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883A -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 Google Patents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883A
KR20040097883A KR1020030057643A KR20030057643A KR20040097883A KR 20040097883 A KR20040097883 A KR 20040097883A KR 1020030057643 A KR1020030057643 A KR 1020030057643A KR 20030057643 A KR20030057643 A KR 20030057643A KR 20040097883 A KR20040097883 A KR 2004009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lower body
vibration
infant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39398B1 (en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이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규 filed Critical 이철규
Priority to KR10-2003-005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398B1/en
Publication of KR2004009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3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04Beds with sound emit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15Beds with vib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 worm-environment type cradle to offer a brain wave guidance sound device to an optimal emotional stability to a baby by forming a buffer zone with a suddenly different environment which is likely to cause stress to a baby after birth and by guiding unstable waves caused by the tension or stress to an alpha wave. CONSTITUTION: The worm-environment type cradle comprises a bottle gourd-shaped or worm-shaped upper body(20) which flows up and down and is connected by a hinge portion(22); a streamline-shaped lower body(30); a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30); a handle(32); a wheel(31)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ody(30); a view window(21) coated with a light control film; two or more beds(50) filled with a silicon or solution of salt and coated with a safe film(51); two vibration control unit(40) arrang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ds(50); a brain wave guidance generating unit(100); a projection(33) for preventing the upper body(20) and the lower body(30) from being completely and closely combined; and a battery for supply a power.

Description

자궁환경형 요람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Uterine Cradle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본 발명은 자궁환경형 요람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의 출산 이후 자궁과 다른 환경으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심리적 안정과 안락한 수면을 유도할 뿐 아니라 건강한 발육과 지능 향상을 촉진하는 기능성 요람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of the uterine environment, to provide a functional cradle that promotes healthy development and improved intelligence as well as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able sleep by minimizing stress generated in the uterus and other environments after childbirth.

유아의 정서 및 지능발달에 관하여 지금까지의 수많은 연구자료를 살펴보면 선천적인 유전의 영향과 후천적인 섭생 및 주위 가정 환경의 영향이 중요하다고 설시하고 있는데, 최근 생물 환경학(biometeorology)연구학자들의 보고 논문에 따르면 "인간의 지능을 결정하는 것은 유전자가 아니라, 자궁의 환경이다."라는 주장이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A great deal of research to date on emotional and intelligence development in infants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innate heredity, acquired regimen, and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home environment are important. Recent reports from biometeorolog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argument, "It is not the gene that determines human intelligence, but the environment of the uterus."

즉, 1997년 미국 피츠버그대 합동연구팀은 5만 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인간의 지능은 유전자에 의해 48%만 영향을 받고 나머지는 자궁 내 환경에 의해 좌우된다고 미국 과학잡지 '네이쳐'에 발표하였다. 이전까지 부모의 유전자가 지능지수를 결정한다는 이론이 이 보고를 통하여 그 입지가 좁아진 것이다.In 1997, a joint research team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U.S., conducted a study of 50,000 infants, and reported in the American journal Science Nature that human intelligence is only affected by 48% by genes and the rest is influenced by the intrauterine environment. It was. Previously, the theory that parents' genes determine intelligence indices has narrowed through this report.

또한 미숙아 및 조산아에게 출산 후 모체의 자궁 환경을 인위적으로 제공하여 관찰한 결과 괄목할만한 성장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최근 여러 자궁의 환경 관련 연구가 유아의 발육과 자궁환경의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증명해준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uterine environment was provided to premature infants and premature infants after childbirth, and the results showed remarkable growth effects. These recent uterine environmental studies have shown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development and uterine environment. Prove it.

태아는 자궁 내에서 청각 및 진동에 대해 외부환경정보를 받아들이고 적절한 자궁 내의 소리 및 진동의 자극으로 태아 뇌의 포도당과 산소의 양을 증가할 수 있으며 자궁에서 유도되는 α파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는다는 것도 이미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The fetus receives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hearing and vibration in the uterus and can increase the amount of glucose and oxygen in the fetal brain by stimulating sound and vibration in the uterus, and seeks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α waves induced in the uterus. Is already scientifically proven.

