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700A - 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 Google Patents

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700A
KR20040056700A KR1020020083245A KR20020083245A KR20040056700A KR 20040056700 A KR20040056700 A KR 20040056700A KR 1020020083245 A KR1020020083245 A KR 1020020083245A KR 20020083245 A KR20020083245 A KR 20020083245A KR 20040056700 A KR20040056700 A KR 20040056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group
tray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은
조일연
신형철
정현태
김배선
한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6700A/en
Publication of KR2004005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70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software keyboard and a software key-in method are provided to discriminate frequently used keys from non-frequently used keys, to always display the frequently used keys, and to display the remaining keys whenever necessary according to their purpose. CONSTITUTION: The keyboard comprises a keyword selection group(110), an indispensable key selection group(120), a number selection group(130), and two trays(140, 150). The keyword selection group(110) includes a Hangul basis selection key(111), an alphabet basis key(112), a Hangul/alphabet key(113) and a user definition selection key(114). The keyboard can be combined according to a user inclination, and the combined keyboard is displayed with the two trays(140, 150). The indispensable key selection group(120) includes a tab(121), a back space(122), a space(123), an enter(124), a page up(125), a page down(126) and an escape(127).

Description

소프트웨어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키 입력 방법{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본 발명은 정보기기의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휴대 정보기기의 한글 입력을 포함하는 소프웨어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키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device for an inform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ftware keyboard including a Hangul input of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a key input method using the same.

최근들어,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휴대 정보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휴대정보기기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320x240(640x480) 정도의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한다. 둘째,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 손으로 기기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펜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정보입력이 가능하다. 셋째, 키보드는 샤프의 Zaurus와 같이 하드웨어 키보드를 내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경제적, 기술적인 면 때문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 많다. 때문에 대부분 휴대정보기기에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간효율적이면서 빠른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설계 및 개발이 필요하다.Recently,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use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is gradually increa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are as follows. First, a small display device of about 320x240 (640x480) is used. Second, since the touch screen is used, information can be input by using a pointing device such as a pen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device with one hand. Third, keyboards often have a built-in hardware keyboard, such as Sharp's Zaurus, but many are not included because of their economic and technical aspects. Therefore, most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have a built-in software keyboard, and in order to increase its usabilit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develop a software keyboard that is space efficient and enables fast input.

종래의 휴대 정보기기의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입력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The input methods used in the software keyboard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information device include the following.

첫째, 도 8과 같이 영어는 QWERTY식을, 한글은 공병우식 키보드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키보드 상에 쉬프트키, 캡션키, 한/영 전환키 등을 이용하여 영어 모드, 한글모드, 각각의 쉬프트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할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양손을 쓰는 경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펜의 이동거리가 많은 단점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8, English uses a QWERTY expression, and Korean uses a vacant caries keyboard. Shift keys, caption keys, and Korean / English switch keys on the keyboard are used to switch between English mode, Korean mode, and each shift mode to select characters to be input.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en travels a lot because it is designed to use both hands.

둘째, 도 9의 방식은 휴대 정보기기의 소형 디스플레이 환경을 고려하여 키보드를 분할하여 필요한 키의 배열만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한글은 쉬프트 키를 누를 필요 없이 키의 탑을 누르면 겹자음, 겹모음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QWERTY식의 비 효율적인 키보드 구조와 키배열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많은 키들이 제외되어 입력할 수 없는 특수문자나 기능키들이 존재한다. 특히 백스페이스의 경우는 자주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기본 키배열에 빠져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Second, the method of FIG. 9 divides the keyboard in consideration of the small display environment of the portable information device so as to display only an arrangement of necessary keys. In Hangul, you can directly input double consonants and double vowels by pressing the top of the key without pressing the shift key. However, the conventional QWERTY-type inefficient keyboard structure and key array are used as they are, and there are special characters or function keys that cannot be input because many keys are excluded. In particular, although the backspace is frequently used, it is inconvenient to fall into the primary key array.

셋째, 도 10과 같은 방식은 상기 방식들에서 벗어나 효율적인 키보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원래 영문만 미국에서 특허가 되어 있고, 한글은 다른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한글을 배치한 것이다.Third, the scheme as shown in FIG. 10 shows an efficient keyboard structure away from the schemes. Originally, only English is patented in the United States, and Hangul is randomly placed by another user.

영어는 영문자의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많이 쓰이는 문자를 중앙에 배치하여 단어를 입력할 때 펜의 이동거리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하지만 여전히 단순0한 쉬프트 조작이나 (현재는 없지만) 한/영 키만을 이용하여 키배열을 조합하고 있다. 또한 한글 키배열의 경우는 어떤 원리로 배치되었는지 그 근거가 분명하지 못하여 한글 어학원리나 사용빈도에 근거한 새로운 키 배치가 필요하겠다.English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en when inputting words by arranging frequently used letters in the center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of English letters. However, we are still combining key arrays using simple shift operations or only Korean / English keys. In addition, in the case of Hangul key array, the principle of how it is arranged is not clear, so a new key arrangement based on the Hangul language principle and usage frequency is needed.

이와 같이 종래의 방식들은 키보드 구조가 비효율적이거나 단순 키배열 조합만 가능한다. 때문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과 상관없는 쉬프트키를 반복적으로 자주 사용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As such, the conventional schemes are inefficient in the keyboard structure or only simple key combinations are possible. This causes a phenomenon in which a shift key that is not related to entering a character is frequently used repeatedly.

