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684A - 건축물 개방부를 위한 셔터형 커버링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방부를 위한 셔터형 커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684A
KR20040035684A KR10-2004-7000655A KR20047000655A KR20040035684A KR 20040035684 A KR20040035684 A KR 20040035684A KR 20047000655 A KR20047000655 A KR 20047000655A KR 20040035684 A KR20040035684 A KR 20040035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headrail
slats
lif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슨웬델비.
안토니제임스엠.
앤더슨리차드엔.
하러스티븐알.
프래저도날드이.
널로버트에이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3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 Ladd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테이션 스타일의 셔터를 닮은 베네치아식 윈도우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헤드레일은 (ⅰ) 그것에 매달린 복수의 슬랫들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ⅱ) 장착브래킷에 의하여 윈도우 프레임의 측면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며, (ⅲ) 중공의 내부를 갖는다. 헤드레일에 매달린 복수의 슬랫들에 경사를 부여하는 작업은 헤드레일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느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하여 달성된다. 블라인드 조립체에 폐쇄 위치로 경사를 부여하면, 헤드레일 및 매달린 슬랫들 또한 윈도우패인을 향하여 안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슬랫들은 액츄에이터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내부에 상기 슬랫들을 상기 슬랫들을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시키기 위한 록 기구를 포함하는 리프트 핸들의 작동을 통해 들어 올려진다.

Description

건축물 개방부를 위한 셔터형 커버링{SHUTTER-TYP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베네치아식 블라인드 및 플랜테이션 스타일의 셔터들은 통상적으로 주거 및 상업적인 응용분야에 사용되는 윈도우 커버링의 두가지 형태들이다.
종래의 베네치아식 블라인드 조립체들은 통상적으로 헤드레일, 저부레일 및 그들 사이에 있는 복수의 수평방향 슬랫들을 포함한다. 리프트 코드들은 상기 헤드레일내의 캐치기구(catch mechanism)로부터 저부레일로 연장된다. 캐치를 해제하고 헤드레일 및 캐치로부터 연장되는 리프트 코드의 일부를 잡아당기거나 안내함으로써, 상기 슬랫들의 수직방향으로의 배치가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수축된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랫들 각각은 통상적으로 코드 또는 테입 래더에 의하여 지지된다. 래더는 통상적으로 슬랫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한 피봇을 위하여 헤드레일의 경사기구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로부터 연장되는 로드를 회전시키거나 코드를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가 개구부를 통해 들어오기를 원하는 만큼의 빛의 정도에 따라 복수의 슬랫들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베네치아식 블라인드는 플랜테이션 스타일의 셔터보다 얇고 가벼우며 플랜테이션 스타일의 셔터에 필요한 주변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블라인드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기구를 포함하는 베네치아식 블라인드 조립체의 헤드레일은 흔히 건축학적으로는 그다지 좋지 않고 보기에도 좋지 않다. 베네치아식 블라인드를 갖는 건축물 개구부에 대해서는 헤드레일을 숨기기 위한 밸런스나 여타 내부 디자인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플랜테이션 스타일의 셔터는 베네치아식 블라인드와 같은 복수의 수평방향 슬랫들을 포함하지만, 외관에 있어 보다 뛰어난 경향이 있다. 복수의 슬랫들은 통상적으로 건축물 개구부를 둘러싼 주변 프레임워크내에 에워싸인다. 슬랫들은 프레임위크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그들은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없다. 하지만, 상기 슬랫들은 그들에 느슨하게 부착된 액츄에이터 로드의 작동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이 상기 슬랫들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시킨다.
플랜테이션 스타일의 셔터들이 베네치아식 블라인드들 보다 매력적이라는 것을 십분 고려하더라도, 구입이 망설여지는 몇가지 단점들이 존재한다. 아마도, 가장 큰 단점은 플랜테이션 스타일의 셔터들이 윈도우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없어서, 사용자는 슬랫들이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 오도록 하지만 베네치아식 블라인드가 수축될 때에 제공되는 것과 같은 탁트인 시야를 제공하는 능력이 없다는 제한된 선택을 해야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셔터들이 매우 넓고 프레임워크가 흔히 내멱의 표면을 넘어 연장되기 때문에, 셔터 타입 블라인드가 벽면과 같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는 깊게 들어간(inset) 윈도우에서만 유용하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원용
본 유틸리티 출원은 2002년 7월 16에 출원된, 미국특허 가출원 번호 제60/305,947호와 2002년 5월 17일에 출원된 미국특허 가출원 번호 제60/381,587호 둘 모두에 우선한다. 또한, 본 출원은 2001년 7월 16일에 출원되었고 전체적으로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 채용되어 있는 미국특허 가출원 번호 제60/306,049에 우선하는, Shutter-Like Covering And Hardware For Architecture Openings란 이름으로 2002년 7월 16일에 본 출원과 함께 출원된 미국 유틸리티 특허출원 제________호와도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건축물 개방부용 커버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별하게는 개방 및 폐쇄 위치로 수축 및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수평방향 슬랫(slat)들을 포함하며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플랜테이션 스타일(plantation-style) 연상시키는 셔터의 모습을 갖는 블라인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펼쳐진 위치에서 개방 위치의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2는 펼쳐진 위치에서 제1폐쇄 위치의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3은 펼쳐진 위치에서 제2폐쇄 위치의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4는 부분적으로 상승되고 수축된 위치의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5는 완전히 상승되고 수축된 위치의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6은 블라인드 조립체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7-7라인을 따라 취한 블라인드 조립체의 수직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6의 8-8라인을 따라 취한 블라인드 조립체의 수직방향 단면도,
도 9는 도 6의 9-9라인을 따라 취한 블라인드 조립체의 수평방향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10-10라인을 따라 취한 블라인드 조립체의 수평방향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11-11라인을 따라 취한 블라인드 조립체의 수직방향 부분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것에 리프트 및 코드 래더를 부착시키는 수단을 예시한 강성 저부 슬랫의 등축 부분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13-13라인을 따라 취한 액츄에이터 로드와 관련 하부 장착브래킷의 하단부의 피봇 운동을 예시하고 있는 부분단면도,
도 14는 액츄에이터 로드 및 관련 장착브래킷의 하단부를 예시하고 있는 부분정면도,
도 15는 윈도우 프레임 장착브래킷과 연결되느 강성 헤드레일과 그것의 피봇 운동을 예시하고 있는, 도 9의 15-15라인을 따라 취한 수직방향 부분단면도,
도 16은 헤드레일이 제1폐쇄 위치로 피봇되는, 도 15의 부분단면도와 유사한 도,
도 17은 헤드레일이 제2폐쇄 위치로 피봇되는, 도 15의 부분단면도와 유사한 도,
도 18은 도 15의 18-18라인을 따라 취한 헤드레일 및 관련 장착판의 수평방향 부분단면도,
도 19는 장착브래킷의 측면도,
도 20은 장착브래킷의 등축 측면도,
도 21은 도 7의 21-21라인을 따라 취한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평방향 단면도,
도 22는 록 조립체를 포함하는 핸들부재를 예시하고 있는, 도 21의 22-22라인을 따라 취한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직방향 부분단면도,
도 23은 핸들부재와 2개의 커넥터 코드에 의한 그들의 상호연결부를 예시하고 있는, 도 22의 23-23라인을 따라 취한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직방향 단면도,
도 24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대안실시예에 따라 리프트 코드가 록 조립체상의 원통형부재 주위에 감기고 액츄에이터 바아의 상부 캡에 고정되는, 도 23의 단면도와 유사한 수직방향 확대단면도,
도 25는 그것의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일 핸들부재 및 관련 록 조립체의 수직방향 확대단면도,
도 26은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들이 하강되고 있을 때의 핸들부재 및 록 조립체를 예시하고 있는, 도 25의 단면도와 유사한 일 핸들부재 및 관련 록 조립체의 수직방향 확대단면도,
도 27은 개방 위치와 펼쳐진 위치의 저부 슬랫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2개의 액츄에이터 로드를 포함하는 대안실시예의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28은 슬랫들이 부분적으로 상승 및 수축된, 대안실시예의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29-29라인을 따라 취한 대안실시예의 블라인드 조립체의 수직방향 단면도,
도 30은 개방 위치에서의 헤드레일 및 그에 매달린 복수의 슬랫의 수직방향 부분단면도,
도 31은 폐쇄 위치에서의 헤드레일 및 그에 매달린 복수의 슬랫의 수직방향 부분단면도,
도 32는 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피봇기구를 포함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부분 정면도,
도 33은 대안의 헤드레일 장착브래킷의 분해도,
도 34는 수축된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피스를 갖는 대안의 장착브래킷의 등축도,
도 35는 펼쳐진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피스를 갖는 대안의 장착브래킷의 등축도,
도 36은 도 32의 36-36라인을 따라 취한 헤드레일 및 대안의 장착브래킷의 단면도,
도 37은 대안의 피봇기구의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의 등축도,
도 38은 제1대안의 피봇기구의 피봇 피스의 등축도,
도 39는 제1대안의 피봇기구의 피봇 피스의 등축도,
도 40은 도 32의 40-40라인을 따라 취한 것과 같은 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피봇기구를 포함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41은 도 32의 41-41라인을 따라 취한 것과 같은 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피봇기구를 포함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42는 도 32의 42-42라인을 따라 취한 것과 같은 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피봇기구를 포함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43은 슬랫들이 그들의 폐쇄 위치에 있는, 도 32의 42-42라인을 따라 취한 것과 같은 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피봇기구를 포함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44는 하부 슬랫들이 부분적으로 상승된 구조를 갖는, 헤드레일 및 매달린 슬랫들의 후방에 단일의 리프트 코드를 포함하는 대안의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수직방향 단면도,
도 45는 슬랫들이 완전히 상승해 있는 도 44와 유사한 수직방향 단면도,
도 46은 대안의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단부 캡 및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의 등축 분해도,
도 47은 헤드레일 단부 캡에 부착되는 상단부 캡을 나타내는 대안의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단부 캡 및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의 등축도,
도 48은 대안의 액츄에이터 로드 상단부 캡 및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의 단면의 평면도,
도 49는 도 48의 49-49라인을 따라 취한 대안의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단부 캡 및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의 단면도,
도 50은 도 48의 50-50라인을 따라 취한 대안의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단부 캡 및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의 단면도,
도 51은 헤드레일을 따른 상이한 길이방향의 위치에서 이격된 3개의 리프트코드를 활용하는 커버링의 리프트 코드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2는 헤드레일을 따르는 상이한 길이방향의 위치에서 이격된 4개의 리프트 코드를 활용하는 커버링의 리프트 코드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3은 제2대안실시예의 헤드레일 및 액츄에이터 로드 단부 캡과 관련 연결구조체의 등축도,
도 54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선적이 보다 용이해 지도록 액츄에이터 로드가 관련 헤드레일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53과 유사한 등축도,
도 55는 도 53의 55-55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6은 스프링 멈춤부의 등축도,
도 57은 제2대안실시예의 액츄에이터 로드 단부 캡의 등축도,
도 58은 제2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관련 헤드레일 조립체 일부의 등축도,
도 59는 헤드레일내에 포함되는 피봇식으로 스프링 편향되는 플라스틱 장착실린더 및 장착 브래킷의 부분단면도,
도 60은 장착브래킷 및 대응 헤드레일 관련부의 등축 분해도,
도 61은 제2대안의 장착브래킷이 활용되는 플랜지 플라스틱 실린더의 등축도,
도 62는 부분적으로 칼라 인써트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제2대안실시예의 풋 레일의 등축도,
도 63은 도 62의 63-63라인을 따라 취한 대안 풋 레일의 측단면도,
도 64는 대안 풋 레일의 일부를 포함하는 반투명 플라스틱 배인의 측단면도,
도 65는 대안 풋 레일의 일부를 포함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출제의 측단면도,
도 66은 대안 풋 레일의 일부를 포함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에지의 측단면도,
도 67은 대안 풋 레일의 일부를 포함하는 칼라 인써트의 측단면도,
도 68은 코드조정부재 및 선택적 풋 레일 장착브래킷을 나타내는 대안 풋 레일의 등축 부분 끝단면도,
도 69는 코드조정부재를 나타내는 대안 풋 레일의 등축 부분 저부도,
도 70은 코드조정부재를 나타내는 대안 풋 레일의 등축 분해도,
도 71은 또한 코드조정부재의 상이한 사시도로부터 취한 대안 풋 레일의 또다른 등축 분해도,
도 72는 대안 풋 레일의 단부 부근에 사용하기 위한 코드조정부재의 등축도,
도 73은 편측(one-sided) 코드 래더 및 대안 풋 레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코드조정부재의 변형례의 등축도,
도 74는 리프트 코드 및 그를 통해 나사결합되는 코드 래더의 라이저 코드를 나타내는 코드조정부재의 등축 정면도,
도 75는 코드조정부재의 부분 단면의 평면도,
도 76은 코드조정부재의 측면도,
도 77은 도 75의 76-76라인을 따라 취한 코드조정부재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
도 78은 도 76의 78-78라인을 따라 취한 코드조정부재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
도 79는 도 76의 79-79라인을 따라 취한 코드조정부재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
도 80은 도 76의 80-80라인을 따라 취한 코드조정부재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
도 81은 도 76의 81-81라인을 따라 취한 코드조정부재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
도 82는 도 76의 82-82라인을 따라 취한 코드조정부재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
도 83은 도 68의 83-83라인을 따라 취한 설치된 코드조정부재를 나타내는 대안 풋 레일의 단면도,
도 84는 도 68의 84-84라인을 따라 취한 설치된 코드조정부재를 나타내는 대안 풋 레일의 부분단면도,
도 85는 도 68의 85-85라인을 따라 취한 설치된 코드조정부재를 나타내는 대안 풋 레일의 부분단면도,
도 86은 액츄에이터 바아의 하부를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과 결합시키는 제2대안의 피봇기구의 등축 정면도,
도 87은 제2대안의 피봇기구의 등축 배면도,
도 88은 제2대안의 피봇기구의 등축 분해도,
도 89 및 도 90은 피스들이 어떻게 피봇식으로 조화되는지를 예시한, 제2대안의 피봇기구의 제1구성요소들의 등축도,
도 91은 슬랫들의 완전 개방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피봇기구를 나타내는, 도 86의 91-91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2는 슬랫들의 완전 폐쇄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피봇기구를 나타내는, 또한 도 86의 91-91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3은 대안 액츄에이터 로드의 일부상의 제2대안의 리프트기구를 예시한 등축도,
도 94는 리프트기구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록 해제 레버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 93과 유사한 등축도,
도 95는 리프트기구의 등축 분해도,
도 96은 도 94의 96-96라인을 따라 취한 리프트기구의 평면도,
도 97은 록킹된 위치의 리프트기구를 나타내는, 도 89의 90-90라인을 따라 취한 리프트기구 및 액츄에이터 로드 관련부의 측단면도,
도 98은 록킹되지 않은 위치의 리프트기구를 나타내는, 도 90과 유사한 단면도,
도 99는 도 98의 99-99라인을 따라 취한 리프트기구 및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면의 평면도,
도 100은 도 99의 100-100라인을 따라 취한 리프트기구의 부분단면의 측면도,
도 101은 도 99의 101-101라인을 따라 취한 리프트기구의 부분단면의 측면도,
도 102는 도 97의 102-102라인을 따라 취한 리프트기구의 부분단면의 측면도,
도 103은 개방 위치의 슬랫을 갖는 펼쳐진 위치에서의 평형 경사기구를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등축 정면도,
도 104는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 단부상의 가중된 태슬을 예시한, 도 103의 수평방향 블라인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5는 도 104의 105-105라인을 따라 취한, 도 103의 수평방향 블라인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6 내지 108은 다양한 경사 위치의 슬랫들(또는 배인들)을 예시한, 도 105와 유사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9는 도 10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인들이 완전 개방된 경사 위치에 있을 때 테이퍼진 보빈상의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위치설정을 예시한, 도 105의 109-109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평면도,
도 110은 도 10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인들이 제2의 폐쇄된 경사 위치에 있을 때 테이퍼진 보빈상의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위치설정을 예시한, 도 104의 109-109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평면도,
도 111은 도 10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인들이 제1의 폐쇄된 경사 위치에 있을 때 테이퍼진 보빈상의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위치설정을 예시한, 도 104의 109-109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평면도,
도 112는 도 109의 112-112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단면도,
도 113은 도 109의 113-113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단면도,
도 114는 도 109의 114-114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단면도,
도 115a-c는 슬랫들이 3개의 상이한 경사 위치: 즉 완전 개방 위치; 제2폐쇄 위치; 및 제1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보빈에 대한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위치설정을 예시한, 도 109의 115A-115A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부분단면도,
도 116a-c는 슬랫들이 3개의 상이한 경사 위치: 즉 완전 개방 위치; 제2폐쇄 위치; 및 제1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일정 인장력형 스프링의 위치설정을 예시한, 도 109의 116A-116A라인을 따라 취한 평형 경사기구의 부분단면도,
도 117은 단부 캡을 포함하는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예시한, 평형 경사기구의 등축 분해도,
도 118은 가중된 태슬의 등축도,
도 119는 도 118의 119-119라인을 따라 취한 태슬의 단면의 평면도,
도 120은 도 121의 120-120라인을 따라 취한 가중된 태슬을 위한 암 플라스틱 커버의 립을 가진 에지의 부분도,
도 121은 가중된 태슬의 등축 분해도,
도 122는 경사 코드 록킹기구를 포함하는 헤드레일 단부 캡의 등축 평면도,
도 123은 록킹된 위치의 록킹기구를 예시한, 도 122의 123-123라인을 따라취한 록킹기구의 평면도,
도 124는 도 123의 124-124라인을 따라 취한 록킹기구의 측단면도,
도 125는 도 124의 125-125라인을 따라 취한 록킹기구의 단면의 평면도,
도 126은 록킹되지 않은 위치의 록킹기구를 예시한, 도 122의 123-123라인을 따라 취한 록킹기구의 평면도,
도 127은 편측 코드 래더를 활용하는 대안실시예의 커버링의 등축 정면도,
도 128은 편측 코드 래더를 활용하는 대안실시예의 커버링의 등축 배면도,
도 129는 도 127의 129-129라인을 따라 취한 도 127의 커버링의 측단면도,
도 130은 도 127의 130-130라인을 따라 취한 도 127의 커버링의 측단면도,
도 131은 도 129의 131-131라인을 따라 취한 슬랫의 측단면도,
도 132는 도 130의 132-132라인을 따라 취한 슬랫의 부분저부도,
도 133은 복수의 리프트 코드들이 활용될 제1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등축 분해도,
도 134는 제1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등축도,
도 135는 도 134의 135-135라인에서 본 제1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측단면도,
도 136 및 137은 리프트 코드가 어떻게 핀에 고정되는지를 나타내는 중앙 리프트 코드 유지 핀의 등축도,
도 138은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등축도,
도 139는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평면도,
도 140은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측면도,
도 141은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저부도,
도 142는 도 140의 142-142라인을 따라 취한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단면의 저부도,
도 143은 도 140의 143-143라인을 따라 취한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단면의 평면도,
도 144는 도 139의 144-144라인을 따라 취한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측단면도,
도 145는 도 139의 145-145라인을 따라 취한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측단면도,
도 146은 그 내부에 고정된 리프트 코드를 나타내는 도 139의 145-145라인을 따라 취한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 어웨이 태슬의 측단면도,
도 147은 태슬이 떨어져 나가기 시작할 때를 나타내는 도 139의 145-145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8은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중앙 커플링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코드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 143과 유사한 도,
도 149는 코드고정부재가 중앙 커플링부재로부터 분리된 후의 제2실시예의 태슬의 측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후술될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은 베네치아식 블라인드 및 셔터의 혼합형으로 셔터에서 발견되는 주변 프레임이 없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일은 풋 레일(또는 저부 슬랫)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일이 그것에 매달린 복수의 슬랫들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버링의 헤드레일은 길이방향의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하여 1쌍의 장착브래킷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슬랫들은 헤드레일로부터 드리워지고 코드 래더에 의하여 헤드레일에 결합된다. 헤드레일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슬랫들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 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커버링을 수축 및 펼치기 위하여, 리프트 코드들이 저부 슬랫에 고정되고 상기 슬랫들을 따라 상향 연장되며 그들이 상기 리프트 코드에서 끝나는 측방향 위치까지 헤드레일 내측으로 그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리프트 액츄에이터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슬랫들은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질러 수축 및 펼쳐질 수 있다. 제1변형례에서, 액츄에이터 로드의 하단부는 윈도우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제2변형례에서, 액츄에이터 로드의 하단부는 길이방향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장착되는 저부 슬랫 (또는 풋 레일)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에는, 수평방향으로 헤드레일의 단부로부터 장착브래킷의 개별 슬롯내로 연장되는 1쌍의 핀을 수용하는 상기 장착브래킷이 제공된다. 헤드레일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피봇되면, 슬롯내를 슬라이드하는 핀들은 헤드레일이 건축물 개구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하면 건축물 개구부의 윈도우 등의 표면을 많이 벗어나 연장되는 넓은 슬랫들은 슬랫들의 폭을 수용하기 위하여 폐쇄 위치에 있는 표면과는 같은 높이 또는 거의 같은 높이에 있으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표면으로부터는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링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는, 액츄에이터 로드 대신에 수평방향 슬랫들을 이동시키는 평형 경사기구(balanced tilt mechanism)를 포함한다. 평형 경사기구는 액츄에이터 코드의 단부에 달려 있는 가중된 태슬(tassel)을 부드럽게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김으로써 최소의 노력으로 수평방향 블라인드의 슬랫들(또는 배인들(vanes))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한다. 상기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변형례는 피봇 헤드레일내에 포함되는 리프트 코드 록킹기구를 활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 특징 및 세부사항들은 후속하는 도면과 연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을 참조하면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10)가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 블라인드로서의 사용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그것은 출입구(doorway), 아치웨이 등과 같은 여하한 건축물 개방부에 이용될 수 있다. 블라인드 조립체는 (i) 장착 브래킷(14)에 의하여 윈도우 프레임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체 지지되고 대체로 강성의 슬랫 형상 수평방향 헤드레일(12), (ⅱ) 1이상의 리프트 코드(22)에 의하여 헤드레일에 결합되는 자체 지지되고 약간 강성인 수평방향 하부 슬랫(16)(또는 풋 레일), (ⅲ) 상부 및 저부 슬랫 사이에 배치되고 코드 래더(26)에 의하여 그것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방향 슬랫(24), 및 (ⅳ) 상기 슬랫들을 들어올리기도 경사지게 하기도 하는 액츄에이터 로드(28)를 포함한다. 슬랫들은 관상 구조로 되어 있고 슬랫들이 수평방향으로 자체 지지될 수 있도록 약간 강성화된 섬유상 재료로 만들어진다. 관상 직물 슬랫들은 "Shutter-like Covering And Hardware For Architectural Openings"라 제목 붙여진 본 출원의 양수인 소유의 현재 출원되어 함께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특허출원번호 제.________호)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안실시예에서, 나무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것과 같은 슬랫의 다른 형태들 또한 직물재 슬랫을 대신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헤드레일(12)은 리프트 코드(22)를 수용하고 안내하는 풀리(30,32)를 포함하는 중공의 내부를 갖는 관상형태가 바람직하다. 헤드레일(12)은 플라스틱과 같은 여타의 적절한 재료들로부터 여태의 형태들이 제작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헤드레일(12)은 블라인드 조립체(10)의 다른 슬랫(24)들을 정합시키기 위하여 부직포로 씌어진다. 또한, 헤드레일(12)은 윈도우프레임의 어느 한 측에 부착되는 2개의 장착브래킷(14)에의 피봇식 부착을 위한 단부 캡(34)들을 포함한다.