출산 직후의 영아 또는 유아는 모체의 자궁환경에 아직 익숙한 터라, 외부의 조명과 소음 등으로 적지 않은 스트레스를 받게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유아 발육용 여러 프로그램 및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에 공개된 등록번호 10-0211716 특허는 유아용 휴식장치로서, 심장 박동 발생 수단 등의 여러 보호수단을 제공하고 있고, 등록번호 20-0285503 실용신안은 베이비 케어장치로서, 온도조절과 공기정화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특허 또는 실용신안에 따른 장치는 유아의 안정을 위한 뇌파 유도 수단 및 외부 자극적인 광원으로부터의 보호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있으며, 유아에 적합한 인체 공학적 외형설계에 대한 언급이 없다. 더불어, 국내공개번호 1997-0058676 특허는 인큐베이터용 매트장치로서 진동 변환기와 음성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여 매트로부터 유아에게 진동과 음성을 전달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역시 광원 보호 수단 등의 기타 보호 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진동 변환기가 본 발명에서 후술할 인체 공학적 수직 진동 장치인지 불분명하다.Infants or infants immediately after giving birth are still familiar with the mother's uterine environment, and may be subjected to a lot of stress due to external lighting and noise. Therefore, various programs and devices for infant development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m. For example, Patent No. 10-0211716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provides a rest device for infants, providing a variety of protection means such as heart rate generation means, registration number 20-0285503 Utility model is a baby care device, temperature control And air purifying function. However, the device according to this patent or utility model does not have an EEG guide means for stabilization of the infant and protection from external stimulating light sources, and there is no mention of an ergonomic appearance design suitable for the infant. In addition,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58676 is a mat device for an incubator, which includes a vibration converter and a voice signal generator to transmit vibrations and voices from the mat to the infant, but there are other protection means such as light source protection mean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vibration transducer is an ergonomic vertical vibration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즉, 보다 효율성 있는 외부 광원보호 및 적절한 뇌파 유도 기능이 구비되고 전기 구동 장치로 인한 전자파나 외부의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하는 등의 탁월한 안정성이 고려된 외형 및 장치를 바탕으로 한 인공적인 자궁 환경 시스템을 조성함으로써 유아의 효율적인 성장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In other words, the artificial uterine environment system is based on the appearance and the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more efficient external light source protection and proper EEG induction function, and considers the excellent stability such as preventing electromagnetic waves or unnecessary noise from outside by the electric drive device. By raising, there is a need to promote efficient growth of infants.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체의 자궁환경 중에서 유아의 감성 및 지능 발달을 자극하는 요소만을 출산 후 유아에게 연장하여 제공함으로써출산 이후 스트레스가 유발될 수 있는 급격한 환경과의 완충 지대를 형성해 주고 아울러 긴장감 또는 스트레스에서 유발되는 β파, γ파, δ파, θ파를 안정적인 α파로 유도 순화하여 유아에게 최적의 정서안정을 위한 뇌파 유도 음향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infant after giving birth only the elements that stimulate the emotional and intelligence development of the mother in the uterine environment of the mother to form a buffer zone with a sudden environment that can cause stress after delivery In addition, the 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EEG-guided acoustic means for optimal emotional stability by inducing and purifying β waves, γ waves, δ waves, and θ waves induced by tension or stress into stable α wav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요람의 몸체에 광보호막(Light Control Film)이 코팅된 시야창을 제공하여 유아에게 필요한 적절한 조명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유선형의 자궁 형태의 외형적 설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ual window coated with a light control film on the body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ppropriate lighting required for the infant and to provide a stable streamlined uterine shape external design. Is 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가 수직 진동에 최적의 자극을 받는다는 연구결과에 착안하여 20 - 30대의 여성 골반 넓이에 상응하는 거리로 이격된 2개의 수직 진동 수단을 배열하여 유아의 심장에 접할 수 있는 침상 부위에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cu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infant is optimally stimulated by the vertical vibration in order to contact the heart of the infant by arranging two vertical vibration means space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emale pelvis in the 20s-30s. It is to provide a bedside area.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유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가 충진된 두 개 이상의 침상과 예기치 않은 실리콘 누출 사고 시에 유아의 질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배출구 및 침상 내부의 온도 및 습도 계측 수단을 더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two or more beds filled with silicone or physiological saline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infant and the safety outlet and the inside of the bed to prevent asphyxiation of the infant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silicone leak. To provide mo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람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의 좌측 투시 단면도.2 is a left perspective sectional view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람의 상부 몸체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Figure 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fully op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의 뇌파 유도 발생 수단의 블록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the brain wave induction generating means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요람 34: 지지대10: cradle 34: support

20: 상부 몸체 40: 진동 제어 수단20: upper body 40: vibration control means

21: 시야창 50: 침상21: sight window 50: couch

22: 힌지부 60: 안전 배출구22: hinge portion 60: safety outlet

30: 하부 몸체 100: 뇌파 유도 발생 수단30: lower body 100: EEG induction generating means

33: 걸림대33: hanger

본 발명가는 출산 후 유아에게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완충 지대 역할을 하는 인공 자궁 환경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요람을 제공하는 것에 기조를 둔 다음, 조롱박 형태의 자궁 캡슐 형상 요람 내에 유아 보호 수단을 적절히 구성하는 발명에 주목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providing a cradle that efficiently provides an artificial uterine environment that serves as a buffer zon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fter giving birth, and then properly configures infant protection means in a gourd-shaped uterine capsule cradle. No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힌지부(22)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 가능한 조롱박 또는 자궁 형상의 상부 몸체(20)와 이에 상응하는 유선형 하부 몸체(30) 및 하부 몸체(30)를 지지하는 지지대(34)와 손잡이(32)로 구성된 자궁환경형 요람(10)으로서, 하부 몸체(30)의 정면부 하단에 형성된 휠(31), 광보호막(Light Control Film)이 코팅된 시야창(21),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 재료가 충진되고 안전막(51)이 코팅된 두 개 이상의 침상(50), 침상(50) 하부에 배열된 2개의 진동 제어 수단(40), 뇌파 유도 발생 수단(100), 상부 몸체(20)가 하부 몸체(30)와 완전 밀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대(33),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urd or uterus-shaped upper body 20 and a streamlined lower body 30 and lower body 30, which are coupled by the hinge portion 22 and move up and down. A uterine environment cradle (10) consisting of a support (34) and a handle (32) for supporting, a wheel (3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body (30), and a view window coated with a light control film (Light Control Film). (21), two or more couches 50 filled with silicone or physiological saline material and coated with a safety film 51, two vibration control means 40 arranged below the couch 50, and an EEG induction generating means ( 100), the upper body 20 is a hanger 33 for preventing the lower body 30 is completely hermetically coupl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ttery for power supp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진동 제어 수단(40)은 인체 진동 모델 이론에 입각하여 수직 진동만을 하고, 침상(50)에 유아가 누웠을 때 유아의 심장 부위에 상응하는 침상(50) 부위에 위치하여 성인 여성의 골반넓이에 상응하는 거리로 각각 이격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wo vibration control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human body vibration model theory and only vertical vibration, when the infant lies on the bed 50 is located on the bed 50 area corresponding to the heart part of the inf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arrange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elvic width of the adult woman.