한글의 경우도 한글 어학원리나 사용빈도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펜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즉시 입력성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문자를 표시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In the case of Hangul, because the Korean language principle and frequency of use were not considered, the moving distance of a pointing device such as a pen became long, resulting in a lack of immediate input, resulting in a long time for displaying character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pace-efficient software keyboar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선 쓰임이 많은 키와 그렇지 않은 키로 분류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키는 항상 디스플레이 되도록 배치하고, 나머지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필요에 따라 표시되도록 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ftware keyboard which is classified into a key that is used frequently and a key that is not used, the keys having a high priority are always arranged to be displayed, and the remainder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 and displayed as nee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성향에 따라 키배열을 조합하여 입력 누룸 횟수를 줄이고 빠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한글 어학원리,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한글 키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상의 직시성을 제고하여 특별한 훈련없이 쉽게 이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키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input presses by combining the key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put tendency, to enable fast input, and to improve the directness in use by arranging Korean keys in consid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principle and the frequency of use. It provides a software keyboard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used without training, and a software key input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키보드는, 키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해당 키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소정의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항시 디스플레이되는 키워드 그룹, 필수키 그룹, 숫자키 그룹과, 상기 키워드 그룹의 키 선택에 따라 미리 정의된 키배열을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트레이와, 상기 키워드 그룹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정의된 키배열을 타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트레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해당 키가 터치되면 대응하는 키값을 입력하여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keyboard screen and senses a corresponding key touch; A first tray for displaying a keyword group, a mandatory key group, a numeric key group which are always displayed by executing predetermined keyboard software, and a predetermined key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key selection of the keyword group;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second tray displaying a predefined key arrangement on the other side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inputting and processing a corresponding key value when a corresponding key of the touch screen is touched. .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키 입력 방법은, 키워드 그룹, 필수키 그룹, 숫자키 그룹과,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로 이루어진 디폴트 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성향에 맞게 상기 키워드 그룹의 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에 해당 키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터치한 키의 값을 입력하는 단계; 및 해당 키배열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토글 버튼을 누르면, 해당 키배열이 전환되어 다른 키배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softwar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oftware key input method using the same include: displaying a default keyboard including a keyword group, an essential key group, a numeric key group, a first tray, and a second tray; If a user selects a key of the keyword group according to an input tendency, displaying a corresponding key arrangement in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Inputting a value of a key touched by a user; And when the user presses a toggle button while the corresponding key arrangement is displayed, the corresponding key arrangement is switched to display another key arrang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대표 구조도,1 is a representative structural diagram of a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키배열 평면도,2 is a top view of the English key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키배열 평면도,Figure 3 is a Hangul key array plan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특수문자와 후순위 키배열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special character and a subordinate key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e는 한글 키배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5a to 5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angul key arrangement,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6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ftware keyboar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절차를 도시한 흐름도,6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input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한글중심 키워드 선택시 키배열 조합 흐름도,7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array combination when selecting a Korean-centric keywo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은 본 발명의 영어중심 키워드 선택시 키배열 조합 흐름도,7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array combination when selecting an English-oriented keywo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c는 본 발명의 한영 중심 키워드 선택시 키배열 조합 흐름도,7c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array combination when selecting a Korean-Korean key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의 'QWERTY', '공병우' 식 키보드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the conventional 'QWERTY', 'Bongwoon' type keyboard,

도 9는 종래의 '소프트웨어 키보드'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software keyboard';

도 10은 종래의 'Fitaly' 키보드와 이를 응용한 'kjumpX' 키보드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Fitaly' keyboard and 'kjumpX' keyboard applied thereto;

도 11은 키보드 입력시 동선을 도시한 예.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pper wire upon keyboard inpu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02: 제어부 604: 스크린602, control unit 604: screen

606: 터치 검출부 608: 메모리606: touch detector 608: memor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이 기초하고 있는 한글 구성의 언어학적 원리를 살펴보면, 모음의 구성원리는 다음 표 1과 같고, 자음의 구성원리는 다음 표 2와 같다.First, looking at the linguistic principles of the Hangul composition o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the members of the vowels are shown in Table 1, and the members of the consonan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 표 1 및 표 2를 보면, 복합모음, 복합종성, 겹모음 'ㅖ','ㅒ'는 구성원리에 따라 각각 단모음, 단자음에서 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Looking at the above Table 1 and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e vowels, composite jongjong, lap 'ㅖ', 'ㅒ' can be combined in the short vowels, the terminal sound,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membership.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ll consonants and vowels, so you can use space efficiently.

본 발명이 두 번째로 기초하고 있는 구성원리는 각 자소의 사용빈도수의 고려이다. 한글 문서에서 자소가 사용되는 빈도수는 문서의 종류마다 약간의 차이가있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의 많은 양의 말뭉치에서 빈도를 구해야하는데, 본 발명은 '한글 사용 빈도의 분석'(김흥규, 강범모 저, 컴퓨터와 인문학 시리즈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1997)의 통계치에 의거한다. 다음 표 3은 자음의 빈도를 빈도순으로 정리한 것이고, 표 4는 모음의 빈도를 빈도순으로 정리한 것이다.The second member o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is a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element. The frequency of the phoneme used in Korean documents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of document. Therefore, the frequency should be obtained from a large number of corpus in various fiel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use (Kim Heung-kyu, Kang Bum Mo, Computer And Humanities Series 1, 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Ethnic Culture, 1997). Table 3 summarizes the frequency of consonants in order of frequency, and Table 4 summarizes the frequency of vowels in order of frequ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효율적 키보드의 대표 구조도로서, 본 발명의 키보드는 2단 트레이 방식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2단 트레이(140, 150) 방식은 입력 성향에 따라 한꺼번에 두개의 키배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1 is a representative structural diagram of a space-efficient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stage tray method. That is, the two-stage tray (140, 150)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wo key arrangements at a time according to the input tendency.

우선 공간효율적 키보드 구조 설계를 위하여 쓰임이 많은 키와 그렇지 않은 키를 분류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키는 항상 디스플레이되도록 배치하였고, 나머지는 용도별로 키배열로 묶어 키배열 전환을 위한 토글버튼(141, 142, 151, 152)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of all, to design a space-efficient keyboard structure, a key and a key that are not used are classified, and high-priority keys are always arranged to be displayed, and the rest are grouped into key arrays for each purpose, and a toggle button (141, 142, 151, 152 is selected to be displayed.

도 2를 참조하면, 키보드는 용도에 따라 키워드 선택그룹(110), 필수키 선택그룹(120), 숫자 선택 그룹(130), 2개의 트레이(140,150)에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키배열 그룹으로 총 4가지로 분류한다.Referring to FIG. 2, the keyboard is a group of key arrangements displayed according to a selection in a keyword selection group 110, a required key selection group 120, a number selection group 130, and two trays 140 and 150 according to a purpose. There are four categories.

키워드 선택그룹(110)은 한글중심 선택키(111), 영어중심 선택키(112), 한영중심 선택키(113) 및 사용자정의(DIY) 선택키(114)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입력 성향에 따라 키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키워드 선택그룹(110)에서 선택된 키보드 조합은 두개의 트레이(140, 150)로 디스플레이된다.The keyword selection group 110 is composed of a Hangul center selection key 111, an English center selection key 112, a Korean English center selection key 113, and a user-defined (DIY) selection key 114 according to a user's input tendency. Allows you to choose a keyboard. The keyboard combination selected in the keyword selection group 110 is displayed in two trays 140 and 150.