수평방향 저부 슬랫(16) 역시 관상이며,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플라스틱 피스(20)에 의해 내부가 보강된 부직포 쉘(18)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및 도 12에 도시됨). 통상적으로, 저부 슬랫(16)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리프트 코드 쌍(22)에 의하여 헤드레일(12)로부터 늘어져 있고, 윈도우 블라이드 조립체용 풋 레일로서의 역할을 한다. 리프트 코드 쌍(22)들은 슬랫의 대향 단부에서 저부 슬랫(16)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윗쪽으로 다른 슬랫(24)들의 전방 및 후방에지를 따라 헤드레일까지 지나간다. 리프트 코드는 코드 래더의 수직방향부와 함께 서로 꼬일 수(interwinded) 있다. 리프트 코드는 헤드레일(12)의 중공 내부를 통과하되, 풀리 주위를 거쳐 측방향으로 헤드레일의 단부를 향하여 지나간다. 각각의 리프트 코드 쌍(22)은 슬랫(24)의 전방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전방 리프트 코드 및 슬랫(24)의 후방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후방 리프트 코드를 포함한다(도 8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음).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면, 3이상의 코드 래더(26)를 활용하는 보다 넓은 블라인드 조립체에서는, 전방 리프트 코드(7005) 및 후방 리프트 코드(7010)가 코드 래더(26)의 위치에 대응되는 슬랫 또는 헤드레일(12)상의 동일한 길이방향의 위치에서 함께 쌍을 이룰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코드 래더가 활용되는 경우에는, 좌측 코드 래더(도시 안됨)의 전방 라이저 코드와 함께 서로 꼬일 수 있는 좌측 전방의 리프트 코드(7110A), 우측 코드 래더(도시 안됨)의 전방 라이저 코드와 함께 서로 꼬일 수 있는 우측 전방의 리프트 코드(7110B), 중앙의 코드 래더(도시 안됨)의 후방 라이저 코드와 함께 서로 꼬일 수 있는 중앙 후방의 리프트 코드(7105)로 이루어진 3개의 리프트 코드만을 필요로한다. 도 5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 4개의 코드 래더가 활용되는 경우에는 단부의 리프트 코드들 중간에 있는 각각의 전방 좌측 및 우측 단부의 리프트 코드(7110A, 7110B)와 각각의 후방 좌측 및 우측 리프트 코드(7105A, 7105B)로 이루어진 4개의 리프트 코드만을 필요로 한다. 리프트 코드들은 코드 래더(도시 안됨)의 라이저 코드들과 함께 서로 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4개의 코드 래더 블라인드 조립체와 관련하여, 2개의 단부 리프트 코드들은 슬랫의 후방을 따라 연장되고, 중간의 리프트 코드들은 슬랫의 전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대안실시예에서는, 도 44 및 도 4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리프트 코드만이 활용된다. 리프트 코드(22)는, 대안적으로는 슬랫의 전방 에지를 따라서도 연장될 수 있지만 슬랫(24)의 후방 에지(윈도우에 인접한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랫(24)이 상승하게 되면, 저부 슬랫(16)의 전방 단부 및 하부 슬랫(24)의 전방 단부가, 코드 래더(26)의 전방 라이저 코드(36) 및 상기 슬랫과 연관된 크로스 렁(cross rung:38)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슬랫 전방 단부가 더 이상의 하향 이동되지 않을 때까지 아랫쪽으로 강하한다(도 4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 결과적으로, 저부 슬랫(16) 및 관련 하부 슬랫(24)들은,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도 또는 단면도가 꽃받침(flower pedal)의 중앙으로부터 퍼져 나온 받침을 닮은 각 배인에 의하여 꽃의 일부분를 연상시키는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스택을 형성한다(상기 슬랫들은 꽃의 1/4의 부분을 닮아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수평방향의 슬랫(24)들은 상부 및 저부 슬랫(12,16)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코드 래더(26)에 의하여 그것에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랫(24)들은 윗쪽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의 측면과 아랫쪽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의 측면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슬랫의 전방 및 후방 에지에 근접하여 교차하면서 끝난다. 슬랫들이 압축되는 경우에는, 블라인드 조립체가 헤드레일 바로 아래에서 수직방향으로 쌓아 올려진 슬랫들에 의하여 후퇴될 때와 같이, 슬랫들의 면들이 서로의 위로 접혀져 각각의 수평방향 슬랫(24)의 높이가 현저하게 줄어든다(도 4 및 도 5에 가장 잘 예시됨).
통상적으로, 각각의 코드 래더(26)는 그들 사이의 공간에 걸쳐 있는 복수의 크로스 렁(38)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라이저 코드(36)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평방향 슬랫(24)은 복수의 코드 래더(26)의 대응되는 크로스 렁(38)에 올려진다(cradle). 각각의 라이저 코드(36)는 일반적으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코드(22)와 같은 넓이를 가지며, 상기 리프트 코드(22)는 라이저 코드와 함께 서로 꼬여 있고, 주기적으로 2개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인접한 크로스 렁(38) 사이에서 엮어진다. 각 코드 래더(26)의 각 라이저는 하단부에서는 저부 슬랫(16)과 상단부에서는 헤드레일(12)과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액츄에이터 로드(28)는 그것의 상단부에서는 헤드레일(12)과 그것의 하단부에서는 윈도우 프레임과 피봇식으로 부착된다.스랫(24)들은 액츄에이터 로드(28)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경사를 이루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로드(28)를 따른 리프트 핸들(90,92)의 슬라이드 가능한 움직임이 블라인드 조립체(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1쌍의 리프트 핸들 부재(90,92)들은 액츄에이터 로드(28)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고 서로 그리고 복수의 리프트 코드(22)에 결합된다(이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슬랫들의 기울임 및 그것의 작동과 관련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구조
상술된 바와 같이, 헤드레일(12)은 양 끝단부에서 윈도우 장착판(14)과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부착은 간섭끼워맞춤, 접착, 리벳팅 등을 포함하나 그로 제한되지 않는 여느 적절한 수단들에 의해 상기 헤드레일(12)의 양쪽 단부에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1쌍의 단부 캡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 캡(34)은 스프링이 설치된 핀(44,46)이 수용 및 유지되는 2개의 리셉터클(42)을 포함한다. 핀(44,46)들은 단부 캡(34)의 면에 수직하고 헤드레일(12)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위치로 편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의 팁(48,49)들은 슬롯(50,52) 및 장착판(14)에 피봇 및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핀들 중 하나(44)는 헤드레일(12)의 단면 중앙에 근접한 각각의 단부 캡(34)상에, 그리고 나머지 핀(46)은 헤드레일(12)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를 향하여 배치된다. 핀들을 눌러줌으로써, 헤드레일은 2개의 대향하는 장착판(14)들 사이에서 그들과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핀들은 장착판 슬롯(50,52)내에 맞물려 블라인드 조립체(10)를 윈도우의 개구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50은 제1대안실시예의 헤드레일 단부 캡(4605)을 예시하고 있다. 상술된 단부 캡과 마찬가지로, 상기 단부 캡은 스프링이 설치된 핀(44,46)(도시 안됨)이 수용 및 유지되는 2개의 리셉터클(4610)을 구비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핀들은 관련 장착판(14) 또는 장착 브래킷(3305)(후술됨)의 적절한 슬롯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단부 캡 34와는 달리, 대안의 단부 캡(4605)은 헤드레일(12)의 단부와 같은 높이에 장착되지 않고, 다소간 헤드레일을 넘어서 연장되며 헤드레일(12)의 단면형상과 유사한 단면형상을 포함한다(도 49에 가장 잘 나타나 있음). 액츄에이터 로드(28)의 대안의 상단부 캡(4650)은 대안의 상단부 캡(4605)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통합된다. 리셉터클(4615)은 액츄에이터 로드 상단부 피스(4650)의 관상 액슬 돌출부(4655)를 수용하기 위한 대안의 단부 캡에 제공된다. 각각의 리셉터클(4610,4615)은 대안의 단부 피스(4605)로부터 헤드레일(12)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향 연장부(4630,4635,4640)를 갖는다. 핀 부재와 관련된 스프링(도시 안됨)은 핀 리셉터클의 내향 연장부(4630,4635)내에 포함된다. 또한, 스프링(4620)은 관상 액슬 리셉터클(4615)의 내향 연장부(4640)내에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4620)은 일 단부에서는 대안의 상단부 피스(4650)와, 다른 단부에서는 내향 연장부(4640)의 내측 에지에서 스프링 홀더(4625)와 부착된다. 스프링(4620)은 헤드레일 단부 캡(4650)에 대하여 상단부 캡(4650)을 탄성적으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액츄에이터 로드 상단부 피스를 거쳐 헤드레일 단부 캡에 액츄에이터 로드를 스프링 연결하면 관상 돌출부(4655)가 리셉터클(4615)로부터잡아당겨지도록 하여 액츄에이터 로드가 관련 블라인드 조립체의 포장 및 적재(shipping)를 위하여 헤드레일에 대하여 편평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접힐 수 있게 된다. 블라인드의 포장 해제되면, 관상 돌출부는 스프링에 의하여 리셉터클내로 편향되어 일단 블라인드 조립체가 적절히 장착되면 사용을 위해 액츄에이터 로드를 위치설정시킨다. 또한, 헤드레일(12)의 에지 부근에 배치되는 내향 연장되는 2개의 리셉터클 부(4630,4640)가 헤드레일 내에 단부 캡(4605)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헤드레일을 넘어 연장되는 단부 캡의 부분은, 캡(4650)을 수용하기 위한 후퇴영역(4645)을 포함하여, 블라인드 조립체가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4650)상의 유사 면들(4670,4675)에 의해 개방될 때에 상기 단부 캡(4605)의 외측면(4660)과 단부 캡의 상부면(4665)이 본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2개의 단부 캡(4605, 4650)에 상보적이고 미학적으로 우수한 형태를 제공한다.
도 53 내지 도 57은 제2의 대안 헤드레일 단부 캡(6405), 제2의 대안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410) 및 대안의 연결구조체(6415,6420)를 예시하고 있다. 예시된 구성요소들은 대안의 리프트기구(6150) 및 제2의 대안 피봇기구(6005)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될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606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상술된 대안실시예와 같이, 제2의 대안실시예 역시 그것이 달성되는 방식이 제1의 대안실시예와 다소 상이하다 하더라도 액츄에이터 로드 조립체를 선적을 위해 헤드레일에 맞대하며 평행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한다. 도 5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의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6405)은 헤드레일의 단부와 같은 높이에 장착되지 않고 다소간 제1의 대안실시예의 헤드레일 단부 캡과 동일한 방식으로 헤드레일을 넘어 연장된다. 단부 캡이 관상 헤드레일의 단부내에 확실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단부 캡으로의 연장부(6470)가 제공된다. 플랜지 단부(6485)를 갖는 단일의 플라스틱 장착실린더(6465)는 상세히 후술될 대안의 장착브래킷(6505)과 결합되도록 활용된다. 달리 기술된 장착시스템이 제2대안실시예의 단부 캡을 적절히 수정한 변형례와 함께 활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헤드레일 단부 캡은 제2의 대안 액츄에이터 로드 단부 캡(6410)이 도 5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미학적으로 우수한 방식으로 헤드레일 단부 캡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헤드레일의 단부 캡을 통하여 리프트 코드(22)가 헤드레일의 내부로부터 액츄에이터의 단부 캡과 액츄에이터 로드(6060)의 내부로 통과하도록 대체로 수평방향의 구멍(4680)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멍은 제2의 대안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과 피봇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경계면을 제공한다.
제2의 대안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6410)은 도 53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제2의 대안 액츄에이터 로드(6060)의 형상과 유사한 외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캡과 로드를 함께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것의 상단부에서 액츄에이터 로드의 내부로 수용되는 저부(6490)를 포함한다. 관통구멍을 갖는 돌출부(6460)는, 또한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일 단부 캡의 대응되는 구멍(6480)내로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의 측면에 제공된다. 돌출부의 구멍은 리프트 코드가 그것을 통과하고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내에 포함되고 그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풀리(6435) 위를 지나도록 한다. 풀리는 액츄에이터 로드의 내부로 리프트 코드를 재지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통상적으로 풀리를 시야로부터 감추기 위하여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의 상부측에 대하여 스냅식으로(snapidly) 수용되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캡(6465)이 제공되어 단부 캡에 보다 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한다. 몰딩된 미늘(barb)이 있는 단부(6430)를 갖는 다소 유연한 플라스틱 로프(6425)가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으로부터 연장되고 그와 함게 일체로 몰딩된다.
미늘이 있는 단부(6430)는 도 56에 예시된 스프링 멈춤부(6420)의 개구부(6450)에 수용 및 고정된다. 스프링 멈춤부는 리프트 코드(22)가 통과하는 구멍(6455)을 포함한다. 도 5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코일 스프링(6415)의 일 단부는 구멍(6455)의 카운터싱크부에 수용된다.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헤드레일 단부 캡을 통하여 구멍(6480)의 카운터싱크부에 수용된다. 또한, 리프트 코드는 스프링의 중앙을 통과한다. 스프링 멈춤부는 헤드레일에 고정되지는 않으나 헤드레일의 내측에 자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2의 대안 헤드레일 및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6405,6410)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가 운반에 대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간단히 액츄에이터 로드(6060)을 잡아당겨 그것의 단부 캡을 헤드레일 단부 캡으로부터 벗겨내고 헤드레일과 평행한 방위로 액츄에이터 로드를 접는다.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은 스프링 멈춤부(6420)에 고정되는 플라스틱 로프(6425)를 거쳐 헤드레일과 연결되어 유지된다.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이 헤드레일 단부 캡으로부터 제거되면, 스프링 멈춤부가 우측으로 당겨져 스프링(6415)을 압축시킨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블라인드 조립체가 설치를 위해 준비되면, 압축된 스프링에 의하여 가해지는 바이어스가 액츄에이터 로드 단부 캡의 돌출부를 헤드레일 단부 캡의 대응되는 구멍내의 제 위치로 잡아당기는 것을 돕는다. 추가적으로, 스프링의 바이어스는 헤드레일 단부의 캡에 대하여 액츄에이터 로드의 단부 캡을 제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장착판(14)들 중 하나가 예시되어 있다. 측면 장착판(14)은 통상적으로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그것은 장착판(14)을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크루 또는 여타 체결기구가 수용되는 수개의 체결기구 구멍(54)을 포함한다. 장착판(14)은 스프링이 장착된 핀(44,46)의 팁(48,49)이 수용되는 2개의 슬롯(50,52)을 더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슬롯(50,52)의 폭은 슬롯내에서의 팁의 슬라이드가능한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핀의 팁(48,49)의 폭보다 약간 더 크게 되어 있다. 슬롯들은 장착판을 통한 모든 경로를 지나 상기 판내로 연장될 수 있으며 판들 두께의 일부분은 스프링이 설치된 핀의 팁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제1슬롯(50)은 직선형이고 중앙 핀(44)의 팁(48)을 수용하도록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약간 V자형상을 갖는 제2슬롯(52)은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V"자의 레그들은 제1슬롯(50)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V"자의 두 레그 사이의 경사각은 150°에 이르는 큰 둔각이다. 제2슬롯(52)은 아치형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슬롯의 배치 및 구조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다른 적절한 슬롯 구조가 구성되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것과 기능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슬롯의 배치는 슬랫들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 헤드레일(12)이 중앙 핀(44)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헤드레일(12)이 이후에 보다 명백해지는 여러 이유들 때문에 다른 핀(46)을 거쳐 제2슬롯(52)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안내되어 움직이도록 한다.