더불어, 본 발명은 침상(50)의 안전막(51) 손상 시에 내부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의 자연 누출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안전 배출구(60)가 상기 침상(50)이 배치되는 상기 하부 몸체(30)의 하단에 형성되며, 뇌파 유도 발생 수단(40)은 스위치(101), 뇌파의 유도 신호 또는 태내의 음향신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구비된 제어회로부(102, 103), 제어회로부(102, 103)에서 발생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04),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ower body 30 is a plurality of safety outlets 60 is the needle 50 is disposed so that the natural leakage of the internal silicon or physiological saline when the safety membrane 51 of the bed 50 is damaged. I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EG, the EEG generating means 40 is a control circuit unit 102, 103,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witch 101, the EEG guide signal or the acoustic signal in the womb, the control circuit unit 102 And a speaker 104 for outputting a signal generated at 103, and a power supply unit.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부 몸체(20)가 개방될 경우 작동되지 않고 닫힐 경우 작동되도록 구성된 습도 또는 온도 계측 수단 및 공기청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umidity or temperature measuring means and an air cleaning means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upper body 20 is closed and not operated when open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3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몸체(20)는 이의 상부는 구형에 가깝고, 아래로 이어지는 부분은 길고 가는 서양배 또는 조롱박 형상을 가지고 있어 구형의 상부 방향에 유아의 머리가 위치한다. 하부 몸체(30)역시 상부 몸체(20)의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되어 이 위에 유아가 누울 수 있는 침상(50)이 위치한다.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30)는 힌지부(22)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 몸체(2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궁형 요람(10)에 유아가 안치될 수 있다.The upper body 20 is close to the spherica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the portion extending downward has a long thin pear or gourd shape so that the infant's head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phere. Lower body 30 is also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upper body 20 is placed on the bed 50 that the infant can lie on it.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are coupled by the hinge portion 22 so that the infant is placed in the uterine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body 20 can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상부 몸체(20)가 개폐될 때, 마찰로 인해 힌지부(22)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목되는 점은, 하부 몸체(30)의 힌지부(22) 아래 방향에 걸림대(33)가 배열되어 상부 몸체(20)가 하부 몸체(30)와 완전 밀폐가 되지 않고 대략 15 내지 20˚개방되도록 구성되었는데, 그 이유는 상기 각도의 개방 상태로서 하기에 서술할 본 발명에 따른 요람(10)의 기능을 유아가 수혜 받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고, 완전 밀폐에 따른 부모의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부모의 음성이나 접촉(touch)등의 외부 유익한 자극을 유아가 적절히 수용하여 오히려 외부 환경과 격리되어 요람에만 집착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역효과를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15 내지 20˚개방 상태에서 상부 몸체(20) 자체의 방음으로 유아는 고요한 상태를 제공하여 태내 회귀 본능을 유발시켜 완전 밀폐형보다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병원용 인큐베이터로 사용되기 위해 걸림대(33)를 제거하여 상부 몸체(20)가 완전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에 공기 흡입 및 배출 수단을 더 추가하는 변형예도 물론 가능하다.When the upper body 20 is opened and closed, it is preferably manufactured to minimize noise that may occur in the hinge portion 22 due to friction. Note that the hanger 33 is arranged below the hinge portion 22 of the lower body 30 so that the upper body 20 is approximately 15 to 20 degrees without being completely sealed with the lower body 30.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hild is not obstructed to receive the function of the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s the open state of the angle, and can remove the parents' anxiety due to the hermetic seal and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 of the infant's ability to properly receive an external beneficial stimulus such as a voice or a touch of the child, rather to be iso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o stick to the cradle. In addition, the infant by the soundproofing of the upper body 20 itself in the open state of 15 to 20 ° can give a sense of emotional stability than the fully hermetic by causing a recurrent instinct in the fetus. Although not shown, a variant is also possible, of which the upper body 20 is completely sealed by removing the hanger 33 for use as a hospital incubator and further adding air suction and discharge means thereto.

하부 몸체(30) 앞부분의 하단에는 2개의 휠(31)이 장착되어 하부 몸체 뒤쪽에 있는 손잡이(32)로서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다.Two wheels 31 ar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body 30 so as to be easily moved as a handle 32 at the rear of the lower body.

유아의 연약한 신체를 보호하는 데 있어 보다 유익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몸체(20, 30)는 PE(Polyethylene) 또는 친환경성 소재인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보다 환경 친화적인 합성수지 또는 나노신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예로는 유독성 유기용제인 Solvent를 사용하지 않은 환경 친화적인 수성 수지인 DMF(Dimethylformamide)를 사용한 폴리우레탄 합성피혁을 PE로 제조된 기본 골격에 덧입히거나, 고가이기는 하나 최근 살균 효능이 입증된 나노테크놀로지에 의한 나노실버코팅(Nano Siver Coating)기술이 활용된 PE 소재 또는 EPS(Expandable Polystyrene: 발포폴리스티렌)등의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pper and lower bodies 20 and 30 may be made of polyethylene (P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T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to provide a more beneficial environment for protecting the infant's fragile body. It is preferable to make a synthetic resin or a new nano-material, for example, by adding a polyurethane synthetic leather using DMF (Dimethylformam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based resin that does not use a toxic organic solvent, Solvent, In addition, although it is expensiv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degradable plastic such as PE material or EPS (Expandable Polystyrene) which utilizes Nano Siver Coating technology by nano technology, which has been proven sterilization efficacy recently.

