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843A - Rotary compressor - Google Patents

Rotary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843A
KR20040097843A KR1020030030346A KR20030030346A KR20040097843A KR 20040097843 A KR20040097843 A KR 20040097843A KR 1020030030346 A KR1020030030346 A KR 1020030030346A KR 20030030346 A KR20030030346 A KR 20030030346A KR 20040097843 A KR20040097843 A KR 2004009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uction port
valve
cylind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31288B1 (en
Inventor
노철기
김종봉
박경준
장창용
배지영
고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288B1/en
Priority to PCT/KR2004/000966 priority patent/WO2004102001A1/en
Publication of KR2004009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2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0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01C21/104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 F01C21/108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with an axial surface, e.g. s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bl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PURPOSE: A rotary compressor is provided to enable compression while rotating right and reverse directions and to enable variation of compression capacity. CONSTITUTION: A rotary compressor comprises a compression chamber(29), a rolling member(22), and a partitioning member(23). The compression chamber has a suction port(26) arranged to the upper side and discharge ports(27a,27b) arranged to the lower side, to discharge a compressed fluid. The rolling member is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chamber. The rolling member compresses a part of the compression chamber while rolling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ompression chamber and selectively revolving in both directions. The partitioning member is arranged between the discharge ports. The partitioning member partitions the compression chamber into two independent spaces by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rolling member.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역 방향 회전이 가능한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compressor capable of forward / reverse rotation;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 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특수 가스에 압축일을 가함으로써, 작동유체의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이다. 이러한 압축기는 공기조화기 분야나 냉장고 분야 등의일반적인 가전제품에서부터 플랜트 산업에까지 널리 사용된다.In general, a compressor is a machine that increases the pressure of a working fluid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generator such as an electric motor or a turbine and applying a compression work to air, a refrigerant, or other special gases. Such compressors are widely used in general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the air conditioner field and the refrigerator field to the plant industry.

이러한 압축기는 압축을 이루는 방식에 따라 용적형 압축기(positive displacement compressor)와 터보형 압축기(dynamic compressor or turbo compressor)로 분류된다.Such compressors are classified into positive displacement compressors and dynamic compressors or turbo compressors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method.

이 중에서도, 산업 현장에 널리 쓰이는 것은 용적형 압축기으로서, 체적의 감소를 통해 압력을 증가시키는 압축방식을 갖는다. 상기 용적용 압축기는 다시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로 분류된다.Among them, a widely used industrial compressor is a volumetric compressor, which has a compression method of increasing pressure through volume reduction. The volumetric compressor is further classified into a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a rotary compressor.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기계요소로 높은 압축효율을 생산하는 장점이 있다. 그 반면에,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의 관성으로 인해 회전속도에 한계가 있으며, 관성력으로 인해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The reciprocating compressor compresses the working fluid by a linear reciprocating piston inside the cylinder, and has an advantage of producing a high compression efficiency with a relatively simple mechanical element. On the other hand, the reciprocating compressor has a limitation in the rotational speed due to the inertia of the pist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ignificant vibration occurs due to the inertia force.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를 편심된 채로 공전하는 롤러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에 비해 저속으로 높은 압축효율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진동과 소음이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The rotary compressor compresses the working fluid by a roller revolving with the eccentric inside the cylinder, and can produce a high compression efficiency at a low speed compared to the reciprocating compressor. Therefore, the rotary compressor has an advantage of generating less vibration and noise.

그러나,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전술한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상기 롤러가 양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즉,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와 통하는 흡입포트와 토출포트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는 흡입포트측에서 토출포트측으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작동유체를 압축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가 반대방향으로(토출포트측에서 흡입포트측으로) 구름 운동할 경우, 작동유체의 압축이 불가능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s have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but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t was not possible for the rollers to revolve in both directions. That is, the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 is formed with one suction port and one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and the roller compresses the working fluid while roll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from the suction port side to the discharge port side. Therefore, when the roller rolls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discharge port side to the suction port side), compression of the working fluid is inevitably impossible.

또한,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전술한 구조로 인해 압축용량을 가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최근에, 공기조화기 등의 다양한 운전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압축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압축기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로터리 압축기는 하나의 압축용량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 적용폭이 상당히 좁을 수 밖에 없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 was unable to vary the compression capacity 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cently, compressors capable of varying the compression capacity have emerged to cope with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air conditioners.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 has only one compression capacity, its application range has to be considerably narrow.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역회전하면서 압축이 가능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compressor capable of compression while being rotated forward and rever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compression capac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와 함께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유활 오일이 유체의 흡입 라인 상에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compressor capable of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lubricating oil flowing into the cylinder with the fluid on the suction line of the flui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1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서 압축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mpression unit in the compressor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압축기에서 압축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mpression unit in the compressor of Figure 1;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롤러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의 실린더의 내부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4A to 4D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interior of a cylinder when the roller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롤러가 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의 실린더의 내부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inside of a cylinder when the roller rotates clockwise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3의 압축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mpression unit of FIG.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압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mpression unit in a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압축기에서 압축부를 나타낸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mpression unit in the compressor of FIG.

도 9는 도 7의 압축기에서 실린더 내부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in the compressor of FIG.

도 10A 내지 도 10B는 도 7의 압축기에서 회전 제한 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10A to 10B are plan views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rotation limiting means in the compressor of FIG.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7의 압축기에서 롤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린더 내부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 그리고11A-11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cylinder when the roller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compressor of FIG. And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7의 압축기에서 롤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린더 내부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12A to 12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when the roller rotates clockwise in the compressor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동력 발생부 13 : 구동축10: power generating unit 13: drive shaft

13a : 편심부 20 : 압축부13a: eccentric 20: compression

21 : 실린더 22 : 롤러21: cylinder 22: roller

23 : 베인 24 : 상부 베어링23: vane 24: upper bearing

25 : 하부 베어링 26, 41a, 41b, 41c : 흡입포트25: lower bearing 26, 41a, 41b, 41c: suction port

27a, 27b : 토출포트 29 : 유체챔버27a, 27b: discharge port 29: fluid chamber

30 : 머플러 40 : 플레넘30: muffler 40: plenum

50 : 토출유로 60 : 밸브 어셈블리50: discharge passage 60: valve assembly

61 : 제1 밸브 65 : 제2 밸브61: first valve 65: second val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포트와, 하측에 구비되고 각각 소정 압력 이상에서 압축유체를 토출하는 두 개의 토출포트를 가지는 압축실; 상기 압축실의 중심으로 부터 편심지고, 상기 압축실의 벽면을 따라구름운동을 함과 동시에 양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공전하면서 상기 압축실의 일부 공간을 압축하는 구름부재; 그리고 상기 토출포트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구름부재와 항상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압축실을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mpression chamber having a suction po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wo discharge ports provided on the lower side for discharging the compressed flui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A rolling member which is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chamber and compresses a part of the compression chamber while selectively rolling in both directions while rolling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ompression chamber; And a partition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ports and partitioning the compression chamber into two independent spaces by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rolling member at all times.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s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서 압축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압축기에서 압축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일실시예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pression unit in the compressor of FIG. 1, and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ompression unit in the compressor of FIG. 1. An embodiment of a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위치하는 동력발생부(10)와 압축부(20)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상기 동력발생부(10)는 압축기의 상부에, 상기 압축부(20)는 압축기의 하부에 위치하나 필요에 따라 이들의 위치들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캡(3)과 하부캡(5)이 설치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작업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관(7)은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냉매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는 어큐물레이터(8)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3)의 중심에는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관(9)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하부캡(5)에는 마찰 운동하는 부재의 윤활 및 냉각을 위해 일정량의 윤활유(O)가 채워진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 and a power generating unit 10 and a compression unit 20 located inside the case 1. In FIG. 1, the power generator 1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ompressor, and the compression unit 2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mpressor, but their positions may be interchanged as necessary. The upper cap 3 and the lower cap 5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se 1 to form a sealed inner space. A suction pipe 7 for sucking the working flui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1 and is connected to an accumulator 8 for separating the lubricant oil from the refrigerant. In addition, a discharge tube 9 through which compressed fluid is discharged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cap 3. In addition, the lower cap 5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lubricant O for lubrication and cooling of the frictional member.

상기 동력발생부(10)는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11)와, 상기 스테이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터(12)와, 상기 로터(12)에 압입되는 구동축(13)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12)는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13)은 로터(12)의 회전력을 상기 압축부(20)에 전달한다. 여기서, 구동축(13)의 단부는 상기 윤활유(O)에 잠겨져 있다. 상기 스테이터(2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상부캡(3)에 터미널(4)이 설치된다.The power generator 10 includes a stator 11 fixed to the case 1, a rotor 12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tator 11, and a driving shaft press-fitted into the rotor 12. (13). The rotor 12 rotates by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drive shaft 13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12 to the compression unit 20. Here, the end of the drive shaft 13 is locked to the lubricating oil O. In order to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stator 20, a terminal 4 is installed in the upper cap 3.

상기 압축부(20)는 크게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는 실린더(21), 상기 실린더(21)내부에 위치되는 롤러(22), 및 상기 실린더(2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24,2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축부(20)를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mpression unit 20 has a cylinder 21 fixed to the case 1 largely, a roller 22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21,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ylinder 21. It consists of bearings 24 and 25. This compress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 as follows.

상기 실린더(21)는 소정 크기의 내부 체적을 가지며 압축되는 유체의 압력을 견딜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21)는 또한 상기 내부 체적내에 상기 구동축(13)에 형성되는 편심부(13a)를 수용한다. 상기 편심부(13a)는 일종의 편심된 캠으로서, 상기 구동축(1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중심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1)에 이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연장되는 홈(21b)이 형성된다. 상기 홈(21b)에는 후술되는 베인(23)이 설치된다. 상기 홈(21b)은 상기 베인(23)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The cylinder 21 has an internal volum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has sufficient strength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compressed. The cylinder 21 also houses an eccentric 13a formed in the drive shaft 13 in the inner volume. The eccentric portion 13a is a kind of eccentric cam, and has a center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shaft 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ylinder 21 is formed with a groove 21b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grooves 21b are provided with vanes 23 to be described later. The groove 21b has a length sufficient to fully receive the vane 23.

상기 롤러(22)는 실린더(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링 부재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는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에 접하며 상기 편심부(13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22)는 구동축(13)이 회전할 때 상기 편심부(13a)의 외주면상에서 자전하면서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상에서 구름 운동한다. 또한 상기 구름 운동 동안 상기 롤러(22)는 동시에 회전 중심, 즉 실린더(21)의 중심에 대해 상기 편심부(13a)에 의해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공전한다. 이와 같은 롤러(22)의 외주면은 상기 편심부(13a)에 의해 항상 실린더 내주면과 접하고 있으므로 롤러(22)의 외주면 및 실린더 내주면은 상기 내부 체적내에 별도의 유체 챔버(29)를 형성한다. 이 유체 챔버(29)는 로터리 압축기에서 유체의 흡입 및 압축에 이용된다.The roller 22 is a ring member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er 21. As shown in Fig. 4, the roller 2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1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eccentric portion 13a. Therefore, the roller 22 rotat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1 while rotat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ccentric portion 13a when the drive shaft 13 rotates. In addition, during the rolling motion, the roller 22 is simultaneous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eccentric portion 13a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that is, the center of the cylinder 21.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22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by the eccentric portion 13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22 form a separate fluid chamber 29 in the inner volume. This fluid chamber 29 is used for suction and compression of fluid in a rotary compressor.

