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033A -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033A
KR20040066033A KR1020040002874A KR20040002874A KR20040066033A KR 20040066033 A KR20040066033 A KR 20040066033A KR 1020040002874 A KR1020040002874 A KR 1020040002874A KR 20040002874 A KR20040002874 A KR 20040002874A KR 20040066033 A KR20040066033 A KR 20040066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lease member
sustained release
drug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나오 누모토
시게히로 사토
시호 후루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요(凹)형 형상을 한 용기와 덮개 내에 액체 약제가 충전되며, 상기 용기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 폴리머 필름을 끼운 시트이고, 상기 덮개는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상에 습도 감수성막이 배설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의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상기 용기의 폴리에틸렌층 혹은 폴리프로필렌층과 열용착 접합되어 구성되어, 상기 약제의 휘산량을 상기 습도 감수성막이 습도에 따라 제어하면서 서서히 방출하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이다.

Description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MEMBER FOR SLOWLY RELEASING VOLATILE DRUG, AND AIR CONDITIONER USING IT}
본 발명은 휘산성의 약제를 외부의 습도 환경 변화에 따라 서서히 방출시키는 휘산성 약제 서방(徐放)부재에 관한 것으로, 계절의 변동 혹은 그 장소의 분위기 습도 환경이 변화하여 곰팡이, 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분야에는 널리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욕실, 탈의실, 신발장, 식품 저장고, 창고, 지하 수납고, 또한 빌딩 공조용의 가습용 통로, 환기용 통로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특히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냉방 운전한 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효과가있다.
충전된 액체상태의 것을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방출시키기 위한 기술은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오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다공성의 재료 물질 중에 함침시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서서히 휘산시키는 방법이다. 그 다공성 물질이라 함은 제올라이트, 실리카겔과 같은 무기 화합물이거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스의 발포체 혹은 섬유다발이었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이라고 불리는 유기물의 작은 구멍에 포접시켜 서서히 방출시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상기의 내용은, 특개평 5-176733호 공보 또는 특개평 6-4089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문헌에는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서방성을 구현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개평 6-9377호 공보, 특개평 6-65064호 공보, 특개평 7-89848호 공보, 특개평 9-911호 공보, 특개평 9-12447호 공보 및 특개평 9-57091호 공보.
또한, 특개소 55-57502호 공보 및 특개소 63-240738호 공보에, 흡상체(吸上 體)를 사용한 경우에는 방충 기피제의 분야 혹은 방향제의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흡상체를 히터로 가열하여 휘산 속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외부의 습도 환경 변화에 따라 저농도의 휘산성 약제를 안정되게 서서히 방출시킬 수 없었다. 약제의 액량이 많은, 처음 동안은 다량의 약제가 휘산하고, 시간이 지나면 점차 약제의 감량 변화에 의해서도 방출량까지가 감량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휘산량 혹은 방출량이 평균화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에 대하여, 저농도인 방출 속도로 약제 증기를 평균화하여 휘산 서서히 방출할 수 있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로서, 습도 변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약제의 액량이 줄어 들어도 방출량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휘발 성분이 이차적으로 부재로부터 서방 확산되는 구조로 한 것이다. 또한 물류 환경하에서 고온 상태에 놓여져도 포장 상태에서의 약제 방출에 의해 부재의 접합부 등이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배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는, 요(凹)형 형상을 한 용기와 덮개 내에 액체 약제가 충전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용기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 폴리머 필름을 끼운 시트이고, 상기 덮개는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표면상에 습도 감수성막이 배설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의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상기 용기의 폴리에틸렌층 혹은 폴리프로필렌층과 열용착 접합되어 구성되어, 상기 약제의 휘산량을 상기 습도 감수성막이 습도에 따라 제어하면서 서서히 방출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외관도.
도 2a는 실시예 1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
도 2b는 실시예 1의 도 2a의 두께방향을 강조한 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방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정면외관도이며, 도 2a, 2b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단면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배치를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2b는 각 요소의 두께를 실제 이상으로 두껍게 하여 강조하고 있다.
용기(1)는 내치수 50×140×10mm이고, 두께 0.8mm의 공압출 시트를 진공 성형하여 제작된다. 공압출 시트는 캐스트 폴리프로필렌(CPP, 두께 370㎛)/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 폴리머(EVOH, 두께 60㎛)/CPP(두께 370㎛)로 이루어진다. 휘산성 약제(2)는, 화학물질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셀룰로스에틸에테르로 고형화한 타블렛(tablet)이다. 타블렛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틀용기에 셀룰로스에틸에테르의 분말(일신화성; 에트셀 STD-100, 중량 평균 분자량 18만) 7.5g를 넣고, 여기에 에탄올 15g을 첨가하여, 1시간 방치한 후, 추가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g을 첨가하여 실온 상태에서 48시간 방치한다. 이 과정에서, 에탄올이 증발하여,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셀룰로스에틸에테르에서 타블렛화된다.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휘산 제어막이 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피로 포장체(3)는 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이며, 일차 제어막으로서 작용한다. 즉, 일차 제어막은, 얻어진 타블렛 40×120×4mm를,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두께 30㎛)과 폴리에틸렌(LDPE, 두께 70㎛)의 라미네이트 필름이며, 내측에 배치한 LDPE측을 히트실로 피로 포장체화한 것이다. 일차 제어막이 되는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에는 이산화티탄 분말이 5wt% 첨가되어 있다.