도 33 내지 도 36 및 도 41은 제1대안실시예의 장착브래킷(3305)을 예시하고 있다. 대안의 장착브래킷(3305)은 윈도우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되는 외측 피스(3310), 외측 피스(3310)에 대하여 장착되는 내측 피스(3315) 및, 내측 및 외측 피스 사이에 끼워진 슬라이더 피스(3365)를 포함한다. 내측 피스와 외측 피스 둘 모두는 헤드레일(12)의 상부면 또는 저부면 중 어느 하나의 곡선 단면형상에 가까운 곡선 전방 면(3325)들을 갖는다. 또한, 내측 및 외측 피스 둘 모두는 장착브래킷(3305)을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체결기구가 수용될 수 있는 구멍(3330)을 포함한다. 내측 피스는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세장형의 곡선 슬롯(3335)을 포함한다. 세장형의 슬롯(3335)은 핀의 팁(49)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장착판(14)의 제2슬롯(52)과 동등하게 작동된다. 또한, 내측 피스(3315)는 슬라이더 피스(33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넓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슬롯(3340)을 포함한다. 외측 피스(3310)는 그것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근접한 그것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수평방향 채널(3345)을 가진다. 채널(3345)은 슬라이더 피스(3310)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채널(3345)은 외측 피스의 전방 에지에 근접한 제1부(3350) 및 제1부보다 넓고 후방 에지로부터 연장되며 채널의 제1부와 만나는 제2부(3335)를 포함한다. 제1부(3350)의 폭은 슬라이더피스(3320)의 전방부(3365)의 폭에 대응되고, 제2부의 폭은 슬라이더 피스의 후방부(3360)의 폭에 대응된다. 또한, 슬라이더 피스의 전방부(3365)는 핀의 팁(4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3370)을 포함한다. 도 34 및 도 35는 그것의 수축 및 펼쳐진 위치에서 슬라이더 피스(3320)과 조립된 구조의 브래킷(3305)을 예시하고 있다. 도 36은 위에서 보았을 때 그것 위에 설치되는 헤드레일(12)을 갖는 브래킷(3305)의 단면을, 도 41은 그 위에 설치되는 윈도우 커버링을 갖는 장착브래킷(3305)의 또 다른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기능적으로, 슬라이딩 피스(3320)는 장착판(14)의 슬롯(50)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58 내지 도 61은 헤드레일(6520)의 길이방향의 회전축선을 따라 캡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단일의 플라스틱 플랜지 실린더 부재(6515)를 포함하는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6510)과 함게 사용하기 위한 제2의 대안실시예의 장착브래킷(6505)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도 60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제2의 대안의 장착브래킷은 단부 캡의 단부와 대체로 평행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플라스틱 판(6525)을 포함한다. 상기 판은 브래킷을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기구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를 통해 배치되는 복수의 장착 구멍(6530)을 가진다. 판의 상부 에지와 판의 후방 에지 둘 모두로부터 일체로 몰딩된 플랜지(6535,6540)들은 헤드레일의 대체적인 방향으로 상기 판으로부터 수직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플랜지들은 장착브래킷의 상부 후방 코너에서 만나고 각각 그들 각각을 통과하는 복수의 체결기구 구멍(6545,6550)을 가진다. 따라서, 대안적으로는 장착브래킷이플랜지들의 체결구멍들을 사용하여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장착될 수 있다. 판의 전방 저부 에지에 근접하여 대체로 반원형인 아치형의 벽(6555)은 판의 내측면으로부터 대체로 직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플랜지(6560)는 벽의 말단 에지로부터, 짧은 경로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질러 헤드레일과 블라인드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단부 캡의 플라스틱 실린더의 플랜지(6570)가 피봇식으로 수용되는 반원형 크래이들 슬롯(6565)을 형성한다. 도 6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크래이들 슬롯의 개방측은 수직방향으로 30 내지 45도 정도 벗어난 각도로 윗쪽 및 전방향을 향한다.
먼저 도 59 및 도 61을 참조하면, 플랜지 실린더 부재(6515)는 헤드레일 단부 캡에 대한 실린더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레일(6520)의 단부 캡(6510)내에 스냅식으로 수용된다. 플랜지 실린더 부재는 헤드레일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헤드레일이 폭으로 조금 변화하는 개구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플랜지 실린더 부재는 단부 캡의 개구부로부터 원통형상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판(6580) 형태의 말단부로 연장되는 원통형상부(6575)를 포함함으로써 원형이 플랜지를 형성한다. 원형부의 다른 단부는 단부 캡 및 헤드레일의 내부에서 끝나며, 2개의 대향하는 레그(6585)들은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레그는 그것의 자유단부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디텐트(detent:6590)를 가진다. 디텐트들은 단부 캡의 단부로부터 플랜지 실린더 부재의 길이방향의 최대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 캡내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벽(6600)에 형성되는 슬롯(6595)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레그의 상부 및 하부면들 중 하나는 단부 캡 또는 헤드레일의 내부면상에 놓여져 플랜지 실린더 부재가 헤드레일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것이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플랜지 실린더 부재를 편향시키도록 원형판의 뒷면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벽 사이에 걸치는 코일 스프링(6605)이 제공된다.
기능적으로, 제2대안실시예의 장착된 1쌍의 장착브래킷(6505)안으로 헤드레일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또는 블라인드의 폭이 4피트가 넘는다면 2명의 사용자가)는 필요에 따라 플랜지 실린더 부재(6515)를 헤드레일 단부 캡(6510)내로 압축시켜 그들을 그들과 대응되는 장착브래킷의 크래이들 슬롯(6565)과 정렬시킨다. 그 다음, 원통형 부재의 플랜지 단부(6570)가 슬롯내에 자리잡고 헤드레일을 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도 9는 헤드레일(12)에 대한 코드 래더(26)의 부착을 예시하고 있다. 각 코드 래더의 각각의 라이저 코드(36)의 상단부들은 대응되는 길이방향의 위치에서 헤드레일(12)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 에지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한 구멍들을 통과한다. 라이저 코드(36)의 상단부들은 코드 래더를 헤드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매듭이 있다(knotted). 연결부들이 코드 래더들의 크로스 렁 코드(38)들에 올려진 복수의 슬랫(24) 및 코드 래더(26)들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충분할 만큼 안전하다면 코드 래더(26)를 헤드레일(12)에 부착시키는 많은 다른 수단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코드 래더(26)(및 리프트 코드(22))의 하단부는 도 10 내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부 슬랫(16)에 고정된다. 코드 래더(26) 라이저 코드(36)들의 각 하단부는 원통형 앵커 블록(56)내의 가로방향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하단부들을 원통형 앵커 블록(56)에 고정시키기 위한 매듭를 갖고 있다. 각각의 원통형 앵커 블록(56)은 저부 슬랫의 내부로 저부 슬랫(16)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 에지내의 적절한 크기의 구멍(58)을 통과하고 회전되어 저부 슬랫의 중공 내부에 설치된다. 저부 슬랫이 리프트 코드 및 라이저 코드로부터 매달려 있는 경우, 실린더(58)들은 저부 슬랫의 내측 오목면에 대하여 포개지도록 안내된다.
도 62 내지 도 85에는 코드 래더 라이저 및 리프트 코드들의 길이를 조정하고 그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드조정부재를 포함하는 제1의 대안 풋 레일 조립체가 예시되어 있다. 대안 풋 레일의 기본 구성요소들이 도 62 내지 도 67에 예시되어 있으며, (ⅰ) 반투명 플라스틱 배인(6660), (ⅱ) 유색의 배인 인써트(6655), (ⅲ)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665), 및 (ⅳ) 후방 에지 플러그(6670)를 포함한다. 블라인드 조립체의 다양한 리프트 코드 및 라이저 코드들을 풋 레일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도 68 내지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코드조정부재(6675)가 활용된다. 끝으로, 단부 캡(6680)들은 대안 풋 레일의 단부에 근접시키고 선택적인 풋 레일 장착브래킷(6685)들을 대안의 풋 레일 조립체(6650)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도 62 내지 도 64를 참조하면, 유색 배인들 또는 대안의 재료들로 만들어진 배인들도 사용될 수 있으나, 대안의 풋 레일(6650)은 반투명의 플라스틱 배인(66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투명 배인은 전방 에지(6700)에서 결합되는 상부와 하부의 바깥쪽으로 볼록한 아치형의 측면(6690, 6695)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배인은 닮아 있고 관련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과 동일한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슬랫과는 달리 플라스틱 배인의 측면들은 양 측면의 공통의 후방 에지에서 만나거나 함께 결합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부 및 저부의 측면 둘 모두의 벽들은 그들의 최후방 에지(6705, 6710)에서 안쪽으로 터닝되어 각각의 상부 또는 저부측으로부터 하향 또는 상향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미늘(6720)을 갖는 뾰족한 후크(6715)를 형성한다. 각각의 뾰족한 후크는 대향해 있고 다른 뾰족한 후크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6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표족한 후크들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출재(6665)로 대응되는 상부 또는 저부의 채널(6725,6730)에 수용된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출재(6665)는 도 62 및 65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통상적으로, 압출재는 플라스틱 압출재 또한 사용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다. 압출재는 대안의 풋 레일에서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우선, 압출재는, 그 내부에 플라스틱 배인(6660)의 뾰족한 후크(6715)들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의 상향 상부 채널(6725) 및 하나의 하향 저부 채널(6730)을 가진다. 개구부에서의 각 채널의 폭은 대응되는 후크들의 최대 폭 보다 작도록 각 채널의 개구부에 립(6735,6740)이 제공된다. 각 채널의 폭은 각각의 립 아래에서 더 크다. 따라서, 후크들이 채널내로 삽입되고 그들이 채널의 립을 넘어 삽입될 때까지 미늘(6720)들이 후크의 인접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상기 미늘들은 그들의 통상의 위치로 다시 탄성적으로 돌아간다. 도 6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각 미늘의 말단부는 압출재에 대하여 제 위치에서 플라스틱 배인을 효과적으로 잡아주는 대응 립의 뒷면에 대하여 놓여진다. 또한, 압출재는 도 6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플라스틱 배인내에 포함되는 관상부(6745)를 포함한다. 관상부는 풋 레일을 휘지 않게 하고 풋 레일에 중량을 부가한다. 끝으로, 후방을 향하는 채널(6750)이 제공된다. 후방을 향하는 채널은 채널의 메인 공동(cavern:6760)보다 작은 폭을 갖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쓰롯(throat:6755)을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립(6765)들은 쓰롯과 메인 공동의 교차부에 형성된다. 후방 채널은 그 내부에 후방 에지 플러그(6670) 및 각 코드조정부재(6675)들을 스냅식으로 수용하고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후방 에지 플러그(6670)는 도 62 및 도 66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플러그는 창틀과 같은 표면에 대한 풋 레일의 충격이 상기 창틀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작된다. 통상적으로 플러그의 노출된 에지(6770)는 라운드져 대체로 반원형 단면을 형성한다. 레그(6775)는 플러그의 반대쪽으로부터 연장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2쌍의 대향 미늘(6780,6785)을 가진다. 상기 레그는 레그에 대하여 압축되는 미늘을 갖는 후방 채널의 쓰롯내로 삽입된다. 일단 미늘(6785)의 맨끝단부가 쓰롯을 통해 채널의 메인 공동을 통과하면, 미늘은 탄성적으로 팽창되어 후방 채널의 립과 유연하게 맞물려 플러그를 제 자리에 잠근다.
도 62 및 67을 참조하면, 유색 인써트(6655)는 특히 반투명 배인(6660)이 사용될 때 대안의 풋 레일과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색 인써트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인써트는 그것이 반투명 배인의 내측상의 제 위치에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제거된 후방 에지를 갖는 슬랫으로부터 구성된다. 반투명 플라스틱 배인의 내측상에 인써트를 배치시킴으로써, 풋 레일이 실(sill)에 대하여 내려가거나 그와 접촉할 경우에 그 부분을 윈도우의 실상에 축적될 수 있는 먼지나 오물로부터 보호한다.
도 68 내지 도 7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안의 풋 레일(6650)의 단부를 덮기 위하여 단부 캡(6680)이 제공된다. 각각의 단부 캡은 통상적으로 몰딩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작되고, 풋 레일의 피봇 축선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그 내부에 형성되는 반구형 압입부(depression:6795)를 갖는 단부 면(6790)을 포함한다. 압입부는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대해 풋 레일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택적 풋 레일 장착브래킷(6785)과 맞물린다. 또한, 단부 캡은, 그것을 풋 레일에 고정시키는 것을 돕도록 플라스택 배인(6660)내로, 바람직하게는 유색 인써트(6655)의 바로 아래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연장 벽(6800)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각 단부 캡은 압출재의 후방 채널(6750)의 단부내로 슬라이드되는 미리결정된 길이의 후방 에지부(6805)를 갖는다. 후방 에지부의 외측면(6810)은 통상적으로 후방 에지 플러그(6670)과 유사하게 라운드져 있다. 후방 에지부의 길이는 대응되는 코드조정부재(6675)가 후방에지부와 맞닿아 상기 코드조정부재를 헤드레일 및 그것에 매달린 리프트 코드와 라이저 코드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반구형 압입부(6795)는 풋 레일 장착브래킷(6685)와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풋 레일 장착브래킷은 도 70 및 7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그것은 브래킷의 레그들의 교차부에 대체로 근접하여 브래킷의 각 레그(6820,6825)내에 녹아웃 형태의 체결기구 장착구멍(6815)을 갖는 단일 부품으로 몰딩된 L자형 플라스틱 브래킷을 포함하여 브래킷이 상이하게 배향된 수직방향 표면들에 장착되도록 한다. 긴 레그(6820)의 말단부에서, 반구형 돌출부(6830)는 긴 레그의 내측면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반구형 돌출부는 대응되는 단부 캡의 반구형 압입부와 맞물리는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풋 레일은 피봇식으로 고정되어 반구형 압입부내에 수용되는 반구형 돌출부를 갖는 2개의 적절히 위치한 장착브래킷들 사이에 풋 레일을 배치함으로써 풋 레일의 원치않는 선회 및 수직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풋 레일 장착브래킷이 활용될 경우, 블라인드 조립체는 먼저 브래킷으로부터 풋 레일을 제거하지 않고는 후퇴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 위치에 풋 레일을 고정하면 도어상의 윈도우를 덮는 경우와 같은 특정한 설치들에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풋 레일을 고정시키면 관련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마다 블라인드 조립체가 앞 뒤로 선회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8 내지 도 85에는 코드조정부재(6675)의 다양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코드조정부재는 2가지 기본적인 기능: 즉 (ⅰ) 래더의 라이저 코드(6915,6925) 및 리프트 코드(6910,6920)를 풋 레일에 고정시키고, (ⅱ) 특정 길이의 블라인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코드의 길이들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상기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도 72 내지 도 73을 참조하여, 코드조정부재(6675)의 다양한 요소들이 설명된다. 코드조정부재는 그것이 설치되는 풋 레일의 부분들을 따라 대안의 풋 레일(6650)의 후방 에지를 형성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후방 에지 부재(6835)를포함한다. 따라서, 부재의 후방 표면은 후방 에지 플러그(6670)와 유사하게 라운드진다. 후방 에지 부재의 반대쪽은 압출재(6665)의 후방 채널(6750)의 쓰롯내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의 라이저 코드(6915,6925) 및 리프트 코드(6910,6920)가 코드조정부재의 뒷쪽을 지나 궁극적으로는 후방 채널(6750)안으로 들어가는 에지부재(6835)의 길이방향 중앙에 근접하여 코드 개구부(6845)가 제공된다. 전방 리프트 및 라이저 코드들은 그것의 전방 에지로부터 에지부재까지 플라스틱 배인의 저부측을 따라 연장되는 전방 코드 가이드(6840)에 의하여 코드 개구부로 안내된다. 도 7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조정부재의 변형례에서는, 중앙 및 중간 리프트 및 라이저 코드를 위한 코드 가이드가 제공되지 않으며, 여기서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여 후술되겠지만 전방 리프트 또는 라이저 코드들은 활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코드조정부재(6675)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에지 부재(6835) 모두의 전방측은 도 68 내지 도 6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코드 구멍(6845) 이외에도, 4개의 추가 구멍 또는 보어들이 에지부재를 통해 제공된다. 2개의 맨끝단부는 상세히 후술될 클램프블록(6855)내에 나사결합되는 클램프 볼트구멍(6870)이다. 클램프 볼트구멍들은 클램프볼트(6900)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하여 카운터싱크가공 되어 있다. 다른 2개의 구멍들은 후방 채널(6750)내의 제 위치에 리프트 코드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세트 스크루(6905)가 수용되는 나사가공된 세트 스크루 보어(6880)이다.
후방 에지 부재(6835)의 반대쪽 위에는, 수개의 디텐트(6880,6885)가 있다. 단일의 하향 디텐트(6885)는 코드 개구부(6845) 아래의 에지부재로부터 돌출되고, 2개의 상향 디텐트(6880)는 균등하게 이격된 위치로부터 하향 디텐트의 우측 및 좌측으로 돌출된다. 도 83 및 84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듯이, 각 디텐트들은 코드조정부재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후방 채널의 립(6765)에 걸쳐 제 위치로 스냅 되도록(또는 돌출부의 개방단부로부터 슬라이드 되도록) 되어 있다. 각 상향 디텐트들의 밑에는 상술된 나가가공된 스크루 세트 구멍(6870)들 중 하나가 있다. 도 8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세트 스크루(6905)를 조여주면 스크루가 압출재의 쓰롯(6755)의 저부측과 대응되는 상향 디텐트(6880)의 저부측에 대하여 죄어져 후방 채널내에서 코드조정부재를 마찰식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채널을 따른 길이방향으로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방지한다.
도 74를 다시 참조하면, 일단 코드들이 코드 구멍(6845)을 통과하면, 그들이 전방 코드인지 후방 코드인지의 여부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보내진다(route). 도시된 예시에서, 후방 코드들은 우측으로 보내진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코드 쌍은, 후방 에지 부재의 반대쪽과 클램프블록(6855)의 중간에서 우측의 상향 디텐트 레그의 상부에 제공되는 채널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안내판(6895) 위로, 그리고 클램프블록의 클램프 코드 경로(6875)로부터 통상적으로 코드가 끝나는 후방 채널의 메인 공동(6760)내로 보내진다. 또한, 예시된 전방 코드 쌍의 다른 코드는 상기 판에 제공되는 노치에서 안내판 아래, 클램프 블록의 중간 및 통상적으로 코드가 끝나는 클램프 코드를 통한 메인 공동내로보내진다.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6895)의 저부 에지상에 제공되는 노치는 세트 스크루(6905)를 빙돌아 후방 채널의 메인 공동을 향하여 코드를 안내함으로써 그것과 간섭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후방 코드들은 코드조정부재의 유사 요소들을 통해 코드 구멍의 좌측으로 보내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클램프블록(6855)은 도 74 및 도 8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탄성 탱(tang:6865)에 의하여 후방 에지에 부착된다. 후방 에지 부재의 수직방향 돌출부(6850)에 대응되는 각 클램프블록에는 수직방향의 삼각형 채널(6860)이 제공된다. 클램프 볼트(6900)를 조임으로써 후방 에지 부재에 대하여 클램프가 조여지면, 돌출부 및 삼각형 채널은 그들을 가로질러 지나는 코드들을 방해함(crimp)으로써 효과적으로 코드들을 제 위치에 죄어준다. 도 85에는, 클램프블록과 후방 에지 부재 사이의 제 위치에 클램프된 좌측 코드들이 예시되어 있다.
도 7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된 후에 리프트 및 라이저 코드들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클램프 코드 경로에 걸쳐 적절한 길이로 상기 코드를 잡아당긴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클램프 볼트를 이용하여 클램프블록을 후방 에지 부재에 대해 조여준다. 적용가능한 다른 클램프 블록에 대하여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아직 코드조정부재가 풋 레일의 후방 채널에 배치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풋 레일의 단부들 중 하나로부터 제 위치로 스내핑하거나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끝으로, 일단 풋 레일의 후방 채널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면, 코드조정부재는 후방 채널의 쓰롯내로 세트 스크루들을 조여줌으로써 풋 레일을 따른 길이방향의 제 위치에 록킹된다.