상기 베인(23)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의 홈(21b)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홈(21b)내에는 상기 베인(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부재(23a)가 설치되며, 상기 베인(23)은 상기 롤러(22)와 계속적으로 접촉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23a)는 일단이 상기 실린더(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인(23)에 결합되어, 상기 베인(23)을 롤러(22) 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베인(2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챔버(29)를 2개의 독립적인 공간들(29a,29b)로 분할한다. 상기 구동축(13)의 회전 즉, 상기 롤러(22)의 공전 동안 상기 공간들(29a,29b)의 크기는 변화하나 상보적(complementary)이다. 즉, 상기 롤러(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간(29a)은 점점 축소하는 반면 상기 다른 하나의 공간(29b)은 상대적으로 점점 증가된다. 그러나 상기 공간들(29a,29b)의 합은 항상 일정하며 상기 소정의 유체챔버(29)의 크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이와 같은 공간들(29a,29b)은 구동축의 회전방향중 어느 하나(즉,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각각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실과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실로 상대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간들(29a,29b)중 압축실은 이전에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도록 점점 축소되며 흡입실은 상대적으로 유체를 새롭게 흡입하도록 점차적으로 확장된다. 만일 롤러(22)의 회전방향이 역전되면 이와 같은 각 공간들(29a,29b)의 기능도 서로 바뀐다. 즉, 상기 롤러(22)가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면 상기 롤러(22)의 우측 공간(29b)이 압축실이 되고, 상기 롤러(22)가 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면 좌측 공간(29a)이 압축실이 된다.The vanes 23 are installed in the grooves 21b of the cylinder 21 a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23a is installed in the groove 21b to elastically support the vane 23, and the vane 23 continuously contacts the roller 22. That i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3a is fixed to the cylinder 2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vane 23 to push the vane 23 toward the roller 22. Thus, the vane 23 divides the fluid chamber 29 into two independent spaces 29a and 29b as shown in FIGS. 3 and 4. Dur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3, ie the idle of the roller 22, the sizes of the spaces 29a and 29b vary but are complementary. That is, when the roller 2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one space 29a gradually decreases while the other space 29b gradually increases. However, the sum of the spaces 29a and 29b is always constant and generally coincides with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fluid chamber 29. These spaces 29a and 29b relatively act as suction chambers for sucking the fluid and compression chambers for compressing the fluid in either of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drive shaft (i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as the roller 22 rotates, the compression chamber of the spaces 29a and 29b gradually shrinks to compress the previously sucked fluid, and the suction chamber gradually expands to relatively suck the fluid. . I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ller 22 is reversed,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spaces 29a and 29b are also changed. That is, when the roller 22 revolves counterclockwise, the right space 29b of the roller 22 becomes the compression chamber, and when the roller 22 revolves clockwise, the left space 29a is the compression chamber. Becomes

상기 상부 베어링(24)과 하부 베어링(2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슬리브(24c, 25c)(sleeve) 및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 (24b,25b)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축(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하부 베어링(24,25)과 상기 실린더(21)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들(24a,25a,21a)을 포함한다. 그리고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실린더(21) 및 상하부베어링(24,25)은 상기 실린너 내부체적 특히, 상기 유체챔버(29)가 밀폐되도록 서로 견고하게 체결된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bearing 24 and the lower bearing 25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ylinder 21, and sleeves 24c and 25c are formed therein and through holes 24b formed therein. The drive shaft 13 is rotatably supported by using 25b). More 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bearings 24 and 25 and the cylinder 21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4a, 25a and 21a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cylinder 21 and the upper and lower bearings 24 and 25 are firmly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ylinder internal volume, in particular the fluid chamber 29, is sealed using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상기 상부 베어링(24)에는 상기 흡입관(7)과 연통되는 흡입유로(24d)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챔버(29)와 상기 흡입유로(24d)를 연통시키는 흡입포트(26)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포트(26)는 압축될 유체를 상기 유체챔버(29)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흡입유로(24d)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베어링(24)을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다. 그러나 흡입유로(24d)는 도시된 홀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흡입유로(24d)는 상기 흡입포트(26)와 상기 흡입관(7)을 연결하는 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upper bearing 24 is provided with a suction passage 24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ipe 7. In addition, a suction port 26 for communicating the fluid chamber 29 with the suction passage 24d is formed. The suction port 26 serves to guide the fluid to be compressed to the fluid chamber 29. Meanwhile, the suction passage 24d is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bearing 24 as shown in FIGS. 2 and 3. However, the suction passage 24d is not limited to the hole shown. For example, the suction passage 24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connecting the suction port 26 and the suction tube 7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흡입유로(24d)는 상기 흡입관(7)과 상기 흡입포트(26)를 직접 연통시킬 수도 있겠으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넘(plenum)(40)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넘(40)은 흡입관(7)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내부에 일시 저장할 수 있록 그 내부에 넓은 저장공간(41)을 가지고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베어링(24)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플레넘(40)은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 포트(26)와 직접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플레넘(40)은 상기 상부 베어링(24)에 용접에 의해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21), 상하부 베어링(24,25)과 함께 체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넘(40)은 상기 슬리브(24c)를 위한 홀(42)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넘(40)의 체적은 유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챔버(29) 체적의 100%-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넘(40)은 또한 유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관(7)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레넘(40)은 소정의 흡입유로(24d)를 통해 상기 흡입관(7)과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흡입유로(24d)는 상기 상부 베어링(2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assage 24d may directly connect the suction pipe 7 and the suction port 26, but indirectly through the plenum 40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preferable to communicate. The plenum 40 has a large storage space 41 therein to temporarily store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ipe 7 therein, and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art. The plenum 40 is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26 to supply fluid. The plenum 4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upper bearing 24 by welding, and may be fasten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21 and the upper and lower bearings 24 and 25 by using a fastening member. The plenum 40 thus comprises a hole 42 for the sleeve 24c. The volume of the plenum 40 is preferably 100% -400% of the volume of the fluid chamber 29 in order to stably supply the fluid. The plenum 40 is also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7 for storing fluid. More specifically, the plenum 4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7 through a predetermined suction passage 24d. In this case, the suction passage 24d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bearing 24.

상기와 같이 플레넘(40)이 설치되면, 상기 흡입유로(24d)는 상기 플레넘(40)과 상부 베어링(24)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저장공간(41)과 연통되고, 상기 유체챔버(29)는 상기 흡입포트(26)에 의해서 상기 플레넘(40)과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포트(26)는 유체챔버(29)와 플레넘(40)을 연결하도록 상부 베어링(24)을 상하로 관통하는데, 예를 들면, 유체챔버(29)와 플레넘(40)을 최단 거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 베어링(24)을 수직하게 관통한다. 이와 같은 플레넘(40)은 일정량의 유체를 항상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흡입유체의 압력변화를 완충하며 유체를 안정적으로 상기 흡입포트(26)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큐물레이터(8)를 보조하거나 대신할 수 있다.When the plenum 4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assage 24d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41 formed by the top surface of the plenum 40 and the upper bearing 24, and the fluid chamber 29 Is communicated with the plenum 40 by the suction port 26. Here, the suction port 26 penetrates the upper bearing 24 up and down to connect the fluid chamber 29 and the plenum 40, for example, the fluid chamber 29 and the plenum 40 It vertically penetrates the upper bearing 24 so as to be connected at the shortest distance. The plenum 40 forms a space for always storing a certain amount of fluid to buffer the pressure change of the suction fluid and to stably supply the fluid to the suction port 26. This may assist or replace the accumulator 8.

상기 하부 베어링(25)에는 토출포트들(27a, 27b)이 형성된다. 토출포트들(27a, 27b)은 압축된 유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챔버(29)와 연통된다. 상기 토출포트들(27a,27b)은 상기 유체챔버(29)와 직접 연통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상기 실린더(21) 및 하부 베어링(25)에 형성되는 소정 길이를 가진 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유체챔버(29)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포트들(27a,27b)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부 베어링(25)에 토출밸브(27c,27d)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밸브(27c,27d)는 상기 챔버(29)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토출포트(27a,27b)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밸브(27c,27d)는, 일단은 상기 토출포트(27a,27b) 부근에 고정되며 타단은 자유롭게 변형가능한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밸브(27c,27d)의 상부에 상기 밸브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그 변형량을 제한하는 리테이너(27e, 27f)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리테이너(27e, 27f)는 토출밸브(27c, 27d)의 안정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토출밸브(27c, 27d)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밸브(27c, 27d)의 열림정도를 제한한다. 상기 리테이너(27e, 27f)가 없을 경우, 상기 토출밸브(27c, 27d)가 고압으로 인해 과도하게 휘어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출밸브(27c, 27d)의 작동에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Discharge ports 27a and 27b are formed in the lower bearing 25.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chamber 29 so that the compressed fluid can be discharged.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may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chamber 29 and on the other hand, through a flow path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 the cylinder 21 and the lower bearing 25.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chamber 29.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are installed in the lower bearing 25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The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selectively open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only when the pressure in the chamber 29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is end, the discharge valve (27c, 27d), one end is preferably fixed to the discharge port (27a, 27b) near the other end is preferably a freely deformable leaf spring. As shown in FIG. 3, retainers 27e and 27f may be installed on the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to limit the amount of deformation so that the valves operate stably. The retainers 27e and 27f are for ensuring stable operation of the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The retainers 27e and 27f ar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is opened. Restrict In the absence of the retainers 27e and 27f, the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may be excessively bent due to high pressure. In this case, reliability of the discharge valves 27c and 27d is lowered.

한편, 상기 하부 베어링(25)의 하부에는 압축된 유체의 토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머플러(30)가 설치될 수 있다. 머플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어링(2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베어링(25)과 머플러(30)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머플러(30)가 설치되면, 유체챔버(29)에서 상기 토출포트(27a, 27b)를 통해 토출된 압축된 유체가 머플러(30) 내의 공간부에서 팽창되므로 팽창식 소음기에서 소음이 저감되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소음이 감소된다.On the other h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earing 25 may be provided with a muffler 30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of the compressed fluid. As illustrated in FIG. 3, the muffler 30 is installed under the lower bearing 25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lower bearing 25 and the muffler 30. When the muffler 3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from the fluid chamber 29 through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is expanded in the space part of the muffler 30, thereby reducing noise in the inflatable silencer. Noise is reduced by the same principle as the principle.

