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179A -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179A
KR20040061179A KR1020020086971A KR20020086971A KR20040061179A KR 20040061179 A KR20040061179 A KR 20040061179A KR 1020020086971 A KR1020020086971 A KR 1020020086971A KR 20020086971 A KR20020086971 A KR 20020086971A KR 20040061179 A KR20040061179 A KR 2004006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voice
screen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주식
Original Assignee
전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식 filed Critical 전주식
Priority to KR1020020086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179A/en
Publication of KR2004006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17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eparabl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minimize influence of electronic wave on a user. CONSTITUTION: A main body(120)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ransmits a voice signal received related to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to a manipulating unit(11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link(130), and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and a voice signal from the manipulating unit(110). The manipulating unit(110) displays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120) on a screen, processes the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a speaker, and transmits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user's manipulation to the main body(12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link(130).

Description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Detachable mobile terminal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출력의 높은 주파수(예:수백 메가 헤르쯔, 수 기가 헤르쯔) 대역의 전자파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파는 인체에 유해하다고 알려져 있다. 일 예로, 전자파가 뇌종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지 못하고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high frequency high frequency (eg, hundreds of megahertz, several gigahertz) band of electromagnetic waves. However, these electromagnetic waves are known to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For example, it has not been proven that electromagnetic waves are not a direct cause of brain tumors.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일의 하우징으로 구현된다. 이로 인해, 마이크와 스피커를 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할 때에, 사용자의 머리부분(특히 뇌)이 안테나 주변의 전자파에 많이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이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lemented in a single housing.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calls the other party while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ll, the user's head (particularly the brain) is exposed to a lot of electromagnetic waves around the antenna.

한편, 개발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기본적인 음성 통화 기능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점점 많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인터넷 검색 기능, 영상(정지영상, 동영상) 신호 수신 기능, 디지털 카메라 기능, 엠피쓰리 플레이 기능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당되는 부품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에 모두 수용해야 하여, 그만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일의 하우징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의 모든 부품들을 모두 수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단일 하우징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시간 들고 사용하는 경우 목, 팔, 손등의 근육에 무리가 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variety of functions are being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o the basic voice call function.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net search function, a video (still image, video) signal reception function, a digital camera function, an MP3 play function, and the like.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these various functions, all corresponding parts must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lemented as a single housing as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limit to accommodating all the above components, and whe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ingle housing for a long time, the muscles of the neck, arms, hands, etc. There is a problem that goes to the crowd.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도출된 것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본체부와 조작부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제시하여,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is situation, by present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physically separat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to minimize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user For that purpose.

나아가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본체부와 조작부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제시하여,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경박단소의 조작부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송화/수화 기능, 후크 온/오프 기능, 다이얼링 기능, 다양한 화면 디스플레이(텍스트, 그래픽, 영상)기능, 그 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명령 등)과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minimizing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user and moving only to the light and small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interface with various functions of communication terminal (send / receive function, hook on / off function, dialing function, various screen display (text, graphic, video) function, operation comman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The purpose.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가 서로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상기 조작부와 본체부간에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wire and / or wirelessly, and efficiently converts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by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tween the operation unit and the main body. Another purpose is to allow transmission and recep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간단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impl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도 1은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1 is an example of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예.2 is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각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부; 및 조작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가,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 사용자 조작신호 및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생성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와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작부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각각 상기 음성 처리부와 주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가,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보조 제어부; 및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 및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각각 상기 음성 출력부 및 화면 표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음성 송신신호 및 사용자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which is physically separated, the body por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n operation unit, wherein the main unit comprises: an RF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A voice processor which cod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decodes a demodulated voice signal; A main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a user operation signal and a demodulated communication control reception signal, generating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ing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receive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transmit the same through 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and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a user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via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respectively, wherein the operation unit comprises: a voice input unit which receives a voice from a microphone and generate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decoded voice received signal to a speaker; A screen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 auxiliary control unit generating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transmit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to the voice output unit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respectively, and transmit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And a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transmission through 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connected to the main body.

이에 따라,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경박단소의 조작부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예;송화/수화 기능, 후크 온/오프 기능, 다이얼링 기능, 문자 메시지 송신 기능, 텍스트, 그래픽, 영상 디스플레이 기능, 그 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명령 등)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user is minimized,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g, a call / signal function, a hook on / off function, a dialing func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a text, a graphic, and a video) are performed using only a light and small control panel. Display function, and other operation command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가,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수신신호 및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 그래픽,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나 상기 화면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or a screen display signal including the data received signal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text, graphics, and video data generated by the program proceed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ne of the control signal for the screen display.

