fence for approach prevention}
본 고안은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사현장 등의 각종 장소로부터 접근을 위해 설치되는 안전 휀스의 연속적인 횡방향 연결기능과 함께 설치된 안전 휀스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건설, 건축공사현장 등지에서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을 규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는 안전 휀스는 각 낱개로 제작되어 접근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위치에 맞게 횡방향으로 연속 설치한다.
통상적인 안전 휀스는 식별이 용이한 황색계통 철재물 또는 합성수지물로 제작되며, 그 대표적인 예가 첨부된 도 1과 같다.
종래의 휀스(1)는 칸막이를 형성하는 벽체(2)와, 벽체 하단 양측에 까치발 형상의 다리(3)가 연결 설치된 간단한 구조로서,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놓거나, 위치 제한에 따라 직각으로 위치시켜 놓는 예가 대부분이다. 상기 벽체(2)는 휀스에 있어 철망이나 판넬 타입 또는 철망과 판넬이 일체로 된 타입 등으로 벽체를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철망 타입을 도시한 것이다.
보통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놓이는 휀스의 경우,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각 휀스의 양측을 횡으로 밀착한 상태에서 미도시된 결속부재(철사, 끈 등..)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횡으로 상부지점과 하부지점을 각각 연결하는 정도로서 휀스를 구성하여 접근을 방지하도록 규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휀스는 실질적으로 벽체(2)의 하부에 받쳐지는 다리(3) 길이에 비해 벽체(2)의 크기가 큰 이유에서 바람의 저항을 받거나, 기타의 간섭으로 인해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이나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쓰러지기가 매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향후 휀스를 수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결속부재를 일일이 풀어 해체한 다음에나 각각의 휀스를 낱개로 수거가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휀스의 벽체는 그 횡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크기가 커질수록 하부에 마련되는 다리의 받침구실이 튼실하여야 하나, 통상적으로 간단하게 제작되는 휀스에 있어 다리 부분의 받침부분을 크게 제작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운반이나 보관 등의 이유에 있어서도 제작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비교적 높이가 높은 휀스의 경우에는 그 후방에서 별도의 지주목을 받쳐준 상태에서 휀스를 구축함으로써 쓰러짐을 보완할 수 있으며, 휀스의 높이에 따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휀스의 상하부 양측을 상호 결속부재등으로 연결해 주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안전 휀스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휀스를 연속되게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기능과 함께 설치된 안전 휀스의 전후방향 쓰럼짐을 방지할 수 있는 휀스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벽체와 벽체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리를 구비하여서 된 접근방지용 휀스를 횡으로 연속 연결하고, 전후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휀스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휀스 지지구는 각각 휀스의 양측 기둥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의 각 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가 마련되고, 굴곡부 에 결합공이 형성된 밀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전면조립체와, 상기 전면조립체와 대응되도록 각각 휀스의 양측 기둥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의 각 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가 마련되고, 굴곡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밀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후면조립체와, 상기 전면조립체와 후면조립체의 결합공에 관통되는 체결보울트 및 체결보울트를 고정하는 너트와, 상기 후면조립체에 일측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정되는 받침체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지지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지지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다른 휀스 지지구와 휀스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지지구로서 안전 휀스를 구축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벽체(2)와 벽체(2)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리(3)를 구비하여서 된 접근방지용 휀스(1)를 횡으로 연속 연결하고, 전후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휀스 지지구(10)에 있어서, 상기 휀스 지지구(10)는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 받침체(18)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전면조립체(12)는, 각각 휀스(1)의 양측 기둥(1-1)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1-1)의 각 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12-1)가 마련되고, 굴곡부 (12-1)에 결합공(12a)이 형성된 밀착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조립체는 상기 전면조립체(12)와 대응되도록 각각 휀스(1)의 양측 기둥(1-1)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1-1)의 각 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14-1)가 마련되고, 굴곡부(14-1)에 결합공(14a)이 형성된 밀착부(1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에 형성된 굴곡부(12-1)(14-1)는 휀스(1)의 기둥형상에 따라 반원형 또는 ㄷ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조립체(14)의 밀착부(14-2) 후방으로부터는 상기 받침체(18)의 일단을 체결보울트(13a)로 관통하여 너트(13b)로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13)이 부착 설치된다.