또한, 요람(10)에 구성된 전기 구동 수단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전자파 차단막(Anti-Static Film)이 상부 및 하부 몸체(20, 30)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the electromagnetic wave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electric drive means configured in the cradle 10, an anti-static film (Anti-Static Film) is preferably coated on the upper and lower bodies (20, 30).

태반 내의 조도는 대략 30Lux의 충분히 어두운 밝기로서 출산 후 유아에게적정한 조도로 입증되고 있는데, 일반 태양광의 자외선 또는 실내등은 취침 중의 유아에게 상당히 좋지 않은 자극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는 외부의 자극적인 빛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는 반면에, 부모가 요람(10)내 누운 유아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수시 확인하기 위해서는 내부에서는 외부의 빛을 보호하고 외부에서는 내부를 들여볼 수 있는 광보호막(Light Control Film)이 코팅된 시야창(21)이 상부 몸체(20)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The illumination in the placenta is about 30Lux of dark enough, which is proved to be suitable for infants after childbirth. In general, ultraviolet rays or indoor lighting of the sun may act as an irritating factor which is not very good for infants at bedtime. Therefore, while the infant needs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irritating light, in order to efficiently check the condition of the infant lying in the cradle 10 at any time, the inside is protected from the outside light and the inside of the outside It is necessary to form a viewing window 21 coated with a light control film which can be formed on the upper body 20.

광보호막은 일반 자동차에 사용되는 윈도우 틴티드 필름(window tinted film)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구성은 투명이면지, 접착제, 염색된 pet에 uv차단막, 기스방지코팅 등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다만, 유아의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요람(10)의 내부가 태반과 실내 평균조도의 완충지대로서인 50 내지 100Lux 정도로 유지되도록 uv차단막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야창(21)은 출산 직후의 유아일 경우에는 닫힌 상태로 사용하고, 어느 정도 성장된 유아에게는 외부 광에 적절히 적응하도록 열린 상태로 사용되는 개폐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the photoprotective film, a window tinted film used in a general automobile may be used. The composition of the light protective film is a transparent paper, an adhesive, a UV protective film on a dyed pet, an anti-fog coating, and the like, which are known technique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uv barrier membrane so that the inside of the cradle 10 is maintained at about 50 to 100 Lux, which is a buffer zone of the placenta and the average average illuminance, in order to perform the vision protection function of the infant. This view window 21 is configured to be used in a closed state when the infant is just after childbirth, and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adjustment to be used in an open state to suitably adapt to external light.

하부 몸체(30)의 중공부에는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 소재가 충진된 침상(50)이 수용될 수 있고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별도 분리가 가능하다. 충진되는 실리콘 소재는 고온경화용(HTV: High Temperature Vulcanizing)실리콘 소재가 적절하며, Millable 실리콘고무(HCR)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특히 유아에게 태반의 양수 내의 부유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액상실리콘고무(LSR 또는 Liquid Silicone Rubb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목적으로 실리콘 대신 생리식염수로서 충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ollow 50 of the lower body 30 may accommodate the needle 50 filled with silicon or physiological saline material and may be separately separated to enhance safety. Filled silicone materials are suitable for high temperature vulcanizing (HTV) silicone materials, and millable silicone rubber (HCR) may be used, but especially liquid silicone rubber to provide infants with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floating environment in the amniotic fluid. Preference is given to using (LSR or Liquid Silicone Rubber). It is also possible to be filled with physiological saline instead of silicone for the same purpose.

그런데, 침상(50)의 예기치 못한 손상이 있을 경우 오히려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 소재로 인해 유아가 질식하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강화된 유아의 안전을 고려하여 침상(50)은 두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로 구성되어 안전 사고로부터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침상(50)이 손상된 직후에 보다 효과적으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침상(50) 밑쪽의 하부 몸체(50)하단에 복수의 안전 배출구(60)를 형성하여 손상된 침상(50)에서 누출되는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가 하부로 자연 방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도 4 참조)By the way, when there is an unexpected damage to the bed 50, a safety accident such as choking the infant due to silicone or physiological saline material may occur.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enhanced safety of the infant, the bed 50 is composed of two or more, preferably three can minimize the risk from a safety accident. Furthermore, in order to protect the infant more effectively immediately after the bed 50 is damaged, a plurality of safety outlets 6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50 under the bed 50 to leak the silicon from the damaged bed 50 or Physiological saline was allowed to be naturally released to the bottom (see Fig. 4).

안전 배출구(60)는 침상(50)의 수에 알맞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침상(50)이 3개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침상(50)밑의 상응하는 위치에 3개의 안전 배출구(60)가 횡방향의 직사각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안전 배출구(60)의 하단에는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받침대(미도시)를 형성하여 바닥이 누출된 생리 식염수로 인한 전기 합선 등의 2차 안전 사고시 유출된 실리콘 등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safety outlets 60 are preferably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bed 50, for example, if the bed 50 is composed of three, three safety outlets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under each bed 50 60 may be arranged in a transverse rectangular structure. The bottom of the safety outlet (60) forms a detachable separate pedestal (not shown) to perform the function of accommodating the leaked silicon during the second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al short circuit due to the leaked physiological saline bottom.

