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276A -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276A
KR20040078276A KR1020030013127A KR20030013127A KR20040078276A KR 20040078276 A KR20040078276 A KR 20040078276A KR 1020030013127 A KR1020030013127 A KR 1020030013127A KR 20030013127 A KR20030013127 A KR 20030013127A KR 20040078276 A KR20040078276 A KR 20040078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screen
ke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1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8276A/en
Publication of KR2004007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276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01D46/54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using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spl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efficiently use a mobile phone by controlling the size of a second LCD added by splitting a first LCD, and executing operations on the second LCD or first LCD. CONSTITUTION: In the case that call interrupt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which a first LCD(Liquid Crystal Display) is being used, the first LCD is split to generate a second LCD. A picture initial menu is showed on the second LCD. Operations by function keys are selectively executed on the first LCD or second LCD. According to a split releasing request, the first LCD or second LCD is selectively removed,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remaining LCD is maintain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기능 중 한 화면에 두가지 기능을 함께 사용하고 싶을 경우 화면 표시창(LCD)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분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vis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service by dividing a screen display (LCD) into a main screen and an auxiliary screen when a user wants to use two functions together on on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개인 휴대폰은 그 기술의 개발도 셀룰러폰, PCS 폰, 위성통신폰 등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그의 기술개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더욱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휴대 통신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과 디자인이 촌각을 다투어 개발되고 있다.Personal mobile phon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such as cellular phones, PCS phones, satellite communication phones. In addition, his technical development is being made continuously, and even more advance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nd functions and designs are being developed so that the limits of portable communication are unpredictable.

하지만, 이러한 첨단기술의 개발에 모든 연구 및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휴대폰이 우리가 지니는 생활용품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휴대하면서 그 부가기능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l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is being made in the development of such advanced technologies, but there are problems in that mobile phones are being used as daily necessities in our daily life, and the additional functions are not easily reflected by the general public.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 및 일정 정보를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다.A commonly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in a visible state.

이러한 정보처리기기의 실예로선,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휴대단말기(PCS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통상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러 기능 수행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 수행 방법들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메뉴 선택 입력 혹은 단축키 등에 따른 해당 기능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정해진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를 지정한 후 소정 요구 입력에 따라 지정된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거나, 단축키를 선택하면 단축키에 해당되는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구나, 최근에는 각 메뉴를 아이콘화하여 사용자가 수행을 요구하는 기능이 있으면 그에 따른 해당 아이콘 선택을 이룬 후 해당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메뉴 선택을 통한 기능 수행 방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Examples of suc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include digital portable telephones (cellular phones), electronic notebook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S phones), and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Such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ually perform us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method of performing such functions is to perform an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input or a shortcut key. There is a way to make it happen. This is done by assigning a menu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unction and then displaying a specified menu according to a specific request input so that when a user selects the menu,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menu to be performed. In addition, recently, if a function is required to be performed by the user by iconizing each menu, the corresponding icon selection is made accordingly, and the function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icon accordingly. The proposed method is to further increase the convenience of.

그런데,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는 중소형의 액정 패널 하나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특히,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핸드폰 중 예를 들어, 게임을 하고 있을때 단순히 게임 기능만이 수행되며, 문자 메시지(또는 Call) 등과는 연계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an example of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cannot displa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t a time because only one small and medium liquid crystal panel is provided. In particular, among the mobile phones currently on the market, for example, when playing a game, only a game function is perform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text message (or call).

즉, 게임을 하면서 시계를 보고싶은 경우나 게임을 하면서 전화를 걸고 싶은 경우, 노래를 들으면서 문자를 보내거나 보고싶은 경우 등, 즉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중 한번에 두가지 기능을 함께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도 한가지 화면만을 제공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바탕화면과 시계가 함께 LCD 화면에 출력되어 있으므로, Call이 올 경우 바탕화면에 조그만 창이 떠서 번호가 쓰여지거나 전체 화면에 번호가 쓰여진다. 게임 도중에 문자가 오면 창이 떠서 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음악을 듣거나 다른 기능 사용시 한가지 기능에 LCD 창 화면 모두 사용하게 된다.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watch a watch while playing a game, if you want to make a phone call while playing a game, if you want to send a text or see while listening to a song, that is, if you want to use both functions at once Provide only. In addition, since the desktop and the clock are usually output on the LCD screen, when a call comes, a small window floats on the desktop and the number is written or the number is written on the entire screen. If a character comes in during the game, the window will pop up to check the characters, and when listening to music or using other functions, the LCD window will be used for one function.