이미 상술하였듯이, 복수의 슬랫(24)들 중 각 슬랫은 도 11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크로스 렁(38)의 세트에 의하여 얹어 지거나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슬랫(24)은 1방울 이상의 접착제(60)(도시 안됨) 또는 여타 적절한 수단들에 의하여 슬랫 저부측상의 크로스 렁(38)에 부착된다. 각 슬랫은 2차원단면 및 무게중심을 가지는 3차원 물체이다. 슬랫이 그것의 수평방향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무게중심의 아래에, 그러나 실질적으로 그것과 일직선을 이루어 오프셋 된 지점에서 상기 슬랫(24)에 크로스 렁 부(38)를 연결시킴으로써, 무게에 의하여 렁 코드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피봇되어 폐쇄시에 보다 수직한 방향의 위치에 오게 된다. 슬랫(24)이 폐쇄 위치를 향하여 경사지게 되면, 상향 연장되는 라이저 코드(36)에 연결되는 단부를 갖는 렁 코드(38)의 절반은 슬랫(24)의 대응되는 쪽을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한편, 렁 코드의 반대쪽 절반과 그것에 인접한 라이저 코드(36)는 슬랫의 대응되는 쪽을 강하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경사 작용이 일어나면, 무게중심은 연결지점과 보다 수평방향으로 정렬된 관계를 이루도록 피봇된다. 일단 슬랫이 대략 45도 피봇되면, 상기 슬랫은 자체 무게로 인해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아랫쪽으로 피봇된다. 슬랫이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을 경우, 무게중심은 연결지점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슬랫이 오버틸팅(over-tilt) 된다. 슬랫의 최종 경사량은 인접한 슬랫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제한되고 상기 맞물림은 빛이 통과할 수 없는 인접한 슬랫들 사이를 밀봉하는 작용을 한다. 슬랫과 크로스 렁간에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종래기술의 블라인드에서는 슬랫과 그들이 매달리는 코드 래더들의 상호관계가 스트로크의 끝을 향한 본질적인 폐쇄를 촉진하기 보다 방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슬랫들이 개방되고 수평을 이룰 경우 연결 지점의 위 보다 아래에 슬랫의 무게중심이 자리함에도 불고하고 슬랫의 크로스 렁 부와의 연결은 얇은 금속 슬랫 블라인드의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금속 슬랫들은 오버틸팅이 일어나기 전에 90도에 매우 가까운 양만큼 피봇될 필요가 있다. 크로스 렁에 고정되는 슬랫들의 보다 완전한 설명 및 그것의 장점들은, 본 출원과 공동으로 소유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를 위해 채용된, 2001년 12월 6일에 "Ladder Operated Covering With Fixed Vanes For Architectural Openings"란 제목으로 출원되어 함께 계류중인 출원번호 제10/003,097호에서 찾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로드(28)의 상향 또는 하향 움직임은 슬랫(24)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 후술하겠지만, 액츄에이터 로드(28)는 알루미늄 압출재로부터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프트기구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개의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로드의 상단부는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단부 캡(62)을 통하여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의 어느 한 단부 부근의)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통상적으로, 상단부 캡(62)은 액츄에이터 바아(28)의 상단부에 걸쳐 수용되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 15 내지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텅(tonque:64)이 수직방향 액츄에이터 바아(28)로부터 헤드레일(12)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수평방향 윗쪽으로 연장되며, 텅의 전방 단부는 헤드레일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또한, 상단부 캡(62)은 슬롯(66) 및 커넥터 코드(72)용 풀리(70) 이외의 액츄에이터 바아내로 리프트 코드를 수용 및 지향시키는풀리(68)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6 내지 도 5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안의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단부 캡(4650)은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4605)와 연계하여 활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로드의 상단부 캡(4650)은 대안의 헤드레일 단부 캡(4605)와 연계하여 관상 액슬 돌출부(4655)에 의해 헤드레일 단부 캡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관련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리프트 코드는 헤드레일(12)의 내부로부터 대안의 단부 캡(4605) 위의 관상 액슬 리셉터클(4615)의 내향 연장부(4640)을 통과한 다음 관상 액슬 돌출부(4655)안으로 나사결합된다. 풀리(4685)는 액츄에이터 바아(28)의 아랫쪽으로 리프트 코드를 지향시키는 상단부 피스내에 제공된다. 또한, 상단부 캡(4650)은 그 내부에 상단부 캡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액츄에이터 로드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향 연장부(4680)를 포함한다. 도 4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캡은 상술된 풀리 주위에서 함께 스내핑, 접합, 스크루 결합 또는 여타 결합되는 2개의 피스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부 캡이 다수의 재료 및 방법으로 제작되기는 하지만, 몰딩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a를 참조하면, 하단부 캡(74)은 액츄에이터 바아(28)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텅(76)은 수직방향 액츄에이터 바아의 하단부로부터 텅(76)의 단부가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피봇 아암(80)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수평방향 아랫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하단부 캡은 커넥터 코드 풀리(78)를 포함한다. 피봇 아암은 액츄에이터 로드 장착브래킷(82)의 일부이다. 액츄에이터 로드 장착브래킷(82)은 그것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봇 아암(80)은 장착브래킷(82)의 고정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슬랫(24)의 단부들과 평행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인 평면에서 피봇된다. 피봇 아암(80)은 액츄에이터 로드(28)의 상향 또는 하향 움직임을 지향시키는 작용을 하며, 복수의 슬랫(24)에 경사를 부여할 때 액츄에이터 로드(28)의 전체적인 작업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 대안실시예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40은 상술된 하단부 캡(74) 대신 액츄에이터 로드(28)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대안의 피봇기구(4005)의 구성요소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41은 그것에 부착되는 액츄에이터 로드(28)를 갖는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되는 대안의 피봇기구(4005)를 예시하고 있다. 도 41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대안의 피봇기구(4005)는 액츄에이터 바아(28)의 저부에서 풀리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액츄에이터 바아의 단부 위에 위치한다. 필요에 따라, 풀리를 포함하는 별개의 단부 캡(도시 안됨)이 제공된다. 대안의 피봇기구(4005)는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3705), 피봇 아암(3805) 및 액츄에이터 로드 부착 피스(3905)를 포함한다.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3705)는 대체로 L자형상이며 윈도우 프레임과 직접 맞닿는 상기 "L"자의 일 아암(3710)의 외측면을 갖는다. 그것을 통과하는 보어(3720)를 갖는 보스(3715)는 일 아암(371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스(3715)는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3715) 위에 배치되는 일 단부 부근의 보어(3810)를 갖는 피봇 아암(3805)을 위한 액슬로서의 역할을 한다. 스크루(4010)는 보어(3720, 3810)를 통해 수용되고 윈도우 부착 피스(3705) 및 피봇 아암(3805)을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시킨다. 피봇 아암(3805)은 윈도우 부착 피스(3705)로부터윈도우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피봇 아암(3805)은 다른 단부에 그것을 통과하는 보다 작은 보어(3815)와 함께 상기 작은 보어(3815)에 수직한 다른 단부에 형성되는 슬롯(3820)을 가진다. 액츄에이터 로드 부착 피스(3905)로부터 연장되는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텅(3910)은 슬롯(3820)내에 수용되는데, 고정핀(도시 안됨)이 피봇 아암(3805)의 작은 보어(3815) 및 텅(3910)의 작은 보어(3915)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어 피봇 아암(3805)을 액츄에이터 부착 피스(3905)에 피봇식으로 고정시킨다. 다시 말해, 피봇 아암의 통상적인 클레비스(clevis)가 슬롯(3820)을 형성하여 텅 및 피봇 아암을 피봇식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클래비스 핀을 갖는 부착 피스(3905)의 텅(3915)을 수용한다. 액츄에이터 아암 부착 피스(3905)는 액츄에이터 로드(28)의 단부에 수용되는 부착 피스의 부분을 통과하는 나가가공된 보어(3920)를 포함한다. 도 4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나가가공된 보어(3920)에 고정되는 세트 스크루(4015)는 부착 피스와 피봇기구를 액츄에이터 바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여진다.
도 86 내지 도 92는 제2의 대안의 피봇기구(6005)를 예시하고 있다. 제2의 대안의 피봇기구는 구조 및 조립체 있어 차이가 있더라도 그것의 작동 및 액츄에이터 로드에의 부착 위치의 형태에 있어 제1이 대안의 피봇기구와 대체로 유사하다. 먼저 도 88을 참조하면, 제2의 대안의 피봇기구의 주요구성요소는, (ⅰ)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6015), (ⅱ) 액츄에이터 로드 부착 피스(6010), (ⅲ) 피봇 아암, 및 (ⅳ) 피봇 아암 커버를 포함한다.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는 대체로 L자형상으로, 스크루 형태의 체결기구(6035)가 관련 윈도우 프레임(6040)의 전방 또는 측면을 향하는 표면에 그것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용될 수 있는 피스의 각 측면들을 통과하는 장착 구멍(6030)을 갖는다. 대체로 원통형인 보스(6045)는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의 일 레그의 내측면으로부터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스는 피봇 아암의 액슬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보스는 피봇 아암의 대응 보어(6055)내에 대향되는 키홈내에 수용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는 외향-립을 가진(outwardly-lipped) 디텐트(6050)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바아 부착 피스(6010)는 압출된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606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8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는 다른 피봇기구 실시예들과 함께 활용되는 액츄에이터 바아(28)와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또한,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는 상세히 후술될 볼 및 웨지 대안 리프트기구와 연계하여 활용된다. 부착 피스는 액츄에이터 바아의 내부 채널(6065)에 수용되며 세트 스크루(6075)가 조여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채널(6095)의 전방벽(6080)과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롯(6090)과 경계를 이루는 대향 립(6085) 사이에서 부착 피스를 죄어주는 2개의 나사가공된 보어(6070)를 포함한다.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텅(6100)은 부착 피스(6010)의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피봇 아암(6020)을 피봇식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그를 통과하는 수평방향 보어(6105)를 가진다. 제1의 대안의 피봇기구의 액츄에이터 바아 부착 피스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는 부착 피스가 액츄에이터 바아에 그것의 하단부 부근에서 고정되나 제2실시예의 액츄에이터 바아 또한 그것의 길이를 따르는 어디에서든 액츄에이터 바아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피봇 아암(6020)은 액츄에이터 로드 및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 둘 모두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그것의 일 단부에서 아암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아암내에 대체로 일체로 몰딩된 피봇 아암 보스(6110)가 액츄에이터 바아 부착 피스 텅(6100)의 대응되는 수평방향 보어(6105)내에 수용된다. 피봇 아암 커버(6025)는 텅(6100)을 피봇식으로 끼우기 위하여 피봇 아암 보스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피봇 아암의 대응 개구부(6120)내에 스냅식으로 들어가는 일체로 몰딩된 3개의 핀(6115)을 구비하여 그것을 피봇 아암의 일 단부에 고정시킨다. 윈도우 프레임 부착 피스를 갖는 피봇 아암의 피봇식 연결은 도 89 및 90에 예시되어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아암의 보어(6055) 및 아암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키홈이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될 때까지 피봇 아암이 배향된다. 그 다음, 보어는 도 9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홈(6125)을 통과하는 립을 가진 디텐트(6050)를 가진 원통형 보스(6045)에 걸쳐 슬라이드된다. 피봇 아암을 보스를 중심으로 피봇시킴으로써, 디텐트의 립들은 상기 아암이 수직방향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배향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부착 피스(6015)로부터 아암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암의 내측면(6130)에 걸쳐 이동된다. 도 86 및 도 87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듯이, 상술된 피봇 아암 커버를 제 위치에 스냅핑함으로써 완성된 모양을 갖는 피봇기구가 나타난다.
도 91 및 92는 관련 블라인드 조립체의 완전 개방된 위치 및 완전 폐쇄된 위치들 중 하나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제2대안 피봇기구의 피봇 아암(6020)을 예시하고 있다. 명백히 나타내었듯이, 블라인드 조립체가 완전 폐쇄된 위치에 있을경우에도, 립을 가진 디텐트들의 립의 적어도 일부를 피봇 아암의 내측면에 중첩시킴으로써 피봇 아암이 윈도우 부착 피스(601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부착 피스를 피봇 아암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피봇 아암 커버가 제거되고, 액츄에이터 로드 피스(6010)의 텅이 피봇 아암으로부터 분리되고, 키홈이 립을 가진 디텐트들과 정렬되도록 수직방향의 위치로 피봇 아암이 회전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 및 15 내지 17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사 작업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그들의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전체 윈도우를 슬랫(24)으로 덮는 그것의 연장된 위치에서의 블라인드 조립체(10)를 예시하고 있으며, 그를 통해 최대량의 빛이 통과된다. 슬랫들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경우의 헤드레일 단부 캡(34)의 스프링 장착된 핀(44,46)의 위치가 도 15에 예시되어 있다. 중앙의 핀(44)은 수평방향의 슬롯(50)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고 후방 핀(46)은 "V"자형상 슬롯내의 수직방향 중앙에 위치한 "V"자형상 슬롯(52)의 레그들의 교차부에 배치된다. 도 15는 윈도우 패인(pane)을 클리어링 하기(clear) 위하여 헤드레일(12)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 및 그에 대응되는 하부 슬랫(24)들이 순서대로 개방될 때 헤드레일(12) 중앙의 핀(44)이 벽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벽내로 얕게 후퇴된 윈도우에 장착되는 블라인드 조립체(10)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바아(28)를 아랫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슬랫(24)들은 제1폐쇄 위치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6에서 알 수 있듯이, 헤드레일(12)은 하향 이동하는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 및 상향 이동하는 헤드레일의 뒷쪽, 즉 길이방향 후방 에지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명백히 알 수 있듯이, 후방 라이저 코드(36)가 헤드레일(12)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 래더(26)의 후방 라이저 코드(36)들은 상방향으로 당겨진다. 동시에, 전방 라이저 코드(36)들이 하강한다. 이것은 그 내부에 얹어진 슬랫(24) 및 렁 코드(38)들 역시 시계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하며, 그것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의 윗쪽이 그것 상부의 다음 슬랫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 부근의 아랫쪽과 접촉한다. 헤드레일(12)이 시계방향으로 피봇되면, 중앙의 핀(44)은 "v"자형상 슬롯(52)이 후방 핀(46)을 윗쪽으로 안내할 때 수평방향 슬롯(50)내에서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핀의 움직임은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가 윈도우 프레임의 윗쪽에 매우 근접한 아래의 위치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헤드레일이 안쪽으로 피봇되지 않을 경우 보다 양호한 빛의 차단을 제공한다. 또한, 블라인드 조립체가 윈도우 패인 가까이에 인접하고 슬랫(24)이 폐쇄될 때 실질적으로 윈도우 프레임내에 포함되며 슬랫들이 대응되는 벽의 표면을 크게 넘어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레일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헤드레일에 매달린 블라이드 조립체(10)의 잔여부가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것은 슬랫들이 윈도우 패인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는 것 보다 윈도우 프레임의 수직방향 측면들과 슬랫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보다 양호한 빛의 차단을 제공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바아를 윗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슬랫들이 제2폐쇄 위치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헤드레일(12)은 하향 이동하는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 및 상향 이동하는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라이저 코드(36)들의 상단부가 헤드레일(12)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코드 래더(26)들의 전방 라이저 코드(36) 또한 윗쪽으로 잡아 당겨진다. 동시에, 후방 라이저 코드(36)들이 하강한다. 이것은 그 내부에 얹어지는 슬랫(24) 및 렁 코드(38)들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하며, 그것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 부근의 슬랫의 상부측이 그것 상부의 슬랫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 부근의 하부측과 접촉한다. 헤드레일(12)이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면, 중앙의 핀(44)은 "v"자형상의 슬롯(52)이 후방 핀(46)을 아랫쪽으로 안내함에 따라 수평방향 슬롯(50)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핀의 움직임은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상부 에지가 윈도우 프레임의 윗쪽과 윈도우 패인에 근접한 아래의 위치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헤드레일이 안쪽으로 피봇되지 않을 경우 보다 양호한 빛의 차단을 제공한다. 또한, 헤드레일의 후방 또는 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슬랫(24)들이 폐쇄되고 슬랫들이 대응 벽면을 크게 넘어 돌출되지 않을 경우 윈도우의 섀시 및 틀(casement)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도록 헤드레일에 매달린 블라인드 조립체(10)의 잔여부를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슬랫들이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는 것 보다 윈도우 프레임의 수직방향 측부분과 슬랫의 단부들 사이에서의 보다 나은 빛의 차단을 제공한다.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 중 하나로부터 슬랫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액츄에이터 바아(28)는 슬랫들의 초기 폐쇄 위치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된다. 헤드레일(12)의 일 에지는 상향 이동하여 그것과 함께 관련 라이저 코드(36)를 잡아당기는 한편, 다른 에지는 하향 이동한다. 라이저 코드(38)들의 움직임은 부착된 렁 코드(38) 및 대응 슬랫들을 그들의 수평 위치까지 피봇시킨다. 헤드레일이 수평위치로 이동하면, 중앙의 핀(44)은 "v"자형상 슬롯(52)이 "v"자의 두 레그의 교차부를 향하여 후방 핀을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안내할 때 수평방향 슬롯(50)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레일(12) 및 그에 종속된 복수의 슬랫(24)들은 건축물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먼 외부방향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얕게 후퇴된 윈도우에 장착될 경우, 상기 측방향 외부로의 움직임은 슬랫들의 후방 에지가 윈도우의 패인을 클리어링 하도록 한다.
도 42 및 43은 대안의 장착브래킷(3305) 및 대안의 피봇기구(4005)를 활용하는 대안실시예의 윈도우 커버링 조립체의 경사 작업을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대안의 피봇기구는 바로 이전에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4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랫(24)들은 수평방향 및 개방된 위치에 있다. 개방 위치에서, 전방 중앙의 핀(44)은 최전방의 위치에 있으며, 핀의 팁(48)은 슬라이딩 피스(3320)의 슬롯(3370)내에 자리하고 슬라이딩 피스는 장착브래킷(3305)내에서 그것의 최전방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슬라이딩 피스(3320)는 슬라이더(3320)의 넓은 후방부(3360)와 수평방향 슬롯(3345)의 얇은 제1부(3350)간의 충격에 의하여 내측 및 외측 피스(3315,3310)를 벗어나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지된다.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넓은 슬랫(24)들이 윈도우의 표면을 클리어링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피스는 윈도우 프레임의 전방면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개방 위치에서, 대안의 피봇기구(4005)의 피봇 아암(3810)은 완전히펼쳐지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바아(28)를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슬랫(24)들은 제1폐쇄 위치로 경사질 수 있다.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레일(12)은 상향 이동하는 헤드레일의 배후 또는 길이방향 후방 에지 및 하향 이동하는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헤드레일(12)이 시계방향으로 피봇되면, 중앙의 핀(44)은 먼저 슬롯의 단부가 도달될 때까지 슬롯(3370)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런 다음 슬라이딩 피스(3320)가 후방으로 슬롯(3345)을 따라 장착브래킷의 외측 및 내측 피스(3310,3315)안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전방 및 후방 핀들은 서로 정해진 간격에 있기 때문에, 후방 핀의 팁(49)은 곡선 슬롯(3335)에서 대체로 윗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헤드레일(12)이 안쪽으로 피봇되도록 하고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후방 에지가 윈도우 프레임의 윗쪽에 근접하여 또한 아래의 위치에서 대체로 윗쪽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레일이 안쪽으로 피봇되지 않을 경우 보다 양호한 빛의 차단을 제공한다. 장착판(14)에 의한 것과는 달리, 미적인 만족을 주기 위하여 블라인드 조립체의 요소들이 윈도우 프레임의 전방을 넘어 연장되지 않도록 대안의 장착브래킷(3305)은 폐쇄된 위치에서 전체적으로 윈도우의 프레임워크내에 포함된다. 폐쇄된 위치에서, 슬라이더(3320)는 장착브래킷(3305)의 곡면(3325) 뒤로 후퇴된다. 또한, 도 43에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헤드레일(12)의 상부면은 장착브래킷의 곡면과 대체로 정렬되어 폐쇄된 윈도우 조립체에 매우 깨끗하고 일체화된 외관을 제공함으로써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의 셔터 형 외관을 더욱 개선시킨다.
블라인드 조립체의 다른 대안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단부에 단 하나의 중앙 핀을 갖는 헤드레일이 각각 중앙의 핀을 수용하기 위한 단일 구멍을 갖는 대응 장착브래킷들과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대안실시예의 장착브래킷 및 개조된 헤드레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헤드레일 및 대응 하부 슬랫은 폐쇄시 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지만, 상기 움직임은 블라인드 조립체가 내벽면에 대해 보다 깊숙히 후퇴된 윈도우에 사용될 때에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것의 장착브래킷에 대하여 헤드레일이 피봇 운동하도록 하는 다른 대안의 장착브래킷 및 관련 헤드레일 구조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들이 제1 또는 제2위치 중 하나로 완전히 경사질 경우, 헤드레일(12)과의 연결에 대해 상승된 라이저 코드(36)는 팽팽하고, 하강한 라이저 코드(36)는 느슨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전의 수평방향 크로스 렁 코드(38)는 상승된 라이저 코드(36)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놓인다. 크로스 렁 코드(38)는 상승된 라이저 코드(36)와의 연결에 의해서만 위로부터 지지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블라인드의 슬랫(24)들은 인접한 슬랫(24)들의 에지들과의 접촉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가능한 한 완전히 수직한 위치에 가깝게 경사지게 되어 효과적으로 빛을 차단하게 된다. 일부 복잡한 고가의 종래기술의 블라인드 조립체는 경사설정기구내에 캠형상의 드럼을 활용하여 하강한 라이저 코드들이 상승된 라이저 코드의 상향 이동보다 많은 거리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완전 경사진 위치에 있을 때 하강한 라이저 코드들이 느슨해지는 것을 돕는 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것에 매달린 복수의 슬랫(24)들 보다 넓은 헤드레일(12)은 복잡한 종래기술의 경사설정기구의 캠형상의 드럼과 같은 결과를 달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코드 래더(26)의 하나의 라이저 코드(36)는 헤드레일(12)의 전방 에지에 부착되고, 다른 라이저 코드(36)는 후방 에지에 부착된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헤드레일(12)이 개방된 수평방향 위치로부터 거의 수직한 폐쇄 위치까지 경사질 경우, 코드 래더(26)의 하나의 라이저 코드(36A)가 헤드레일(12) 폭의 절반과 같은 거리만큼 대체로 윗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라이저 코드(36)와 제1렁 코드(38)간의 연결 지점(61)을 같은 거리만큼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다른 라이저 코드(36B)는 헤드레일(12)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하강한다. 다른 연결지점(63) 또한 하강한다. 하지만, 크로스 렁 코드(38)의 길이가 라이저 코드(36)들간의 이동에 있어서의 차이보다 적기 때문에, 다른 연결지점(63) 상부의 하강한 크로스 라이저 코드(36B)의 부분이 완전히 하중이 걸리지 않아 느슨해진다. 따라서, 슬랫이 가능한 한 수직방향에 가깝게 피봇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응 렁 코드(38)와의 연결(63)을 통해 하강한 라이저 코드(36B)들이 반작용힘을 가하지 않도록, 매달린 슬랫(24)의 전체 무게는 크로스 렁들의 접착 점(60)들에서의 연결 지점을 통하여 상승된 라이저 코드(36A)에 의하여 지지된다.