상기 하부 베어링(25)의 토출포트(27a, 27b)에서 토출된 후 머플러(30)로 유입된 유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50)를 통해서 실린더(21)의 상측 공간으로 토출된다. 배출유로(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어링(25), 실린더(21), 상부 베어링(2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홀들(51, 52, 53)에 의해 하나의 연속된 유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배출유로(50)가 제공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20)에서 압축된 유체가 압축부(20) 상측 공간으로 이동한 후에 동력발생부(10)를 경유하여 토출관(9)을 통해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된다.The fluid flowing into the muffler 30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of the lower bearing 25 is discharged into the upper space of the cylinder 21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0 as shown in FIG. 3. do.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ischarge flow path 50 is continuously connected by holes 51, 52, and 53 which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lower bearing 25, the cylinder 21, and the upper bearing 24. Consists of flow passages. When the discharge passage 50 is provid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 the fluid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unit 20 moves to the space above the compression unit 20, and then discharges through the power generating unit 10. 9)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한편, 배출유로(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들(51, 52,53)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머플러(30)와 연통되는 배출 파이프(5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배출 파이프(54)의 타단은 비록 도시 되지는 않았지만 압축부(10)의 상부 공간과 연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머플러(30)가 제공되지 않고 상기 배출 파이프(54)가 상기 토출포트(27a, 27b)와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discharge passage 50 may be formed of the holes 51, 52, and 53, as shown in FIGS. 2 and 3, but on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50 communicates with the muffler 30 as shown in FIG. 6. It may also consist of a discharge pipe 54.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5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pace of the compression section 10, although not shown.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the muffler 30 may not be provided and the discharge pipe 54 may be configured to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한편, 상기 롤러(22)의 공전방향과 상기 흡입포트(26)의 위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압축 용량을 결정하는데 아주 주요한 인자이다. 이하, 이들의 상관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롤러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의 실린더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A와 같이 실린더(21)를 횡단하는 도면의 경우 흡입포트(26)는 실제로 보여지지 않게 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흡입포트(26)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idle direction of the roller 22 and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26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compression capacit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se correl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ylinder when the roller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crossing the cylinder 21 as shown in FIG. 4A, the suction port 26 is not actually seen, but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26 is represented by an imaginary lin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유체챔버(29)는 베인(23)과 롤러(22)에 의해 2 개의 공간들(29a, 29b)로 구획되고, 상기 베인(23)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토출포트(27a, 27b)가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 이것은 상기 롤러(22)의 공전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가스를 압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롤러(22)가 어느 방향으로 공전하더라도, 상기 흡입포트(26)와 베인(23) 사이에 하나의 토출포트(27a, 27b)는 존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베인(23)과 임의의 토출포트(27a, 27b)와의 거리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A, the fluid chamber 29 is divided into two spaces 29a and 29b by a vane 23 and a roller 22, on both sides of the vane 23.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re each located one by one. This is to always compress the gas regardless of the idle direction of the roller 22. That is, no matter which direction the roller 22 revolves, one discharge port 27a or 27b exists between the suction port 26 and the vane 23.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vanes 23 and the arbitrary discharge ports 27a and 27b is preferably equal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롤러(22)의 회전시 상기 베인(23)과 롤러(22)에 의해 형성된 두 공간들(29a, 29b)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유체가 압축된 후 토출되는 토출부가 된다. 이 때, 상기 토출부는 상기 롤러(22)의 공전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롤러(22)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면 상기 롤러(22)의 우측공간(29b)이 토출부가 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가 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면 좌측공간(29a)이 토출부가 된다.Here, any one of the two spaces (29a, 29b) formed by the vanes 23 and the roller 22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22 is necessarily a discharge portion discharged after the fluid is compressed.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volution direction of the roller 22. That is, when the roller 22 revolves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4A, the right space 29b of the roller 22 becomes a discharge portion, and as shown in FIG. 5A, the roller 22 When it revolves clockwise, the left space 29a becomes a discharge part.

한편, 압축용량은 상기 토출부(29a, 29b)의 용적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부(29a, 29b)의 용적을 정확하게 정의하면, 상기 흡입포트(26)로부터 베인(23)까지 상기 실린더(21)와 롤러(2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체적이다. 따라서, 상기 압축용량은 흡입포트(26)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on capacity is determined by the volumes of the discharge portions 29a and 29b. Here, if the volumes of the discharge portions 29a and 29b are correctly defined, it is the volume of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ylinder 21 and the roller 22 from the suction port 26 to the vane 23. Therefore, the compression capac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26.

일례로, 상기 흡입포트(26)가 베인(23)을 지나는 가상선 상에 위치할 경우, 즉 상기 베인(23)에 대해서 대략 180°상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유체쳄버(29)는 동일한 용적을 갖는 두 부분으로 양분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22)가 어느 방향으로 공전하더라도 압축용량은 서로 동일하다.For example, when the suction port 26 is located on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vanes 23, that is, about 180 ° with respect to the vanes 23, the fluid chamber 29 is of the same volume.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having a. Therefore, the compression capacities are the same no matter which direction the roller 22 revolves.

그런데, 상기 흡입포트(26)가 베인(23)을 지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압축챔버(29)는 용적이 다른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챔버(29)는 베인(23)으로부터 흡입포트(26)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좌측공간(29a)과, 상기 베인(23)으로부터 흡입포트(26)까지의 거리가 먼 우측공간(29b)으로 나누어진다. 이 때, 상기 공간(29a,29b)들은 롤러(22)의 공전방향에 따라 각각 토출부가 되며, 따라서 상기 토출부는 용적이 큰고압 토출부(29b)와 용적이 작은 저압 토출부(29a)로 나누어진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가 상기 롤러(22)의 공전방향에 따라 이중 용량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However, when the suction port 26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vanes 23, the compression chamber 29 is divided into two parts having different volumes. That is, as shown in FIG. 4A, the compression chamber 29 has a left space 29a close to the distance from the vane 23 to the suction port 26, and the suction port 26 from the vane 23. The distance to is divided into the far right space 29b. At this time, the spaces 29a and 29b are discharged portions according to the revolving direction of the roller 22, so the discharge portion is divided into a high pressure discharge portion 29b having a large volume and a low pressure discharge portion 29a having a small volume. Lose. This means that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double capacity along the idle direction of the roller 22.

이 때, 상기 흡입포트(26)의 위치는 고압 토출부(29b)와 저압 토출부(29a)의 압축비에 따라 결정된다. 일례로, 본 발명은 상기 흡입포트(26)가 베인(23)을 지나는 가상선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80°~300°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는 것을 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압축비가 50:50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포트(26)는 180°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비가 75:25일 경우, 상기 흡입포트(26)는 대략 270° 상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26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ortion 29b and the low pressure discharge portion 29a.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suction port 26 is located in a range between 180 ° and 300 ° clockwise from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vanes 23. In this case, when the compression ratio is 50:50,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ort 26 is located on 180 °. In addition, when the compression ratio is 75:25, the suction port 26 is positioned at approximately 270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롤러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A는 흡입 개시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압축 및 토출단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C는 토출 종료단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D는 상기 압축실에 형성되는 진공영역을 도시한 것이다.4A to 4D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action when the roller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shows the suction start step, FIG. 4B shows the compression and discharge step, FIG. 4C shows the discharge end step, and FIG. 4D shows the vacuum area form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먼저, 상기 롤러(22)는 크랭크샤프트(13)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 이 과정 중, 상기 흡입포트(26)가 개방되며, 상기 흡입포트(26)를 통해 가스가 상기 압축실로 흡입된다. 이 때, 가스는 상기 롤러(22)에 의해 고압 토출부(21b)로 흡입된다. 이것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다.First, the roller 22 revolves counterclockwise while roll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1 due to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13. During this process, the suction port 26 is opened, and gas is suck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through the suction port 26. At this time, gas is sucked into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1b by the roller 22. This is as shown in Fig. 4A.

다음,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함에 따라, 상기 고압 토출부(29b)의 용적이 줄어들면서 상기 고압 토출부(29b)의 가스가 압축된다. 이 과정 중, 상기 베인(23)은 스프링(23a)과 롤러(22)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 후진하면서 상기 고압 토출부(29b)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흡입포트(26)를 통해 새로운 유체가 계속 흡입된다.Then, 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the gas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is compressed while the volume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is reduced. During this process, the vanes 23 retract elastically back and forth by the spring 23a and the roller 22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At the same time, new fluid continues to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6.

이 후, 상기 고압 토출부(29b)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고압 토출부(29b) 측의 토출밸브(27d)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고압 토출부(29b)의 유체는 토출포트(27b)를 통해 머플러(30)로 토출되기 시작한다. 이것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After that, when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become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discharge valve 27d on the side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is opened. Therefore, the fluid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muffler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7b. This is as shown in Figure 4B.

이 후,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함에 따라, 상기 고압 토출부(29b)의 유체는 모두 상기 토출포트(27b)를 통해 머플러(30)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포트(27b)를 통해 유체가 모두 토출되고 나면, 상기 토출밸브(27d)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토출포트(27b)를 폐쇄하게 된다. 이것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reafter, 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all of the fluid of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is discharged to the muffler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7b. After all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7b, the discharge valve 27d closes the discharge port 27b by its elasticity. This is as shown in Figure 4C.

이 후, 상기 롤러(22)는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압축, 토출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머플러(22)로 토출된다.Thereafter,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reby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muffler 22 while undergoing suction, compression, and discharge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상술한 과정 중 상기 유체챔버(29)의 일측에 진공영역(V)이 형성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단계가 완료된 이 후, 상기 롤러(22)가 공전함에 따라 상기 유체챔버(29)내의 유체는 롤러(22)에 의해 상기 고압 토출부(29b)측으로 강제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롤러(22)가 지나간 영역, 즉 상기 베인(23)과 롤러(22)에 의해 구획되는 좌측공간(29b)에는 진공영역(V)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영역(V)은 롤러(22)가 계속 공전하면서 상기 흡입포트(26)를 개방할 때까지 지속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영역(V)은 롤러(22)가 1회 공전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vacuum region V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luid chamber 29. As shown in FIG. 4D, after the discharge step is completed, the fluid in the fluid chamber 29 is forcibly moved to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by the roller 22 as the roller 22 revolves. Done. On the other hand, a vacuum region V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roller 22 has passed, that is, the left space 29b partitioned by the vanes 23 and the roller 22. The vacuum region V continues until the roller 22 continues to idle while opening the suction port 26. Therefore, the vacuum region V is formed periodically every time the roller 22 revolves once.

다음,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롤러가 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흡입 개시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압축 및 토출단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C는 토출 종료단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D는 상기 압축실에 형성되는 진공영역을 도시한 것이다.Next, FIGS. 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action when the roller rotates clockwise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shows a suction start step, FIG. 5B shows a compression and discharge step, FIG. 5C shows a discharge end step, and FIG. 5D shows a vacuum area form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상기 롤러(22)는 크랭크샤프트(13)의 역회전으로 인해,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 이 과정 중, 상기 흡입포트(26)가 개방되며, 상기 흡입포트(26)를 통해 가스가 상기 유체챔버(29)로 흡입된다. 이 때, 가스는 상기 롤러(22)에 의해 저압 토출부(29a)로 흡입된다. 이것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roller 22 revolves clockwise while roll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1 due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rankshaft 13. During this process, the suction port 26 is opened, and gas is sucked into the fluid chamber 29 through the suction port 26. At this time, the gas is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by the roller 22. This is as shown in Figure 5A.

다음,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함에 따라, 상기 저압 토출부(29a)의 용적이 줄어들면서 상기 저압 토출부(29a)의 가스가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흡입포트(26)를 통해 새로운 가스가 계속 흡입된다.Next, 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the gas of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is compressed while the volume of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is reduced. At the same time, new gas continues to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6.

