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787A -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787A
KR20040065787A KR1020030002957A KR20030002957A KR20040065787A KR 20040065787 A KR20040065787 A KR 20040065787A KR 1020030002957 A KR1020030002957 A KR 1020030002957A KR 20030002957 A KR20030002957 A KR 20030002957A KR 20040065787 A KR20040065787 A KR 2004006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plate
tab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5787A/ko
Publication of KR2004006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787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양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양극 집전체와,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이 형성된 양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양극판과, 양극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음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음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 활물질이 형성된 음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음극판과,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와,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을 구비하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위치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들 사이의 접촉되지 않는 간격은 양극탭 및 음극탭의 각 폭 길이를 합한 것보다 작은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와 상호 융착 결합되어 전지를 밀봉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는 외장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권취후 압박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6V로서, 전자장비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전지나, 니켈-수소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이차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전해질 전지와 고분자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폴리머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그리고 파우치형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에 채용되는 전극조립체로는,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하고 이를 건조시킨 후, 롤 프레싱 및 절단하여 각각 형성시킨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separator)를 삽입하여 권취시킨 젤리-롤(Jelly-Roll)형의 전극조립체가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각형 또는 파우치 전지에서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를 타원형으로 권취한 다음 압박하여 평평하게 한 후 전지 케이스에 수납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0)는 양극판(11) 및 음극판(12)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3a)(13b)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11)은 스트립상의 양극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코팅부(미도시)와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11a)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극판(12)은 스트립상의 음극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코팅부(미도시)와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1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2) 사이에는 다공성의 세퍼레이터(13a)(13b)가 개재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감기게 된다.
상기 양극판(11)의 양극 무지부(11a)와 음극판(12)의 음극 무지부(12a)에는 각각 양극탭(14)과 음극탭(15)이 용접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탭(14)과 음극탭(15)의 각 상부면에는 고정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들(16a)(16b)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전극조립체(10)가 구성된 후에는 통상적인 비원형의 맨드렐(mandrel, 미도시)에 의해 권취된 후 압박되어진다.
도 2에 전극조립체가 권취된 후 압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0)는 대략 타원형으로 권취되어 있으며, 맨드렐에 의해 권취한 후 이를 제거함에 따라 상기 맨드렐의 크기에 해당하는 공간부가 전극조립체(10)의 중앙부에 존재하게 되며, 상기 전극조립체(10)의 주변부는 중앙부보다 조밀하게 권취된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양극탭(14) 및 음극탭(15)은 전극조립체(10)의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조립체(10)가 권취된 상태에서 상하로 압박하게 되면 전극조립체(10)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공간부가 줄어들면서 평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전극조립체(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양극탭(14) 및 음극탭(15)은 그 자체적으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탭들(14)(15)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넓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전극조립체(10)를 압박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전극조립체(10)의 중앙부보다는 주변부가 조밀하므로 전극조립체(10)를 압박하게 되는 그 힘이 중앙으로 집중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넓은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탭들(14)(15) 사이에 위치되는 양극판(11), 음극판(12), 및 세퍼레이터들(13a)(13b) 부분이 연신되어 구부러지며, 탭들(14)(15)의 위치도 틀어지는 것과 같은 변형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극조립체(10)가 구성됨에 따라, 전지의 초기 충방전시 전극조립체(10)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팽창하는 힘에 의해 전극조립체(10)가 변형되어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극탭 및 음극탭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좁혀 이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권취한 후 압박할 경우에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극조립체를 권취한 후 압박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극조립체를 권취한 후 압박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전극조립체를 채용한 이차전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전극조립체 21..양극판
21a..양극 무지부 22..음극판
22a..음극 무지부 23a,23b..세퍼레이터
24..양극탭 25..음극탭
26..보호부재 31..외장재