여기서 "한글중심"이란 주로 한글, 숫자, 기본 특수문자를 위주로 입력하는 성향을 말한다. "영어중심"이란 영어 소문자, 영어 대문자, 숫자, 기본 특수문자를 위주로 입력하는 성향을 말한다. "한영중심"이란 한글, 영어, 특수문자, 기능키, 숫자 등 복합적인 입력 성향을 말한다. "사용자정의"란 사용자가 임으로 배치한 키배열과 그 조합을 사용하고자 할 때 쓸 목적으로 만들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에서는 제외한다.Here, "Hangul center" refers to the propensity to input mainly Hangul, numbers, and basic special characters. "English-centric" refers to the tendency to enter lowercase letters, uppercase letters, numbers, and basic special characters. "Korean-English" refers to a complex propensity to input Korean, English, special characters, function keys, and numbers. "User defined" is intended to be used when the user wants to use a randomly arranged key array and a combination thereof,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exclud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필수키 선택 그룹(120)은 탭(Tab)(121), 백스페이스(Back Space)(122), 스페이스(Space)(123), 엔터(Enter)(124), 페이지 업(Page Up)(125), 페이지 다운(Page Down)(126), Esc 키(127)들로 구성된다.The required key selection group 120 includes a tab 121, a back space 122, a space 123, an enter 124, and a page up 125. ), Page Down (126), and Esc key (127).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스트 PC에서 많이 쓰이는 Crtl, Alt 계열 단축키는 휴대 정보기기 시스템에서는 많이 쓰이지 못할 것이다. 쉬프트(Shift) 역시 본 발명에서는 화면 전환시 추가된 토글버튼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매우 적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ouch screen, the Crtl and Alt series shortcut key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a host PC, may not be used much in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system. Shift is also very low in frequency of use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oggle button added during screen switching.

숫자 선택 그룹(130)은 0부터 9까지 숫자를 포함한다. 후순위 배열(도4의 420)의 기능(Function)을 조합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The number selection group 130 includes numbers from 0 to 9. It can be used to combine the functions of the subordinate array (420 in FIG. 4).

키배열 그룹은 영어, 한글, 특수 문자들을 각각 4x7 배열로 묶은 것을 말한다. 각각은 키배열 조합에 따라 트레이1(140)과 트레이2(150)에 디스플레이된다. 키배열에는 2개 이하의 토글버튼(141,142,151,1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토글버튼들(141,142,151,152)은 다른 키배열로 전환할 때 사용된다.The key array group refers to a 4x7 array of English, Korean, and special characters. Each is displayed in tray 1 140 and tray 2 150 according to the key arrangement combination. The key arrangement may include up to two toggle buttons 141, 142, 151 and 152, which are used to switch to another key arrangement.

본 발명에서는 영어 키배열(210, 220), 한글 키배열(310, 320), 특수문자 키배열(410), 후순위 키배열(420)을 정의하고 제안하고 있으나 다른 방식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nglish key arrays 210 and 220, Korean key arrays 310 and 320, special character key arrays 410, and subordinate key arrays 420 are defined and proposed, but may be extended in other ways.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키워드 선택그룹에서 영어중심(112)을 선택한 경우 사용되는 영어 키배열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n English key array used when the English center 112 is selected in the keyword selection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영어 키배열은 영어 소문자 배열(210)과, 영어 대문자 배열(220)로 구분되어 영어 소문자 배열은 트레이1(140)에 표시되고, 영어 대문자 배열은 트레이2(150)에서 표시된다. 흔히 알고 있는 알파벳 노래 단위로 배열하여친숙함을 주었으나, 좀더 효율적인 키 배치를 고안할 필요가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nglish key array is divided into an English lowercase array 210 and an English uppercase array 220 so that an English lowercase array is displayed on Tray 1 (140), and an English uppercase array is displayed on Tray 2 (150). do. Familiarity is given by arranging by alphabetic unit of song which is commonly known, but it is necessary to devise more efficient key arrange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키워드 선택그룹에서 한글중심(111)을 선택한 경우 사용되는의 한글 키배열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Hangul key arrangement used in the case where the Hangul center 111 is selected in the keyword selection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한글 키배열은 단모음과 단자음을 포함하는 한글 기본 배열(310)과, 복합 모음 및 선순위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한글 확장 배열(320)로 나누어져 한글 기본 배열(310)은 트레이1(140)에 표시되고, 한글 확장 배열은 트레이2(150)에 표시된다. 한글 키 배치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자세히 다룬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angul key array is divided into the Hangul basic array 310 including short vowels and the terminal sound, and the Hangul extended array 320 including compound vowels and precedence special characters. And the Hangul expansion array is displayed in Tray 2 (150). Hangul key placement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수문자와 후순위 키배열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special character and a subordinate key sequ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특수 문자는 선순위, 중순위, 후순위로 중요도를 분류하여 선순위는 한글 확장 배열(도3의 320)에 포함시켰고, 중순위 및 후순위는 특수문자 기본 배열(도4의 410)에 배치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pecial characters are classified into priority by priority, middle rank, and subordinate priority, and the priority is included in the Hangul extended array (320 of FIG. 3), and the middle rank and subordinate priority are included in the basic character array (410 of FIG. 4). To place.

선순위 특수문자는 한글과 많이 쓰이는 < " >, <'>, < , >, < . >, <?>, <!>, <[]>, <()> 문자와 홈페이지 주소 및 이메일 주소 입력시 많이 쓰이는 문자인 </>, <~>, <@>, <->, <:> , 채팅시 많이 쓰이는 <^>, <;> 문자로 구성된다.Priority special characters include <,>, <'>, <,>, <.>, <?>, <!>, <[]>, And <()> character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Korean. It consists of the popular characters </>, <~>, <@>, <->, <:>, and the most popular <^> and <;> characters in chat.

중순위는 그 외 특수 문자가 포함되며, 후순위에는 사용자가 추가하고 싶은 특수 부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괄호문자는 누름 시간 장단에 따라 짧게 입력하면 좌괄호가, 길게 입력하면 우괄호가 선택된다.The middle rank includes other special characters, and the second rank may include special symbols that the user wants to add. Parentheses are selected by short press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ess time, and by right long presses.