이 후, 상기 저압 토출부(29a)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저압 토출부(29a) 측의 토출밸브(27c)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저압 토출부(29a)의 유체는 토출포트(27a)를 통해 머플러(30)로 토출되기 시작한다. 이것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After that, when the pressure of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discharge valve 27c on the side of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is opened. Therefore, the fluid of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muffler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7a. This is as shown in Fig. 5B.

이 후,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함에 따라, 상기 저압 토출부(29a)의 유체는 모두 상기 토출포트(27a)를 통해 머플러(30)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포트(27a)를 통해 유체가 모두 토출되고 나면, 상기 토출밸브(27c)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토출포트(27a)를 폐쇄하게 된다. 이것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reafter, 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all of the fluid of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is discharged to the muffler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7a. After all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7a, the discharge valve 27c closes the discharge port 27a by its elasticity. This is as shown in Figure 5C.

이 후, 상기 롤러(22)는 계속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압축, 토출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머플러(30)로 토출된다.Thereafter,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reby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muffler 30 while undergoing suction, compression, and discharge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마찬가지로, 전술한 과정 중 상기 압축실의 일측에 진공영역(V)이 형성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단계가 완료된 이 후, 상기 롤러(22)가 공전함에 따라 상기 압축실의 가스는 롤러(2)에 의해 상기 저압 토출부(29b)측으로 강제로 이동하는 반면, 상기 롤러(22)가 지나간 영역에 진공영역(V)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진공영역(V)은 베인(23)과 롤러(22)에 의해 구획되는 우측공간(29b)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하면서 상기 흡입포트(26)를 개방할 때까지 지속된다. 이 경우, 상기 진공영역(V)은 롤러(22)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보다 더 오랜 시간동안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Similarly, the vacuum region V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mpression chamber dur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As shown in Fig. 5D, after the discharge step is completed, as the roller 22 revolves, the gas in the compression chamber is forcibly moved to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b by the roller 2, The vacuum area V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roller 22 passes. That is, the vacuum region (V) is formed in the right space (29b) partitioned by the vanes 23 and the roller 22, when the roller 22 continues to idle while opening the suction port 26 Lasts until. In this case, the vacuum area V occupies more area for a longer time than when the roller 22 revolves counterclockwise.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140) 내부의 압축 가스는 토출구(141)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압축 가스는 로터(30)와 스테이터(20) 사이의 공간이나 또는 상기 스테이터(20)와 케이스(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다. 이 후, 상기 압축 가스는 토출관(9)을 통해 소정의 목적지로 이동한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compressed gas inside the muffler 140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1. Subsequently, the compressed gas moves up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rotor 30 and the stator 20 or the space between the stator 20 and the case 1. Thereafter, the compressed gas moves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through the discharge tube 9.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정/역회전 하면서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가 우려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varying the compression capacity while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the following problems are concerned.

도 4D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실에는 주기적으로 진공영역(V)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영역(V)은 갑작스런 압력변화를 야기한다. 즉, 상기 롤러(22)의 공전으로 인해 흡입포트(26)가 개방될 때, 상기 진공영역(V)과 흡입포트(26) 사이에 상당한 압력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변화는 몇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첫째, 상기 압력변화는 압축기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압력변화는 크랭크샤프트(13)에 상당한 부하로 작용하게 되며, 그 결과 동력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압력변화는 흡입포트(26)에서 주기적인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진공영역(V)을 인위적으로 해소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공영역(V)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며, 특히 압축 효율을 고려할 때 상기 가스는 압축 전의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흡입포트(26)의 가스를 상기 진공영역(V)에 공급할 수 있는 바이패스 구조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4D and 5D, a vacuum region V is periodically form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vacuum region V causes a sudden pressure change. That is, when the suction port 26 is opened due to the idle of the roller 22, a significant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vacuum region V and the suction port 26. This pressure change causes some negative effects. First, the pressure change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Second, the pressure change acts as a significant load on the crankshaft 13, and as a result, a lot of power can be consumed. Third, the pressure change may generate periodic noise in the suction port 26.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the vacuum area V must be artificially solved. To this end, a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a fluid to the vacuum region V is requir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compression efficiency, the gas is preferably a fluid before compression. 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ypass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the gas of the suction port 26 to the vacuum region (V).

이에 더하여, 상기 바이패스 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갖는다. 첫째, 상기 바이패스는 일방향 유로이다. 즉, 상기 바이패스는 압축 전의 가스가 상기 압축실로 이동하는 것만을 허용하며, 그 역방향 이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바이패스를 통해 압축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둘째, 상기 바이패스는 압력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부재를 갖는다. 왜냐하면, 상기 바이패스는 일방향 유로이기 때문에, 개폐를 제어하는 별도의 밸브부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상기 바이패스는 2개의 일방향 유로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실은 베인(23)을 기준으로 고압 토출부(29b)와 저압 토출부(29a)로 구획된다. 상기 고압 토출부(29b)와 저압 토출부(29a)는 롤러(22)의 공전방향에 따라 각각 진공영역(V)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22)의 공전방향에 관계없이 진공영역(V)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 중 임의의 하나는 상기 고압 토출부(29b)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저압 토출부(29a)와 연결된다. 넷째, 상기 바이패스는 압축 전의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재를 갖는다. 상기 바이패스는 흡입포트(26)와 압축실을 연결하는 유로이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를 가질 경우, 상기 압축실의 진공영역(V)에 가스를 항상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ypass structure further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bypass is a one-way flow path. In other words, the bypass allows only the gas before compression to move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but not the reverse movement. This is to prevent backflow of compressed gas through the bypass. Secondly, the bypass has a valve member that is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y a pressure difference. This is because the bypass is a one-way flow path, so a separate valve member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is required. Third, the bypass has two one-way flow paths.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on chamber is divided into a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and a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based on the vanes 23.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and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29a each have a vacuum region V in the revolution direction of the roller 22.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vacuum area V irrespective of the idle direction of the roller 22, any one of the bypasses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and the other is the low pressure discharge part ( 29a). Fourth, the bypass has a storage member for storing the gas before compression. The bypass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suction port 26 and the compression chamber. Therefore, when the bypass is provided, gas can always be supplied to the vacuum region V of the compression chamber.

이하, 상기 바이패스 구조가 구체화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은 도 3의 압축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간단한 바이패스 구조를 가진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베어링(26)에 제공되는 흡입포트(26)를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bypass structure is specif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mpression unit of FIG. 3, showing an embodiment having a simple bypass structure. 6 does not separately show a suction port 26 provided in the upper bearing 26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6을 참조하면, 바이패스(28a, 28b)는 상부 베어링(24)에 제공된다. 상기 바이패스(28a, 28b)는 플레넘(40)과 유체챔버(29)를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바이패스(28a, 28b)는 플레넘(40)과 유체챔버(29)의 공간들(29a, 29b)을 각각 연통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바이패스(28a, 28b)는 예를 들면, 하부 베어링(25)에 제공되는 토출포트(27a, 27b)와 대향하도록 상부 베어링(24)에 제공될수 있다.Referring to FIG. 6, bypasses 28a and 28b are provided in the upper bearing 24. The bypasses 28a and 28b are provided to connect the plenum 40 and the fluid chamber 29. More specifically, the bypasses 28a and 28b communicate the plenums 40 and the spaces 29a and 29b of the fluid chamber 29, respectively. Bypasses 28a and 28b provi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the upper bearing 24 to face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provided to the lower bearing 25, for example.

상기한 바이패스(28a, 28b)에는 바이패스 밸브(28c, 28d)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 28d)는 압축 전의 유체가 플레넘(40)에서 유체챔버(29) 측으로만 이동하도록 해준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 28d)는 일단은 바이패스(28a, 28b)의 요입홈 상에 지지되고 타단은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는 판 스프링의 일종이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 28d)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를 개폐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 28d)는 바이패스와 압축실의 압력차가 일정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바이패스를 개방한다.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are provided in the bypass 28a and 28b. 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allow fluid prior to compression to move only from the plenum 40 to the fluid chamber 29 side. 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are one type of leaf springs,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recess groove of the bypass 28a and 28b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ree. Thus, 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open and close the bypass by their elasticity. At this time, 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open the bypass only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bypass and the compression cha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한편, 상기 요입홈의 내부에 리테이너(28e, 28f)가 더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28e, 28f)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 28d)의 안정된 작동을 보장한다. 즉, 상기 리테이너(28e, 28f)는 바이패스 밸브(28c, 28d)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 28d)의 열림정도를 제한한다.On the other hand, retainers 28e and 28f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recess grooves. The retainers 28e and 28f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That is, the retainers 28e and 28f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to limit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valves 28c and 28d.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이패스는 흡입유로(24d) 또는 플레넘(40)과 유체챔버(29)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베어링(24)과 실린더(21)를 관통하는 홀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홀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21)의 측벽과 연통되고, 상기 홀의 타 단은 상기 플레넘(40) 또는 흡입유로(24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가 이와 같이 제공되면, 흡입유로(24d) 또는 플레넘(40)에 있는 유체가 상기 홀을 경유한 후에 실린더(21)의 측벽을 통해 유체챔버(29) 내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bypass may consist of holes penetrating the upper bearing 24 and the cylinder 21 to allow the fluid passage 29d or the plenum 40 to communicate with the fluid chamber 29. There will be. In this case, for example, one end of the hol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ide wall of the cylinder 21, and the other end of the hole may be connected to the plenum 40 or the suction passage 24d. If the bypass is thus provided, the fluid in the suction flow path 24d or plenum 40 may be supplied into the fluid chamber 29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cylinder 21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embodiment shown in.

상기 바이패스 구조를 갖는 로터리 압축기에서 진공 영역이 해소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러(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압 토출부(29b)에 있는 유체를 토출포트(27b)를 통해서 토출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이 완료된 후에 롤러(22)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2)와 베인(23) 사이에 진공 영역이 형성된다. 롤러(22)가 계속 회전하면 진공 영역의 크기는 점점 커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를 경계로 진공 영역과 플레넘(40)의 압력차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28c)가 압력차에 의해서 개방된다. 바이패스 밸브(28c)가 개방되면 플레넘(40)에 있는 압축 전의 유체는 바이패스(28a)를 통해서 유체챔버(29) 내의 공간(29a)으로 공급되므로 진공 영역이 해소된다. 한편, 롤러(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한 원리와 동일하게 바이패스(28b)를 통해서 플레넘(40)내의 압축 전 유체가 유체챔버(29)의 공간(29b)으로 공급되어 진공 영역이 효과적으로 해소된다.A process of eliminating the vacuum region in the rotary compressor having the bypas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While the roller 22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fluid in the high pressure discharge part 29b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7b. If the roller 22 continues to rotate after the ejec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4C, a vacuum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roller 22 and the vane 23 as shown in Fig. 4D. 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otate, the size of the vacuum area becomes larger. Then, the bypass valve 28c is open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caus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vacuum region and the plenum 40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bypass valve 28c. When the bypass valve 28c is opened, the fluid before compression in the plenum 40 is supplied to the space 29a in the fluid chamber 29 through the bypass 28a, thereby eliminating the vacuum reg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ller 22 rotates clockwise, the fluid before compression in the plenum 40 is supplied to the space 29b of the fluid chamber 29 through the bypass 28b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area is effectively resolv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서 압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압축기에서 압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압축기에서 실린더 내부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부가 상기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ression unit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pression unit in the compressor of Figure 7, Figure 9 shows the inside of the cylinder in the compressor of Figure 7 Cross section view.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mpression unit is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동력 발생부와 압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동력 발생부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압축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실린더(21), 상기 실린더(21) 내부에 위치되는 롤러(22), 및 상기 실린더(2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24,2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하부 베어링(24)과 실린더(21)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베어링(24) 상측에 제공되는 플레넘(40)과, 상기 하부 베어링(25) 하측에 제공되는 머플러(3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 중,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가지는 부분들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a power generating unit and a compression unit located inside the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shown in FIG. 7, the upper and lower bearing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ylinder 21 fixed to the case, the roller 22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21, and the cylinder 21, respectively. It consists of (24,25). The compression unit includes a valve assembly 60 installed between the lower bearing 24 and the cylinder 21. In addition, the plenum 40 provided above the upper bearing 24, and the muffler 30 provided below the lower bearing 25 further includes. Hereinafter, the parts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상기 상부 베어링(24)에는 유체챔버(29)와 연통하는 흡입포트들(41a, 41b, 41c)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포트들(41a, 41b, 41c)은 압축될 유체를 상기 유체챔버(29)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넘(40)이 제공된 경우에, 상기 흡입포트들(41a, 41b, 41c)은 모두 상기 플레넘(40)과 연통된다. 상기 하부 베어링(25)에는 토출포트들(27a,27b)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포트들(27a,27b)은 압축된 유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챔버(29)와 연통된다.The upper bearing 24 is formed with suction ports 41a, 41b, 41c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chamber 29. The suction ports 41a, 41b, and 41c serve to guide the fluid to be compressed to the fluid chamber 29. If a plenum 40 is provided, the suction ports 41a, 41b, 41c are all in communication with the plenum 40.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re formed in the lower bearing 25.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communicate with the fluid chamber 29 to discharge the compressed fluid.