따라서,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게임을 하면서 Call을 건다던지 문자를 보내면서 멜로디를 듣는 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두가지 기능을 함께LCD 창에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how the two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ogether on the LCD window such as playing a call or sending a text while listening to a melody while playing a game on the portable terminal currently on the market.

한편, 최근 IT산업의 지속적인 개발기술과 아울러 IMT-2000 사업의 기대시장에 힘입어 모바일 중소형 디스플레이장치들이 기존의 문자/음성 서비스 이외에도 이메일 서비스나 동화상 서비스까지 지원 가능해지면서 웹 환경에서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수용하는 시기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사용 환경에 있어서도 대형화 및 다양한 화면구현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anks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technology of the IT industry and the expected market of IMT-2000 business, mobile small and medium sized display devices can support e-mail service or moving image service as well as existing text / voice service to accommodate various contents in web environment.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demand for larger screens and various screen realization methods in a display use environment.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를 비롯한 중소형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외형적인 기술흐름은 기존의 기본적인 서비스에서 일부 간단한 부가서비스를 가미하는 조건에서 점점 더 경박단소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경박단소의 저변에는 소비자들의 휴대편리성 요구가 가장 큰 이유가 되었고, 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소재부품기술과 구동기술의 고도화 및 저소비전력의 개발대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However, the external technology flow of small and medium-sized mobile display devices, including portable terminals, is becoming increasingly light and thin in the condition that some simple additional services are added to existing basic services. At the bottom of the thin and thin components, the consumer's demand for convenience of mobile was the main reason, and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omponent technology and driving technolog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evelopment of low power consumption have been continuously made.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휴대용 단말기를 비롯한 중소형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대형화 욕구는 포터블한 소형화에 상반되는 요구로서, 디스플레이가 대형화가 되게 되면 그에 따른 소재부품과 구동부의 사이즈/볼륨(Size/Volumn)의 증가를 수반하게 되고, 소비전력도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의 유지용량시간의 감소를 초래하게 되는 결점을 가지게 된다.In view of this, the desire to enlarge the size of small and medium-sized mobile display devices, such as portable terminals, is contrary to the demand for portable miniaturization. When the display becomes large, the size / volume of the material parts and the driving unit increases accordingly. It is accompanied by a drawback, and the power consumption also increases rapidly has the drawback that leads to a reduction of the battery capacity capacity time.

따라서, 휴대폰 경박단소화의 흐름에 발맞춰, 기존 LCD 화면을 사용하면서도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LCD 화면을 분할하여 한 화면에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나타내줄 수 있는 화면 분할 기능이 수반된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일 것이다.Therefore, in line with the trend of light and light mobile phone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sufficiently display necessary information while using an existing LCD screen. In particular, if a screen split function that splits the LCD screen and displays two functions at the same time is accompanied, mor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hich may be efficien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말기의 기능 중 한 화면에 두가지 기능을 함께 사용하고 싶을 경우 화면 표시창(LCD)을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분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f you want to use the two functions together on one screen of the terminal function to provide a service by dividing the screen display (LCD) into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예시도.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창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설명도.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어부 11 : 음성 메모리10 control unit 11: voice memory

12 : 메모리 13 : 키 입력부12: memory 13: key input

14 : 표시부(LCD) 15 : RF부14: LCD 15: RF

16 : 착신음 발생부 17 : 음성처리부16: ring tone generator 17: voice processing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LCD가 사용중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인터럽트시, 상기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2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2 LCD에 화면 초기 메뉴를 보여주는 제 1 단계;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상기 제1 LCD 혹은 상기 제2 LCD 상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 화면 분할 해제 요구에 따라,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는 상기 제1 LCD 혹은 상기 제2 LCD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되지 않은 LCD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divis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when the call is interrup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use by the first LCD, the first LCD is screened to generate a second LCD. And displaying a screen initial menu on the second LCD;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to be selectively performed on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And a third step of selectively removing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on which the operation by the function key is performed and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LCD which has not been removed according to the screen split release request.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LCD가 사용중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인터럽트시, 상기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2 LCD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2 LCD에 인터럽트 발생 사실을 알리는 제 1 단계;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상기 제2 LCD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 인터럽트 발생에 대한 상기 제2 LCD에서의 동작 수행 완료시, 상기 제2 LCD를 해제하고 상기 제1 LCD의 사용중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creen spli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ll interrup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ing used by the first LCD, the first LCD is screen-divid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second LCD, A first step of notifying the second LCD that an interrupt has occurred;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to be performed on the second LCD; And a third step of releasing the second LCD and maintaining the in-use state of the first LCD whe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CD is completed upon interrupt generation.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및 화면 크기 조절, 메뉴 키의 동작이 적용되는 화면 결정 방법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The control unit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screen division and screen size adjustment, the screen determination method to which the operation of the menu key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n, control of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s achieved.