또한, 침상(50)의 커버(cover)는 항균 또는 항박테리아 cotton 소재의 항균 패드 또는 안전막(51)이 코팅되어 있으며, 수분의 흡습 및 발산성이 우수한 양모 또는 원적외선 방사와 항균기능을 갖춘 맥반석 섬유인 인프라화이버 또는 인장력에 대해 내성이 강한 고탄성폼(foam)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of the bed 50 is coated with an antimicrobial pad or safety film 51 of antibacterial or antibacterial cotton material, and has an anti-moisture and divergence of moisture or wool with far-infrared radi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high elastic foam (foam) fabric that is resistant to the infrafiber or tensile force which is a fiber.

진동에 대한 인체의 반응(Human Response to Vibration)에 대해 연구하는 인체진동분석학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인간은 직립보행체로서 수직인 중력방향의 힘을 받으며 이를 적절히 제어하고 적응하는 성질을 지닌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중력에 대한 적응을 돕기 위해, 즉 중력을 이기고 직립보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적절한 진동을 유아에게 가하여 유아의 발육을 도울 수 있고 이러한 진동이 태반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특히 인간은 수직 진동에 대해 적응 및 제어본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학적 사실을 뒷받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람(10)의 진동 제어 수단(40)은 산모의 보행으로 태반 내에 전달하는 진동을 모사한 것으로서, 상하 좌우의 수평적인 진동을 지양하고 유아에게 수직 진동을 가함으로써 유아의 보행 등의 발육을 촉진할 수 있고 마치 어머니가 유아를 품에 앉고 보행을 할 때 얻어지는 감촉과 효과를 유아에게 느끼도록 한다.According to human vibration analysis, which studies the human response to vibration, humans are generally erect walkers that are subject to vertical gravitational force and have the property to control and adapt accordingly. Therefore, in order to assist the adaptation to gravity, that is, to help the infant to overcome gravity and walk upright, appropriate vibration can be applied to the infant to help the infant's development, and this vibration is also performed in the placenta. There is research showing that there is adaptation and control instinct. Therefore, in support of this scientific fact, the vibration control means 40 of the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mics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placenta by the mother's walking, and avoids vertical vib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and is perpendicular to the infant. By vibrating,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s walking and the like, so that the mother feels the feeling and the effect obtained when the mother sits and walks in the arm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10)의 좌측 투시 단면도로서, 침상(50) 하부에 배치된 진동 제어 수단(40)을 잘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수단(40)은 모터부(미도시)와 소정 회로를 구비한 진동 제어부(미도시)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외부 배터리의 전원으로 가동된다.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진동 제어부에서 진동의 강약 및 진동 주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모터로 전달하여 수직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어머니의 보행 속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분당 50 내지 60회 정도의 진동 발생이 가장 바람직하다.2 is a left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vibration control means 40 disposed below the needle bed 50 well. Vibration control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tor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vibration control unit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circuit is formed integrally and is operated by the power of the external battery. Through the switch (not shown), the vibration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strength and vibration period of the vibration and transmit it to the motor to generate vertical vibration, which generates 50 to 60 vibrations per minut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mother's walking speed. Most preferred.

또한, 진동 제어 수단(40)은 침상(50)에 유아가 누웠을 때 유아의 심장 부위에 해당하는 침상(50) 하단에 위치하여 성인 여성의 골반넓이에 상응하는 거리인 대략 32 내지 35cm로 각각 이격 배열되도록 2개로 구성되어 임신중 산모의 보행으로 태반에 전달하는 진동과 유사한 진동을 유아의 심장부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control means 4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ed 50 corresponding to the heart of the infant when the infant lies on the bed 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pproximately 32 to 35 cm,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elvic width of an adult woman It is composed of two to be arranged to deliver the vibration to the heart of the infant, similar to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placenta by walking the mother during pregnancy.

더불어, 2개의 진동 제어 수단(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진동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교번적으로 발생하거나 일체로 발생하는 등의 선택이 가능한데, 이는 교번적인 진동시에 유아의 몸 전체로 진동이 전달되는 효과를 더 누리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two vibration control means 40 can be selected by the vibration control unit (not shown), such as alternatingly generated or integrally generated, which is the vibration of the entire body of the infant during the alternating vibration To enjoy the effect delivered mor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람(10)의 상부 몸체(20)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상부 몸체(20)가 완전 개방될 때 하부 몸체(30)와 대략 90 내지 110˚정도의 각을 이루는데, 지지대(34)가 무게중심이 될뿐더러 하부 몸체(30)의 하중으로 인해 상부 몸체(20)가 뒤로 넘어가는 사고는 일어나지 않는다.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20 of the cradle 10 is fully ope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3, when the upper body 20 is fully open to form an angle of about 90 to 110 degrees with the lower body 30, the support 34 is not only the center of gravity and lower body 30 Due to the load of the upper body 20 does not occur the accident that the back.

또한, 힌지부(22)에 장착된 나사부(미도시)를 통해 상부 몸체(2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몸체(30) 및 침상(50)에서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부위는 약 10 내지 25˚의 경사가 이루어져 유아의 목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x by adjus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upper body 20 through a screw (not shown) mounted to the hinge portion 22.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portion supporting the head of the infant in the lower body 30 and the bed 50 is inclined at about 10 to 25 degrees to prevent the neck of the infant to fall back.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의 배면도이다. 하부 몸체(30)의 하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전 배출구(60)가 배치되어 있으며 저면 지지대(61)에 고무 소재의 재료가 부착되어서 사소한 충격으로 인해 휠(31)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한다.4 is a rear view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30, the safety outlet 60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and a rubbe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bottom support 61 to prevent the wheel 31 from rolling due to a slight impact.

