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064A -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064A
KR20040052064A KR1020020079789A KR20020079789A KR20040052064A KR 20040052064 A KR20040052064 A KR 20040052064A KR 1020020079789 A KR1020020079789 A KR 1020020079789A KR 20020079789 A KR20020079789 A KR 20020079789A KR 20040052064 A KR20040052064 A KR 20040052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signals
array antenna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2064A/ko
Publication of KR2004005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0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04B7/0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selecting best antenna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4Joint weighting using error minimizing algorithms, e.g.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cross-correlation" or matrix inversion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며 저가격 기지국 어레이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을 운용하는 상태에서도 각 안테나 수신경로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되어 시험용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시험단말기와; 상기 시험단말기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어레이의 다수 안테나와; 상기 각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하향변환하며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다수의 수신부와; 상기 각 수신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기준 위상과의 차이값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위상추정기와; 상기 각 위상추정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해당 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보정하는 다수의 위상보정기와; 상기 각 위상보정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수신빔을 형성하고 최적 경로를 검색하는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로 이루어진 특징에 의하여, 기지국이 정상 운용하는 상태에서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위상을 보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저가격이며 소형으로 제작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신뢰도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A DEVICE OF REVISING PHASE ERROR FOR ARRAY ANTENNA}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어레이 안테나 시스템의 각 안테나 수신경로에 의하여 발생하는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가격 소형 어레이 안테나 기지국 시스템을 운용하는 상태에서도 각 수신경로의 위상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이고, 상기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은 제한된 것이며, 무선통신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수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동일한 주파수를 동시 점유하여 통신하도록 개발된 기술이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이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휴대단말기(UE)는 기지국(BS: BASE SITE)의 해당 셀(CELL)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에서 이동하면서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것이며, 휴대단말기는 충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등의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낮은 출력전력으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각종 방해물에 의하여 반사 및 회절 등에 의한 다중경로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매우 미약한 레벨인 동시에 다중경로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BS)은 수신되는 신호의 이득(GAIN)을 높여야 하며, 상기와 같이 이득을 높이는 여러 가지 방식 중에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수신 이득을 높이는 방식이 있고, 그 중에 하나가 다수의 안테나를 반파장(λ/2)에 배수되는 기준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며, 상기 다수 안테나 요소가 수신하는 신호의 방향성과 폭(WIDTH) 등을 임의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어레이(ARRAY) 안테나이다.
상기와 같이 어레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요소(ELEMENT)는, 해당 경로별로 구분되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각 경로 별로 수신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최상 경로의 신호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각 수신경로의 위상이 동일하여야 하고, 각 경로별로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수신성능이 저하되므로, 상기 각 안테나 요소에 의한 경로별 위상오차를 동일하게 보정하여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단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 위상오차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 위상오차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단 구성은,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일정한 반파장(λ/2)의 배수 간격으로 배치되어 어레이 안테나를 구성하는 다수의 안테나(10)와,
상기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되어 인가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저잡음 특성의 일정한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LNA)(20); 상기 저잡음증폭기(2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IF)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국부신호를 발생하는 제1 국부발진기(30); 상기 저잡음증폭기(20)의 신호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30)의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1 믹서(40); 상기 제1 믹서(40)의 중간주파 신호를 일정한 레벨이 유지되도록 자동이득제어(AGC)하여 증폭하는 이득증폭기(50); 상기 이득증폭기(50)의 중간주파(IF) 신호를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제2 국부발진기(60); 상기 이득증폭기(50)의 신호와 상기 제2 국부발진기(60)의 신호를 혼합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2 믹서(70); 상기 제2 믹서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변환기(80)로 이루어진 다수의 수신부(90)와,
상기 다수의 수신부(90)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수신빔을 형성하는 동시에 최적 경로의 방향을 검색하는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10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어레이 안테나 수신단 구성을 도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어레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각의 안테나(10)는 각각 독립적인 경로에 의한 수신부(90)를 구비하고, 각각의 경로에 의하여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는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100)에 의하여 수신빔이 형성되는 동시에 최적 경로의 수신 방향이 검색된다.