후순위 배열(420)은 필수키 그룹에서 제외되었던 <Shift>, <Crtl>, <Alt>, <Fuction>, <상><하><좌><우> 방향, <Home>, <End>, <Insert>, <Delete> 와 같은 기능키들과 후순위 특수문자들로 배치한다.Subordinate array 420 includes <Shift>, <Crtl>, <Alt>, <Fuction>, <Up>, <Left>, <Left>, <Home>, <End>, Place function keys such as <Insert> and <Delete> and subordinate special characters.

한편, 본 발명에 따라 한글 키배열은 어떻게 배치하였는지 자세히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it looks at in detail how the Hangul key arrangement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 모음, 자음, 선순위 특수문자 배치(1) vowel, consonant, precedence special character placement

도 5a는 왼쪽부터 자음군, 모음군, 선순위 특수문자군의 배열 예이다.5A shows an arrangement example of a consonant group, a vowel group, and a priority special character group from the left.

한글은 한글 입력방식이 왼쪽에서 오른쪽임을 감안하여 자음은 좌측 열에, 모음은 자음의 우측 열에 배치하였고, 가장 오른쪽에는 한글일 때 많이 사용되는 키들인 선순위 특수 문자를 배치한다.Hangul is placed in the left column, vowels are placed in the right column of the consonant, and Hangul is placed in the right column.

기본적으로 자음과 모음의 배치는 한글 어학원리와 그 사용빈도를 근거로 하고 있다. 특히, 복합모음과 복합 종성은 가능한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입력되도록 배려한다.Basically,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and vowels is based on the Hangul language principles and their frequency of use. In particular, the composite collection and composite finality are considered to be input from left to right and top to bottom as much as possible.

(2) 모음 배치(2) collection arrangement

도 5b는 왼쪽부터 ㅘ-ㅙ-ㅚ군, ㅝ-ㅞ-ㅟ군, ㅢ군의 배열이고, 도 5c는 ㅖ-ㅒ 군의 배열이다.FIG. 5B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VII-VII-VII group, the VI-VII-VII group, and the VI group from the left side, and FIG. 5C is an arrangement of the VI-VII group.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모음 1열과 2열에는 사용빈도가 높은 'ㅏ', 'ㅓ', 'ㅗ', 'ㅜ', 'ㅡ', 'ㅣ' 모음을 도 5b와 같이 배치한다. 배열 순서는 복합모음( 'ㅘ', 'ㅙ', 'ㅚ', 'ㅝ', 'ㅞ', 'ㅞ', 'ㅢ' )의 구성 원리에 맞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조합되도록 한다.5b and 5c, the vowels '1', 'ㅓ', 'ㅗ', 'TT', 'ㅡ' and 'ㅣ' collections having high frequency of use are arranged in columns 1 and 2 as shown in FIG. 5B. . The order of the arrangement is to combine left to righ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rinciple of the compound collection ('ㅘ', 'ㅙ', 'ㅚ', 'ㅝ', 'ㅞ', 'ㅞ', 'ㅢ').

모음 3열과 4열에는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많았던 'ㅐ', 'ㅔ', 'ㅕ', 'ㅑ' , 'ㅛ', 'ㅠ' 모음을 배치한다. 도 5c와 같이 모음 'ㅖ'와 'ㅒ'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조합되지만 사용빈도가 낮은 편이고, 한글 중심 키보드에서는 버튼 대신 이 두 모음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In columns 3 and 4, the next most frequently used collections are 'ㅐ', 'ㅔ', 'ㅕ', 'ㅑ', '' ', and' ㅠ '. As shown in Fig. 5c, the vowels 'ㅖ' and 'ㅒ' are combined from right to left, but the frequency of use is low, and the Korean centric keyboard allows direct input of these two vowels instead of buttons.

(3) 자음 배치(3) consonant arrangement

도 5d는 왼쪽부터 ㅇ군, ㄱ-ㄴ-ㄹ군, ㄷ-ㅁ-ㅂ-ㅅ-ㅈ-ㅎ군, ㅊ-ㅋ-ㅌ-ㅍ군의 예이고, 도 5e는 왼쪽부터 ㄺ-ㄻ-ㄼ-ㄽ-ㅀ-ㄾ-ㄿ군, ㄳ-ㄶ-ㄵ-ㅄ군의 배열 예이다.Figure 5d is an example of a group, a-b-d group, a-c-d-c-j-e-h group, kk-k-v-t group from the left side, Figure 5e is a ㄺ-ㄻ-ㄼ-ㄽ-ㅀ group from the left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VIII-group and the VIII-VIII-group.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은 사용빈도에 따라 ㅇ군, ㄱ-ㄴ-ㄹ군, ㄷ-ㅁ-ㅂ-ㅅ-ㅈ-ㅎ군, ㅊ-ㅋ-ㅌ-ㅍ군 으로 배치한다.As shown in Figure 5d and 5e, the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group,-ㄴ-ㄹ,-ㅁ-ㅂ-ㅅ-ㅈ-ㅎ group, ㅋ-ㅋ-ㅌ-ッ group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복합종성은 ㄺ-ㄻ-ㄼ-ㄽ-ㅀ-ㄾ-ㄿ군, ㄳ-ㄶ-ㄵ-ㅄ군으로 나누어 자음 구성 원리에 맞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조합되도록 한다. 'ㄲ', 'ㄸ','ㅃ', 'ㅆ', 'ㅉ' 과 같은 겹자음은 해당 'ㄱ', 'ㄷ', 'ㅂ', 'ㅅ', 'ㅈ' 모음을 길게 누르면 입력된다.Complex species are divided into ㄺ-ㄻ-ㄼ-ㄽ-ㅀ-ㄾ-ㄿ-,, ㄳ-ㄶ-ㄵ-ㅄ group to be combined from left to right or from top to bottom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consonant composition. Double consonants such as 'ㄲ', 'ㄸ', 'ㅃ', 'ㅆ' and 'ㅉ' are entere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corresponding 'ㄱ', 'ㄷ', 'ㅂ', 'ㅅ' and 'ㅈ'.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키보드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키입력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6A illustrates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screen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llustrates a key input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스크린에 키보드 배열을 표시하는 제어부(602)와, 터치 스크린과 같이 키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 소프트웨어 키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스크린(604), 스크린의 키터치를 감지하여 제어부(602)로 전달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606), 각종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608)로 구성된다.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executes the keyboard software to display a keyboard arrangement on a screen, and displays a keyboard screen and a software key touch as well as a touch screen. The screen 604 includes a touch detection unit 606 for detecting a key touch of the scree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602, and a memory 608 for storing various software.