도 1 내지 도 2를 다시 살펴보면, 하부 몸체(20)의 앞부분에는 스피커(101)를 포함한 뇌파 유도 발생 수단(100)이 형성되어 있다. 뇌파중 α파는 사람이 편안한 마음으로 휴식을 취할 때 또는 최면상태에서나 명상중에 나타나는 주로 8-13Hz 범주의 파동의 형태로서 태교음악 등에서 이 뇌파를 태아에게 유도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심신이 안정된 사람에게서 β파, γ파, θ파보다 α파가 더 많이 발생하고 유아 및 수면중의 성인에게는 δ파가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다.1 to 2 again,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0, the EEG generating means 100 including the speaker 101 is formed. In the brain waves, α waves are mainly in the form of waves in the 8-13Hz range that appear when a person rests in peace or during hypnosis or meditation, and is used to guide the brain waves to the fetus in prenatal music, etc. It is known that α waves are generated more than, γ waves and θ waves, and δ waves are observed in infants and adults in sleep.

본 발명에 따른 뇌파유도 발생 수단(100)은 이러한 α파 및 어머니의 심장박동소리, 호흡소리 등의 산모의 자궁 내에서 유발되는 소리를 유아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특정 파형의 펄스를 생성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EEG generating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generate and output a pulse of a specific waveform in order to deliver to the infant the sounds induced in the mother's womb, such as α wave and mother's heartbeat sound, breathing sound, etc. do.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유도 발생 수단(100)의 대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스위치(101)를 통해 α파 또는 태내음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α파 또는 태내음향을 생성할 수 있는 유형별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서는 해당되는 데이터를 선택 추출하여 그 데이터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이와 동일한 주기의 정현파신호로 변환하여 음향신호콘트롤러(103)에 인가한다. 음향신호콘트롤러(103)는 인가된 디지털신호를 해당 주파수와 볼륨 및 음색을 가지는 아날로그신호인 음향 신호로 변환시켜 상부 몸체(20) 상면에 배열된 2개의 좌우 스피커(104)에 전달한다. 도 5에서는 제어회로부가 마이크로프로세서(102) 및 음향신호콘트롤러(103)로 분리 도시되어 있다.5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EEG generating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one of the α wave or the fetal sound is selected through the switch 101, the microprocessor 102 storing the digital data for each type capable of generating the α wave or the fetal sound may select and extract the corresponding data. Is converted into a sine wave signal of the same period and applied to the acoustic signal controller 103. The acoustic signal controller 103 converts the applied digital signal into an acoustic signal, which is an analog signal having a corresponding frequency, volume and tone, and transmit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two left and right speakers 104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0. In FIG. 5, the control circuit unit is separated into a microprocessor 102 and an acoustic signal controller 103.

유아의 상태를 관찰하며 필요에 따라 스위치(101)에 구비된 음량 조절부를 통해 볼륨 조절이 가능하다. 뇌파유도 발생 수단(100)에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데,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10)의 다른 전기 작동 수단에도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요람(10) 내에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전자파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Observing the state of the infant, the volum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volum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switch 101 as needed. The power supplied to the EEG generating means 100 is supplied throug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which supplies power to other electric operation means of the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a battery Therefore,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radle 10 can be minimized.

도 1 및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뇌파유도 발생 수단(100) 및 이의 스피커(104)는 하부 몸체(30)의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위치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디지털 데이터로 세팅된 α파 또는 어머니의 태반에서 발생하는 심장박동소리, 호흡소리 등을 요람(10)에 누워 있는 유아에게 주기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스트레스 유발성 β파 등의 뇌파를 제거하고 유아의 안정감과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가 있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and 2, the EEG generating means 100 and its speaker 104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body 30, it is possible to change to other positions. By periodically injecting the α wave set with digital data or the heartbeat sound and breathing sound generated from the mother's placenta to the infant lying on the cradle (10), EEG such as stress-induced β wave is removed and It will help you develop your emotions.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요람(10)은 상부 몸체(20)가 개방될 경우 작동되지 않고 닫힐 경우 작동되도록 구성된 습도 또는 온도 계측 수단 및 공기청정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22)에 장착된 센서(미도시)가 상부 몸체(20)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이를 습도 또는 온도 계측 수단 및 공기청정 수단에 전달함으로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습도 또는 온도 계측 수단 및 공기청정 수단은 이러한 수단에서 측정된 디지털 수치를 제공하는 LCD 패널(미도시) 및 이에 따른 소정 회로와 일체화될 수 있다. 공기 청정 수단은 팬, 탈취필터, 여과집진기, HEPA 필터(height efficiency particle air filter), 전처리 프리필터(pre filter) 등이 구비된 일반적인 에어 필터로서, 신선한 공기를 유아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or temperature measuring means and an air cleaning means (not shown)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upper body 20 is closed but not operated when opened. Sensor (not shown) mounted on the hinge portion 22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20 and transfers it to the humidity or temperature measuring means and the air cleaning means to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humidity or temperature measuring means and The air cleaning means can be integrated with an LCD panel (not shown) and therefore certain circuitry which provides the digital values measured by these means. Air cleaning means is a general air filter equipped with a fan, a deodorizing filter, a bag filter, a HEPA filter (height efficiency particle air filter), a pre-treatment pre-filter (pre filter), etc., serves to supply fresh air to the infant.