음성 메모리(11)는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voice memory 11 stores various voice data.

메모리(12)에는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12)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The memory 12 stores an operation program and a system program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operation program and the system program are usually stored in a ROM area included therein and can be erased as necessary. Electrically erasable ROMs include EEPROM and flash memory. The memory 12 also includes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various operating programs.

키 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특히, 화면 분할 설정키, 화면 분할시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 가능한화면 전환키, 화면 분할 해제키 등)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key input unit 13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menu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a screen division setting key, a screen switch key for selecting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during screen division, a screen division release key, etc.). ), And outputs key data to the controller 10 by an external operation.

여기서, 화면 분할 설정키, 화면 전환키, 화면 분할 해제키는 별도로 지정될 수도 있고, 기본 기능에 부가적으로 핫 키(hot key) 등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가적으로 지정하는 경우, 화면 분할 설정키는 #1번, 화면 전환키는 #2번, 화면 분할 해제키는 #3번이다.Here,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the screen switch key, and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may be separately designated, or may be designated as a hot key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dditional designation,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s # 1, the screen switch key is # 2, and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is # 3.

화면 분할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하나는 제1 LCD(주 화면)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를 들면,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면 자동으로 주 화면(제1 LCD)이 분할되어 보조 화면(제2 LCD)이 나타나는 방식이다.There are two main ways to divide the screen. One is when the first LCD (main screen) is being used by the user (e.g. playing a game or listening to music), a call is received or a text message is sent via SMS. When the reception is received, the main screen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and the sub screen (second LCD) is displayed.

다른 하나는 제1 LCD(주 화면)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를 들면,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고 있는 도중 혹은 초기메뉴 상태(사용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 분할 설정 키를 눌러 주 화면(제1 LCD)을 강제적으로 분할하여 보조 화면(제2 LCD)이 나타나도록 하는 방식이다.The other is that the user presses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while the first LCD (main screen) is being used by the user (e.g. playing a game or listening to music) or in the initial menu state (no use). The sub-screen (second LCD) is displayed by forcibly dividing the screen (first LCD).

상기 화면 분할 설정키는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될 수 있고, 기존 기능키에 부가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면 분할 설정키로서의 핫 키(hot key)를 "#1번"등으로 할 수 있다.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may be designated as a separate basic key on the terminal, or may be additionally assigned to an existing function key. For example, the hot key as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can be "# 1" or the like.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the like,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hat is, the over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put user information are displayed.

따라서, 제어부(10)는 키 입력부(13)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12)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즉, 키 입력부(13)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함으로써, 키 입력부(13)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메모리(12)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0 reads the menu from the memory 12 and displays the menu on the display unit 14 in response to a user's menu display request by the key input unit 13. That is, the key input unit 13 is a conventional user information input means, and has a plurality of keys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applied, such as a number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if there is an input of each of the provided keys, Therefore, by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unique key data to the control unit 10, through the key input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3 to enter the menu display mode and selection of the menu is made. Then, the controller 10 reads the menu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input from the memory 12 and displays the menu on the display unit 14.

RF부(15)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RF unit 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and convert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into a radio signal. In addition, the RF unit 15 converts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desired signal and outputs it.