상기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의 결합공(12a)(14a)에는 체결보울트(15)의 관통과 함께 구비되는 너트(16)의 체결로서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받침체(18)는 후면조립체(14)에 일측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정되도록 한 것인바, 후면조립체(14)의 브라켓(13)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방향에 길이 조정공(18a)이 형성된 제1축(18-1)과, 상기 제1축(18-1)의 길이방향을 수용하며, 일측에 상기 길이 조절공(18a)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보울트(18b)가 설치된 제2축과(18-2), 상기 제2축(18-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 고정공(18c)을 두어 지면으로부터 고정용 핀(18d)에 의해 박음 설치되는 고정대(1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휀스 지지구의 설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나 사람의 보행을 규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된 보통 횡으로 하나 이상 연이어 설치되는 안전 휀스(1)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다.
각 안전 휀스(1)의 벽체(2) 가장자리가 되는 양측 기둥(1-1)은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지지구(10)로서 일차적인 연결작업을 실시하여 안전 휀스를 도 2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열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전 휀스(1)를 밀착한 상태에서 휀스의 양측 기둥(1-1)에 대한 전면으로부터는 전면조립체(12)를, 그 후방으로는 후면조립체(14)를 각각 대응되게 위치시켜준다.
즉, 각 조립체(12)(14)의 굴곡부(12-1)(14-1) 부분을 통해 양측 기둥(1-1)을 안내시켜준 상태라면,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조립체(12)의 굴곡부(12-1)는 휀스(1)의 기둥(1-1)에 대해 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고, 후면조립체(14)의 굴곡부(14-1)는 휀스(1)의 기둥(1-1)에 대해 전면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의 밀착부(12-2)(14-2)는 상호 밀착되거나, 또는 휀스(1)의 기둥(1-1)이 갖는 직경에 대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는데, 상호 대응되는 각 조립체(12)(14)의 밀착부(12-2)(14-2)측 결합공(12a)(14a)을 통해서는 체결보울트(15)를 관통하고, 그 반대측에서는 너트(16)를 체결하여 줌으로써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를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의 결합으로서 휀스(1)의 기둥(1-1)에 대해 상,하측에 적어도 2지점씩 또는 그 이상으로 각각의 조립체(12)(14)를 고정함으로써 휀스(1)를 횡으로 연속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휀스(1)는 벽체(2)에 대해 그 하부에 다리(3)로서 지면에 받쳐져 지지될 수 있지만, 다수로 설치된 각 지점의 후면조립체(14)의 후방에 마련된 브라켓(13)으로부터는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후면조립체(14) 중 어느 등간격에서 교호로 위치하는 후면조립체(14)에 받침체(18)를 연결하여 준다.
상기 받침체(18)는 후면조립체(14)의 밀착부(14-2) 후방에 부착 설치된 브라켓(13)에 제1축(18-1)을 체결보울트(13a)와 너트(13b)로 체결하여 그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1축(18-1)의 연결과 더불어 제1축의 길이방향을 수용하는 제2축(18-2)은 적당한 경사를 갖는 상태에서 그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고정대(18-3)를 지면에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고정대(18-3)에 형성된 고정공(18c)을 통해 고정핀(18d)을 박아줌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안전 휀스(1)의 다리(3) 받침과 더불어 받침체(18)의 지지역할로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도 6참조).
한편, 휀스의 높이가 대략 1.5M이상으로 높은 경우(도 7참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의 설치는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휀스(1)의 길이방향에 대해 그 연결되는 수를 늘려 고정시켜 준다.
또한, 받침체(18)의 설치는 해당하는 후면조립체(14)의 브라켓(13)에 대해 받침체(18)의 제1축(18-1)을 연결 설치하되, 제1축(18-1)으로부터 제2축(18-2)을 길이 조정한 상태에서 제2축(18-2)에 마련된 고정용 체결보울트(18b)를 상기 제1축(18-1)의 길이방향에 다수개 마련한 길이조정공(18a) 중 제2축(18-2)이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받쳐지는 상태로 길이조정된 위치에서 해당하는 길이조정공(18a)을 선택하여 고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대(18-3)를 통해 지면에 안정된 지지를 구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휀스 지지구(10)를 이용하여 각 횡방향으로 배열하는 휀스(1)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다수개 각각의 지점에 설치된 휀스 지지구(10)의 후면조립체(14) 후방에서 받침체(18)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줌으로서 휀스의 횡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쓰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휀스 지지구(10)는 휀스(1)의 철거시, 조립의 역순으로 해체시켜주면 각각의 전면조립체(12), 후면조립체(14), 받침체(18)의 3가지 큰 구성요소를 별도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다음 휀스 설치시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휀스 지지구는 접근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휀스의 양측기둥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횡방향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각 설치된 휀스 지지구의 후면조립체에 있어, 그 후방에 마련된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받침체를 경사지게 지면에 대해 설치해 줌으로써, 휀스의 미려한 설치는 물론, 견고한 설치와 더불어 해체시에도 향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휀스를 일렬로 배열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휀스 지지구에 대한 안전휀스를 일렬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지지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지지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다른 휀스 지지구와 휀스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지지구로서 안전 휀스를 구축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안전 휀스 1-1: 기둥