헤드레일(12) 대 매달린 슬랫(24)의 폭의 비 또한 매우 중요하다. 헤드레일(12)이 너무 넓다면, 매달린 슬랫(24)들은 헤드레일이 완전히 피봇되기 이전에 폐쇄된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블라인드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불균일한 외관을 초래한다. 또한, 헤드레일(12)과 매달린 슬랫(24)간의 크기 차가 너무 크다면, 그것은 헤드레일의 크기가 슬랫의 균일한 외관을 열화시켜 미적 수준이 떨어질 수 있다. 매달린 슬랫들의 완전한 폐쇄와 블라인드 조립체의 미적수준을 훼손시키지 않는 것 모두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헤드레일 폭은 그것에 매달린 슬랫(24)보다 10 내지 15% 큰 것임이 판명되었다. 하지만, 최소한 래더의 라이저 코드와 헤드레일(12)의 연결지점들간의 거리는 적어도 슬랫(24)의 폭과 같거나 대응되는 크로스 렁 연결 지점(61,63)들 간의 거리와 같아야 한다.
슬랫의 상승 및 하강과 관련된 블라인드 조립구조체 및 그것의 작동
상술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전방 및 후방 리프트 코드들의 세트들은 블라인드 조립체(1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들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앞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부 슬랫(16)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리프트 코드(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저 코드(36)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와 함께 서로 감기며 코드 래더(26)의 렁 코드(38)들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엮어진다. 리프트 코드(22)는 상기 헤드레일(12)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헤드레일의 중공 내부로 지나가며, 도 9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듯이, 각 리프트 코드(22)들은 개구부에 근접하게 위치한 제1세트의 풀리(30) 주위에서 헤드레일(12)의 일 단부에 배치된 수집(gathering) 풀리를 향하여 안내된다. 상기 수집 풀리(32)는 액츄에이터 바아(28)의 상단부 캡(62)이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전방 에지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프트 코드(22)들은, 수집 풀리(32)로부터 헤드레일의 또 다른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부 캡(62)의 텅(64)에 형성된 슬롯(66)내로 나아간다. 대안적으로, 리프트 코드들은스프링(4620) 내측의 헤드레일 단부 캡의 내향 연장부(4640) 및 관상 돌출부(4655)의 단부에 있는 개구부를 통하여 대안의 상부 캡(4650)의 보어를 통과한다. 다음으로, 리프트 코드(22)들은 가이드 로드 또는 풀리(70 또는 4685)에 걸쳐 액츄에이터 로드(28)의 내부 채널 안으로 나아간다. 끝으로,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코드들은 제1리프트 핸들부재(90)내의 타이-오프(tie-off) 실린더(88) 주위에서 끝난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핸들부재(90,92)들이 액츄에이터 로드(28)에 형성되는 채널(84,86)들에 인접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별도로 수용된다. 채널들은 액츄에이터 로드(28)의 각 외측벽(96)을 통하여 연장되고 액츄에이터 로드의 전체 길이에서 계속되는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대향 슬롯(94)들을 가진다. 각각의 리프트 핸들부재(90,92)들은 몸체부재(98)를 포함하는 반면, 제1리프트 핸들부재는 복수의 리프트 코드(22)들을 제1핸들부재(90)에 고정시키고 슬랫(24)들은 원하는 수직방향 위치의 제 자리에 고정시키키기 위한 록킹구조체(10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1 내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재(98)는 몸체부재(98)가 수용되는 채널(84 또는 86)의 길이 및 폭 보다 약간 더 작은 길이 및 폭을 갖는 상부 및 저부 벽(102,104)을 포함한다. 상부 및 저부 벽(102,104)은 연결 코드(72 또는 73)의 매듭진 단부를 수용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들을 통과하는 나트홀(knothol:106)을 포함한다. 상부 및 저부 벽(102,104)은 1이상의 측벽(106)에 의하여 연결된다. 돌출부(108)는 각 몸체부재의 측벽(106)으로부터 직각으로,그리고 액츄에이터 로드의 중앙 측벽의 상술된 슬롯을 통하여 연장되고 리프트 핸들부재(90,92)를 위 아래로 슬라이드 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핑거 홀드(11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끝으로, 각각의 몸체부재(98)는 측벽(106)에 대향하는 부분 측벽(112)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 측벽(112)은 저부벽(104)으로부터 몸체부재(98) 길이의 1/5 정도 윗쪽으로 연장된다. 제1핸들부재의 몸체부재(98)(또는 제1몸체부재)는 복수의 리프트 코드(22)들이 통과할 수 있는 상부 벽(102)의 개구부를 더 포함한다.
도 21 및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몸체부재(98)들은 그들 각각의 액츄에이터 로드 채널(84,86)내에 포함된다. 제1연결 코드(92)는 제2몸체부재(98)의 저부 벽(104)의 나트홀(106)내에 고정되며, 그것은 일 채널(84)내에서 하방향으로 나아가 저부 단부 캡(74)에 배치된 풀리(78)를 걸쳐 지난다. 다음으로, 제1연결 코드(92)는 다른 채널(86)을 윗쪽으로 통과하며, 그것은 다른 몸체부재(98)의 저부 벽(104)의 나트홀(106)내에 고정된다. 제2연결 코드(73)는 제1몸체부재(98)의 상부 벽(102)의 나트홀(106)내에 고정되며, 그것은 채널(84)에서 윗쪽으로 나아가 상단부 캡(62)에 배치되는 커넥터 코드 풀리(70)를 걸쳐 지난다. 다음으로, 제2연결 코드(73)는 다른 채널(86)을 아랫쪽으로 통과하며, 그것은 다른 몸체부재(98)의 상부 벽(102)의 나트홀(106)에 고정된다. 기능적으로, 관련 핑거 홀드를 거쳐 일 방향으로 일 핸들부재를 슬라이드시키면 다른 핸들부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연결된 루프가 생성된다. 단신의 사람이 슬랫의 초기 위치와 무관하게 슬랫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장착된 블라인드 조립체의 1이상의 핸들부재들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1핸들부재(90)의 록 조립체(100)는 도 22 내지 도 26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록 조립체(100)는 적어도 몸체부재의 상부 벽의 아랫면과 저부 벽의 윗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알맞은 거리의 길이를 갖는 세장형의 베이스부재(116)를 포함하며, 그 이유들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베이스부재(116)는 상부 및 하부 벽 102와 104 사이의 제1몸체부재(98)에 수용되며, 베이스부재(116)는 몸체부재의 측벽(106)과 대향하는 부분 벽(112)간의 거리보다 아주 약간 짧은 폭을 갖는다. 베이스부재(116)는 그 내부에 수평방향 보어(118) 및 수평방향 보어(118) 부근의 절취부를 포함한다. 수평방향 보어(118)는 그 주위에서 리프트 코드(22)의 고리 또는 매듭이 있는 단부들이 끝나는 타이-오프 실린더(88)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16)는 (ⅰ) 웨지 캠(122)의 피봇 핀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는 수평방향 피봇 핀 보어(120), 및 (ⅱ) 2개의 보어 사이에 위치한 머신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가공된 구멍(125)을 더 포함한다. 일단 타이-오프 실린더(88) 및 웨지 캠(122)에 의하여 그것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피봇 핀이 베이스부재(116)의 각 보어내에 배치되면, 고정 판(124)은 피봇 핀과 실린더의 단부에 걸쳐 배치되고 고정판(124)의 구멍을 통과하는 스크루에 의하여 베이스부재(116)에 체결되며 베이스부재(116)의 나사가공된 구멍내로 나사결합된다.
웨지 캠(122)은 도 25 및 26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웨지 캠은 상부 섹션(126a) 및 하부 섹션(126b)을 갖는 맞물림 에지(126)을 포함한다. 상부 섹션(126a)은 제1몸체부재(98)의 부분 측벽(112)에 인접한 관련 액츄에이터 로드채널(84)의 내측벽(128)과 대체로 평행하고 그것에 대해 직각으로 편향된다. 하부 섹션(126b)은 아치형이고 웨지 캠(122)의 저부 에지(130)와의 교차부에서 끝날때까지 액츄에이터 로드 측벽(128)으로부터 멀리 만곡된다. 웨지 캠(122)은 웨지 캠(122)의 몸체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아치형의 스프링 아암(132)을 포함하고 베이스부재(116)의 수평방향 표면(134)에 의하여 억제되어 상부 맞물림 에지(126a)를 채널(84)의 내측벽(128)에 대하여 편향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웨지 캠(122)은 양호한 치수 특성들과 웨지 캠(122)의 맞물림 표면(126)과 내측벽(128) 사이에 높은 마찰계수를 제공하는 갖는 폴리우레탄 재료로 제작된다.
기능적으로, 블라인드 조립체(10)의 슬랫(24)들을 도 4에 예시된 위치로부터 도 5에 예시된 위치로 들어올리거나 수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1핸들부재(90)의 핑거 홀더(110)를 끌어내리거나 다른 핸들부재(92)의 핑거 홀드(110)를 들어올린다. 슬랫들이 상승되면, 웨지 캠(122)이 자리하는 제1핸들부재(90)는 그것의 액츄에이터 로드 채널(84)내에서 하향 이동한다. 웨지 캠(122)은 제1핸들부재(90)의 원하지 않는 상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만 설계되었기 때문에, 그것은 제1핸들부재(90)의 하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사실상, 액츄에이터 로드 채널 측벽(128)에 대한 제1핸들부재(90)의 하향 이동은 액츄에이터 로드 채널의 측벽(128)으로부터 먼 맞물림 에지의 상부 섹션(126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도 26에서 알 수 있음).
일단 슬랫들이 원하는 위치로 상승되고 작업자가 핸들부재의 핑거 홀드(110)를 해체하면, 저부 슬랫(16)상에서 작용하는 중력의 힘은 저부 슬랫을 아랫쪽으로잡아당기고 리프트 코드(22)에 장력을 가하기 시작한다. 상기 장력은 제1핸들부재(90)가 그것의 채널(84)내에서 윗쪽으로 잡아당겨지도록 한다. 제1핸들부재가 윗쪽으로 아주 약간의 거리만큼 잡아당겨지면, 웨지 캠(122)은 스프링 아암(132)의 바이어스 및 채널 내측벽(128)과 캠의 맞물림 에지(126a)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맞물림 에지(126a)의 상부 섹션은 채널의 내측벽(128)내에 그리고 그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쐐기 고정되어 제1핸들부재(90)와 그것에 결합되는 슬랫들을 원하는 수직방향의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통상적으로, 몸체부재(98) 상부 벽(102)의 하부면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조립체 베이스부재(116)의 상부 에지상에 자리하여 몸체부재의 저부 벽(104)과 베이스부재(116)의 저부에지 사이에 작은 갭을 생성시킨다. 또한, 캠(122)의 저부 에지와 부분 측벽(112)의 상부 에지(136) 사이에도 작은 갭이 생성된다. 상기 작은 갭은 캠 웨지(122)에 채널 측벽(128)내에서 회전되고 록 조립체(100) 및 슬랫들을 수직방향의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슬랫들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핑거 홀드(110) 중 하나를 움직이면, 제1몸체부재(98)는 베이스부재(116)의 저부 에지와 저부 벽(104) 윗면 사이의 갭이 사라질때까지 상향 이동되고, 보다 중요하게는 부분 측벽(112)의 상부 에지(136)가 웨지 캠(122)의 저부 에지(130)와 충돌하여 맞물림 에지(126)의 상부 섹션(126a)을 윗쪽으로 이동 및 회전시킴으로써 제1핸들부재(9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풀어준다. 부분 측벽(112)이 채널(84)의 내측벽(128)으로부터 멀게 맞물림표면(126)의 상부 섹션(126a)을 밀어주고 있는 한, 저부 슬랫(16)의 무게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야기되는 중력의 힘에 의하여 슬랫(24)이 하강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핑거 홀드(110)를 놓으면, 몸체부재(98)는 그것의 정상위치로 돌아가, 캠 웨지(122)의 저부와 부분 측벽(112)의 상부 에지(136)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제공하여 캠이 맞물림 표면이 상술된 바와 같이 내측벽내에서 그리고 그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슬랫들을 제 위치에 록킹시킨다.
상기 핸들부재들과 그와 관련된 구조체는 단순한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된 핸들부재 및 액츄에이터 로드 조립체의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 및 구조체가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 코드를 핸들부재에 연결시키는 방법들이 변할 수도 있다, 예시의 방법으로써, 코드들은 베이스부재내의 1이상의 구멍들을 통과하고 그들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매듭지어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변형례들에 있어서, 핸들부재를 제 위치에 또는 피봇 캠을 활용하거나 하지 않는 액츄에이터 바아에 록킹하는데 다른 수단들이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례들에서는, 제2핸들부재가 제거될 수도 있다.
도 24에는 리프트기구의 제1대안실시예가 예시되어 있고, 복수의 하향 연장 리프트 코드(18)는 풀리로 대체될 수도 있는 실린더(88) 주위에 감기고 채널(84)을 윗쪽으로 통과하고 상부 캡(62)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치는 핸들부재들의 운전자에게 핸들부재의 1인치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저부 슬랫을 2인치 이동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2:1의 기계적 장점을 제공한다.
도 93 내지 도 102에는 리프트기구(6150)의 제2대안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도 93 및 9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기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6090)을 통하여 압출된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6060)의 내부 채널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95에 제공된 분해도를 주로 참조하면, 제2대안실시예의 리프트기구의 주요 구성요소들은 (ⅰ) 리프트기구 본체(6160)를 포함하는 록킹기구(6155), (ⅱ) 아치형의 핑거 홀드(6165), 및 (ⅲ) 록 해제 레버(6170)을 포함한다.
도 95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제2대안 리프트 기구의 본체(6160)의 상단부 부근에 풀리 캐비티(6175)가 형성된다. 도 102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그것의 각 전방 및 후방 벽(6185,6190)으로부터 풀리 캐비티내로 2개의 정렬된 수평방향의 작은 보어(6180)들이 연장된다. 리프트 코드 풀리(6200)의 중앙을 통과하는 풀리 핀(6195)은 보어내에 수용되고, 리프트 코드 풀리는 풀리 캐비티내에서 적절히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제2대안 리프트기구과 관련해 상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1이상의 리프트 코드(18)들이 풀리 주위에 감기고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6060)의 상부 캡에서 끝난다. 좌측벽(6205)(도 9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은 액츄에이터 채널(6095)의 좌측에 인접한 풀리 캐비티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된다. 좌측벽 내측면의 상부(6210)는 우측에 대해 안쪽으로, 예각으로 테이퍼진 테이퍼부와 경계를 이룰 때까지의 짧은 간격에서 수직방향 아랫쪽으로 연장된다. 테이퍼부는 메인 하우징의 저부(6225)에 대해 수직방향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좌측 벽의 하부(6220)과의 교차부에서 끝난다. 따라서, 좌측벽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액츄에이터 바아 채널(6095)의 우측벽(6230) 사이의 수평방향의 거리는 하부보다 상부에서 더 크다. 실질적으로 저부, 좌측벽 및 풀리 캐비티를 포함하는 구조체 모두는 그안에서 슬라이드가능한 움직임을 위하여 액츄에이터 바아의 채널(6095)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5를 다시 참조하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6235)들은 풀리 캐비티 구조체 및 저부 둘 모두의 후방 측벽(6240,6245)의 후방면과 대응되는 디텐트 측벽(6250,6255) 사이에 형성된다. 슬롯들은 후방 측벽과 대응되는 상부 및 하부 디텐트 사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계면(6260)들이 립들 사이의 액츄에이터 바아 슬롯(6090)내에 수용됨으로써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의 립(6085)들을 수용한다. 따라서, 디텐트 벽(6250,6255)들은 액츄에이터 바아 채널(6065)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부 및 하부의 디텐트 탭(tab:6265,6270)들은 상향 상부 디텐트(6275) 및 하향 하부 디텐트(6280)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의 각 상부 및 하부 디텐트로부터 대체로 수평방향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10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들은 아치형의 핑거 홀드(6265)에 형성된 대응되는 상부 및 하부 레지(ledge:6285,6290)와 스냅식으로 연결되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95를 계속 참조하면, 록킹기구는 플라스틱 웨지 볼(6295), 코일 스프링(6300) 및 스프링 단부 캡(6305)을 더 포함한다. 도 9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은 스프링 단부 캡을 통하여 테이퍼부와 액츄에이터 바아의 우측벽 사이의 공간내로 작용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그것의 정상 위치로 편향된다. 웨지 볼은 액츄에이터 채널의 우측벽(6230)과 좌측벽(6205)의 상부(6210) 사이의 간격보다는 작지만, 액츄에이터 채널의 우측벽과 좌측벽의 하부(6220) 사이의 간격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윗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리프트 코드(18)에 의하여 리프트기구의 본체(6160)에 가해지면, 웨지 볼은 테이퍼부 및 우측벽에 대하여 움직임으로써 본체를 제 위치에 쐐기 고정하고 그것이 액츄에이터 바아 채널(6065)내에서 윗쪽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1이상의 리프트 코드(18)을 거쳐 본체와 상호연결되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들이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결합되면, 아치형의 핑거 홀드(6165) 및 록 해제 레버(6170)는 웨지 볼(6295)을 해제하는데 활용되어 리프트기구가 슬랫들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도 93, 94, 95 및 102를 전반적으로 참조하면, 핑거 홀드는 대안의 액츄에이터 바아(6060)의 립(6085) 및 슬롯(6090)으로부터 대체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핑거 홀드는 후방 만곡면(6310)을 형성하면서 아치모양의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아치형 핑거 홀드의 폭은 액츄에이터 바아의 폭과 대체로 유사하다. 핑거 홀드의 좌측(6315)(도 95에서 볼 수 있음)은 액츄에이터 바아의 좌측 립의 외측면과 맞닿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에지를 가진다. 도 93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대향하는 핑거 홀드의 우측(6320)은 액츄에이터 바아의 후방쪽을 넘어 연장되며 액츄에이터 바아의 우측벽(6230)의 실질적인 부분을 덮는다. 도 9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의 후방면 및 핑거 홀드의 우측은 그들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분기되고 개구부가 제공되어 록 해제 레버(6170)를 수용한다. 대체로 직사각형의 일체로 몰딩된 판부재(6325)는 분기된 우측에 걸쳐 있고 반원형의 폐쇄된 단부(6335)를 갖는 후방을 향하는 슬롯(6330)을 포함한다. 슬롯의 폐쇄된 단부에 대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위치에서, 돌출부(6340)는 좌측(6315)의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올라간다. 돌출부는 후방을 향하는 대향 슬롯 단부의 반원형 폐쇄 단부의 중심점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중심점을 갖는 전방을 향하는 반원형 슬롯(6345)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세히 후술되겠지만 반원형 폐쇄 단부 및 반원형의 슬롯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록 해제 레버와 피봇식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직사각형 부재의 상부 및 하부 후방 에지로부터, 아치형 핑거 홀드의 상술된 상부 및 하부 레지(6285,6290)는 아치형 핑거 홀드의 좌측으로 연장되고 록킹기구 본체(6160)의 디텐트(6275,6280)들을 스냅식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록 해제 레버(6170)는 아치형 핑거 홀드(6165)내에 피봇식으로 수용되고, 피봇식으로 작동하는 레버에 의하여, 록킹기구(6155)는 관련 슬랫들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해제될 수 있다. 레버는 도 99 내지 101, 93, 및 96을 참조로 잘 설명되어 있다. 후방 단부에서, 록 해제 레버는 아치형 핑거 홀드의 후방 표면(631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간격에 걸쳐 있는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적으로 아치형의 후방 섹션(6350)을 포함한다(도 99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 후방 섹션은 아치형 핑거 홀드의 우측벽(632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갭의 실질적인 부분에 걸쳐 있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 섹션(6355)과 교차한다(도 93에서 가장 잘 알 수 있음). 우측 섹션은 핑거 팁 액츄에이터(6360)를 형성하는 아치형 핑거 홀드의 전방 에지를 넘어 전방으로 이어진다. 도 99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레버 아암(6365)은 채널(6095)내에서 끝나는 액츄에이터 로드의 슬롯(6090)을 통하여 후방 섹션과 측면 섹션의 내측 교차부 부근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도 97을 참조하면, 레버 아암의 단부(6370)는 웨지 볼의 아래에 놓인다. 돌출부(6375)는 핑거 홀드의 좌측벽상에 형성되는 반원형 슬롯(6345)내에서의 피봇식 수용을 위하여 레버 아암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레버 아암의 우측은 직사각형 판부재(6325)내에 형성되는 슬롯의 반원형 단부(6335)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부분(6380)(도 101 참조)을 포함한다. 레버가 핑거 홀드내로 슬라이드되면, 직사각형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레버 아암이 반원형 슬롯 및 슬롯 단부내의 제 위치에 스냅되도록 한다. 록 해제 레버에 핑거 홀드 및 본체에 대한 몇 도의 피봇 운동이 부여될 수 있다.