착신음 발생부(16)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한다.The ring tone generator 16 generates a ring tone through the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음성처리부(17)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5)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음성 메모리(1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voice processor 17 modulat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demodulates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RF unit 15 and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voice memory 11 into voice signals. Sound is output through a speaker.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창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설명도이다.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의 주 화면(제1 LCD)이 자동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강제 분할되면주 화면(제1 LCD) 상에 도 2b와 같이 최소 단위의 보조 화면(제2 LCD)이 나타난다. 이때, 보조 화면(제2 LCD)의 크기를 도 2c와 같이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보조 화면의 화면 조절 키로서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있고, 기존 설정키로서의 사이드 키(side key) 혹은 네비게이션 키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When the main screen (first LCD) of FIG. 2A is forcibly divided by automatic or user selection, an auxiliary screen (second LCD) of a minimum unit appears on the main screen (first LCD) as shown in FIG. 2B.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ub-screen (second LCD)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s shown in FIG. 2C. As a screen control key of the sub-screen, it can be designated as a separate primary key on the terminal and a side key as an existing setting key. Or use navigation keys.

예를 들면, 화면 크기 조절키로서의 사이드 키(side key)에 의한 동작을 살펴보면, " ↑"는 보조 화면(제2 LCD)의 상하 방향의 화면 크기를, " ↓"는 보조 화면(제2 LCD)의 좌우 방향의 화면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키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상하좌우(↑,↓,←,→)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주 화면(제1 LCD)이 분할되어 보조 화면(제2 LCD)이 나타난 상태에서, 화면 조절 키(사이드 키, 네비게이션 키)를 눌러 보조 화면(제2 LCD)의 크기를 조절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side key as the screen size adjusting key, "↑" is the screen siz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ub-screen (second LCD), and "↓" is the sub-screen (second LCD). ) Adjust the screen siz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when using the navigation keys, it is possible to apply up, down, left and right (↑, ↓, ←, →) as it is. That is, while the main screen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ub screen (second LCD) is displayed, the size of the sub screen (second LCD) is adjusted by pressing a screen control key (side key, navigation key).

한편, 주 화면(제1 LCD)이 분할되어 보조 화면(제2 LCD)이 나타난 경우에, 각 화면(제1 및 제2 LCD)에서의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화면 전환키에 의해 가능하다. 즉, 화면 분할된 상태에서, 메뉴 키에 의한 동작은 주 화면(제1 LCD)에서의 동작을 기본으로 하는데, 만약 화면 전환키를 누르면 메뉴키에 의한 동작은 보조 화면(제2 LCD)에서의 동작으로 전환된다. 즉, 주 화면(제1 LCD)과 보조 화면(제2 LCD)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화면 전환키에 의해 메뉴키의 동작이 적용되는 화면이 결정된다. 이 화면 전환키는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될 수 있고, 화면 분할 설정키(지정키 혹은 "#1번")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는, 기존 기능키에 부가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전환키로서의 핫 키(hot key)를 "#2번"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제2 LCD로 화면 분할된 상태에서, 메뉴 키에 의한 동작은 주 화면(제1 LCD)에서 동작되고, 화면 분할 설정키를 누르면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보조 화면(제2 LCD)에서의 동작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screen (the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ub screen (the second LCD) appears, the operation by the function keys in each screen (the first and the second LCD)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This is possible by means of a switch key. That is, in the screen divided state,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based on the operation on the main screen (first LCD). If the screen switching key is pressed,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performed on the sub screen (second LCD). Switch to action. That is, when the main screen (first LCD) and the sub screen (second LCD) exist at the same time, the screen to which the operation of the menu key is applied is determined by the screen switching key. The screen switching key may be designated as a separate basic key on the terminal, or may use a screen division setting key (specified key or "# 1"). Alternatively, it may be specified in addition to an existing function key. For example, the hot key as the screen switching key can be "# 2"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screen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CDs,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main screen (first LCD), and when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s pressed,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activated by the sub-screen (second display). LCD).

그러나, 주 화면(제1 LCD)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를 들면,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어 자동으로 주 화면(제1 LCD)이 분할되어 보조 화면(제2 LCD)이 생겨난 경우에는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보조 화면(제2 LCD)에서의 동작을 기본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화면 전환키 혹은 화면 분할 설정키를 누르게 되면,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적용되는 화면이 전환됨은 자명하다.However, while the main screen (first LCD) is being used by the user (for example, playing a game or listening to music), a call is received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via SMS, and the main screen (first LCD) is automatically received. When the sub screen (second LCD) is divided and the sub screen is generated,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may be set based on the operation on the sub screen (second LCD). Of course, even in such a case, if the screen switching key or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s pressed, it is obvious that the screen to which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applied is switched.