다음으로, 덮개(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40)는, 용기(1)에 접합하는 라미네이트 필름(41)과, 제 2 기체 투과성 필름인 라미네이트 필름(41) 상에 접착되는 부직포(43)와, 부직포(43) 상에 도포되는 비스코스막(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덮개(40)는 이차 제어막으로서 작용한다. 습도 감수성막(4)은 비스코스 가공지의 표면에 비스코스를 형성한 것으로서, 부직포(43)와 비스코스막(45)으로 이루어진다. 덮개(40)는 CPP 필름(두께 40㎛)/LDPE 필름(두께 15㎛) 상에 레이온/펄프 부직포를 통하여 비스코스막을 7g/㎡의 도포량으로 형성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덮개(40)의 외주부(도 2b의 A부)는, 5mm폭으로 용기(1)에 PP측을 히트실로 용착 접합되어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 (3)과 덮개(40)에서 공간부(5)가 형성된다. 공간부(5)의 공간 내용적은 40ml이다.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피로 포장체(3)는 용기(1)의 내면 저부에 LDPE를 핫멜트(도시하지 않음)함으로써 위치고정을 수행하였다.
타블렛(2)으로부터 휘산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는 라미네이트 필름 (3)에서 휘산량이 억제되면서, 라미네이트 필름(3)과 덮개(40)에서 형성되는 공간부(5)에 도달한다. 예를 들면 25℃에 있어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증기압은 약 5mmHg이기 때문에, 일차 제어막 내부는 곧 포화 증기 농도의 약 6600ppm이 된다. 공간부(5)는 그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농도 구배를 가지면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충만해 간다. 따라서, 이차 제어막으로부터의 방출량이 작으면, 어느 정도 분위기 온도에 대한 증기압 특성까지 휘산량이 증대하여, 최종적으로는 공간부(5) 내를 거의 포화 증기압 농도까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충만한다. 저습도의 경우에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외부로의 증기 방출이 습도 감수성막(4)에 의해 어느 정도 억제되기 때문에, 공간부(5)는 포화 증기압 농도에 가까운 상태인 채로 유지된다.
그러나 습도가 높아지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습도 감수성막(4)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기 쉬워진다. 습도 감수성막(4)은 습도 변화에 의해 막조직이 팽윤(膨潤)하여, 완만한 구조가 되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분자가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기 쉬워진다. 이 방출량분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타블렛(2)으로부터 휘산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다시 라미네이트 필름(3)을 통과하여 공간부(5)로 충만할 필요가 있다. 습도 감수성막(4)을 투과하여 공간부(5)로부터 외부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방출하는 속도와, 타블렛(2)으로부터 휘산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라미네이트 필름(3)을 투과하여 공간부(5)로 투과해 오는 휘산 속도를 비교하면, 후자쪽이 빠르기 때문에,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방출량이 부족한 경우는 없다. 이러한 구성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에 의해, 30℃, 상대습도 95% 조건으로 습도 감수성막(4)으로부터 약제를 100mg/일 레벨로 계속하여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로부터의 약제 방출 특성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잔량이 초기의 약제량의 10wt% 이하로 될 때까지 거의 변화하는 일이 없었다. 도 3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 (17)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방출 특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가 시장에서 개봉될 때까지의 포장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는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하여 보관된다. 비투과성 필름은 LDPE(두께 40㎛)/나일론(두께 20㎛)/알루미늄박(두께 7㎛)/LDPE(두께 40㎛)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구조이며, 치수는 200×100mm이다. 먼저 삼방을 히트실폭 10mm로 열용착한 후에, 15℃, 30%RH(절대습도 3.2g/kg(DA))의 작업 환경으로 4mg의 물방울과 함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비투과성 필름 내에 삽입하여 마지막으로 개방부를 히트실폭 10mm로 열용착시켰다. 이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60℃의 항온조 내에 3개월간 방치하였다. 그 후, 항온조로부터 포장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 (17)를 꺼내어, 30℃까지 냉각 후, 비투과성 필름을 찢고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 (17)를 꺼내어, 보존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통상 박리가 발생하기 쉬운 A부 (도 2b)에 있어서도, 용기(1)로부터의 덮개(40)의 박리는 관찰되지 않고, 습도 감수성막(4)을 구성하는 비스코스막(45)에도 균열 등의 파손은 발생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본 실시예 1에 따른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 (17)를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 구성도이다. 