기능적으로, 제2대안 리프트기구(6150)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들을 들어올리거나 수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도 9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핑거 홀드(6165)상에 그(녀)의 손가락을 올리고, 핑거 팁 액츄에이터(6360)를 부드럽게 밀어 올려 아치형 핑거 홀드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킨다. 핑거 팁 액츄에이터를 밀어줌으로써, 레버 아암(6365)은 도 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슬롯(6345)에 대하여 피봇되고 웨지 볼(6295)와 접촉해 있는 그것의 단부(6370)가 상향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볼은 본체의 좌측벽과 액츄에이터 로드의 우측벽 사이의 쐐기고정된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본체가 해제되어 액츄에이터 로드 채널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일단 핑거 팁이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6300)은 웨지 볼을 그것이 좌측벽의 테이퍼부와 우측벽 사이에서 쐐기고정된 위치로 다시 가압하여 본체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2개의 경사 액츄에이터 로드를 포함하는 대안실시예
도 27 내지 도 29에는 대안의 블라인드 조립체(200)가 예시되어 있다. 조립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술된 것과 같이, 헤드레일(12)을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데 활용되는 것과 매우 유사한 장착 브래킷(214) 및 단부 캡(234)을 갖는 저부 슬랫(16)을 포함한다. 또한, 대안의 블라인드 조립체(200)는 그것의 전방에서 코드 래더 및 리프트 코드들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한 1쌍의 액츄에이터 로드(28)를 포함한다. 장착브래킷에 연결되는 대신에, 액츄에이터 로드의 하단부 캡(74)은 저부 슬랫(16)의 전방 에지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리프트 코들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저부 슬랫에 고정되고 헤드레일(12)까지 상향 연장된다. 그 곳으로부터 리프트 코드들은 헤드레일 내부로부터 나와 액츄에이터 로드(28)들 중 하나로 보내지며, 여기서 그들은 액츄에이터 로드의 채널내로 나사결합되고 상술된 것과 유사한 핸들부재(96) 조립체에서 끝난다. 기능적으로, 어느 한 액츄에이터 로드(28)는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블라인드를 위 아래로 경사지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슬랫들은 핸들부재(들)를 사용하여 상술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저부 슬랫은 나머지 슬랫들이 헤드레일의 수직방향 바로 아래에서 쌓이거나 상부 및 저부 슬랫들 사이에서 분포될 때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평형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대안실시예
도 103 내지 126을 참조로 하여 평형 경사기구 및 평형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대안실시예의 통상적인 평형 경사기구에서는, 하향 편향력을 가하는,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단부에 매달린 무게가 경사 액츄에이팅 코드에 반작용하는 상향 편향력을 가하는 헤드레일내에 배치된 스프링과 균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코드는 1이상의 기어를 통해 헤드레일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빈(bobbin) 주위에 감겨 장착브래킷과 관련된 회전샤프트에 대하여 헤드레일을 피봇시킨다. 기능적으로,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를 부드럽게 밀어주거나 들어올리고 내림으로써 균형이 깨져, 코드가 수축 또는 펼쳐지고 그에 따라 헤드레일에 경사가 부여되도록 한다. 상기 기구는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블라인드에 경사를 부여하는데 큰 수고를 들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3 내지 108을 참조하면, 평형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5100)의 일 대안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블라인드 조립체(5100)는, (ⅰ)1쌍의 장착브래킷(5115)에 의하여 윈도우 프레임(5110)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랫형상의 강성 헤드레일(5105); (ⅱ) 복수의 리프트 코드(도시 안됨) 및 래더 테입(5125)들에 의하여 상부 슬랫에 결합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소 강성의 하부 슬랫(5120); (ⅲ) 헤드레일과 하부 슬랫 사이에 배치되고 래터 테입들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수평방향 슬랫(5130); (ⅳ) 슬랫들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리프트 액츄에이터 코드(5135); 및 (ⅴ) 가중된 단부 태슬(tassel:5145)을 포함하는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를 포함한다.
예시된 블라인드 조립체는 다소 날개형상의(airfoil-shaped) 중공 슬랫, 저부 슬랫 및 헤드레일을 활용한다. 슬랫들이 어떠한 적절한 형상으로 또는 어떠한 적절한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으므로 평형 경사기구를 사용하는 대안 구조의 블라인드 조립체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직물, 금속 및 나무로 제작된 슬랫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헤드레일은 관련 슬랫들과 유사하거나 상이한 몇가지의 형상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트 코드(5355) 및 슬랫(5130)들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리프트 코드 록킹기구(5350)가 도 122 내지 126에 예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당업자들에게 인지되어 있는 여타 종래형태의 리프트기구 및 록킹기구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세히 상술된 것들과 유사한 리프트기구 및 록킹기구가 평형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조립체와 연계하여 사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22를 참조하면, 리프트 코드 록킹기구(5350)는 헤드레일 단부 캡내에 포함된다. 헤드레일 단부 캡(5106)은 통상적으로 몰딩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통상적으로 관상으로 압출된 강성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헤드레일 섹션(5108)의 단부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되어 있다. 헤드레일 단부 캡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2에 예시된 것은 리프트 록킹기구만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 도 117에 예시된 헤드레일 단부 캡은 평형 경사기구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형 경사기구와 리프트 코드 록킹기구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된 단부 캡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도 122에 예시된 단부 캡을 다시 고려하면, 단부 캡은 상세히 상술된 제2대안의 장착브래킷(6505)와 유사한 장착브래킷과 경계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단부 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플랜지 실린더부재(6515)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의 장착브래킷 시스템들이 활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된 단부 캡은 헤드레일 길이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록킹기구를 시야에서 가려주고 록킹기구의 구성요소들을 제 위치에 유지 및 보존시키는 작용을 하는 커버(5420)가 제공된다.
도 123 내지 126을 참조하면, 록킹기구는 (ⅰ) 제1피봇 핀(5370)을 거쳐 단부 캡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U자형상의 제1코드 록 부재(5360), (ⅱ) 제2피봇 핀(5375)을 거쳐 U자형상의 제1부재의 레그(538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U자형상의 제2코드 록 부재(5365)를 포함한다. U자형상의 제1부재의 일부는 코드 접촉 에지(5390)를 형성하는 "U"자의 베이스(5385)를 넘어 연장된다. 리프트 코드(5355)는 헤드레일(5105)안을 지나 록킹기구의 측방향으로 배치된 수평방향으로 피봇가능한 풀리(5395)까지 그리고 그 주위로 지향된다. 그 다음, 코드들은 "U"자의 베이스(5400) 내부면에 대항하여 지나가는 U자형상의 제2부재를 통해 나사결합된다. 다음으로, 코드들은 단부 캡을 떠나고 태슬(5405)이 끝나기 이전에 U자형상의 제1부재의 코드 접촉 에지에 걸쳐 지난다. 도 122 및 12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상의 제1부재는, 코드들이 록킹기구를 향하여 연장될 때 풀리로부터 분기되는 풀리상의 지점(5410)으로부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피봇 핀에 대하여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피봇된다. 이 간격은 록킹기구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중요하다.
도 123 및 125는 그것의 정상적으로 록킹된 위치에서의 록킹기구(5350)를 나타낸다. 록킹기구는 풋 레일(5120) 및 리프트 코드(5355)를 통하여 작용하는 적용가능 슬랫(5130)들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위치로 편향된다. 이 무게에 의하여 가해지는 편향력은 도 123의 화살표(5415)로 나타나 있다. 편향력이 그 힘의 방향으로리프트 코드를 잡아당기고자 할 때, 그들은 마찰을 야기하는 U자형상의 제2부재의 베이스(5400)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상기 마찰 때문에, U자형상의 제1부재의 피봇 위치에 모멘트가 가해진다. 상기 모멘트는 코드 접촉 에지(5390)를 따라 코드에 대해 회전력을 가하는 제1피봇 핀(5370)을 중심으로 록킹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한다. 도 12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록킹기구상에 작용하는 상기 힘들의 결과가 록킹기구내의 리프트 코드 마찰의 증가와 효과적으로 코드를 제 위치에 록킹시키는 것을 방해한다. 슬랫들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리프트 코드를 단부 캡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멀리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여, 록킹기구가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고, 코드 에지가 리프트 코드가 움직여 나가도록 한다. 따라서, 그것이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하는 록킹기구를 통한 비교적 직선인 경로에 리프트 코드들이 제공된다. 일단 리프트 코드들이 해제되거나 더 이상 단부 캡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잡아당겨지지 않는다면, 슬랫 및 풋 레일의 무게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록킹기구를 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키고 리프트 코드들을 제 위치에 재록킹시킨다.
도 103 내지 105에 예시된 래더 테입(5125)들은 통상적으로 각각 슬랫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전방 및 후방의 수직방향 코드들을 포함한다. 크로스 렁(따로 도시되지는 않음)은 슬랫(5130)들을 지지하고 얹어 놓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방향 코드들의 각 세트들 사이에 걸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방향 코드의 상단부는 (도 10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일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 중 하나에 고정되고, 수직방향 코드들의상부는 헤드레일 에지내의 구멍을 통해 나사결합되고 매듭 또는 접착 비드(5150)에 의하여 그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헤드레일이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면, 각 래더 테입(5125)의 전방 수직방향 코드는 하강하고 각 래더 테입의 후방 수직방향 코드는 상승하여 크로스 렁들이 크로스 렁에 얹어지는 슬랫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헤드레일이 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면, 각 래더 테입(5125)의 전방 수직방향 코드는 상승하고 각 래더 테입의 후방 수직방향 코드는 하강하여 크로스 렁들이 상기 크로스 렁에 얹어지는 슬랫들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한다.
도 105를 참조하면, 풀리의 개방된 위치에서의 슬랫들을 갖는 블라인드 조립체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에서, 슬랫, 헤드레일 및 풋 레일은 그들의 폭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향된다.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의 단부에 부착되는 가중된 태슬(5145)은 폐쇄된 제1 또는 제2폐쇄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슬랫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직방향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도 118 내지 121에는 가중된 태스의 일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태슬은 일정 인장력형 스프링이 균형을 이루도록 미리설정된 무게의 중앙 금속 피스(5305)를 포함한다. 금속 피스는 곡면 및 라운드 진 에지를 갖는 대체로 계란형상을 갖는다. 금속 피스의 상부 에지에 근접하여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타이 오프 구멍(5310)이 제공된다. 금속 피스의 각 우측 및 좌측의 액츄에이터 측부를 따르는 몇몇 위치에는, 슬롯(5315)들이 제공되어 짝을 이루는 대응되는플라스틱 커버(5325,5330) 쌍의 디텐트 아암(5320)들을 수용한다. 플라스틱 커버들은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위해 금속 피스를 에워싼다. 플라스틱 수(male) 커버(5325)는 배치에 있어 금속 피스의 슬롯에 대응되는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디텐트 아암을 갖는다. 플라스틱 암(female) 커버(5330)는 플라스틱 커버가 금속 피스를 위에서 유지되도록 디텐트 아암들의 디텐트들이 수용되는 디텐트 레그들에 대응되는 그것의 에지에 대하여 몰딩된 립(5335)들을 가진다. 각 플라스틱 피스의 상부에는, 리프크 코드가 금속 피스내의 타이-오프 구멍을 통과하는 둥근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플라스틱 피스내의 유사한 반원형 슬롯과 경계를 이루는 반원형 슬롯(5345)이 제공된다.
도 106 내지 108에서 화살표로 예시된 바와 같이, 태슬(5145) 및/또는 관련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를 위 아래로 잡아당김으로써, 헤드레일이 장착브래킷(5115)에 대하여 피봇되어 관련 슬랫(5130)들 또한 피봇되도록 한다.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슬(5145)상에 작은 힘을 가해 아랫쪽으로 잡아당기면, 효과적인 하향 작용력이 반작용 스프링(5218)에 의하여 가해지는 상향 작용력보다 큰 양으로 증대된다(이에 대해서는 도 116a 내지 116c에 가장 잘 나타나 있고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헤드레일 및 슬랫은 제1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제1폐쇄 위치는 도 107에 예시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태슬(5145) 또는 리프트 액츄에이터 코드(5140)를 부드럽게 잡아당기거나 윗쪽으로 밀어주면, 태슬의 중량에 의하여 가해지는 것과 같은 효과적인 하향 작용력이 반작용 스프링에 의하여 가해지는 상향 작용력보다 작은 양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도10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일과 슬랫들은 제2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사용자가 가해야 하는 힘의 양은 경사기구 고유의 어떠한 회전마찰력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만을 포함하는 아주 작은 양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마찰의 양은 기구의 디자인에 많이 의존되나 작은량의 마찰은 바람직하며, 가령 개방된 윈도우를 통과하는 미풍의 결과로 생겨나는 최소한의 외부의 힘을 받을 경우에 슬랫들이 앞뒤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대안실시예에서는, 시스템내의 마찰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경사기구 또는 헤드레일 중 어느 하나의 1이상의 피봇샤프트들을 중심으로 하는 클램프장치와 같은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9 내지 116c를 참조하면, 평형 경사기구(5200)가 예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평형 경사기구는: (ⅰ)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 (ⅱ) 가중된 태슬(5145); (ⅲ) 보빈 샤프트(5214), 보빈 스퍼 기어(5216) 및 일정 인장력형 스프링(5218)에 의하여 헤드레일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퍼진 보빈(5212)을 포함하는 보빈/스프링 조립체(5210); (ⅳ) 회전샤프트(5246)에 의하여 부착되는 큰 스퍼 기어(5242) 및 작은 스퍼 기어(5244)를 포함하는 스퍼 기어 조립체(5240); (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스퍼 기어(5252) 및 그를 중심으로 헤드레일이 피봇되는 헤드레일 샤프트(5254)를 포함하는 장착브래킷 부착 조립체(5250)를 포함한다.
도 115a-c 및 도 116a-c에 제공되는 테이퍼진 보빈(5212)의 횡단면을 갖는 보빈/스프링 조립체(5210)가 도 109 내지 111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보빈/스피링 조립체의 주요 구성요소는 테이퍼진 보빈(5212)이다. 테이퍼진 보빈은스프링(5218)으로부터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로 스프링력을 전달하고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를 경사기구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테이퍼진 보빈(5212)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테이퍼진 원뿔형 단면을 가지며 테이퍼진 보빈의 길이방향 축선에 걸쳐 연장되는 보빈샤프트(5214)를 중심으로 회전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테이퍼진 보빈은 금속, 플라스틱 및 복합재를 포함하는 몇가지의 적절한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테이퍼진 보빈이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통상적으로 금속재료로 제작되는 보빈샤프트(5214)는 보빈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보빈상에 가압 끼워맞춤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샤프트는 그와 함께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샤프트에 키결합되거나(keyed)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대안실시예에서, 보빈샤프트는 보빈과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보빈샤프트는 보빈의 어느 한 단부에서 헤드레일(5105)에 형성되는 슬롯 또는 개구부내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109 내지 1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기구는 헤드레일(510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통상적으로 압출된 섹션(5108)내에 수용되는 헤드레일의 단부 캡 섹션(5106)에서 지지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테이퍼진 보빈/보빈 샤프트 조합체는 테이퍼진 보빈(5212)의 일 단부에 스프링 섹션(5220)을 포함하는 그것의 종방향 길이를 따르는 수개의 섹션들을 포함한다. 스프링 덮개 섹션(5220)은 본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제1 및 제2반경방향 플랜지(5222,5224)에 의하여 양쪽 단부상에 결합된다. 스프링(5218)의 갈고리형 단부(5228)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원통형 스프링 섹션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롯(5226)(도 116a에 가장 잘 예시됨)이 제공된다. 슬랫들이 경사기구(5200)의 작동시에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면, 일정 인장력형 스프링(5218)은 스프링 섹션(5220) 주위를 싸거나 스프링 섹션(5220)으로부터 풀리고, 헤드레일(5105)에 제공되는 포스트(5230) 주위를 싼다.
또한, 테이퍼진 보빈(5212)은 제2반경방향 플랜지(5224) 및 제3반경방향 플랜지(5234) 사이의 테이퍼진 섹션(5232)을 포함하며, 보빈의 벽은 제2반경방향 플랜지에 근접한 제1직경으로부터 제3반경방향 플랜지에 근접한 보다 작은 제2직경으로 테이퍼 져 있다. 직경의 변화는 스프링 섹션(5220) 주위를 싸는 스프링의 양에 따라 스프링(5218)에 의하여 제공되는 편향력의 변화를 상쇄시킨다. 또한, 테이퍼진 섹션의 표면은 섹션(5232)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테이퍼진 섹션의 표면을 중심으로 수차례 감겨 연장되는 연속적인 홈(5236)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보빈(5212)으로부터 코드가 감기거나 풀릴때에 코드를 안내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2플랜지(5222) 부근에는,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상단부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직경의 구멍(5238)이 연속적인 홈(5236)(도 115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의 일 단부에서 테이퍼진 섹션(5232)의 벽을 통과한다. 상기 구멍은 코드를 상기 구멍으로 통과시키고 코드의 단부에 묶거나 상기 코드의 단부에 상기 구멍을 통해 다시 끼워맞출 수 없는 접착 비드를 붙임으로써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를 보빈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테이퍼진 보빈(5214)을 통과하고 거기에 고정식으로 설치된 보빈 샤프트(5214)는 제3플랜지(5234)의 다른 측면상에 있는 테이퍼진 부분(5232) 위에 위치된 보빈 스퍼기어(5260)를 구비한다. 상기 보빈 스퍼기어(5260)는 그것과의 일체적인 회전을 위해 보빈 샤프트상에 고정식으로 수용된다. 보빈 스퍼기어는 보빈 샤프트에 맞춰지고, 보빈 샤프트상으로 가압 끼워맞춰지며, 상기 샤프트에 접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여타의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보빈 샤프트가 테이퍼진 보빈과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 보빈 스퍼기어 또한 테이퍼진 보빈과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도 109 및 도 116a 내지 도 116c를 참조하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일정 인장력형 스프링(5218) 중 하나의 단부는 보빈(5212)의 스프링부(5220)내의 슬롯(5226)내에 걸린다. 상기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헤드레일(5105)내에 제공된 스프링 포스트(5230) 주변에 감싸진다. 상기 스프링은 통상적으로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도 116a 내지 도 116c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220) 주변에 감싸진 스프링의 부분과 스프링부의 방향으로 스프링 포스트(5230) 주변에 감싸진 스프링의 부분 사이의 스프링의 범위(span)에 걸쳐 대체로 연속적인 인장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테이퍼진 보빈(5212)에 시계방향의 편향력을 인가한다.