2: 벽체 3: 다리
10: 휀스 지지구 12: 전면조립체
12-1,14-1: 굴곡부 12-2,14-2: 밀착부
13: 브라켓 14: 후면조립체
15: 보울트 16: 너트
18: 받침체 18-1: 제1축
18-2: 제2축 18-3: 고정대

Claims (4)

  1. 벽체(2)와 벽체(2)의 하부 양측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쳐지는 다리(3)를 구비하여서 된 접근방지용 휀스(1)를 횡으로 연속 연결하고, 전후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휀스 지지구(10)에 있어서,
    상기 휀스 지지구(10)는 각각 휀스(1)의 양측 기둥(1-1)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1-1)의 각 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12-1)가 마련되고, 굴곡부 (12-1)에 결합공(12a)이 형성된 밀착부(12-2)가 일체로 형성된 전면조립체(12)와,
    상기 전면조립체(12)와 대응되도록 각각 휀스(1)의 양측 기둥(1-1)을 맞댄 상태에서 양측 기둥(1-1)의 각 후면을 홀딩하기 위해 양측에 굴곡부(14-1)가 마련되고, 굴곡부(14-1)에 결합공(14a)이 형성된 밀착부(14-2)가 일체로 형성된 후면조립체(14)와,
    상기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의 결합공(12a)(14a)에 관통되는 체결보울트(15) 및 체결보울트(15)를 고정하는 너트(16)와,
    상기 후면조립체(14)에 일측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정되는 받침체(18)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조립체(12)와 후면조립체(14)에 형성된 굴곡부(12-1)(14-1)는 휀스(1)의 기둥형상에 따라 반원형 또는 ㄷ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조립체(14)의 밀착부(14-2) 후방으로부터는 상기 받침체(18)의 일단을 체결보울트(13a)로 관통하여 너트(13b)로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13)이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18)는 후면조립체(14)의 브라켓(13)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방향에 길이 조정공(18a)이 형성된 제1축(18-1)과, 상기 제1축(18-1)의 길이방향을 수용하며, 일측에 상기 길이 조절공(18a)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보울트(18b)가 설치된 제2축과(18-2), 상기 제2축(18-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 고정공(18c)을 두어 지면으로부터 고정용 핀(18d)에 의해 박음 설치되는 고정대(18-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KR20-2005-0022865U 2005-08-08 2005-08-08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KR200400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65U KR200400991Y1 (ko) 2005-08-08 2005-08-08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65U KR200400991Y1 (ko) 2005-08-08 2005-08-08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Y1 true KR200400991Y1 (ko) 2005-11-15

Family

ID=4370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865U KR200400991Y1 (ko) 2005-08-08 2005-08-08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00B1 (ko) * 2008-12-23 2009-10-14 스탈휀스개발 (주) 도복형 휀스
KR101743587B1 (ko) * 2015-12-14 2017-06-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KR102528409B1 (ko) * 2021-11-09 2023-05-02 최주연 반려동물용 울타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00B1 (ko) * 2008-12-23 2009-10-14 스탈휀스개발 (주) 도복형 휀스
KR101743587B1 (ko) * 2015-12-14 2017-06-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KR102528409B1 (ko) * 2021-11-09 2023-05-02 최주연 반려동물용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779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US20070261333A1 (en) Enclosure panels
US7090202B1 (en) Fence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KR200400991Y1 (ko)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US6796549B1 (en) Fence structure
KR100818715B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US7017876B1 (en) Stabilizing adjustable brackets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swing set/play set system
JP7092726B2 (ja) プレハブ式階段
KR101299082B1 (ko) 각도조절형 펜스
JP2011026915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備えた防護柵
KR200429769Y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JP6846228B2 (ja) パネル及び防護柵
KR20120113997A (ko) 조립식 휀스
KR100592633B1 (ko) 공동주택에 사용가능한 안전 펜스 조립체
KR102491817B1 (ko)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JP2829819B2 (ja) 落石等の防護柵
JP5336015B1 (ja) 親綱支柱の取付構造
KR20120050000A (ko) 펜스용 브라켓 및 상기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200390378Y1 (ko) 펜스
KR100675082B1 (ko) 조립식 난간(組立式 欄干)
KR100399405B1 (ko) 펜스
KR200357142Y1 (ko) 조립식 난간(組立式 欄干)
JP3507641B2 (ja) フェンスの接続構造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JP3615636B2 (ja) メッシュ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