이에 따라, 수신 복조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표시 신호를 본체부에서 조작부로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조작부에서 수행할 수가 있으며, (본체부->조작부)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신호 전송 데이터양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not only the received demodulated data but also the screen display signals generated by the progress of the own program can be provided from the main body to the operation unit, and various user interface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erformed at the operation unit. The amount of signal transmission data can be reduced efficiently between the <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의 보조 제어부가,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부를 제어하여 메뉴 선택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모드 진입을 가능하도록 하고,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 그래픽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control unit of the operation unit controls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user operation unit to enab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ter various modes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and is generated by proceeding with its own program. And providing a screen display signal including text and graphic signals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ler.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모드로의 진입을 조작부 자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본체부->조작부)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신호 전송 데이터양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ntry into the various mo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de by the operation unit itself, and the amount of signal transmission data can be efficiently reduced between the (main unit-> operation unit).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가,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와 음성 수신신호를 단일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다중화되어 전송된 단일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사용자 조작신호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 및 음성 송신신호를 단일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다중화되어 전송된 단일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음성 수신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multiplexes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the voice reception signal into a single packet stream to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Transmit and demultiplex a single packet stream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y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user operation signal included in the single packet stream to the main controller, and transmit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A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multiplexes the user operation signal and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into a single packet stream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nd is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y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Demultiplexed single packet streams into the single packet stream Passing contained display signal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and wherein the output delivered to the voice the speech reception signal contained in the single packet stream.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상기 조작부와 본체부간에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operation unit and the main body.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각각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간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 및 조작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가,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는 음성 처리부;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조작신호 및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작부가,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처리부로 송신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로 송신하는 보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s each physically separated,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mmunication cable; And an operation unit, wherein the main unit comprises: an RF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A voice processor for coding and transmitting a voice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decoding a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 us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 demodulated communication control recepti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generate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e a display related signal to generate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A mai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operation unit through a cable; wherein the operation unit receives a voice from a microphone, generate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voice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n input unit;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ecoded voic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to a speaker; A screen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n auxiliary control unit which generates the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ransmits the user control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 간의 신호 송/수신을 간단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imply implement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a further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물리적으로 본체부와 조작부로 나누어 구현하는 경우에,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경박단소의 조작부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예;송화/수화 기능, 후크 온/오프 기능, 다이얼링 기능, 문자 메시지 송신 기능, 텍스트, 그래픽, 영상 디스플레이 기능, 그 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명령 등)과 인터페이스 되도록 하여야 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is physically divided into a main body and an operation unit,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user is minimized,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g, a call / signal function and a hook on / off function are performed only with a light and small control panel). , Dialing function, tex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text, graphic, video display function, and other operation command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를 위해, 본체부에서 생성되는 (디코딩된)음성 수신신호 및 데이터 복조에 따른 텍스트, 그래픽, 영상 신호등이 효율적으로 조작부로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전송되는 데이터양을 줄일 수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표시 신호 자체를 전송하는 방안 외에도 화면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만을 송신하는 것을 고려할 수가 있다. 또한, 자체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의한 것이라면, 조작부 자체에서 해당 화면표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의 자체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의한 것이라면, 사용자 조작신호가 반드시 본체부로 전송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조작부 <-> 본체부)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패킷 다중화 통신 기법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와 조작부를 통신 케이블에 의해 연결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가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 간의 신호 송/수신이 간단히 구현될 것이다.To this end,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body and text, graphics, video signals, etc. according to data demodulation must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In addition,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should be reduced.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screen display signal itself constituting the screen, it may be considered to transmit only a control signal for screen display. In addition, if the program proceeds by itself, a method of allowing the corresponding display signal to be generated on the operation unit itself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if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program itself, the user operation signal may not necessarily be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In addition, a packet multiplexing communication technique may be considered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operator <-> main body). In addition, a method of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by a communication cable can be considered. In this cas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will simply be implemented.

도 1은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각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부(120); 및 조작부(110);로 이루어지되, 본체부(120)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119);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알에프(RF) 처리부(119)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117);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이동통신 처리부(117)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115); 사용자 조작신호 및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며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복조된 데이터 수신신호에 해당하는 화면표시 관련신호를 생성하는 주제어부(123); 및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와 화면표시 관련신호를 전달받아 조작부(110)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하여 송신하고,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해 조작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각각 음성 처리부(115)와 주제어부(123)로 전달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작부(110)는,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103);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01); 상기 화면표시 관련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109);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보조 제어부(105); 및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해 본체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 및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각각 음성 출력부(101) 및 화면 표시 제어부(109)로 전달하고, 상기 음성 송신신호 및 사용자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본체부(120)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해 송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main body 120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nd an operation unit 110, wherein the main body unit 120 includes: an RF (RF) processing unit 119 for wirelessly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a base station (not shown);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117) for demodulating the radio received signal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signal to an RF processor 119; A voice processor 115 for coding a voice transmission signal, transferr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117, and decoding the demodulated voice signal; A main control unit 123 corresponding to a user operation signal and a demodulated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and generating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ing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modulated data reception signal; ; And receiving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10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3) for transmitting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and the main control unit (123), respectively; The operation unit 110 may include a voice input unit 103 for receiving a voice from a microphone and generating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 voice output unit 101 for outputting the decoded voice received signal to a speaker;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 auxiliary control unit 105 for generating the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ransmits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to the voice output unit 101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respectively. And a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for receiving a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a user manipul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hrough 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120.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영상 처리부(121)가 이동통신 처리부(117)에서 복조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처리하거나 및/또는 자체 프로그램 수행에 의해 영상 처리한 신호를 주제어부(123)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1 performs the image processing of the image data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and / or the image processing signal by performing the program itself to the main control unit 123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본체부(120)는 기지국간에 고출력/고주파 무선신호를 직접 송/수신하고 무선 통신 제어를 수행하며, 기본적인 통화 기능을 위한 상대방의 수신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예:텍스트(예:문자 메시지, 시간 데이터), 그래픽(예:무선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한 신호), 영상 디스플레이(예:수신 영상신호,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한 신호)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유/무선 링크(130)를 통해 조작부(110)로 송신하며, 유/무선 링크(130)를 통해 조작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신호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송화/수화 기능, 후크 온/오프 기능, 다이얼링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그래픽 데이터 수신 제어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main body 120 directly transmits / receives a high power / high frequency radio signal between base stations and performs radio communication control, and includes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received voice signal of a counterpart for a basic call function (eg, Text (e.g. text messages, time data), graphics (e.g. signals from a wireless Internet site, signals from self-programming), and video displays (e.g. video signals received, signals from self-programming) The corresponding screen displa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11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and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110 are receiv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It performs call function, and also performs call / receive function, hook on / off function, dialing function, tex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graphic data reception control function, etc. .

