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264A -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264A
KR20040063264A KR1020030000620A KR20030000620A KR20040063264A KR 20040063264 A KR20040063264 A KR 20040063264A KR 1020030000620 A KR1020030000620 A KR 1020030000620A KR 20030000620 A KR20030000620 A KR 20030000620A KR 20040063264 A KR20040063264 A KR 2004006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reaction
chloro
chloromandelic acid
optically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338B1 (ko
Inventor
김종근
조남륜
홍준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3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2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모(Baker's Yeast)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R)-2-chloromandelic acid)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인산 버퍼 용액 존재하에서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Alkyl 2-Chloro-benzoylformate)를 효모(Baker's yeast)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환원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가격이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효모를 사용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경제성이 뛰어나며, 광학순도 및 수율이 높아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R)-2-chloromandelic acid and its ester derivatives using Baker's Yeast}
본 발명은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R)-2-chloromandelic acid) 및 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Alkyl 2-Chloro- benzoylformate)를 버퍼(buffer) 용액에 용해시킨 후, 빵을 만들 때 사용하는 효모(Baker's yeast)를 작용시켜 케톤(ketone)기를 (R)-폼의 알코올로 비대칭 환원(asymmetric reduction)시키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 화합물은 혈전방지제로 사용되는 플라빅스(Plavix)의 합성에 필요한 중간체로 사용되고 있다. 플라빅스(Plavix)는 1998년 사노피(Sanofi)사에 의해 출시된 혈전방지제로서 화학명은 (S)-클로피도그렐 바이설파이트((S)-Clopidogrel bisulfate)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1989년 사노피(Sanofi)사가 발표한 (S)-클로피도그렐 바이설파이트의 제조방법(미국특허 제4,847,265호)을 보면, 사노피사는 라세믹체의 2-클로로만델릭산(2-chloromandelic acid)에 테트라하이드로시에노[3,2-c]피리딘 (tetrahydrothieno[3,2-c]pyridine)을 도입한 후에 캄포설포닉산(camphorsulfonic acid)을 사용한 화학분할(chemical resolution)을 통하여 광학활성의 (S)-클로피도그렐 바이설파이트를 제조하였다. 이 방법의 경우 반응의 후단에서 화학분할을 수행함으로써 수율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중간체로서 광학활성의 (R)-2-클로로만델릭산을 얻는 방법으로는 화학분할, 비대칭 촉매(asymmetric catalysis) 또는 효소분할(enzymatic resolution) 등이 있다. 2001년 노다 히로부미(NODA hirobumi) 등이 발표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1-072644호에서는 (R)-N-벤질-1-페닐에틸아민((R)-N- benzyl-1-phenylethylamine)을 분할제(resolving agent)로 사용하여 라세믹 2-클로로만델릭산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염(diastereomeric salt)을 만들고 이를 재결정 과정을 통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 순도(diastereomeric excess)로 99.0%의 순수한 염(salt)으로 만들었다. 이때의 수율은 90.4%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을 산성화를 통하여 (R)-2-클로로만델릭산으로 만들었는데 이때 광학순도는 100% e.e. 였으며, 수율은 90%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론상 수율이 50%을 넘지 못하고 재결정 과정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2002년 노쓰 마이클(NORTH MICHAEL) 등은 국제공개특허 WO 02-10095호에서 키랄 리간드(Chiral ligand)를 가진 촉매를 이용하여 광학활성의 (R)-2-클로로만델릭산을 합성하는 방법을 발표하였다. 이 방법은 살렌(salen) 계열의 키랄 리간드와 Ti를 사용하여 2-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의 시안산화(cyanation)와 아세틸화(acetylation)을 이용한다. 88.6%의 수율로 얻어진 (R)-O-아세틸-시아노히드린((R)-O-acetyl-cyanohydrin)은 88.3%의 e.e.를 가지는데, 이의 가수분해를 통하여 (R)-2-클로로만델릭산을 제조한다. 이렇게 얻어진 (R)-2-클로로만델릭산를 시드(seed)로 사용하는 재결정 과정을 통하여 99% e.e.의 (R)-2-클로로만델릭산을 얻는다. 이 방법은 화학분할방법에 비하여 이론 수율이 높지만, 비대칭 반응을 수행하는 반응온도가 -42℃를 유지해야 하고 재결정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시아노히드린은 효소 반응에서도 이용이 되는데, 2001년 디버사(Diversa)(Co.)는 유럽공개특허 제1242589호와 국제공개특허 WO 01-48175호에서 니트릴라제(nitrilase)를 사용한 시아노히드린의 가수분해와 연속적인 라세믹화(racemization)를 통하여 98% e.e.로 (R)-2-클로로만델릭산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표하였다. 