그리고 이와 같은 스크린 키보드는 전원온시 혹은 키입력시에 디폴트 키보드가가 표시되고(S1,S2), 사용자가 입력성향에 맞게 키워드 그룹(110)을 선택하면 해당 키워드 그룹을 표시한다(S3,S4). 키워드 그룹(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어중심, 한글중심, 한영중심 등으로 구분되어 선택할 수 있고, 각각의 키배열 형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해당 키배열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토글 버튼(T1~T4)을 누르게 되면 해당 키배열이 전환되어 다른 키배열로 바뀌게 된다(S5,S6).In such a screen keyboard, a default keyboard is displayed at power-on or a key input (S1, S2),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keyword group 110 according to the input tendency, the corresponding keyword group is displayed (S3, S4). ). As described above, the keyword group 110 may be selected and divided into an English center, a Korean center, a Korean-English center,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toggle buttons T1 to T4 while the corresponding key arrangement is displayed, the corresponding key arrangement is switched to another key arrangement (S5, S6).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입력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input example will be described using a key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7a는 본 발명의 한글중심 키워드 선택시 키배열 조합 흐름도이고, 도 7b은 본 발명의 영어중심 키워드 선택시 키배열 조합 흐름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한영 중심 키워드 선택시 키배열 조합 흐름도이다.FIG. 7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array combination when selecting a Korean-centric keyword, FIG. 7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array combination when selecting an English-centric keyword, and FIG. 7C is a flowchart of a key array combination when selecting a Korean-centric keyword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서 한글과 특수문자를 위주로 입력할 예정이라면 한글중심 키보드(111)를 선택한다. 도 7a의 흐름도를 보면, 우선 트레이 1(140)에는 한글 기본 배열(310)이 디스플레이 되고, 트레이 2(150)에는 한글 확장 배열(320)이 디스플레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intend to input mainly Hangul and special characters, the Hangul center keyboard 111 is selected. Referring to the flowchart of FIG. 7A, first, the Hangul basic array 310 is displayed on the tray 1 140, and the Hangul expansion array 320 is displayed on the tray 2 150.

한글 확장 배열(320)에서 토글버튼(T4: 321)을 선택하면, 특수문자 배열(410)을 트레이 2(150)에 디스플레이 한다.When the toggle button T4 321 is selected in the Hangul expansion array 320, the special character array 410 is displayed on the tray 2 150.

특수문자 배열(도4의 410)에서 토글버튼(T2: 411)을 선택하면, 다시 한글 확장 배열(도 3의 320)을 트레이 2(150)에 디스플레이 한다.When the toggle button T2 411 is selected in the special character array 410 of FIG. 4, the Hangul extended array 320 of FIG. 3 is again displayed on the tray 2 150.

한글 기본 배열(310)은 단모음과 단자음을 조합하여 복합 모음, 겹자음, 복합종성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글과 기본 특수문자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310-320" 조합을, 한글과 특수문자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310-410"을 권장한다.The Hangul basic array 310 combines short vowels and terminal sounds to generate complex vowels, compound consonants, and composite species. If you use a lot of Korean and basic special characters, "310-320" combination is recommended. If you use a lot of Korean and special characters, "310-410" is recommended.

본 발명에서 영어 소문자, 영어 대문자, 특수문자를 위주로 입력할 예정이라면 영어중심 키보드(112)를 선택한다. 도 7b의 흐름도를 보면, 우선 트레이 1(140)에는 영어 소문자 배열(도2의 210)이 디스플레이 되고, 트레이 2(150)에는 영어 대문자 배열(220)이 디스플레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intend to input mainly English lowercase letters, English uppercase letters, special characters, the English-based keyboard 112 is selected. Referring to the flowchart of FIG. 7B, first of all, an English lowercase letter array 210 (see FIG. 2) is displayed in tray 1 140, and an English uppercase letter array 220 is displayed in tray 2 150.

영어 대문자 배열(220)에서 토글버튼(T4: 222)을 선택하면, 특수문자 배열(410)을 트레이 2(150)에 디스플레이 한다. 특수문자 배열(410)에서 토글버튼(T2: 411)을 선택하면 다시 영어 대문자 배열(220)을 트레이 2(150)에 디스플레이 한다. 영어 소문자 배열(210)에서 토글버튼(T1: 211)을 선택하면 토글버튼(T3: 221)을 갖는 영어 대문자 배열(220)이 디스플레이 되고, 토글버튼(T3: 221)을 선택하면 영어 소문자 배열(210)로 되돌아 간다.When the toggle button T4 222 is selected in the English capital letter array 220, the special character array 410 is displayed on the tray 2 150. When the toggle button (T2: 411) is selected in the special character array 410, the English capital letter array 220 is displayed on the tray 2 150 again. Selecting the toggle button (T1: 211) in the English lowercase array 210 displays the English uppercase array 220 with the toggle button (T3: 221), and selecting the toggle button (T3: 221) displays the lowercase alphabet array ( Return to 210).

결국, 210-220, 210-410, 220-410 조합이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As a result, a combination of 210-220, 210-410, and 220-410 is possible,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a situation.

본 발명에서 한글, 영어, 특수문자, 기능키 등 다양한 입력을 위주로 할 예정이라면 한영중심 키보드(113)를 선택한다. 도 7c의 흐름도를 보면, 우선 트레이 1(140)에는 영어소문자 배열(210)이 디스플레이 되고, 트레이 2(150)에는 한글 기본 배열(310)이 디스플레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intend to focus on various inputs such as Korean, English, special characters, and function keys, the Korean-English center keyboard 113 is selected. Referring to the flowchart of FIG. 7C, first, the lowercase alphabet 210 is displayed in tray 1 140, and the basic Korean array 310 is displayed in tray 2 150.