본체부(120)에 구비되는 RF 처리부(117)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한다. 예컨대, RF 처리부(117)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 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 시킨다.The RF processing unit 117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120 wirelessly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not shown). For example, the RF processing unit 117 shifts the baseband transmission signal to a high frequency frequency band for radio output (may be subjected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step), amplifies it, and wirelessly outputs it through the antenna, which is received from the antenna. Transmit the high frequency signal to the base band (may go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step).

이동통신 처리부(115)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알에프(RF) 처리부(119)에 전달한다. 이때, 이동통신 처리부(115)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115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119.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115 performs a modulation / demodulation operation in a manner preset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5 may perform a CDMA modulation / demodulation operation such as channel coding / decoding and orthogonal code / decoding.

음성 처리부(115)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이야기한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인코딩하여 이동통신 처리부(117)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117)에 의해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상대측의 음성)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수행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115)는 주제어부(123)(또는 보조 제어부(105))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신호수신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시에 멜로디 음원 데이터를 음성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음성 처리부(115)는 조작부(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performs voice encoding on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hat the user talks through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and to the voice reception signal (the voice on the other side)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Perform voice decoding on the Also,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may voice-decode and output melody sound source data when an event such as a call signal reception is genera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ler 123 (or the auxiliary control unit 105). In addi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물론, 호출 발생시에는 조작부(110)에 구비되는 진동부(도시하지 않음.)가 주제어부(123)(또는 보조 제어부(10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진동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Of course, when a call occurs, a vibr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may perform a vibration oper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unit 123 (or the auxiliary control unit 105).

주제어부(123)는 이동통신 처리부(117)에 의해 복조된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사용자가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인식부, 필기체 인식부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부(107)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대응하며,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 처리부(117)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주제어부(123)는 이동통신 처리부(117)에 의해 복조된 (패킷 데이터등과 같은)데이터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이에 해당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화면표시 신호는 (문자 메시지 수신, 시간 데이터등에 의한)텍스트 신호, 인터넷 서버 등으로부터의 그래픽 및 영상(동영상/정지영상) 신호등이 될 수가 있다. 물론, 상기 화면표시 신호는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주제어부(123)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텍스트/그래픽/동영상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이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프로그램, 전자 다이어리 프로그램,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전화번호 관리 프로그램 등이 될 수가 있다.The main control unit 123 cor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user operation unit 107 such as a keypad, a touch panel, a voice recognition unit, a handwriting recognition unit,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user operation signal, and generates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thereb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123 analyzes a data reception signal (such as packet data)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screen display signal. The screen display signal may be a text signal (by text message reception, time data, etc.), a graphic and video (movie / still image) signal from an Internet server, or the like. Of course, the screen display signal may be a text / graphic /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23 by itself. The program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program, an electronic diary program, an Internet access program, a telephone number management program, or the like.

영상 처리부(121)는 이동통신 처리부(117)로부터 소정 형식(예:MPEG, JPEG)의 압축된 영상 영상데이터를 복원하는 등과 같이 영상 처리하여 주제어부(123)에 제공한다.The image processor 121 processes the im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117 and restores the compressed image data of a predetermined format (eg, MPEG, JPEG) to the main controller 123.

본체부(120)에 구비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는 유/무선 링크(130)를 통하여, 본체부(120)와 조작부(110)간의 신호 송/수신을 담당한다.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는 상기 음성 처리부(115)에 의해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와, 상기 주제어부(123)에 의해 생성된 화면표시 신호를 전달받아, 조작부(110)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는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해 조작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 조작 신호를 각각 음성 처리부(115)와 주제어부(123)로 전달한다.The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3 provided in the main body 120 is responsible for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120 and the operation unit 11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receives the voice reception signal decoded by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and the screen display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23, and is connected to the wired and / or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10. Transmit over wireless link 130. In addition,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transmit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110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and the main control unit 123, respectively. do.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음성 입/출력부분(103, 101), 사용자조작 부분(107, 105), 화면표시 부분(111, 109) 및 유/무선 링크(130)를 통해 본체부(120)와 데이터 송/수신 통신을 담당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본체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기본 통화기능을 위한)음성 수신 신호와, 텍스트/그래픽/영상 데이터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화면표시 신호를 각각 음성 출력부(101)와 화면표시 제어부(109)로 전달하며, (기본 통화기능을 위한)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의 사용자 조작신호를 본체부(12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unit 110 may include voice input / output parts 103 and 101, user operation parts 107 and 105, screen display parts 111 and 109, and wired / wireless links that are necessary for an interface when a user u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in charge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unit 120 through the 130, wherein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111 is the main body unit 120. The voice reception signal (for basic call function) and various kinds of screen display signals such as text / graphic / video data, etc., received from) are transmitted to the audio output unit 101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for a basic call function) and a user operation signal of a user to the main body unit 120.

이에 따라,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경박단소의 조작부(110)만으로도 송화/수화 기능, 후크 온/오프 기능, 다이얼링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및 다양한 종류(텍스트, 그래픽, 영상)의 화면 표시 기능, 그 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명령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ffec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on the user is minimized, and only the light and small control unit 110 can transmit / receive functions, hook on / off functions, dialing functions, tex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s, and various kinds (text, graphics, and video). Screen display function, and other operation command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perated.