상기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100)는 상기 독립된 다수 경로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부(9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각 안테나(10) 입력 신호의 위상차이가 해당 수신부(90)를 통과하는 동안, 위상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에 의하여 해당 처리를 하는 것으로, 상기 각 수신부(90)로부터 인가되는 위상에 차이 또는 오차가 있는 경우, 빔형성과 최적 수신방향을 정확하게 검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각 수신부(90)를 구성하는 저잡음증폭기(20), 제1 및 제2 국부발진기(30,60), 제1 및 제2 믹서(40,70), 이득증폭기(50), 디지털변환기(80)는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약간씩의 특성 오차가 있으므로, 상기 안테나(10)로부터 동일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각 수신부(90)마다 상이한 위상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각 부품은 주변 환경변화의 온도 변화에 의하여 동작특성이 변화하고, 출력 신호의 위상이 각각 상이하게 변화하므로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100)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위상오차를 보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해결방식을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무선전송되는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안테나(10)와, 상기 안테나(10)가 수신하는 고주파 신호와 유사한 시험용 신호를 발생하는 시험신호기(110)와, 상기 안테나(10)와 시험신호기 신호를 입력하고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듀플렉서(120)와, 상기 듀플렉서(120)에 의하여 선택된 고주파 신호를 입력하고 증폭과 하향변환하여 기저대역신호로 출력하는 수신부(90)와, 상기 수신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추정하여 해당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추정기(130)와, 상기 위상추정기(13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신부(9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변경하는 위상보정기(140)와, 상기 다수 위상보정기(140)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수신빔을 형성하고 최적 경로의 방향을 검색하는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1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일 예에 의한 종래 기술의 해결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시험신호기(110)에서 발생된 시험용 고주파 신호를 상기 다수의 듀플렉서(120)에 인가하며, 상기 다수 듀플렉서(120)를 제어하여 안테나(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시험신호기(110)로부터 인가된 신호가 상기 다수 수신부(90)에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시험신호기(110)로부터 발생되고 다수의 듀플렉서(120)를 통하여 각 수신기(90)에 인가된 고주파 신호는 해당 경로에 의하여 하향변환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위상지연이 발생되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수신부(9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는 해당 위상추정기(130)에 의하여 지연된 위상이 검출되는 동시에 소정 기준 위상과의 차이값이 검출되어 위상보정기(140)에 인가되며, 상기 위상보정기(140)는 상기 수신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보정하여 출력하므로써, 상기 다수 수신부(90)의 출력신호 위상이 동일하게 보정된다.
상기와 같은 위상보정은 필요한 경우마다 주기적으로 안테나(10)와 수신부(90)의 접속을 차단하고, 상기 시험신호기(110)의 신호를 수신부(90)에 입력하므로, 시험을 하는 동안에 통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시험신호기(110)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다수의 듀플렉서(120)에 동일한 위상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시험신호기(110)에서 발생한 신호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통신 주파수와 차이가 있으므로, 위상오차의 측정이 부정확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문제를 개선한 것으로, 다른 일 예에 의한 종래 기술은,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어레이 안테나 수신단에 있어서, 상기 다수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일부 추출하여 컴바인(COMBINE)하는 제1 컴바이너(150)와, 상기 제1 컴바이너(150)의 신호를 입력하고 하향변환하여 출력하는 기준수신부(190)와, 상기 다수 수신부(9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일부 추출하고 컴바인 하는 제2 컴바이너(160)와, 상기 기준수신부(190)의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컴바이너(160)의 신호를 빼는 뺄셈기(170)와, 상기 뺄셈기(170)의 신호에 의하여 위상보정신호를 발생하는 위상보정부(200)와, 상기 위상보정부(20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신부(90) 출력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보정기(1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에 의한 구성은, 다수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되고 제1 컴바이너(150)에 의하여 컴바인되는 신호를 상기 기준수신부(190)에서 하향변환하여 뺄셈기(17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컴바이너(160)는 다수의 수신부(90)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일부 추출하고 컴바인하여 상기 뺄셈기(170)에 출력한다.
상기 뺄셈기(170)는 기준수신부(19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컴바이너(160)의 신호를 빼어 상기 위상보정부(200)에 인가하며, 상기 위상보정부(200)는 각 수신부(90) 출력신호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각각의 위상보정기(180)에 출력하므로써, 상기 기준수신부(190)의 신호와 각 수신기(90)의 신호를 컴바인한 제2 컴바이너(160) 신호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보정한다.