흡입 그릴(6,7)을 통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한 공기는 열교환기(8,9)에 의해 냉각, 제습된 후, 크로스프로판(10)에 의해 흡입 송풍되면서, 최종 흡출구(11)로부터 실내 공간에 냉풍을 제공한다. 흡출구(11)에는 상하 편향 날개(12)가 배설되고, 실내 공간으로의 흡출 방향을 컨트롤하고 있다. 이 때, 열교환기(8,9)에 의해 제습된 결로수는 열교환기 알루미늄핀을 타고, 드렌판부(13,14)에 도달한다. 드렌판부 (13)는 실내기대틀(15)에 일체물로서 구성되며, 드렌판부(14)는 흡출하여 그릴(16)에 일체물로서 구성된다. 드렌판부(13)에 맺힌 결로수는 대틀(15)을 통하여 드렌판부(14)측으로 흘러 고이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드렌구(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열교환기(8,9)의 알루미늄핀에는 열교환 성능의 고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세로 슬릿이 설치된다. 그 때문에 결로한 물은 슬릿부에서 표면 장력에 의해 수막을 형성하고, 드렌판부(13,14)로 바로는 적하하기 힘든 구조 때문에, 알루미늄핀이 마르는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예를 들면, 25℃, 상대습도 90%의 환경 분위기에서는 열교환기 알루미늄핀이 마르는데 수십 시간을 요하게 되어 좀처럼 건조되지 않는다.
이 때, 실내기 공간, 특히 열교환기(8,9)로 구성되는 송풍회로 내부는 상대습도 95% 이상의 분위기로 되어, 곰팡이가 상당히 번식하기 쉬운 환경 조건으로 되어 있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는 열교환기(9)에 근접한 하부 상류측에 배치되어,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습도 감수성막(4)측이 열교환기와 마주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는 경과를 거쳐 실내기의 내부 공간에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충만한다. 즉 (1) 냉방, 제습 운전 정지 후, 상하 편향 날개(12)가 닫힘 상태가 되면, 고습도 상태가 된 공기가 실내기 전체에 충만한다. (2) 고습도 상태의 공기가 습도 감수성막(4)에 도달하면,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내부로부터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열교환기(9)측으로 기상(氣相) 확산한다. (3) 알루미늄핀 사이를 통과하여 실내기의 내부 공간에 확산하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상하 편향 날개(12)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8,9)로 구성된 공간부 등으로 서서히 확산하여, 기체가 축적되어 충만한다.
이상의 경과를 거쳐, 실내기 내부의 열교환기(8,9)로 구성된 공간저부에서는 3 내지 5ppm 정도, 상부 공간에서도 1ppm 이상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를체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공간부(5)에 체류하고 있는 고농도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습도 감수성막(4)을 투과하여 용적비로 500 내지 5000배의 공간으로 기상 확산해 가는 것이다. 인간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냄새를 느끼는 역치는 10ppm 정도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농도는 냄새를 느끼지 못할 정도의 증기 체류 농도이다. 이로 인해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Cladosporium, Alternaria, Aspergillus, Penicillium, Rhizo pus 등의 일반적인 곰팡이에는 충분한 곰팡이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내기에서의 곰팡이 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체류하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를 0.5pp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간이 냄새를 느끼는 역치인 10ppm 이하로 하는 것이 실용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 내부에 구성되는 약제 증기가 체류하는 공간부(5)와 실내기 내부의 공간 용적과의 비는 1 대 500 내지 5000배 정도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에서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습도 감수성막(4)을 한 쪽면에 배치하고, 동시에, 그 습도 감수성막(4)측이 열교환기의 흡입 상류면과 마주보는 구성으로 하였다. 약제가 없어졌을 때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교환을 고려한 경우, 흡입 그릴(7)을 떼어낸 열교환기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이용자로부터 볼 때 보존성(maintenance)이 좋아진다. 또한 약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동시에 신속하게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g과 셀룰로스에틸에테르를 중량비 4 : 1로 혼합함으로써 점도 100,000cps 정도로 증점화(增粘化)시킨 후, 탄산칼슘 분말의 통으로 옮겨 경단 상태로 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의 피로 포장체(3) 내에 경단 상태로 된 혼합물을 충진하였다. OPP 30㎛와 LDPE 7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대하여 LDPE측을 히트실로 피로 포장화하고, 40×125×약4mm의 피로 포장체(3)를 얻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으로서, 일차 제어막이 된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로서 피로 포장체(3)를 수납하는 용기(1) 및, 습도 감수성막(4)을 포함하는 덮개(40)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이며, 피로 포장체(3)는 용기의 내면저부에 LDPE를 핫멜트함으로써 위치고정을 수행하였다.