조작부(110)에 구비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유/무선 링크(130)를 통하여, 조작부(110)와 본체부(120)간의 신호 송/수신을 담당한다.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음성 처리부(115)에 의해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와, 상기 주제어부(123)에 의해 생성된 화면표시 신호를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해 본체부(11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각각 음성 출력부(101)와 화면표시 제어부(109)로 전달한다. 또한,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음성 입력부(103)와 보조 제어부(105)로부터 각각 마이크 입력에 따른 음성 송신신호 및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본체부(120)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해 송신한다.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is responsible for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main unit 12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1 may transmit the voice reception signal decoded by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and the screen display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23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to the main body unit ( It receives from the 110, and delivers it to the audio output unit 101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receiv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 microphone input and a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from the voice input unit 103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105,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120. Transmit vi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음성 출력부(101)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로부터 음성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한다. 또한, 음성 입력부(103)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등으로 변환하고 이를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로 전달한다.The voice output unit 101 receives the voice reception signal from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and converts it into an audibl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through the speaker. In addition, the voice input unit 103 convert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nto a digital light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보조 제어부(105)는 사용자의 사용자 조작부(107)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로 전달하는 기본적 기능외에, 바람직하게 조작부(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어부(105)는 화면표시 제어부(109)를 제어하여, 각종 메뉴를 선택하고 메뉴선택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모드, 전자 다이어리 모드, 인터넷 접속 모드, 전화번호관리 모드, 진동/벨/멜로디/볼륨 설정 모드를 선택 및 설정할 수가 있고, 화면표시 신호(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그래픽/영상 신호등)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표시 제어부(109)에 제공할수가 있다.The auxiliary control unit 105 may process a signal inpu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user manipulation unit 107 to generate a user manipulation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Function to control the user interface. For example, the auxiliary control unit 105 controls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to select various menus and to man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mode, electronic diary mode, internet access mode, phone number management mode, vibration / bell /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set the melody / volume setting mode, generate a display signal (text / graphic /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self program progress), and provide it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9.

화면표시 제어부(109)는 상기 주제어부(123)에 의해 생성된 화면표시 데이터를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이미지화 하여 화면 표시부(111)로 화면 표시한다. 예컨대, 화면표시 제어부(109)는 직렬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프레임(예:LCD)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Video RAM(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할 수가 있다.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receives the screen display data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23 from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1, and images the screen display data on the screen display unit 111. For example,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can record data input in a serial form in a video RAM (not shown) in order to display the data in a predetermined frame (for example, LCD).

이하에서는 제 1 근거리 통신부(113)와 제 2 근거리 통신부(111) 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근거리 통신부(113, 111)는 텍스트 신호, 그래픽 신호, 영상 신호, 음성 송/수신 신호, 사용자 조작신호 그 외 각종 제어 데이터등과 같이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유/무선 링크를 통해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킷 다중화 통신 기술을 이용한다. 즉, 패킷 다중화 통신이라 함은, 송신측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여러 종류의 정보를 단일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면, 수신측에서는 상기 다중화되어 전송된 단일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원래의 정보들로 분리하는 것이다.Hereinafte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s between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and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will be described.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s 113 and 111 transmit / receive data in various formats such as text signals, graphic signals, video signals, audio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user manipulation signals, and various control data through wired / wireless links. To this e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 a packet multiplexed communication technique. That is, in the packet multiplexing communication, when multiple types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t the transmitting side are multiplexed into a single packet stream and transmitted, the receiving side demultiplexes th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single packet stream into original information. It is.

따라서,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는 데이터 수신신호 복조에 의하거나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텍스트, 그래픽,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와 음성 수신신호를 단일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하여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로 송신하고, 제 2 근거리 통신부(111)에 의해 다중화되어 전송된 단일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사용자 조작신호를 주제어부(123)로 전달하고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처리부(115)로 전달한다.Accordingly,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multiplexes the screen display signal including the text, graphics, and video signals and the audio received signal by a single packet stream by demodulating the data received signal or proceeding with its own program. It transmits to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via the wireless link 130, demultiplexes the single packet stream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y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to control the user operation signal included in the single packet stream. The processor 123 transmit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o the voice processor 115.

또한,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 및 음성 송신신호를 단일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130)를 통하여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로 송신하고, 제 1 근거리 통신부(113)에 의해 다중화되어 전송된 단일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텍스트, 그래픽,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화면표시 제어부(109)로 전달하고,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음성 수신신호를 음성 출력부(101)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multiplexes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nd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into a single packet stream, and transmits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to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via 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130. Demultiplexing a single packet stream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y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to transfer a display signal including text, graphics, and video data included in the single packet stream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09, and The voice reception signal included in the packet stream is transmitted to the voice output unit 1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부(111, 113)는 예를 들면, 무선랜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11, 113)가 무선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각 근거리 통신부(111, 113)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송/수신부(예:적외선 통신부등)가 포함된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본 발명에서는 다중화된 패킷 스트림)에 대하여 변조/복조, 주파수 변환, 필터링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하는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s 111 and 113 may transmit / receive data using, for example,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whe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s 111 and 113 are connected by a radio link, each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11 and 113 inclu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ransmitter / receiver (for example, an infrared communication unit). Since a techniqu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at a short distance by using techniques such as modulation / demodulation, frequency conversion, and filtering for data to be transmitted (multiplexed packet strea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know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t will be omitted.

또한, 근거리 통신부(111, 113)는 서로 동기가 확립되어야 한다. 근거리 통신부(113, 113)는 각각 상호 인증 코드(예:단말기 id, 키워드)를 가지며, 상기 상호 인증 코드를 상대측으로 송신하고, 또한 상대측으로부터 수신된 상호 인증 코드를 검사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들어오면, 근거리 통신부(111, 113)는 통신 채널을 초기화 할 때에 상호 인증을 수행하며 이후의 통신 과정에서도 상호 인증을 수행하여, 서로의 연결성(connectivity)을 유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113) must be established with each other.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s 113 and 113 each have a mutual authentication code (eg, terminal id and keyword), transmit the mutual authentication code to the other party, and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by checking the mutual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For exampl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s 111 and 113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when initializ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in subsequent communication processes, thereby establishing connectivity between each other. I can keep it.