뿐만 아니라, 주 화면(제1 LCD)이 사용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어 자동으로 주 화면(제1 LCD)이 분할되어 보조 화면(제2 LCD)이 생겨난 경우에는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화면 전환 기능없이 메뉴키가 보조 화면(제2 LCD)에만 적용되고, 보조 화면(제2 LCD)에서 동작 수행이 완료되면(예를 들면, 통화 완료, 문자 송수신 완료 등) 자동으로 보조 화면(제2 LCD)이 사라지고 주 화면(제1 LCD)만이 남게되고, 주 화면(제1 LCD)에서 기능키가 동작된다.In addition, 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a main screen (first LCD) is being used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SMS, the main screen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to generate a sub screen (second LCD). When the menu key is applied only to the sub-screen (second LCD) without the screen switching function where the action by the key can be selectively applied, and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on the sub-screen (second LCD) is completed (for example, call completion, text) Comple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etc.) The auxiliary screen (second LCD) disappears automatically and only the main screen (first LCD) remains, and a function key is operated on the main screen (first LCD).

한편, 주 화면(제1 LCD) 및 보조 화면(제2 LCD)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메뉴키가 적용되는 화면에서 화면 분할 해제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화면은 사라지고 나머지 화면만 남게 된다. 예를 들면, 주 화면(제1 LCD)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화면 분할 해제키를 누르면 주 화면(제1 LCD)이 사라지고 보조 화면(제2 LCD)이주 화면이 된다. 반대로, 보조 화면(제2 LCD)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화면 분할 해제키를 누르면 보조 화면(제2 LCD)이 사라지고 주 화면(제1 LCD)이 그대로 상태를 유지한다.Meanwhile, when the main screen (first LCD) and the sub screen (second LCD)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when the screen split release key is pressed on the screen to which the menu key is applied, the corresponding screen disappears and only the remaining screen remains. For example, when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is pressed while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main screen (first LCD), the main screen (first LCD) disappears and the sub screen (second LCD) becomes the main screen. On the contrary, when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is pressed while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sub screen (second LCD), the sub screen (second LCD) disappears and the main screen (first LCD) remains intact.

상기 화면 분할 해제키는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될 수 있고, 기존 기능키에 부가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면 분할 해제키로서의 핫 키(hot key)를 "#3번" 등으로 할 수 있다.The screen splitting release key may be designated as a separate basic key on the terminal, or may be additionally assigned to an existing function key. For example, the hot key as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can be "# 3" or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LCD(주 화면)를 분할하여 추가된 제2 LCD(보조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주 화면(제1 LCD)과 보조 화면(제2 LCD)에서 선택적인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first LCD (main screen) to adjust the size of the added second LCD (secondary screen), and selects from the main screen (first LCD) and the sub-screen (second LCD). It is possible to operate by regular function key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LCD(주 화면)를 분할하여 추가된 제2 LCD(보조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고, 주 화면(제1 LCD)과 보조 화면(제2 LCD)에서 선택적인 기능키에 의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휴대폰 사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first LCD (main screen), adjusts the size of the added second LCD (secondary screen), and selects the main screen (first LCD) and the auxiliary screen (second LCD). By operating by a function key, a more efficient use of the mobile phone can be exhibited.