또한, LCD 패널은 앞서 언급한 뇌파유도 발생 수단(100)에서 발생하는 음향 등의 발생상태 및 진동 제어 수단(40)에서 발생되는 진동 상태 등을 시각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침상(50)의 커버에 열선을 주입하고 온도 계측 수단에서 이를 측정 및 제어하여 유아에게 보다 따스한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미도시)In addition, the LCD panel may visualize the generated state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EEG generating means 100 and the vibration state generated by the vibration control means 40.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t wire may be injected into the cover of the couch 50 and measured and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means to provide a warmer environment for the infant. (Not shown)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궁환경형 요람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mention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terine environment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궁형 요람에 따르면, 임산부의 자궁 환경에서 유아의 지능과 정서를 촉진하는 요소를 출산 후 유아에게 연장하여 제공하는데, 먼저 긴장감 내지 스트레스에서 비롯된 β파를 안정적인 α파 또는 자궁 내 음향을 유도 주입하여 유아에게 최적의 정서 및 수면 환경을 제공하여 장기적으로 유아의 성장 촉진 및 스트레스 해소로 인한 면역 기능 강화를 가져올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terine environment of the pregnant woman provides the element to promote the infant's intelligence and emotions after childbirth is extended to give the infant, β wave originated from tension or stress first Induces stable α-wave or intrauterine sound to provide infants with an optimal emotional and sleeping environment, resulting in enhanced immune function due to long-term infant growth and stress relief.

뿐만 아니라, 인체 진동 모델 이론에 적합한 성인여성 골반 넓이로 2개의 수직 진동 제어 수단을 배열하여 이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유아에게 주입함으로 유아의 정서 안정 및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며 외부의 자극적인 광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유아의 시력 보호 및 안정감을 고취시키고, 실리콘 침상으로 인한 양수 부유 효과 제공 및 안전 배출구를 통한 실리콘 또는 생리식염수 유출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친환경성 재질 및 전자파 차단막 코팅 재질을 통해 유아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더불어 온도 또는 습도 계측 수단 및 공기 청정 수단의 요람 내 조건을 구비하여 유아에게 최적의 성장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유아의 연약한 상태를 보호하는데 적절한 재질로 제조된 조롱박 형태를 닮은 자궁 형상의 캡슐형 요람의 외관을 통하여 유아에게 어머니의 태반에서 자라 날 당시의 회귀 본능을 자극시켜 정서적인 안정감을 고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wo vertical vibration control means in the pelvic width of the adult woman suitable for human vibration model theory,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is is injected into the infant, improv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walking ability of the infant, and effectively It protects children's eyesight and stability by blocking them, provides a positive floating effect due to silicone bedding, enhances safety against silicone or physiological saline leakage through safety outlets, and protects infants through eco-friendly materials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 coating material. It is equipped with the conditions in the cradle of the temperature or humidity measuring means and the air cleaning means as well as to provide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for the infant. In addit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a capsule-shaped cradle shaped like a gourd made of a material suitable for protecting a baby's fragile state, the infant may be stimulated with a regression instinct when he grew up in the mother's placenta to enhance emotional stability.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6)

힌지부(22)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 가능한 조롱박 또는 자궁 형상의 상부 몸체(20)와 이에 상응하는 유선형 하부 몸체(30) 및 상기 하부 몸체(30)를 지지하는 지지대(34)와 손잡이(32)로 구성된 자궁환경형 요람(10)으로서,Grip or uterus-shaped upper body 20 coupled by hinge portion 22 and a streamlined lower body 30 and a support 34 and a handle supporting the lower body 30 ( 32, consisting of a uterine environment cradle (10), 상기 하부 몸체(30)의 정면부 하단에 형성된 휠(31) ; 광보호막(Light Control Film)이 코팅된 시야창(21) ;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 재료가 충진되고 안전막(51)이 코팅된 두 개 이상의 침상(50) ; 상기 침상(50) 하부에 배열된 2개의 진동 제어 수단(40) ; 뇌파 유도 발생 수단(100) ; 상기 상부 몸체(20)가 상기 하부 몸체(30)와 완전 밀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대(33) ;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환경형 요람.A wheel 3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body 30; A viewing window 21 coated with a light control film; Two or more needle beds 50 filled with silicone or physiological saline material and coated with a safety film 51; Two vibration control means (40) arranged below the couch (50); Brain wave induction generating means (100); Hanging bar (33) for preventing the upper body 20 is completely hermetically coupled to the lower body 30; Cervical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ttery for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진동 수단(40)은 수직 진동만을 하며, 상기 침상(50)에 유아가 누웠을 때 유아의 심장 부위에 해당하는 침상(50) 하단에 위치하여 성인 여성의 골반넓이에 상응하는 거리로 각각 이격 배열되어 교번적인 진동 또는 일체형 진동 중에서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환경형 요람.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wo vibration means 40 is only a vertical vibration, when the infant lies on the bed 50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bed 50 corresponding to the heart of the infant pelvic width of the adult woman The uterine environment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is arrange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lternative vibration or integral vibration can be sel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50)의 커버 손상 시에 실리콘 또는 생리 식염수의 자연 방출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안전 배출구(60)가 상기 침상(50)이 배치되는 상기 하부 몸체(30)의 하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환경형 요람.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3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afety outlets 60 are disposed on the couch 50 so that natural discharge of silicon or physiological saline is possible when the cover 50 is damag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terine environment crad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유도 발생 수단(100)은 스위치(101); 뇌파의 유도 신호 또는 태내음향신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구비된 제어회로부(102, 103) ;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04);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환경형 요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EG generating means (100) comprises a switch (101); Control circuits 102 and 103 provided with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induced signal or the EEG signal of the EEG; A speaker 104 for outputt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circuit unit; Cervical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20)가 개방될 경우 작동되지 않고 닫힐 경우 작동되도록 구성된 습도 또는 온도 계측 수단 및 공기청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환경형 요람.The uterine environment crad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umidity or temperature measuring means and an air cleaning means configured to be operated when the upper body is opened but not operated when the upper body is ope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20, 30)는 은사 코팅(Silver Coating) 또는 전자파 차단막 코팅(Anti-Static Film Coating)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환경형 요람.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bodies (20, 30)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ilver coating (Silver Coating) or anti-static film coating (Anti-Static Film Coating) material, uterine environment cradle.
KR10-2003-0057643A 2003-08-20 2003-08-20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KR100539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643A KR100539398B1 (en) 2003-08-20 2003-08-20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643A KR100539398B1 (en) 2003-08-20 2003-08-20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725U Division KR200324009Y1 (en) 2003-05-13 2003-05-13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883A true KR20040097883A (en) 2004-11-18
KR100539398B1 KR100539398B1 (en) 2005-12-28