스프링(5218)의 연속층들이 스프링부(5232) 주변에 감싸지면, 상기 스프링의 세로축선으로부터 편향부까지의 거리가 증가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인가된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테이퍼진 보빈에 인가된 유효 반시계방향의 회전모멘트가 증가한다(회전모멘트는 세로축선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까지의 거리에 가해진 힘을 곱한 것과 같다). 보빈을 정지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사기구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를 통하여 작동하는 가중된 태슬(5145)에 의하여 가해진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은 스프링에 의하여 반작용 회전모멘트와 동일하여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시계방향의 회전모멘트가 증가하면, 반시계방향의 회전모멘트 또한 증가하여야 한다. 테이퍼진 보빈의 테이퍼진 부분(5232)은 반시계방향의 회전모멘트가 반시계방향의 회전모멘트와 협력하여 변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5212)의 스프링부(5220) 주변에 스프링이 그 최대량으로 감겨진 경우, 도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는 테이퍼진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풀려질 것이며, 테이퍼진 부분의 최대 직경부에 위치될 것이다.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및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가 테이퍼진 보빈상에서 그들의 위치에 있는 경우, 배인은 그들의 제1폐쇄위치내에 있을 것이다.
반대로, 도 1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5212)의 스프링부(5220) 주변에 스프링이 그 최대량으로 감겨진 경우, 도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는 그 최대량으로 테이퍼진 부분(5232)에 감겨질 것이고, 테이퍼진 부분에서 떨어진 코드의 부분은 테이퍼진 부분의 최소 직경부에 위치될 것이다. 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및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가 테이퍼진 보빈상에서 그들의 위치에 있는 경우, 배인은 그들의 제2폐쇄위치내에 있을 것이다.
스퍼기어 조립체(5240) 및 장착브래킷 조립체(5250)는 경사 작동시 테이퍼진 보빈(5212)의 회전모멘트를 헤드레일(5105) 및 연관된 슬랫(5130)의 피봇 움직임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스퍼기어 조립체(5240) 및 장착브래킷 조립체(5250)는 도 109 내지 도 114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스퍼기어 조립체는 헤드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퍼기어 샤프트(5246)를 포함하고, 한쪽 단부에서 그것에 고정된 큰 스퍼기어(5242) 및 다른쪽 단부에서 그것에 고정된 작은 스퍼기어(5244)를 가진다. (도 11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스퍼기어는 보빈 스퍼기어(5216)와 맞물리게 되므로, 보빈 스퍼기어의 시계방향 회전은 큰 스퍼기어 및 전체 스퍼기어 조립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스퍼기어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플라스틱, 금속 및 복합물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스퍼기어는 가압끼워맞춤, 접착식 결합, 용접, 브레이징 및 키를 이용한 끼워맞춤(keyed fitment)을 포함하는 여타의 적절한 방식으로 스퍼기어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지만, 그것들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체 스퍼기어 조립체는 적절한 강화 또는 비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단품으로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도 109 및 도 113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은 스퍼기어(5244)는 장착브래킷 어셈블리의 고정식 스퍼기어(5252)와 맞물린다. 고정식 스퍼기어는 장착브래킷(5115)에 고정식으로 설치된 장착브래킷 패드(5256)의 헤드레일 샤프트(5254)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식 스퍼기어는 회전하지 않는다. 오히려, 작은 스퍼기어(5244)가 고정식 스퍼기어의 표면 주위에서 움직이고, 작은 스퍼기어, 스퍼기어 어셈블리 및 테이퍼진 보빈 어셈블리가 헤드레일내에 모두 포함되고 그 안에 부착되기 때문에, 헤드레일 또한 고정식 스퍼기어에 대하여 피봇된다.
평형 경사기구를 통합하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113에 가장 잘 예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식 스퍼기어(5252)는 헤드레일 샤프트(5254)의 대응부에 맞춰치는 축방향 개구부를 가진다. 헤드레일 샤프트는 고정식 스퍼기어를 제 자리에 유지하고 그것이 헤드레일 샤프트의 단부를 벗어나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단부에 반경 플랜지(5258)를 더 포함한다. 헤드레일 샤프트의 이 부분에는, 샤프트(5254)의 벽내에 2개의 대향 슬롯(5260)이 있어, 고정식 스퍼기어(5252)가 자리에 스냅됨에 따라, 나머지 벽들이 안쪽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휘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어(5252)는 용접 및 결합을 포함하는 여타의 적절한 방식으로 헤드레일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9 내지 도 112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레일(5105)의 단부는 헤드레일 샤프트(5254)의 또 다른 부분에서 장착브래킷 어셈블리(5250)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헤드레일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자유로이 피봇되지만, 통상적으로 샤프트(5254)와 일체형인 한쪽상의 장착브래킷 패드(5256) 및 다른쪽상의 고정식 스퍼기어(5252)에 의하여 방지됨에 따라, 샤프트를 벗어나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없다. 고정식 스퍼기어가 요구되지 않더라도, 헤드레일의 다른 단부상의 피봇 운동을 위해, 수정된 장착브래킷 조립체에 헤드레일(5105)이 세로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평형 경사기구를 통합하는 이 실시예에서, 장착브래킷 패드(5256)는 그 안에 몰딩되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패드에 부착된 스프링 캐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스프링 캐치는 헤드레일 샤프트(5254)의 세로 축선과 일치하는 중점을중심으로 이격된 원형 위치에서 장착브래킷(5215)내에 배치된 복수의 장착홀(도시되지 않음)내에 수용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블라인드를 개구부에 장착시키는 경우, 장착브래킷(5215)이 먼저 위치되고 개구부의 프레임(5110)에 고정된다. 다음, 경사기구(5200)는 장착브래킷 패드(5256)를 장착브래킷에 부착시키기 이전에, 블라인드를 폐쇄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최종적으로, 패드(5256)는 헤드레일 및 그들의 가로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배치된 슬랫을 구비한 브래킷으로 정렬되고, 상기 패드는 자리에 스냅된다.
경사기구(5200) 전반에 걸쳐 활용된 스퍼기어(5216, 5242, 5244 및 5252)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하나의 폐쇄위치로부터 또 다른 위치로 슬랫(513)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가중된 태슬이동량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기술 중 어느 하나로 분명해 질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 및 연관된 가중태슬(5145)의 전체 이동은, 기어링이 매우 크지 않은 작은 블라인드로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그 이동을 감소시키도록 변화될 수 있을 지라도, 거의 22인치이다. 슬랫을 제2폐쇄위치로 피봇하는 때에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가 테이퍼진 보빈(5212)상으로 많이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슬랫이 완전히 기울어지고 테이퍼진 보빈을 중심으로 완전히 감겨진 때에,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는 헤드레일내의 코드 개구부에 대하여 조이는 그것에 부착된 부착 비드(5155)를 가진다.
상기에 예시되고 도 106 및 도 10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위치로부터 제1폐쇄위치로 쉐이드를 피봇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가중된 태슬(5145) 또는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5140)를 서서히 당긴다. 그 힘은 경사기구내에 형성된 어떤 마찰을 극복할 정도이기만 하면 된다. 도 11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보빈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1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추가 스프링이 보빈의 스프링부(5220)상으로 감겨지게 됨에 따라, 보빈에 가해진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모멘트를 증가시킨다.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는 도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236)을 따라 직경이 더 큰 테이퍼진 부분(5232)의 일부로 이동한다. 테이퍼진 보빈(5212) 및 고정식으로 부착된 보빈 스퍼기어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큰 스퍼기어(5242)를 통하여 보빈 스퍼기어와 맞물리는 스퍼기어 조립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고정식 스퍼기어(5252)에 대하여 맞물린 작은 스퍼기어(5244)는 고정식 스퍼기어 주변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퍼기어 조립체가 헤드레일(5105)에 부착되기 때문에, 작은 스퍼기어가 고정식 스퍼기어 주위로 이동함에 따라, 헤드레일은 장착브래킷 조립체(525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봇한다. 도 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일의 반시계방향 피봇모멘트는, 래더 테이프(5125)의 전방 수직 코드가, 하강되어야 할 후방 수직 코드 및 제2폐쇄위치내로 경사져야 할 슬랫을 상승하도록 한다.
상술한 평형 경사기구는 경사진 헤드레일을 통합하는 블라인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서술되었다. 평형 경사기구의 요소들 또한 고정식 헤드레일과 함께 보다 종래적인 베네치아 블라인드 어셈블리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도에서, 테이퍼진 보빈/스프링 어셈블리는 헤드레일내에 연장된 경사 로드와 함께 직접적으로 또는 1이상의 기어를 통하여 인터페이스될 수 있을 것이다. 가중된 태슬을 들어올리거나 당김으로써, 힘의 균형은 뒤집힐 수 있을 것이고, 테이퍼진 보빈 및 경사 로드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을 경사지게 하도록 회전할 것이다. 또한, 평형 경사기구는 슬랫을 경사지게 하거나 피봇시키는 여타의 종류의 창문 덮개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경사기구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다양한 변형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활용된 스프링의 종류는 변동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중된 태슬에 반대로 작용도록 블라인드의 후방측을 아래에 거는 제2추로 교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기어가 풀리 및 드라이브 벨트로 교체될 수 있다.
평형 경사기구 블라인드 조립체내에 리프트 코드를 사용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태슬
도 133 내지 도 149는 평형 경사기구를 통합하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리프트 코드를 사용하는 브레이크어웨이 태슬(7005, 7105)의 두 가지 실시예를 예시한다. 또한, 상술된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은 여타의 종류의 블라인드 및 창문 덮개로 사용될 수 있다. 비수직 하중이 또 다른 리프트 코드에 가해진 또 다른 하중과 상이한 벡터를 가지는 태슬로 공급하는 1이상의 리프트 코드에 가해지는 경우, 브레이크태슬은 다수의 조각들로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하나의 코드를 그의 목의 좌측으로 잡아당기고 또 다른 리프트 코드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면서 리프트 코드내에 지탱된 몸체부를 잡는 경우, 어린이가 부상당하기 이전에 태슬이 분리되어 부상을 막을 수 있다.
도 133 내지 도 137에 예시된 제1실시예 브레이크어웨이 태슬(7005)은 3개의 외주코드 고정부재(7010), 코드고정 플러그(7020) 및 중심 커플링부재(7015)를 포함한다. 우선, 도 133을 참조로, 중심 커플링부재는 대체로 삼각형의 수평단면을 가지며 그 길이에 걸쳐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테이퍼진 중심 몸체부(7045)를 포함한다. 수직 보어(7055)는 몸체부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보어는 (i) 그 최상부 에지 주면에서 원형이고, 일정 거리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테이퍼진 최상부 및 (ii) 최상부의 저부로부터 단면이 대체로 정사각형인 그 저부에지로 연장된 저부를 가진다. 커플링부재의 외면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3개의 핀(fin)(7050)이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바깥쪽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34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핀의 외부 에지는 외주부재가 핀의 외부에지에 근사한 핀의 측면에 맞닿은 채로 외주코드 고정부재(7010)의 에지에 대응한다.
도 133을 참조하면, 3개의 외주부재(7010)의 각각은 외면 및 내면을 갖는 대체로 수직으로 방위가 잡혀진 아치형 벽을 포함한다. 외주부재의 최상부 에지에 근사하여, 코드 타이 오프(7025)는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며, 그 안으로 고정식으로 묶여진 리프트 코드(7085)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타이 오프 수직 아래로, 아래쪽으로 걸리는 돌출부는 대체로 수평 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위쪽으로 걸리는 돌출부(7040)는 외주부재의 저부 에지에 근사한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 133에 나타내고 도 1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는 외주부재가 중심 몸체부(7045)의 측면들 중 하나의 저부에지 및 최상부의 하나에 걸쳐 스냅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리프트 코드까지 태슬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고 필요하다면, 중심 몸체부의 수직 보어(7055)내에 수용되는 코드 고정 플러그(7020)를 사용하여 전방 리프트 코드가 태슬에 고정될 수 있다.
코드 고정 플러그는 도 136 및 도 137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는 수직 보어의 최상부에 대체로 대응하는 서서히 바깥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테이퍼진 원통형부(7065)를 포함한다. 하지만, 플러그의 최상부는 수직 보어의 직경보다 통상적으로 큰 플랜지부(7070)를 그 최상부 에지에 포함한다. 또한, 테이퍼진 v-형상의 슬롯(7080)은 테이퍼진 원통형부의 길이의 2/3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된 플러그의 최상부 에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플러그는 수직 보어의 저부에 짝을 이루어 대응하는 대체로 정사각형의 단면부를 가지는 저부(7075)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는 도 13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어의 최상부 에지(7060)에 걸쳐 스냅식으로 수용되는 플랜지부와 함께 수직 보어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전방 리프트 코드는, 전방 리프트 코드를 태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수직 보어내로 플러그를 스냅하기 이전에, 플러그의 저부를 중심으로 감싸질 수 있으며, V-슬롯으로 웨지될 수 있다. 도 1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전방 태슬은 태슬의 저부로부터 걸려 있으며, 블라인드 조립체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때에 잡혀질 코드를 제공한다.
기능적으로, 균등하지 않은 측방향의 힘들이 리프트 코드(7085)들에 가해진다면, 태슬의 모든 요소들과 같은 주변의 탄성부재들은 통상적으로 몰딩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중앙의 커플링부재(7015)로부터 이격되어 스냅된다. 4개의 주변부재 및 코드 고정 플러그의 사용없이 4개의 리프트 코드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대체로 정사각형인 단면을 갖는 중앙 커플링부재를 구비한 제1실시예의 태슬의 변형례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7105)은 도 138 내지 149에는 예시되어 있고 4개의 주변 코드 고정부재(7115) 및 중앙 커플링부재(7125)를 포함한다. 중앙 코드 고정부재는 도 146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수직방향 보어(7140)가 통과하는 원통형 하부(7135)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부의 저부 에지(7145)는 그것의 외측면으로부터 보어의 표면까지 안쪽으로 기울어 있으며, 그 이유들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4개의 핀 부재(7050)는 도 1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7135)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원통형부재의 상부 에지(7060) 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41 및 14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의 단부(7155)는 핀(fin)의 잔여부와의 교차부에서 단부 뒷쪽의 수평방향 단면에 반원형의 만곡된 레지(7160)을 형성하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4개의 주변 코드 고정부재(7115)는 대체로 삼각형의 상부 및 저부 측면(도 139 및 141)과 직사각형 수직방향 측면을 갖는 대체로 C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코드 고정부재의 수직방향 측면은 도 140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오목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코드 고정부재의 상부측을 통하여 구멍(7120)이 제공되어, 코드 고정부재에 코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매듭내의 단부상에 묶어주는 리프트 코드(7110)를 그것을 통해 수용한다. 코드 고정부재 저부측의 내측면(7170)은 도 14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안쪽방향 윗쪽으로 기울어 있다. 도 14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측면은 원통형 부의 저부 에지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도 146 및 142를 참조하면, 일단 리프트 코드들이 각각의 주변 코드 고정부재(7115)에 고정되면 코드 고정부재의 저부 측면(7170)의 내측면이 원통형 부(7135)의 중앙 커플링부재의 저부 에지(7145)에 대하여 배치된다. 그 다음, 각각의 코드 고정부재는 코드 고정부재의 오목한 측면 에지가 핀의 반원형 단부(7155)에 걸쳐 스냅식으로 수용되고 만곡된 레지(7160)에 대하여 유지될 때까지 커플링부재(7125)를 향하여 안쪽으로 회전된다. 도 139 및 14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드 고정부재 상부측의 에지들은 서로 만나고 맞닿는다. 이와 유사하게, 코드 고정부재의 저부측 에지들은 서로 맞닿지만, 도 14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프트 풀(pull) 코드(7165)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 개구부(7130)가 형성된다. 도 1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풀 코드는 원통형 부를 통과할 수 있고 매듭에 의해 원통형 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원통형 풀 코드는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들을 수축시키고 펼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잡게 되어 있다.
리프트 코드들이 불균일한 측방향 힘을 받을 때의 브레이크어웨이 태슬의 작동이 도 147 내지 14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4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균일한 측방향 리프트 코드의 힘들은 그것의 상부 에지에서 태슬로부터 바깥쪽으로 영향을 받는 코드 고정부재들을 잡아당겨, 효과적으로 코드 고정부재가 커플링부재 원통형 부의 저부에지 사이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48을 참조하면, 코드 고정부재의 오목한 측면들은 반원형 핀 단부들의 만곡된 레지로부터 탄성적으로 튀어나온다. 끝으로, 도 14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드 고정부재(들)은 커플링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여느 다른 코드 고정부재들은 여전히 커플링부재와 연결된다.
편측(one-sided) 중앙 코드 래더들을 활용하는 대안실시예
상술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코드 래더들은 전방 및 후방 라이저 코드들과 관련 슬랫을 얹어 놓기 위하여 라이저들 사이에 걸쳐 있는 크로스 렁을 포함한다. 도 127 내지 13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착식이나 다른 방법으로 슬랫(5510)에 부착되는 부분적인 크로스 렁(5505)을 갖는 편측(one sided) 코드 래더들은 블라인드 조립체들의 대안실시예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슬랫들을 양측 래더 테입들의 크로스 렁에 직접 연결시키는 방법의 장점 및 혜택은 본 명세서에서 전체적으로 위해 채용된, 2001년 12월 6일에 출원된 상술된 미국특허출원 제10/003,097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중앙 코드 래더를 위하여 부분적인 크로스 렁을 슬랫에 접착식으로 접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것과 같은 비교적 강성의 슬랫들이 활용될 경우 슬랫들의 피봇을 방해하지 않고 후방 라이저(5515)만을 남기고 전방 라이저가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전방 라이저들을 제거함으로써종래기술의 양측 중앙 코드 래더들을 사용하는 넓은 블라인드 조립체에서 넓은 블라인드 조립체의 전체 외관이 상당히 개선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편측 중앙 코드 래더를 활용하는 대안실시예의 블라인드 조립체(5520)의 통상적인 정면도 및 후면도가 도 127 및 128에 예시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대안의 블라인드 조립체는 편측 코드 래더들이 중앙 코드 래더를 요하기에 충분히 넓은 상술된 블라인드 조립체들의 실시예들 중 어떤 것과 함께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하더라도 평형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29를 참조하면,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 단부(5525)들 부근에 배치되는 코드 래더들은 그들 사이에 크로스 렁(5540)이 걸쳐 있는 2개의 라이저(5530,5535)를 포함한다. 전방 또는 후방이나 바로 전방의 리프트 코드(5545)들은 예시된 바와 같이 라이저 코드들과 함께 서로 감겨져 있다. 도 1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렁들은 1개 또는 2개의 접착 비드(5550)에 의해 슬랫에 고정된다. 코드 래더가 슬랫의 단부에 비교접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2개의 접착 비드가 활용되며, 크로스 렁은 라이저 코드들 부근에서 슬랫이 부분적으로 미끄러져 나가게 하여 블라인드의 부적절한 작동을 야기시킨다. 크로스 렁이 슬랫 단부의 안쪽으로 배치될 때에는 크로스 렁의 단부가 슬랫을 미끄러져 나가게 하지 못하도록 일반적으로 슬랫의 측방향 중앙 부근에 단 하나의 접착 비드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
도 130을 참조하면, 중앙의 코드 래더(5500)는 단 하나의 후방 라이저(5535) 및 슬랫의 저부측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되는 부분적인 크로스 렁(5505)을 포함한다(도 132 참조). 슬랫은 비교적 강성이기 때문에, 전방 라이저 코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중앙에서 늘어지거나 뒤틀리지 않는다. 또한, 부분적으로 접착식으로 연결되는 크로스 렁은 블라인드 조립체의 슬랫들이 어느 한 방향에서 어느 한 폐쇄 위치로 피봇될 때에 이웃하는 슬랫에 대해 상기 슬랫들을 그것의 적절한 수직방향 위치에서 매달거나 지지한다. 도 13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후방 리프트 코드(5545)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리프트 코드와 함께 서로 꼬여 있는 리프트 코드를 갖는 편측 코드 래더들과 함께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을 어느 정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설명은 예시에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첨부된 청구항내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다면 본 명세서내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세부적인 또는 구조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수의 대안실시예 및 본 발명에서 활용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다수의 변형례가, 함께 계류중이며 현재 출원된 "Shutter-Like Covering And Hardware For Architectural Openings"란 이름의 미국특허출원에 기술 및 예시되어 있다.

