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209A -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 - Google Patents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209A
KR20040070209A KR10-2004-7008804A KR20047008804A KR20040070209A KR 20040070209 A KR20040070209 A KR 20040070209A KR 20047008804 A KR20047008804 A KR 20047008804A KR 20040070209 A KR20040070209 A KR 20040070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adult
clothing
garment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오니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2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 A41D2400/482Carrying facilities for bab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아버지(1)가 성인복(100)을 착용하고, 아기 캐리어(200)에 의해 갓난 아기(2)를 뉘어안기(橫抱)로 안은 상태에서는 성인복(100)에 마련된 상부 접속구(104, 106)의 자형 버클(104b, 106b)에, 아기 캐리어(200)의 웅형 버클(209, 225)이 연결되고, 성인복(100)에 마련된 하부 접속구(107)의 링형상 버클(107b)에 아기 캐리어(200)의 클립(230)이 걸어맞추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장착시에 있어서 외관의 인상이 통상의 의복을 입고 있는 상태와 다름없는 아기띠로서의 기능을 갖는 패션성, 캐주얼성이 많고, 남성에게 있어서도, 전혀 위화감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ADULT GARMENT, CHILD GARMENT, AND PARENT-CHILD GARMENT}
종래의 육아에 사용되고, 아버지측이 장착하는 것으로서, 아기띠를 들 수 있다. 이 아기띠는 외관상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제공하고, 그 어깨 벨트에 아기를 지지하기 위한 아기 캐리어를 연결 가능하게 부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 아기띠의 형태는 일견하여 명확하게 아기띠를 장착하고 있는 것이 제삼자가 알 수 있는 것으로서, 아기 캐리어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버지측의 아기띠만을 장착한 상태로는 본인 및 주위의 제삼자에 대해 위화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근래, 육아에 있어서는 모친뿐만 아니라 부친의 육아 참가의 중요성이 제창되고 있지만, 현재 상태의 아기띠를 장착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기띠를 장착한 경우의 외관 때문에, 아기띠의 장착에 대해 저항감을 갖는 남성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본 발명은 육아에 사용되는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을 착용한 경우의 정면도.
도 2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의 정면도.
도 3은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 및 그 아기 캐리어를 성인복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
도 6은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를 접어갠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 및 아기 캐리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
도 9는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를 접어갠 상태의 종단면도.
도 10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아기측 의복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11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아기측 의복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
도 12는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아버지측 의복 및 아기 캐리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을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성인복의 내측에 장착하는 사용자 장착 부재의 개방 상태를 성인복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200)만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의 앞길의 표측을 도시한 확대도.
도 18은 사용자 장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사용자 장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
도 20은 사용자 장착 부재에 마련되는 분리 벨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만을 착용한 경우의 정면도.
도 22는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 및 그 아기 캐리어를 성인복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의 제 1 정면도.
도 24는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의 제 2 배면도.
도 25는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의 제 2 정면도.
도 26은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의 제 2 배면도.
도 27은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의 제 1 정면도.
도 28은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의 제 2 정면도.
도 29는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의 배면도.
도 30은 도 28중 XXX―XXX선 화살표 제 1 단면도.
도 31은 도 28중 XXX―XXX선 화살표 제 2 단면도.
본 발명은 장착시에 있어서, 외관의 인상이 통상의 의복을 입고 있는 상태와다름없고, 아기띠로서의 기능을 갖고, 패션성 및 캐주얼성이 많으며, 남성에게 있어서도 전혀 위화감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의거한 성인복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아기 캐리어를 이용하여 아기를 안는 것이 가능한 성인복으로서, 한 쌍의 소맷부리(袖口)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앞길(前身頃) 및 뒷길(後身頃)과, 상기 앞길 및 상기 뒷길에 마련되고, 상기 소맷부리의 상측을 통과하는 루프형상의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와, 상기 앞길 및 상기 뒷길의 하단부 부근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어깨 벨트 부재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와, 상기 아기 캐리어를 접속하기 위해, 상기 어깨 벨트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를 구비한다.
이 성인복에 의하면, 앞길 및 뒷길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는 통상의 의복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성인복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이 성인복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기 캐리어를 접속하여 아기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아기의 하중이 루프형상의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 및 이 어깨 벨트 부재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로 분산되게 되기 때문에, 앞길 및 뒷길에 아기의 하중이 가하여지는 일이 없고, 또한, 앞길 및 뒷길에 주름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아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앞길 및 뒷길에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벨트 부재의 루프의 위치를 안정시키고, 어깨 벨트 부재가 아버지의 어깨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허리 벨트 부재가 마련되고, 이 허리 벨트 부재에 어깨 벨트 부재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벨트 부재가 아버지의 신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허리 벨트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아기의 하중을 서포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깨 벨트 부재는 상기 앞길 및 상기 뒷길의 내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는 상기 앞길 및 상기 뒷길의 외면측에 마련된다. 이 성인복에 의하면, 어깨 벨트 부재는 외관상 나타나오지 않기 때문에, 성인복의 디자인, 패션성, 캐주얼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는 외면측에 마련됨에 의해, 아기 캐리어를 접속하는 때의 조작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기 캐리어를 접속하기 위해, 상기 허리 벨트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아기 캐리어 접속구를 또한 구비한다. 이 성인복에 의하면, 직접 제 2 아기 캐리어 접속구에 아기 캐리어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아기의 하중을 확실하게 허리 벨트 부재에 부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기 캐리어는 상기 아기 캐리어의 일단이 상기 허리 벨트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아기 캐리어의 타단에 상기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마련되고, 접어갬이 가능하게 해당 성인복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성인복에 의하면, 아기 캐리어의 미사용시에는 성인복에 접어개어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시 등에 있어서의 아기 캐리어를 휴대하고 다닐 때에, 별도로 아기 캐리어를 보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배제하고, 또한, 아기 캐리어를 사용하고 싶는 때에는 언제라도 즉석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허리 벨트 부재에 접속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마련되고, 접어갬이 가능하게 해당 성인복에 수납되는 아기엉덩이 받침을 갖는다.
이 성인복에 의하면, 신체 전체가 안정된 7 내지 8개월을 경과한 갓난아기에 있어서는 아기엉덩이 받침이 있으면, 충분히 안전하게 갓난아기를 서포트할 수 있고, 또한, 아기 캐리어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아기 캐리어의 미사용시에 있어서의 성인복의 패션성, 캐주얼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거한 아동복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성인복의 캐리어에 연결 지지되는 것이 가능한 아동복으로서, 상기 캐리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구와, 아기의 가랑이부를 지지하는 가랑이 받침부를 구비한다.