또한, 예컨대, 근거리 통신부(111, 113)에는 암호화 및 해독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가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누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암호 키워드를 조작부(110)와 본체부(120)에 설정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되는 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 정보)를 암호화 및 해독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조작부(110)에서 가지고 있는 암호 키워드를 사용하여 보내고자 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한다. 그러면,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는 본체부(120)에서 가지고 있는 암호 키워드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여 원래의 전화번호 데이터를 알아낸다.Also, for example,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s 111 and 113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processing. 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may leak to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refore, the user can set the encryption keyword on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main body unit 120. For example, the process of encrypting and decrypting transmitted data (eg,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That is,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encrypts and transmits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o be sent using the encryption keyword of the operation unit 110. Then,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decrypts the encrypted information by using the encryption keyword of the main body unit 120 to find out the original telephone number dat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처리부(115)가 본체부(120)가 아닌 조작부(110)에 구비될 수가 있다. 이런 경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 코딩된 후에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를 통해 본체부(120)로 송신되게 되고, 제 1 근거리 통신부(111)를 통해 본체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성신호가 조작부(110)측에서 음성 디코딩되게 된다. 따라서, 무선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보안 유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instead of the main body unit 120. In this case, after the user's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is voice coded, the voice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and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voice decoded on the operation unit 110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security for voice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처리부(115)의 구성을 본체부(120)가 아닌 조작부(110)에 두게 되면, 상기 도 1에서, 본체부(120)에 구비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는 이동통신 처리부(117)에 의해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에 대하여 패킷 다중화 통신 등과 같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유/무선 링크(130)를 통하여 조작부(110)로 송신하고, 유/무선 링크(130)를 통해 조작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코딩된 송신신호에 대하여 상기 패킷 다중화 통신 등과 같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이동통신 처리부(117)로 전달한다. 또한, 조작부(110)에 구비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유/무선 링크(130)를 통해 본체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에 대하여 패킷 다중화 통신 등과 같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음성 처리부(115)(조작부(110)에 구비됨.)로 전달한다. 또한,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음성 처리부(11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코딩된 음성 송신신호에 대하여 패킷 다중화 통신 등과 같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유/무선 링크(130)를 통해 본체부(120)로 송신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is placed in the operation unit 110 instead of the main body 120, in FIG. 1,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3 provided in the main body 120 moves. The voice processing signal demodulated by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ss such as packet multiplex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operation unit 11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and transmits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The processor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ss such as the packet multiplexed communication on the voice coded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110 and transfer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In addition,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1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ss such as packet multiplex communication on the demodulated voic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unit 12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operation unit 110.). In addition,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1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ss such as packet multiplex communication with respect to the voice coded voice transmission signal input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and the main unit 12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link 130. To send).

또한, 음성 처리부(115)는 주제어부(123)(또는 보조 제어부(105))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신호수신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시에 멜로디 음원 데이터를 음성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may voice-decode and output melody sound source data when an event such as a call signal reception or the like occur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ler 123 (or the auxiliary control unit 105).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부(121)가 본체부(120)가 아닌 조작부(110)에 구비될 수가 있다. 이런 경우, 제 1 근거리 통신부(113)는 이동통신 처리부(117)에 의해 복조된 영상 데이터 수신신호를 (주제어부(123) 또는 이동통신 처리부(117)로부터)전달 받아 이를 패킷 다중화 통신 등을 사용하여 처리하고 유/무선 통신 링크(130)를 통해 조작부(110)로 송신한다. 제 2 근거리 통신부(111)는 상기 유/무선 통신링크(1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수신신호를 패킷 다중화 통신 등을 사용하여 처리하고 조작부(110)에 구비되는 영상 처리부(121)로 전달한다. 그러면, 영상 처리부(121)는 상기 복조된 영상데이터 수신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화면 표시 제어부(109)로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1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instead of the main body unit 120. In this case,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3 receives the image data reception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unit 123 or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17 and uses the packet multiplexing communication or the like. To the control unit 110 via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link 130.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processes the image data recep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link 130 using packet multiplexing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received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1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 Then, the image processor 121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demodulated image data recep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ler 109.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부(110)에 구비되는 영상 처리부(121)는 수신 신호의 처리가 아닌 자체 프로그램 수행에 의해 영상 처리된 신호를 화면 표시 제어부(109)로 전달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1 included in the opera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image processed signal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9 by performing a program itself instead of processing the received signal.

도 2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2 shows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각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간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220); 및 조작부(210);로 이루어지되, 본체부(220)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219);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알에프(RF) 처리부(219)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217);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이동통신 처리부(217)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로 송신하는 음성 처리부(215);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조작신호 및 이동통신 처리부(217)에 의해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처리부(217)로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복조된 데이터 수신신호에 해당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로 송신하는 주제어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작부(210)는,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음성 처리부(215)로 송신하는 음성 입력부(203); 상기 통신케이블을 통해 음성 처리부(215)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01);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주제어부(223)로부터 수신되는 화면표시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209);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주제어부(223)로 송신하는 보조 제어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unit 220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And an operation unit 210; the main body unit 220 includes: an RF (RF) processing unit 219 for wirelessly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a base station (not shown);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217) for demodulating the radio received signal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signal to an RF processor 219; A voice processing unit for coding a voice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7, decodes the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on unit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215; And correspond to a user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210 and a communication control reception signal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7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generate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and provide the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7. A main control unit 223 which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es a screen displa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modulated data recep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on unit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The operation unit 210 includes: a voice input unit 203 which receives a voice from a microphone and generate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215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 voice output unit 201 for outputting a decoded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or 215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to a speaker;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209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screen display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223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nd an auxiliary control unit 205 for generating the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user operation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223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영상 처리부(221)가 이동통신 처리부(217)에서 복조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주제어부(223)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22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processing the image data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7 to provide to the main control unit 223.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1과 중복되는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FIG. 1 will be omitted.