이와 같은 흡입 및 토출포트들(41a, 41b, 41c, 27a, 27b)은 로터리 압축기의 압축 용량의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며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9는 상기 흡입포트(41a, 41b, 41c)를 명확하게 보여주도록 밸브 어셈블리(60)없이 상기 상부 베어링(24)과 결합된 실린더(21)를도시한다. 도 9에서 실제로 하부 베어링(25)에 형성되는 토출포트들(27a, 27b)는 보이지 않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들 토출포트들(27a, 27b)을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These suction and discharge ports 41a, 41b, 41c, 27a, 27b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rotary compressor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B. 9 shows the cylinder 21 coupled with the upper bearing 24 without the valve assembly 60 to clearly show the suction ports 41a, 41b, 41c. Although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ctually formed in the lower bearing 25 are not shown in FIG. 9, thes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re shown in phantom in FIG. 9 for clarity.

먼저 본 발명의 압축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토출포트(27a,27b)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가 어느 방향으로 공전하더라도, 그 공전경로내에 위치하는 흡입포트와 베인(23)사이에 하나의 토출포트가 존재하여야 압축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회전방향에 대해 하나의 토출포트가 필요하며, 이는 본 발명의 압축기가 상기 롤러(22)의 공전방향, 즉, 구동축(13)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유체를 토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들(29a,29b)중 유체가 압축되는 압축실은 상기 롤러(22)가 상기 베인(23)에 가까이 접근해 갈수록 유체가 압축되도록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최대한 압축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포트(27a,27b)는 상기 베인(23)의 근처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포트(27a,27b)는 상기 베인(23)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포트(27a,27b)는 가능한 한 상기 베인(23)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s shown, even if the roller 22 revolves in any direction, a discharge port must exist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vane 23 positioned in the revolving path to discharge the compressed fluid. Therefore, one discharge port is required for each rotation direction, which enables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scharge fluid regardless of the revolution direction of the roller 22, that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3.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on chamber in which the fluid is compressed in the spaces 29a and 29b becomes smaller and smaller as the roller 22 approaches the vane 23. Accordingly, in order to discharge the compressed fluid as much as possible,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near the vanes 23. That is, as shown,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nes 23, respectively. Preferably,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re located as close to the vanes 23 as possible.

이러한 토출포트(27a,27b)와 롤러(22)사이에서 유체가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포트(41a, 41c)는 적절하게 위치된다. 실제적으로 로터리 압축기에서 유체는 어느 하나의 흡입포트에서부터 상기 롤러(22)의 공전경로내에 위치하는 임의의 토출포트까지 압축된다. 즉, 해당 토출포트에 대한 흡입포트의 상대위치가 압축용량을 결정하며, 이에 따라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흡입포트들(41a, 41c)을 사용함으로서 2개의 압축용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축기는 상기 2개의 토출포트(27a,27b)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제 1 및 제 2 흡입포트(41a,41c)를 가지며, 이들 흡입포트들은 중심(O)에 대해 서로 다른 2개의 압축용량을 위해 서로 소정각도로 이격된다.The suction ports 41a and 41c are suitably positioned so that the fluid can be compressed between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and the roller 22. In practice, in a rotary compressor the fluid is compressed from any one suction port to any discharge port located within the idle path of the roller 22. That i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discharge port determines the compression capacity. Accordingly, two compression capacities can be obtained by using different suction ports 41a and 41c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refore,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first and second suction ports 41a and 41c corresponding to the two discharge ports 27a and 27b, respectively, and these suction por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 Sp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each other for two compression capaciti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흡입포트(41a)는 상기 베인(23) 근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22)는 어느 한 방향 회전(도면상 반시계 방향)에서 상기 제 1 흡입포트(41a)에서부터 상기 베인(23) 건너편에 위치하는 제 2 토출포트(27b)까지 유체를 압축한다. 이러한 제 1 흡입포트(41a) 의해 상기 롤러(22)는 상기 챔버(29) 전체를 이용하여 압축을 하며, 이에 따라 압축기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서 최대 압축용량을 갖는다. 즉, 상기 챔버(29) 전체 체적만큼의 냉매가 압축된다. 이와 같은 제 1 흡입포트(41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상기 베인(23)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0°의 각도(θ1)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각도(θ1)만큼 이격된 제 1 흡입포트(41a)가 도시된다. 이러한 이격각도(θ1)에서 상기 베인(23)과의 간섭없이 상기 유체챔버(29)전체가 압축에 이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located near the vane 23. Accordingly, the roller 22 compresses the fluid from the first suction port 41a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27b located opposite the vane 23 in one direction rota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 By this first suction port 41a, the roller 22 compresses using the entire chamber 29, so that the compressor has a maximum compression capacity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That is, the refrigerant as much as the entire volume of the chamber 29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9,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substa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vane 23 at an angle θ1 of 10 °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shown spaced apart by the angle θ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is separation angle θ1, the entire fluid chamber 29 may be used for compress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vanes 23.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는 상기 제 1 흡입 포트(41a)로부터 상기 중심(O)에 대해 소정각도로 이격된다. 상기 롤러(22)는 시계방향 회전중 제 2 흡입포트(41c)로터 상기 제 1 토출포트(27a)까지 유체를 압축한다.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는 상기 베인(22)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상당한 각도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롤러(22)는 상기 챔버(29)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압축하며 이에 따라 반시계 방향보다 적은 압축용량을 낸다. 즉, 상기 챔버(29)의 일부체적만큼의 냉매가 압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는 상기 베인(23)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180°범위를 갖는 각도(θ2)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는 각 회전방향에서의 적절한 압축용량의 차이 및 서로간의 간섭배제를 위하여 상기 제 1 흡입포트(41a)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econd suction port 41c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ction port 41a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 The roller 22 compresses the fluid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41c to the first discharge port 27a during clockwise rotation. Since the second suction port 41c is spaced at a considerable angle clockwise from the vane 22, the roller 22 compresses using only a part of the chamber 29 and thus compresses less tha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Pay the capacity. That is, as much volume of the refrigerant of the chamber 29 is compressed. Preferably, the second suction port 41c is spaced apart from the vane 23 by an angle θ2 having a range of 90 ° -180 °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 suction port 41c is located opposite the first suction port 41a for the difference in the appropriate compression capacity in each rotation direction and for the mutual interference cancellation.

상기 흡입포트들(41a,41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입포트들(41a,41c)은 직사각형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직사각형 흡입포트들(41a,41c)은 도 7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중 인접한 다른 부품들, 특히 롤러(22)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uction ports 41a and 41c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9. In addition, the suction ports 41a and 41c may have various shapes, including a rectangle, to increase the suction amount of the fluid. Furthermore, the rectangular suction ports 41a and 41c can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shown in FIGS. 7 and 10A and 10B, thus allowing other adjacent parts, in particular the roller 22, to be operated during operation. Interference with can be minimized.

한편, 각 회전방향에서 원하는 압축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회전방향에서는 유효한 흡입포트가 하나만 존재하여야 한다. 만일 롤러(22)의 회전경로내에서 두 개의 흡입포트가 존재하면 이들 흡입포트들 사이에서는 압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흡입포트(41a)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는 폐쇄되어야 하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vice versa). 따라서 밸브 어셈블리(60)가 상기 흡입포트들(41a,41c)중 어느 하나만을 상기 롤러(22)의 공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압축기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compression capacity in each rotation direction, only one suction port valid in any one rotation direction should exist. If there are two suction ports in the rotation path of the roller 22, no compression occurs between these suction ports.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opened, the second suction port 41c should be closed and vice versa. Therefore, the valve assembly 60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lectively open only one of the suction ports 41a and 41c along the idle direction of the roller 22.

도 7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어셈블리(60)는 상기 흡입포트들(41a, 41b,41c)과 인접하도록 상기 실린더(21) 및 상부 베어링(24)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밸브(61,6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7 and 10A and 10B, the valve assembly 60 is installed between the cylinder 21 and the upper bearing 24 to be adjacent to the suction ports 41a, 41b, 41c. First and second valves 61, 65.

먼저 상기 제1 밸브(61)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3) 보다 정확하게는 편심부(13a)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원판부재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13)이 회전, 즉, 롤러(22)가 공전할 때 상기 제1 밸브(61)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밸브(61)는 상기 실린더(2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밸브(61)의외주부는 상기 실린더(21)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 7, the first valve 61 is a disc member installed to contact the eccentric portion 13a more precisely than the drive shaft 13. Therefore, when the drive shaft 13 rotates, that is, the roller 22 revolves, the first valve 61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valve 61 preferably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er 21, and thu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valve 61 is supported to stably rotate by the cylinder 21.