이때 사용한 니트릴라제는 디버사의 직접진화(Direct evolution) 기술을 사용하여 만든 효소로서, 이 방법 역시 화학분할방법에 비하여 수율이 높지만, 새로 만든 효소의 대량생산 등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많아 당장 상업화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간단한 공정을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우수하며, 광학순도가 높은 광학활성의 (R)-2-클로로만델릭산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위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경제적인 제조공정을 개발하고자 출발물질로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alkyl 2-chloro-benzoylformate)를 사용하고,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효모를 이용한 α-케토(keto) 에스테르의 비대칭 환원반응이라는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상기 비대칭 환원반응은 이론 수율이 100%로서 효소 또는 화학 분할(이론 수율 50%)에 비해 월등히 높은 생산성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효모(Baker's Yeast)는 쉽게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매우 싸기 때문에 기존 방법에 비해 경제적인 제조 공정의 개발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모라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친환경적 공정이면서 시간당 생산 효율이 증가되어 경제적인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로부터 광학활성의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인산 버퍼 용액 존재 하에서,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를 효모로 선택적으로 환원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효모에 의한 비대칭 환원반응의 기질로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를 사용하였는데, 이 화합물은 라세믹 2-클로로만델릭산을 HCl 존재하에서 용매로 사용하는 다양한 알코올과의 반응으로 라세믹 알킬 2-클로로만델레이트로 만들고, 이를 NaOCl과 염화벤질트리에틸암모늄과 같은 상전이 촉매를 이용한 산화반응을 통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를 pH 6∼8의 인산 버퍼 용액에 넣고 효모를 별도의 처리 공정 없이 첨가한 다음, 상기 반응 혼합물을 20∼37℃의 온도에서 100∼300rpm으로 교반시켜 α-케토 그룹(keto group)을 선택적으로 환원 반응시킴으로서 광학활성을 갖는 알킬 (R)-2-클로로만델레이트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비대칭 환원반응 공정은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여기서, R은 저급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 좀더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효모는 사카로미케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Type II로서 직접 배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시그마사와 같은 시약회사 또는 많은 효모 생산 회사에서 제품으로 나와 있으므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효소 반응 온도는 20∼37℃가 바람직하며, 반응 온도가 낮아질수록 반응 속도가 떨어지고 반응온도가 높아질수록 생성물의 광학순도가 떨어져 최적온도는 3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소 반응시의 pH는 pH 6∼8의 범위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pH가 6.0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고, pH가 8.0을 초과하면 광학순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최적 pH는 7.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효모와 기질의 비율은 무게비로 1 : 0.1∼1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기질의 양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 효율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학활성의 알킬 2-클로로만델레이트는 다이셀(Daicel) 사의 키랄 칼럼인 키랄셀(Chiralcel) OD-H 칼럼을 써서 HPLC에서 R-폼과 S-폼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이때 HPLC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n-헥산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97 : 3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이동상을 0.5ml/분의 속도로 흘려주고 흡광도를 254nm로 하여 분석하면 되며, 각 생성물의 머무름 시간 (retention time)은 하기 표 1과 같다.
생성물 머무름 시간 (retention time)
메틸 (S)-2-클로로만델레이트 29.588
메틸 (R)-2-클로로만델레이트 36.258
에틸 (S)-2-클로로만델레이트 24.723
에틸 (R)-2-클로로만델레이트 29.713
부틸 (S)-2-클로로만델레이트 19.523
부틸 (R)-2-클로로만델레이트 23.038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틸 2-클로로만델레이트의 제조
2-클로로만델릭산(33g, 0.18mol)을 메탄올 100㎖에 녹인 후, 진한 염산 2㎖를 첨가한다. 반응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며 80℃로 가열한다. 반응물을 상온으로 식힌 후, CH2Cl2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추출액을 NaHCO3포화용액으로 씻은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다. 용매 CH2Cl2를 제거하고, 증류를 통하여 메틸 2-클로로만델레이트(32g, 0.16mol)를 얻었다.
실시예 2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메틸 2-클로로만델레이트(32g, 0.16mol)를 EtOAc 50㎖에 녹이고, NaOCl(13%, 81㎖, 0.22mol) 수용액을 가한다. 여기에 상전이 촉매로 염화벤질트리에틸암모늄(0.7g, 3.2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동안 교반하여 반응한다. EtOAc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한다. 용매를 제거하고, 증류를 통하여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 (29g, 0.14mol)를 얻었다.