Claims (8)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LCD가 사용중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인터럽트시, 상기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2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2 LCD에 화면 초기 메뉴를 보여주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splitting the first LCD to generate a second LCD and displaying a screen initial menu on the second LCD when the call is interrupted to the mobile terminal in use by the first LCD;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상기 제1 LCD 혹은 상기 제2 LCD 상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controlling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to be selectively performed on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And 화면 분할 해제 요구에 따라,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는 상기 제1 LCD 혹은 상기 제2 LCD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되지 않은 LCD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selectively removing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on which the operation by the function key is performed and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unremoved LCD according to the screen split release request;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LCD가 사용중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 인터럽트시, 상기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2 LCD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2 LCD에 인터럽트 발생 사실을 알리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splitting the first LC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second LCD and informing the second LCD of an interrupt occurrence upon a call interrup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use by the first LCD;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상기 제2 LCD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controlling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to be performed on the second LCD; And 인터럽트 발생에 대한 상기 제2 LCD에서의 동작 수행 완료시, 상기 제2 LCD를 해제하고 상기 제1 LCD의 사용중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releasing the second LCD and maintaining the busy state of the first LCD upon completion of an operation on the second LCD for an interrupt occurrenc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단계 수행후에,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상기 제1 LCD 혹은 상기 제2 LCD 상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 4 단계; 및A fourth step of controlling, after performing the first step,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is selectively performed on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And 인터럽트 발생에 대한 상기 제2 LCD에서의 동작 수행 완료시, 화면 분할 해제 요구에 따라 상기 제2 LCD를 해제하고 상기 제1 LCD의 사용중 상태를 유지하는 제 5 단계A fifth step of releasing the second LCD and maintaining a busy state of the first LCD according to a screen split release request upon completion of an operation on the second LCD in response to an interrupt occurrence;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소정의 키에 따라, 상기 제2 LCD의 화면 크기를 제어하는 제 6 단계A sixth step of controlling the screen size of the second LC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능키는,The function key, 화면 분할 설정키, 화면 분할시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 가능한 화면 전환키, 화면 분할 해제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A screen splitting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plit screen setting key, a screen switch key for selecting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during split screen, and a split screen cancel ke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화면 전환키는,The screen switch key, 주 화면(상기 제1 LCD)이 분할되어 보조 화면(상기 제2 LCD)이 나타난 경우에, 각 화면(상기 제1 LCD 및 상기 제2 LCD)에서의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주 화면에서의 동작을 기본으로 하나 상기 화면 전환키 누름시 메뉴키에 의해 상기 보조 화면에서의 동작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When the main screen (the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ub screen (the second LCD) is displayed,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on each screen (the first LCD and the second LCD) is selectively performed. And based on the operation on the main screen but switching to the operation on the sub screen by a menu key when the screen switching key is press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화면 분할 해제키는,The screen split release key, 상기 주 화면 및 상기 보조 화면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주 화면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상기 화면 분할 해제키 누름시 상기 주 화면이 사라지고 상기 보조 화면이 주 화면이 되며, 상기 보조 화면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상기 화면 분할 해제키 누름시 상기 보조 화면이 사라지고 상기 주 화면이 그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Wh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exist at the same time, the main screen disappears and the sub screen becomes the main screen when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is pressed when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main screen. And when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is pressed when the key is operated, the sub screen disappears and the main screen remains intac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화면 분할 설정키는,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상기 주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는 도중 혹은 초기메뉴 상태(사용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 분할 설정키 누름시 상기 주 화면을 강제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보조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제어 방법.While the main screen is being used by the user (e.g. listening to a game or music) or when the user presses a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n an initial menu state (no use), the main screen is forcibly divided and the sub screen is displayed. Scree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appear.
KR1020030013127A 2003-03-03 2003-03-03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782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27A KR20040078276A (en) 2003-03-03 2003-03-03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27A KR20040078276A (en) 2003-03-03 2003-03-03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276A true KR20040078276A (en) 2004-09-10

Family

ID=3736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127A KR20040078276A (en) 2003-03-03 2003-03-03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827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37B1 (en) * 2005-10-11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specfic task at a specfic display under circumstances of multitasking and multi display
KR100827121B1 (en) * 2006-12-19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proceeding multi view display and multi view display method
WO2011108797A1 (en) * 2010-03-03 2011-09-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37B1 (en) * 2005-10-11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specfic task at a specfic display under circumstances of multitasking and multi display
KR100827121B1 (en) * 2006-12-19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proceeding multi view display and multi view display method
WO2011108797A1 (en) * 2010-03-03 2011-09-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66395B2 (en) 2010-03-03 2015-02-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25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JP4102383B2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KR20100032660A (en) A method for operating control i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apparatus thereof
EP178582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p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186250A (en) Radio telephone devi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KR100543302B1 (en) Selective reception method during multimedia wor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036544A (en) Portable terminal
KR100334796B1 (en) Keypad de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KR100889088B1 (en) Method for multitasking image display of portable terminal
WO2005055594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KR20040078276A (en)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3435B1 (en) Method for setting initial displa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11155463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40061645A (en) Frame split apparatus in mobile terminal, scheduling method using it
JP2003298499A (en) Mobile phone
JP2002300241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172070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ata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050051307A (en) Message creation method through screen divis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479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ower managing mode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40023148A (en) Short Message Display Method in Stand-by Mode of Mobile Phone
KR20010028824A (en) Sub-display tasking control device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560919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sub display device.
KR100395483B1 (en) Message automatic save at work and restoration method i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89831B1 (en) Method for executing start application in mobile station
JP2008165448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