이 아동복에 의하면, 가랑이 받침부에 의해 아기의 하중을 확실하게 서포트하고, 안전한 상태로, 성인복의 캐리어에 연결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아동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아동복의 표면에 따라, 종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부착되는 띠 모양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띠 모양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이 아동복에 의하면, 접속구를 통하여 띠 모양 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아기의 하중을 띠 모양 부재에 의해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아동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띠 모양 부재는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세로띠를 포함한다. 이 아동복에 의하면, 아기의 하중이 가하여지는 방향에 따라 띠 모양 부재가 마련되어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아기의 하중을 띠 모양 부재에 의해 서포트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아동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랑이 받침부를 통과하고, 세로띠를 연결하는 가로띠를 또한 포함한다. 이 아동복에 의하면, 가장 하중이 집중하는 가랑이 받침부에 가로띠를 배치함으로써, 아기의 하중이 가로띠로부터 세로띠에 걸처서 가하여지는 것으로 되고, 더욱 효과적으로 아기의 하중을 띠 모양 부재에 의해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아동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띠 모양 부재는 해당 아기측 의복의 배면측에 마련된다. 이 아동복에 의하면, 띠 모양 부재에 하중이 가하여진 경우에는 아기를 배면측으로부터 아버지측으로 맞닿게 하는 힘이 작용여, 아기가 아버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기에게 안심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아동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구를 수납하기 위한 포켓을 또한 구비한다. 이 아동복을 캐리어로서가 아니라, 통상의 아동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접속구를 포켓에 수납하여 둠으로써, 접속구가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아동복으로서의, 패션성, 캐주얼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거한 부자복에 있어서는 아버지가 착용하기 위한 아버지측 의복과, 아기가 착용하기 위한 아기측 의복과, 상기 아기측 의복을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접속 수단을 구비한다. 이 부자복에 의하면, 아버지 및 아기가 함께, 의복으로서의 감각으로 착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개별적으로도, 통상의 의복으로서의 패션성, 캐주얼성을 즐길 수 있고, 한편으로 필요에 응하여, 아기띠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부자복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부자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버지측 의복은 한 쌍의 소맷부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앞길 및 뒷길과, 상기 앞길 및 상기 뒷길에 마련되고 상기 소맷부리의 상측을 통과하는 루프형상의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와, 상기 앞길 및 상기 뒷길의 하단부 부근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어깨 벨트 부재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와, 상기 아기측 의복을 접속하기 위해 상기 어깨 벨트 부재에 연결되는 아기 캐리어 접속구를 갖는다.
이 부자복의 아버지측 의복에 의하면, 앞길 및 뒷길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 통상의 의복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아버지측 의복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기측 의복을 접속하여 아기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아기의 하중이 루프형상의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 및 이 어깨 벨트 부재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로 분산되어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앞길 및 뒷길에 아기의 하중이 가하여지는 일이 없고, 또한, 앞길 및 뒷길에 주름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아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앞길 및 뒷길에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벨트 부재의 루프의 위치를 안정시키고, 어깨 벨트 부재가 아버지의 어깨로부터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허리 벨트 부재가 마련되고, 이 허리 벨트 부재에 어깨 벨트 부재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벨트 부재가 아버지의 신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허리 벨트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아기의 하중을 서포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자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기측 의복은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구와, 아기의 가랑이부를 지지하는 가랑이 받침부를 갖는다. 이 부자복의 아기측 의복에 의하면, 가랑이 받침부에 의해 아기의 하중을 확실하게 서포트하고, 안전한 상태로, 아버지측 의복의 캐리어에 연결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자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대해, 상기 아기측 의복은 그 전체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부자복에 의하면, 각각 독립한 의복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부자복으로서의 범용성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부자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기측 의복은 적어도 그 가랑이 받침부를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남겨 두고, 다른 영역을 떼어냄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부자복에 의하면, 아버지측 의복에 항상 아기측 의복이 존재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아기를 안을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언제라도 아기띠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부자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버지측 의복과 상기 아기측 의복은 의복 옷감이 같다. 이로써, 아버지측 의복과 아기측 의복의, 외관상의디자인, 입는 자에게 주는 인상의 통일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거한 성인복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장착하고, 사용자측 연결구를 갖는 사용자 장착 부재, 및 상기 사용자측 연결구에 대해 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된 갓난아기측 연결구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장착 부재와 함께 갓난아기를 지지하기 위한 갓난아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갓난아기를 안을 때에 착용되는 성인복으로서, 상기 사용자측 연결구를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시키고, 이 사용자측 연결구와, 상기 갓난아기측 연결구를 결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1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 성인복에 의하면, 아버지가 사용자 장착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 성인복을 착용한 경우에도, 제 1 개구부로부터, 갓난아기 지지 부재의 갓난아기측 연결구와 연결시키기 위한 사용자측 연결구를 바깥쪽으로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보통의 성인복의 양상을 나타내면서, 성인복을 착용한 채로 갓난아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갓난아기를 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관상 통상의 의복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인복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이 성인복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의 블루종(blouson) 등으로서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개구부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로써, 상황에 응하여 개구부의 개폐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장착 부재는 사용자의 허리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앞측 부분에서 서로 탈착 가능한 분리 벨트를 포함하는 허리 벨트 부재를 가지며, 해당 성인복은 상기 분리 벨트를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시키고, 해당 성인복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벨트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2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허리부에 있어서도, 성인복의 외측에, 허리 벨트 부재의 일부를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허리 벨트 부재를 이용한, 갓난아기 지지 부재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당 성인복의 외면에는 해당 성인복에 대해 탈착 가능한 피복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피복 부재에 덮히는 영역에 마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복 부재는 상단부가 앞길에 고정되는 포켓이다. 이로써, 허리 벨트 부재의 대부분이 포켓에 의해 덮히고, 성인복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고, 패션성,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당 성인복은 상기 사용자 장착 부재를 그 내면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갖는다. 이로써, 사용자 장착 부재를 성인복에 미리 연결시켜 둠으로써, 성인복과 사용자 장착 부재를 동시에 착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 장착 부재를 성인복으로부터 떼어 놓음으로써, 성인복만으로의 사용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의거한 성인복에 있어서는 어른이 착용하는 성인복으로서, 앞길의 좌우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고,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여 관통하는 한 쌍의 제 1 슬릿을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슬릿은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슬릿은 종방향에 복수 마련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갓난아기를 안는 경우에, 이 성인복의 내측에 사용자가 사용자측 연결구를 갖는 사용자 장착 부재를 장착한 경우, 제 1 슬릿을 이용하여, 사용자측 연결구를 바깥쪽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성인복을 착용한 채로 갖난아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갖난아기를 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관상 통상의 의복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인복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이 성인복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의 블루종 등으로서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앞길의 좌우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고,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여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 슬릿을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슬릿은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허리부에 있어서도, 성인복의 외측에, 허리 벨트 부재의 일부를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허리 벨트 부재를 이용한, 갓난아기 지지 부재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릿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로써, 상황에 따라 개구부의 개폐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성인복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당 성인복의 외면에는 해당 성인복에 대해 탈착 가능한 피복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슬릿은 상기 피복 부재에 덮히는 영역에 마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복 부재는 상단부측이 앞길에 고정되는 포켓이다. 이로써, 허리 벨트 부재의 대부분이 포켓에 의해 덮히고, 성인복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고, 패션성,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에서의 성인복, 아동복, 부자복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예)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거한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에 관해 설명하다. 또한, 도 1은 남성이 본 실시예에서의 성인복(100)을 착용한 경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성인복(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성인복(100)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아기 캐리어(200) 및 그 아기 캐리어(200)를 성인복(10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성인복(100))
우선, 도 1부터 도 2를 참조하면, 이 성인복(100)의 형태는 통상의 와이셔츠, 재킷, 블루종 등의 의복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앞을 여는 것이 가능한 앞길(101a, 101b)과, 이 앞길(101a, 101b)과 함께 소맷부리(103a, 103a)를 형성하는 뒷길(102)과, 소매(103, 10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성인복(100)의 앞길(101a, 101b)의 전면측의 흉부 부근에는 아기 캐리어(200)(후술)를 접속하기 위한 상부 접속구(104, 106)와, 하부 접속구(105, 107)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접속구(104, 106)에는 각각 자형(雌型) 버클(104b, 106b) 및 이 자형버클(104b, 106b)을 지지하기 위한 벨트(104a, 10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 접속구(105, 107)에는 각각 링형상 버클(105a, 107a) 및 이 링형상 버클(105a, 107a)을 지지하기 위한 벨트(105a, 107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성인복(100)의 앞길(101a, 101b)의 전면측의 허리부 부근에는 앞측에 있어서, 웅형(雄型) 버클(109) 및 자형 버클(111)에 의해 탈착 가능한 허리 벨트(108, 110)가 부착되어 있다. 허리 벨트(108)의 복부의 앞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아기 캐리어 접속구의 기능을 내재시킨 아기 캐리어(140, 160)가 마련되는데, 이 아기 캐리어(140, 160)의 상세 구조 및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제 2 및 3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성인복(100)의 내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의 내면측에 마련되고, 소맷부리(103a)의 상측을 통과하는 루프형상의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124, 125)와,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의 하단부 부근 영역에 마련되고, 어깨 벨트 부재(124, 125)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벨트(106a, 107a)는 영역(X1)에서, 어깨 벨트 부재(124)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104a, 105a)는 영역(X2)에서, 어깨 벨트 부재(12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허리 벨트(108)는 영역(Y1)에서, 허리 벨트 부재(122)에 연결되고, 허리 벨트(110)는 영역(Y2)에서, 허리 벨트 부재(123)에 연결되어 있다.