영어소문자 배열(210)에서 토글버튼(T1: 211)을 선택하면, 토글버튼(T1: 221)을 갖는 영어 대문자 배열(220)이 트레이 1(140)에 디스플레이 되고, 토글버튼(T3: 221)을 선택하면 영어소문자 배열(210)로 되돌아 간다.When the toggle button (T1: 211) is selected in the lowercase alphabet array 210, the uppercase English alphabet array 220 having the toggle button (T1: 221) is displayed on the tray 1 (140), and the toggle button (T3: 221) Select to return to the lower case array 210.

한글 기본 배열(310)에서 토글버튼(T1: 311)을 선택하면 토글버튼(T3: 421)을 갖는 후순위 배열(420)이 트레이 2(150)에 디스플레이 되며, 토글버튼(421)을 선택하면 한글 기본 배열(310)로 되돌아 간다.If the toggle button (T1: 311) is selected in the basic Korean alphabet (310), the subordinate array (420) having the toggle button (T3: 421) is displayed in tray 2 (150). Return to the basic arrangement 310.

영어소문자 배열(210)에서 토글버튼(212)을 선택하면 토글버튼(T2: 411)을 갖는 특수문자 배열(410)이 트레이 1(140)에 디스플레이 되고 토글버튼(T2: 411)을 선택하면 영어소문자 배열(210)로 되돌아 간다.When the toggle button 212 is selected in the lowercase alphabet array 210, the special character array 410 having the toggle button T2 411 is displayed on the tray 1 140, and when the toggle button T2 411 is selected, Return to lowercase array 210.

한글 기본 배열(310)에서 토글버튼((T2: 312)를 선택하면 역시 토글버튼(T2: 411)을 갖는 특수문자 배열(410)이 트레이 2(150)에 디스플레이 되며, 토글버튼(T3: 421)을 선택하면 한글 기본 배열(310)로 되돌아 간다.When the toggle button (T2: 312) is selected in the Korean basic array 310, a special character array 410 having the toggle button (T2: 411) is also displayed on the tray 2 (150), and the toggle button (T3: 421) is selected. If you select), you are returned to the Hangul default array 310.

결국, 210- 310, 210-410, 210-420, 220- 310, 220-410, 220-420, 410-310, 410-420으로 8가지 조합이 가능하며, 영어 중심, 한글 중심 선택시와 210-410, 220-410, 310-410 이 중복된다. 역시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As a result, eight combinations are possible: 210-310, 210-410, 210-420, 220-310, 220-410, 220-420, 410-310, 410-420. -410, 220-410, 310-410 overlap. In addition, it is good to select and use according to a situ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키도브의 효과를 종래의 키보드 배열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keyboard arrangement, the effect of the keyd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종래에는 도 8과 같은 하드웨어 키보드 구조에서 필요없다고 판단되는 키들을 먼저 줄이는 방식으로 도 9와 도 10과 같은 키보드가 설계되었다. 하지만 각 키들은 우선순위가 다를 뿐 언제 어느 때 사용될지 모르며, 아무리 사용빈도가 적더라도 특수한 경우에는 꼭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제외시키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본 발명의 각 키배열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며 다음 표 5는 종래의 키보드와 사용문자수를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키에서 캡션키를 화면전환키로 대치하였고 빠른 입력을 위하여 한글과 특수문자를 추가한다.In the related art, keyboards as shown in FIGS. 9 and 10 are designed in such a manner as to reduce keys that are not necessary in the hardware keyboard structure as shown in FIG. However, it is not a good idea to exclude them completel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riorities and do not know when and when they will be used. Each key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following Table 5 compares the number of characters used with a conventional keyboard.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caption key with the screen switching key in the existing key and adds Korean and special characters for quick input.

다음은 본 발명과 종래 방식의 키입력 과정을 통해 입력타수를 비교한다. 한글은 단모음, 단자음 복합모음, 겹자음,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예쁘게 봐줘라!'를,영어는 웹 브라우저에서 자주 쓰이는 홈페이지 주소방식으로 소문자와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http://krnet.org/~home'으로 선정한다.Next, the input strokes are compared through the key inpu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method. Hangul is a short vowel, terminal complex compound vowel, double consonants,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Please look good!', English is a homepage address frequently used in web browsers' http://krnet.org/ select 'home'.

도 8(종래)8 (conventional) 도9(종래)Figure 9 (Conventional) 도10(종래)Figure 10 (Conventional) 본발명(한글중심)Invention (Korean Center) 본발명(한영중심)Invention (Korea-Korea Center) ㅇ(쉬프트)(회면전환)ㅖ(쉬프트)(화면전환)ㅃㅡㄱㅔ(스페이스)ㅂㅗㅏㅈㅜㄹㅏ(쉬프트)화면전환!ㅇ (Shift) (Switch Screen) ㅖ (Shift) (Switch Screen) ㅃ ㅡ ㄱ ㅔ (Space) ㅂ ㅗ ㅏㅈ ㅜㄹ ㅜ (Shift) Switch Screen! ㅇ(길게누름)ㅔ(길게누름)ㅂㅡㄱㅔ(스페이스)ㅂㅗㅏㅈㅜㅓㄹㅏ(KS버튼)(화면전환)!ㅇ (Long press) ㅔ (Long press) ㅂ ㅡ ㄱ ㅔ (space) ㅂ ㅗㅏ ㅈㅜ ㅓㄹ 버튼 (KS button) (Switch screen)! ㅇ(쉬프트)(회면전환)ㅖ(쉬프트)(화면전환)ㅃㅡㄱㅔ(스페이스)ㅂㅗㅏㅈㅜㄹㅏ(쉬프트)화면전환!ㅇ (Shift) (Switch Screen) ㅖ (Shift) (Switch Screen) ㅃ ㅡ ㄱ ㅔ (Space) ㅂ ㅗ ㅏㅈ ㅜㄹ ㅜ (Shift) Switch Screen! ㅇㅖㅃㅡㄱㅔ(스페이스)ㅂㅘㅈㅝㄹㅏ!ㅇ ㅖ ㅃ ㅡ ㄱ ㅔ (space) ㅂ ㅘ ㅈ ㅝ ㄹㅏ! ㅇㅕㅣ(길게누름)ㅂㅡㄱㅔ(스페이스)ㅂㅗㅏㅈㅜㅓㄹㅏ(212버튼)(T2-410 변환)!ㅇㅕ ㅣ (long press) ㅂ ㅡ ㄱ ㅔ (space) ㅂ ㅗ ㅏㅈ ㅓㄹ ㅓ (212 buttons) (convert T2-410)!