Family

ID=3737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643A KR100539398B1 (en) 2003-08-20 2003-08-20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398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7709A1 (en) * 2013-07-31 2015-02-05 Unacuna, Llc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533890B1 (en) * 2013-11-28 2015-07-06 김윤일 Bed cover for newborn baby
USD848175S1 (en) 2015-03-27 2019-05-14 Happiest Baby, Inc. Bassinet
US10463168B2 (en) 2013-07-31 2019-11-05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USD866122S1 (en) 2017-04-04 2019-11-12 Hb Innovations Inc. Wingless sleep sack
US10827851B2 (en) 2011-10-20 2020-11-10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and method of use
US11052221B2 (en) 2016-10-17 2021-07-06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WO2022056325A1 (en) * 2020-09-10 2022-03-17 Ontogenetics Inc. Intrauterine environment simulation system
KR20220132799A (en) * 2021-03-24 2022-10-04 서울대학교병원 Cradle assembly
US11490663B2 (en) 2018-02-21 2022-11-08 Hb Innovations, Inc. Infant sleep garment
US11497884B2 (en) 2019-06-04 2022-11-15 Hb Innovations, Inc. Sleep aid system including smart power hu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0289B2 (en) * 2010-05-01 2014-02-04 Ralph F. Reeder, Inc. Infant head cradle with controlled head movement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3515B2 (en) 2011-10-20 2021-09-21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827851B2 (en) 2011-10-20 2020-11-10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532182B2 (en) 2011-10-20 2020-01-14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532180B2 (en) 2011-10-20 2020-01-14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15017709A1 (en) * 2013-07-31 2015-02-05 Unacuna, Llc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60039648A (en) * 2013-07-31 2016-04-11 해피스트 베이비 인코퍼레이티드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463168B2 (en) 2013-07-31 2019-11-05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KR101533890B1 (en) * 2013-11-28 2015-07-06 김윤일 Bed cover for newborn baby
USD889878S1 (en) 2015-03-27 2020-07-14 Hb Innovations, Inc. Bassinet
USD848175S1 (en) 2015-03-27 2019-05-14 Happiest Baby, Inc. Bassinet
USD933993S1 (en) 2015-03-27 2021-10-26 Hb Innovations, Inc. Bassinet
US11052221B2 (en) 2016-10-17 2021-07-06 Hb Innovations, Inc.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USD866122S1 (en) 2017-04-04 2019-11-12 Hb Innovations Inc. Wingless sleep sack
US11490663B2 (en) 2018-02-21 2022-11-08 Hb Innovations, Inc. Infant sleep garment
US11497884B2 (en) 2019-06-04 2022-11-15 Hb Innovations, Inc. Sleep aid system including smart power hub
WO2022056325A1 (en) * 2020-09-10 2022-03-17 Ontogenetics Inc. Intrauterine environment simulation system
GB2614642A (en) * 2020-09-10 2023-07-12 Ontogenetics Inc Intrauterine environment simulation system
KR20220132799A (en) * 2021-03-24 2022-10-04 서울대학교병원 Crad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398B1 (en)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9334A1 (en) Sleep aid
ES2873026T3 (en) SIDS Prevention Baby Sleep Aid / Calm Device and Use Procedure
EP2814444B1 (en) Delivery of audio and tactile stimulation therapy for animals and humans
KR100539398B1 (en)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US20130096368A1 (en) Uterine sound and motion simulation device
US6918770B2 (en) Infant nurturing medical device
US20140060546A1 (en) Care unit
CN213723125U (en) Integrated premature infant intrauterine environment simulation cabin
WO2020113350A1 (en) Device for preventing episodes of apnoea in infants
CN212650977U (en) Wearable side-lying closed snore stopping sleep-assisting device
CN106109147B (en) Infant incubator
KR102018350B1 (en) Kangaroo mother care system
KR200324009Y1 (en) Cradle with uterine conditions
CN202211829U (en) Multifunctional nest-type vibration baby water bed
CN103961196A (en) Simulation device for simulating mother and infant care
KR100791098B1 (en) Bedding for newborn baby
CN211157123U (en) Auxiliary traction device
US20200222260A1 (en) Regenerati Incupod
CN209270072U (en) A kind of beauty treatment safety goggles
ES2773665T3 (en) Containment system and sensory stimulation for premature babies
CN105853107A (en) Baby body position fixing mattress
WO2010070156A1 (en) Artificial maternal torso for use as a rest base for newborn babies
CN113350017A (en) Wearable side-lying closed snore stopping sleep-assisting device
CN213047855U (en) Imitative palace bed device of premature infant
CN203953889U (en) Simulation mother infant care e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