(아기 캐리어(200))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 아기 캐리어(200)는 배면 지지 부재(201),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210) 및 복부 지지 부재(213)를 구비하고, 전체로서 세로가 긴 띠 모양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배면 지지 부재(201)의 머리부측에는 머리부 보호 패드(227)가 마련되고, 배면 지지 부재(201)의 상단부 양측에는 측부 지지 부재(220, 221)가 마련되어 있다. 측부 지지 부재(220, 221)에는 벨트 부재(222, 223)가 마련되고, 이 벨트 부재(222, 223)의 선단부에는 웅형 버클(209, 225)이 연결되어 있다.
배면 지지 부재(201)의 하단부 양측에는 귀(耳) 모양 부재(219)가 마련되고, 이 귀 모양 부재(119)에는 복부 지지 부재(213)로부터 측면을 향하여 늘어나는 배 벨트(215)에 마련되는 클립(217)을 걸어맞추기 위한 링 부재(232)가 마련되어 있다.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210)의 외측에는 링 부재(234)를 통과하는 띠 모양 부재(228)가 마련되고, 이 띠 모양 부재(228)의 선단부에는 벨트를 통하여 클립(230)이 부착되어 있다.
(사용 상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버지(1)가 상기 성인복(100)을 착용하고, 아기 캐리어(200)에 의해 갓난아기(2)를 뉘어안기(橫抱)로 안은 상태에서는 성인복(100)에 마련된 상부 접속구(104, 106)의 자형 버클(104b, 106b)에, 아기 캐리어(200)의 웅형 버클(209, 225)이 연결되고, 성인복(100)에 마련된 하부 접속구(107)의 링형상 버클(107b)에 아기 캐리어(200)의 클립(230)이 걸어맞추어 있다. 또한, 갓난아기(2)를 안는 방향이 반대인 경우는 클립(230)은 하부 접속구(105)의 링형상 버클(105b)에 걸어맞추게 된다.
(작용·효과)
상기 실시예에서의 부자복에 있어서의 성인복(100)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 통상의 의복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성인복(100)을 성인복으로서,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이 성인복으로서 이 성인복(100)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깨 벨트 부재(124, 125)는 앞길(101a, 101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나타나오지 않기 때문에, 의복의 디자인, 패션성, 캐주얼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부 접속구(104, 106) 및 하부 접속구(105, 107)는 앞길(101a, 101b)의 외측에 노출하는 외면측에 마련됨에 의해, 아기 캐리어를 접속하는 때의 조작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 부재(124, 125),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 상부 접속구(104, 106) 및 하부 접속구(105, 107)를 배치함에 의해, 아기의 하중은 어깨 벨트 부재(124, 125) 및 이 어깨 벨트 부재(124, 125)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로 분산되게 되기 때문에,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에 아기의 하중이 가하여지는 일이 없고, 또한,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에 주름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아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에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124, 12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벨트 부재(124, 125)의 루프의 위치를 안정시키고, 어깨 벨트 부재(124, 125)가 아버지의 어깨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가 마련되고, 이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에 어깨 벨트 부재(124, 125)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벨트 부재(124, 125)가 아버지의 신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에 의해 확실하게 아기의 하중을 서포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접속구(104, 106) 및 하부 접속구(105, 107)는 앞길(101a, 101b)의 외측에 노출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미사용시에는 수납하기 위한 포켓 등의 수용 영역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 접속구(104, 106) 및 하부 접속구(105, 107)를 앞길(101a, 101b)의 내측에 배치하고, 앞길(101a, 101b)을 양측에 개방시킨 상태에서, 아기 캐리어(200)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 캐리어(200)에 있어서, 갓난아기를 뉘어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아기 캐리어(200)에 여러가지의 접속구를 부가함에 의해, 세워안기(縱抱)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부 접속구(104, 106) 및 하부 접속구(105, 107)를 뒷길(102)측에 마련함으로써, 업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 2의 실시예)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거한 제 2의 실시예에서의 부자복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성인복은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성인복(100)을 사용하는 것이고, 특징은 아기 캐리어(140)의 구조에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아기 캐리어(14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다. 또한, 도 5는 본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140)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6은 아기 캐리어(140)를 접어갠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서의 성인복(100) 및 아기 캐리어(14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기 캐리어(140)의 구조)
본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140)는 허리 벨트(108)가 통과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도록, 복부 패드(141)와, 루프 부재(142)와, 이 루프 부재(142)를 개략 덮는 커버(143)를 갖는다. 커버(143)의 내측의 복부 패드(141)에는 아기의 사타구니부를 지지하는 가랑이 받침부(146)와, 아기를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배면 서포트부(147)와, 아기를 양 측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측면 서포트부(148, 148)를 갖는 아기 지지 부재(149)가 접속되어 있다. 이 아기 지지 부재(149)는 복부 패드(141)에 고정적으로 부착하여도 상관없고, 또한, 파스너 등의 접속구를 이용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기 지지 부재(149)의 가랑이 받침부(146)와 반대측에는 한 쌍의 접속구(150, 15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접속구(150, 151)는 각각, 벨트(150a, 151a)와, 이 벨트(150a, 151a)에 연결되는 웅형 버클(150b, 151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아기 지지 부재(149)의 가랑이 받침부(146)측에는 갓난아기의 복부에 배치되는 복부 벨트(154, 156)가 부착되고, 이 복부 벨트(154, 156)의 상호간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웅형 버클(155) 및 자형 버클(15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면 서포트부(147)의 외면측(갓난아기가 접하지 않는 측)에는 커버(143)에 마련된 계합 훅(144, 145)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계합 훅(152, 15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아기 캐리어(140)는 도 6의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 지지 부재(149)를 접어갬에 의해, 루프 부재(142)와 커버(143)와의 사이에 수납 가능하다.