상기 표 6은 '예쁘게 봐줘라!'의 입력과정을 나열한 표이다.Table 6 is a table listing the input process of 'Look good!'

도 88 도9Figure 9 도10Figure 10 본발명(영어중심)Invention (English-oriented) 본발명(한영중심)Invention (Korea-Korea Center) http(쉬프트)(화면전환)://krnet.org/(쉬프트)화면전환~homehttp (Shift) (Switch): //krnet.org/ (Shift) Switch ~ home http(KS버튼)(화면전환)://(KS버튼)(화면 전환)krnet.org(KS버튼)(화면전환)~(문자없음)(KS버튼)(화면전환)homehttp (KS button) (Switch): // (KS button) (Switch) krnet.org (KS button) (Switch) ~ (No Text) (KS button) (Switch) home http(쉬프트)(화면전환)://krnet.org/(쉬프트)(화면전환)~(문자없음)homehttp (shift) (switch): //krnet.org/ (shift) (switch) ~ (no characters) home http(222버튼)(T2-410화면전환)://krnet.org/~homehttp (222 buttons) (T2-410 screen switching): //krnet.org/~home http(312버튼)(T2-410 전환)://krnet.org/~homehttp (312 buttons) (T2-410 switch): //krnet.org/~home

상기 표 7은 'http://krnet.org/~home'의 입력과정을 도시한 표이다.Table 7 is a table illustrating an input process of 'http://krnet.org/~home'.

그리고 다음 표 8은 '예쁘게 봐줘라!'의 입력타수 비교표이고, 다음 표 9는 'http://krnet.org/~home'의 입력타수 비교표이다.And the following table 8 is the input stroke comparison table of 'Please look good!', The following table 9 is the input stroke comparison table of 'http://krnet.org/~home'.

비교항목Compare 도8(종래)Figure 8 (Conventional) 도9(종래)Figure 9 (Conventional) 도10(종래)Figure 10 (Conventional) 본발명(한글)Invention (Korean) 본발명(한영)Invention (Han-Young) 키입력Keystroke 1919 1616 1919 1414 1818 화면전환Screen change 33 1One 33 00 1One 길게누름Long press 00 22 00 22 1One

비교항목Compare 도8(종래)Figure 8 (Conventional) 도9(종래)Figure 9 (Conventional) 도10(종래)Figure 10 (Conventional) 본발명(한글)Invention (Korean) 본발명(한영)Invention (Han-Young) 키입력Keystroke 2424 2626 2424 2323 2323 화면전환Screen change 22 44 22 1One 1One 길게누름Long press 00 33 1One 00 00

간단하게 상기 표6 내지 표9를 설명하자면, 각 자소 이외에 '쉬프트'는 쉬프트 키를 입력을, '화면전환'은 쉬프트키나 다른 전환키를 눌렀을 때 키 배열이 전환됨을 의미한다. '길게누룸'은 키보드의 입력 방식에 따라 길게 눌렀을 때 내정된 다른 문자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화면전환은 키 배열이 바뀜으로서 시각적으로 키보드에 다시 적응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길게 누룸은 한번 입력시보다 1.5에서 2배의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화면전환은 전환버튼-화면전환-입력과 같이 단계가 복잡하나 길게누룸 기능은 시간에 비해 단계가 축소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더 높다고할 수 있다.For the sake of simplicity, Tables 6 to 9 indicate that a shift key is input in addition to each phoneme, and a screen change means that a key arrangement is switched when a shift key or another shift key is pressed. 'Gilgenurum' means that other characters specified by long press are input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of the keyboard. Screen switching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adapt to the keyboard visually as the key arrangement is changed, and long pressing takes 1.5 to 2 times as long as it is input once. However, the screen switching is complicated as the switching button-screen switching-input, but the long press function can be said to be more convenient because the step is reduced compared to the time.

본 발명은 표 8과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글, 영어 모두 입력타수가 가장 적으면서 화면전환 역시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입력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8 and Table 9, the input time is shortened because the input conversion is small while the input stroke is the smallest in both Korean and English.

다음은 한글 키배열의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글 입력시의 동선을 살펴보았다. 각 키보드의 한글입력모드에서 입력한 '예쁘게 봐줘라'를 비교한 도면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Next,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Hangul key arrays, we have examined the movement lines of Hangul input. FIG. 11 is a view comparing 'look good' inputted in the Hangul input mode of each keyboard.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의 키배열인 도 8과 도10은 입력 동선수는 같지만 이동 거리는 도10이 상대적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키배열인 도 9와본 발명 역시 입력동선수는 같지만 이동 거리는 본 발명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도 8과 9의 동선이 상대적이로 긴 이유는 양손 타법에 적합한 공병우식 한글 키배열을 갖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FIG. 8 and FIG. 10, which are conventional key arrangements, have the same input player, but have a relatively small distance. In addition, FIG. 9 and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nventional key arrangement, have the same input player, but the movement distance is relatively small. Thus, the reason why the conventional copper wires of FIGS. 8 and 9 are relatively long is because they have a congenital caries Korean key sequence suitable for two-handed batting.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도 10과 본 발명을 비교하여 보면, 도 10은 '예쁘게'를 입력할 때 쓰이는 쉬프트키로 인하여 불필요한 이동거리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ㅖ'는 직접입력 할 수 있으며, 'ㅃ'는 길게 누룸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동선이 제거 되었다.Compar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FIG. 10, where the moving distance is relatively small, it can be seen that FIG. 10 increases the unnecessary moving distance due to the shift key used to input 'pretty'. In the present invention, 'ㅖ' can be input directly, and 'ㅃ' can be input through long press, thus eliminating unnecessary copper wire.

'봐줘라'를 입력할 때도 마찬가지로, 도 10은 본발명과 비교하여 'ㅗ'와 'ㅏ', 'ㅜ'와 'ㅓ'의 배치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이동거리가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Similarly, when inputting 'see', FIG. 10 shows that the movement distance is longer because the arrangement of 'ㅗ' and 'ㅏ', 'TT' and 'ㅓ' is not efficient compared to the present invention.