상기 도 2는, 본체부(220)에 구비되는 음성 처리부(215)와 조작부(210)에 구비되는 음성 입/출력부(201, 203)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직접 연결되고, 본체부(220)에 구비되는 주제어부(223)와 조작부(210)에 구비되는 보조 제어부(205) 및 화면표시 제어부(209)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본체부(220)와 조작부(210) 간의 통신 구성을 단순화 한 점에서, 상기 도 1의 구성과 차별된다.2, the voice processing unit 215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220 and the voice input / output units 201 and 203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210 are directly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and the main body unit 220 is connected. The main control unit 223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205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209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210 are directly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to communicate the main body unit 220 and the operation unit 210. In a simplified manner, the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FIG.

차별되는 구성상의 특징을 하기에 기재하여 보면, 본체부(220)에 구비되는 음성 처리부(215)가 해당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에 구비되는)음성 입력부(20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이동통신 처리부(217)로 전달하고, 이동통신 처리부(217)로부터 전달되는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고 해당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에 구비되는)음성 출력부(201)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the voice processing unit 215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220 receives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input unit 203 (with the control unit 210) via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able. The signal is cod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217, the demodulated voice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217 is decoded, and the voice output unit 201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210)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able.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by).

또한, 본체부(220)에 구비되는 주제어부(223)는 해당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에 구비되는)보조 제어부(205)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후크 온/오프 동작, 다이얼링 동작, 문자 메시지 송신 동작, 인터넷 검색 동작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23)는 이동통신 처리부(217)에 의해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한 필요한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처리부(217)로 제공하는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주제어부(223)는 복조된 데이터 수신신호에 해당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한 화면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조작부(210)에 구비되는)화면표시 제어부(209)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223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220 receives a user operation signal from the auxiliary control unit 205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210) through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able, and performs hook on / off operation and dialing.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n operation, a text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an internet search operation, and the like. The main control unit 223 controls a necessary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received signal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7, generates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7.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223 generates a displa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modulated data reception signal, and also generates a display signal by the progress of its own program, which is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to the display control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210). It transmits to 209.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상기 조작부와 본체부간에 단순화 하여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implified and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operation unit and the main body.

한편, 상기 도 1과 도 2의 설명에 있어서, 음성 처리부(115, 215)와 음성 입/출력부(101, 103, 201, 203)간에 음성 송/수신신호가 직접 전달되는 것(도 1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11, 113)를 경유함.)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 송/수신신호는 보조 제어부(105, 205)와 주제어부(123, 223)를경유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1 and 2, the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between the voice processing unit 115 and 215 and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01, 103, 201 and 203 (see FIG. 1).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s 111 and 113.) In some cases, the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control units 105 and 205 and the main control units 123 and 223. May be

즉,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처리부로 전달하되, 음성 처리부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고, 주제어부를 경유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는 음성 송신신호를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전달하되, 제 1 근거리 통신부에 직접 전달할 수도 있고, 주제어부를 경유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directly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or may be transmitted via the main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voice processor may transmit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o 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irectly to the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마찬가지로, 음성 출력부는 제 2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수신 음성신호를 전달받되, 직접 전달받을 수 있고 보조 제어부를 경유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부는 송신 음성신호를 제 2 근거리 통신부로 전달하되, 직접 전달할 수도 있고, 보조 제어부를 경유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Similarly, the voice output unit may receive the received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may receive the received voice signal directly or via the auxiliary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voice input unit may transmit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to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may be directly transmitted,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control unit.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제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표시 신호가 모두 주제어부로부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래픽 프로세서를 화면표시 제어부에 두어 화면표시 제어부가 자체적으로 화면표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주제어부에서는 (화면표시 신호가 아닌)화면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예:그래픽 변경데이터, 명령)를 화면표시 제어부로 송신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화면표시 신호와 화면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통칭하여 "화면표시 관련 데이터"라 칭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screen display signals constituting the actual screen is limited to being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but in some cases, the graphics processor is placed in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to display the screen. The controller may generate screen display data by itself.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eg, graphic change data, command) for displaying the screen (not the display signal) to the display control unit. Hereinafter, the screen display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for screen display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creen display related dat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 제어부가 사용자의 사용자 조작부 조작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조작신호 자체를 주제어부로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조작신호 자체가 아닌)사용자 조작신호에 의해 주제어부에서 수행하여야 할 동작이 기술되어 있는 명령어 데이터가 보조 제어부에 의해 주제어부로 송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조작신호"는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와 사용자 조작신호에 의해 주제어부에서 수행하여야 할 동작이 기술되어 있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auxiliary control unit transmits the user operation signal itself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operation unit of the user to the main control unit. The command data describing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the main controller may be transmitted by the auxiliary control unit to the main controller. The term "user manipulation sig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ant to include command data describing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the main controller by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nd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음성 입/출력부, 사용자 조작부부, 화면표시부가 조작부에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에 중복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부에 음성 입력부/음성 출력부/마이크/스피커나 화면표시부/화면표시제어부/사용자조작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현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the user operation unit, and the screen display unit required for the interface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the operation unit.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required for the interface may be provided overlapped with the main body. Since at least one of the voice input unit, the voice output unit, the microphone, the speaker, the screen display unit,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user manipulation unit is implemented in the main body uni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분리된 본체부/조작부 및 본체부/기지국 중계부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상기 본체부/조작부 및 본체부/기지국 중계부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제시하여,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ain body part / operating part and the main body part / base station relay part which are physically separat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part / operating part and the main body part / base station relay part By presenting,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user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경박단소의 조작부만으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예;송화/수화 기능, 후크 온/오프 기능, 다이얼링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텍스트, 그래픽, 영상 디스플레이 기능, 그 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명령등)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to the user is minimized, and only the operation unit of the light and small,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call / handset function, hook on / off function, dialing function, tex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 Text, graphics, video display functions, and other operation command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수신 복조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표시 신호를 본체부에서 조작부로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조작부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할 수가 있으며, (본체부->조작부)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신호 전송 데이터양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not only the demodulated data but also a screen display signal generated by the program in progress from the main body to the operation unit,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nterfaced at the operation un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duce the amount of signal transmission data.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모드로의 진입을 조작부 자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본체부->조작부)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신호 전송 데이터양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ntry into the various mo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de by the operation unit itself,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duce the amount of signal transmission data between the (main unit-> operation unit).