(사용 상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 캐리어(140)의 사용 상태에서는 아기 캐리어(140)에 마련되는 웅형 버클(150b, 151b)을 성인복(100)에 마련된 상부 접속구(104, 106)의 자형 버클(104b, 106b)에 접속시킴에 의해, 갓난아기(2)를 아기 지지 부재(149)에 의해 서포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작용·효과)
이상, 본 실시예에는 상기 제 1의 실시예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기 캐리어(140)는 허리 벨트(108)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아기(2)의 하중을 확실하게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에 부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기 캐리어(140)의 미사용시에는 허리 벨트(108)측에 접어개어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시 등에 있어서의 아기 캐리어(140)를 갖고다닐 때에, 별도로 아기 캐리어를 보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배제하고, 또한, 아기캐리어(140)를 사용하고 싶는 때에는 언제라도 즉석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의 실시예)
다음에,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거한 제 3의 실시예에 있어서 부자복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버지측 의복은 상기 제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성인복(100)을 사용하는 것이고, 특징은 아기 캐리어(160) 및 아동복으로서의 아기측 의복(170)의 구조에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아기 캐리어(160) 및 아기측 의복(17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본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160)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9는 아기 캐리어(160)를 접어갠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의 아기측 의복(170)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의 아기측 의복(170)의 구조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의 아버지측 의복(100) 및 아기 캐리어(14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기 캐리어(160)의 구조)
본 실시예에서의 아기 캐리어(160)는 상기 아기 캐리어(140)와 마찬가지로, 허리 벨트(108)가 통과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도록, 복부 패드(141)와, 루프 부재(142)와, 이 루프 부재(142)를 개략 덮는 커버(143)를 갖는다. 커버(143)의 내측의 복부 패드(141)에는 아기의 사타구니부를 지지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랑이 받침부(161)가 접속되어 있다. 이 가랑이 받침부(161)는 복부 패드(141)에 고정적으로 부착하여도 상관없고, 또한, 파스너 등의 접속구를 이용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랑이 받침부(161)에 다른쪽 단측에는 벨트(162, 164)가 마련되고, 이 벨트(162, 164)의 선단에는 웅형 버클(163, 165)이 연결되어 있다. 벨트(162, 164)는 가랑이 받침부(161)의 외면측(갓난아기가 접하지 않는 측)에서 교차하도록 복부 패드(141)측에 까지 늘어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아기 캐리어(160)는 도 9의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랑이 받침부(161)를 접어갬에 의해, 루프 부재(142)와 커버(143)와의 사이에 수납 가능하다. 또한, 루프 부재(142)와 커버(143)와의 사이에는 상호간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계합 훅(144, 145, 152, 153)이 마련되어 있다.
(아기측 의복(170))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아기측 의복(17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이 아기측 의복(170)은 전면 옷감(171), 배면 옷감(172), 배면 옷감(172)의 상단부로부터 전면 옷감(171)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어깨 벨트(173, 176), 이 어깨 벨트(173, 176)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훅(174, 177) 및 전면 옷감(171)에 부착되고 훅(174, 177)을 걸어맞추는 버튼(175, 178)을 가지며, 전체로서는 소위 오버롤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배면 옷감(172)의 내면측에는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세로띠(179, 181)가 배면 옷감(172)에 따라 꿰매져 있고, 이 세로띠(179, 181)의 선단부에는 클립(180, 18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로띠(179, 181)는 배면 옷감(172)의 표면이라면, 배면 옷감(172)의 내외 양측의 어느쪽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옷감(171)과 배면 옷감(172)은 상호간에 마련된 버튼(181a, 181b)에 의해, 하반신부 영역이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세로띠(179, 181)의 하방 단부는 아기의 사타구니 영역(도면중 X 영역)까지 늘어나고,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가로띠(18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띠(179, 181) 및 가로띠(183)는 1개의 띠 모양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 옷감(172)의 외면측에는 접속구인 세로띠(179, 181) 및 클립(180, 182)을 수납하기 위한 포켓(18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버지측 의복(100)과 아기측 의복(170)과의 의복 옷감, 색, 상태(柄), 무늬 등이 같아지도록, 통일한 디자인이 시행되어 있다.
(사용 상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 캐리어(160) 및 아기측 의복(170)의 사용 상태에서는 우선, 아기 캐리어(160)에 마련된 웅형 버클(163, 165)을 아버지측 의복(100)에 마련된 상부 접속구(104, 106)의 자형 버클(104b, 106b)에 접속시킨다. 또한, 갓난아기(2)를 아기 캐리어(16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아기측 의복(170)에 마련된, 클립(180, 182)을 아버지측 의복(100)에 마련된 하부 접속구(105, 107)의 링형상 버클(105b, 107b)에 걸어맞춘다. 이로써, 아기 캐리어(160) 및 아기측 의복(170)에 의한 갓난아기(2)의 서포트가 가능해진다.
(작용·효과)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2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한, 가랑이 받침부를 갖는 아기 캐리어(160)에 의해 아기의 하중을 확실하게 서포트하고, 안전한 상태로 아버지측 의복(100)의 캐리어에 연결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아기측 의복(170)에는 아기의 하중이 가하여지는 방향에 따라 세로띠(179, 181)가 마련되어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아기의 하중을 세로띠(179, 181)에 의해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장 하중이 집중하는 가랑이 받침부에 가로띠(183)를 배치함으로써, 아기의 하중이 가로띠(183)로부터 세로띠(179, 181)에 걸쳐서 가하여지는 것으로 되고, 더욱 효과적으로 아기의 하중을 띠 모양 부재에 의해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로띠(179, 181)를 아기측 의복의 배면측에 마련함에 의해, 세로띠(179, 181)에 하중이나 가하여진 경우에는 아기(2)를 배면측으로부터 아버지측(1)으로 맞닿게 하는 힘이 작용하여, 아기(2)가 아버지(1)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기(2)에 안심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기측 의복에서도, 오버롤 타입을 채용함에 의해, 아버지 및 아기가 함께, 의복으로서의 감각으로 착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개개로도, 통상의 의복으로서의 패션성, 캐주얼성을 즐길 수 있고, 한편으로 필요에 응하여, 아기띠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부자복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의 실시예)
다음에, 도 13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거한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에 관해 설명하다. 또한, 도 13은 아버지(1)가 본 실시예에서의성인복(200)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성인복(200)을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아버지(1)가 성인복(200)의 내측에 장착하는 사용자 장착 부재(400)의 개방 상태를 성인복(200)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성인복(200)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성인복(200)만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성인복(200)의 앞길의 표측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8은 사용자 장착 부재(400)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9는 사용자 장착 부재(400)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사용자 장착 부재(400)에 마련되는 분리 벨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1은 아버지(1)가 성인복(200)만을 착용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성인복(200)의 구조)
우선,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성인복(200)은 앞길(302, 303)이 개방된 블루종 타입이다. 앞길(302, 303)의 상방 부분에는 후술하는 사용자 장착 부재(400)에 마련된 사용자측 연결구(404, 405, 406, 407)(도 18 참조)를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로서, 앞길(302)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릿(304, 305)이 마련되고, 앞길(303)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릿 슬릿(306, 307)이 마련된다. 슬릿(304, 305, 306, 307)의 각각은 개략 횡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릿(304, 305, 306, 307)에는 그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기 위한 파스너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파스너에 한하지 않고, 버튼, 매직 테이프(R)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개방 상태인 채로도 상관없다. 또한, 슬릿(304, 305, 306, 307)은 상하에 2단 마련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아기캐리어 측에 대응하여 그 수량은 결정된다.