제1 밸브(61)는 특정 회전방향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 포트(41a, 41c)와 각각 연통하는 제 1 및 제 2 개구부(61a,61c)와 상기 구동축(13)이 통과하는 관통공(61a)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개구부(61a)는 상기 롤러(22)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밸브(6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흡입포트(41a)와 연통하며,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는 상기 제 1 밸브(61)의 몸체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부(61c)는 상기 롤러(22)가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2 흡입 포트(41c)와 연통하며, 이때 상기 제 1 흡입포트(41a)는 상기 제 1 밸브(61)의 몸체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개구부(61a, 61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다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들(61a, 61c)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직사각형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들의 크기가 확장되어 유체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들(61a, 61c)이 상기 제 1 밸브(61)의 중심에 인접하게 형성되면, 상기 롤러(22) 및 편심부(13a)와 간섭할 가능성이커진다. 또한 상기 개구부들(61a, 61c)이 상기 롤러(22) 및 편심부(13a)사이의 공간과 연통되어 유체들이 상기 구동축(13)을 따라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상기 개구부들(61a, 61c)은 상기 제 1 밸브(61)의 외주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valve 61 i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13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61a and 61c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ports 41a and 41c, respectively, in a specific rotational direction. (61a). More specifically, the first opening 61a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uction port 41a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valve 61 when the roller 22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second suction port 41c is closed by the body of the first valve 61. The second opening 61c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uction port 41c when the roller 22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61. Is closed by the body.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61a and 61c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as shown in FIG. 9. In addition, the openings 61a and 61c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shown in FIG. 7, and thus the sizes of the openings may be expanded to smoothly suck the fluid. If such openings 61a and 61c are form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first valve 61,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with the roller 22 and the eccentric portion 13a increases. In addition, the openings 61a and 61c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between the roller 22 and the eccentric portion 13a, so that fluids may leak out along the drive shaft 13. Therefore, in practice, the openings 61a and 61c are preferably locat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valve 61.

다른 한편, 상기 제 1 밸브(61)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제 1 개구부(61a)가 각각의 회전방향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포트(41a,41c)를 각각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축(13)의 어느 한 방향 회전에서는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 1 개구부(61a)가 상기 제 1 흡입포트(41a)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회전방향에서는 상기 제 1 흡입포트(41a)가 폐쇄되면서 상기 제 1 개구부(61a)가 상기 제 2 흡입포트(41c)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의 개구부(61a)를 이용한 흡입포트의 제어는 상기 제 1 밸브(61)의 구조를 더욱 단순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valve 61, the first opening 61a can open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ports 41a, 41c in their respective rotation directions. That is, in on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3, the first opening 61a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uction port 41a while closing the second suction port 41c. As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closed, the first opening 61a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uction port 41c. Control of the suction port using this single opening 61a further simplifies the structure of the first valve 61.

한편, 상기 제 2 밸브(65)는 회전하는 상기 제 1 밸브(61)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실린더(21) 및 상부 베어링(24)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밸브(65)는 상기 제 1 밸브(61)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자리부(65b)(seat)를 갖는 링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 2 밸브(65)는 또한 상기 실린더(21) 및 상하부 베어링(24,25)과 함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65a)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체의 누설방지 및 안정적 지지를 위해서 상기 제 2 밸브(65)의 두께는 상기 제 1 밸브(61)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61)는 상기 실린더(21)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제 2 밸브(6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밸브(61)의 두께는 상기 제 2 밸브(65)의 두께보다 조금 작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valve 65 is fixed between the cylinder 21 and the upper bearing 24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first valve 61. The second valve 65 is a member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seats 65b (seat) for rotatably receiving the first valve 61. The second valve 65 also includes a fastening hole 65a to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together with the cylinder 21 and the upper and lower bearings 24 and 25.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valve 65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valve 61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fluid and stable support. In addition, since the first valve 61 is partially supported by the cylinder 21, the thickness of the first valve 61 may be set so as to form a gap for smooth rotation of the second valve 65. It may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wo valves 65.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시계방향회전의 경우, 상기 롤러(22)가 상기 베인(23)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포트(41c)까지 공전하는 동안, 상기 베인(23)과 롤러(22)사이에 유체의 흡입이나 토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역(V)은 진공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진공영역(V)은 구동축(13)의 동력손실을 가져오며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진공영역(V)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베어링(25)에 제 3 흡입포트(41b)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흡입포트(41b)는 상기 제 2 흡입포트(41c)와 상기 베인(23)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22)가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를 지나가기 이전에 진공상태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롤러(22)와 상기 베인(23)사이의 공간에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흡입포트(41b)는 진공상태를 빠르게 해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인(23)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 3 흡입포트(41b)는 상기 제 1 흡입 포트(27a)와 다른 회전방향에서 작동하므로 상기 제 1 흡입포트(41a)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실제적으로 상기 제 3 흡입포트(41b)는 상기 베인(23)으로부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0°의 각도(θ3)로 이격된다. 상기 제 3 흡입포트(41b)는 앞선 제 1 및 제 2 흡입포트(41a, 41c)와 마찬가지로 원형 또는 만곡진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9, in the clockwise rotation, while the roller 22 revolves from the vane 23 to the second suction port 41c, between the vane 23 and the roller 22. No suction or discharge of fluid occurs. Therefore, the region V becomes a vacuum state. Such a vacuum region (V) brings a power loss of the drive shaft 13 and generates a loud noise. Therefore, the third suction port 41b is formed in the lower bearing 25 to eliminate the vacuum region V. The third suction port 41b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41c and the vane 23 so that the vacuum state is maintained before the roller 22 passes the second suction port 41c. It serves to supply fluid to the space between the roller 22 and the vanes 23 so as not to be formed. The third suction port 41b is preferably formed near the vane 23 so as to quickly eliminate the vacuum state. However, since the third suction port 41b operates in a rotation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uction port 27a, the third suction port 41b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suction port 41a. In practice, the third suction port 41b is spaced apart from the vane 23 at an angle θ3 of 10 °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third suction port 41b may be circular or curved rectangular like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ports 41a and 41c.

이와 같은 제 3 흡입포트(41b)는 상기 제 2 흡입포트(41c)와 함께 작용하므로 상기 롤러(22)의 어느 한 방향의 공전 중에 이들 흡입포트들(41b,41c)은 동시에 개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밸브(61)는 상기 제 2 흡입포트(41c)가 개방될때 동시에 상기 제 3 흡입포트(41b)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제 3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개구부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및 제 3 흡입포트(41a, 41b)는 서로 인접하므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밸브(61)의 회전각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 1 개구부(61a)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흡입포트(41a, 41b) 둘 다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hird suction port 41b acts together with the second suction port 41c, these suction ports 41b and 41c must be opened at the same time during idle of the roller 22 in either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valve 61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pening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suction port 41b at the same time when the second suction port 41c is ope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opening may be formed independently. However, since the first and third suction ports 41a and 41b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first opening 61a rotates by increa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valve 61. Preferably, both the first and third suction ports 41a and 41b are opened in a direction.

상기 제 1 밸브(61)는 롤러(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흡입포트들(41a, 41b, 41c)을 개방할 수 있으나 원하는 압축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해당 흡입포트들이 정확하게 개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포트들의 정확한 개방은 상기 제 1 밸브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6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밸브(61)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수단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first valve 61 may open the suction ports 41a, 41b, 41c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ller 22, but the suction ports should be opened correctly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compression capacity. And the correct opening of these suction ports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valve. Thus the valve assembly 60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means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valve 61, which mean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상기 제한 수단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밸브(6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2)와 상기 제 2 밸브(65)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2)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홈(66)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홈(66)은 제 2 밸브(65)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체적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실린더 내부에 사영역(dead volume), 즉, 압축이 일어나지 않는 또는 압축할 수 없는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다.10A and 10B, the restricting means are formed in the projection 62 and the second valve 65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first valve 61 and move the projection 62. It may also consist of a groove 66 that possibly accommodates. Here, the groove 66 is formed in the second valve 65 and is not exposed to the internal volume of the cylinder 21, so a dead volume, that is, a region in which compression does not occur or cannot be compressed, inside the cylinder 21. Does not form.

또한 상기 제한수단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 밸브(65)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 1 밸브(61)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restricting means may include a protrusion projecting radially inwardly from the second valve 65 and a groove formed in the first valve 61 and movable to receive the protrusion.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상기와 같이 제한수단이 이용되는 경우, 상기 구동축(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2)가 상기 홈(66)의 하나의 끝단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제 1 개구부(61a)는 상기 제 1 흡입포트(41a)와 유체가 흡입되도록 연통되며 나머지 제 2 및 제 3 흡입포트(41c, 41b)는 폐쇄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구동축(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2)가 상기 홈(66)의 다른 하나의 끝단에 걸리면서, 상기 제 1 개구부(61a)와 제 2 개구부(61c)는 유체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 3 흡입 포트(41b)와 제 2 흡입포트(41c)를 함께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포트(41a)는 제 1 밸브(61)에 의해 폐쇄된다.When the limiting means is us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 shaft 13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rotrusion 62 is caught at one end of the groove 66 as shown in FIG. 10A. Accordingly, the first opening 61a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uction port 41a to suck the fluid, and the remaining second and third suction ports 41c and 41b are closed. On the contrary, when the driving shaft 13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0B, the protrusion 62 is caught by the other end of the groove 66, and the first opening 61a and the first opening 61a are formed. The second opening 61c opens the third suction port 41b and the second suction port 41c together to suck the fluid.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closed by the first valve 61.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롤러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11A to 11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action of the roller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A에는 상기 구동축(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린더 내부의 각 부품들의 상태가 나타난다. 먼저 상기 제 1 흡입포트(41a)는 상기 제 1 개구부(61a)와 연통되며 나머지 제 2 흡입포트(41c) 및 제 3 흡입포트(41b)는 폐쇄된다. 이러한 반시계 방향에서의 흡입포트들의 상태는 앞서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First, in FIG. 11A, the state of each of the parts inside the cylinder is shown when the drive shaft 13 rotates counterclockwise. First, the first suction port 41a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pening 61a, and the remaining second suction port 41c and the third suction port 41b are closed. Since the state of the suction port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A,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제 1 흡입포트(41a)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22)는 구동축(13)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함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29b)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이미 흡입되어 있던 유체가 압축된다. 이 과정 중, 상기 베인(23)은 탄성부재(23a)의해 탄성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면서 상기 유체 챔버(29)를 2개의 공간(29a,29b)으로 밀폐되게 분할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흡입포트(41a)를 통해 새로운 유체가 다음 행정에서 압축되기 위하여 계속 상기 공간(29a)으로 흡입된다.In the state where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open, the roller 22 revolves counterclockwise while roll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1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3. 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as shown in FIG. 11B, the size of the space 29b is reduced and the fluid already sucked is compressed. During this process, the vane 23 divides the fluid chamber 29 into two spaces 29a and 29b to be hermetically moved up and down elastically by the elastic member 23a. At the same time, new fluid continues to be sucked into the space 29a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41a to be compressed in the next stroke.

상기 공간(29b)내의 유체 압력이 일정 값 이상이 되면, 제 2 토출밸브(27b)가 개방된다. 따라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토출포트(27b)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함에 따라, 상기 공간(29b)내의 모든 유체는 상기 제 2 토출포트(27b)를 통해 토출된다. 유체가 모두 토출되고 나면, 제 2 토출밸브(27d)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제 2 토출포트(27b)를 폐쇄하게 된다.When the fluid pressure in the space 29b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second discharge valve 27b is open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1C, the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27b. 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all fluid in the space 29b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27b. After all of the fluid is discharged, the second discharge valve 27d closes the second discharge port 27b by its elasticity.