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덮개)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부의 크기도 40ml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g과 셀룰로스에틸에테르를 중량비 8 : 1로 혼합함으로써 점도 20,000cps 정도로 증점화시킨 후, 수산화알루미늄 분말의 통으로 옮겨 경단 상태로 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의 피로 포장체(3) 내에 경단 상태로 된 혼합물을 충진하였다. 라미네이트 필름의 피로 포장체(3)가 일차 제어막으로 되어, OPP(두께 30㎛)와 LDPE(두께 70㎛)의 라미네이트 필름(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에 대하여 LDPE측을 히트실로 피로 포장화하고, 40×125×약4mm의 것을 얻었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로서 피로 포장체(3)를 수납하는 용기(1) 및, 습도 감수성막(4)을 포함하는 덮개(40)(이차 제어막)의 구성은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며, 피로 포장체(3)는 용기(1)의 내면저부에 LDPE를 핫멜트함으로써 위치고정을 수행하였다. 일차 제어막으로서 작용하는 피로 포장체(3)와, 이차 제어막으로서 작용하는 덮개(40)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부의 크기도 40ml로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실시예 2, 3에서 얻어진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그 후,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60℃의 항온조 내에 3개월 방치하였다. 그 후, 항온조로부터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꺼내어, 30℃까지 냉각 후, 비투과성 필름을 찢고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꺼내어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용기(1)로부터 덮개(40)는 박리되는 일 없이 접합되어 있고 또한, 비스코스막(45)에 균열 등의 파손도 발생해 있지 않았다.
실시예 1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타블렛화되어 일차 제어막인 피로 포장체(3) 내에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휘산하여, 약제량이 줄어들었을 때도 타블렛화된 시트형상의 것이 거의 균일하게 수축해 온다. 또한 라미테이트 필름 내에서 타블렛이 용이하게 수축할 수 있도록 윤활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이산화티탄 등을 첨가하는 것이 효과가 있었다. 그에 대하여 실시예 2, 3에서는 증점화 후, 무기분말 입자로 피복됨으로써 경단 상태의 것이 일차 제어막에 부착하는 일 없이 수축하였다. 따라서 약제는 일차 제어막 내부에서 끊임없이 기액(氣液) 평형에 의해 약제 증기의 농도가 안정화되어 있어, 약제량이 감량 변화하여 일차 제어막 내부의 공간 용적이 서서히 커져도,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의 사이에 설치된 공간부(5)의 내용적이 일차 제어막 내부에 생기는 공간 용적보다도 크면 공간부(5)의 시간 경과 변화에 따른 농도 변화는 작게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이용자는 약제의 감량 변화를 타블렛 상태 혹은 경단 상태의 체적 수축 변화로서 CPP/EVOH/CPP의 공압출 시트로 구성되는 용기(1)측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었다.
셀룰로스에틸에테르는 정제 펄프를 원료로서 가성소다로 알칼리셀룰로스화된 후, 에틸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글루코스 내의 수산기를 에톡실기로 치환한 것으로서, 그 화학 반응식을 식 1(Eq. 1)로 나타낸다. 외관은 백색의 분말이고, 거의 무취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셀룰로스 에틸 에테르의 작용효과, 즉 약제를 고형화 또는 증점화시키는 효과는 중량 평균 분자량에 의해 결정되며, 구체적으로는 10만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셀룰로스에틸에테르와의 중량비를 2 : 1로 함으로써 고형화할 수 있다.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중량비가 커짐에 따라 서서히 저점도화하고,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중량비가 10 : 1을 넘으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원액에 비교하여도 그 정도로 증점하고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증점화라 함은 점도 5,000cps 이상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증점화한 혼합물의 주위에 무기분말 입자로 피복하여 경단 상태로 함으로써 혼합물의 취급성이 향상되고 또한 일차 제어막 내부에 충진된 약제가 감소되어, 혼합물의 형상이 변화할 때도 일차 제어막에 접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수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셀룰로스에틸에테르의 중량비는 2 : 1 내지 10 : 1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폴리비닐부티랄로 타블렛화시켰다. 먼저, 틀용기에 폴리비닐부티랄(적수화학공업; 에스렉B : BH-S, 중량 평균 분자량 14만, 수산기 22mol%, 부티랄화도 73mol%) 7.5g을 넣은 후, 에탄올 15g을 첨가하여 30분간 방치한다. 다음으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방치한다. 이 처리에 의해, 에탄올이 증발하여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폴리비닐부티랄로 타블렛화된다. 치수는 40×120×4mm이다. 이렇게 제작한 타블렛을 실시예 1과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의 피로 포장체(3) 내에 충진하였다.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피로 포장체(3)가 일차 제어막이 된다. 라미네이트 필름은 OPP(두께 30㎛)와 LDPE(두께 70㎛)를 라미네이트한 것으로, LDPE측을 히트실로 피로 포장화하였다. 일차 제어막이 되는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에는 이산화티탄 분말이 5wt% 첨가되어 있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에 있어서, 피로 포장체(3)를 수납하는 용기(1)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두께 450㎛)/EVOH(두께 100㎛)/HDPE(두께 450㎛)의 공압출 시트(두께 1.0mm)를 진공 성형하여 제작한 것으로, 내치수는 50×140×10mm이다. 이차 제어막이 되는 덮개(40)는, HDPE 필름(두께 100㎛) 상에 레이온/펄프 부직포를 통하여 비스코스막을 7g/㎡의 도포량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피로 포장체(3)는 용기(1)의 내면 저부에 LDPE를 핫멜트함으로써 위치 고정을 수행하였다.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부의 크기도 40ml로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실시예 5)