실시예 3
효모를 이용한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의 비대칭 환원반응
100mM 인산용액 (pH 7.0) 150㎖에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 1.5g, 효모(사카로미케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Type II 7.5g, 포도당 4.5g을 넣고 3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중의 pH는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6.5∼7.5 사이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일정 시간마다 반응 샘플을 채취하여 반응 진행 상황을 분석하였다. 4시간 반응 후 GC 상에서 분석된 환원반응의 전환율은 99.9%를 기록하였고, 이때 LC상에서 광학순도를 측정한 결과, 생성된 생성물인 메틸 (R)-2-클로로만델레이트의 광학순도는 98.5% e.e. 였다.
실시예 4
(R)-2-클로로만델릭산의 제조
NaOH (0.6g, 0.015 mol)을 20㎖ 물에 녹이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광학순도 98.5% e.e.의 메틸 2-클로로만델레이트(2.2g, 0.011 mol)을 첨가한다.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한 후, 산성조건에서 EtOAc로 추출한다. 용매를 제거하고 얻은 생성물은 톨루엔/헥산에서 재결정하여 순수한 (R)-2-클로로만델릭산(1.5g, 0.008mol, e.e.>99%)를 얻었다. ([a]d= -131.94, c=3, H2O, 30.6℃).
실시예 5
비대칭 환원반응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100mM의 인산용액(pH 7.0) 150㎖에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를 1.5g, 사카로미케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Type II 7.5g, 포도당 4.5g을 넣은 뒤 온도를 20, 30 및 37℃로 변화시켜 반응하였다. 반응중의 pH는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6.5∼7.5 사이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일정 시간마다 반응 샘플을 채취하여 반응 진행 상황을 분석하였다. 반응 온도에 따른 반응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반응 결과 37℃의 경우 반응 속도는 빨라졌으나 생성물의 광학순도가 낮아졌으며, 20℃의 경우에는 반응 속도가 30℃의 경우보다 떨어져 최적온도는 3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칭 환원반응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반응온도(℃) 반응 시간(hr) GC 전환율 (%) 광학순도 (% ee)
20 7 99.8 98.2
30 4 99.9 98.5
37 2 99.8 93.4
그러나 상기 반응에서 광학순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도, 실시예 4와 같은 조건으로 가수분해 및 재결정 반응을 수행하면 광학순도 99% e.e. 이상의 (R)-2-클로로만델릭산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비대칭 환원반응에 미치는 pH 의 영향
실시예 5의 반응 조건에서 반응 온도는 30℃로 유지하고 기타 조건은 같은 상태에서 반응 pH를 pH 6 미만, pH 6.5∼7.5 사이 유지, 및 pH 8을 초과하는 조건으로 pH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 6 미만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pH 8을 초과하는 경우는 전환율은 99% 이상 유지하였으나 생성물(product)의 광학순도가 약 93.5% e.e.로서 pH 6.5∼7.5 사이를 유지한 경우에 비해 떨어졌다. 따라서 반응의 최적 pH는 7.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반응에서 광학순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도, 실시예 4와 같은 조건으로 가수분해 및 재결정 반응을 수행하면 광학순도 99% e.e. 이상의 (R)-2-클로로만델릭산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비대칭 환원반응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
효모를 이용한 비대칭 환원반응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질을 다른 에스테르로 바꾸어 실험하였다. 이때 반응 조건은 실시 예 3과 같다. 실험 결과 다른 종류의 에스테르 화합물 모두 광학 순도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중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가 반응 시간 및 전환율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실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비대칭 환원반응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
사용기질 반응시간 (hr) GC 전환율 (%) 광학순도 (% ee)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 4 99.9 98.4
에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 4 88.5 98.5
부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 5 99.7 98.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효모를 사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높은 광학순도의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공정은 기존의 제조방법과 비교할 경우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효모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 공정이면서 시간당 생산 효율이 증가되어 경제적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한 것이 장점이다. 특히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를 반응 기질로 사용할 경우, 주요 혈전 치료제 의약품인 플라빅스((S)-클로피도그렐 바이설파이트)의 중간체로 사용되는 메틸 (R)-2-클로로만델레이트을 광학순도 98% e.e. 이상의 제품으로 만들 수 있어 추가의 가수분해와 재결정 과정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인산 버퍼 용액 존재하에서,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를 효모(Baker's Yeast)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환원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는 메틸 2-클로로-벤조일포르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케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Type I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환원반응의 온도는 20∼37℃이고, pH는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환원 반응의 온도는 30℃이고, pH는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환원 반응의 효모와 기질의 비율은 무게비로 1 : 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00620A 2003-01-06 2003-01-06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65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20A KR100651338B1 (ko) 2003-01-06 2003-01-06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20A KR100651338B1 (ko) 2003-01-06 2003-01-06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264A true KR20040063264A (ko) 2004-07-14