이와 같은 하나의 행정이 종료된 후, 상기 롤러(22)는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며, 동일한 행정을 반복하며 유체를 토출한다. 상기 반시계방향의 행정에 있어서, 상기 롤러(22)는 상기 제 1 흡입포트(41a)로부터 제 2 토출포트(27b)까지 공전하면서 유체를 압축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흡입포트(41a)와 제 2 토출포트(27b)는 서로 대향되게 상기 베인(23) 근처에 위치되므로 상기 반시계방향 행정중 전체 유체챔버(29)의 체적을 이용하여 유체가 압축되며 이에 따라 최대의 압축용량이 얻어진다.After this one stroke is finished,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counterclockwise, repeating the same stroke and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counterclockwise stroke, the roller 22 compresses the fluid while revolving from the first suction port 41a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27b.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suction port 41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7b are positioned near the vanes 23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volume of the entire fluid chamber 29 during the counterclockwise stroke is used. The fluid is compressed so that a maximum compressive capacity is obtained.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롤러가 시계방향으로 공전할 때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12A to 12C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action when the roller rotates clockwise in 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2A에는 상기 구동축(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린더 내부의 각 부품들의 상태가 나타난다. 상기 제 1 흡입포트(41a)는 폐쇄되며 제 2 흡입포트(41c) 및 제 3 흡입포트(41b)는 상기 제 2 개구부(61c)와 제 1 개구부(61a)와 각각 연통된다. 만일 상기 제 1 밸브(61)가 추가적으로 제 3 개구부를 갖는 경우(미도시), 상기 제 3 흡입포트(41b)는 상기 제3 개구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시계 방향에서의 흡입포트들의 상태는 앞서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First, in FIG. 12A, the state of each of the parts inside the cylinder is shown when the drive shaft 13 rotates clockwise. The first suction port 41a is closed and the second suction port 41c and the third suction port 41b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pening 61c and the first opening 61a, respectively. If the first valve 61 additionally has a third opening (not shown), the third suction port 41b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opening. Since the state of the suction ports in the clockwise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B,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제 2 및 제 3 흡입포트(41c, 41b)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22)는 구동축(13)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인해, 상기 실린더(21)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초기단계의 공전중, 상기 롤러(22)가 상기 제 2 흡입포트(41c)에 도달할 때까지 흡입되어 있던 유체들은 압축되지 않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에 의해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를 통해 실린더(21)의 외부로 밀려나간다. 따라서 상기 유체들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가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를 지나간 이후에 압축되기 시작한다. 동시에, 상기 제 2 흡입포트(41c)와 상기 베인(23)사이의 공간, 즉 공간(29b)은 진공상태가 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2)의 공전이 시작되면 상기 제 3 흡입포트(41b)는 유체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 1 개구부(61a)와 연통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흡입된 유체에 의해 진공상태가 해소되며 소음의 발생 및 동력손실이 억제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suction ports 41c and 41b are open, the roller 22 is clocked while roll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1 due to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3. Start to rotate in the direction. During this initial stage of idle, the fluids sucked in until the roller 22 reaches the second suction port 41c are not compressed and are removed by the roller 22 as shown in Fig. 12A. 2 is pushed out of the cylinder 21 through the suction port 41c. Accordingly, the fluids begin to compress after the roller 22 passes the second suction port 41c as shown in FIG. 12B. At the same time,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41c and the vane 23, that is, the space 29b, becomes a vacuum state.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dle of the roller 22 is started, the third suction port 41b is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pening 61a to suck the fluid. Therefore, the vacuum state is eliminated by the sucked fluid, and the generation of noise and power loss are suppressed.

상기 롤러(22)가 계속 공전함에 따라, 상기 공간(29a)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이미 흡입되어 있던 유체가 압축된다. 이러한 압축과정중, 상기 베인(23)은 탄성부재(23a)의해 탄성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면서 상기 유체 챔버(29)를 2개의 공간(29a,29b)으로 밀폐되게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흡입포트(41c) 및 제 3 흡입포트(41b)를 통해 새로운 유체가 다음 행정에서 압축되기 위하여 계속 상기 공간(29b)으로 흡입된다.As the roller 22 continues to revolve, the size of the space 29a is reduced and the fluid already sucked is compressed. During this compression process, the vane 23 divides the fluid chamber 29 into two spaces 29a and 29b to be hermetically moved up and down elastically by the elastic member 23a. New fluid is continuously sucked into the space 29b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41c and the third suction port 41b to be compressed in the next stroke.

상기 공간(29a)내의 유체 압력이 일정 값 이상이 되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토출밸브(27c)가 개방되며, 상기 제 1 토출포트(27a)를 통해 토출된다. 유체가 모두 토출되고 나면, 상기 제 1 토출밸브(27c)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제 1 토출포트(27a)를 폐쇄하게 된다.When the fluid pressure in the space 29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discharge valve 27c is opened as shown in FIG. 12C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7a. After all of the fluid is discharged, the first discharge valve 27c closes the first discharge port 27a by its elasticity.

이와 같은 하나의 행정이 종료된 후, 상기 롤러(22)는 계속 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며, 동일한 행정을 반복하며 유체를 토출한다. 상기 반시계방향의 행정에 있어서, 상기 롤러(22)는 상기 제 2 흡입포트(41c)로부터 제 1 토출포트(27a)까지 공전하면서 유체를 압축한다. 따라서 상기 반시계방향 행정중 전체 유체챔버(29)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유체가 압축되며 상기 시계방향의 압축용량보다 적은 압축용량이 얻어진다.After this one stroke is finished, the roller 22 continues to idle clockwise, repeats the same stroke and discharges the fluid. In the counterclockwise stroke, the roller 22 compresses the fluid while revolving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41c to the first discharge port 27a. Thus, the fluid is compressed using only a portion of the entire fluid chamber 29 during the counterclockwise stroke and a compression capacity less than the clockwise compression capacity is obtained.

앞서 설명된 각 행정(즉, 시계 및 반시계방향 행정)에서, 토출포트(27a, 27b)를 통해서 토출된 압축유체는 머플러(30)로 유입되며, 토출유로를 통해 케이스 내부(1)의 로터(12)와 스테이터(11)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스테이터(11)와케이스(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에 최종적으로 토출관(9)을 통해 압축기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유로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rokes (that i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strokes),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s 27a and 27b flows into the muffler 30, and the rotor inside the case 1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After moving to the space between the 12 and the stator 11 and the space between the stator 11 and the case 1, it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through the discharge pipe (9). Here,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charge passage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 구동축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유체를 압축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변되는 압축용량들을 갖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적절하게 배열된 흡입 및 배출포트들과 상기 흡입포트들을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단순한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를 가짐으로서 기 설계된 유체챔버 전체를 이용하여 유체를 압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rotar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ress the fluid in any direction in which the drive shaft rotates and has compression capacities that var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Furthermore, the rotary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ppropriately arranged suction and discharge ports and a simple valve assembly which selectively opens the suction ports in a rotational direction, thereby compressing the fluid using the entire designed fluid chamber. can do. This rotary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종래에는 이중용량 압축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를 조합하였다. 예를 들어, 이중압축용량을 위하여 압축용량이 다른 2개의 압축기와 인버터를 조합하였다. 이 경우, 구조가 상당히 복잡해지고, 단가가 상승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압축기만으로도 이중용량 압축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본 발명은 종래 로터리 압축기에서 최소한의 부품만을 변경함으로써, 이중용량 압축을 구현할 수 있다.First, in the prior art, various devices were combined to realize double capacity compression. For example, two compressors and inverters with different compression capacities were combined for double compression capacities. In this case, the structure is considerably complicated and the unit price has to ris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double capacity compression with only one compresso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double capacity compression by changing only minimal components in the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

둘째, 종래 단일 압축용량을 갖는 압축기는 공기조화기나 냉장고 등의 다양한 운전조건에 적합한 압축용량을 생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경우, 소비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낭비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기의 운전조건에 대응하는 적합한 압축용량을 생산할 수 있다.Second, conventional compressors having a single compression capacity could not produce a compression capacity suitable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 refrigerator. In this case, power consumption was inevitably wasted more than necessa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suitable compression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evice.

셋째,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이중압축용량을 생산함에 있어서 기설계된 유체챔버를 전체를 사용한다. 이는 본 발명의 압축기가 동일한 실린더 크기, 즉 동일한 유체챔버 크기를 갖는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와 적어도 같은 압축용량을 갖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크기등과 같은 기본부품들의 설계변경없이도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를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용량에 대한 고려와 생산단가의 증가없이도 요구되는 시스템에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다.Third, the rotary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ntire predesigned fluid chamber in producing the double compression capacity. This means that the compressor of the invention has at least the same compression capacity as a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 having the same cylinder size, ie the same fluid chamber size. That is, the rotary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rotary compressor without changing the design of the basic parts such as the cylinder size. Therefore, the rotary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applied to the required system without considering the compression capacity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넷째,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포트와 흡입관을 통해서 유입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플레넘이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체챔버에는 일반적으로 냉매와 윤활유가 동시에 유입되는데, 만약 상기 흡입포트와 상기 플레넘이 실린더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윤활유가 실린더로 흡입되기 어렵고 흡입라인,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레넘에 쌓이게 되어 실린더의 윤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흡입포트와 플레넘이 모두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윤활유가 플레넘에 쌓이는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으며 실린더 내에 항상 적정 수준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Fourth, the rotary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uch that a suction port for sucking fluid and a plenum for temporarily storing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ipe ar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cylinder. Generally, refrigerant and lubricant are introduced into the fluid chamber. If the suction port and the plenum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the lubricant is difficult to be sucked into the cylinder. This may cause lubrication problems of the cylinder. However, in the rotary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suction port and the plenum are located at the top of the cylinder, the problem of lubricating oil accumulation on the plenum can be completely solved, and the lubricant can always be supplied with an appropriate level.