또한, 앞길(302, 303)의 하방 부분에는 후술하는 사용자 장착 부재(400)에 마련되는 분리 벨트(410, 412)(도 18 참조)를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로서, 앞길(302)에는 종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되는 슬릿(308)이 마련되고, 앞길(303)에는 종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되는 슬릿(309)이 마련된다.
뒷길(3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사용자 장착 부재(400)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의, 버튼(311, 312, 313, 314)이 상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성인복(200)은 앞길(302, 303)의 앞측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308, 309)을 덮도록 피복 부재로서의 포켓(315, 316)이 마련되어 있다. 이 포켓(315, 316)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316)의 상단부만이 앞길(303)에 연결되고, 포켓(316)이 상방을 향하여 열림에 의해, 슬릿(309)이 노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앞길(303)과 포켓(316)과의 사이에는 포켓(316)을 앞길(303)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버튼(318, 319)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318, 319) 이외에도, 파스너, 매직 테이프(R) 등의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서는 편의상 앞길(303)측만을 설명하였지만, 앞길(302)측에도 같은 구성이 채용된다.
(사용자 장착 부재(400)의 구조)
다음에,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사용자 장착 부재(40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이 사용자 장착 부재(400)는 사용자인 아버지(1)에게 장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사용자용 등(背中) 패드 부재(401)와, 이 사용자용 등 패드 부재(40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402, 403)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 장착 부재(400)의 하단부 영역에, 아버지(1)의 허리부에 장착되는 허리 벨트가 마련되어 있다.
어깨 벨트(402)의 외면에는 사용자측 연결구로서의 자형 버클(404)과, 이 자형 버클(404)의 하방에 마찬가지로 사용자측 연결구로서의 루프(40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어깨 벨트(403)의 외면에서도, 사용자측 연결구로서의 자형 버클(406)과, 이 자형 버클(406)의 하방에 마찬가지로 사용자측 연결구로서의 루프(407)가 마련되어 있다.
허리 벨트는 사용자용 등 패드 부재(401)의 하단부로부터 고리형상으로 배치되는 허리 패드(408, 409) 및 이 허리 패드(408, 409)의 외면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앞측 부분에 있어서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 벨트(410, 412)를 갖는다. 분리 벨트(410)의 선단 부분에는 자형 버클(411)이 마련되고, 분리 벨트(412)의 선단 부분에는 웅형 버클(413)이 마련되어 있다. 분리 벨트(410, 412)를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한 쌍의 버클을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다른 탈착 가능한 연결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용 등 패드 부재(401)의 외면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착 부재(400)를 성인복(200)의 뒷길(301)의 내측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뒷길(301)의 내측에 마련된 버튼(311, 312, 313, 314)의 각각에 걸어맞추는 버튼(414, 415, 416, 41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버튼(311 내지 314, 414 내지 417)에 관해서는 성인복(200)의 내측에 사용자 장착 부재(400)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매직 테이프(R), 파스너 등의 채용이 가능하다.
(성인복(200)의 착용 상태)
아버지(1)가 사용자 장착 부재(400)를 장착한 경우의 성인복(200)의 착용 상태를 도 13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인복(200)측에 마련된 슬릿(304)으로부터 자형 버클(404)이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하도록 인출되고, 슬릿(305)으로부터 루프(405)가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하도록 인출된다. 또한, 슬릿(306)으로부터도 자형 버클(406)이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하도록 인출되고, 슬릿(307)으로부터 루프(407)가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하도록 인출된다.
허리 벨트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패드(408) 및 분리 벨트(410)가 포켓(315)에 덮히도록 마련된 슬릿(308)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하도록 인출되고, 허리 패드(409) 및 분리 벨트(412)가 포켓(316)에 덮히도록 마련된 슬릿(308)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하도록 인출된다. 분리 벨트(410)의 선단 부분에 마련되는 자형 버클(411)과, 분리 벨트(412)의 선단 부분에 마련되는 웅형 버클(413)은 성인복(200)의 외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허리 벨트 부재를 이용한, 갓난아기 지지 부재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작용·효과)
이와 같이 하여, 성인복(200)의 내측에 사용자 장착 부재(400)를 장착한 경우에도, 상기 도 4, 도 7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갓난아기의 안는 형태를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관상 통상의 의복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인복(200)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이 성인복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블루종 등으로서 착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 장착 부재(400)를 장착한 경우에 있어서도, 허리 벨트 부재의 대부분이 포켓(315, 316)에 의해 덮히고, 성인복(200)의 외관을 해치는 일이 없고, 패션성,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5의 실시예)
다음에, 도 22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거한 제 5의 실시예에서의 부자복에 관해 설명하다. 또한, 도 22는 남성이 본 실시예에서의 성인복(600)에 의해 아기 캐리어(700)를 착용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23 내지 도 26은 성인복(6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7 내지 도 31은 아기 캐리어(7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성인복(600))
우선, 도 23부터 도 26을 참조하면, 이 성인복(600)의 형태는 상술한 블루종 타입과는 달리, 소매가 없는 베스트 타입의 형태를 갖고 있다. 앞이 열림이 가능한 앞길(601a, 601b)과, 이 앞길(601a, 601b)과 함께 소맷부리(603a, 603a)를 형성하는 뒷길(602)을 구비하고 있다. 도 2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성인복(600)에서는 앞길(601a, 601b)의 하단과 뒷길(602)의 하단은 분리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연결시키는 구성의 채용도 가능하다.
앞길(601a, 601b)의 전면측으로부터 뒷길(602)에 걸쳐서, 어깨 벨트 부재(624, 62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앞길(601a, 601b)의 하단으로부터 뒷길(602)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허리 벨트 부재(621)가 마련되어 있다. 뒷길(602)의 하단부에서는 허리 벨트 부재(621)와 어깨 벨트 부재(624, 625)가 영역(X1, X2)에서 연결하도록 상호간에 꿰매여저 있다.
어깨 벨트 부재(624, 625)의 전면측의 흉부 부근에는 아기 캐리어(700)(후술)를 접속하기 위한, 자형 버클(604, 606)과, 링형상 버클(605, 607)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앞길(601a, 601b)의 하단에는 루프 영역(S1, S2)이 마련되고, 허리 벨트 부재(621)는 이 루프 영역(S1, S2)을 통과하도록 배설된다. 또한, 앞길(601a, 601b)의 하단부에서의 어깨 벨트 부재(624, 625)의 외측에는 루프 영역(S3, S4)을 형성하는 보조 벨트(608, 610)가 마련되고, 허리 벨트 부재(621)는 이 루프 영역(S3, S4)도 통과하도록 배설된다.
허리 벨트 부재(621)의 양 단부에는 웅형 버클(609) 및 자형 버클(611)이 마련되고, 신체 앞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허리 벨트 부재(621)의 복부의 앞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아기 캐리어 접속구의 기능을 내재시킨 접속구(650)가 마련되는데, 이 접속구(650)의 상세 구조 및 기능에 관해서는 제 2 및 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성인복(600)에는 앞길(601a, 601b) 및 뒷길(602)에 대해 스냅 버튼(640)에 의해 탈착 가능한 후드(630)가 마련되어 있다. 앞길(601a, 601b) 및뒷길(602)의 상단부에는 한쪽의 스냅 버튼(640a)이 마련되고, 후드(630)의 하단부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다른쪽의 스냅 버튼(640b)이 마련되어 있다.