본 실시예 5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g과 폴리비닐부티랄을 중량비 4 : 1로 혼합함으로써 증점화시킨 후, 이산화티탄 분말의 통으로 옮겨 경단 상태로 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피로 포장체(3) 내에 경단 상태로 된 혼합물을 충진하였다. 라미네이트 필름(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의 피로 포장체(3)를 일차 제어막으로 하는 것으로, OPP(두께 30㎛)와 LDPE(두께 7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대하여 LDPE측을 히트실로 피로 포장화함으로써, 40×125×약4mm의 피로 포장체(3)를 얻었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로서 피로 포장체(3)를 수납하는 용기(1) 및, 습도 감수성막(4)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이며, 피로 포장체(3)는 용기(1)의 내면저부에 LDPE를 핫멜트함으로써 위치고정을 수행하였다.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부의 크기도 40ml로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실시예 6)
본 실시예 6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g과 폴리비닐부티랄을 중량비 8 : 1로 혼합함으로써 증점화시킨 후, 탈크 분말의 통으로 옮겨 경단 상태로 하였다. 그 후 실시예 1과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의 피로 포장체(3) 내에 경단 상태로 된 혼합물을 충진하였다. 라미네이트 필름(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의 피로 포장체(3)를 일차 제어막으로 하는 것으로, OPP(두께 30㎛)와 LDPE(두께 7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대하여 LDPE측을 히트실로 피로 포장화함으로써, 40×125×약 4 mm의 피로 포장체(3)를 얻었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가, 피로 포장체(3)를 수납하는 용기(1) 및, 습도 감수성막(4)을 포함하는 덮개(40)로 구성되는 것은 실시예 1과 거의 같다. 피로 포장체(3)는 용기(1)의 내면저부에 LDPE를 핫멜트함으로써 위치고정을 수행하였다.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부의 크기도 40ml로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폴리비닐부티랄은 폴리비닐알콜에 부틸알데히드를 반응시킨 것으로, 식 2(Eq. 2)에 화학 반응식을 나타내었다. 이 부티랄화 반응에 있어서 완전히 부티랄화할 수 없어, 종래, 최고라도 81.6mol%라고 말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부티랄화되지 않고 남은 수산기의 mol%가 크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의 상용성(相溶性)이 나빠져, 필요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비닐부티랄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이며, 분자중의 수산기 mol%가 25 이하, 분자중의 부티랄화도 mol%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라직하게는 수산기 mol%가 20 내지 25, 분자중의 부티랄화도 mol%가 70 내지 80이다.
또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 대한 폴리비닐부티랄의 중량비를 2 : 1로 함으로써 고형화할 수 있으며,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중량비가 커짐에 따라 서서히 저점도화하여,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중량비가 10 : 1보다도 커지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원액과 비교하여도 그 정도로 증점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증점화라 함은 점도 5,000cps 이상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증점화한 혼합물의 주위에 무기분말 입자로 피복하여 경단 상태로 함으로써 혼합물의 취급성이 향상되고 또한 일차 제어막 내부에 충진된 약제가 감소되어, 혼합물의 형상이 변화할 때도 일차 제어막에 접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수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 대한 폴리비닐부티랄의 혼합 중량비는 2 : 1 내지 10 : 1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5, 6에서 얻어진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그 후,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60℃의 항온조 내에 3개월 방치하였다. 그 후, 항온조로부터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꺼내어, 30℃까지 냉각 후, 비투과성 필름을 찢고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꺼내어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용기(1)로부터 덮개(40)는 박리하는 일 없이 접합되어 있고 또한 비스코스막 (45)에 균열 등의 파손도 발생해 있지 않았다.