상기와 같이 다른 일 예에 의한 종래 기술은, 기지국이 동작하는 상태에서도, 어레이 안테나의 각 경로에 의한 위상오차를 정기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지국 장비에서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하는 수신부(90)와 동일한 구성의 기준수신부(190)를 추가 구비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어레이 안테나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고, 기지국에 구비되며 호 접속이 없는 상태에서 대기중인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를 동작하도록 하므로써 어레이 안테나의 각 경로에 의한 위상오차를 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되어 시험용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시험단말기와; 상기 시험단말기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어레이의 다수 안테나와; 상기 각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하향변환하며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다수의 수신부와; 상기 각 수신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기준 위상과의 차이값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위상추정기와; 상기 각 위상추정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해당 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보정하는 다수의 위상보정기와; 상기 각 위상보정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수신빔을 형성하고 최적 경로를 검색하는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단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의 일 예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 위상오차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도3 은 종래의 다른 일 예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 위상오차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의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210 : 안테나20,220 : 저잡음증폭기
30,230 : 제1 국부 발진기40,240 : 제1 믹서
50,250 : 이득증폭기60,260 : 제2 국부발진기
70,270 : 제2 믹서80,280 : 디지털변환부
90,290 : 수신부100,320 :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
110 : 시험신호기120 : 듀플렉서
130,300 : 위상추정기140,180,310 : 위상보정기
150 : 제1 컴바이너160 : 제2 컴바이너
170 : 뺄셈기190 : 기준수신부
200 : 위상보정부400 : 시험단말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어레이 안테나 위상오차 보정장치는, 이동통신 기지국(BS: BASE STATION)과 무선접속되어 시험용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출력되는 시험용 무선신호가 평면파(PLAIN WAVE)로 상기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의 각 안테나에 수직 입사하도록 충분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시험단말기(UE: USER EQUIPMENT)(400)와,
상기 시험단말기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어레이의 다수 안테나(210)와,
상기 각 안테나(21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증폭하고 하향변환(DOWN CONVERTING)하며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기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되어 인가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저잡음(LOW NOISE) 특성의 소정 레벨(LEVEL)로 증폭(AMPLIFY)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AMPLIFIER)(220); 상기 저잡음증폭기(22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RF) 신호를 중간주파(IF)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국부신호를 발생하는 제1 국부발진기(230); 상기 저잡음증폭기(220)의 신호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230)의 신호를 혼합(MIX)하여 중간주파(IF)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1 믹서(240); 상기 제1 믹서(240)의 중간주파(IF) 신호를 일정한 레벨(LEVEL)이 유지되도록 자동이득제어(AGC: AUTO-GAIN CONTROL)하여 증폭(AMPLIFY)하는 이득증폭기(250); 상기 이득증폭기(250)의 중간주파(IF) 신호를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LOCAL OSCILLATION SIGNAL)를 발생하는 제2 국부발진기(260); 상기 이득증폭기(250)의 신호와 상기 제2 국부발진기(260)의 신호를 혼합(MIX)하여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2 믹서(270); 상기 제2 믹서(270)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변환기(A/D)(280)로 이루어진 다수의 수신부(290)와,
상기 각 수신부(290)의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기준 위상과의 차이값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위상추정기(PHASE ESTIMATOR)(300)와,
상기 위상추정기(30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해당 수신부(29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PHASE)을 보정(REVISE)하는 다수의 위상보정기(310)와,
상기 각 위상보정기(3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수신빔을 형성하고 최적 경로를 검색하는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32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를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시험단말기(400)는 상기 어레이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다수 안테나(210)와 평면파(PLAIN WAVE)로 가정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떨어져 있는 동시에, 상기 평면파가 어레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210)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지국(BS)은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이 높은 곳에 설치되고, 상기 시험단말기(400)는 상기 기지국과의 가시거리선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반사파, 회절파, 굴절파 등이 없는 직접파에 의한 평면파로 기지국 어레이 안테나와 무선접속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 어레이 안테나(210)가 시험단말기(400)와 평면파로 통신을 하는 경우, 각 안테나(210)는 동일한 위상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각각의 수신부(2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해당 위상추정기(300)에서 위상을 측정하고, 소정의 기준 위상과 비교하면, 해당 경로에 의한 위상 차이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위상추정기(300)는 수신된 위상과 기준 위상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위상보정기(310)에 출력하고, 상기 위상보정기(310)는 상기 수신부(29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상기 위상추정기(3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보정(REVISE)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어레이 안테나를 구성하는 모든 안테나(210)와 접속하고 독립된 경로를 구성하는 해당 수신부(290)에 의하여 증폭되고 하향변환되며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되는 신호는 위상추정기(300)와 위상보정기(310)에 의하여 동일한 위상으로 보정(REVISE)되어 출력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시험단말기(400) 안테나의 기지국 어레이 안테나와 반대되는 방향에 반사 또는 흡수판을 부가하는 경우, 위상오차 보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호(CALL) 처리를 위한 다수의 채널을 할당하고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시험단말기(400)를 호출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므로써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보정을 위한 평면파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어레이 안테나의 각 경로별 위상을 기지국이 정상적으로 운용하는 상태에서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비싼 수신부를 사용하지 않고 시험단말기를 이용하므로, 어레이 안테나 기지국 시스템을 저가격이며 소형으로 제작하며 정확한 유지보수 운용을 통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신뢰도 향상의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레이 안테나 기지국 시스템의 위상을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보정하여 통신품질을 제고하여 전송 신호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접속되어 시험용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시험단말기와,