(아기 캐리어(700))
다음에,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아기 캐리어(700)는 배면 지지 부재(701),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710), 복부 지지 부재(713) 및 등부 지지 부재(718)를 구비하고, 전체로서 세로가 긴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배면 지지 부재(701)의 양측에는 측부 지지 부재(702, 703)가 마련되어 있다. 측부 지지 부재(702, 703)의 각각의 양측의 상단 부분에는 연장부(704, 705)가 마련되고, 이 연장부(704, 705)에는 상방으로 늘어나도록 벨트 부재(706, 707)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부재(706, 707)의 선단 부분에는 벨트 부재(706, 707)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웅형 버클(708, 709)이 연결되어 있다.
배면 지지 부재(701)의 외면부에는 그 상부가 개방 상태로 되는 주머니 모양 부재(701a)가 마련되어 있다. 배면 지지 부재(701)와 주머니 모양 부재(701a)와의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후술하는 띠 모양 지지 부재(728)가 수납 가능하게 된다(도 22, 도 23 참조). 또한, 주머니 모양 부재(701a)의 외면의 양 측부에는 링형상 부재(731, 73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710)는 갓난아기의 가랑이부의 형상에 따르도록 양측이 내측으로 잘라 들어간 곡면 영역(711a, 7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 부재(706, 707)는 연장부(704, 705)의 영역(X5, X6)에서 강고하게 고정됨과 함께, 측부 지지 부재(702, 703)의 외측에 따라 배치되고, 또한, 이 사타구니부 지지부재(710)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된 후, 복부 지지 부재(713)의 선단부까지 배설된다. 또한,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710)의 외면부에는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710)와의 사이에 통과 영역을 형성하도록 루프(735)가 부착되어 있다.
복부 지지 부재(713)의 선단 부분에는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관통로(714)가 마련되고, 이 관통로(714)의 내부에는 벨트(715)가 배치되고, 이 벨트(715)의 양측의 선단 부분에는 벨트(715)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훅 부재(716, 7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벨트(715)는 관통로(714) 내의 영역(X9)에서 바느질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710)와 복부 지지 부재(713)와의 경계 영역의 외면부에는 파스너 레일(733)이 마련되고, 이 파스너 레일(733)에는 파스너(733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파스너 레일(733)의 부근에는 계합 훅(734)이 마련되어 있다.
등부(背中部) 지지 부재(718)는 상부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연장부(521, 522)가 마련되고, 이 연장부(720, 721)에는 루프 부재(522, 523)가 각각 영역(X7, X8)에서 강고하게 꿰매여 고정되어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루프 부재(522, 523)에는 연장부(704, 705)로부터 늘어나는 벨트 부재(706, 707)가 각각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루프 부재(522, 523)가 마련되는 연장부(720, 721)는 등부 지지 부재(718)에 대해 세워지게 되고, 갓난아기의 측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등부 지지 부재(718)의 상단부에는 그 디자인이 성인복(600)에 마련되는 후드(630)와 같은 후드(7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8 및 도 30을 참조하면, 등부 지지 부재(718)는 심재(芯材)로서의 상부 패드 부재(718b) 및 하부 패드 부재(718c)를 구비하고, 상부 패드 부재(718b)에 대해, 하부 패드 부재(718c)는 내측(후술하는 띠 모양 지지 부재(728)가 마련되는 측이란 반대측)을 향하여 굴곡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부 패드 부재(718b) 및 하부 패드 부재(718c)의 표면은 통풍성이 있는 쿠션 부재로 덮이어 있다.
상부 패드 부재(718b) 및 하부 패드 부재(718c)는 배면 지지 부재(701)와 주머니 모양 부재(701a)와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 내에, 하부 패드 부재(718c)가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고, 배면 지지 부재(701)와 하부 패드 부재(718c)와의 사이에는 면 파스너(701b)가 마련됨에 의해, 배면 지지 부재(701)와 하부 패드 부재(718c)와의 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등부 지지 부재(718)의 외측에는 등부 지지 부재(718)의 상단부로부터 사타구니부 지지 부재(710)에 걸쳐서 띠 모양 지지 부재(728)가 마련되어 있다. 띠 모양 지지 부재(728)는 그 상단부만이 등부 지지 부재(71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패드 부재(718b)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사용자인 아버지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도 22 참조), 공간(728a)이 형성되도록, 띠 모양 지지 부재(728)가 등부 지지 부재(718)에 부착되어 있다.
띠 모양 지지 부재(728)의 하방 선단 부분에는 벨트(729)가 부착되고, 이 벨트(729)의 선단 부분에는 벨트(729)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훅 부재(730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띠 모양 지지 부재(728)의 미사용시에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지지 부재(701)와 주머니 모양 부재(701a)와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 내로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등부 지지 부재(718)의 상단부에는 갓난아기의 머리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후드(740)가 마련되고, 유연한 쿠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740)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는 위치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한 위치가 선택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사용 상태)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친(1)이 상기 성인복(600)을 착용하고, 아기 캐리어(700)에 의해 갓난아기(2)를 대면하여 세워 안도록 안는 상태에서는 성인복(600)에 마련된 자형 버클(604, 606)에, 아기 캐리어(700)의 웅형 버클(708, 709)이 연결된다. 또한, 성인복(600)에 마련된 접속구(650)에 파스너 레일(733)에 걸어맞춤과 함께, 계합 훅(734)을 연결한다.