실시예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증점화시킨 것을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탈크분말로 피복함으로써 경단 상태로 하였지만,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분말 입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차 제어막에 대하여 미끄러짐성이 좋고, 약제의 감량에 수반하여 수축했을 때에 경단 상태의 것을 용이하게 소성 변형 가능하면 된다. 또한 무기분말 입자의 미끄러짐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평균 입자 지름을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실시예 7)
본 실시예 7에서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폴리우레탄 연속 다공질체에 흡수, 팽윤시켰다. 이 때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 산화방지제를 2wt%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부피 밀도 0.35g/ml, 평균 기공 지름 30㎛, 기공률 70%이고, 치수가 28×90×2.5의 폴리우레탄 연속 다공질체에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g을 흡수시켜 약 40×125×3.5로 팽윤시켰다. 그 후 실시예 1과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피로 포장체(3) 내에 팽윤한 폴리우레탄 연속 다공질체를 충진하였다. 피로 포장체(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일차 제어막으로 하는 것으로, OPP(두께 30㎛)와 LDPE(두께 7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대하여 LDPE측을 히트실함으로써, 피로 포장화하였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가, 피로 포장체(3)를 수납하는 용기 (1) 및, 습도 감수성막(4)을 포함하는 덮개(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이며, 피로 포장체(3)는 용기(1)의 내면저부에 LDPE를 핫멜트함으로써 위치고정을 수행하였다.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간부의 크기도 40ml로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그 후,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60℃의 항온조 내에 3개월 방치하였다. 그 후, 항온조로부터 비투과성 필름으로 포장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꺼내어, 30℃까지 냉각 후, 비투과성 필름을 찢고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를 꺼내어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용기로부터 덮개(40)는 박리되는 일 없이 접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비스코스막 (45)에 균열 등의 파손도 발생해 있지 않았다.
본 실시예 7에서는 폴리우레탄의 연속 다공질체를 사용하였지만, 이 목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상의 약제를 흡착 유지하여 충분하게 체적 팽창하는 재질이면 특별히 문제는 없다. 또한 휘산성 약제를 장기간 흡착 유지하여도 연속 다공질체로서의 원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보유하고 있는 약제가 감량함에 따라 서서히 수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정유(精油)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저농도로 서서히 방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인가 하면 친유성(親油性)이 우수한 것이 액체 보존률을 높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연속 다공질체에서 물리특성으로서 평균 기공 지름 10 내지 100μ, 기공율 5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약제의 액체 보존률이 체적비로 100% 이상이 되어, 체적 팽윤률 200%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향으로는 작은 기공 지름을 많이 가지고 있는 편이 체적 팽창률은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기공률은 큰 편이 당연히 체적 팽창률은 크게 할 수 있지만, 너무 크게 하면 기계적 강도가 너무 약해져 형상이 무너져 버린다.
또한 연속 다공질체로서는 폴리우레탄 외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도 액체를 유지했을 때의 신장 용이성이 다르다. 가장 신장이 용이했던 것은 폴리우레탄 연속 다공질체였다. 이들의 액체 흡수체는 초기에 충분한 체적 팽창을 일으켜, 유지하고 있는 약제가 감량함에 따라 서서히 수축한다. 이용자는 약제의 감량 변화를, 연속 다공질체의 팽윤 상태로부터 체적 수축 변화로서, CPP/EVOH/CPP의 공압출 시트로 구성되는 용기(1)측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로 사용하여 장기간 사용한 경우에도, 연속 다공질체로서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었다.