32..케이스 33..커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는,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양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이 형성된 양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양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음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 활물질이 형성된 음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위치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들 사이의 접촉되지 않는 간격은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각 폭 길이를 합한 것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여기서,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상부면에는 이들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부재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재들은 상호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양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이 형성된 양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양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음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 활물질이 형성된 음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위치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들 사이의 접촉되지 않는 간격은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각 폭 길이를 합한 것보다 작은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호 융착 결합되어 전지를 밀봉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는 외장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상부면에는 이들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부재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재들은 상호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0)는 양극판(21), 음극판(22), 및 세퍼레이터들(23a)(23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적층되어 권취됨으로써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양극판(21)은 스트립 형상의 금속박판으로 된 양극 집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 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는 양극 코팅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계산화물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함유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판(21)에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21a)가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단부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 무지부(21a)는 권취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권취 후에는 전극조립체(20)의 최내각 중심에 위치되어진다. 상기 양극 무지부(21a)에는 양극탭(24)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양극판(21)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음극판(22)은 스트립 형상의 금속박판으로 된 음극 집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음극 집전체로는 구리 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는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코팅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함유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극판(22)에는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22a)가 음극집전체의 일단부에 소정 길이를 가진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음극 무지부(22a)는 권취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권취 후에는 전극조립체(20)의 최내각 중심에 위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음극 무지부(22a)에는 음극탭(25)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음극판(22)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양극판(21)과 음극판(22) 사이에는 세퍼레이터(23a)가 설치되어, 양극판(21)과 음극판(22) 사이를 상호 절연하는 한편, 극판들(21)(22)간에 활물질 이온이 교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양극판(21) 또는 음극판(22)의 외측에는 또 다른 세퍼레이터(23b)가 설치되어 권취시 양극판(21)과 음극판(22) 사이를 상호 절연시키게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들(23a)(23b)은 전극조립체(20)가 수축 및 팽창되더라도 극판들(21)(22) 사이를 완전히 절연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극조립체(20)의 상부로는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이 양극판(21) 및 음극판(22)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서는 극판(21)(22)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절연테이프가 감싸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이 접합되는 부위에는 그 상부면으로 보호 부재들(26a)(26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호부재들(26a)(26b)은 상기 접합되는 부위를 보호하여 단락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열성을 가지는 소재,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고분자 수지가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호부재들(26a)(26b)은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각각에 대해 접합되는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은 종래에 비하여 최대한 근접되게 위치되어 있다.
상술하자면, 상기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범위까지 근접되는데, 상기 양극탭(24)의 일측면과 이와 대향되는 음극탭(25)의 일측면 사이, 즉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간격(G)이 상기 양극탭(24)의 폭 길이(W1)과 음극탭(25)의 폭 길이(W2)를 합한 것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의 상부면에 각각 접합되는 보호부재들(26a)(26b)이 상호 중첩되지 않는 범위까지 최대한 근접되어 위치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보호부재들(26a)(26b)이 중첩되면 보호부재들(26a)(26b)의 자체 두께 때문에 권취후 전극조립체(20)의 중앙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양극탭(24)의 폭 길이(W1) 및 음극탭(25)의 폭 길이(W2)가 각각 5mm이고, 상기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의 상부면에 접합되는 보호부재들(26a)(26b)의 폭 길이(W3)가 각각 9mm라 한다면, 상기 양극탭(24)과 음극탭(25)의 각 중심으로부터의 간격은 9mm까지, 상기 양극탭(24)과 음극탭(25)의 상호 접촉되지 않는 간격(G)은 4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양극탭(24) 및 음극탭(25) 사이의 간격(G)이 최대한 좁혀진 구조를 가지게 되면, 양극판(21), 음극판(22), 및 세퍼레이터들(23a)(23b)이 권취된상태가 양극탭(24)의 양측과 음극탭(25)의 양측으로 소정의 여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취된 전극조립체(20)가 압박되어지면, 압박되는 힘이 전극조립체(20)의 중앙부와 주변부로 분산될 때, 상기한 여유 공간에 의해 양극판(21), 음극판(22), 및 세퍼레이터들(23a)(23b)이 탭들(24)(25)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신될 수 있어, 전극조립체(20)의 중앙부, 특히 양극탭(24)과 음극탭(25) 사이에서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지의 초기 충방전시에 전극조립체(20)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팽창하는 힘이 전극조립체(20)의 중앙부와 주변부로 분산될 때, 상기한 여유 공간에 의해 양극판(21), 음극판(22), 및 세퍼레이터들(23a)(23b)이 탭들(24)(25)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신될 수 있으므로, 전극조립체(20)가 변형되어 틀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극조립체(20)는 비원형의 맨드렐에 의해 권취된 후 압박되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압박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20)에 있어서, 양극탭(24)과 음극탭(25) 사이가 상호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좁혀져 위치됨에 따라, 압박시 중앙부와 주변부로 분산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전극조립체(20)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에는 전술한 전극조립체가 채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30)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20)와, 상기 전극조립체(20)를 감싸서 밀봉하는 외장재(31)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전극조립체(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상기 외장재(31)는 파우치 형태로서, 전극조립체(20)가 안착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를 밀봉시키는 커버(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장재(31)는 기본적으로 절연층, 금속층 및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최내각층으로서, 절연성 및 열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층은 수분 침투 방지와,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층은 최외각층으로서 전지 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외장재의 적층 구조는 여러 가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장재(31)에 있어서, 커버(33)와 케이스(32) 내측의 가장자리면에 위치된 절연층이 열에 의해 용융되어 상호 융착됨으로써, 상기 커버(33)와 케이스(32)가 상호 결합되어지고, 이에 따라 전지(30)가 밀봉된다. 