또한, 본체부<->조작부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패킷 다중화 통신을 사용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상기 조작부와 본체부간에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packet multiplexing communication is used to transmit / receive signal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rator,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by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Can be received.

또한,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 간을 통신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하여 신호 송/수신을 간단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imply by connect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sing a communication cable.

Claims (28)

각각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부; 및 조작부;로 이루어지되,A main body unit which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nd an operation unit; 상기 본체부는,The main body portion, 기지국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에 따라서 생성한 화면표시 관련 신호와 수신된 음성 신호를 유/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조작부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와 송신할 음성신호를 수신하며;By processing the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s, and transmitting the screen display-related signals and received voice signals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operation unit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link. Receive a user operation signal and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유/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신되는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화면 표시하고 상기 음성 수신신호 처리하여 스피커 출력하며, 마이크 입력된 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상기 유/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송신하는 것;Displaying the screen display-related signals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link and processing the voice reception signal to output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nput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ransmitting to the main body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RF (RF)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processing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A voice processor which cod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decodes a demodulated voice signal; 사용자 조작신호 및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생성하는 주제어부; 및A main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a user operation signal and a demodulated communication control reception signal, generating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ing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와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작부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각각 상기 음성 처리부와 주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Receives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and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respectively;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A voic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from a microphone and generate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decoded voice received signal to a speaker;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A screen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보조 제어부; 및An auxiliary control unit generating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 및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각각 상기 음성 출력부 및 화면 표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음성 송신신호 및 사용자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re transmitted to the voice output unit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respectively, and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are received. A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rough 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connected to the main body;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RF (RF)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processing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사용자 조작신호 및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생성하는 주제어부; 및A main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a user operation signal and a demodulated communication control reception signal, generating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ing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부터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작부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코딩된 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각각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와 주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Receives a demodulated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receives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signal through 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ded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respectively;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출력하며 상기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A voice processor for coding and outputting a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decoding the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A voic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from a microphone and generate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decoded voice received signal to a speaker;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A screen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보조 제어부; 및An auxiliary control unit generating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신되는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 및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각각 상기 음성 처리부 및 화면 표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코딩된 음성 송신신호 및 사용자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The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re transmitted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respectively, and the coded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re transferred. A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rough a wired and / or wireless link connected to the main body;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복조된 영상데이터 수신신호를 영상 처리하거나 및/또는 자체 프로그램 수행에 의해 영상 처리된 신호를 상기 주제어부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a demodulated image data reception signal and / or providing an image processed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by performing a self program;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복조된 영상데이터 수신신호를 영상 처리하거나 및/또는 자체 프로그램 수행에 의해 영상 처리된 신호를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he demodulated image data reception signal and / or provides the image processed signal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by executing a program itself;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가,The display related signal,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수신신호 및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 그래픽,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나 상기 화면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display signal including the data reception signal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text, graphics, video data generated by the program proceeds or the control signal for the screen display terminal.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조작부의 보조 제어부가,The auxiliary control unit of the operation unit,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부를 제어하여 메뉴 선택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모드 진입을 가능하도록 하고,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 그래픽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user control unit are controlled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ter various modes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and provide a screen display signal including text and graphic signals generated by the program in progress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Remov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가,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적어도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와 음성 수신신호를 포함시켜 구성된 단일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다중화되어 전송된 단일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사용자 조작신호를 상기 주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상기 음성 처리부 또는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며,Multiplexed into a single packet stream including at least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and a voice reception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nd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y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Demultiplexing a single packet stream to transmit a user operation signal included in the single packet stream to the main controller, and transmit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or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가,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적어도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 및 음성 송신신호를 포함시켜 구성된 단일의 패킷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다중화되어 전송된 단일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단일 패킷 스트림에 포함된 음성 수신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 또는 음성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 single packet multiplexed into a single packet stream including at least the user manipulation signal and a voic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link, and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y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Demultiplexing a packet stream to transmit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included in the single packet stream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ler, and to transmit a voice reception signal included in the single packet stream to the voice output unit or the voice processor. Detachable mobile terminal.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 및 제 2 근거리 통신부는 각각,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respectively, 상기 본체부와 조작부에 기설정되어 있는 상호인증코드를 상대측으로 송신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호인증코드를 검사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transmitting the mutual authentication code preset to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to the other party, and inspecting the mutual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o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음성 입력부/음성 출력부/스피커/마이크와, 화면표시 제어부/화면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t least one of the voice input unit / voice output unit / speaker / microphone and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 screen display unit.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음성 처리부/음성 입력부/음성 출력부/스피커/마이크와, 화면표시 제어부/화면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voice processing unit / voice input unit / voice output unit / speaker / microphone, and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 screen display unit. 청구항 3, 8, 9, 10,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8, 9, 10, 11, 상기 본체부의 음성 처리부가,The voice processing unit of the main body unit, 상기 주제어부, 보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vent occurrence being decoded and output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controller and the auxiliary controller.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상기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voice processing unit.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상기 주제어부, 보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에 해당하는 진동을 수행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 vibr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각각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간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 및 조작부;로 이루어지되,A main body part which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mmunication cable; And an operation unit; 상기 본체부는,The main body portion, 기지국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에 따라서 생성한 화면표시 관련 신호와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조작부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와 송신할 음성신호를 수신하며;By processing the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s, and transmitting the screen display-related signals and received voice signals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operation unit via the communication ca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Receiving a user operation signal and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신되는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화면 표시하고 상기 음성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 출력하며, 마이크 입력된 음성 송신신호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송신하는 것;Display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process the voice reception signal to output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nput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communication cable Transmitting to the main body via; 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RF (RF)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processing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처리부;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RF processor;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 전달하고,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는 음성 처리부; 및A voice processor for coding and transmitting a voice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decoding a demodulated voice recep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ecoded voice reception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nd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조작신호 및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Corresponds to the user operation signal and the demodulated communication control recep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generates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es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able. The mai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처리부로 송신하는 음성 입력부;A voice input unit which receives a voice from a microphone and generate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voice proces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코딩된 음성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ecoded voice rece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to the speaker via the communication cable;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 및A screen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nd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로 송신하는 보조 제어부;An auxiliary control unit generating the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user operation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청구항 1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알에프(RF) 처리부;RF (RF)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processing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알에프(RF) 처리부에 전달하되,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는 이동통신 처리부;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which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voic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조작신호 및 복조된 통신제어 수신신호에 대응하고 통신제어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로 송신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Corresponds to a user operation signal and a demodulated communication control recep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generates a communication control transmission sig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and generates a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to generate the communication cab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a mai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operation unit through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음성 송신신호를 코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송신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처리부;A voice processor which codes a voice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and decodes the demodulated voic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o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아 상기 음성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부;A voic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from a microphone and generate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상기 디코딩된 음성 수신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decoded voice received signal to a speaker;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 표시하는 화면표시 제어부;A screen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the screen display related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사용자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로 송신하는 보조 제어부;An auxiliary control unit generating the user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user operation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복조된 영상데이터 수신신호를 영상 처리하거나 및/또는 자체 프로그램 수행에 의해 영상 처리된 신호를 상기 주제어부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a demodulated image data reception signal and / or providing an image processed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by performing a self program;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복조된 영상데이터 수신신호를 영상 처리하거나 및/또는 자체 프로그램 수행에 의해 영상 처리된 신호를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the demodulated image data reception signal and / or provides the image processed signal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by executing a program itself;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상기 화면표시 관련 신호가,The display related signal, 상기 이동통신 처리부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수신신호 및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 그래픽,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나 상기 화면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display signal including the data reception signal demodul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text, graphics, video data generated by the program proceeds or the control signal for the screen display terminal. 청구항 2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2, 상기 조작부의 보조 제어부가,The auxiliary control unit of the operation unit,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부를 제어하여 메뉴 선택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모드 진입을 가능하도록 하고, 자체 프로그램 진행에 의해 생성되는 텍스트, 그래픽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신호를 상기 화면표시 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user control unit are controlled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ter various modes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and provide a screen display signal including text and graphic signals generated by the program in progress to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Remov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음성 입력부/음성 출력부/스피커/마이크와, 화면표시 제어부/화면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t least one of the voice input unit / voice output unit / speaker / microphone and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 screen display unit. 청구항 2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상기 본체부가,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음성 처리부/음성 입력부/음성 출력부/스피커/마이크와, 화면표시 제어부/화면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voice processing unit / voice input unit / voice output unit / speaker / microphone, and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 screen display unit. 청구항 18, 23,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23, 24,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음성 처리부가,The voice process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상기 주제어부, 보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vent occurrence being decoded and output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controller and the auxiliary controller. 청구항 26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상기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Sepa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voice processing unit. 청구항 2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상기 주제어부, 보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에 해당하는 진동을 수행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 vibr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KR1020020086971A 2002-12-30 2002-12-30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611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71A KR20040061179A (en) 2002-12-30 2002-12-30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71A KR20040061179A (en) 2002-12-30 2002-12-30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79A true KR20040061179A (en) 2004-07-07