실시예에서는, 약제를 충진하는 요형 형상의 용기(1)로서, CPP/EVOH/CPP 또는 HDPE/EVOH/HDPE의 공압출 시트를 진공 성형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때, EVOH의 두께는 30㎛ 이상이면 충진한 약제에 대하여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기체 비투과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EVOH의 내습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약제에의 충분한 내약품성을 얻기 위하여 폴리올레핀계의 CPP 혹은 HDPE와의 공압출 시트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그 후, 진공 성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유로운 형상의 용기로 가공할 수 있었다. 또한 용기(1)와 접하는 덮개(40)에도 용기 재질과 같은 CPP 혹은 HDPE를 사용함으로써 히트실 후,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에서는, 약제의 휘산량을 제어하는 일차 제어막으로서 작용하는 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은, 폴리프로필렌(OPP)과 폴리에틸렌(LDPE)의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 시트(LDP 또는 HDPE), 폴리프로필렌 시트(CPP 또는 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A-PET)을 단독 또는 복합하여 라미네이트 구조의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지, 본 발명에서, 약제를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으로 형성되는 공간부에 어느 정도 체류시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약제에 대한 일차 제어막의 방출 특성쪽이 이차 제어막의 방출 특성보다도 커지도록 일차 제어막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오로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isothiocyanate)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티 트리유(Tea Tree Oil), 유카리유(Eucalyptus Oil)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농도의 휘산량으로 항균, 곰팡이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약제라면 본 발명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약재로서 이용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듯이, 액체의 약제는 용기의 구성을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 폴리마 필름과의 샌드위치 구조로 함으로써,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 폴리머 필름의 충분한 가스 배리어성에 의해 약제 투과량이 억제됨과 동시에,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 폴리머 필름을 습도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1) 본체로부터의 약제 투과량을 한정없이 소량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덮개(40)에 배설된 습도 감수성막 (4)은 외부의 습도 환경 변화에 따라 약제의 서방량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가 물류 환경하에서 고온 상태에 놓여져도, 용기(1)와 덮개(40)를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끼리가 열용착 접합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과잉의 약제 증기가 용기(1) 내부에 충만하여도 약제의 용제 어택에 의해 덮개(40)가 용기(1)측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약제를 일차 제어막과 이차 제어막으로 형성된 공간부에서 어느 정도 체류시키면서, 이단계로 막제어하여 서서히 방출시키기 위해, 약제를 20 내지 200mg/일이라고 하는 저농도 레벨로 안정되게 공급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액체의 약제와 고형 고분자 재료를 혼합하여 고형화 또는 증점화시킴으로써 액체 약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고형화 혹은 증점화 후 무기분말체 입자로 주위를 피복한 상태에서 일차 제어막 내에 충진시킴으로써, 약제가 감소하더라도 편재하는 일 없이 거의 상사(相似)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약제는 일차 제어막 내에서 기액 평형에 의해 일정한 농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액체 약제를 고형화 또는 증점화시키기 위한 고형 고분자 재료로서 셀룰로스에틸에테르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고분자 재료에서는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나쁜 악취 발생도 없으며, 휘산성 약제의 효용을 장기간에 걸쳐 계속시킬 수 있었다. 또한 셀룰로스에틸에테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만 이상으로 함으로써, 액체 약제를 고형화 또는 증점화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셀룰로스에틸에테르와 액체 약제를 혼합함으로써 약제의 산화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어, 산화 방지제를 불필요 혹은 감량화할 수 있었다.
또한, 액체 약제를 고형화 또는 증점화시키기 위한 고형 고분자 재료로서 폴리비닐부티랄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고분자 재료에서는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나쁜 악취 발생도 없으며, 휘산성 약제의 효용을 장기간에 걸쳐 계속시킬 수 있었다. 또한 폴리비닐부티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만 이상이며, 분자 중의 수산기 mol%가 25 이하, 분자 중의 부티랄화도 mol%가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액체 약제를 고형화 또는 증점화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폴리비닐부티랄과 액체 약제를 혼합함으로써 약제의 산화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어, 산화 방지제를 불필요 혹은 감량화할 수 있었다.
또한, 연속 다공질체의 물리물성으로서 평균 기공 지름 10 내지 100μ, 기공률 50 내지 90%로 함으로써, 약제의 액체 유지율이 체적비로 100% 이상으로 되어 충분한 체적 팽윤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액체 흡수체를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비닐알콜의 연속 다공질체로 함으로써 연속 다공질체가 충분한 액체 유지 능력을 보증할 수 있어, 부재의 배치 또는 방향이 변화하여도 실용상 문제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실용으로 장기간 사용되어도 연속 다공질체의 원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약제의 잔액량 변화에 수반하여 점차 수축해 가기 때문에 이용자는 약제의 잔액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95%의 환경하에서 20 내지 200mg/일이라면, 약제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인간이 냄새를 느끼는 역치와 대비하여도 동등하거나 그 이하의 레벨로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약제의 목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게도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30%의 환경하에서 10mg/일 이하이면, 저습도 조건에서의 쓸데없는 약제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기간을 장기간으로 할 수 있었다.
또한, 습도가 낮은 계절에는 약제의 쓸데없는 방출을 억제하고, 습도가 높은 계절 혹은 분위기 상황에 대해서는 약제를 저농도로 안정되게 계속 서서히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서 내부에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장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절의 변동 혹은 그 장소의 분위기 습도 환경이 변화하여 곰팡이, 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분야에는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욕실, 탈의실, 신발장, 식품 저장고, 창고, 지하 수납고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빌딩 공조용의 가습용 통로, 환기용 통로 등에도 응용가능하다.