(작용·효과)
상기 실시예에서의 부자복에서의 성인복(600)에 있어서도, 베스트 타입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길(601a, 601b) 및 뒷길(60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 통상의 베스트와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성인복(600)을 성인복으로서,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성인복(600)에 마련되는 후드(630)의 디자인과, 아기 캐리어(700)에 마련되는 후드(740)의 디자인과의 통일화를 도모함에 의해, 부자복 전체로서의 통일감이 생기고,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남성이라도 저항없이 이 성인복으로서 이 성인복(600)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 부재(624, 625), 허리 벨트 부재(621), 자형 버클(604, 606) 및 링형상 버클(605, 607)을 배치함에 의해, 아기의 하중은 어깨 벨트 부재(624, 625) 및 이 어깨 벨트 부재(624, 625)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621)로 분산되게 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에서 아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허리 벨트 부재(621)에 어깨 벨트 부재(624, 625)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벨트 부재(624, 625)가 아버지의 신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허리 벨트 부재(621)에 의해 확실하게 아기의 하중을 서포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 캐리어(700)에 있어서, 갓난아기를 세워서 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갓난아기를 뉘어 안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에 나타낸 성인복과 아기 캐리어를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성인복(친측 의복)(100, 200, 600)은 앞길이 양쪽 개방형의 것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트레이너, 스웨터 등과 같이, 앞길이 열리지 않는 타입의 의복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금회에 개시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한정적인 해석의 근거로 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만에의해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거하여 확정된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거한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에 의하면, 외관상 통상의 의복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 그 자체의 패션성 및 캐주얼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특히, 남성이라도 저항없이 이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을 착용할 수 있고, 남성의 육아 참가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1)

  1. 사용자(1)가 아기 캐리어(200, 700)를 이용하여 아기를 안는 것이 가능한 성인복(100, 600)으로서,
    한 쌍의 소맷부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과,
    상기 앞길(101a, 101b) 및 상기 뒷길(102)에 마련되고, 상기 소맷부리의 상측을 통과하는 루프형상의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124, 125)와,
    상기 앞길(101a, 101b) 및 상기 뒷길(102)의 하단부 부근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어깨 벨트 부재(124, 125)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와,
    상기 아기 캐리어(200, 700)를 접속하기 위해, 상기 어깨 벨트 부재(124, 125)에 연결되는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 부재(124, 125)는 상기 앞길(101a, 101b) 및 상기 뒷길(102)의 내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는 상기 앞길(101a, 101b) 및 상기 뒷길(102)의 외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 캐리어(200, 700)를 접속하기 위해, 상기 허리 벨트 부재(121,122, 123)에 연결되는 제 2 아기 캐리어 접속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 캐리어(200, 700)는, 상기 아기 캐리어(200, 700)의 일단이 상기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에 접속되고, 상기 아기 캐리어의 타단(200, 700)에 상기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마련되고, 접어갬이 가능하게 해당 성인복(100, 600)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5.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에 접속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아기 캐리어 접속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마련되고, 접어갬이 가능하게 해당 성인복(100, 600)에 수납되는 아기엉덩이 받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6. 사용자(1)가 착용하는 성인복(100, 600)의 캐리어에 연결 지지되는 것이 가능한 아동복으로서,
    상기 캐리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구와,
    아기의 가랑이부를 지지하는 가랑이 받침부(1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
  7. 제 6항에 있어서,
    해당 아동복의 표면에 따라, 종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부착되는 띠 모양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띠 모양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부재는 종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세로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받침부를 통과하고, 세로띠를 연결하는 가로띠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부재는 해당 아동복의 배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를 수납하기 위한 포켓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
  12. 아버지가 착용하기 위한 아버지측 의복과,
    아기가 착용하기 위한 아기측 의복과,
    상기 아기측 의복을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복.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버지측 의복은,
    한 쌍의 소맷부리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앞길(101a, 101b) 및 뒷길(102)과,
    상기 앞길(101a, 101b) 및 상기 뒷길(102)에 마련되고, 상기 소맷부리의 상측을 통과하는 루프형상의 한 쌍의 어깨 벨트 부재(124, 125)와,
    상기 앞길(101a, 101b) 및 상기 뒷길(102)의 하단부 부근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어깨 벨트 부재(124, 125)의 양 하단부가 연결되는 루프형상의 허리 벨트 부재(121, 122, 123)와,
    상기 아기측 의복을 접속하기 위해, 상기 어깨 벨트 부재(124, 125)에 연결되는 아기 캐리어 접속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복.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측 의복은,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구와,
    아기의 가랑이부를 지지하는 가랑이 받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복.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대해, 상기 아기측 의복은 그 전체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복.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측 의복은 적어도 그 가랑이 받침부를 상기 아버지측 의복에 남겨 두고, 다른 영역을 떼어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복.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버지측 의복과 상기 아기측 의복은 의복 옷감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복.
  18. 사용자(1)가 장착하고 사용자측 연결구를 갖는 사용자 장착 부재, 및 상기 사용자측 연결구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갓난아기측 연결구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장착 부재와 함께 갓난아기를 지지하기 위한 갓난아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갓난아기를 안을 때에 착용되는 성인복으로서,
    상기 사용자측 연결구를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시키고, 이 사용자측 연결구와 상기 갓난아기측 연결구를 결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1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부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착 부재는 사용자(1)의 허리부에 장착되고, 사용자(1)의 앞측 부분에서 상호간에 탈착 가능한 분리 벨트를 포함하는 허리 벨트 부재(621)를 가지며,
    해당 성인복(100, 600)은 상기 분리 벨트를 바깥쪽을 향하여 통과시키고, 해당 성인복(100, 600)의 외측에서 상기 분리 벨트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2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1. 제 20항에 있어서,
    해당 성인복(100, 600)의 외면에는 해당 성인복(100, 600)에 대해 탈착 가능한 피복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피복 부재에 덮히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단부가 앞길(101a, 101b)에 고정되는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3. 제 18항에 있어서,
    해당 성인복(100, 600)은 상기 사용자 장착 부재를 그 내면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4. 어른이 착용하는 성인복(100, 600)으로서,
    앞길(101a, 101b)의 좌우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고,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여 관통하는 한 쌍의 제 1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은 종방향으로 복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앞길(101a, 101b)의 좌우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고,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여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릿은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릿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30. 제 27항에 있어서,
    해당 성인복(100, 600)의 외면에는 해당 성인복에 대해 탈착 가능한 피복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슬릿은 상기 피복 부재에 덮히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단부측이 앞길(101a, 101b)에 고정되는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복.
KR10-2004-7008804A 2002-04-01 2003-03-06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 KR200400702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9029 2002-04-01
JPJP-P-2002-00099029 2002-04-01
PCT/JP2003/002681 WO2003082034A1 (fr) 2002-04-01 2003-03-06 Vetement pour adulte, vetement pour enfant et vetement pour parent-enf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209A true KR20040070209A (ko) 2004-08-06

Family

ID=2867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804A KR20040070209A (ko) 2002-04-01 2003-03-06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44097A1 (ko)
EP (1) EP1491104A4 (ko)
JP (1) JPWO2003082034A1 (ko)
KR (1) KR20040070209A (ko)
CN (1) CN1592587A (ko)
TW (1) TW200304780A (ko)
WO (1) WO20030820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28Y1 (ko) * 2013-08-08 2014-07-15 오현일 베이비슬링
KR20230065544A (ko) * 2021-11-05 2023-05-12 박선아 아기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2498B2 (ja) * 2005-09-21 2011-09-1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スリング式子守帯
US20080169324A1 (en) * 2007-01-17 2008-07-17 Paul Kang Shirt for simplified child carrying
US20080203127A1 (en) * 2007-02-26 2008-08-28 Baby Go Go Company Accessory item carrying device
JP4809391B2 (ja) * 2008-05-14 2011-11-09 恵子 鵜川 抱っこ用上着
US20100282808A1 (en) * 2009-05-11 2010-11-11 Antwaine Ja-Quay Debnam Personal carrier harness
GB2485206B (en) * 2010-11-05 2013-05-08 Dog S Apron Ltd A restraining device
BE1019864A5 (fr) * 2011-10-17 2013-01-08 Prince Genevieve De Gilet de portage de securite.
US9504280B2 (en) 2012-03-12 2016-11-29 Michael Levian Posture-improving garment
US9167854B2 (en) * 2012-03-12 2015-10-27 Michael Levian Posture-improving garment
CN103099336B (zh) * 2013-02-27 2015-03-11 济南大学 育婴出行服
WO2014150479A2 (en) * 2013-03-15 2014-09-25 Redli Corbin J Backpack jacket
US20190082750A1 (en) * 2015-01-08 2019-03-21 Daniel R. Matuszak Jacket with openings for harness rings and method
US11129423B2 (en) 2015-04-13 2021-09-28 Pietro Zeppetella Outerwear garment for use with a fall-arrest harness
WO2018049501A1 (en) * 2016-09-13 2018-03-22 Zeppetella Pete Outerwear garment for use with a fall-arrest harness
CN105394830A (zh) * 2015-12-16 2016-03-16 红豆集团无锡远东服饰有限公司 一种亲子羽绒服
US20180055244A1 (en) * 2016-08-26 2018-03-01 Steven ZIELINSKI Variable position and orientation infant carrier and safety system
CN106422111A (zh) * 2016-11-17 2017-02-22 厦门市拙雅科技有限公司 可外挂绳索的应急救生衣
US20180199640A1 (en) * 2017-01-13 2018-07-19 Teton Outfitters, Llc, D/B/A Klim Outerwear garment
US11134794B2 (en) * 2019-05-20 2021-10-05 Cuk Llc Child carrier pack
TWI729947B (zh) * 2020-10-13 2021-06-01 蕭詒倫 一種功能性服裝
US11819142B2 (en) * 2021-02-05 2023-11-21 Gold Health LLC Garment for assisting holding an infant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94A (en) * 1899-03-07 Cornelia j
US1162662A (en) * 1914-10-26 1915-11-30 William J Sprong Child-carrier.