Family

ID=3735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971A KR20040061179A (en) 2002-12-30 2002-12-30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17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24B1 (en) * 2005-02-15 2006-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ervice system downloading image to bluetooth voic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658218B1 (en) * 2005-06-07 2006-12-15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The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characteristic identifier and power supply means and the portable mobile combinded to that video display apparatus
KR100802609B1 (en) * 2006-08-18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489826B1 (en) * 2013-12-30 2015-02-04 유승우 Dummy terminal and the main bod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24B1 (en) * 2005-02-15 2006-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ervice system downloading image to bluetooth voic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658218B1 (en) * 2005-06-07 2006-12-15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The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characteristic identifier and power supply means and the portable mobile combinded to that video display apparatus
KR100802609B1 (en) * 2006-08-18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489826B1 (en) * 2013-12-30 2015-02-04 유승우 Dummy terminal and the main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2576A (en) Radiocommunications equipment with a security calls mode, and extension unit forming part of such equipment
US20070033534A1 (en) Method of conveying emo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WO2008129546A2 (en) Voice encryption device
KR100380518B1 (en) Secure codeless phone having the bluetooth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JP2002171321A (en) Mobile radio terminal
KR19990046637A (en) handphone having the earphone and the mic of wireless
CN102215369A (en) Mobile terminal and data interactive method of video call
JP2006157477A (en) Transmitter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munication frame
KR20040061179A (en) Sepa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7049933A1 (en) Portable terminal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US7522730B2 (en) Universal microphone for secure radio communication
JP3630948B2 (en) Portable public videophone system
KR100724871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phone by use of the bluetooth
JP2737672B2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EP0818937A1 (en)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a secure communication mode, and an extension unit forming part of the equipment
KR1006061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byuse of dtmf i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592B1 (en) A method and apparatus of visual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uletooth module
JP2002027050A (en) Portable video telephone equipment
JP2007281766A (en) Image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0463219B1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18709A (en) Mobile wireless telephone having remote controller by blue tooth
KR100478837B1 (en) telephone having a moving picture transmit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2000209648A (en)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JPH0983982A (en) Picture communic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