이때, 상기 전극조립체(20)로부터 인출된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은 외장재(31)의 외부로 돌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돌출된 양극탭(24) 및 음극탭(25)은 외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의 외장재에 수용되어 이차전지가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양극탭 및 음극탭 사이를 권취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위치시키며, 이들 사이의 접촉되지 않는 간격이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각 폭 길이를 합한 것보다 작도록 함으로써,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권취한 후 압박할 경우에 압박하는 힘에 의한 전극조립체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전지의 초기 충방전시에 전극조립체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팽창하는 힘에 의한 전극조립체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양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이 형성된 양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양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음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 활물질이 형성된 음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위치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들 사이의 접촉되지 않는 간격은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각 폭 길이를 합한 것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상부면에는 이들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부재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재들은 상호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4.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양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 활물질이 형성된 양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양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권취시 최내각에 위치되며 음극 활물질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를 가지는 박판의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 활물질이 형성된 음극 코팅부를 구비하는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위치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들 사이의 접촉되지 않는 간격은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각 폭 길이를 합한 것보다 작은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호 융착 결합되어 전지를 밀봉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는 외장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의 상부면에는 이들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부재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재들은 상호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30002957A 2003-01-16 2003-01-16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040065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57A KR20040065787A (ko) 2003-01-16 2003-01-16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57A KR20040065787A (ko) 2003-01-16 2003-01-16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787A true KR20040065787A (ko) 2004-07-23

Family

ID=3735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957A KR20040065787A (ko) 2003-01-16 2003-01-16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57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17B1 (ko) * 2006-02-13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이차전지
KR101285745B1 (ko) * 2010-08-2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젤리-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17B1 (ko) * 2006-02-13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이차전지
KR101285745B1 (ko) * 2010-08-2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젤리-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359301B1 (ko) * 2010-08-23 2014-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젤리-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649B1 (ko)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US7585589B2 (en)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276102B2 (ja)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8986871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JP4485217B2 (ja) ジェリーロール型の電池部と、このワインディング方法及びこれを具備し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635761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KR100515833B1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0601504B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686851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재료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20050112421A (ko) 이차전지
KR20040054113A (ko) 파우치형 케이스와,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JP4490209B2 (ja) 電極タップを缶の短辺部に位置させた二次電池
KR100472510B1 (ko)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리튬이차전지
KR100502347B1 (ko) 각형 이차전지
KR20040005242A (ko) 단락방지수단이 형성된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리튬이차전지
KR100591435B1 (ko)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948847B1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040042373A (ko) 원통형 이차전지
KR20040065787A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0515834B1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040022919A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040022718A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040107040A (ko)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31

Effective date: 2012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