Claims (19)

  1. 약제 서방부재로서: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약제;
    상기 약제를 포위하는 포장체;
    상기 포장체를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덮개를 가지며,
    상기 용기는 가스 배리어를 가지고,
    상기 포장체는 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는 제 2 기체 투과성 필름과, 상기 제 2 기체 투과성 필름 상에 형성되는 습도 감수성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제 서방 부재가 상기 화학 물질의 휘산량을 습도에 따라 제어하면서 서서히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서방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凹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용기의 내용적은 상기 포장체의 내용적보다 큰 약제 서방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와 상기 덮개의 사이에 상기 포장체를 투과해 온 상기 약제의 증기가 체류하는 공간부를 가지는 약제 서방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감수성막은 습도가 높을수록 상기 약제의 증기를 많이 투과시키는 약제 서방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감수성막은 레이온/펄프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상에 형성되는 비스코스막으로 이루어진 약제 서방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하여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 폴리머 필름을 샌드위치한 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기체 투과성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혹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서 선택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이고,
    상기 제 2 기체 투과성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약제 서방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체 투과성 필름은 상기 용기의 폴리에틸렌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열용착하여 접합되는 약제 서방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티트리유, 유카리유에서 선택되는 약제 서방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상기 화학물질에 대하여 고형 고분자 재료를 중량비 2:1 ~ 10:1로 배합한 혼합물로서, 상기 약제가 고형화 또는 증점화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에 수용되는 약제 서방부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상기 화학물질과 고형 고분자 재료를 혼합하여 증점화시킨 혼합물로서, 상기 혼합물은 주위를 무기분말체입자로 피복한 상태에서 상기 포장체에 수용되는 약제 서방부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고분자 재료가 셀룰로스에틸에테르인 약제 서방부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고분자 재료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인 셀룰로스에틸에테르인 약제 서방부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고분자 재료가 폴리비닐부티랄인 약제 서방부재.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고분자 재료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이고, 분자중의 수산기 mol%가 25mol% 이하, 분자중의 부티랄화도가 70mol% 이상인 폴리비닐부티랄인 약제 서방부재.
  15. 제 10항에 있어서, 아울러, 평균 기공 지름 10~100μ, 기공률 50~90%로 이루어지는 연속 다공질체를 가지며, 상기 다공질체는 상기 화학물질을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어, 상기 포장체가 상기 다공질체를 수용하는 약제 서방부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다공질체의 재료가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알콜에서 선택되는 재료인 약제 서방부재.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95%의 환경하에서 20 내지 200mg/일인 약제 서방부재.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30%의 환경하에서 10mg/일 이하인 약제 서방부재.
  19. 공조기로서:
    적어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습도 조절된 바람을 실내로 불어보내기 위한 실내팬을 갖는 실내기를 가지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근방이며, 흡입한 공기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약제 서방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약제 서방부재가, 제 1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서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KR1020040002874A 2003-01-16 2004-01-15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0400660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7981 2003-01-16
JP2003007981A JP2004215942A (ja) 2003-01-16 2003-01-16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033A true KR20040066033A (ko) 2004-07-23

Family

ID=3289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874A KR20040066033A (ko) 2003-01-16 2004-01-15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215942A (ko)
KR (1) KR20040066033A (ko)
CN (1) CN124165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60311Y (zh) * 2006-10-17 2007-10-17 汪玉华 瓶式空气清新装置
JP5880865B2 (ja) * 2010-04-08 2016-03-0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光配向性を有する熱硬化膜形成組成物
KR101826360B1 (ko) * 2011-12-02 2018-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776535A (zh) * 2015-05-04 2015-07-15 吉首大学 一种应用于书库的温湿度调节装置
CN107421030B (zh) * 2017-07-21 2019-12-24 武汉大学 一种基于相变微胶囊液浆储冷装置的冷却***及运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7127A (zh) 2004-08-04
JP2004215942A (ja) 2004-08-05
CN1241650C (zh)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029B2 (en) Membrane device for the release of volatile compositions
US5716000A (en) Emanator for volatile liquids
US96757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volatile substances
JP4914064B2 (ja) 熱接着用多層テープ及び包装体
KR20040066033A (ko)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JP5174476B2 (ja) アルコール揮散剤
JP4556390B2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254097B2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GB2349089A (en) Fragrance dispenser
JP3743361B2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6273369A (ja) 透明バリア積層体
JP3770152B2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3743349B2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6250469B2 (ja) 湿度感受性ガス透過膜
JPH10180030A (ja) 除湿剤
US20240049758A1 (en) Humidity control system
JPS5933406Y2 (ja) 芳香材
KR100483235B1 (ko)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JP2003128152A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及びその包装方法
JP2002284216A (ja) 脱酸素機能を有する蓋
JP2004299346A (ja) 複合透湿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製品
JP2005029663A (ja) 感湿性機能材
JP2003112396A (ja) 包装体
JP2003225296A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
JPS6322368A (ja) 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