KR100651338B1 KR100651338B1 (ko) 2006-11-28

Family

ID=373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620A KR100651338B1 (ko) 2003-01-06 2003-01-06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55B1 (ko) * 2006-01-05 2007-05-28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2-클로로만델릭산 에스테르와 2-클로로만델릭산의 제조 방법
KR100752282B1 (ko) * 2003-10-11 2007-08-29 주식회사 이큐스팜 효소를 이용한(r)-또는 (s)-폼의 2-클로로스틸렌옥사이드의 제조방법
US11450245B2 (en) 2017-04-03 2022-09-20 Daktronics, Inc. Face cover for a display modu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82B1 (ko) * 2003-10-11 2007-08-29 주식회사 이큐스팜 효소를 이용한(r)-또는 (s)-폼의 2-클로로스틸렌옥사이드의 제조방법
KR100722155B1 (ko) * 2006-01-05 2007-05-28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2-클로로만델릭산 에스테르와 2-클로로만델릭산의 제조 방법
US11450245B2 (en) 2017-04-03 2022-09-20 Daktronics, Inc. Face cover for a display module
US11783735B2 (en) 2017-04-03 2023-10-10 Daktronics, Inc. Face cover for a displa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338B1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5269C (en) Enzymati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cyanohydrins
JP4015450B2 (ja) 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4591347B2 (ja) 3−アミノ−3−アリールプロピオン酸n−アルキル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活性3−アミノ−3−アリールプロピオン酸及びその対掌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0651338B1 (ko) 효모를 이용한 광학활성 (r)-2-클로로만델릭산 및 그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US7582469B2 (en) Method for enantioselectively opening oxetan-2-ones
EP0620857B1 (en) Synthesis of homochiral 2-hydroxy acids
NZ521087A (en) Method for the enzymatic resolution of the racemates of aminomethy-aryl-cyclohexanol derivatives
KR100846673B1 (ko) 엘-카르니틴의 제조방법
WO2007078176A1 (en) The method of making optically active 2-chloromandelic acid esters and 2-chloromandelic acids by enzymatic method
EP1290208B1 (en)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a racemic alpha-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using enzyme
EP1811037B1 (en) Optically active cyclopentenones for use in the peparation of prostaglandins
WO2001092554A1 (en) Method for preparing an r- or s-form of alpha-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and a counter enantiomeric form of alpha-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ester thereto using enzyme
Kolodiazhna et al.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vicinal fluorocyclopentanols and fluorocyclopentanamines by enzymatic deracemization.
KR20070076549A (ko) 광학적으로 활성인 사이클로펜텐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사이클로펜텐온
WO2007126258A1 (en) The method of making optically active 2-halo-2-(n-substituted phenyl)acetic acid esters and 2-halo-2-(n-substituted phenyl)acetic acids by enzymatic method
KR100545472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시스-1-r아미노-2-인다놀 및 그의 에스테르 제조방법
KR100359028B1 (ko) 키랄 알릴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4608963B2 (ja) 光学活性3−アリール−3−ヒドロキシプロピオン酸及び光学活性3−アリール−3−ヒドロキシプロピオ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4608938B2 (ja) 光学活性3−アルキル−3−アリールプロピオン酸及び光学活性3−アルキル−3−アリールプロピオン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0910645B1 (ko) (알)-3,4-에폭시부틸산 및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80816B1 (ko) (알)-3,4-에폭시부틸산 및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JP4461642B2 (ja) 光学活性トランス−2−オキソ−4−オキサゾリジンカルボン酸及びエステル類の製造方法
JP2003125795A (ja) 光学活性2−アシルチオ−3−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類又は光学活性2−メルカプト−3−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類の製造法
WO2006009338A1 (en) Process for preparing chiral substituted carboxylic acid
JP2003144190A (ja) 光学活性s−6−ヒドロキシ−2,5,7,8−テトラメチルクロマン−2−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