US2165348A (en) * 1937-02-17 1939-07-11 Ome C Daiber Combination outdoor jacket and pack
US2970316A (en) * 1957-08-21 1961-02-07 Silin Jacob Combination jacket and school bag
JPS50105206U (ko) * 1974-01-31 1975-08-29
US4079467A (en) * 1976-07-06 1978-03-21 Baldwin Robert O Parent-child coat
US4177877A (en) * 1978-02-21 1979-12-11 Gallinati Albert A Safety vest
US4272852A (en) * 1978-04-28 1981-06-16 Mighty-Mac, Inc. Garment with shoulder attached supporting straps
US4402440A (en) * 1981-05-22 1983-09-06 Patricia K. Purtzer Infant carrier
JPS5848705U (ja) * 1981-09-25 1983-04-01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ベスト
US4560097A (en) * 1984-05-09 1985-12-24 Reynolds John F Safety harness for motorcycle passenger
SE446497B (sv) * 1984-12-06 1986-09-22 Irvin Fallskerms Ab Kledesplagg som er hopkopplingsbart med en reddningslina
JPH0238884Y2 (ko) * 1985-07-29 1990-10-19
US4746084A (en) * 1986-06-23 1988-05-24 Strong Edward T Tandem parachute harness
US4813080A (en) * 1987-10-06 1989-03-21 Victor Toso Upper torso garment with integral back support
US4995116A (en) * 1989-11-06 1991-02-26 Beauchamp Matthew R Arms free privacy cape for breast feeding infants
US5034999A (en) * 1990-01-18 1991-07-30 Lubbers Karen A Nursing bib
SE500164C2 (sv) * 1991-01-18 1994-05-02 Baby Bjoern Ab Bärsele för spädbarn
GB2260687A (en) * 1991-10-23 1993-04-28 Lin Min Chao Multipurpose bag and baby carrier
US5301371A (en) * 1992-07-10 1994-04-12 Chao Wen Chung Safety vest to be used in a car
US5440761A (en) * 1993-01-29 1995-08-15 Nikon Inc. Multi-faceted photographer's vest
US5454498A (en) * 1993-08-23 1995-10-03 Dunn; Michelle L. Baby carrier
DE29507814U1 (de) * 1995-05-03 1995-08-31 Wohlgemuth, Wolfgang, 16356 Eiche Wetterschutzjacke
US5960480A (en) * 1995-05-26 1999-10-05 Otis Elevator Company Fall protection safety suit
SE510036C2 (sv) * 1995-07-03 1999-04-12 Baby Bjoern Ab Barnbärsele
US5522528A (en) * 1995-07-10 1996-06-04 Petricola; John L. Baby carrier apparatus
US5678739A (en) * 1995-09-21 1997-10-21 Fisher-Price, Inc. Infant carrier with harness and detachable shell
US5673828A (en) * 1995-10-17 1997-10-07 Baby Packer's L.L.C. Infant carrier with multi-functional cylindrically shaped seat structure
US5890227A (en) * 1995-11-28 1999-04-06 Brown; Jason C. EMT technician vest
US5685466A (en) * 1996-01-11 1997-11-11 An Tien Enterprise Co., Ltd. Multifunctional safety infant carrying bag structure
US5813580A (en) * 1996-10-25 1998-09-29 Lisco, Inc. Soft-sided infant carrier convertible to hip carrier
JP3749767B2 (ja) * 1996-10-25 2006-03-01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子守用コート
JPH10262731A (ja) * 1997-03-21 1998-10-06 Yasuyoshi Ochiai ベスト式リュックサック
US5909802A (en) * 1997-07-08 1999-06-08 Albert A. Puco Vest backpack
US5946725A (en) * 1998-07-22 1999-09-07 Shatzkin; Ellen Adult infant bonding garment
US6035440A (en) * 1998-09-17 2000-03-14 Guardian Fall Protection, Inc. Safety vest
CN2393357Y (zh) * 1998-11-05 2000-08-30 比格布恩商事株式会社 存放移动电话用衣服口袋
DE29909732U1 (de) * 1999-06-04 1999-09-09 Dräger Sicherheitstechnik GmbH, 23560 Lübeck Tragevorrichtung für ein Atemschutzgerät
US6409060B2 (en) * 1999-12-22 2002-06-25 Michael T. Donin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back and shoulder support and retractable infant seat
US6477710B1 (en) * 2000-05-30 2002-11-12 Feyisayo Ojoyeyi Garment for concealing patient medical appliances
US6305024B1 (en) * 2000-10-10 2001-10-23 James R. Schweer Hunting garment with safety device
US6658666B2 (en) * 2002-04-17 2003-12-09 James R. Schweer Hunting garment with safety device
US6598771B2 (en) * 2001-05-24 2003-07-29 Infantino Infant carrier
US6581209B2 (en) * 2001-06-11 2003-06-24 Catherine D. Bramhan Nursing garment for use with outerwear
US6662372B2 (en) * 2002-05-17 2003-12-16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Coat and harness combination
US6836902B2 (en) * 2002-09-10 2005-01-04 Alejandra G. Marquez Infant walking trainer and carrier garment
DE20215737U1 (de) * 2002-10-10 2003-01-09 Cheng, Kenny, Taipeh/T'ai-pei Umwandelbare Baby-Tragetasch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28Y1 (ko) * 2013-08-08 2014-07-15 오현일 베이비슬링
KR20230065544A (ko) * 2021-11-05 2023-05-12 박선아 아기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82034A1 (ja) 2005-07-28
TW200304780A (en) 2003-10-16
CN1592587A (zh) 2005-03-09
WO2003082034A1 (fr) 2003-10-09
EP1491104A4 (en) 2006-01-25
EP1491104A1 (en) 2004-12-29
US20040244097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0209A (ko) 성인복, 아동복, 및 부자복
US6763983B2 (en) Infant carrier
US7937767B2 (en) Sports pant with outer shell and sock attachment system
US4159010A (en) Lifting vest
US5632425A (en) Infant carrier
US20100308088A1 (e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carrier means
KR101521766B1 (ko)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US5715535A (en) Apparatus for cradling a baby
US11678701B2 (en) Garment for use with seat restraint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20210137282A1 (en) Baby carrier
US20070220659A1 (en) Underpants
CN211382075U (zh) 一种精神病人用隐藏式上肢约束保护衣
JP3238335U (ja) 衣服システム
CN220587539U (zh) 休闲女裤
JP3247212U (ja) 子守帯
JP2000070079A (ja) 子守帯
TWM559665U (zh) 親子育兒袋
CN214547292U (zh) 一种月子服连体衣
JP3156152U (ja) 肌着
CA2539408C (en) Sports pant with outer shell and sock attachment system
JP3057052U (ja) 二部式着物の上衣
KR200304368Y1 (ko) 유아 싸개용 망토
JP4365767B2 (ja) カバーリングシャツ
JP2005312772A (ja) 子守帯
EP4051058A1 (en) Baby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