Claims (103)

  1.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부착하기 위한 1이상의 장착브래킷;
    상기 1이상의 장착브래킷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좌측 및 우측 단부들을 갖는 수평방향으로 헤드레일로서,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상기 수평방향 헤드레일; 및
    상기 헤드레일로부터 매달린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복수의 슬랫으로서, 상기 슬랫 각각은 (ⅰ) 인접한 슬랫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ⅱ) 상기 슬랫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건축물 개구부상에 실질적으로 입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그를 직접 통과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실질적으로 상기 입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그를 직접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고, (ⅲ) 상기 커버링이 펼쳐질 때의 제1위치와 상기 커버링이 수축될 때의 제2위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복수의 슬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단면형상은 상기 복수의 슬랫들의 각 슬랫의 단면형상과 대체로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폭은 상기 복수의 슬랫의 각 슬랫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은 아치형의 볼록한 상부측 및 아치형의 볼록한 하부측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측 및 하부측은 공통의 전방 및 후방 에지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은 압출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폭은 상기 복수의 슬랫들의 각 슬랫의 폭에 11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상기 좌측 및 우측 단부들은 대체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방향으로 상기 1이상의 장착브래킷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장착브래킷은 좌측 및 우측 장착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일의 좌측 단부는 좌측 장착브래킷에 부착되고, 상기 헤드레일의 우측 단부는 우측 장착브래킷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상기 좌측 및 우측 단부들 각각은 그들로부터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1이상의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1이상의 핀은 상기 각 좌측 또는 우측 장착브래킷을 피봇가능하게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핀은 (ⅰ) 실질적으로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1핀 및 (ⅱ) 상기 제1핀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핀 및 제2핀은 상기 대응되는 좌측 또는 우측 장착브래킷의 제1슬롯과 제2슬롯내에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은 상기 장착브래킷내에서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커버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롯은 상기 제1슬롯의 후방 단부 부근에 최후방 위치를 가지며, (a) 상기 최후방 위치로부터 상단부까지 대체로 상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b) 상기 최후방 위치로부터 하단부까지 하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롯은 대체로 v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롯은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장착브래킷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텅(tongue)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텅 부재는 몸체 전방 에지의 전방으로의 연장 및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장착브래킷의 상기 몸체내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슬롯은 상기 텅 부재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래킷의 상기 좌측 및 우측 단부의 1이상의 핀들 중 1이상의 핀은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랫은 2이상의 코드 래더에 의하여 헤드레일에 매달리고, 각 코드 래더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라이저 코드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라이저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라이저 코드는 복수의 크로스 렁(rung)에 의하여 얹어지거나(cradle) 드리워지고, 상기 전방 라이저 코드 및 상기 후방 라이저 코드 각각은 상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방 라이저 코드의 상단부는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에지 부근에서 상기 헤드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후방 라이저 코드의 상단부는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에지 부근에서 상기 헤드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랫은 상기 복수의 크로스 렁 중 하나의 크로스 렁에 접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랫은 상기 복수의 크로스 렁 중 하나의 크로스 렁에 의하여 얹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0. 제17항에 있어서,
    2이상의 코드 래더들 중 좌측 코드 래더는 상기 헤드레일의 좌측 단부로부터 대략 1인치에 못 미치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레일의 상기 전방 및 후방 에지들에 부착되고, 상기 2이상의 코드 래더들 중 우측 코드 래더는 상기 헤드레일의 우측 단부로부터 대략 1인치에 못 미치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코드 래더 중 좌측 코드 래더는 상기 헤드레일의 좌측 단부 부근에서 상기 헤드레일에 부착되고, 상기 2이상의 코드 래더 중 우측 코드 래더는 상기 헤드레일의 우측 단부 부근에서 상기 헤드레일에 부착되며, 1이상의 편측(one-sided) 코드 래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이상의 편측 코드 래더는 후방 라이저 코드 및 상기 후방 라이저 코드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렁을 포함하지만 전방 라이저 코드를 갖지 않으며, 각각의 편측 코드 래더는 상기 제1 및 제2코드 래더의 부착 위치들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헤드레일에 부착되며, 상기 1이상의 편측 코드 래더들의 각 크로스 렁은 상기 복수의 슬랫들 중 일 슬랫에 접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코드 래더 각각을 위한 리프트 코드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각 리프트 코드의 세트는 전방 리프트 코드 및 후방 리프트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리프트 코드는 풋 레일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헤드레일의 전방 에지까지 관련 코드 래더의 전방 라이저 코드와 대체로 같은 넓이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 리프트 코드는 상기 풋 레일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헤드레일의 후방 에지까지 상기 관련 코드 래더의 후방 라이저 코드와 대체로 같은 넓이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리프트 코드 각각은 상기 헤드레일의 각 전방 및 후방 에지로부터 상기 헤드레일의 내부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리프트 코드는 상기 관련 코드 래더의 같은 넓이로 연장되는 후방 라이저 코드와 함께 서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4. 제1항에 있어서,
    세장형의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경사 액츄에이터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는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에지와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헤드레일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5. 제22항에 있어서,
    세장형의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경사 액츄에이터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는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에지와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헤드레일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프트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의 슬라이드 가능한 움직임은 상기 복수의 슬랫들이 펼쳐진(extended) 위치와 수축된(retracted)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프트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의 슬라이딩 가능한 움직임은 상기 복수의 슬랫들이 상기 펼쳐진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코드는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를 따르는 수직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코드의 세트는 상기 헤드레일의 내부로부터 상기 전방 에지 부근의 상기 헤드레일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의 내부로, 그리고 하방향으로 각가의 리프트 코드가 끝나는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는 상기 커버링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 2이상의 코드 래더 중 일 코드 래더의 전방 라이저 코드를 실질적으로 가리기 위하여 상기 헤드레일의 전방 에지를 따라 적소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1. 제24항에 있어서,
    대체로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의 하단부 부근의 수직방향 위치에서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를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한 피봇 아암 및 피봇 아암 장착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래킷은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에 장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상기 피봇 아암은 제1단부에서는 상기 장착브래킷에, 제2단부에서는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2.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헤드레일;
    상기 헤드레일에 매달린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복수의 슬랫;
    상기 복수의 슬랫 아래에 배치되는 풋 레일;
    1이상의 코드 래더 및 경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로드의 작동은 상기 각 슬랫들이 상기 슬랫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하는 경사기구 조립체; 및
    1이상의 리프트 코드 및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1이상의 리프트 코드는 상기 풋 레일로부터 상기 헤드레일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는 상기 경사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1이상의 리프트 코드와 결합되며, 상기 경사 로드를 따르는 상기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의 움직임은 상기 슬랫들이 펼쳐진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리프트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는 록킹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리프트 액츄에이터를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를 따르는 수직방향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로드의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슬랫들이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로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내부를 가지며, 상기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의 실질적인 부분이 상기 중공 내부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는 몸체 및 핑거 홀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핑거 홀드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경사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로드를 따른 상기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의 제1거리만큼의 상향 움직임은 상기 풋 레일을 제2거리만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와 대체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리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거리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1.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리프트 코드는 그에 대한 슬라이드 가능한 움직임을 위하여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의 샤프트 주위에 감싸지고(wrap), 상기 1이상의 리프트 코드는 경사 로드의 단부 부근에서 상기 경사 로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2. 제32항에 있어서,
    제2리프트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리프트 액츄에이터는 상기 경사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리프트 액츄에이터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3. 제4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리프트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록킹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리프트 액츄에이터를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를 따르는 수직방향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리프트 액츄에이터는 1이상의 커넥터 코드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각 커넥터 코드의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리프트 액츄에이터 중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웨지를 포함하고, 상기 웨지는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의 몸체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웨지는 상기 경사 로드의 표면에 대하여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ⅰ)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의 몸체 표면 및 (ⅱ) 상기 경사 로드의 표면 사이에서 접촉하고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7. 제46항에 있어서,
    말단부를 갖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볼과 접촉하고 상기 레버는 (ⅰ)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의 몸체 표면 및 (ⅱ) 상기 경사 로드가 작동될 때 상기 경사 로드의 표면 사이의 편향된 위치로부터 상기 볼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은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 피봇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워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로드는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에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경사 로드의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헤드레일이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0. 제48항에 있어서,
    대체로 상기 경사 로드의 하단부 부근의 수직방향 위치에서 상기 경사 로드를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연결시키기 위한 피봇 아암 및 피봇 아암 장착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래킷은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장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상기 피봇 아암은, 제1단부에서는 상기 장착브래킷에, 제2위치에서는 상기 경사 로드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1.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헤드레일;
    상기 헤드레일에 매달린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복수의 슬랫;
    상기 복수의 슬랫 아래에 배치되는 풋 레일;
    1이상의 편측 코드 래더를 포함하고, 상기 1이상의 코드 래더는 후방 라이저 코드 및 상기 후방 라이저 코드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렁을 포함하지만 전방 라이저 코드는 갖지 않으며, 각각의 편측 코드 래더는 상기 풋 레일로부터 상기 헤드레일까지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크로스 렁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슬랫들 중 일 슬랫에 접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경사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2. 제51항에 있어서,
    2이상의 코드 래더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코드 래더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전방 라이저 코드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후방 라이저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라이저 코드들은 복수의 크로스 렁에 의하여 연결되고, 각각의 슬랫은 상기 코드 래더의 크로스 렁에 의하여 얹어지거나 드리워지며, 2이상의 코드 래더들 각각은 상기 풋 레일로부터 상기 헤드레일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랫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크로스 렁들 중 일 크로스 렁에 접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4. 제53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랫은 상기 복수의 크로스 렁들 중 일 크로스 렁에 얹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5. 제54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랫은 저부측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크로스 렁들 중 일 크로스 렁은 2개의 개별 위치에서 상기 슬랫의 저부측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코드 래더들은 제1 및 제2코드 래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드 래더는 상기 복수의 슬랫들 각각의 좌측 단부로부터 대략 1인치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드 래더는 상기 복수의 슬랫들 각각의 우측으로부터 대략 1인치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7.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코드 래더들 각각은 1이상의 코드 래더들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슬랫들 각각을 따르는 길이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은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선을 중심으로 한 피봇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워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단면형상은 상기 복수의 슬랫들 각각의 단면형상과 대체로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폭은 상기 복수의 슬랫 각각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코드 래더 및 상기 편측 코드 래더의 후방 라이저 코드들은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에지를 따르는, 그리고 그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헤드레일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코드 래더의 전방 라이저 코드들은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전방 에지를 따르거나 그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헤드레일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3. 제52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프트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트 코드들은 1이상의 전방 리프트 코드 및 1이상의 후방 리프트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트 코드들 중 1이상의 전방 리프트 코드는 상기 풋 레일로부터 상기 헤드레일까지 2이상의 래더 테입들 중 1이상의 전방 라이저 코드 중 하나와 대체로 같은 넓이로 연장되고, 상기 1이상의 후방 리프트 코드는 상기 풋 레일로부터 상기 헤드레일까지 상기 2이상의 래더 및 상기 1이상의 편측 코드 래더들 중 1이상의 후방 라이저 코드와 대체로 같은 넓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리프트 코드는 같은 넓이로 연장되는 관련 후방 라이저 코드와 함께 서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5. 제58항에 있어서,
    세장형의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경사 액츄에이터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는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에지와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헤드레일이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6. 제65항에 있어서,
    리프트기구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기구 조립체는 1이상의 리프트 코드 및 리프트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1이상의 리프트 코드는 상기 상기 풋 레일로부터 상기 헤드레일까지 상기 헤드레일 및 상기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리프트 코드는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는 상기 리프트 액츄에이터를 상기 액츄에이터를 따르는 수직방향의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69.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에 있어서,
    헤드레일;
    1이상의 코드 래더에 의하여 상기 헤드레일에 드리워지는 복수의 슬랫; 및
    상기 복수의 슬랫의 선택적인 경사부여를 위하여 1이상의 코드 래더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ⅰ) 웨이트, (ⅱ) 상기 웨이트와 결합되는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 (ⅲ) 그 주위의 상기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웨이트에 의하여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편향되는 보빈, 및 (ⅳ) 상기 제1회전방향과 대향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상기 보빈을 편향시키는 평형추를 포함하는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은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레일이 피봇 운동되도록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1.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2.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태슬을 포함하고, 상기 태슬은 상기 경사 액츄에이터 코드의 자유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3.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4.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표면은 그 내부에 상기 액츄에이터 코드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속적인 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적인 홈은 상기 표면 주위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5. 제69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장착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브래킷은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프레임워크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그 위에 상기 헤드레일의 대응되는 좌측 또는 우측 단부 중 하나를 피봇식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장착브래킷 중 하나는 기어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풀리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기구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상기 기어 및 풀리 중 하나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1이상의 풀리 또는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7.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및 상기 웨이트에 의하여 가해지는 편향력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8.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헤드레일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헤드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0.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정 인장력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1.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을 상기 장착브래킷에 대해 피봇시키도록 되어 있는 장착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래킷은 상기 장착브래킷에 대해 기어 및 풀리 중 하나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브래킷에 고정되는 상기 기어 및 풀리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1이상의 연결 기어 또는 풀리를 통하여 상기 풀리 및 기어 중 하나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및 풀리 중 하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코드 래더 중 상단부는 상기 헤드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5.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코드 래더의 상단부는 상기 헤드레일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6.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에 있어서,
    복수의 슬랫;
    상기 슬랫에 연결되는 1이상의 코드 래더; 및
    상기 복수의 슬랫의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슬랫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키기 위한 균형맞춤(balanced) 경사기구로서, 제1평형추 및 제2평형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평형추는 복수의 슬랫들을 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상기 제2평형추는 상기 복수의 슬랫들을 반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상기 평형 경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추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형추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정 인장력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0.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추에 의하여 가해지는 시계방향의 편향력은 상기 제2평형추에 의하여 가해지는 반시계방향의 편향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1.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평형추는 보빈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커버링의 헤드레일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은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될 때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헤드레일에 대해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헤드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장착브래킷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장착브래킷은 상기 건축물 개구부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6. 제86항에 있어서,
    헤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1이상의 코드 래더가 상기 헤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7. 제87항에 있어서,
    코드 및 평형추 커플링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일 단부에서는 상기 웨이트에, 다른 단부에서는 상기 평형추 커플링기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커플링기구는 상기 커버링의 헤드레일에 포함되는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99. 건축물 개구부용 커버링내에 사용하기 위한 평형 경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은 복수의 슬랫들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기구는:
    상기 복수의 슬랫의 길이방향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슬랫을 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1평형추;
    상기 복수의 슬랫의 길이방향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슬랫들을 반시계방향으로 편향시켜, 상기 제1 및 제2평형추에 의하여 가해지는 반작용되는 편향력들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도록 되어 있는 제2평형추;
    상기 제1 및 제2평형추를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평형추 커플링기구; 및
    상기 카운터 커플링기구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들에 선택적으로 경사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경사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경사기구.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추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경사기구.
  10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형추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경사기구.
  102.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액츄에이터는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일 단부는 상기 웨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코드의 다른 단부는 상기 평형추 커플링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경사기구.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 커플링기구는 상기 커버링의 헤드레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경사기구.
KR10-2004-7000655A 2001-07-16 2002-07-16 건축물 개방부를 위한 셔터형 커버링 KR20040035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594701P 2001-07-16 2001-07-16
US60/305,947 2001-07-16
PCT/US2002/022577 WO2003008751A1 (en) 2001-07-16 2002-07-16 Shutter-typ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684A true KR20040035684A (ko) 2004-04-29

Family

ID=2318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655A KR20040035684A (ko) 2001-07-16 2002-07-16 건축물 개방부를 위한 셔터형 커버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051028B2 (ko)
KR (1) KR20040035684A (ko)
CN (1) CN1302196C (ko)
BR (1) BR0210591A (ko)
CA (1) CA2448399A1 (ko)
WO (1) WO20030087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99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20170102334A (ko) * 2004-08-20 2017-09-08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작동가능한 베인을 갖는 윈도우 커버링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694B2 (en) 2002-04-01 2006-12-12 Hunter Douglas Inc. Fabrication apparatus for an assembly of vanes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6808002B2 (en) 2002-05-17 2004-10-26 Hunter Douglas Inc. Balanced tilt mechanism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7614438B2 (en) 2003-04-14 2009-11-10 Teh Yor Co., Ltd. Venetian blind
JP4589013B2 (ja) * 2004-02-23 2010-12-01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用のシャッタ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DE102006005239A1 (de) * 2006-02-06 2007-08-16 Hydro Building Systems Gmbh Lamellenanordnung für Fassaden
DE102006005238A1 (de) * 2006-02-06 2007-08-16 Hydro Building Systems Gmbh Lamellenanordnung für Gebäudefassaden und dergleichen
JP2007239387A (ja) * 2006-03-10 2007-09-20 Ykk Ap株式会社 ブラインドおよび建具
CN101210474B (zh) * 2006-12-27 2011-06-15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百叶窗帘结构及其组合方法
EP2307651B1 (en) * 2008-06-10 2013-07-24 VKR Holding A/S Screening device with a sliding mechanism for tilting slats
KR101785901B1 (ko) 2008-11-18 2017-11-15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슬래트형 롤러 블라인드
CA2796455C (en) 2010-04-16 2020-03-10 Hunter Douglas Inc.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roller blind
MX346813B (es) 2011-04-15 2017-03-31 Hunter Douglas Recubrimiento para abertura arquitectónica que incluye estructuras de células que empujan para abrir.
CN102555740B (zh) * 2011-10-15 2013-12-2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百叶式汽车全景天窗
JP6266640B2 (ja) * 2013-10-18 2018-01-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コードイコライザー、遮蔽装置
EP2960423A1 (en) * 2014-06-23 2015-12-30 Domicet Oy Safety blind
AU2017200574B2 (en) 2016-06-30 2022-12-08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3477039B1 (en) * 2017-10-31 2020-07-15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Control mechanism for a double pitch blind and a double pitch blind assembly
CN213768938U (zh) * 2020-11-23 2021-07-23 烟台振邦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转向可调式船舶通风栅
CN115247531A (zh) * 2021-04-28 2022-10-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立式百叶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674A (en) 1911-01-04 1916-09-12 William M Shaw Button-stop for use in connection with the ropes or cableways.
WO1998044442A1 (en) 1997-04-02 1998-10-08 Citibank, N.A. Method and system for standardizing and reconciling invoices from vendors
US6134842A (en) * 1997-04-03 2000-10-24 Cheng; Chi Integrated window/light shelf system
US6305947B1 (en) 1998-11-19 2001-10-23 Berg Technology, Inc. Angled coaxial connector module
US6306049B1 (en) 1999-03-01 2001-10-23 Acushnet Company Method of improving impact resistance in golf ball core formulations
US6421966B1 (en) * 2000-04-28 2002-07-23 Kawneer Company Inc. Sunshade for building exteriors
US6378262B1 (en) * 2000-09-12 2002-04-30 Robert Mercadante Telescoping louvered window inse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2334A (ko) * 2004-08-20 2017-09-08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작동가능한 베인을 갖는 윈도우 커버링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3157799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08751A1 (en) 2003-01-30
CN1549884A (zh) 2004-11-24
CN1302196C (zh) 2007-02-28
BR0210591A (pt) 2004-08-10
JP4051028B2 (ja) 2008-02-20
CA2448399A1 (en) 2003-01-30
JP2004536244A (ja)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7798A1 (en) Shutter-typ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20040035684A (ko) 건축물 개방부를 위한 셔터형 커버링
AU2002355096A1 (en) Shutter-typ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9464478B2 (en) Light blocking slatted blind
US5497820A (en) Blind tilt actuator
US84960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 length of a pull cord
US6845802B1 (en)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030111191A1 (en) One way brake for a cordless blind
EP1920129B1 (en)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408924B1 (en) Control system for a vertical van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EP0567571B1 (en) Low profile headrail venetian blind
EP2054579B1 (en)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EP1219776B1 (en) Ladder operated covering with fixed vane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066233B2 (en) Sliding operator for between the glass window coverings
US20080099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ow covering with a cord safety device
US20060151129A1 (en) Window covering drive system
AU2008201662A1 (en) Shutter typ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WO2008015442A1 (en)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