결론적으로, 상기 종래의 방식들은 키보드 구조가 비효율적이거나 단순 키배열 조합만 가능하기 때문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과 상관없는 쉬프트키를 반복적으로 자주 사용하게 되고 화면전환 또한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빠른 입력을 저하시킨다. 한글의 경우도 한글 어학원리나 사용빈도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즉시 입력성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문자를 표시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In conclusion, the conventional methods reduce the fast input since the keyboard structure is inefficient or only a simple key combination is used, and the shift key irrelevant to the input of the character is repeatedly used frequently and the screen switching is also frequently performed. In the case of Hangul, it wa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Hangul language principle and usage frequency, so the moving distance became long and the inputability was dropped immediatel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효율적인 키보드 구조와 기능(작용)을 제시하였고, 직시성이 높은 한글 키배열을 설계함으로서 입력타수와 이동거리를 줄임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se problems and proposes an efficient keyboard structure and function (action), and by reducing the number of strokes and moving distance by designing a Hangul key array with high directivity, the input time can be shorten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키 입력 방법을 설명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oftware keyboard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software key using the sam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9)

키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해당 키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keyboard screen and senses touch of a corresponding key; 소정의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항시 디스플레이되는 키워드 그룹, 필수키 그룹, 숫자키 그룹과, 상기 키워드 그룹의 키 선택에 따라 미리 정의된 키배열을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트레이와, 상기 키워드 그룹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정의된 키배열을 타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트레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해당 키가 터치되면 대응하는 키값을 입력하여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A first tray for displaying a keyword group, a mandatory key group, a numeric key group which are always displayed by executing predetermined keyboard software, and a predetermined key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key selection of the keyword group;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second tray for displaying a predefined key arrangement on the other side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inputting and processing a corresponding key value when a corresponding key of the touch screen is touch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그룹은 한글중심의 키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한글키와, 영어중심의 키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영어키, 한영중심의 키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한영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word group comprises a Hangul key for selecting a Hangul-centric key array, an English key for selecting an English-centered key array, and a Hanyoung key for selecting a Korean-English key array. Software keyboar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그룹은 사용자가 정의한 키배열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3. The software keyboard of claim 2, wherein the keyword group further comprises a user defined key for displaying a user defined key arrangemen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배열은 사용중 다른 키배열로 전환하기 위한 토글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3. The software keyboard of claim 2, wherein the key sequence includes a toggle button for switching to another key sequence during us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배열은 특수문자를 사용빈도에 따라 선순위, 중순위, 후순위로 구분하여 선순위가 먼저 표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The software keyboard of claim 2, wherein the key sequence is classified into a priority, a middle rank, and a lower rank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 of a special charact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키배열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angul key array, 자음을 좌측에 배열하고, 모음을 중앙에 배열하며, 선순위 특수문자를 우측에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A software keyboard comprising consonants arranged on the left side, vowels arranged in the center, and priority special characters arranged on the right s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키배열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angul key array, 자음과 모음의 사용빈도 수와, 자모 구성원리를 고려하여 동선이 최소가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A softwar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pper lines are arranged to minimize the number of consonants and vowels used, and the consonant membership. 키워드 그룹, 필수키 그룹, 숫자키 그룹과,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로 이루어진 디폴트 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default keyboard comprising a keyword group, an essential key group, a numeric key group, a first tray, and a second tray; 사용자가 입력성향에 맞게 상기 키워드 그룹의 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에 해당 키배열을 표시하는 단계;If a user selects a key of the keyword group according to an input tendency, displaying a corresponding key arrangement in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사용자가 터치한 키의 값을 입력하는 단계; 및Inputting a value of a key touched by a user; And 해당 키배열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토글 버튼을 누르면, 해당 키배열이 전환되어 다른 키배열을 표시하는 단계;If the user presses a toggle button while the corresponding key sequence is displayed, the corresponding key sequence is switched to display another key sequen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키 입력방법.Software key input method comprising a. 항시 디스플레이되는 키워드 그룹, 필수키 그룹, 숫자키 그룹;Always displayed keyword group, mandatory key group, numeric key group; 상기 키워드 그룹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정의된 키배열을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트레이; 및A first tray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key arrangement on one si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keyword group; And 상기 키워드 그룹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정의된 키배열을 타측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배열 구조.And a second tray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key array on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keyword group.
KR1020020083245A 2002-12-24 2002-12-24 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KR200400567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245A KR20040056700A (en) 2002-12-24 2002-12-24 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245A KR20040056700A (en) 2002-12-24 2002-12-24 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700A true KR20040056700A (en) 2004-07-01

Family

ID=3734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245A KR20040056700A (en) 2002-12-24 2002-12-24 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670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730A3 (en) * 2011-06-10 201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KR20140108279A (en) * 2011-12-12 2014-09-05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Techniques for input of a multi-character compound consonant or vowel and transliteration to another language using a touch computing device
KR101594914B1 (en) * 2014-12-23 2016-02-17 조석환 Terminal with the Hankyoreh unified standard keyboar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730A3 (en) * 2011-06-10 201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9535605B2 (en) 2011-06-10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9886191B2 (en) 2011-06-10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10359932B2 (en) 2011-06-10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KR20140108279A (en) * 2011-12-12 2014-09-05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Techniques for input of a multi-character compound consonant or vowel and transliteration to another language using a touch computing device
KR101594914B1 (en) * 2014-12-23 2016-02-17 조석환 Terminal with the Hankyoreh unified standard key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561B2 (en) Space optimizing micro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US7414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JP4242270B2 (en) Pen input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devices
US8049718B2 (en) Devices having input controls for efficient input of data
KR100913849B1 (en) Character input device
US5128672A (en) Dynamic predictive keyboard
CA2512272C (en) Alphanumeric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game controller
US20150324117A1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ducing keyboard data entry errors
JP2005521969A (en) Reduced keyboard system that emulates QWERTY type mapping and typing
US20090259962A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20000064556A (en) Key input device
WO2007025119A2 (en) User interface for visual cooperation between text input and display device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US10338809B2 (en) Program for character input system, character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WO2005066749A1 (en) Split on-screen keyboard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EP27599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a mobile terminal
KR20040056700A (en) An improved software keyboard with 2-way tray and key input method using therof
CA2541580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JP3071751B2 (en) Key input device
KR20190066161A (en) 16key Hangul Sswipee Pad
KR101017777B1 (en)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word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KR100917034B1 (e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