Claims (55)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포트와, 하측에 구비되고 각각 소정 압력 이상에서 압축유체를 토출하는 토출포트들을 가지는 압축실;A compression chamber having a suction port provided at an upper side, and discharge ports provided at a lower side, respectively, for discharging the compressed flui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상기 압축실의 중심으로 부터 편심지고, 상기 압축실의 벽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함과 동시에 양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공전하면서 상기 압축실의 일부 공간을 압축하는 구름부재; 그리고A rolling member which is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chamber and compresses a part of the compression chamber while selectively rolling in both directions while rolling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ompression chamber; And 상기 토출포트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구름부재와 항상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압축실을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partition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ports and partitioning the compression chamber into two independent spaces by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rolling member at all tim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출포트들은 상기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 로터리 압축기.The discharge port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parti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토출포트에는, 상기 토출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될 때, 상기 각 토출포트를 개방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 로터리 압축기.And each of the discharge ports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member which opens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wh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por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포트와 직접 연통되며, 상기 실린더로 공급될 유체가 충만되는 넓은 공간을 형성하는 부재가 더 구비된 로터리 압축기.And a member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and forming a wide space filled with the fluid to be supplied to the cylind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압축 전의 유체를 공급하는 흡입유로가 상기 부재에 연결되는 로터리 압축기.And a suction passage for supplying a fluid before compression is connected to th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출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포트에서 토출된 압축유체를 상기 압축실의 외부 상측으로 안내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guiding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ion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출포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압축실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포트에서 배출되는 압축유체를 팽창시켜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저감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noise reduction means provided under the compression cha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and reducing noise by expanding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구획부재를 지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위치하는 로터리 압축기.The suction port is located on any one side of the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180°~300°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로터리 압축기.The suction port is located in the range of 180 ° ~ 300 °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구획부재를 지나는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로터리 압축기.The suction port is located on the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편심부를 가지며,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축;A drive shaft having an eccentric portion and rotatable in a forward / reverse direction; 상기 편심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압축실을 형성하는 실린더;A cylinder accommodating the eccentric portion therein and forming a compression chamber;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흡입포트를 가지는 상부 베어링;An upper bearing which closes the open upper part of the cylinder, rotatably supports the drive shaft, and has a suction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cylinder;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토출포트들을 가지는 하부 베어링;A lower bearing which closes the open lower part of the cylinder, rotatably supports the drive shaft, and has discharge ports in communication with the cylinder;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때, 상기 토출포트를 개방하는 토출밸브;A discharge valve which opens the discharge port when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chamb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 편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 그리고A roll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eccentric to perform rolling mo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And 상기 토출포트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린더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롤러와 항상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압축실을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vane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cylinder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ports, and partitioning the compression chamber into two independent spaces while always keeping contact with the rolle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토출포트들은 각각 상기 베인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로터리 압축기.Each of the discharge ports is space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van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토출밸브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밸브의 개방 정도를 한정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retainer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valve to limit an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valv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상부 베어링은, 상기 흡입포트와 압축 전의 유체를 공급하는 흡입관을 연통시키는 흡입유로를 가지는 로터리 압축기.And the upper bearing has a suctio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suction port with a suction pipe for supplying a fluid before compression.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흡입포트와 상기 흡입유로에 직접 연통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충만되는 넓은 공간을 형성하는 플레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plenum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assage and forming a wide space filled wit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플레넘은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로터리 압축기.The plenum is a rotary compressor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earing.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플레넘과 상기 압축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베어링을 상하로 관통하게 제공되는 로터리 압축기.And the suction por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bearing vertically so that the plenum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롤러의 공전 시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 사이에 발생하는 진공공간에 압축 전의 유체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그리고A bypass for supplying a fluid before compression to a vacuum space generated between the roller and the vane when the roller is idle; And 상기 바이패스에 제공되고,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의 개폐를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bypass valve provided in the bypass and configured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bypass by a pressure differenc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바이패스는 상기 베인에 의해 구획된 실린더 내의 두 공간과 상기 흡입유로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베어링에 제공되는 로터리 압축기.And the bypass is provided to the upper bearing such that the suction space and the two spaces in the cylinder defined by the van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압축기.The bypass valve further comprises a retainer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bypass valve to limit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valv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롤러의 공전 시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 사이에 발생하는 진공공간에 압축 전의 유체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그리고A bypass for supplying a fluid before compression to a vacuum space generated between the roller and the vane when the roller is idle; And 상기 바이패스에 제공되어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의 개폐를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bypass valve provided to the bypas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bypass by a pressure differenc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바이패스는 상기 플레넘과 상기 압축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베어링에 제공되는 로터리 압축기.And the bypass is provided to the upper bearing such that the plenum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The bypass valve further comprises a retainer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bypass valve to limit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valv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토출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포트에서 토출된 압축 유체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configured to guide and discharge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upper side.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배출유로는 일단이 상기 토출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게 제공되는 로터리 압축기.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an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배출유로는 일단이 상기 토출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게 제공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배출유로는The discharge passage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유로, 그리고A first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and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토출포트를 연통시키는 머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muffler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path and the discharge port.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머플러는 상기 하부 베어링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포트에서 토출된 압축 유체를 팽창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로터리 압축기.The muffler is provided below the lower bearing to expand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reduce the nois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1 유로는,The first flow path, 일단이 상기 머플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베어링과 실린더 및 상부 베어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제공되는 로터리 압축기.And one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muffl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in order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lower bearing, the cylinder and the upper bearing.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1 유로는,The first flow path, 일단이 상기 머플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실린더 외부에 제공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pipe provided outside the cylinder such that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muffler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an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구획부재를 지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위치하는 로터리 압축기.The suction port is located on any one side of the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제 3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180°~300°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로터리 압축기.The suction port is located in the range of 180 ° ~ 300 °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membe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구획부재를 지나는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로터리 압축기.The suction port is located on the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베인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베인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부터 탄성력을 부여 받는 로터리 압축기.The vane is a rotary compresso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from th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vane. 편심부를 가지며,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축;A drive shaft having an eccentric portion and rotatable in a forward / reverse direction; 상기 편심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압축실을 형성하는 실린더;A cylinder accommodating the eccentric portion therein and forming a compression chamber;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흡입포트들을 가지는 상부 베어링;An upper bearing which closes the open top of the cylinder, rotatably supports the drive shaft, and has suction ports in communication with the cylinder; 상기 흡입포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 어셈블리;A valve assembly selectively opening any one of the suction ports according to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토출포트들을 가지는 하부 베어링;A lower bearing which closes the open lower part of the cylinder, rotatably supports the drive shaft, and has discharge ports in communication with the cylinder;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때, 상기 토출포트를 개방하는 토출밸브;A discharge valve which opens the discharge port when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chamb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 편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 그리고A roll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eccentric to perform rolling mo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And 상기 토출포트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린더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롤러와 항상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압축실을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vane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cylinder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ports, and partitioning the compression chamber into two independent spaces while always keeping contact with the roller.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토출포트들은 상기 베인에 대해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토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the discharge ports includ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ort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anes.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토출밸브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밸브의 개방 정도를 한정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retainer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valve to limit an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valv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흡입포트는,The suction port, 상기 베인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흡입 포트; 그리고A first suction port positioned adjacent said vane; And 상기 제1 흡입 포트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는 제2 흡입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second suction po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ction port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ylinder. 제 3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The valve assembly, 상기 편심부와 상부 베어링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편심부와접촉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밸브; 그리고A first valve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eccentric portion and the upper bearing, the first valve being in contact with the eccentric portion and rotat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상기 실린더와 상기 상부 베어링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밸브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second valve provided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upper bearing to guid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valve.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로터리 압축기.The first valve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er.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제1 밸브는,The first valve, 상기 구동축의 어느 한 방향 회전시 상기 제1 흡입포트와 연통되는 제1 개구부; 그리고A firs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uction port when the driving shaft is rotated in any one direction; And 상기 구동축의 다른 방향 회전시 상기 제2 흡입포트와 연통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second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uction port when the driving shaft is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제 41 항에 있어서,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밸브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로터리 압축기.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re positioned adjacent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valve.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제2 밸브는 중앙에 상기 제1 밸브를 수용하는 자리부를 가지는 로터리압축기.And the second valve has a seat in the center for receiving the first valve.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제2 흡입 포트와 상기 베인 상에 위치되는 제3 흡입 포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The suction port further comprises a third suction port and a third suction port located on the vane, 상기 제2 흡입포트가 개방될 때 상기 제1 밸브의 제1 개구부가 상기 제3 흡입포트를 개방시키는 로터리 압축기.And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valve opens the third suction port when the second suction port is opened.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각각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해당 흡입포트를 정확하게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The valve assembly further comprises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angle of the first valve to precisely open the suction port in each rotational direction. 제 4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5, 상기 제어 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제1 밸브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그리고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o the first valve; And 상기 제2 밸브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groove formed in the second valve, the groove movably receiving the protrusion.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상부 베어링은, 상기 흡입포트와 압축 전의 유체를 공급하는 흡입관을 연통시키는 흡입유로를 가지는 로터리 압축기.And the upper bearing has a suction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suction port with a suction pipe for supplying a fluid before compression. 제 4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흡입포트와 상기 흡입유로에 직접 연통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충만되는 넓은 공간을 형성하는 플레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plenum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passage and forming a wide space filled wit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제 48 항에 있어서,49. The method of claim 48 wherein 상기 플레넘은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로터리 압축기.The plenum is a rotary compressor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earing.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토출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포트에서 토출된 압축 유체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configured to guide and discharge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upper side. 제 50 항에 있어서,51. The method of claim 50 wherein 상기 배출유로는 일단이 상기 토출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게 제공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제 50 항에 있어서,51. The method of claim 50 wherein 상기 배출유로는The discharge passage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유로, 그리고A first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and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토출포트를 연통시키는 머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muffler communicating the first flow path and the discharge port. 제 5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상기 머플러는 상기 하부 베어링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포트에서 토출된 압축 유체를 팽창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로터리 압축기.The muffler is provided below the lower bearing to expand the compressed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reduce the noise. 제 5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상기 제1 유로는,The first flow path, 일단이 상기 머플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베어링, 실린더, 제2 밸브 및 상부 베어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제공되는 로터리 압축기.And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muffler and the other end sequentially communicates with the lower bearing, the cylinder, the second valve and the upper bear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제 5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상기 제1 유로는,The first flow path, 일단이 상기 머플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실린더 외부에 제공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터리 압축기.And a pipe provided outside the cylinder such that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muffler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an upper space of the upper bearing.
KR10-2003-0030346A 2003-05-13 2003-05-13 Rotary compressor KR100531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46A KR100531288B1 (en) 2003-05-13 2003-05-13 Rotary compressor
PCT/KR2004/000966 WO2004102001A1 (en) 2003-05-13 2004-04-27 Rotary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46A KR100531288B1 (en) 2003-05-13 2003-05-13 Rotary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843A true KR20040097843A (en) 2004-11-18
KR100531288B1 KR100531288B1 (en) 2005-11-28

Family

ID=3344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346A KR100531288B1 (en) 2003-05-13 2003-05-13 Rotary compress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31288B1 (en)
WO (1) WO200410200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408B1 (en) * 2008-07-22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r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3506A1 (en) * 2012-08-28 2014-03-06 Saxena Priyam Solar water pump
CN104595195B (en) * 2014-12-04 2016-06-29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Low backpressure rotary compressor
KR102338127B1 (en) * 2017-04-18 2021-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otary compressor
KR102163897B1 (en) * 2019-01-03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otary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559A (en) * 1985-05-31 1986-07-08 Carrier Corporation Reversible fixed vane rotary compressor having a reversing disk which carries the suction port
JPS6350693A (en) * 1986-08-20 1988-03-03 Toshiba Corp Reversible compressor
CA1330976C (en) * 1987-12-24 1994-07-26 Arturo L. Ortiz Rotary compressor gas routing for muffler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408B1 (en) * 2008-07-22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ressor
KR101466409B1 (en) * 2008-07-22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ressor
KR101487022B1 (en) * 2008-07-22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ressor
KR101528644B1 (en) * 2008-07-22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1288B1 (en) 2005-11-28
WO2004102001A1 (en)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187B1 (en) Rotary compressor
KR100519341B1 (en) Rotary compressor
US7588427B2 (en)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KR100531287B1 (en) Rotary compressor
KR100531288B1 (en) Rotary compressor
KR100531285B1 (en) Rotary compressor
KR20040097822A (en) rotary compressor
KR100539561B1 (en) Rotary compressor having dual capacity
US7597547B2 (en)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KR100531279B1 (en) rotary type compressor
KR100531284B1 (en) Rotary compressor
KR101008626B1 (en) Rotary compressor having dual capacity
KR100531280B1 (en) rotary type compressor
KR100531286B1 (en) Rotary compressor
KR20040097740A (en) Rotary Type Compressor
KR100493315B1 (en) Rotary compressor
KR100531283B1 (en) Rotary compressor
KR100493317B1 (en) rotary type compressor
KR100531282B1 (en) Rotary compressor
KR100493316B1 (en) Rotary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