    상기 시험단말기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어레이의 다수 안테나와,
    상기 각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하향변환하며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다수의 수신부와,
    상기 각 수신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소정 기준 위상과의 차이값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위상추정기와,
    상기 각 위상추정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해당 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을 보정하는 다수의 위상보정기와,
    상기 각 위상보정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수신빔을 형성하고 최적 경로를 검색하는 빔형성기/방향성검색기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의 제어에 의하여 시험용 무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가 평면파로써 상기 어레이 안테나의 각 안테나에 수직 입사하도록 충분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추정기는 소정의 기준 위상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부 신호와 대비하여 위상차이를 검출하여 해당 차이값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위상보정기는 상기 위상추정기의 차이값 신호에 의하여 상기 해당 수신부 신호의 위상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어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를 저잡음 특성의 소정 레벨로 증폭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저잡음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국부신호를 발생하는 제1 국부발진기와,
    상기 저잡음증폭기의 신호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의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1 믹서와,
    상기 제1 믹서의 중간주파 신호를 일정한 레벨이 유지되도록 자동 이득제어하여 증폭하는 이득증폭기와,
    상기 이득증폭기의 중간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제2 국부발진기와,
    상기 이득증폭기의 신호와 상기 제2 국부발진기의 신호를 혼합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2 믹서와,
    상기 제2 믹서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변환기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KR1020020079789A 2002-12-13 2002-12-13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KR20040052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789A KR20040052064A (ko) 2002-12-13 2002-12-13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789A KR20040052064A (ko) 2002-12-13 2002-12-13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064A true KR20040052064A (ko) 2004-06-19

Family

ID=3734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789A KR20040052064A (ko) 2002-12-13 2002-12-13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20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60B1 (ko) * 2005-09-27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간 간섭 최소화 장치 및 방법
KR100831324B1 (ko) * 2004-10-15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서 어레이 안테나의 방사패턴 측정장치
US7720441B2 (en) 2005-09-27 2010-05-18 Samsung Elector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inter-signa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21677B1 (ko) * 2009-12-11 2011-03-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오차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2277A (ja) * 1991-04-19 1993-06-08 Hughes Aircraft Co 信号注入器及びrfスイツチを使用して、位相アレイアンテナのアンテナ校正、性能監視及び不具合部分を分離する組み込みシステム
KR20010041911A (ko) * 1998-03-16 2001-05-25 토마스 디. 하이드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8416A (ko) * 2000-03-07 2001-09-26 가네꼬 히사시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EP1178562A1 (en) * 2000-08-03 2002-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ntenna array calib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2277A (ja) * 1991-04-19 1993-06-08 Hughes Aircraft Co 信号注入器及びrfスイツチを使用して、位相アレイアンテナのアンテナ校正、性能監視及び不具合部分を分離する組み込みシステム
KR20010041911A (ko) * 1998-03-16 2001-05-25 토마스 디. 하이드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8416A (ko) * 2000-03-07 2001-09-26 가네꼬 히사시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EP1178562A1 (en) * 2000-08-03 2002-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ntenna array calib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24B1 (ko) * 2004-10-15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서 어레이 안테나의 방사패턴 측정장치
KR100810360B1 (ko) * 2005-09-27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간 간섭 최소화 장치 및 방법
US7720441B2 (en) 2005-09-27 2010-05-18 Samsung Elector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inter-signa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21677B1 (ko) * 2009-12-11 2011-03-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오차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0952B2 (en) Adaptive array antenna transceiver apparatus
US1079498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stimating direction of arrival of a signal incident on at least one antenna array
US9088309B2 (en) Antenna tunning arrangement and method
US7149489B2 (en) D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157343A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US10721634B2 (en) Non-line-of-sight (NLOS) coverage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TW201631915A (zh) 毫米波通訊的波束成型方法以及使用此方法的基地台與使用者設備
US20120086602A1 (en) Hybrid beam forming apparatus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574456B (zh) 階層式波束成型方法及其基地台與使用者設備
US7054397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obile stations and a base station
KR20040052064A (ko) 어레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장치
KR100769989B1 (ko) 중계기와 위성과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서송신경로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10663A (ko) 주파수 합성부를 이용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무선 중계장치 및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US103894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ccess point in a point to multipoint wireless network
Aldalbahi et al. Digital compass for multi-user beam access in mmWave cellular networks
Hashimoto et al. Space solar power system beam control with spread-spectrum pilot signals
KR100592590B1 (ko)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크기/위상 오차 제어 장치
KR201300736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92569A (ko) 다중 대역 상호변조왜곡 측정 장치
US20040166903A1 (en) Base station
KR100554507B1 (ko)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알에프 수신부에 적용되는위상오차 제어장치
US858881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2006512828A (ja) モバイルハンドセットの送信電力のための制御手法
KR20040008692A (ko) 디지털 빔 포밍 시스템
KR20040046256A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신전력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